KR20180091081A -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081A
KR20180091081A KR1020187019538A KR20187019538A KR20180091081A KR 20180091081 A KR20180091081 A KR 20180091081A KR 1020187019538 A KR1020187019538 A KR 1020187019538A KR 20187019538 A KR20187019538 A KR 20187019538A KR 20180091081 A KR20180091081 A KR 20180091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holding
folding
bearing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884B1 (ko
Inventor
노리오 세키
Original Assignee
노리오 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484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09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564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767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8648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1033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리오 세키 filed Critical 노리오 세키
Publication of KR2018009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Abstract

상하로 배치한 렌즈(A, B)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1)과,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1A)와, 안경다리(2)와,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중앙 높이에 설치하고 안경다리(2)를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전 수단(5)과, 브리지(1A)의 양단부에는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6)를 구비하고, 안경다리(2)에 단차부(4)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본 발명은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근 양용 안경은, 1장의 렌즈의 상부를 원시용으로, 그 하부를 근시용으로 만들고, 안경의 장착자가 안구의 방향이나 보는 각도를 바꿔, 먼 사물을 볼 때에는 치떠서, 가까운 사물을 볼 때에는 내리떠서 보고 있는 것이 현상(現狀)이다. 이 경우,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이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사물을 보기 때문에, 사물을 보는 데 정시(正視)하는(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한 시선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 데 대해, 특히 가까운 사물을 볼 때의 시선은, 부자연스러운 보는 방법, 부자연스러운 사용 방법으로 무리가 생기기 쉬워,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하방의 근시용 영역을 눈의 위치에 근접시켜, 시선을 정시 상태에 가깝게 하기 위한 제안이 많이 있다. 이때, 코 접촉부만을 상하 이동시키면,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을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사물을 보면, 도 25a일 때보다 하방으로 향하는 위치가 적게 되어, 눈의 높이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때의 렌즈 전체가 도면 중과 같이 기울어지기 때문에, 보기 어려운 것이 되어, 눈의 피로가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안경 자체를 반전시키는 안경이나, 안경 자체의 높이를 코 접촉 위치의 상하 높이 조절에 의해 눈의 위치에 근접시킨 안경 등 여러 종류의 것이 제안되어 있고,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99126호가 있다. 이것은, 상하 반전되어 안경이 씌워지도록, 안경다리를 상하 반전시키고 귀 접촉부도 상하 반전시키며, 코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켜, 원중시부(遠中視部) 또는 근시부의 중앙 부근에 눈이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의 것이다.
그러나, 안경 자체를 상하 반전시키는 안경은, 부착부가 안경테의 외측 중앙 높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 자체를 상하 반전시켜도, 시선이 상하의 렌즈의 경계에 와서 보기 어려워져, 반드시 코 접촉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었다. 이 안경은 상하 반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후, 코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켜 조절할 필요가 있어, 번거롭고, 코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미세 조절은 상당히 정확하게 행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이때의 시선으로서는,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눈의 높이에 어긋남이 발생하고, 또한, 렌즈 전체가 도면 중과 같이 기울어지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없앨 수 없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 이외에 안경 자체를 반전시켜 쓸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6-52721호 「운반용 세신형(細身形) 노안경」,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5363 「상하 반전식 원근 양용 안경」,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 「안경」,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59733호 「원근 양용 안경」 등이 제안되어 있으나,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6-52721호와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5363은, 귀 접촉부가 대략 직선이기 때문에, 안경이 어긋나거나 혹은 벗겨져 낙하하기 쉬운 것이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59733호는 상하용의 귀 접촉부가 그대로의 형상이며 단순히 일체화된 것이기 때문에, 미관이 나쁘고 또한 위화감이 있는 것이 되어, 실용성이 부족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6-52721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5363,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59733호는,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이외에 안경다리를 전후 혹은 상하로 반전시키고 안경 자체도 상하 반전시켜 쓸 수 있도록 한 안경용 프레임은 종래에는 없었다. 또한 렌즈면을 상하, 전후(표리)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발상은 없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99126호 공보
본 발명은 상하 반전시키거나, 또는 안경다리를 표리 반전시키고 안경 전체를 상하 반전시켜, 다른 종류의 렌즈 등을 간단히 구별해서 사용 가능해지고, 렌즈 등의 중심과 눈의 높이를 합치시켜 안정(眼精) 피로가 경감되는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경다리를 전후 반전 혹은 상하 반전시키고 안경 전체를 상하 혹은 전후로 반전시켜 다른 종류의 렌즈 등을 간단히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단말로서의 다화면 사용이 가능해지는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 등의 중심과 눈의 높이를 합치시켜 안정 피로가 경감되는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은,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고 상기 안경다리를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란, 사용하는 렌즈의 중심이, 예컨대 도 8a, 도 8b, 도 15a 내지 도 15c, 도 22a, 도 22b,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의 높이에 합치되는 것과 같은 단차가 안경다리에 형성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대략 중앙 높이」란, 중앙 높이 및 중앙 높이 부근의 높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은,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부착한 안경다리와,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부보다 선단측의 상기 안경다리에 상하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하 반전 수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부가,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이고, 상기 상하 반전 수단이, 반구면 오목형의 내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포지(抱持)되는 구체(球體)와, 상기 본체에 부착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에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체결재를 구비해도 좋고, 또한, 상기 부착부에 상하 반전 수단을 구비하여 일체화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브리지에 코 접촉부가 상하 반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부착한 안경다리와,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부보다 선단측의 안경다리에 상하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하 반전 수단을 부착함으로써, 상하 반전시켜 다른 종류의 렌즈 등을 간단히 구별해서 사용 가능해지고,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를 합치시키면, 안정 피로가 경감되는 것이 된다. 특히, 어떤 렌즈의 안경과 다른 렌즈의 안경의 2종류의 안경이, 상변(上邊)끼리를 고정한 안경과 대략 동일한 사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어떤 렌즈의 안경과 다른 렌즈의 안경을 구별해서 사용하여 단독의 안경으로서 사용하는 상태와 대략 동일한 감각이 되고, 반전시켜도 눈의 높이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보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안경다리에,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것과 같은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히 렌즈의 구별 사용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또한 확실히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렌즈의 사용 범위(시선의 이동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된다. 또한 사물을 보는 경우, 정시하는 자연 상태가 되어, 안정 피로가 경감 가능한 것이 된다. 또한 종래품과 같이 조절이나 미세 조절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안이한 것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 반전 수단이, 반구면 오목형의 내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포지되는 구체와, 본체에 부착하는 덮개와, 본체에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체결재로 적어도 이루어짐으로써, 상하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부착부에 상기 상하 반전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감소할 수 있고,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브리지에 코 접촉부가 상하 반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겉보기가 좋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은,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표리 반전 수단과,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표리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부가,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이고, 상기 표리 반전 수단이,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丸棒)형의 축과, 상기 축의 외주로 돌출시키는 홈용 핀과, 상기 축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상기 홈용 핀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가진 원통체를 구비해도 좋고, 또한, 상기 안경다리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리 반전 수단이,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嵌合片) 및 절첩 수단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을 가진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를 베어링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절첩 수단이, 상기 안경다리에 고착되고 작동 로드의 수평 감합편을 축 지지하는 절첩용 베어링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에 상기 작동 로드의 수평 감합편을 축 지지하기 위한 핀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표리 반전 수단과,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표리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표리 반전시켜 다른 종류의 렌즈 등을 간단히 구별해서 사용 가능해지고,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를 합치시키면, 안정 피로가 경감되는 것이 된다. 특히, 어떤 렌즈의 안경과 다른 렌즈의 안경의 2종류의 안경을 구별해서 사용하여 단독의 안경으로서 사용되는 상태와 대략 동일한 감각이 되고, 표리 반전시켜도 눈의 높이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보기 쉬운 것이 된다. 게다가 본 발명품은, 안경이 장착된 상태에서 렌즈 유지 프레임의 표리 반전을 할 수 있는 것이 되기 때문에, 렌즈의 전환을 순식간에 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안경다리에,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것과 같은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렌즈의 구별 사용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또한 확실히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렌즈의 사용 범위(시선의 이동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된다. 또한 사물을 보는 경우, 정시하는 자연 상태가 되어, 안정 피로가 경감 가능한 것이 된다. 또한 종래품과 같이 조절이나 미세 조절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간단한 것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표리 반전 수단이,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형의 축과, 상기 축의 외주로 돌출시키는 홈용 핀과, 축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홈용 핀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가진 원통체로 적어도 이루어짐으로써, 표리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표리 반전 수단이,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 및 절첩 수단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을 가진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를 베어링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으로 적어도 이루어짐으로써, 표리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절첩 수단이, 안경다리에 고착되고 작동 로드의 수평 감합편을 축 지지하는 절첩용 베어링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에 작동 로드의 수평 감합편을 축 지지하기 위한 핀으로 적어도 이루어짐으로써, 용이하게 절첩을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은,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고 상기 안경다리를 전후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후 반전 수단과, 상기 안경다리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하 반전 수단과,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전후 반전 혹은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 반전 수단보다 후방 위치의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그 단차부가,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 반전 수단이,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형의 축과, 상기 축의 외주로 돌출시키는 홈용 핀과, 상기 축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상기 홈용 핀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가진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돌출된 돌출편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으나, 다른 전후 반전 수단의 구조로서,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 및 절첩 수단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을 가진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를 베어링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절첩 수단이, 상기 돌출편을 축 지지하는 절첩용 베어링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에 돌출편을 축 지지시키기 위한 핀과, 절첩용 베어링의 후단에 고착시킨 삽입축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고, 상기 상하 반전 수단이, 상기 삽입축을 삽입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를 내부에 삽입하고 180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홈을 가진 바닥이 있는 원통체와, 상기 홈에 삽입하여 상기 원통체에 고착시키는 핀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고 안경다리를 전후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후 반전 수단과, 안경다리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하 반전 수단과,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전후 반전 혹은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후 반전 혹은 상하 반전시켜 다른 종류의 렌즈 등을 간단히 4종류의 구별 사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금후, 많이 제안될 것으로 예상되는 웨어러블 단말로서의 다화면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품은, 안경이 장착된 상태에서 렌즈 유지 프레임의 전후 반전을 할 수 있는 것이 되기 때문에, 렌즈의 전환을 매우 단시간에 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 반전 수단보다 후방 위치의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그 단차부가,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로 함으로써,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기 때문에, 렌즈의 사용 범위(시선의 이동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된다. 또한 사물을 보는 경우, 정시하는 자연 상태가 되어, 안정 피로가 경감 가능한 것이 된다. 게다가 종래품과 같이 조절이나 미세 조절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간단한 것이 되는 것이다. 특히 4종류의 렌즈면을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고, 전후 반전 혹은 상하 반전시켜도 눈의 높이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보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직선형의 안경다리보다 강도가 증가하고, 또한 단차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의 부재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같이 전후 반전 수단이,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형의 축과, 상기 축의 외주로 돌출시키는 홈용 핀과, 축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홈용 핀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가진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돌출된 돌출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후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전후 반전 수단이,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 및 절첩 수단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을 가진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를 베어링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전후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절첩 수단이, 돌출편을 축 지지하는 절첩용 베어링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에 돌출편을 축 지지시키기 위한 핀과, 절첩용 베어링의 후단에 고착시킨 삽입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이하게 절첩을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 반전 수단이, 삽입축을 삽입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를 내부에 삽입하고 180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홈을 가진 바닥이 있는 원통체와, 홈에 삽입하여 원통체에 고착시키는 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하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상하 반전 수단의 분해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상하 반전 수단과 부착부 및 그 일체화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b는 상하 반전 수단과 부착부 및 그 일체화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c는 상하 반전 수단과 부착부 및 그 일체화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코 접촉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렌즈 유지 프레임이 절곡된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b는 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평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표리 반전 수단과 절곡 수단의 분해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표리 반전 수단의 분해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렌즈 유지 프레임이 절곡된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a는 제2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b는 제2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c는 제2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평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주요한 분해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의 주요한 분해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a는 주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1b는 주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1c는 주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a는 렌즈 유지 프레임이 절곡된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b는 렌즈 유지 프레임이 절곡된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3a는 전후 반전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3b는 전후 반전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3c는 전후 반전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4a는 상하 반전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4b는 상하 반전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5a는 종래품의 시선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5b는 종래품의 시선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5c는 종래품의 시선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 이후의 설명 시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부호 1은 상하로 배치한 렌즈(A, B)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이고,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1)은 렌즈(A, B)의 외주를 도면 중과 같이 둘러싸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무테 안경의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이용해도 좋다. 한편,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1)에 의해 유지되는 렌즈로서는, 오목 렌즈, 볼록 렌즈, 판유리(도수 없는 안경이나 편광판), 착색 유리(선글라스 등),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의 형상으로서는, 도 1, 도 2의 도면 중에 도시된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이나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렌즈(A, B)는 개별적이 아니라, 1장의 렌즈로 일체화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렌즈 대신에, 웨어러블 단말용의 표시 화면(디스플레이)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A, B)가 경사지도록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절곡(경사)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렌즈(A, B)의 경사는, 각 렌즈의 이용 특성에 맞춘 것이며, 예컨대, 일반적으로 렌즈는 약간 하향의 시선으로 보는 것이 가장 좋도록 만들어진 것이 있고, 그에 대응하여 시선이 렌즈 중심에 합치하도록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절곡시키면 된다. 한편, 도면 중의 일점 쇄선은 눈의 높이를 나타낸다.
부호 1A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1)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이다.
부호 1B는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이고, 상기 부착부(1B)는 힌지로 되어 있으나,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반전 수단으로서의 상하 반전 수단(5)이 부착부(1B)에 구비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해도 좋다. 한편, 무테 안경의 경우의 부착부(1B)의 위치는, 렌즈(A, B)의 중앙 높이(경계선)가 되도록 렌즈 유지 프레임(1)에 설치한다.
부호 2는 부착부(1B)에 부착한 절첩 가능한 안경다리이고, 상기 안경다리(2)에는 후술하는 단차부(4)가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호 3은 브리지(1A)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코 접촉부이고, 상기 코 접촉부(3)는 브리지(1A)와 일체로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코 접촉부(3)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1A)에 코 접촉부(3)가 상하 반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때의 브리지(1A)는 환봉형으로 한 것을 이용하고 코 접촉부(3)는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4는 안경다리(2)의 선단측에 형성한 단차부이고, 상기 단차부(4)는, 렌즈(A) 혹은 렌즈(B)의 중심과 눈의 높이를 합치시키기 위한 단차이다. 이 단차부(4)는 부착부(1B)측이 도면 중에 있어서는 높게 되어 있으나, 낮게 한 것으로 해도 좋다.
부호 5는 단차부(4)보다 선단측의 안경다리(2)에 부착된 반전 수단으로서의 상하 반전 수단이다. 상기 상하 반전 수단(5)은, 반구면 오목형의 내면을 갖는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내부에서 포지되는 구체(52)와, 상기 본체(51)에 부착하는 덮개(53)와, 상기 본체(51)에 덮개(53)를 부착하기 위한 체결재(54)로 적어도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51)는 안경다리(2)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 방식으로서는, 도면 중과 같이 플랜지가 상하 방향에 위치하도록 연결하고 있으나, 플랜지가 수평 방향에 위치하도록 연결해도 좋다. 또한, 상기 본체(51)와 덮개(53)에는, 구체(52)가 내장되었을 때에 가로로 흔들리지 않도록, 도면 중에 도시된 절결부(51a, 53a)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구체(52)에는, 부착부(1B)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로드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51)와 덮개(53) 사이에 탄성을 가진 판형의 쿠션재(55)를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고, 이 쿠션재(55)는 체결재(54)인 비스 등의 체결 상태에 따라, 구체(52)에 적절한 회전 저항을 부여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적절한 회전 저항이란, 안경다리(2)의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안경을 장착하고 있는 동안에 어긋남이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회전 저항이 부여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부호 6은 안경다리(2)의 후단부에 부착된 귀 접촉부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상하 반전 수단(5, 5A)과 부착부(1B) 및 그 일체화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이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서는 부착부(1B)와 회동 가능한 안경다리(2)의 선단부에 구체(52)가 고착되고, 본체(51)와 덮개(53)에 의해, 구체(52)가 포지되어 있다. 도 5b에서는 부착부(1B)와 회동 가능한 안경다리(2)의 선단부에 원통체(56)가 고착되고, 상기 원통체(56)를 삽입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57)는 후방의 안경다리(2)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체(56)의 외주에는 핀(58)을 부착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57)의 외주에는 원통체(56)가 180도 정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핀 대응용의 홈(57a)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도 5c에서는 부착부(1B)에 핀의 일단을 매설하고, 그 핀의 타단에는 구체(52)가 고착되며, 도 5a와 마찬가지로 본체(51)와 덮개(53)에 의해, 구체(52)가 포지되어 있다. 또한, 안경다리(2)가 절첩되기 위한 홈(51b)이 90도 정도 뚫려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8a, 도 8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8a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안경을 쓰면, 눈의 높이와 렌즈(A)의 중심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이 매우 보기 쉽고, 또한, 렌즈(A)의 상하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후, 렌즈(B)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안경다리(2) 혹은, 안경을 벗어 귀 접촉부(6)의 상하를 상하 반전 수단(5)이 개재되어 반전시킨다. 그러면, 도 8a 중에 도시된 이점 쇄선과 같이 귀 접촉부(6)가 상하 반전된다. 그 안경을 반전시켜, 귀에 귀 접촉부(6)를 걸면, 도 8b의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렌즈(A) 시와 마찬가지로 렌즈(B)의 중심이 눈의 높이와 합치하므로, 사물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상하 반전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때, 렌즈(A)로서 오목 렌즈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종래의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즉, 1) 운전석의 카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기기 등을 조작한 후, 바로 전방을 보아도, 초점이 맞지 않아 전방이 흐려지거나 혹은 거리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 가능해진다. 2) 컴퓨터 앞에서, 데이터나 문자를 확인한 후, 화면을 보면 작은 문자가 보기 어렵고, 또한, 눈부시게 느끼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눈의 피로가 감소하고, 두통이나 어깨 결림 등이 감소하는 것이 된다. 3) 계단을 내려갈 때에 발밑이 흐려져, 걷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계단을 헛딛는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4) 텔레비전을 보면서 신문이나 잡지를 보아도 초점 흐려짐이 감소한다. 5) 암석 지대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 바늘에 미끼를 끼운 후에 바로 암석 지대를 걸어도 바위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거의 없어진다.
또한, 렌즈(A)로서 선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특히 운전석의 카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기기 등을 조작한 후, 바로 전방을 선글라스로 바꿔 보면, 흐려지거나 혹은 거리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 가능해지고 눈부심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렌즈(A)로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안경으로서 렌즈(B)를 사용하면서, 일일이 안경을 벗지 않아도 웨어러블 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품을 이용하면, 따로따로 안경을 바꿔 쓰지 않아도 간단히 2종류의 렌즈를 각각 단독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9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렌즈 유지 프레임(1)에 렌즈를 배치할 때, 렌즈(A)와 렌즈(B)의 배치 방향(사용면)은 표리를 반대로 한다. 즉, 렌즈(A)가 표면이면 렌즈(B)는 이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A, B)가 경사지도록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절곡(경사)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렌즈(A, B)의 경사는, 각 렌즈의 이용 특성에 맞춘 것으로 하면 된다. 이때, 상하 모두 경사시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한쪽 렌즈만을 경사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도면 중의 일점 쇄선은 눈의 높이를 나타낸다.
부호 7은 각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중앙 높이에 고착된 반전 수단으로서의 표리 반전 수단(전후 반전 수단)이고, 상기 표리 반전 수단(7)은, 각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고착된 부착부(71)와, 상기 부착부(71)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형의 축(72)과, 상기 축(72)의 외주로 돌출시키는 홈용 핀(73)과, 축(72)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홈용 핀(73)을 삽입하여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홈(74a)을 가진 원통체(74)로 이루어져 있다(도 12 참조). 상기 원통체(74)는 안경다리(2)의 선단부(21)와 고착되어 있다. 상기 홈용 핀(73)은, 원통체(74)의 내부에 축(72)을 삽입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하부 구멍에 압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축(72)은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중앙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은 표리 반전 수단(7)의 다른 실시형태[표리 반전 수단(7A)]를 도시한 도면이고, 이것은 각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76)과, 상기 베어링(76)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77a) 및 절첩 수단(8)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77b)을 가진 작동 로드(77)와, 상기 작동 로드(77)를 베어링(76)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7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어링(76)은 렌즈 유지 프레임(1)에 고착하고, 베어링(76)에 수직 감합편(77a)을 감합시켜 핀(78)에 의해, 작동 로드(77)가 180도 회동하여, 수직 감합편(77a)이 베어링(76)의 평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핀(78)은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중앙 높이 위치에 세트하도록, 베어링(76)의 구멍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표리 반전 수단(7, 7A)은 상기 2가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경다리(2)가 전후로 180도 회동 가능한 구조이면 다른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부착부(71)와 원통체(74) 사이, 혹은 베어링(76)과 작동 로드(77)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탄성을 가진 쿠션재를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고, 이 쿠션재의 적절한 반전 저항으로서, 안경다리(2)의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안경을 장착하고 있는 동안에 어긋남이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반전 저항이 부여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부호 2는 절첩 가능한 안경다리이고, 상기 안경다리(2)에는 단차부(4)가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경다리(2)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절첩용 베어링(81)이 고착되어 있다.
부호 3은 브리지(1A)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표리 반전(전후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코 접촉부이고, 상기 코 접촉부(3)는 브리지(1A)와 일체로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상기 코 접촉부(3)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부호 8은 안경다리(2)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 수단이고, 상기 절첩 수단(8)에는, 안경다리(2)에 고착되고 안경다리(2)의 선단부(21)의 단부와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여 절첩 가능하게 축 지지하기 위한 절첩용 베어링(81)과, 선단부(2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또한 빠지지 않도록 축 지지하기 위한 핀(82)이 있다. 또한, 도 13의 표리 반전 수단(7A)의 경우에는, 핀(82)이 개재되어, 작동 로드(77)의 수평 감합편(77b)을 절첩용 베어링(81)에 축 지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절첩 수단(8)은 표리 반전 수단(7, 7A)과 단차부(4)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14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의 후방에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부호 4는 절첩 수단(8)의 후방의 안경다리(2)에 형성한 단차부이고, 상기 단차부(4)는, 렌즈(A) 혹은 렌즈(B)의 중심과 눈의 높이를 합치시키기 위한 단차이다. 이 단차부(4)는 표리 반전 수단(7, 7A)보다 도면 중에 있어서는 높게 되어 있으나, 낮게 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단차부(4)를 낮게 한 경우의 코 접촉부(3)는, 높게 한 것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표리 반전시켰을 때의 코 접촉부(3)는 높게 한 것보다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것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15a 내지 도 15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15a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안경을 쓰면, 눈의 높이와 렌즈(A)의 중심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이 매우 보기 쉽고, 또한, 렌즈(A)의 상하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때, 렌즈(B)는 사용면의 이면이 눈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 후, 렌즈(B)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안경을 벗고, 안경다리(2)를 도면 중의 화살표와 같이 전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안경다리(2)는 렌즈 유지 프레임(1)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도 15a 중에 도시된 2점 쇄선과 같이 귀 접촉부(6)가 상방으로 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안경 전체를 상하 반전시키고, 귀에 귀 접촉부(6)를 귀에 걸면, 도 15b의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렌즈(A) 시와 마찬가지로 렌즈(B)의 중심이 눈의 높이와 합치하므로, 사물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 경우, 렌즈(A)의 사용면은 반대측이 된다.
실제로 본 발명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경을 벗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로, 도 15c의 화살표와 같이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손으로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작동이 되기 때문에, 렌즈(A)와 렌즈(B)의 전환을 단시간에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렌즈 유지 프레임(1)을 회전시키면, 렌즈가 표리 반전 및 상하 반전되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렌즈(A)로서 오목 렌즈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종래의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즉, 종래의 문제점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해결할 수 있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6 내지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부호 1은 상하로 배치한 렌즈[A(C), B(D)]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이고,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1)은 렌즈[A(C), B(D)]의 외주를 도면 중과 같이 둘러싸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무테 안경의 도시하지 않은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렌즈[A(C), B(D)]는 개별적이 아니라, 1장의 렌즈로 일체화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1)에 배치하는 렌즈는, 안경을 장착했을 때에, 내측 위를 A, 내측 아래를 B, 외측 위를 C, 외측 아래를 D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A(C), B(D)]가 경사지도록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상하를 절곡(경사)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렌즈[A(C), B(D)]의 경사는, 각 렌즈의 이용 특성에 맞춘 것으로 하면 된다. 이때, 상하 모두 경사시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만을 경사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도면 중의 일점 쇄선은 눈의 높이를 나타낸다.
부호 2는 절첩 가능한 안경다리이고, 상기 안경다리(2)에는 단차부(4)가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호 7B는 각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중앙 높이에 설치하고 안경다리(2)를 전후 반전(표리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전 수단으로서의 전후 반전 수단(표리 반전 수단)이고, 상기 전후 반전 수단(7B)은, 각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고착된 부착부(71)와, 상기 부착부(71)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형의 축(72)과, 상기 축(72)의 외주로부터 돌출시키는 홈용 핀(73)과, 축(72)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홈용 핀(73)을 삽입하여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홈(74a)을 가진 원통체(74)와, 상기 원통체(74)의 외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된 돌출편(75)으로 이루어져 있다(도 19 참조). 상기 홈용 핀(73)은, 원통체(74)의 내부에 축(72)을 삽입하고, 축(72)의 하부 구멍에 압입시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축(72)은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중앙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 5A는 안경다리(2)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전 수단으로서의 상하 반전 수단이고, 상기 상하 반전 수단(5A)은 후술하는 삽입축(83)을 삽입하는 원통체(56)와, 상기 원통체(56)를 내부에 삽입하고 180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홈(57a)을 가진 바닥이 있는 원통체(57)와, 홈(57a)에 삽입하여 원통체(56)에 고착시키는 핀(58)으로 이루어져 있다(도 19, 도 20 참조).
부호 3은 브리지(1A)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전후 반전 혹은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이고, 상기 코 접촉부(3)는 브리지(1A)와 일체로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상기 코 접촉부(3)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부호 8A는 안경다리(2)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 수단이고, 상기 절첩 수단(8A)에는, 원통체(74)로부터 돌출된 돌출편(75)을 핀(82)을 통해 축 지지하는 절첩용 베어링(81)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81)의 후단에 고착시킨 환봉형의 삽입축(83)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호 4는 상하 반전 수단(5A)보다 후방 위치의 안경다리(2)에 형성한 단차부이고, 상기 단차부(4)는, 렌즈[A(C)] 혹은 렌즈[B(D)]의 중심과 눈의 높이를 합치시키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4)는 전후 반전 수단(7B)보다 도면 중에 있어서는 높게 되어 있으나, 낮게 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단차부(4)를 낮게 한 경우의 코 접촉부(3)는, 높게 한 것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전후 반전시켰을 때의 코 접촉부(3)는 높게 한 것보다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것이 된다.
도 20은 전후 반전 수단(7B)의 다른 실시형태[표리 반전 수단(7A)]를 도시한 도면이고, 이것은 각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76)과, 상기 베어링(76)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77a) 및 절첩 수단(8A)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77b)을 가진 작동 로드(77)와, 상기 작동 로드(77)를 베어링(76)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7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어링(76)은 렌즈 유지 프레임(1)에 고착하고, 베어링(76)에 수직 감합편(77a)을 감합시켜 핀(78)에 의해, 작동 로드(77)가 180도 회동하여, 수직 감합편(77a)이 베어링(76)의 평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핀(78)은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중앙 높이 위치에 세트하도록, 베어링(76)의 구멍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후 반전 수단(7B)이나 전후 반전 수단[표리 반전 수단(7A)]은 도 19, 도 20에 도시된 상기 2가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경다리(2)가 전후로 180도 회동 가능한 구조이면 다른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부착부(71)와 원통체(74) 사이, 혹은 베어링(76)과 작동 로드(77)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탄성을 가진 쿠션재를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고, 이 쿠션재의 적절한 반전 저항으로서, 안경다리(2)의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안경을 장착하고 있는 동안에 어긋남이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반전 저항이 부여되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첩 수단(8A)은 전후 반전 수단(7B)과 단차부(4)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22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보다 후방에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전후 반전 수단(7B)이나 전후 반전 수단[표리 반전 수단(7A)], 상하 반전 수단(5, 5A), 절첩 수단(8A)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a는 도 19에 도시된 부품이 조합된 것이고, 도 21b는 도 20에 도시된 부품이 조합된 것이며, 도 21c는 상하 반전 수단(5)과 절첩 수단(8A)이 겸용되는 구조의 것이다. 도 21a와 도 21b는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21c는 원통체(74)로부터 환봉형의 돌출편(75)이 돌출되고, 그 돌출편(75)의 타단에는 구체(52)가 고착되며, 상기 구체(52)는 포지체(59)에 의해, 구체(52)가 둘러싸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안경다리(2)가 절첩되기 위한 홈(51b)이 형성되어, 안경다리(2)가 180도 회전 가능하고 또한 90도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품의 전후 반전의 작용을 도 23a 내지 도 23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23a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안경을 쓰면, 눈의 높이와 렌즈[A(C)]의 중심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이 매우 보기 쉽고, 또한, 렌즈[A(C)]의 상하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후, 안경을 벗고, 안경다리(2)를 도면 중의 화살표와 같이 전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안경다리(2)는 렌즈 유지 프레임(1)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도 23a 중에 도시된 이점 쇄선과 같이 귀 접촉부(6)가 상방으로 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안경 전체를 상하 반전시키고, 귀 접촉부(6)를 귀에 걸면, 도 23b의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렌즈[A(C)] 시와 마찬가지로 렌즈[B(D)]의 중심이 눈의 높이와 합치하므로, 사물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실제로 본 발명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경을 벗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로, 도 23c의 화살표와 같이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손으로 상하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작동이 되기 때문에, 렌즈면의 상하의 전환을 단시간에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렌즈 유지 프레임(1)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렌즈(A)면이 렌즈(D)면으로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것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품의 상하 반전의 작용을 도 24a, 도 24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24a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안경을 쓰면, 눈의 높이와 렌즈[A(C)]의 중심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이 매우 보기 쉽고, 또한, 렌즈면의 상하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후, 렌즈[B(D)]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안경다리(2) 혹은, 안경을 벗고 귀 접촉부(6)의 상하를 상하 반전 수단(5A)이 개재하여 반전시킨다. 그러면, 도 24a 중에 도시된 이점 쇄선과 같이 귀 접촉부(6)가 상하 반전된다. 그 안경 전체를 반전시키고, 귀에 귀 접촉부(6)를 걸면, 도 24b의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렌즈[A(C)] 시와 마찬가지로 렌즈[B(D)]의 중심이 눈의 높이와 합치하므로, 사물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전후 반전시킴으로써, 렌즈(A)면을 렌즈(D)면으로, 렌즈(B)면을 렌즈(C)면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안경다리(2) 혹은 귀 접촉부(6)를 상하 반전시킴으로써, 렌즈(A)면을 렌즈(B)면으로, 렌즈(C)면을 렌즈(D)면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하나의 안경으로, 렌즈(A)면, 렌즈(B)면, 렌즈(C)면, 렌즈(D)면의 4종류를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품은, 웨어러블 단말의 다화면 사용이 가능한 것이 되는 것이다.
한편, 렌즈로서 오목 렌즈, 볼록 렌즈, 선글라스나 편광판 등을 사용하여,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즉, 종래의 문제점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해결할 수 있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1: 렌즈 유지 프레임 1A: 브리지
1B: 부착부 2: 안경다리
3: 코 접촉부 4: 단차부
5: 상하 반전 수단 5A: 상하 반전 수단
51: 본체 52: 구체
53: 덮개 54: 체결재
56: 원통체 57: 바닥이 있는 원통체
57a: 홈 58: 핀
7: 표리 반전 수단(전후 반전 수단)
7B: 전후 반전 수단(표리 반전 수단) 71: 부착부
72: 축 73: 홈용 핀
74: 원통체 74a: 가이드홈
75: 돌출편 76: 베어링
77: 작동 로드 77a: 수직 감합편
77b: 수평 감합편 78: 핀
8: 절첩 수단 81: 절첩용 베어링
82: 핀

Claims (17)

  1.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고 상기 안경다리를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2.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부착한 안경다리와,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부보다 선단측의 상기 안경다리에는 상하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하 반전 수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가,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인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반전 수단이, 반구면 오목형의 내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포지(抱持)되는 구체(球體)와, 상기 본체에 부착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에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체결재를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상기 상하 반전 수단이 구비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에 상기 코 접촉부가 상하 반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7.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표리 반전 수단과,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표리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가,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인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리 반전 수단이,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丸棒)형의 축과, 상기 축의 외주로 돌출시키는 홈용 핀과, 상기 축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상기 홈용 핀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가진 원통체를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리 반전 수단이,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嵌合片) 및 상기 절첩 수단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을 가진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을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수단이, 상기 안경다리에 고착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수평 감합편을 축 지지하는 절첩용 베어링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에 상기 작동 로드의 수평 감합편이 축 지지되기 위한 핀을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2. 상하로 배치한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대략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안경다리와,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고 상기 안경다리를 전후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후 반전 수단과,
    상기 안경다리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하 반전 수단과,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에는 전후 반전 혹은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반전 수단보다 후방 위치의 상기 안경다리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그 단차부가, 상하로 배치한 한쪽 렌즈의 중심과 눈의 높이가 합치되는 단차로 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반전 수단이,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봉형의 축과, 상기 축으로부터 외주로 돌출시키는 홈용 핀과, 상기 축을 내부에 삽입하여 180도 회동시키고 상기 홈용 핀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가진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돌출된 돌출편을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 반전 수단이, 상기 각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이며 또한 그 대략 중앙 높이에 설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되는 수직 감합편 및 상기 절첩 수단에 축 지지되는 수평 감합편을 가진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를 상기 베어링에 축 지지하기 위한 핀을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절첩 수단이, 상기 돌출편을 축 지지하는 절첩용 베어링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에 상기 돌출편이 축 지지시키기 위한 핀과, 상기 절첩용 베어링의 후단에 고착시킨 삽입축을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반전 수단이, 상기 삽입축을 삽입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를 내부에 삽입하고 180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홈을 가진 바닥이 있는 원통체와, 상기 홈에 삽입하여 상기 원통체에 고착시키는 핀을 구비한 것인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KR1020187019538A 2015-12-21 2016-12-21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KR102089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8413A JP6170993B2 (ja) 2015-12-21 2015-12-21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JP-P-2015-248413 2015-12-21
JPJP-P-2015-256413 2015-12-28
JP2015256413A JP6276748B2 (ja) 2015-12-28 2015-12-28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JP-P-2016-008648 2016-01-20
JP2016008648A JP6171033B2 (ja) 2016-01-20 2016-01-20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PCT/JP2016/088070 WO2017110858A1 (ja) 2015-12-21 2016-12-21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081A true KR20180091081A (ko) 2018-08-14
KR102089884B1 KR102089884B1 (ko) 2020-03-16

Family

ID=5908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538A KR102089884B1 (ko) 2015-12-21 2016-12-21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38229B2 (ko)
EP (1) EP3396440A4 (ko)
KR (1) KR102089884B1 (ko)
CN (1) CN108474962B (ko)
WO (1) WO2017110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278U (ja) 2017-10-20 2017-12-28 則雄 関 眼鏡状のフレーム
WO2020174636A1 (ja) * 2019-02-27 2020-09-03 株式会社Frozen Capsule 視覚情報変更装置、プリズム眼鏡、およびプリズム眼鏡におけるレンズの選定方法
IT201900012234A1 (it) * 2019-07-18 2021-01-18 Luxottica Srl Occhiale con cerniera per astina semplificata.
JP7194317B2 (ja) * 2019-12-02 2022-12-22 勇 山崎 ユニバーサルヒンジ眼鏡
CN115113415A (zh) * 2022-07-13 2022-09-27 深圳市华胜眼镜科技有限公司 一种3d数字眼镜用连接铰链、镜腿组件及数字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733A (ja) * 1993-12-10 1995-06-23 Bunzo Hirano 遠近両用眼鏡
JPH07199126A (ja) 1993-12-28 1995-08-04 Mitsuru Hikasa 反転する遠近両用眼鏡及び上下移動ができる遠近両用眼鏡
JPH07261128A (ja) * 1994-03-18 1995-10-13 Bunzo Hirano 遠近両用眼鏡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7452B (de) 1965-05-26 1967-12-28 Artplast Kunststofferzeugnisse Sportschutzbrille, insbesondere fuer Schifahrer
JPS5921374Y2 (ja) 1979-09-27 1984-06-23 純一 百瀬 持運び用細身形老眼鏡
US5004334A (en) 1990-05-25 1991-04-02 Nadine Miele Auxiliary nosepiece for eyeglasses
FR2703162A1 (fr) * 1993-03-24 1994-09-30 Trublin Roger Lunettes réversibles.
JP3031992U (ja) 1996-05-28 1996-12-13 重成 松江 めがね
JPH10232375A (ja) 1997-02-20 1998-09-02 Mitsuru Hikasa 焦点切替眼鏡
JP2000180798A (ja) * 1998-12-17 2000-06-30 Nobusuke Niwa 折畳式眼鏡
ITTV20040018A1 (it) 2004-02-20 2004-05-20 Pierluigi Breda Montatura per occhiali
JP2006079031A (ja) 2004-09-06 2006-03-23 Hisatoshi Suminoe 段違い弦の眼鏡
JP4609795B2 (ja) 2005-01-04 2011-01-12 山崎 勇 球状ヒンジ眼鏡
JP2007047283A (ja) 2005-08-08 2007-02-22 D Sainzu & Co:Kk 眼鏡用テンプル
US7222957B1 (en) * 2006-01-12 2007-05-29 Allred Robert W Eyeglasses assembly
US7731356B1 (en) 2006-07-24 2010-06-08 Daniel Ayers Gilbert Hanging eyeglasses
ES2671239T3 (es) 2012-01-18 2018-06-05 Shenzhen Time Waying Technology Co. Ltd. Estructura de lente y gafas de doble finalidad con funciones de gafas de sol y gafas 3D
JP2014085363A (ja) 2012-10-19 2014-05-12 Asakura Plan Kk 上下反転式遠近両用メガネ
US9804413B2 (en) 2013-09-30 2017-10-31 Sandra W. Smith One stem reversible reading glas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733A (ja) * 1993-12-10 1995-06-23 Bunzo Hirano 遠近両用眼鏡
JPH07199126A (ja) 1993-12-28 1995-08-04 Mitsuru Hikasa 反転する遠近両用眼鏡及び上下移動ができる遠近両用眼鏡
JPH07261128A (ja) * 1994-03-18 1995-10-13 Bunzo Hirano 遠近両用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4962A (zh) 2018-08-31
US20190011727A1 (en) 2019-01-10
EP3396440A4 (en) 2019-08-07
CN108474962B (zh) 2019-12-10
KR102089884B1 (ko) 2020-03-16
US10838229B2 (en) 2020-11-17
WO2017110858A1 (ja) 2017-06-29
EP3396440A1 (en)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1081A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US20180031847A1 (en) Eyeglass-type display apparatus
US10788684B2 (en) Method for adapting the optical function of an adaptive ophthalmic lenses system
KR20190049869A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KR102469152B1 (ko) 안경형의 프레임
JP6268247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171033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2256265B1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CN111133364B (zh) 双模式耳机
JP6272606B2 (ja) 眼鏡
JP2017027030A (ja) デバイスを取付けることが出来るメガネフレーム
JP2020008654A (ja) アイウエアおよびテンプル
JP6276748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US11940671B2 (en) Spectacle-like frame
JP6330090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170993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268263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3232313U (ja) メガネ
JP4255454B2 (ja) 視野拡大具及び視野拡大眼鏡
JP6407385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2017123890A (ja) デバイスを組み込んだブレス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