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754B1 -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 Google Patents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754B1
KR102498754B1 KR1020220119958A KR20220119958A KR102498754B1 KR 102498754 B1 KR102498754 B1 KR 102498754B1 KR 1020220119958 A KR1020220119958 A KR 1020220119958A KR 20220119958 A KR20220119958 A KR 20220119958A KR 102498754 B1 KR102498754 B1 KR 10249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tachable
cavity
detachable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to KR1020220119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754B1/ko
Priority to PCT/KR2023/003232 priority patent/WO2024063229A1/ko
Priority to EP23821852.3A priority patent/EP4365667A1/en
Priority to US18/530,933 priority patent/US1201930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6Collapsib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4Junctions between frame elements having a click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6Lock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이웨어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착탈가능한 형태로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는 착탈프레임,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는 안경다리, 및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 사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EYEWEAR WITH ADJUSTABLE TEMPLES ANGLE AND DETACHABLE THE TEMPLE}
본 발명은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에 관한 것이다.
아이웨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고, 굴절률을 조절한 일반적인 안경도 있으나, 투과율을 낮추어 눈부심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선글라스, 고글과 같은 제품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글라스 등은 투명한 안경 소재에 착색제 등을 넣거나 빛을 반사하는 소재를 코팅 또는 증착하여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덜 느끼게 하거나,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있다. 한편, 아이웨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투명하거나 투명한 부분에 착색된 렌즈 부분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프레임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여 아이웨어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안경다리 그리고 아이웨어를 사용자의 코에 받쳐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코받침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단순한 아이웨어를 넘어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아이웨어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아이웨어의 경우 대량생산방식에 의해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각도를 갖는 일률적인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자가 이러한 아이웨어에 맞춰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다양하게 아이웨어의 착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아이웨어를 착용하는 사용자들의 각각의 얼굴 형태는 모두 다르기에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편의에 맞게 아이웨어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렌즈에 결합되는 안경다리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안경다리 또는 렌즈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안경다리와 코받침의 각도 조절이 쉽게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아이웨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1469호(2001년 10월 25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최소화 하면서도 렌즈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나 이의 연결체를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렌즈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부위에 고장이 나거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품을 쉽게 고쳐서 쓸 수 있도록 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아이웨어의 안경다리 부분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편리하게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코받침의 각도를 쉽게 자신이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사용자별로 쉽게 자신이 원하는대로 아이웨어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아이웨어의 안경다리와 코받침의 각도를 변경한 후에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자가 원치 않게 다시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아이웨어의 안경다리와 코받침의 각도를 조절하면서도 안경다리와 코받침이 결합되는 프레임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착탈가능한 형태로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는 착탈프레임,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는 안경다리, 및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 사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탈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하로 움직여 상기 렌즈부의 일부를 계지하여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렌즈부를 결합 및 분리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렌즈부의 일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렌즈부의 일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1캐비티, 및 하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고, 상기 버튼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2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캐비티와 상기 제 2캐비티는 상기 착탈프레임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즈는 좌우 양단에서, 렌즈의 상단이 향하는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제 1단, 상기 제 1단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제 2단, 및 상기 제 2단에서 연장되고,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 제 2단은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의 일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상기 제 1단은 상기 제 2단에 비해 길이가 더 길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 후 다시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어 연장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프레임은 상기 제 1캐비티에서 동일 수평선상에서 상기 제 1캐비티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한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된 제 3캐비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2캐비티의 내측에서 상기 착탈프레임의 내측 벽과 상기 버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착탈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의 제 3캐비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착탈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턱, 상기 착탈프레임의 하단부에 노출되고 안착되는 조작부, 상기 착탈프레임의 제 2캐비티 내측에서 상기 제 1캐비티 방향으로 개방되어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제 2캐비티 내측에서 상단의 내측벽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탄성체가 결합된 탄성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버튼부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의 수용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 2단이 거치되도록 하단을 향하여 돌출한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프레임은 상기 제 3캐비티가 형성된 외측 표면에 일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의 함몰된 영역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3캐비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마감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안경다리의 타단에 위치하는 결합영역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4캐비티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착탈프레임과 결합되는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안경다리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타단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착탈프레임 연결홀, 및 일단에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안경다리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의 제 4캐비티에서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상기 착탈프레임 연결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피스에 의해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안경다리의 일부를 좌우로 관통하면서 상기 안경다리 연결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안경다리 연결피스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안경다리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연결피스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고, 상기 안경다리 연결피스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안경다리와 마주하는 일단은 수직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과 마주하는 타단은 수평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착탈프레임 연결홀과 상기 안경다리 연결홀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안경다리 내측에 배치되되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내측에서 함몰된 영역과 돌출된 영역이 반복되어 형성된 계합부와 마주하되, 상기 계합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하는 양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계합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즈의 상단과 측면에 걸쳐 형성된 상단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상단과 동일선상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상단지지부, 상기 상단지지부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지지부가 돌출된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상단프레임의 제 1단,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1단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상단프레임의 제 2단,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2단에서 연장되고,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 및 상기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의 하단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된 상단프레임의 하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1단,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2단은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는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의 일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코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하단 프레임, 상기 하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여 돌출된 코받침 프레임, 및 상기 코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코받침 프레임은 상단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걸이홈 및 하단에서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받침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을 수용하여 결합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코받침 캐비티, 상기 코받침 캐비티 내의 양 측벽을 연결하며 상기 걸이홈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코받침 걸림봉 및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와 마주하며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받침 프레임은 상기 코받침 계합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마모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방지부는 관통된 영역이 상기 코받침 계합부의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되어 진행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웨어는 렌즈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최소화 하면서도 렌즈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나 이의 연결체를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안경다리를 쉽게 교체하여 렌즈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렌즈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렌즈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부위에 고장이 나거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품을 쉽게 고쳐서 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이웨어의 안경다리 부분이나, 코받침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각도조절 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쉽게 자신이 원하는 대로 아이웨어를 조절하여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이웨어의 안경다리와 코받침의 각도를 변경한 후에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자가 원치 않게 다시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다리와 코받침이 결합되는 프레임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탈프레임과 안경다리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탈프레임, 연결부재 및 안경다리의 결합관계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탈프레임, 연결부재 및 안경다리의 결합관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렌즈에 결합된 코받침 프레임과 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코받침 프레임과 이와 결합되는 코받침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코받침 프레임의 단면과 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코받침 프레임에 코받침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00),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부(100)의 좌우측 양단에서 착탈가능한 형태로 상기 렌즈부(100)에 결합되는 착탈프레임(200),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는 안경다리(600), 및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상기 안경다리(600) 사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상기 안경다리(6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100)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웨어를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외부 사물을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으로 상기 렌즈부(100)의 렌즈는 착색제를 포함하거나 착색필름 등이 부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강한 빛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자외선 흡수제, 안티포그(Anti-Fog)처리 등 다양한 부가 구성들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유리로 형성되거나,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되는 렌즈이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렌즈일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착탈프레임(200)은 합성수지재,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부(100)에 결합이 되거나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렌즈부(100)의 좌우측 양단에 착탈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즉, 착탈프레임(200)은 안경다리(600)가 형성되는 렌즈부(100)의 양단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프레임(200)은 렌즈부(100)와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다른 형태의 렌즈를 교체하여 사용하려 하는 경우 착탈프레임(200)에서 렌즈부(100)를 분리하고 다른 렌즈가 적용된 렌즈부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아이웨어에서 편리하게 렌즈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착탈프레임(200)은 렌즈부(100)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되어 복수개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600)는 렌즈부(100)의 양단에 결합된 착탈프레임(200)에 각각 결합되어 사용되고, 복수개로 구성된다. 안경다리(600)는 렌즈부(100)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고, 이를 통해 아이웨어가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안경다리(600)는 플라스틱 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안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600)에는 사용자로부터 아이웨어가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방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상기 안경다리(6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착탈프레임(200)과 안경다리(600)가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양측(양쪽 귀에 대응하도록)에 배치되어 연결부재(500)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양측에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후술하겠으나,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연결부재(500) 사이에서 좌우방향(즉,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안경다리(6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연결부재(500)와 안경다리(600) 사이에서는 상하방향(죽, 사용자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결국, 안경다리(600)와 렌즈부(100) 사이에서 안경다리(6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아이웨어를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아이웨어의 경우는 단순히 안경다리가 좌우방향으로 접히게만 설계되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연결부재(500)의 구조에 의해 안경다리(600)가 좌우방향으로 접히면서도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안경다리(600)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이웨어는 렌브주(10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300)를 더 포함한다. 버튼부(300)는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하로 움직여 상기 렌즈부(100)의 일부를 계지하여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상기 렌즈부(100)를 결합 및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버튼부(300)를 눌러 착탈프레임(200) 내측에서 버튼부(3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렌즈부(100)를 계지하고 있는 부분이 열려 렌즈부(100)가 이동할 공간이 형성되고, 이때 렌즈부(100)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00)가 착탈프레임(200) 내측에 삽입될 때에 버튼부(300) 내측의 일부 공간으로 렌즈부(100)의 일부가 삽입되고, 버튼부(300)를 아래로 내리면(후술할 탄성체(50)에 의해 자동적으로 내려가면) 렌즈부(100)의 일부가 착탈프레임(200) 내측의 버튼부(300)에 계지되어 착탈프레임(200)과 렌즈부(1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프레임(200)은 측면에 상기 렌즈부(100)의 일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렌즈부(100)의 일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1캐비티(210), 및 하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버튼부(300)가 삽입되고, 상기 버튼부(30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2캐비티(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캐비티(210)와 상기 제 2캐비티(230)는 상기 착탈프레임(200)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캐비티(210)와 상기 제 2캐비티(230)는 캐비티 연결부(22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캐비티 연결부(220)가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버튼부(300)가 상측으로 올라가면 공간이 넓어져 렌즈부(100)의 일부가 버튼부(300)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고, 버튼부(300)가 하단으로 내려가면 공간이 좁아지면서 버튼부(300) 및 착탈프레임(200)의 내부에 렌즈부(100)의 일부가 걸려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부(100)의 상기 렌즈는 좌우 양단에서, 렌즈의 상단이 향하는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제 1단(110), 상기 제 1단(110)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제 2단(120), 및 상기 제 2단(120)에서 연장되고,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단(110) 및 제 2단(120)은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상기 제 1캐비티(210)로 삽입되고, 렌즈부(100)가 결합되어 고정될 때에 상기 착탈프레임9200)의 제 1캐비티(210)의 내측 벽에 지지되어 렌즈부(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40)는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상기 제 1캐비티(210)로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300)의 일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제 1단(110)은 착탈프레임(200)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고정돌기(140)는 상기 버튼부(3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제 2단(120)은 이에 연장된 고정돌기(140)와의 경계에서 상기 버튼부(300)의 일부가 하단을 향하여 누르는 힘에 의해 결국 렌즈부(100)가 착탈프레임(200)과 버튼부(3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렌즈의 제 1단(110)은 착탈프레임(200) 내측에서 렌즈부(100)가 고정될 때에 렌즈부(100)가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 2단(120)과 고정돌기(140)는 고정이 되거나, 분리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렌즈부(100)와 착탈프레임(200), 그리고 버튼부(300)의 결합을 위해 렌즈부(100)의 상기 제 1단(110)은 상기 제 2단(120)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제 1단(110)이 착탈프레임(200)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부분을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렌즈부(100)의 렌즈가 형성하는 상기 고정돌기(140)는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 후 다시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어 연장되고, 상기 고정돌기(140)의 하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고정돌기(140)의 형태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렌즈부(100)가 착탈프레임(200)의 내측 벽과 버튼부(3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프레임(200)은 상기 제 1캐비티(210)에서 동일 수평선상에서 상기 제 1캐비티(210)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한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된 제 3캐비티(2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상기 제 2캐비티(230)의 내측에서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내측 벽과 상기 버튼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300)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300)는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몸체(320), 상기 몸체(320)에서 상기 착탈프레임의 제 3캐비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300)를 상기 착탈프레임(200)에 고정하는 고정턱(310),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하단부에 노출되고 안착되는 조작부(330),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제 2캐비티(230) 내측에서 상기 제 1캐비티(210) 방향으로 개방되어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수용부(340), 및 상기 제 2캐비티(230) 내측에서 상단의 내측벽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탄성체(50)가 결합된 탄성축(35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50)는 버튼부(300)가 제 2캐비티(230)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며,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힘을 가하지 않을 때에는 버튼부(300)에 하부를 향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버튼부(300)의 조작부(330)를 통해 상단을 향하여 힘을 가하면 탄성체(50)가 압축이 되면서 버튼부(300)가 상단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50)는 버튼부(300)에 고정되어 착탈프레임(200)의 제 2캐비티(230) 내에서만 상하움직임이 되도록 일측이 버튼부(300)의 탄성축(350)에 결합된 상태이고, 타측은 제 2캐배티(230)의 내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300)의 조작부(330)는 착탈프레임(200)의 하단부에 노출되면서 노출된 일부가 측면방향(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캐비티(230) 내측으로 모든 버튼부(300)가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300)의 고정턱(310)은 탄성체(50)의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버튼부(300)가 외부로 원치 않게 이탈하지 않도록 착탈프레임(200)의 측면 방향으로 노출된(개방된) 제 3캐비티(26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7 및 8에서와 같이, 버튼부(300)가 착탈프레임의 제 2캐비티(230)를 통해 삽입되면 고정턱(310)이 제 3캐비티(26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특정 변위만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버튼부(300)는 렌즈부(10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특정 범위내의 변위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착탈프레임(200)에어 아예 이탈되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부(100)의 상기 고정돌기(140)는 상기 버튼부(300)의 수용부(34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렌즈부(100)의 일부는 착탈프레임(200)의 제 1캐비티(210)로 최초 삽입되고 제 1캐비티(210)와 제 2캐비티(230)를 연결하는 캐비티 연결부(220)를 통해 제 2캐비티(230) 내에 배치된 버튼부(300)에 도달할 수 있고, 버튼부(300)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수용부(340)에 렌즈부(100)의 고정돌기(14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300)에 힘을 가하여 탄성체(50)가 압축되고 버튼부(3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렌즈부(100)의 고정돌기(140) 부분이 버튼부(300)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300)에서 힘을 빼면 탄성체(50)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버튼부(300)가 다시 아래로 향하고 렌즈부(100)의 고정돌기(140)와 연결된 제 2단(120)을 버튼부(300)의 수용부(340) 말단이 계지하여 렌즈부(10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부(300)의 수용부(340)는 상기 렌즈부(100)의 상기 고정돌기(140)가 삽입되고, 상기 제 2단(120)이 거치되도록 하단을 향하여 돌출한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돌출된 단턱에 의해 제 2단(120)이 지지되어 제 2단(120)과 고정돌기(140) 사이를 계지함으로써, 결국 렌즈부(100)가 버튼부(300)와 착탈프레임(200)에 결합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프레임(200)은 상기 제 3캐비티(260)가 형성된 외측 표면에 일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된 영역(2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함몰된 영역(27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3캐비티(2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마감덮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3캐비티(260)가 없는 경우 버튼부(300)가 고장이 나거나 일부 파손이 되는 경우 제 3캐비티(260)와 고정턱(310)간의 분리가 어려워 착탈프레임(200)과 버튼부(300)를 모두 버리거나 고장에 대한 수리가 어려울 수 있는데, 제 3캐비티(260)를 외부로 노출함으로써, 버튼부(30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외부에서 외력으로 고정턱(310)을 밀어 버튼부(300)를 분리할 수 있고, 쉽게 버튼부(300)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재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리나 교체가 매우 간편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제 3캐비티(260)가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제품의 디자인이나 시인성을 저해할 수 있어, 제 3캐비티(260)가 형성된 외측 표면에 일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된 영역(270)에 제 3캐비티(2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마감덮개(400)를 결합하여 버튼부(300)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하지 않을 시에는 제 3캐비티(2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부와 착탈프레임 및 렌즈다리가 결합하는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는 상기 렌즈부(100)의 상기 렌즈의 상단과 측면에 걸쳐 형성된 상단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상단과 동일선상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상단지지부(131), 상기 상단지지부(131)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지지부(131)가 돌출된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상단프레임의 제 1단(111),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1단(111)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상단프레임의 제 2단(121),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2단(121)에서 연장되고,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141), 및 상기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141)의 하단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된 상단프레임의 하단지지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의 상단지지부(131) 및 상단프레임의 하단지지부(151)는 렌즈부와 착탈프레임(200) 간의 결합에 있어, 렌즈부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1단(111),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2단(121)은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상기 제 1캐비티(210)로 삽입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141)는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상기 제 1캐비티(210)로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300)의 일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렌즈부(100)의 렌즈가 형성하는 제 1단(110), 제 2단(120) 및 고정돌기(140)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 내지 6에서는 렌즈부(100)를 구성하는 렌즈의 형상 자체가 착탈프레임(200)과 버튼부(300)에 결합되는 형상인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프레임의 양단의 형상이 상기 도 1 내지 6의 렌즈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아이웨어는 렌즈의 형상 자체가 제 1단, 제 2단 및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다른 구성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거나, 렌즈에 결합된 상단 프레임이 상단프레임 제 1단, 상단프레임 제 2단, 상단프레임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렌즈와 동일하게 다른 구성과 결합 및 분리가 되도록 할 수 있고,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탈프레임과 안경다리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탈프레임, 연결부재 및 안경다리의 결합관계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탈프레임, 연결부재 및 안경다리의 결합관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이웨어에서 상기 연결부재(500)는 일단이 상기 안경다리(600)의 타단에 위치하는 결합영역(62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연결부재(500)의 타단이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일단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4캐비티(25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500)를 기준으로 착탈프레임(200)과 안경다리(600)가 아이웨어 상에서 모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도 이미 설명하였듯이, 연결부재(500)는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위치에서 좌우방향(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안경다리(60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안경다리(600)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회동하여 안경다리(600)와 렌즈부(100)의 상대적인 각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500)는 타단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착탈프레임 연결홀(520), 및 일단에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안경다리 연결홀(510)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제 4캐비티(250)에서 상기 착탈프레임(200)의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상기 착탈프레임 연결홀(5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피스(1000)에 의해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상기 연결부재(500)가 결합되고, 상기 안경다리(600)의 일부를 좌우로 관통하면서 상기 안경다리 연결홀(5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안경다리 연결피스(101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500)와 상기 안경다리(60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연결부재 연결피스(1000)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고, 상기 안경다리 연결피스(1010)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00)의 상기 안경다리(600)와 마주하는 일단은 수직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200)과 마주하는 타단은 수평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500)와 착탈프레임(200)은 착탈프레임 연결홀(52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결합된 연결부재 연결피스(100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고, 연결부재(500)와 안경다리(600)는 안경다리 연결홀(510)을 관통하여 삽입 결합된 안경다리 연결피스(10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착탈프레임 연결홀(520)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착탈프레임 연결홀(520)이 형성된 연결부재(500) 부분은 수평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착탈프레임 연결홀(520)을 관통하는 연결부재 연결피스(100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고, 안경다리 연결홀(510)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안경다리 연결홀(510)이 형성되는 연결부재(500) 부분은 수직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안경다리 연결홀(510)을 관통하는 안경다리 연결피스(10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연결부재 연결피스(1000)는 착탈프레임 연결홀(520)을 관통하여 결합되면서 착탈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축을 형성하도록 착탈프레임(200)의 제 4캐비티(250)가 형성된 부분에서 하단의 하부홀(270)을 관통하여 지나 다시 착탈프레임 연결홀(520)을 관통하고 상단의 상부홀(28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부홀을 관통하면서 하부홀(27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경다리 연결피스(1010)는 안경다리(600)를 좌우로 관통하는 노출영역(61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중심에서는 안경다리 연결홀(510)을 관통하여 안경다리 연결피스 마감부(1020)에 의해 안경다리(600)에 고정되고, 안경다리 연결피스(1010)를 축으로 안경다리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착탈프레임 연결홀(520)과 상기 안경다리 연결홀(510)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안경다리(600) 내측에 배치되되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5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530)는 상기 안경다리(600)의 내측에서 함몰된 영역과 돌출된 영역이 반복되어 형성된 계합부(630)와 마주하되, 상기 계합부(630)는 상기 안경다리(600)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재(500)와 마주하는 양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530)는 상기 계합부(630)와 마주하도록 상기 연결부재(500)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500)의 각도조절부(530)의 돌출된 부분이 계합부(630)의 함몰된 영역 내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각도조절부(530)의 위치가 변경되어 다른 위치의 계합부(630)의 함몰된 영역으로 위치를 변경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결국 안경다리(600)와 렌즈부(100)가 형성하는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조절 및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돌출되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530)와 복수의 함몰된 영역과 돌출된 영역이 반복되는 계합부(630)를 서로 마주하도록 함으로써, 안경다리(6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 후에는 외력을 강하게 주지 않는 한 견고하게 해당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안경다리(60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경다리(600)에 상하방향으로 특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각도조절부(530)는 외력에 의해 계합부(630)의 돌출된 부분을 넘어 다음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이웨어에서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특정 힘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그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는 렌즈에 결합된 코받침 프레임과 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코받침 프레임과 이와 결합되는 코받침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코받침 프레임의 단면과 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코받침 프레임에 코받침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16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부(100)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코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하단 프레임(700), 상기 하단 프레임(700)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여 돌출된 코받침 프레임(800), 및 상기 코받침 프레임(800)에 결합되는 코받침(9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코받침 프레임(800)은 상단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걸이홈(810) 및 하단에서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를 포함하고, 상기 코받침(900)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800)을 수용하여 결합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비티(920), 상기 캐비티(920) 내의 양 측벽을 연결하며 상기 걸이홈(810)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걸림봉(910) 및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와 마주하며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각도조절부(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받침(900)은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이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코에 아이웨어가 안착되면서도 부드러운 소재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받침 프레임(800)은 상단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걸이홈(810) 및 하단에서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를 포함할 수 있고, 걸이홈(810)과 인접한 위치에는 단턱부(8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받침(900)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800)을 수용하여 결합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코받침 캐비티(920), 상기 코받침 캐비티(920) 내의 양 측벽을 연결하며 상기 걸이홈(810)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코받침 걸림봉(910) 및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와 마주하며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각도조절부(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코받침(900)의 코받침 캐비티(920)에는 코받침 걸림봉(910)이 형성되어 코받침 걸림봉(910)이 코받침 프레임(800)의 걸이홈(810)에 삽입되어 상단이 결합되고, 단턱부(820)에 의해 코받침(900)이 코받침 프레임(8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봉(910)의 수직단면은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걸이홈(810)에 삽입되어 걸려진 후 코받침(90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단에서는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와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각도조절부(930)가 서로 마주하여 접함으로써, 위치를 고정하면서도 코받침(900)이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걸이홈(810)에 걸린 코받침(900)의 코받침 걸림봉(910)을 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즉, 상하방향으로 코받침이 움직이면서 코받침을 전방과 후방 방향으로도 움직이도록) 코받침(900)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하단에서 서로 마주하는 코받침 각도조절부(930)과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후에는 그 위치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받침 프레임(800)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와 인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마모방지부(8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코받침(9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코받침 각도조절부(930)과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의 접촉과 마찰에 의해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와 인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마모방지부(840)를 형성하여,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에 가해지는 힘을 상쇄하고 완충하여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코받침(900)의 위치 및 각도를 지속적으로 변경하더라도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방지부(840)는 관통된 영역이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의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되어 진행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830)에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0: 탄성체
100: 렌즈부
110: 렌즈부의 제 1단
111: 렌즈부 상단 프레임의 제 1단
120: 렌즈부의 제 2단
121: 렌즈부 상단 프레임의 제 2단
131: 렌즈부 상단 프레임의 상단지지부
140: 렌즈부의 고정돌기
141: 렌즈부 상단 프레임의 고정돌기
151: 렌즈부 상단 프레임의 하단지지부
200: 착탈프레임
210: 착탈프레임의 제 1캐비티
220: 착탈프레임의 캐비티 연결부
230: 착탈프레임의 제 2캐비티
260: 착탈프레임의 제 3캐비티
270: 착탈프레임의 함몰된 영역
280: 착탈프레임의 하부홀
290: 착탈프레임의 상부홀
300: 버튼부
310: 버튼부의 고정턱
320: 버튼부의 몸체
330: 버튼부의 조작부
340: 버튼부의 수용부
350: 버튼부의 탄성축
360: 버튼부 수용부의 걸림턱
400: 마감덮개
500: 연결부재
510: 연결부재의 안경다리 연결홀
520: 연결부재의 착탈프레임 연결홀
530: 연결부재의 각도조절부
600: 안경다리
610: 안경다리의 노출영역
620: 안경다리의 연결부재 결합영역
630: 안경다리의 계합부
700: 하단 프레임
800: 코받침 프레임
810: 코받침 프레임의 걸이홈
820: 코받침 프레임의 단턱부
830: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
840: 마모방지부
900: 코받침
910: 코받침 걸림봉
920: 코받침 캐비티
930: 코받침 각도조절부
1000: 연결부재 연결피스
1010: 안경다리 연결피스
1020: 안경다리 연결피스 마감부

Claims (15)

  1.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착탈가능한 형태로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는 착탈프레임;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는 안경다리;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 사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착탈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하로 움직여 상기 렌즈부의 일부를 계지하여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렌즈부를 결합 및 분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탈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렌즈부의 일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렌즈부의 일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1캐비티; 및 하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고, 상기 버튼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2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캐비티와 상기 제 2캐비티는 상기 착탈프레임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즈는 좌우 양단에서,
    렌즈의 상단이 향하는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제 1단, 상기 제 1단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제 2단, 및 상기 제 2단에서 연장되고,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 제 2단은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의 일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상기 제 1단은 상기 제 2단에 비해 길이가 더 길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 후 다시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어 연장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프레임은 상기 제 1캐비티에서 동일 수평선상에서 상기 제 1캐비티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한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된 제 3캐비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2캐비티의 내측에서 상기 착탈프레임의 내측 벽과 상기 버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착탈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의 제 3캐비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착탈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턱;, 상기 착탈프레임의 하단부에 노출되고 안착되는 조작부;, 상기 착탈프레임의 제 2캐비티 내측에서 상기 제 1캐비티 방향으로 개방되어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제 2캐비티 내측에서 상단의 내측벽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탄성체가 결합된 탄성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버튼부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수용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 2단이 거치되도록 하단을 향하여 돌출한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프레임은 상기 제 3캐비티가 형성된 외측 표면에 일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의 함몰된 영역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3캐비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마감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안경다리의 타단에 위치하는 결합영역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4캐비티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착탈프레임과 결합되는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안경다리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9.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착탈가능한 형태로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는 착탈프레임;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는 안경다리; 및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 사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안경다리의 타단에 위치하는 결합영역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4캐비티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착탈프레임과 결합되는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안경다리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타단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착탈프레임 연결홀; 및 일단에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안경다리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의 제 4캐비티에서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상기 착탈프레임 연결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피스에 의해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안경다리의 일부를 좌우로 관통하면서 상기 안경다리 연결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안경다리 연결피스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안경다리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연결피스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고, 상기 안경다리 연결피스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안경다리와 마주하는 일단은 수직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프레임과 마주하는 타단은 수평단면 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착탈프레임 연결홀과 상기 안경다리 연결홀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안경다리 내측에 배치되되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내측에서 함몰된 영역과 돌출된 영역이 반복되어 형성된 계합부와 마주하되,
    상기 계합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하는 양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계합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즈의 상단과 측면에 걸쳐 형성된 상단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상단과 동일선상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상단지지부, 상기 상단지지부 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지지부가 돌출된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상단프레임의 제 1단,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1단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상단프레임의 제 2단,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2단에서 연장되고,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 및 상기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의 하단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된 상단프레임의 하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1단, 상기 상단프레임의 제 2단은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의 고정돌기는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기 제 1캐비티로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의 일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3.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착탈가능한 형태로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는 착탈프레임;
    상기 착탈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는 안경다리;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 사이에서 상기 착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코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하단 프레임;
    상기 하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여 돌출된 코받침 프레임; 및
    상기 코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코받침 프레임은 상단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걸이홈 및 하단에서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받침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을 수용하여 결합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코받침 캐비티, 상기 코받침 캐비티 내의 양 측벽을 연결하며 상기 걸이홈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코받침 걸림봉 및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와 마주하며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하여 형성된 코받침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 프레임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마모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방지부는 관통된 영역이 상기 코받침 프레임 계합부의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이 반복되어 진행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KR1020220119958A 2022-09-22 2022-09-22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KR10249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58A KR102498754B1 (ko) 2022-09-22 2022-09-22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PCT/KR2023/003232 WO2024063229A1 (ko) 2022-09-22 2023-03-09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EP23821852.3A EP4365667A1 (en) 2022-09-22 2023-03-09 Eyewear with detachable, angle-adjustable temples
US18/530,933 US12019307B2 (en) 2022-09-22 2023-12-06 Eyewear with adjustable temples angle and detachable the tem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58A KR102498754B1 (ko) 2022-09-22 2022-09-22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754B1 true KR102498754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958A KR102498754B1 (ko) 2022-09-22 2022-09-22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2019307B2 (ko)
EP (1) EP4365667A1 (ko)
KR (1) KR102498754B1 (ko)
WO (1) WO20240632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29A1 (ko) * 2022-09-22 2024-03-2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139A1 (fr) * 1993-10-29 1995-05-04 O.G.K. Hanbai Co., Ltd. Lunettes de soleil
KR200231469Y1 (ko) 1998-04-16 2001-10-25 박요섭 길이조절이가능한안경다리
KR200347241Y1 (ko) * 2003-11-12 2004-04-09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코받침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포츠 안경
KR20090046709A (ko) * 2007-11-06 2009-05-11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안경
KR200472592Y1 (ko) * 2012-12-26 2014-05-13 남희정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KR20160043442A (ko) * 2014-10-13 2016-04-21 김응철 스포츠용 고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3891A (ja) * 2012-04-02 2013-10-17 Enix Co Ltd ツインパッドを用いた眼鏡枠のレンズ脱着構造
US9261711B1 (en) * 2014-12-20 2016-02-16 Hwa Meei Optical Co., Ltd. Eyeglasses with replaceable lenses
US9740021B1 (en) * 2016-07-18 2017-08-22 Lin Yun Chen Glasses with lens fastened by pivotal members
KR102498754B1 (ko) * 2022-09-22 2023-02-1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139A1 (fr) * 1993-10-29 1995-05-04 O.G.K. Hanbai Co., Ltd. Lunettes de soleil
KR200231469Y1 (ko) 1998-04-16 2001-10-25 박요섭 길이조절이가능한안경다리
KR200347241Y1 (ko) * 2003-11-12 2004-04-09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코받침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포츠 안경
KR20090046709A (ko) * 2007-11-06 2009-05-11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안경
KR200472592Y1 (ko) * 2012-12-26 2014-05-13 남희정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KR20160043442A (ko) * 2014-10-13 2016-04-21 김응철 스포츠용 고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29A1 (ko) * 2022-09-22 2024-03-2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229A1 (ko) 2024-03-28
US12019307B2 (en) 2024-06-25
EP4365667A1 (en) 2024-05-08
US20240111176A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0649B2 (ja) 複合用途対応型眼鏡
JP4092419B2 (ja) 非球面プラノ型アイウェア
US4878749A (en) Protective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frames
US5093940A (en) Lens exchangeable goggle
JP5934798B2 (ja) アイウェアのための取り付けメカニズム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EP0046785B1 (en) Eyeglass frames having removable lens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US7926937B2 (en) Eyewear
WO1979000548A1 (en) Sports spectacle structure
KR102498754B1 (ko)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KR102087621B1 (ko)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US9851587B2 (en) Eyeglass accessory
KR102497582B1 (ko) 프레임 분리에 따라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
KR20240037231A (ko) 안경을 위한 측면 쉴드
CN111148489A (zh) 护目镜更换系统
KR102679326B1 (ko) 안경다리와 코받침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아이웨어
KR101947331B1 (ko) 렌즈 교체가 가능한 스포츠용 고글
KR20230163791A (ko) 안경다리와 코받침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아이웨어
KR102667165B1 (ko) 아이웨어
KR20110073852A (ko) 보호안경의 다리 각도 조절구조
KR200280482Y1 (ko) 돗수를 지닌 고글
KR100900576B1 (ko) 주 안경체와 보조 안경체 사이의 분리형 힌지 시스템
KR20050008134A (ko) 선글라스 수납공간이 형성된 선글라스 장착형 모자
KR20240002110A (ko) 핀홀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