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478A - 다중촛점렌즈를갖춘안경테용일체형수직평면조절기구 - Google Patents

다중촛점렌즈를갖춘안경테용일체형수직평면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478A
KR20000011478A KR1019990026811A KR19990026811A KR20000011478A KR 20000011478 A KR20000011478 A KR 20000011478A KR 1019990026811 A KR1019990026811 A KR 1019990026811A KR 19990026811 A KR19990026811 A KR 19990026811A KR 20000011478 A KR20000011478 A KR 2000001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gnet
moved
normal posi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네기시
Original Assignee
도루 네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루 네기시 filed Critical 도루 네기시
Publication of KR2000001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02C5/124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for verticall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테는 대응하는 한쌍의 이중촛점 렌즈가 장착된 한쌍의 림과, 각각의 림에 연결된 한쌍의 템플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템플은 대응하는 림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조인트와, 조인트에 연결된 일단부 및 착용자의 귀 뒤에 유지되는 타단부를 갖춘 레그와, 그리고 정상 위치와 상승 또는 독서 위치 사이에서 이중촛점 렌즈가 이동하도록 수직 평면에서 조인트와 레그 사이에서 피봇식으로 이동가능한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기구는 렌즈가 정상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제 1부분이 림에 연결되는 제 1포인트와 제 1부분이 제 2부분에 연결되는 제 2포인트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촛점 렌즈를 갖춘 안경테용 일체형 수직 평면 조절 기구 {INTEGRAL VERTICAL PLANE ADJUSTING MECHANISM FOR AN EYEGLASS FRAME WITH MULTIFOCAL LENSES}
본 발명은 수직으로 조절가능한 다중촛점 렌즈를 갖춘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렌즈와 템플(temple) 사이의 수직각 조절안정성을 제공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구의 일예는 본 출원의 발명자인 네기시(Negishi)에 특허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47,0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각각의 템플은 이중촛점 렌즈가 장착된 림(rim)에 고정된 조인트와, 착용자의 귀 뒤에 굽힘부와, 그리고 굽힘부에 단일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조인트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춘 레그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조인트와 레그는 템플의 종방향으로 정렬되며, 이때 렌즈는 템플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다. 렌즈를 상승 또는 독서 위치(reading position)로 이동시키기 위해, 림과 함께 조인트는 레그에 대해 하방으로 피봇되거나 굽혀진다. 이때, 레그는 착용자의 귀를 중심으로 윗방으로 약간 피봇된다. 동시에, 한쌍의 노우즈 패드가 레그의 경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문제점은 렌즈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안경테가 하방으로 이동된다는 점이다. 이에 의해, 안경 렌즈의 평면은 시야선에 대해 부적절한 각도로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에 결합되기 적합하고, 렌즈의 둘 이상의 촛점 영역이 가장 편안하고 정확한 사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안경 렌즈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착용자의 코에 대해 안경테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파단선으로 도시된 독서 위치(reading position)와 실선으로 도시된 정상 위치에 렌즈를 갖는 이중촛점 렌즈의 안경테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갖춘 안경테의 부분 상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 기구의 확대도.
도 4는 렌즈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의 도 3에 도시된 선 IV-IV을 따라 취한 조절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렌즈가 독서 위치에 있을 때의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6은 렌즈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의 안경테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한세트의 노우즈 패드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노우즈 패드의 확대 측면도.
도 9는 상승 또는 정상 위치에 있는 렌즈를 도시한 도 6과 유사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한세트의 노우즈 패드의 확대 측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노우즈 패드의 확대 측면도.
도 12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노우즈 패드의 변형된 형태의 측면도.
도 13은 변형된 형태의 노우즈 패드를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노우즈 패드의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1 및 도 32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41 및 도 42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43 및 도 44는 도 1에 도시된 템플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5 및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47 및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49 내지 도 51은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2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5 및 도 56은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7 및 도 58은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9 및 도 60은 본 발명의 제 21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경 12 : 안경테
14 : 림 16 : 브리지
18 : 템플 20 : 렌즈
22 : 패드 아암 24, 60, 64 : 노우즈 패드
26,220,380 : 조인트 28 : 굽힘부
30,226 : 레그
32,70,90,106,120,136,142,156,170,184,202,242,270,332,406 : 돌출부
34,50,68,72,78,80,92,102,104,108,116,118,122,138,148,150,162,164,200, 274,282,284,296,312,316,358,360,390 : 자석
36,86,94,112,124,140,158,182,186,188,208,212,286,306 : 슬롯
40,294 : 힌지 42,382,384 : 아암
46,88,114,144,160,180,190,210,214,222,248,262,288,308,310,320,324,336, 338,344,350,374 : 피봇핀
52,54,82,84,128,130,152,154,166,168,194,196 : 스텝
74,76,98,100,134,136,172,174,198,204,206,404 : 리셋스
132 : 원형 디스크 146,298,302 : 그루우브
176,264 : 코일 스프링 178 : 벨로즈
192,216,238,240 : 스프링 254 : 연결 부재
258,260 : 스페이서 300,342 : 멈춤쇠
318,330 : 조절 나사 340,346,398 : 비틀림 스프링
352 : 캠 356 : 와이어
364,366,368,370,372 : 기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한쌍의 대응하는 이중촛점 렌즈가 장착된 한쌍의 림을 갖춘 안경테용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 기구는 한쌍의 템플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템플은 대응하는 하나의 림에 고정된 일단부를 갖춘 제 1부분과, 제 1부분의 타단부에 연결된 일단부와 착용자의 귀 뒤에 유지되기에 적합한 타단부를 갖춘 제 2부분과, 그리고 정상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다중촛점 렌즈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평면에서 제 1부분 및 제 2부분 사이에서 피봇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봇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피봇 수단은 렌즈가 정상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제 1부분이 림에 연결되는 제 1포인트와 제 1부분이 제 2부분에 연결되는 제 2포인트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림은 착용자의 얼굴 또는 코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되어서, 안경 렌즈의 평면이 시야선에 대해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부분은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하고 있고, 제 2부분은 하부에 고정된 자석 및 상부에 고정된 자석을 포함하고 있다. 제 1부분의 이동가능한 자석은 렌즈가 정상 위치에 유지될 때 제 2부분의 하부 자석에 자석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자석은 렌즈가 상승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부 자석에 자석식으로 부착된다. 선택적으로, 제 1부분이 상부 및 하부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 2부분이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의 제 1부분은 신장형 슬롯을 갖추고 있고, 제 2부분은 렌즈가 정상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로 이동될 때 신장형 슬롯 내에서 이동가능한 핀을 갖추고 있다. 제 1부분은 돌출부를 갖추고 있고, 제 2부분은 상부 및 하부 리셋스를 갖추고 있으며, 상부 리셋스는 하부 리셋스보다 큰 깊이를 가지고 있다. 제 1부분은 핀과 신장형 슬롯의 일단부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가능한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연장가능한 요소는 렌즈가 정상 위치에 유지될 때 돌출부를 하부 리셋스내에 유지하도록 가압된다. 연장가능한 요소는 렌즈가 정상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제 1부분을 제 2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연장된다. 연장가능한 요소는 코일 스프링이거나 또는 가스 또는 액체로 충진된 벨로즈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다중촛점 렌즈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한쌍의 림과, 각각의 림에 연결되는 한쌍의 템플을 포함하는 다중촛점 렌즈용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각의 템플은 대응하는 하나의 림에 고정된 일단부를 갖춘 제 1부분과, 제 1부분의 타단부에 연결된 일단부와 착용자의 귀 뒤에 유지되기에 적합한 타단부를 갖춘 제 2부분과, 그리고 정상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다중촛점 렌즈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평면에서 제 1부분 및 제 2부분 사이에서 피봇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봇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피봇 수단은 렌즈가 정상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제 1부분이 림에 연결되는 제 1포인트와 제 1부분이 제 2부분에 연결되는 제 2포인트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제 1요소는 조인트이며, 제 2요소는 레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요소는 레그이며, 제 2요소는 굽힘부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쌍의 안경이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안경(10)은 일반적으로 브리지(16)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림(14)과, 이러한 림(14)상에 지지되어 있는 한쌍의 템플(18)과, 그리고 림(14)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거리 및 독서 세그먼트를 갖추고 있는 한쌍의 이중촛점 렌즈(20)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패드 아암(22)은 림(14)의 코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패드 아암(22)상에는 한쌍의 대응 노우즈 패드(24)가 지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는 렌즈(20)의 이중촛점 영역을 근시 또는 난시에 대해 가장 편안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기구는 또한 렌즈가 도 1에서 파단선으로 도시된 상승 또는 독서 위치로 이동할 때 착용자의 코에 대해 전체 안경테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템플(18)은 림의 상단부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조인트(26)와, 착용자의 귀 뒤에 유지시키기 위한 굽힘부(28)와, 그리고 조인트(26)와 굽힘부(28)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레그(30)를 갖추고 있다. 조인트(26)는 일반적인 삼각형의 돌출부(32)를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돌출부(32)의 두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26)의 후방의 두께의 1/2 미만이다. 삼각형 단부 또는 돌출부(32)의 자유단부에는 자석(34)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조인트(26)는 또한 타원형 슬롯(36)을 갖추고 있다. 레그(30)는 힌지(40)에 의해 레그의 후방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분기된 단부(38)를 갖추고 있어서, 템플(18)이 렌즈(20)의 코부측을 가로질러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레그(30)의 분기된 단부(38)는 조인트(26)가 삽입되는 두 개의 평행한 아암(42)을 갖추고 있다. 힌지(40)와 마주하는 아암(42)의 각각의 일단부에는 원형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핀(46)은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하기 위해 구멍(44)과 슬롯(36)을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렌즈(20)와 템플(18) 사이의 수직각 조절을 허용한다. 슬롯(36)은 조인트(26)의 길이를 따라 신장되어서, 조인트(26)와 레그(30)가 서로에 대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아암(42) 사이에는 두 개의 고정식 자석(48,50)이 장착되어 있다. 자석(50)은 자석(48) 뒤 및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렌즈(20)가 도 1에 파단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조인트(26)와 레그(30)는 자석(34)이 자석(48)에 부착된 채로 템플(18)의 축선을 따라 정렬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렌즈(20)의 거리 세그먼트가 착용자의 눈 바로 앞에 위치된다.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렌즈(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46)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 동안, 자석(34)은 자석(48)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자석(50)을 향해 이동된다. 이러한 하방 이동은 돌출부(32)가 레그(30)의 상부 스텝(52)과 접촉하게 될 때 정지된다. 동시에, 자석(34)은 자석(50)에 자석식으로 부착된다. 조인트(26)가 도 1에 파단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30)에 대해 굽혀질 때, 렌즈(20)는 전방으로 기울어져서, 렌즈(20)의 평면은 시야선에 대해 적절한 각도를 형성한다. 렌즈(20)가 정상 위치로부터 상승 또는 독서 위치로 이동될 때, 조인트(26)는 레그(30)를 향해 이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조인트(26)가 림(14)에 연결될 때의 지점과 레그(30)의 전방 단부 사이의 거리는 렌즈(2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보다 상승 위치에 있을 때가 더 짧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코에 대해 안경테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코로부터 안경테가 원하지 않게 이동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46)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상방 피봇 이동은 돌출부(32)가 레그(26)의 하부 스텝(54)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되며, 자석(34)은 자석(48)에 자석식으로 부착된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노우즈 패드(24)는 그의 길이의 중간부분에서 굽혀져 있으며, 상부 접촉면(24a)과 하부 접촉면(24b)을 갖추고 있다. 렌즈(20)가 도 6에 도시된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노우즈 패드(24)의 상부 접촉면(24a)은 사용자의 코와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노우즈 패드(24)는 렌즈(20)가 도 9에 도시된 상승 또는 독서 위치로 이동될 때 노우즈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각각의 노우즈 패드(24)는 노우즈 패드(24)의 하부 접촉면(24b)이 착용자의 코와 접촉하도록 참조 부호 56에서와 같이 피봇되어서, 림(14)의 기울어짐을 수용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노우즈 패드(60)(단지 하나만이 도시됨)는 렌즈(20)가 정상 위치와 독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굽혀질 수 있도록 적절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패드 아암에 대해 이동가능한 한쌍의 미끄럼가능한 노우즈 패드(64)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미끄럼가능한 노우즈 패드는 네기시에 특허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91,796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조하였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두 개의 자석이 추가로 각각의 레그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이 제 1실시예와 상이하다.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전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서는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두 아암(42) 사이에는 고정식 자석(66)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는 자석(48) 위에 위치되어 있다. 자석(66,68)의 극성은 자석(34)과 유사하다. 렌즈(2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자석(34)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48)에 부착된다.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렌즈(20)를 변화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46)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자석(34)을 자석(48)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34)이 자석(66)에 도달할 때, 자석(34)과 자석(66) 사이에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발력은 조인트(26)가 레그(30)를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34)은 자석(50)에 부착되어 렌즈(20)를 독서 위치내에 유지시킨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46)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피봇된다. 이후, 자석(34)은 자석(50)으로부터 분리되고, 자석(68)을 향해 이동된다. 자석(34)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68)에 도달할 때, 자석(34)과 자석(68) 사이에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발력은 조인트(26)를 레그(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자석(34)은 다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48)으로 자석식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렌즈(20)가 정상 위치와 독서 위치 사이로 이동될 때, 슬롯(36)과 피봇핀(46)은 조인트(26)가 레그(30)를 향하는 방향 및 레그(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호 작용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각각의 조인트(26)는 자석(72)이 부착되는 사각형 돌출부(70)를 갖추고 있다. 레그(30)는 깊은 리셋스(74)와 이러한 리셋스(74) 아래에 형성된 얕은 리셋스(76)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리셋스(74,76) 각각에는 자석(78,80)이 수용된다. 자석(72)과 자석(78,80)은 반대 극성을 가지며, 서로 자석식으로 끌어당긴다. 레그(30)는 또한 자석(74)에 인접한 상부 스텝 또는 스토퍼(stopper, 82)와, 자석(80)에 인접한 하부 스텝 또는 스토퍼(84)를 갖추고 있다. 피봇핀(88)은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시키기 위해 슬롯(86)을 통해 연장한다.
렌즈(도 1 참조)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사각형 돌출부(70)는 자석(72)이 자석(80)에 부착된 채로 레그(30)의 하부 스텝(84) 상에 위치된다. 렌즈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88)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자석(72)을 자석(8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자석(78)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사각형 돌출부(70)가 레그(30)의 상부 스텝(82)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자석(78)이 자석(80) 약간 뒤에 위치되기 때문에, 자석(72)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78)에 자석식으로 부착될 때 조인트(26)는 레그(3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는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경테(12)가 그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88)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자석(72)을 자석(78)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이후 자석(80)을 향해 이동시킨다. 자석(72)은 최종적으로 렌즈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자석(80)에 부착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렌즈를 착용자의 코에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조인트(26)는 신장형 돌출부(90)를 갖추고 있다. 자석(92)은 돌출부(90)의 자유 및 후방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조인트(26)는 또한 피봇핀(96)이 연장할 수 있는 신장형 슬롯(94)을 갖추고 있으며, 이에 의해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가 피봇 연결된다. 레그(30)는 하부 리셋스(98)와, 이러한 하부 리셋스(98)에 대해 경사진 채로 하부 리셋스 위에 형성된 상부 리셋스(100)를 포함하고 있다. 양 리셋스(98,100)는 각각 리셋스(98,100)의 바닥부에 수용된다. 자석(92)과 자석(102,104)는 반대 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자석식으로 끌어당긴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용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용과 유사하며, 여기서는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 23 및 도 24는 안경테 조립체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조인트(26)는 신장된 사각형 돌출부(106)를 갖추고 있다. 자석(108)은 돌출부(106)의 자유 단부에 참조 부호 110과 같이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조인트(26)는 또한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시키기 위해 피봇핀(114)이 연장하는 타원형 슬롯(112)을 갖추고 있다. 상부 자석(116)은 레그(30)의 두 아암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유사하게, 하부 자석(118)은 레그(30)의 두 아암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기본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의 작용과 유사하며, 따라서 간략하게 기술할 것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자석(108)은 자석(118)에 자석식으로 부착된다. 렌즈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114)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결과적으로, 자석(108)은 자석(118)으로부터 분리되며, 상부 자석(116)을 향해 이동된다. 조인트(26)의 피봇 이동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08)이 자석(116)에 부착될 때 정지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5 및 도 26은 안경테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조인트(26)는 그의 자유 단부에 둥근 단부를 갖춘 직사각형 돌출부(120)를 갖추고 있다. 자석(122)은 돌출부(120)의 둥근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조인트(26)는 또한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시키기 위해 피봇핀(126)이 연장하는 타원형 슬롯(124)을 갖추고 있다. 레그(30)는 상부 스텝(128)과, 상부 및 하부 에지부 부근에 각각 하부 스텝(130)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원형 디스크(132)는 상부 스텝(128)과 하부 스텝(13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132)는 상부 스텝(128) 및 하부 스텝(130)과 상호 작용하여, 각각 상대적으로 깊은 상부 리셋스(134)와 상대적으로 얕은 하부 리셋스(136)를 형성한다. 상부 리셋스(134) 및 하부 리셋스(136)는 유사한 둥근 단부를 갖추고 있다. 디스크(132)는 적절한 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디스크(13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자석(122)과 반대 극성을 갖는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사각형 돌출부(120)는 하부 스텝(130)상에 유지되는데, 이때 자석(122)은 하부 리셋스(136)내에 수용되고 디스크(132)의 하단부에 자석식으로 부착된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126)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자석(122)을 갖춘 돌출부(120)이 하부 리셋스(130) 밖으로 이동된다. 이후, 돌출부(120)는 디스크(132)의 중간 부분 위로 이동된 후, 상부 리셋스(134)내로 이동된다. 동시에, 조인트(26)는 이전의 실시예들과 같이 레그(30)를 향해 이동된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돌출부(120)의 둥근 단부는 각각의 상부 리셋스(134)의 바닥부내로 끼워맞춤되며, 자석(122)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32)의 상단부에 자석식으로 부착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7 및 도 28은 안경테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조인트(26)는 그의 자유 단부에 돌출부(136)를 갖추고 있다. 자석(138)이 돌출부(136)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조인트(26)는 또한 신장형 슬롯(140)을 포함하고 있다. 반원형 돌출부(142)는 돌출부(136)에 인접한 슬롯(140)의 일단부내로 연장하고 있다. 피봇핀(144)은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시키기 위해 슬롯(140)을 통해 연장한다. 피봇핀(144)은 반원형 단면의 축선방향 그루우브(146)를 갖추고 있다. 레그(30)는 하부 자석(148)과, 이러한 하부 자석(148)의 윗쪽의 약간 후방에 위치된 상부 자석(150)을 포함하고 있다. 레그(30)는 또한 하부 스텝(152)과, 하부 자석(148)과 상부 자석(150)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된 상부 스텝(154)를 포함하고 있다. 자석(150)은 자석(138)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는 반면, 자석(148)은 자석(138)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조인트(26)의 돌출부(136)는 레그(30)의 하부 스텝(152) 상에 유지된다. 이때, 자석(138)과 자석(148) 사이에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발력은 돌출부(142)가 그루우브(146)내에 수용된 채로 피봇핀(144)에 대항하여 조인트(26)를 가압하여서, 조인트(26)와 레그(30)는 템플(18)의 축선을 따라 정렬된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그루우브(146)로부터 돌출부(142)가 분리되도록 전방으로 약간 이동된다. 이후,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144)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조인트(26)는 자석(138)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50)에 자석식으로 부착될 때까지 레그(3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피봇핀(144)은 돌출부(136)로부터 이격되어 슬롯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반대 작용이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9 및 도 30은 안경테가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조인트(26)는 그의 자유 단부에 둥근 단부를 갖춘 신장형 돌출부(156)를 갖추고 있다. 조인트(26)는 또한 타원형 슬롯(158)을 포함하고 있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피봇핀(160)은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시키기 위해 슬롯(158)을 통해 연장한다. 전방 자석(162)은 슬롯(158)내에서 피봇핀(160) 뒤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후방 자석(164)은 슬롯(158)의 후방 단부에 고정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전방 자석(162)과 후방 자석(164)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따라서 서로 멀어지도록 힘을 받는다. 레그(30)는 상부 스텝(166)과, 그의 상부 및 하부 에지부 부근에 하부 스텝(168)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돌출부(170)는 상부 스텝(166)과 하부 스텝(168)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70)는 상부 및 하부 리셋스(172,174)를 각각 형성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스텝(166,168)과 상호 작용한다. 상부 리셋스(172)는 하부 리셋스(174) 보다 약간 더 깊다.
렌즈(20)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56)는 하부 스텝(168) 상에 유지된다. 자석들(162,164) 사이에는 반발력이 발생되어, 자석(162)을 피봇핀(160)에 대항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반발력은 돌출부(156)를 하부 리셋스(174)내에 유지시킨다. 렌즈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전방으로 약간 이동되어 돌출부(156)를 하부 리셋스(174)로부터 분리시킨다. 자석들(162,164) 사이에는 반발력이 발생되어 조인트(26)를 레그(30)를 향해 밀고, 이후 돌출부(156)는 돌출부(170) 위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돌출부(156)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리셋스(172)내로 이동된다. 다시, 반발력은 돌출부(156)를 상부 리셋스(172)내에 유지시킨다. 반대 작용은 렌즈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석(162,164) 대신에, 코일 스프링(176)이 슬롯(158)내로 삽입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연장가능한 벨로즈(178) 형태의 탄성체가 삽입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한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되어 있다. 연장가능한 벨로즈(178)는 가스 또는 유체로 충진될 수도 있다. 코일 스프링(176) 및 벨로즈(178)는 자석(162,164)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 31 내지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작용에 대해서는 여기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였고, 여기서는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핀(180)은 각각의 돌출부(156)의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치형 슬롯(182)이 핀(180)을 가이드하기 위해 레그(30)내에 형성되어 있다. 아치형 슬롯(182)의 상단부는 슬롯(182)의 하단부 약간 뒤에 위치되어 있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핀(180)은 아치형 슬롯(182)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76)은 피봇핀(160)을 통해 레그(30)에 대항하여 조인트(26)를 가압한다. 렌즈(20)를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16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핀(180)을 아치형 슬롯(182)의 상단부를 향해 미끄럼식으로 이동시킨다. 아치형 슬롯(182)의 상단부가 아치형 슬롯(182)의 하단부 뒤에 위치되기 때문에, 렌즈(20)가 독서 위치로 이동될 때 조인트(26)는 레그(30)를 향해 이동된다. 핀(180)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82)의 상단부로 이동될 때, 렌즈(20)는 독서 위치로 유지된다.
도 37 및 도 38은 안경테내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조인트(26)는 그의 자유 단부에 사각형판 또는 돌출부(184)를 갖추고 있다. 돌출부(184)는 적절한 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자석(도시되지 않음)은 돌출부(184)의 자유 단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조인트(26)는 일반적인 타원형 슬롯(186)과, 이러한 타원형 슬롯(186)과 연통하는 일반적인 사각형 슬롯(188)을 포함하고 있다. 피봇핀(190)은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시키기 위해 슬롯(186)을 통해 연장한다. 스프링(192)은 긴 레그(192a)와, 아치형 부분(192c)을 통해 긴 레그(192a)에 연결되어 있는 짧은 레그(192b)를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192)은 거꾸로된 J형상을 갖는다. 긴 레그(192a)의 자유 단부는 스프링(192)이 사각형 슬롯(188)내에 유지되도록 조인트(26)내로 삽입된다. 정상적으로, 짧은 레그(192b)는 피봇핀(190)과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레그(30)는 상부 스텝(194)과, 그의 하부 및 상부 에지부 부근에 각각 하부 스텝(196)을 갖추고 있다. 리셋스(198)는 레그(30)내에서 상부 스텝(194)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셋스(198)의 바닥부에는 자석(200)이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자석(200)은 돌출부(184)의 자성과 반대되는 자성을 갖는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84)는 레그(30)의 하부 스텝(196) 상에 유지된다. 이때, 스프링(192)은 피봇핀(190)을 가압한다. 결과적으로, 작용력이 조인트(26)에 가해져서, 돌출부(184)는 하부 스텝(196) 상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렌즈(20)를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각각의 피봇핀(19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돌출부(184)를 하부 스텝(196)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84)가 레그(30)의 상부 스텝(194)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돌출부(184)는 자석(200)에 자석식으로 부착된다. 스프링(192)의 짧은 레그(192b)는 피봇핀(190)과 떨어진채로 유지되는데, 이는 피봇 이동하는 동안 조인트(26)가 레그(30)를 향해 이동되기 때문이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9 및 도 40은 안경테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조인트(26)는 그의 자유 단부에 둥근 돌출부(202)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202)의 팁부에는 상부 아치형 리셋스(204) 및 하부 아치형 리셋스(206)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02)는 피봇핀(210)이 연장할 수 있는 수평한 슬롯(208)을 갖추고 있으며, 이에 의해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가 피봇 연결될 수 있다. 레그의 각각의 아암에는 수직하게 신장된 슬롯(212)이 형성되어 있다. 핀(214)은 타원형 슬롯(208) 윗쪽 위치에서 둥근 돌출부(202)를 통해 삽입되어서 둥근 돌출부에 고정된다. 핀(214)은 또한 레그(30)의 슬롯(212)을 통해 연장한다. 스프링(216)은 굽힘 단부(216a)와, 이러한 굽힘 단부(216a)와 마주하는 아치형 단부(216b)를 갖추고 있다. 스프링(216)의 굽힘 단부(216a)는 레그(30)내로 삽입되는 반면, 아치형 단부(216b)는 상부 및 하부 리셋스(204,206)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216)의 아치형 단부(216b)는 상부 리셋스(204)내로 결합된다. 피봇핀(210)은 슬롯(208)의 전방 단부내에 위치된다. 핀(214)은 조인트(26)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조인트(26)와 레그(30)가 직선상에서 연장하도록 한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26)는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피봇핀(21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스프링(126)의 아치형 단부(126b)를 상부 리셋스(204)로부터 분리시키는 대신에, 하부 리셋스(206)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피봇핀(210)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08)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시에, 조인트(26)는 안경테가 착용자의 코에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레그(30)를 향해 이동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1 및 도 42는 안경테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템플은 사각형 형태의 중공형 조인트(220)를 포함하고 있다. 핀(222)은 림(14)의 일측에 고정되고 조인트(220)의 전방 단부를 통해 연장하여서, 안경테와 조인트(220) 사이에 피봇 연결을 제공한다. 조인트의 후방 단부는 레그(226)의 전방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참조 부호 224에서 개방된다. 조인트(220)내에는, 신장형 링크(228)의 전방 단부가 핀(22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L형 링크(230)가 참조 부호 232과 같이 조인트(220)의 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230)는 링크(228)의 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방 단부(234)와, 레그(226)의 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후방 단부(236)를 갖추고 있다. 상부 아치형 스프링(238)과 하부 아치형 스프링(240)이 중공형 조인트(220)내에서 링크(228)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게 고정되어 있다.
렌즈(20)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림(14)은 조인트(22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링크(228)의 후방 단부는 하부 스프링(240)과 결합된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림(14)은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핀(22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링크(228)를 피봇 이동을 시킨다. 결과적으로, 링크(228)의 후방 단부는 상부 스프링(238)과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을 하는 동안, 조인트(220)는 레그(226)를 향해 이동되며, 이에 의해 레그(226)의 전방 단부는 조인트(220)의 내부로 보다 깊숙하게 이동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직 평면 조절 기구는 림(14) 부근에 위치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구는 선택적으로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18)의 길이의 중간 부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이러한 기구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18)의 굽힘부(28) 부근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템플(18)의 레그(30)와 굽힘부(28) 사이에 배열된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레그(30)는 둥근 단부(244)를 갖춘 일반적인 삼각형 돌출부(242)를 갖추고 있다. 돌출부(242)에는 원형의 틈새 구멍(246)이 형성되어 있다. 굽힘부(28)의 전방 단부는 수직한 하부 에지부(250)와, 이러한 수직한 하부 에지부(250)의 상단부로부터 상후방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상부 에지부(252)를 포함하고 있다. 레그(30)와 굽힘부(28) 사이에는 연결 부재(254)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 부재(254)는 일반적인 사각형판(256)을 갖추고 있다. 한쌍의 신장형 상부 및 하부 스페이서(258,260)는 사각형판(256)의 상부 및 하부 에지부에 각각 고정된다. 스페이서(258,260)는 판(256)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여서 판(256)의 길이의 중간 부분에서 종단된다. 굽힘부(28)의 전방 단부를 미끄럼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스페이서(258,26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핀(262)은 판(256)의 일측으로부터 레그(30)의 구멍(246)을 통해 연장하여서 레그(30)의 피봇 이동을 허용한다. 코일 스프링(264)은 핀(248)의 둘레와 결합되는 일단부와, 핀(262)의 둘레와 결합되는 타단부를 갖추고 있다. 귀걸개(earpiece)가 굽힘부(28)에 끼워맞춤된다. 덮개판(도시되지 않음)이 상부 및 하부 스페이서(258,260)의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렌즈(도 1 참조)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242)의 둥근 단부(244)는 굽힘부(28)의 수직 하부 에지부(250)와 접촉한채로 유지되어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264)은 레그(30)와 굽힘부(28)를 유지하도록 작용하여서, 레그(30), 굽힘부(28), 및 연결 부재(254)가 템플의 축선을 따라 정렬되도록 한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레그(30)는 피봇핀(26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돌출부(242)의 둥근 단부(244)를 굽힘부(28)의 하부 에지부(25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둥근 단부(244)는 굽힘부(28)의 경사진 상부 에지부(252)를 따라 이동되며, 최종적으로 상부 에지부(252)와 상부 스페이서(258) 사이에 유지된다. 이러한 이동을 하는 동안, 코일 스프링(264)은 레그(30)와 연결 부재(254)가 굽힘부(28)를 향해 이동되도록 수축된다. 이는 착용자의 코에 대해 안경테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7 및 도 48은 템플(18)의 레그(30)와 굽힘부(28) 사이에 배열된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이 한세트의 자석으로 대체된 점이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45 및 도 46에서 사용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서는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각각의 레그(30)는 사다리꼴 단부(272)를 갖춘 일반적 삼각형 돌출부(270)를 갖추고 있다. 자석(274)은 돌출부(270)의 사다리꼴 단부(272)에 고정되어 있다. 굽힘부(28)의 전방 단부는 수직한 하부 에지부(276)와, 이러한 하부 에지부(276)의 상단부로부터 상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후방으로 경사진 중간 에지부(278)와, 그리고 중간 에지부(278)의 상단부로부터 상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전방으로 경사진 상부 에지부(280)를 갖추고 있다. 굽힘부(28)의 하부 에지부(276)에는 하부 자석(282)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유사하게, 상부 자석(284)은 굽힘부(28)의 상부 에지부(28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굽힘부(28)의 전방 단부에는 수평하게 연장하는 가이드 슬롯(286)이 형성되어 있다. 핀(288)은 연결 부재(254)의 판(256)의 일측으로부터 가이드 슬롯(286)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덮개판(도시되지 않음)은 상부 및 하부 스페이서(258,26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렌즈(도 1 참조)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270)의 사다리꼴 단부(272)는 자석(274)이 자석(282)에 자석식으로 부착된 상태로 하부 스페이서(260)에 유지되어 있다. 이때, 핀(288)은 가이드 슬롯(286)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레그(30)는 핀(26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돌출부(270)의 사다리꼴 단부(272)가 하부 스페이서(260)로부터 분리시켜서 굽힘부(28)의 상부 에지부(280)를 향해 이동된다. 돌출부(270)의 사다리꼴 단부(272)는 굽힘부(28)의 상부 에지부(280)에 도달할 때, 자석(274)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자석(284)에 자석식으로 끌어당긴다. 이러한 이동을 하는 동안, 연결 부재(254) 뿐만 아니라 레그(30)가 굽힘부(28)를 향해 이동되는 반면, 핀(288)은 가이드 슬롯(286)에 의해 가이드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9 내지 도 51은 안경테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조인트(26)는 림(14)에 고정된 전방 부분(290)과, 이러한 전방 부분(290)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후방 부분(292)를 갖추고 있다. 조인트(26)의 후방 부분(292)은 힌지(294, 단지 하나만이 도시됨)에 의해 전방 부분(29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서, 템플이 렌즈(20)의 코측을 가로질러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자석(296)은 조인트(26)의 하부측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그(30)는 조인트(26)의 후방 부분(292)을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 그루우브(298)를 갖추고 있다. 조인트(26)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멈춤쇠 또는 스토퍼(300)는 레그(30)의 전방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그(30)에는 그루우브(298)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종방향 그루우브(302)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루우브(302)에는 일반적인 타원형 링크(304)가 수용되어 있다. 피봇 링크(304)는 그의 전방 단부에 레그(30)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슬롯(306)을 갖추고 있다. 횡방향 핀(308)은 조인트(26)의 후방 부분(202)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있으며, 슬롯(306)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슬롯(306)과 핀(308)은 조인트(26)와 링크(304) 사이에서 피봇 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작용한다. 레그(30)는 링크(304)와 레그(30) 사이를 피봇 연결시키기 위해 링크(304)의 후방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횡방향 핀(310)을 포함하고 있다. 두 개의 원형 자석(312)은 링크(304)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형 자석(314)은 레그(30)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자석(296)에 자석식으로 부착되도록 위치된 자석(316)은 자석(314)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피봇핀(304)의 각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나사(318)가 레그(30)내로 연장되어 있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조인트(26), 피봇 링크(304), 및 레그(30)는 템플의 축선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이때, 자석(296)은 자석(316)으로부터 분리되는 반면, 자석(312)은 자석(314)에 부착된다. 핀(308)은 슬롯(306)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림(14)과 조인트(26)는 핀(308)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04)를 핀(31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피봇시킨다. 이때, 자석(296)은 자석(316)에 부착되는 반면, 자석(312)은 자석(31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이동을 하는 동안,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인트(26)는 착용자의 코에 대해 안경테를 견고하기 유지시키기 위해 레그(30)를 향해 이동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2 내지 도 54는 안경테(12)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조인트(26)의 구성 요소는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유사하며,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였다. 레그(30)는 약간의 아치형 피봇 링크(324)를 통해 연장하고 있는 횡방향 핀(320)을 갖추고 있다. 피봇핀(324)은 그의 전방 단부에 핀(308)이 연장할 수 있는 슬롯(326)을 갖추고 있다. 핀(308)은 조인트(26)의 후방 부분(292)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된다. 비틀림 스프링(326)은 링크(324)의 전방 단부를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핀(320) 상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326)은 피봇 링크(324)에 연결된 전방 단부(326a)와 레그(30)에 연결된 후방 단부(326b)를 갖추고 있다. 리테이너 또는 슬라이드(328)가 레그(30)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이동된다. 조절 나사(330)는 링크(324)의 각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링크(324)와 접촉한 채로 유지되어 있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328)는 피봇 링크(324)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레그(30)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렌즈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드(328)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후방 이동은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링크(324)를 핀(32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피봇시킨다. 이때, 림(14)과 조인트(26)는 레그(30)를 향해 이동되는 반면, 조인트(26)는 핀(308)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렌즈를 정상 위치로 회복시키기 위해, 슬라이드(328)는 피봇 링크(324)가 피봇핀(32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되도록 전진한다. 결과적으로, 조인트(26)와 림(14)은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 방향으로 복귀된다.
도 55 및 도 56은 안경테(12)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각각의 조인트(26)는 림(14)에 연결된 일단부와, 경사진 돌출부(332)와 일체로 형성된 타단부를 갖추고 있다. 돌출부(332)의 자유 단부는 핀(336)을 통해 피봇 링크(334)의 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봇 링크(334)는 돌출부(332)와 거울상(mirror image)이다. 피봇 링크(334)의 후방 단부는 핀(338)을 통해 레그의 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340)은 핀(336) 상에 중심맞춤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돌출부(332)에 연결된 전방 단부(340a)와 피봇 링크(334)에 연결된 후방 단부(340b)를 갖추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340)은 돌출부(332)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돌출부(332)의 둥근 단부 상에는 스텝을 형성하기 위해 멈춤쇠(342)가 형성되어 있다. 대응하는 핀(344)은 피봇 링크(33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핀(344)은 돌출부(332)의 상방 피봇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멈춤쇠(342)와 결합된다. 다른 비틀림 스프링(346)은 핀(338) 상에 중심맞춤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피봇 링크(334)에 연결된 전방 단부(346a)와 레그(30)에 연결된 후방 단부(346b)를 갖추고 있다. 레그(30)의 전방 단부에는 한쌍의 멈춤쇠(348)가 형성되어 있다. 핀(350)은 피봇 링크(33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하고 있으며, 피봇 링크(334)의 각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멈춤쇠(348)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캠(352)은 핀(336)에 연결되어 있다. 핀(354)은 핀(336)과 마주하는 캠(352)의 일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핀(336)상에는 와이어(356)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356)는 돌출부(332)에 부착되는 전방 단부(356a)와 레그(30)에 부착되는 후방 단부(356b)를 갖추고 있다. 자석(358)과 자석(360)은 돌출부(332)와 피봇 링크(334)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피봇 링크(334)는 비틀림 스프링(346)의 영향하에서 약간 전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돌출부(332)는 비틀림 스프링(340)의 영향하에서 피봇 링크(334)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림(14)과 조인트(26)는 스프링(340,346)의 작용에 대항하여 핀(336)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되는데, 이러한 피봇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358)이 자석(360)에 부착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캠(352)은 돌출부(332)에 대해 상방으로 회전되어서 와이어(356)를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는 착용자의 귀를 중심으로 템플을 약간 상방으로 피봇시킨다. 렌즈(20)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조인트(26)는 레그(30)에 대해 굽혀져서 렌즈가 시야선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경사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돌출부(332)가 피봇 링크(334)를 향해 이동될 때, 조인트(26)와 림(14)은 안경테(12)가 착용자의 코에 대항하여 유지되도록 레그(30)를 향해 이동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7 및 도 58은 안경테(12)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비틀림 스프링(346)과 와이어(356)가 한세트의 기어로 대체된다면 점이 도 55 및 도 56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55 및 도 56에서 사용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서는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기어(364)가 핀(336) 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 1중간 기어(366)는 피봇 링크(334)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기어(364)와 맞물려 있다. 유사하게, 제 2중간 기어(368)는 피봇 링크(334)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기어(366)와 맞물려 있다. 제 3중간 기어(370)도 피봇 링크(334)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기어(368)과 맞물려 있다. 하부 기어(372)는 핀(338)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기어(370)와 맞물려 있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 있을 때, 비틀림 스프링(340)은 조인트(26)와 레그(30)가 템플의 종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돌출부(332)를 가압한다. 이때, 자석(358)이 자석(360)으로부터 분리된다. 렌즈(20)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림(14)과 조인트(26)는 비틀림 스프링(340)의 작용에 대항하여 핀(336)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피봇되는데, 이러한 피봇 이동은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358)이 자석(360)에 부착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이동을 하는 동안, 상부 기어(36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은 기어(366,368,370)를 통해 하부 기어(372)로 전달된다. 하부 기어(372)는 상부 기어(36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돌출부(332)가 링크 피봇(334)을 향해 이동될 때, 조인트(26)는 레그(30)에 대해 굽혀진다. 이는 렌즈가 시야선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한다. 반대 작용은 렌즈(2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9 및 도 60은 안경테(12)내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380)는 림(14)에 고정되어서 림(14)을 따라 연장하고 있다. 레그(30)는 수직 아암(382)과 수평 아암(384)을 갖추고 있다. 상부 링크(386)는 핀(388)을 통해 수직 아암(38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핀(390)을 통해 조인트(380)의 상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추고 있다. 하부 링크(392)는 핀(394)을 통해 두 개의 아암(382,384) 사이에서 레그(3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핀(396)을 통해 조인트(380)의 하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추고 있다. 하부 링크(392)는 상부 링크(386)보다 약간 짧다. 비틀림 스프링(398)은 핀(394)에 중심맞춤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레그(30)의 수직 아암(382)에 참조 부호 400에서와 같이 연결된 일단부와 하부 링크(392)에 참조 부호 402에서와 같이 연결된 타단부를 갖추고 있다. 스프링(398)은 하부 링크(392)를 통해 조인트(380)와 림(40)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수평 아암(384)은 그의 자유 단부에 반구형 리셋스(404)가 형성되어 있다. 림(14)은 대응하는 반구형 돌출부(406)를 갖추고 있다. 스토퍼(408)는 레그(30)의 수평 아암(384)에 형성되어 있다.
렌즈(20)(도 1 참조)가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상부 링크(386)와 하부 링크(392)는 비틀림 스프링(398)의 영향하에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는데, 이에 의해 림(14)은 레그(30)의 종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하부 링크(392)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하부 링크(392)는 스토퍼(408)과 접촉하고 있다. 렌즈를 정상 위치로부터 독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380)와 함께 림(14)은 링크(386,392)를 통해 하방으로 피봇되거나, 전방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이동은 링크(386,392)를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조인트(380)와 림(14)은 레그(30)를 향해 이동된다. 렌즈가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 위치에 유지될 때, 돌출부(406)는 리셋스(404)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화 및 개조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식 자석(116,118)은 조인트(26)애 고정될 수도 있는 반면, 레그에는 이동가능한 자석(108)이 제공된다.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직 평면 조절 기구는 레그(30)와 굽힘부(28)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 기구는 선택적으로 조인트(26)와 레그(30) 사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평면 조절 기구는 안경테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렌즈의 둘 이상의 촛점 영역을 가장 편안하고 정확한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안경 렌즈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착용자의 코에 대해 안경테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한쌍의 대응하는 이중촛점 렌즈가 장착되는 한쌍의 림을 갖춘 안경테용 수직 평면 조절 기구로서,
    상기 수직 평면 조절 기구는 한쌍의 템플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상기 템플은 대응하는 상기 한쌍의 림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춘 제 1부분과,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타단부에 연결된 일단부 및 착용자의 귀 뒤에 유지되기에 적합한 타단부를 갖춘 제 2부분과, 그리고 정상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다중촛점 렌즈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평면에서 상기 제 1부분과 제 2부분 사이에서 피봇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봇 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정상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피봇 수단은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림에 연결되는 제 1포인트와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 2포인트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하부 고정식 자석 및 상부 고정식 자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에 유지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이동가능한 자석은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하부 자석에 자석식으로 부착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가능한 자석은 상기 상부 자석에 자석식으로 부착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신장형 슬롯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와 상기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신장형 슬롯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핀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그의 상기 타단부에 돌출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그의 상기 일단부에 상부 및 하부 리셋스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신장형 슬롯 내에 위치되는 고정식 자석과, 상기 신장형 슬롯내에서 상기 고정식 자석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고정식 자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식 자석 및 상기 이동가능한 자석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하부 리셋스내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가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리셋스내로 이동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신장형 슬롯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와 상기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신장형 슬롯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핀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그의 상기 타단부에 돌출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그의 상기 일단부에 상부 및 하부 리셋스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상부 리셋스는 상기 하부 리셋스의 깊이 보다 큰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핀과 상기 신장형 슬롯의 일단부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는 상기 하부 리셋스내에 상기 돌출부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압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는 상기 제 1부분을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연장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가 벨로즈를 포함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핀과,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핀과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핀 사이로 연장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 1부분을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춘 피봇 링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피봇 링크의 상기 타단부에 연결되는 후방으로 경사진 돌출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자석을 갖추고 있고, 상기 피봇 링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자석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대응하는 자석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피봇 링크와 상기 돌출부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석들의 끌어당김에 의해 상기 피봇 링크와 접촉하여 이동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링크 및 상기 상부 링크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하부 링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림에 고정되어서 상기 림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제 1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 1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제 1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 2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렌즈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는 상기 제 1부분을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경사지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10. 다중촛점 렌즈용 안경테로서,
    상기 각각의 다중촛점 렌즈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한쌍의 림과,
    상기 한쌍의 림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의 템플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템플은 대응하는 상기 한쌍의 림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춘 제 1부분과,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타단부에 연결되는 일단부 및 착용자의 귀 뒤에 유지되기에 적합한 타단부를 갖춘 제 2부분과, 그리고 정상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다중촛점 렌즈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평면에서 상기 제 1부분과 제 2부분 사이에서 피봇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봇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정상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피봇 수 단은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림에 연결되는 제 1포인트와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 2포인트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안경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이동가능한 자석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하부 고정식 자석과 상부 고정식 자석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이동가능한 자석은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하부 자석에 자석식으로 부착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가능한 자석은 상기 상부 자석에 자석식으로 부착되는 안경테.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신장형 슬롯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와 상기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신장형 슬롯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핀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그의 타단부에 돌출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그의 일단부에 상부 및 하부 리셋스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신장형 슬롯 내에 위치되는 고정식 자석과, 상기 신장형 슬롯내에서 상기 고정식 자석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고정식 자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식 자석 및 상기 이동가능한 자석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하부 리셋스내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가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리셋스내로 이동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되는 안경테.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신장형 슬롯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와 상기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신장형 슬롯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핀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의 그의 상기 타단부에 돌출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일단부에 상부 및 하부 리셋스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상부 리셋스는 상기 하부 리셋스의 깊이 보다 큰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핀과 상기 신장형 슬롯의 일단부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는 상기 하부 리셋스내에 상기 돌출부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압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는 상기 제 1부분을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연장되는 안경테.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안경테.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능한 요소가 벨로즈를 포함하는 안경테.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부분은 핀과, 상기 제 1부분의 상기 핀과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핀 사이로 연장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 1부분을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안경테.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춘 피봇 링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이 상기 피봇 링크의 상기 타단부에 연결되는 후방으로 경사진 돌출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자석을 갖추고 있고, 상기 피봇 링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자석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대응하는 자석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피봇 링크와 상기 돌출부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석들의 서로 끌어당김에 의해 상기 피봇 링크와 접촉하여 이동되는 수직 평면 조절 기구.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부 링크 및 상기 상부 링크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하부 링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림에 고정되어서 상기 림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제 1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 1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제 1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 2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정상 위치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렌즈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는 상기 제 1부분을 상기 제 2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경사져 있는 안경테.
KR1019990026811A 1998-07-06 1999-07-05 다중촛점렌즈를갖춘안경테용일체형수직평면조절기구 KR200000114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25098 1998-07-06
JP22509898 1998-07-06
JP1998-285823 1998-09-02
JP28582398 1998-09-02
JP37535798A JP4097824B2 (ja) 1998-07-06 1998-11-26 多焦点用眼鏡枠
JP1998-375357 1998-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78A true KR20000011478A (ko) 2000-02-25

Family

ID=2733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811A KR20000011478A (ko) 1998-07-06 1999-07-05 다중촛점렌즈를갖춘안경테용일체형수직평면조절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971255A3 (ko)
JP (1) JP4097824B2 (ko)
KR (1) KR20000011478A (ko)
CN (1) CN1243966A (ko)
AU (1) AU744293B2 (ko)
BR (1) BR9902549A (ko)
CA (1) CA2276938A1 (ko)
SG (1) SG75967A1 (ko)
TW (1) TW3879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1591A3 (en) * 2011-05-05 2013-01-03 Aria Enterprises, Inc. Adjustable eyewe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693A (ja) * 2000-06-21 2002-08-09 Yochi Kaihatsu Kk 眼 鏡
JP4626019B2 (ja) * 2000-07-05 2011-02-02 株式会社ニコン 眼鏡枠
JP2006317817A (ja) * 2005-05-16 2006-11-24 Nakanishi Opt:Kk 多焦点用眼鏡フレーム
US8292427B2 (en) 2005-12-13 2012-10-23 Phyzics Properties Inc. Screwless magnetic eyewear
WO2007070829A1 (en) 2005-12-13 2007-06-21 Eyenovate, Inc. Screwless magnetic eyewear
JP5408647B2 (ja) * 2008-12-12 2014-02-05 スカラ株式会社 眼鏡、及び眼鏡の上下位置調整器具
FR2946763B1 (fr) * 2009-06-11 2011-11-18 Novembre Lunettes a branches d'aspect variable
JP5751920B2 (ja) * 2011-04-28 2015-07-22 素彰 宮崎 眼鏡
CH707939B1 (fr) * 2013-04-23 2016-06-15 Lvmh Swiss Mft Sa Lunettes comprenant deux branches pliables.
JP2015034958A (ja) * 2013-08-08 2015-02-19 豊 橋立 眼鏡フレーム・前傾角付テンプル開閉一体型鎧
JP2015069044A (ja) * 2013-09-30 2015-04-13 ▲呉▼ 志民WU,Chih Ming 眼鏡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眼鏡
CN105988229A (zh) * 2015-02-12 2016-10-05 杨烨晨 微调眼镜
US11119336B2 (en) 2016-09-07 2021-09-14 Norio Seki Bifocal glasses-shaped frame
EP3521904B1 (en) 2016-10-03 2024-05-22 Norio Seki Frame for bifocal eyeglasses
TWI600942B (zh) * 2016-12-21 2017-10-01 Gold Rice Optical Co Ltd According to the lens focus lens angle adjustment glasses
CN106959526B (zh) * 2017-04-24 2019-11-15 陕西威尔视光学有限公司 基于镜片焦点调整镜片角度的眼镜
TWI666485B (zh) * 2017-11-20 2019-07-21 金米眼鏡有限公司 具有不同放大倍率的眼部配戴裝置
US10663758B2 (en) * 2018-02-09 2020-05-26 Bunny Eyez, LLC Spectacles with dual salon and traditional configurations
US20220075207A1 (en) * 2020-09-08 2022-03-10 Solomon White Magnetic Coupling for Eyewea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758A (en) * 1978-11-02 1981-07-28 Tom R. Flader Vertically adjustable bifocal eye glasses
WO1982003696A1 (fr) * 1981-04-17 1982-10-28 Tohru Negishi Monture de lunette pour des lunettes multi-focales
US4506961A (en) * 1983-09-12 1985-03-26 Palmieri Anthony L Eyeglass positioning apparatus
AU7045696A (en) * 1995-11-02 1997-05-08 Tohru Negishi Ophthalmic mounting for bifocal len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1591A3 (en) * 2011-05-05 2013-01-03 Aria Enterprises, Inc. Adjustable eyewear
US9239470B2 (en) 2011-05-05 2016-01-19 Ziba Labs Llc Adjustable eye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1255A3 (en) 2000-05-17
JP4097824B2 (ja) 2008-06-11
SG75967A1 (en) 2000-10-24
AU3797299A (en) 2000-01-20
JP2000147437A (ja) 2000-05-26
AU744293B2 (en) 2002-02-21
BR9902549A (pt) 2000-01-18
EP0971255A2 (en) 2000-01-12
TW387994B (en) 2000-04-21
CA2276938A1 (en) 2000-01-06
CN1243966A (zh) 200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1478A (ko) 다중촛점렌즈를갖춘안경테용일체형수직평면조절기구
US6520636B2 (en) Nosepiece assembly for an adjustable eyeglass frame
KR870000225B1 (ko) 다초점 렌즈의 안경테
US9075247B2 (en) Eyeglasses and means for their adjustment
EP0116093A1 (en) Multiple focus spectacles frame
AU2004208741B2 (en) Nose pad assembly for an eyeglass frame
US11169395B2 (en) Frame for bifocal eyeglasses
WO2017110858A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0504260B1 (ko) 이중초점 렌즈용 안경테 및 이를 위한 노우즈 패드
US6183080B1 (en) Integral vertical plane adjusting mechanism for an eyeglass frame with multifocal lenses
JP2018040922A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330090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2256265B1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US6045223A (en) Nose pad device for glasses
US4363537A (en) Adjustable spectacles
KR100293308B1 (ko) 절첩가능한케이스수납형안경
JPS6138925A (ja) レンズ枠を動かせる累進多焦点レンズ用眼鏡枠
KR20000019320U (ko) 안경용 힌지어셈블리
KR20030018958A (ko)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CN116616692A (zh) 一种试戴镜架及适配方法
KR200224586Y1 (ko) 탄성 회동하는 안경 코 받침대
JPH09211395A (ja) 眼鏡フレーム
JPH09304705A (ja) 双眼鏡及びその目当て
JPH10232372A (ja) メガネフレームおよび眼鏡
JPH075122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パッド上下位置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