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958A -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 Google Patents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958A
KR20030018958A KR1020010053579A KR20010053579A KR20030018958A KR 20030018958 A KR20030018958 A KR 20030018958A KR 1020010053579 A KR1020010053579 A KR 1020010053579A KR 20010053579 A KR20010053579 A KR 20010053579A KR 20030018958 A KR20030018958 A KR 20030018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lens
main frame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췐 이 린
Original Assignee
췐 이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췐 이 린 filed Critical 췐 이 린
Priority to KR102001005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958A/ko
Priority to GB0220221A priority patent/GB2379282A/en
Priority to DE10239923A priority patent/DE10239923A1/de
Priority to FR0210842A priority patent/FR2829243B1/fr
Publication of KR2003001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확장되어지는 슬라이드안으로 슬라이드 슬롯이 각각 형성되어지는 두 측면 레그 시트를 구비하는 주 프레임을 포함하고,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안경을 제공하며, 슬라이드는 렌즈 프레임과 결합되고, 주 프레임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렌즈 프레임을 구동시키기 위해 주 프레임의 슬라이드 슬롯안에 배치되어지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읽거나 쓰기 위해 머리를 숙일때 조정후에 렌즈의 중심이 시각 라인상에 위치되도록 렌즈의 중심 변형을 보상하여 사용자가 양호한 시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GLASSES CAPABLE OF ACCOMMODATING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사용자가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보는 동안의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한 쌍의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사용자의 굴절 오차의 보정을 위해서 사용된다. 정확한 안경은 안경의 정확한 시력, 시각축을 갖는 안경의 중심뿐만 아니라 시각축을 갖는 안경의 정확한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쌍의 종래의 안경을 끼고 먼 곳을 볼때 가시선 "a"과 렌즈(100)는 90도의 사잇각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읽기 또는 쓰기를 위해서 머리를구부려서 가까운 곳을 보고자 할 때 그 사용자의 눈은 수렴한다. 시각선 "a"는 렌즈(100)의 중심으로 굴절되며,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Θ의 오차값을 형성한다. 시각선 "a"과 렌즈의 중심간의 굴절 거리는 "l"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까운 곳을 볼 때 이 사용자는 중심의 굴절 오차 및 각도 오차로 인해 쉽게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본 발명자가 아는 한도 내에서 고전적인 안경은 사용자가 먼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보는 동안의 수렴 각도와 중심 이동을 보상하는 것을 결코 고려하지 못했다. 본 발명에서는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보는 동안의 안경의 오차에 의해 유발되는 문제를 해결했다.
몇몇의 미국 특허에서는 조절가능한 안경이 언급되어진다. 미국특허 제 5485227 호에서는 광 전송이 조절가능한 안경이 개시되어진다. 구트브로드등외 미국특허 제 5133595 호에서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안경 다리가 개시되어진다. 앵거의 미국특허 제 308978 호에서는 안경다리의 길이와 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가능한 안경이 개시되어진다. 라이더의 미국특허 제 5987640 호에서는 바이저(visor)와 바이저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기 위해 바이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눈차폐 조립체가 개시되어진다. 상기 언급된 모든 특허는 본 발명과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한쌍의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 프레임은 슬라이드 슬롯과 함께 제공되어진다. 렌즈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슬롯안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읽거나 쓰기위해 머리를 숙일때 조정후에 렌즈의 중심이 시각 라인상에 위치되도록 렌즈의 중심 변형을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보상하여, 사용자가 투명하고 편안한 시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한쌍의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 프레임은 슬라이드 채널과 함께 형성되어지는 하우징과 함께 각각 제공되는 두개의 측면을 구비한 브리지를 포함한다. 렌즈 프레임은 하우징의 측면 채널안으로 확장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바의 이동은 조정후에 렌즈의 중심이 사용자의 시각 라인상에 위치되도록 렌즈의 중심 변형을 보상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자동으로 조절되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되돌아오는 탄성 플레이트는 렌즈 프레임 및 주 프레임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되돌아오는 탄성 플레이트는 사용자가 좋은 수평 시야 및 먼거리 시야를 갖기 위해 자동으로 원래 위치에 되돌아오는 렌즈 프레임에 강제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서, 슬라이드가 확장되는 슬라이드 슬롯으로 형성된 개별 양쪽 다리 의자를 갖는 주 프레임, 렌즈 프레임과 연결된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는 렌즈 프레임을 주 프레임에 비례하여 움직이게 하는 주 프레임의 슬라이드 슬롯에 옮기고, 그것으로 사용자가 읽기 또는 쓰기 위해 머리를 숙일 때 보정 후 렌즈의 중앙이 아직 시선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선명한 시야를 갖게 하는 렌즈의 중앙의 편향을 보상을 포함하는 자동 조절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은 동반하는 도면에 충분한 상세 설명을 주의 깊게 읽은 후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
도 3은 먼 거리에서 본 시각 축의 개략도;
도 4는 가까운 거리에서 본 시각 축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첫번째 구체예에 따른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부분적인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개략 평면도;
도 8은 도 5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두번째 구체예에 따른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단면도;
도 10은 상기 사용자가 먼 시야를 갖는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개략 평면도;
도 11은 상기 사용자가 먼 시야를 갖는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또 다른 평면도;
도 12는 상기 사용자가 가까운 시야를 갖는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개략 평면도;
도 13은 상기 사용자가 가까운 시야를 갖는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또 다른개략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세번째 구체예에 따른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자동 조절되는 안경의 부분적인 분해 확대 사시도;
도 17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안경의 부분 단면도;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안경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8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첫번째 구체예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안경은 슬라이드 슬롯(111)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측면 레그 시트(11)를 갖는 주 프레임(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슬롯(111)은 자유 이동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도록 상부 정지부(112) 및 하부 정지부(113)로 각각 형성된 두개의 단부를 갖는다. 슬라이드(2)는 슬라이드 슬롯(111)으로 확장된 두개의 러그(21)로 형성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슬라이드(2)는 개방된 측면을 갖는 위치지정 핀이고, 약간 구부러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2)는 십자형 구멍(23)으로 형성된 내부 가장자리를 갖는 U형 슬릿(22)으로 형성된다. 노브(3)는 십자형 구멍(23)으로 확장될 수 있는 돌출 블럭(31)으로 형성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노브(3)는 초기에 렌즈 프레임(4)의 구멍(41)을 통해서 확장되고, 슬라이드(2)의 십자형 구멍(23)으로 확장된다.
도 8에 있어서, 노브(3)의 돌출 블럭(31)이 U-형 슬릿(22)의 수평위치에 놓이고, 슬라이드(2)의 두개의 러그(21)가 외부로 확장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드(2)는 가상선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정지부(112)와 하부 정지부(113) 사이의 주 프레임(1)의 슬라이드 슬롯(111)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와같이, 렌즈 프레임(4)이 도 7에서 개시된 위치로부터 도 5에서 개시되어 있는 위치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프레임(4)상의 슬라이드(2)의 두개의 러그(21)가 주 프레임(1)의 하부 정지부(113)의 위치로 미끄러질때, 노브(3)가회전함으로써, 노브(3)의 돌출블록(31)이 슬라이드(2)의 십자-형 구멍(23)안으로 수직으로 잠겨져서, 렌즈 프레임(4)상의 슬라이드(2)의 두개의 러그(21)가 잠겨 이동없이 주 프레임(1)의 하부 정지부(113)내에 고정된다.
슬라이드(2)는 U자-형 슬릿(22)옆에 위치되어 있는 핀 구멍(24)에 의해 형성된다. 렌즈 프레임(4)은 관통구멍(41)옆에 위치되어 있는 구멍(42)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핀(5)은 렌즈 프레임(4)의 구멍(42)을 통해 확장되며, 슬라이드(2)의 핀 구멍(24)내에 고정되어서, 슬라이드(2)가 렌즈 프레임(4)과 완전히 조합된다. 선택적으로는, 슬라이드(2)는 나사에 의해 렌즈 프레임(4)과 완전히 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2)를 변위시킴으로써 주 프레임(1)상에서 변위시키기 위해 렌즈 프레임(4)을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렌즈포함 렌즈 프레임(4)은 노브(3)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정되며, 그럼으로써 렌즈 중앙의 편향도(각 편향)을 보상하여 사용자가 읽거나 쓰기 위해 그의 머리를 숙일때 사용자가 양호한 근시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 프레임(1)의 브릿지(12)는 주 프레임(1)상의 렌즈 프레임(4)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6)이 각각 구비된 두 면을 가진다. 하우징(6)은 개방면을 구비한 슬라이드 채널(61)에 의해 형성된다. 렌즈 프레임(4)은 하우징(6)의 슬라이드 채널(61)로 확장되는 슬라이드 바(43)에 의해 형성된 측면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바(43)는 슬라이드 바(43)가 하우징(6)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막는 내부 슬라이드 다리(431)에 의해 형성된 상단부를 구비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라이드 다리(431)는 렌즈 프레임(4)을 변위시키기 전에하우징(6)의 슬라이드 채널(61)의 개방면위에 걸려있다. 렌즈 프레임(4)이 전방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슬라이드 바(43)는 하우징(6)의 슬라이드 채널(61)로 확장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복귀성 탄성판(8)이 렌즈 프레임(4)과 주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복귀성 탄상판(8)은 상기 주 프레임의 상부 에지에 고정된 제 1 말단과, 상기 렌즈 프레임(4)의 상부 말단에서 그 안에서 미끄러지도록 한정된 연장 슬롯(44)으로 연장된 제 2 말단을 갖는다. 상기 복귀성 탄상판(8)으로 인해 상기 렌즈 프레임(4)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렌즈 프레임(4)이 주 프레임(1)에 거의 인접해 있는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되어, 사용자는 좋은 수평 시야 또는 원거리 시야를 가질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안경을 착용하여 원거리에 시선을 두게될 때, 렌즈(100)는 렌즈(100)가 하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벡터 성분이 없는 수직 하향 중력(W)을 받게 되어, 따라서 내부 슬라이드 풋(foot)(431)이 하우징(6)의 외측 위치(S)에 위치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경을 사용자가 밀어 가까운 것을 보고자 할 때, 렌즈(100)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렌즈(100)에 힘을 가하는 성분 (F)으로 수직 하향의 중력(W)을 받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드 풋(431)은 주 프레임(1)의 슬라이드 슬롯(111)내의 슬라이드(2)의 안내에 의해 하우징(6)의 외측 위치(S)로부터 하우징(6)의 내측 위치(S')로 이동될 수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서, 주프레임(1)의 두 측면 다리 시트(11)의 각각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정지부(121)으로 형성된 내부와 하부 정지부(122)으로 형성된 외부를 갖는 오목부(recess)로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드(7)는 고정되고 렌즈(10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7)는 또한 개구부를 갖는 위치지정 핀이 된다. 상기 슬라이드(7)는 주 프레임(1)의 오목부(12)의 상부 정지부(121) 및 하부 정지부(122)로 연장되고 로크된 2개 러그(lug)로 형성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그(71)는 상기 상부 정지부(121)에 로크되어, 사용자가 더 넓은 시야를 갖도록 본 발명의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그(71)는 하부 정지부(122)에 로크되도록 조정될 수 있어서, 교정후 렌즈의 중심이 여전히 시야선에 위치되고 사용자가 선명한 시계를 가질 수 있도록 읽기 또는 쓰기를 위해 그 머리를 숙일 때 렌즈 중심의 편향(각도 편향)을 보상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주 프레임(1)에는 움직임 제한 기구로서 기능하도록 렌즈(100)에 걸린 후크(13)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상기한 적절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 및 변형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실제 범주내에 포함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 예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한쌍의 안경을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슬라이드가 연장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슬롯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측면 렉 시트를 갖는 주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렌즈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는 주 프레임에 대한 이동을 위해 렌즈 프레임을 구동하도록 주 프레임의 슬라이드 슬롯내에 변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글을 읽거나 쓰기위해 그의 머리를 숙일 때 렌즈의 중앙이 시각 라인상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투명하게 가까이서 볼수 있도록 렌즈의 중앙의 굴절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는 사용자가 글을 읽거나 쓰기위해 그의 머리를 숙일 때 렌즈의 중력 성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의 이동 마찰은 노브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의해 렌즈의 이동이 수동으로 조정되어지도록 마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의 이동의 마찰은 노브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의해 중력 성분이 렌즈의 이동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힘으로서 작용하도록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슬롯은 상부 정지부와 하부 정지부가 각각 형성된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슬라이드는 상부 정지부와 하부 정지부사이에 위치되는 2개의 렉이 형성된 한쪽 단부를 가지며,
    슬라이드에는 십자형 구멍을 갖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브는 십자형 구멍내로 연장되는 돌출 블럭이 형성된 전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노브는 렌즈 프레임의 관통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며, 슬라이드의 십자형 구멍내로 연장하며,
    슬라이드에는 슬릿 곁에 위치된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 프레임에는 상기 관통 구멍 곁에 위치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핀은 렌즈 프레임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고, 슬라이드의 핀 구멍에 고정되어, 슬라이드가 렌즈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6. 제 1 항에 있어서,
    주 프레임은 하우징이 각각 제공된 2개의 측면을 갖는 브릿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는 개방 측면을 갖는 슬라이드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 프레임은 하우징의 슬라이드 채널내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바가 형성된 측면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바는 슬라이드 바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슬라이드 풋이 형성된 상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7.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 프레임과 주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 복귀성 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귀성 탄성 플레이트는 주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상에 고정된 제 1 단부 및 렌즈 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된 확장된 슬롯내로 연장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 1 항에 있어서,
    주 프레임의 2개의측면 렉 시트의 각각에는 상부 정지부에 형성된 내부 측면과 하부 정지부에 형성된 외부 측면을 가지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내로 연장되는 레즈상에 고정된 슬라이드 슬라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는 주 프레임의 오목부의 상부 정지부와 하부 정지부내로 연장되어 록킹된 2개의 러그가 형성된 전방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 1 항에 있어서,
    주 프레임에는 이동제한기구로서 작용하도록 렌즈상에 걸리는 후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010053579A 2001-08-31 2001-08-31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KR20030018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579A KR20030018958A (ko) 2001-08-31 2001-08-31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GB0220221A GB2379282A (en) 2001-08-31 2002-08-30 Automatically adjustable spectacles
DE10239923A DE10239923A1 (de) 2001-08-31 2002-08-30 Automatisch akkommodationsfähige Brille
FR0210842A FR2829243B1 (fr) 2001-08-31 2002-09-02 Lunettes a accommodation automatiq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579A KR20030018958A (ko) 2001-08-31 2001-08-31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958A true KR20030018958A (ko) 2003-03-06

Family

ID=1971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579A KR20030018958A (ko) 2001-08-31 2001-08-31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30018958A (ko)
DE (1) DE10239923A1 (ko)
FR (1) FR2829243B1 (ko)
GB (1) GB23792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1909A1 (ko) * 2019-05-27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KR102510624B1 (ko) * 2022-09-20 2023-03-15 이미진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2046A (en) * 1924-01-04 1925-11-17 Perrin Arthur Optical instrument
US4113365A (en) * 1976-05-20 1978-09-12 Sotoichi Koketsu Spectacles' frame with vertically adjustable nose pads
US4363537A (en) * 1979-05-21 1982-12-14 Burton Andrew F Adjustable spectacles
JPS5924824A (ja) * 1982-07-31 1984-02-08 Toru Negishi 多焦点用眼鏡枠
US4493538A (en) * 1982-09-24 1985-01-15 Tolliver Peter M Lateral view extender device
JPS5982222U (ja) * 1982-11-26 1984-06-02 松井 三郎 眼鏡
JPS60166918A (ja) * 1984-02-09 1985-08-30 Suehiro Sakurai 眼鏡枠
GB8902589D0 (en) * 1989-02-06 1989-03-22 Kaye Bernard Optical device
US6056399A (en) * 1997-01-29 2000-05-02 Oakley, Inc. Interchangeable nosepiece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1909A1 (ko) * 2019-05-27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US11327321B2 (en) 2019-05-27 2022-05-10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KR102510624B1 (ko) * 2022-09-20 2023-03-15 이미진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안경
WO2024063254A1 (ko) * 2022-09-20 2024-03-28 이미진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39923A1 (de) 2003-04-30
FR2829243A1 (fr) 2003-03-07
GB0220221D0 (en) 2002-10-09
FR2829243B1 (fr) 2005-02-04
GB2379282A (en)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7695C (en) Eyewear with lens retention mechanism
KR20140084332A (ko) 조절 가능한 안경
US20020093622A1 (en) Flip-up eyewear
US2388626A (en) Eyeglass, shield, or the like
US11169395B2 (en) Frame for bifocal eyeglasses
CN111856750B (zh) 鼻托组件及头戴式显示设备
JP2006317817A (ja) 多焦点用眼鏡フレーム
US6623114B2 (en) Glasses capable of accommodating automatically
KR20030018958A (ko) 자동 조절가능한 안경
KR102498754B1 (ko)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JP6330090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2256265B1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US4363537A (en) Adjustable spectacles
JP4626072B2 (ja) 映像観察装置
US6183080B1 (en) Integral vertical plane adjusting mechanism for an eyeglass frame with multifocal lenses
KR101947331B1 (ko) 렌즈 교체가 가능한 스포츠용 고글
KR102480181B1 (ko) 안경형의 프레임
CN211506047U (zh) 近视防控阅读装置
US2184417A (en) Ophthalmic mounting
JP4833954B2 (ja) 遠近両用メガネ用の可変ノーズパッド
JPH028255Y2 (ko)
CN220188812U (zh) Bb光机调焦结构和ar眼镜
CN212160251U (zh) 调节眼镜
US20230333346A1 (en) Optical adjustment mechanism of wearable device
JP2003075781A (ja) 眼 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