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46B1 -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46B1
KR860001746B1 KR1019830000818A KR830000818A KR860001746B1 KR 860001746 B1 KR860001746 B1 KR 860001746B1 KR 1019830000818 A KR1019830000818 A KR 1019830000818A KR 830000818 A KR830000818 A KR 830000818A KR 860001746 B1 KR860001746 B1 KR 86000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light
tape end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886A (ko
Inventor
요시미찌 나가오까
Original Assignee
니뽕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032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501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92938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31441U/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by photoelectric sen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의 테이프단 검출장치의 일실시예가 적용되어 있는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장전전의 상태 및 테이프 장전 완료후에서의 기록 재생 모드시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로부터 테이프 장전 기구를 인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기록 재생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카세트의 덮개를 연 상태에서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중 타이밍기어 부분의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각각 테이프 장전전과 장전후에서의 캠반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a도의 캠반의 홈의 캠선도.
제8도는 제6a도의 캠반에 관련하는 기구부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중 헤드 지지암과 보조암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발광-수광 소자와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제5도중 각도 검출반의 테이프 장전전의 회전 위치에서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도및 제2도중 테이프단 검출 수단을 인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테이프단 검출 수단의 소형 카세트, 드럼 및 로딩폴에 대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프단 검출동작 개시시에서의 평면도 및 입면도.
제14도 및 제15도, 제16도 및 제17도, 제18도 및 제19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단 검출 장치의 제2, 제3,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평면도 및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 재생장치 3 : 가이드 드럼
4 : 카세트 장착부 5 : 테이프단 검출수단
6 : 테이프 장전기구 10,10A,10B : 소형 카세트
11 : 자기테이프 12 : 카세트 하우징
13 : 덮개 14 : 공급측 릴
15 : 권취측 릴 20, 21 : 타이밍 기어
22, 23 : 타이밍벨트 24, 25 : 로딩폴
26, 27 : 가이드 홈 28 : 메인기어
29 : 캠반 30 : 각도 검출반
47 : 캠홈 48 : 오디오 제어헤드
49 : 핀치 로울러 63 : 반사판
64, 65, 66 : 발광-수광소자 67 : 빠짐부
75 : 캡스턴 76 : 로딩모터
83 : 전폭 소거헤드 130 : 발광원
131, 132 : 광축 133 : 엔드센서
134 : 스타트 센서 135, 136 : 지지브래킷
137, 138 : 통체 140, 141, 142 : 테이프단검출 장치
본 발명은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테이프를 카세트로부터 인출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테이프단을 검출하는 테이프단 검출 수단을 카세트 장착부의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테이프 장전 동작이 어느정도 진행한 후에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한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인은 먼저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소형테이프 카세트 및 상기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표준형식의 기록재생장치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어댑터 및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그대로 장착할 수 있는 소형 기록 재생장치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테이프 카세트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발명이다.
표준 형식의 기록재생 장치 및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에서는 테이프단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테이프단 검출 수단중 발광부를 카세트 장착부내에 돌출하여 설치하고, 이것이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내에 상대적으로 감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원을 카세트 장착부내에 돌출하여 설치하고, 수광부를 카세트 장차부의 축방에 설치하며, 발광원이 장착된 카세트내에 상대적으로 감입한다. 이 때문에, 카세트는 발광부 감입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그만큼 여분의 면적이 취해져, 이대로의 구조에서는 카세트를 충분히 소형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카세트의 소형화를 기하기 위하여 발광부를 카세트 장착부외에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발광부를 이와같이 배치하면 카세트의 발광부 감입 스페이스는 불필요하게 되고, 카세트는 그만큼 소형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하면 테이프단 검출 수단은, 테이프가 단부에 도달하지 않아 테이프단이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테이프단의 투명 테이프부를 검출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 카세트를 장착하여 소정의 조작을 하여도 테이프 장전 동작이 행하여 지지않는 불합리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테이프 카세트의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이하 도면과 같이 그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단 검출장치가 적용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의 정지 모드시 및 기록 재생 모드시에서의 생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기록 재생장치(1)는 샤시(2)상에 가이드 드럼(3), 카세트 장착부(4)및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테이프단 검출 수단(5)등을 설치하고, 더우기 샤시 상하면에 제3도에 인출하여 표시한 테이프 장전기구(6)등을 설치하여 대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 재생 장치(1)에는 제4도에 표시한 소형 카세트(10)가 장착된다. 상기 소형 카세트(10)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기 테이프(11)를 수납한 카세트 하우징(12)과 그 전면측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통상은 닫혀 있는 덮개(13)로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 하우징(12)에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소직경의 공급측 릴(14)과 권취측 릴(15)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공급측 릴(14)은 카세트 하우징(12)의 저면의 개구부(16)로 노출되어 있다. 권취측 릴(15)은 하플랜저의 외주가 기어부(17)로 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17)의 일부가 카세트 하우징(12)의 측방향의 창(18)에 노출되어 있다. 카세트 하우징(12)에는 테이프단 검출용 광원이 감입되는 개구부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이 때문에 양 릴(14), (15)은 충분히 근접하여 배치되고 소형 카세트(10)는 상당히 소형으로 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11)는 좌우단측의 가이드폴(19a), (19b)에 의하여 안내되어 카세트 하우징 (12)의 전면에 연한 테이프 통로(11a)를 형성하고 있다. 또 자기 테이프(11)의 양단에는 테이프단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소정 길이의 투명테이프부(도시안함)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 테이프부는 어댑터에 수납되어 표준형기록 재생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된 경우에, 상기 표준형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단 검출 장치에 의하여 검출되는 위치까지 인출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러한 투명 테이프 길이는 카세트 장착부(4)가 가이드 드럼(3)에 근접하여 배치된 소형의 기록 재생 장치(1)에 대하여는 너무 긴 것으로써 투명 테이프부가 전면에 나와 있는 테이프 권회상태의 소형 카세트로부터 테이프 장전 동작을 행한 경우에는 테이프 장전 동작 도중에 투명 테이프부와 자기 테이프부의 이음매가 가이드 드럼(3)에 접촉되고 만다. 상기 이음매가 가이드 드럼(3)에 접촉하면, 비디오 헤드가 손상하든지 막히게 되는 중대한 사고가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사태는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테이프 장전동작 개시후에도 테이프가 드럼에 접촉하기 전의 단계에서 테이프단 검출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기록 재생장치(1)의 테이프 장전기구(6)및 이에 관련하는 기구에 대하여 제5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장전 기구(6)는 타이밍 기어(20), (21)의 회동에 의하여 타이밍 벨트(22), (23)가 주행하여 로딩폴 (24), (25)이 제1도에 표시한 위치로부터 제2도에 표시한 장전 완료 위치까지 샤시(2)의 가이드홈(26),(27)에 연하여 이동하고, 테이프가 소정의 테이프 통로에 장전되도록 구성되어있다.
타이밍 기어(20), (21)는 중앙의 메인 기어(28)와 최상부의 캠반(29)과 최하부의 각도 검출반(30)이 공히 중첩되어서 메인기어(28)가 샤시(2)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고, 기어(20),(21)가 각각 샤시(2)의 하측과 상측에 대향하는 높이 관계로 축(31)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캠반(29)과 각도 검출반(30)은 메인 기어(28)와 핀(32)으로 결합되어 있고, 또 타이밍 기어(20), (21) 코일 스프링(33),(34)에 의하여 핀(32)과 연결되어 있으며, 캠반(29), 각도 검출반(30), 타이밍 기어(20), (21)는 메인 기어(28)와 거의 일체로 로딩시에는 시계 방향으로 언로딩시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거의 360도 회전된다.
타이밍 벨트(22)는 타이밍 기어(20)및 안내로울러(35내지 38)에 연하여 결쳐져 있고, 일단은 로딩폴 지지대(39)에 직접, 타단은 코일 스프링(40)을 거쳐서 같은 지지대(39)에 접속되어 있으며, 샤시(2)의 하면측에 연하여 페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타이밍 벨트(23)는 타이밍 기어(21), 안내 로울러(41내지 43), 및 스톱폴(44)에 연하여 걸쳐져 있고, 일단은 로딩폴 지지대(45)에 직접, 타단은 코일스프링(46)을 거쳐서 같은 지지대(45)에 접속되어 있으며, 샤시(2)의 상면측에 연하여 페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대(39) 및 (45)는 각각 가이드홈(26), (27)내에 이것에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캠반(29)에는 거의 나선형의 캠홈(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반(29)의 회전에 의하여 오디오 제어헤드(48)및 핀치 로울러(49)가 테이프 장전 동작의 후반에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동된다. 테이프 장전전,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헤드(48)는 가이드 홈(27)으로부터 후퇴하여 테이프 장전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핀치 로울러(49)는 카세트 장착부로 부터 떨어져 있다. 제6도는 테이프 장전전, 제6a도는 테이프 장전후에서의 캠반(29)의 회전 상태를 표시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캠홈(47)은 내주원 부분(47a(Id))과 외주원 부분(47b(Ib))양자를 결합하는 반경증가 부분(47c(Ic))과 외주원 부분으로 연장하는 반경 증가 부분(47d(Id))으로 된다.
특히,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헤드(48)는 축(50)에 힌지되어 있는 지지암(51)의 선단에 탑재되어 있다. 보조암(52)은 지지암(51)상의 핀(54)에 힌지되어 있고, 선단에 핀(55)을 가진다. 핀(55)은 캠홈(47)내에 감합되어 있다. 또 보조암(52)의 핀(56)이 지지암(51)의 홈 구멍(51a)내에 감합되어 있다. 지지암(51)과 보조암 (52)의 사이에는 토오션 스프링(57)이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57)은 보조암 (52)을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또 벨크랭크 레버(58)가 부착판(59)상의 핀(60)에 힌지되어 레버(58)의 핀(61)의 캠홈(47)에 감합되어 있다. (62)는 벨트(23)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울러이다.
각도 검출반(30)는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면에 반사판(63)이 점착되어 있다. 반사판(63)에 대향하여 3개의 발광-수광 소자(64), (65), (66)가 베이스상에 고정되어 있다. 반사판(63)과 각 소자(64내지 66)가 협동하여 검출반(30) 즉, 캡반(29), 타이밍기어(20),(21)의 회전 각도위치를 검출한다. 소자(64), (65), (66)는 직선형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검출반(30)의 회전시에 그 하면을 각각 트랙(T1), (T2), (T3)에 연하여 주사하고, 반사판(63)에 대향하면 수광 소자가 반사판(63)에서 반사한 광을 수광하여 [1]을 출력하고, 반사판(63)으로부터 벗어나면 반사광이 없어져 소자는 [0]을 출력한다.
제10도는 테이프 장전전에서의 검출반(30)의 소자(64내지 66)에 대한 상대 회전 위치를 표시한다. 제10도에서 P1은 언로딩 종료위치(테이프 장전전 위치), P2는 언로딩 종료 직전 위치(테이프 장전개시 직후 위치, P3는 테이프단 검출 수단 동작 개시 위치, P4는 포즈 모드 위치, P5는 테이프 장전 완료 위치이다. 이들의 위치를 캠반(29)의 캠홈(47)에 감압한 핀과 대응시키면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된다. 단 위치 P3은 핀(55)에 관한 위치, P4및 P5는 핀(61)에 관한 위치이다.
반사판(63)은 트랙(T1)상에서는 위치 P4개소를 제외하여 P2내지 P5의 사이, 트랙(T2)상에서는 위치 P3내지 P5의 사이, 트랙(T3)상에서는 위치 P5의 위치에 존재하는 소정의 양상을 가지고 있고 빠짐부(67)를 가진다. 각도 검출반(30)의 회전위치의 각소자(64), (65), (66) 의 출력과의 안계는 다음 표와 같이 된다.
[표]
Figure kpo00001
각 소자(64내지 66)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조합을 마이크로 컴퓨터가 독출하는 것에 의하여 기록 재생장치(1)의 동작이 제어된다. 정보 신호가 [000]으로 되면 언로딩 동작이 정지되고, [111]로 되면 테이프 장전 동작이 정지되고, [010]으로 되어 포즈모드가 확인된다. 또, 테이프단 검출수단(5)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정보 신호가 [000]일때는 동작하지 않고, 정보 신호가 [110], [010], [111]일때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된 기록 재생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형 카세트(10)는 하우징(70)내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카세트 장착부(4)에 장착된다. 덮개(13)는 덮개 개방 기구(71)에 의하여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열려져 공급측 릴(14)은 공급릴 다이(72)와 감합하고, 권취득 릴(15)은 그 기어부(17)가 테이프 권취 기어체(73)의 소직경기어(73a)와 맞물린다. 또 로딩폴(24), (25), 텐션폴(74)및 캡스턴(75)이 소형 카세트(110)의 앞쪽의 절결부내에 상대적으로 진입한다.
다음에 기록 또는 재생 조작을 하면, 로딩모터(76)가 시동하여 벨트(77), 웜(78), 웜기어(79), 구동 기어(80)를 거쳐서 타이밍 기어(20), (21), 캠반(29)및 각도 검출반(30)이 메인기어(28)와 일체로 시계방향(화살표 A1방향) 으로 회전한다.
타이밍 기어(20), (21)의 회전에 의하여 타이밍 벨트(22), (23)가 화살표 B, C방향으로 주행하여 지지대(39), (45)가 각각 가이드 홈(26), (27)에 연하여 이동한다. 이때 폴(24), (52)은 자기 테이프(11)를 계지하여 이것을 카세트(10)로부터 인출한다. 지지대(39)는 임피던스 로울러(81)를 뒤로 밀어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로딩폴(24)이 스토퍼(82)에 눌려 계지된다. 임피던스 로울러(81)와 전폭 소거 헤드(83)는 폴(84)에 지지된 회전 지지대(85)상에 고정되어 있고, 양자는 코일 스프링(86)과 스토퍼(87)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지지대(45)는 후퇴위치에 있는 헤드(48)의 앞쪽을 통고하여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로딩폴(25)이 스토퍼(88)에 눌려 계지된다.
또 캠반(29)의 회전에 의하여 로딩폴(25)이 헤드(48)의 앞을 통과한 후, 핀(55)이 캠홈(47)에 안내되어 캠반(29)의 외주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암(51)과 보조암(52)이 일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헤드(48)는 소형 카세트(10)외로 인출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11)에 근접하여 이것에 접촉된다. 최종적으로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보조암(52)이 지지암(51)과는 독립으로 회전하여 지지암(51)은 토오션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스톱폴(44)로 밀려 접촉됨으로써 헤드(48)가 위치결정된다.
또 캠반(29)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58)가 핀(61)을 캠홈(47)으로 안내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연결 레버(90), (91)를 거쳐 핀치 로울러 지지암(92)이 축(93)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핀치 로울러(49)가 캡스턴(75)에 압착된다. 핀치 로울러(49)의 캡스턴(75)으로의 압착력은 레버(90), (91)간의 코일 스프링(94)의 탄성력에 의하여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헤드(48)및 핀치 로울러(49)의 이동(47)중 반경 증가 부분(47C)에 의하여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헤드(48)및 핀치 로울러(49)는 테이프 장전 동작이 전반에서는 각각 원 위치에 정지하고, 상기 동작의 후반에서는 이동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단 검출 수단은 테이프 장전 개시후에 광선이 핀치로울러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 다른 조건을 만족시키고, 더우기 상당히 큰 자유도를 가지고 배치할 수있게된다.
또 상기 지지암(51)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100)를 거쳐서 L자형 레버(101)가 축(10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끈(103)이 늦추어져 L자형 레버(104)가 스프링(105)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끈(103)은 안내 로울러(106)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장치의 원주 둘레를 따라 직각으로 가설되고, 상기 레버(101)와 L자형 레버(104)를 연결하고 있다. 레버(104)가 회전함으로써 텐션암(107)이 스프링(108)에 의하여 축(109)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텐션폴(74)이 동작위치에 달하여 브레이크 밴드(110)가 긴장된다.
이것에 의하여 기록 재생장치(1)는 제2도에 표시한 상태로 되어 공급측 릴(14)로부터 인출된 자기 테이프(11)는 고정 가이드폴(111), 텐션폴(74), 전폭소거 헤드(83)에 접촉된 후 임피던스 로울러(81)에 접촉된다. 자기 테이프(11)는 또 폴(24)및(25)의 사이에서 회전 비디오 헤드를 가지는 가이드 드럼(3)의 원주면에 나선 상태로 접촉된다. 테이프(11)는 가이드 드럼(3)에 접촉되어 주행하는 동안에 회전 비디오 헤드에 의하여 영상 신호가 기록 또는 재생된다.
가이드 드럼(3)의 접촉으로부터 이탈한 테이프(11)는 오디오 제어 헤드(48)에 접촉되어 가이드폴(112)로 안내되고, 핀치 로울러(49)와 캡스턴(75)에 의하여 협지 구동되어서 카세트(10)내에 진입하고 권취릴(15)에 권취된다. 캡스턴(75)은 캡스턴 모터(113)에 의하여 회전된다.
또 카세트 장착부(4)의 하측릴 구동 모터(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축(120a)에 압접되어 있는 진동 아이들러(121)가 아이들러 이동조성판(122)상을 전동하여 이동해서 기어체(73)의 대직경기어(73b)와 맞물리고 있는 중간기어(123)에 압접된다. 이에 의하여 모터(120)의 회전이 아이들러(121), 중간기어(123), 기어체(73)를 거쳐서 권취측릴(15)에 전달되고, 이것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테이프를 권취한다.
더우기, 플랜저 솔레노이드(125)가 여자되어 미끄럼판(126)이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슈(127), (128)가 각각 공급릴다이(72)및 기어체(73)로부터 떨어져 제동이 해제된다.
기록재생 모드시에 포즈조작을 하면, 캠반(29)이 타이밍 기어(20), (21)와는 독립적으로 화살표 A2방향으로 다소 회전하고, 핀치 로울러(49)가 제2도(제1도)중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캡스턴(75)으로부터 떨어져 포즈 모드로 된다.
기록 재생 모드중에 정지 조작을 행하면, 테이프 장전 동작시에 동작한 각 기구가 장전시와는 역의 순서로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언로딩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 테이프 되감기 모드시에는 모터(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진동 아이들러(121)는 공급릴다이(72)에 맞닿아 이것이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테이프단 검출 수단에 대하여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30)은 발광원으로서, 샤시(2)상에 고정되어 있고, 그 위치는 평면도상에서는 소형 카세트(10)의 전방에 약간 편의하고 입면도상에서는 소형 카세트(10)보다 낮게 위치되어 있다. 즉, 발광원(130)은 카세트 장치부에는 돌출되어 있지 않아서 소형 카세트(10)에는 발광원(130)을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는 불필요하게 되어 소형 카세트(10)는 효과적으로 소형화된다. 또, 발광원(130)은 소형 카세트(10)보다 낮은 높이 즉, 소형 카세트(10)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11)의 하측 가장자리가 지나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 테이프 장전 및 언로딩 동작은 발광원(130)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고 행하여 진다.
또 발광원(130)은 Y자형 본체를 가지고 광을 소형 카세트(10)의 전면에 평행한 면내에서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양측에 향하여 출사하다. (131), (132)는 출사된 광선의광축이다. 광축(131)은 공급측 릴(14)로부터 소형 카세트(10)외로 인출된 테이프와 교차하고, 다른 광축(132)은 권취측 릴(15)로부터 소형 카세트 외로 인출된 테이프와 교차한다.
(133)는 엔드센서, (134)는 스타트 센서인데, 각각 샤시(2)상의 지지 브래킷(135), (136)에 부착되어 있으며, 소형 카세트(10)(카세트 장착부(4))의 좌우의 상방에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각 센서(133), (134)는 공히 전방으로 돌출된 통체(137), (138)를 가진다. 엔드 센서(133)의 통체(137), (131)는 상기 광축(131)과 일치하는 방향에 부착되어 있고 테이프를 통과한 광축(134)에 연한 광을 수광한다. 스타트 센서(138)의 통체(132)는 상기 광축(132)과 일치하는 방향에 부착되어 있고 테이프를 통과한 광축(132)에 연한 광을 수광한다. 여기서 각 센서(133), (134)는 통체(137), (138)의 깊은 곳에 설치되고. 또 통체(137), (138)가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광에 의한 영향을 받기가 어렵게 되어 오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발광원(130)과 스타트 센서(134)는 광축(132)이 테이프 장전 청기에 있어서는 물론 포즈모드시에도 핀치 로울러(49)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더우기, 광축(131), (132)은 테이프단 검출수단(5)이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폴(24), (25)에 의하여 횡단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10도의 위치 P3의 위치와 테이프 장전 기구의 관계는 소자(64내지 66)가 위치 P3을 검지하였을 때 테이프 장전 동작은 제1도중 1점 쇄선 및 제12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까지 진행하고, 가이드 드럼(3)에는 접촉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떨어진 테이프 통로(11B)가 형성되도록 정해져 있다.
다음에 상기의 테이프단 검출 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소형 카세트(10)가 장착된 것만으로서의 테이프 장전 동작 개시전에 있어서, 각 센서(133), (134)는 발광원(130)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 투명 테이프부를 검출한 것과 등가인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때에는 소자(64내지 66)로부터의 출력은 [000]이고, 각 센서(133), (134)는 함께 비작동 상태에 있으며, 자기 테이프부를 검출한 것과 등가로 되어 테이프 장전 동작은 개시된다. 테이프 장전 동작이 개시되면 바로 소자(64내지 66)로부터의 출력은 [100]으로 되지만, 이 경우에도 각 센서(133), (134)는 비작동 상태로 유지되어 테이프장전 동작은 진행한다. 따라서 테이프단 검출수단(5)은 소형 카세트(10)외에 설치한 것에 의한 불편은 생기지 않는다.
테이프 장전 동작이 로딩폴(24), (25)이 각각 광축(131), (132)을 약간 넘어서 테이프가 드럼(3)까지 달하지 않은 제1도중 1점 쇄선 및 제12도에 표시한 상태까지 진행하면, 소자(64내지 66)로부터의 출력이 [110]으로 되어 각 센서(133), (134)가 동작상태로 되어, 테이프단 검출 수단(5)이 이 시점에서 즉 테이프 장전 동작 개시보다 지연해서 동작을 개시한다.
이때에 피검출체가 자기 테이프인 경우에는 테이프 장전 동작은 그대로 진행되어 테이프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장전된다.
또, 상기의 시점에서 투명 테이프부가 카세트 외로 인출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한쪽의 센서(133)또는 (134)가 투명 테이프부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단(5)은 테이프단을 감지한다. 테이프단이 감지되면 미리 마아크로 컴퓨터에 프로그래밍된 지시에 의하여 즉시 테이프 장전 동작이 정지되어, 언로딩 동작이 행하여지고 테이프는 소형 카세트(10)내에 권회 수납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장전 동작이 불필요하게 진행하여 자기 테이프부와 투명 테이프부와 투명테이프부의 이음매가 드럼(3)에 접촉하여 비디오 헤드를 손상시키는 사고가 확실히 방지된다. 또 언로딩 종료후에, 장치(1)는 수광한 센서가 엔드 센서(133)일때는 되감기 동작, 스타트 센서(134)일때는 급송 동작을 자동적으로 소정 시간 행한다. 소형 카세트(10)내에서의 테이프 권회상태는 잇달은 테이프 장전동작이 도중에서 정지하지 않고 종로위치까지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테이프 장전 동작이 완료하면 소자(64내지 66)의 출력은 [111]로 되어 마이크로 컴퓨터가 , 신호를 독출하면 엔드 센서(133)만이 작동 상태로 유지되고, 스타트 센서(134)는 비동작으로 되어 소비전력이 저감된다. 기록 재생동작이 테이프단까지 행하여지면 엔드 센서(133)가 테이프단을 감지하고 기록 재생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또 포즈 모드시에는 소자(64내지 66)의 출력은 [010]으로 되어 엔드 센서(133)와 함께 스타트센서(134)가 작동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포즈 상태에 있어서 역방향의 화상 탐색등의 동작이 행해지고, 테이프가 되감겨져서 권취측 릴의 투명 테이프부가 카세트외로 인출되었을 경우에 이것을 감지하여 장치를 정지시킨다.이 때문에, 권취측 릴측의 투명 테이프부의 길이가 모드 인출 되었을 경우에 생기는 자기 테이프부와의 이음매가 폴(25)을 넘어서 드럼(3)에 접촉되는 불편이 확실히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테이프단 검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제14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실시예는 ① 발광원과 수광원이 카세트 장착부내에 돌출하여 있지 않는 것, ② 각 소자가 테이프 장전 및 언로딩 동작을 방해하지 않은 위치에 있는 것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여 발광원과 수광소자의 높이 위치를 변경하여 다른 배치로 한 것으로서, 각 도면중 제1도, 제12도, 제13도 중에 표시한 구성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테이프단 검출장치(140)는 발광원과 센서의 상하 배치 관계를 제13도의 것과는 역으로 한 것으로서 발광원(130)이 하향으로 되고, 소형카세트(10)의 상방에배치되어 광축(131), (132)이 함께 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되며, 엔드센서(133)및 스타트센서(134)가 카세트 양측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단 검출장치(140)는 상기의 장치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제16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테이프단 검출장치(141)는 발광원(130)을 소형 카세트(10A)의 하측에서 카세트(10A)의 전면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여 엔드센서(133)및 스타트 센서(134)를 카세트(10A)의 좌우측에 설치한 구성이고, 광축(131), (132)이 카세트(10A)내를 관통하고 카세트(10A)의 내부에서 테이프와 폭방향 위로 경사되어 고차한다. 카세트(10A)는 외벽면중 광축(131), (132)이 통과하는 개소는 투명부로 하고 있다.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테이프단 검출장치(142)는 상기의 장치(141)와는 발광원(130)과 센서(133), (134)의 상하 배치를 역으로 한 것으로서, 발광원(130)은 상측에, 센서( 33), (134)는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10B)는 외벽면중 광축(131), (132)이 통과하는 개소는 투명부로 하고 있다.
상기의 검출장치(141), (142)는 테이프단을 카세트내에서 검출하기 때문에 센서(133), (134)는 카세트 장착시에 즉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의 발광원(130)및 센서(133), (134)는 테이프 장전 동작에 관련하여 이동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구조는 간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단 검출 장치는 테이프단을 검출하는 테이프단 검출 수단을 카세트외로 인출된 테이프단을 검출하도록 카세트 장착부의 외측에 설치하여 테이프 장전 수단이 동작함으로써, 테이프가 카세트외에 일부 인출된 후에 테이프단 검출 수단이 동작을 개시하도록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단 검출 수단을 하등 지장 없이 카세트 장착부외로 배치할 수 있고, 그리하여 이것을 카세트 장착부내에 설치한 종래의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카세트의 테이프단 검출 수단의 발광원 등을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되어 카세트를 효과적으로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또 테이프단 검출 수단의 동작 개시 시점은 테이프 장전 동작이 진행하여도 테이프가 드럼에 접촉하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부와 투명 테이프부의 이음매가 드럼에 접촉하여 비디오 해드를 손상시키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향하는 발광원과 수광부의 높이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함께 카세트 장착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또 발광원과 수광부를 잇는 광축이 테이프와 그 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었으므로 카세트 장착시에 발광원이 카세트내에 감입하는 일이 없고, 카세트에는 발광원 수납을 위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카세트의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으며, 광축이 비스듬히 되어 있기 때문에 광축이 각 부재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발광원과 수광부를 배치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종래보다 완화되어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또 특히 수광부를 발광원으로부터 수광부에 향하는 광선의 광축 방향을 향하여 설치하고, 또 전면에 통체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아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Claims (4)

  1.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드럼에 첨접 시켜서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테이프단 검출 장치에 있어서,테이프단 검출 수단(5)은 카세트 장착부의 외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발광원(130)과 수광부(133, 134)를 포함하여 테이프 장전 수단의 동작에 의해 테이프가 카세트외로 일부 인출된 후에 상기 테이프단 검출 수단(5)이 상기 카세트 외로 인출된 테이프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테이프단 검출 수단(5)은 장착된 카세트의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테이프단 검출 수단(5)이 카세트로부터 인출된 테이프가 1 드럼에 접촉하기 전의 시점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발광원(130)과 수광부(133, 134)는 서로의 높이를 상이하게 함과 동시에 장착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발광원(130)에서 수광부(133, 134)로 향하는 광선의 광축이 테이프와 그 폭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발광원(130)과 서로 대향된 수광부(133, 134)에는 그 앞쪽에 통체(137, 138)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 장치.
KR1019830000818A 1982-03-01 1983-02-28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KR860001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32041A JPS58150151A (ja) 1982-03-01 1982-03-01 記録再生装置のテ−プ端検出装置
JP???57-32041 1982-03-01
JP???57-29293 1982-03-02
JP2929382U JPS58131441U (ja) 1982-03-02 1982-03-02 記録再生装置のテ−プ端検出装置
JP29293 1982-03-02
JP32041 198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886A KR840003886A (ko) 1984-10-04
KR860001746B1 true KR860001746B1 (ko) 1986-10-20

Family

ID=2636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818A KR860001746B1 (ko) 1982-03-01 1983-02-28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16274A (ko)
KR (1) KR860001746B1 (ko)
BR (1) BR8301000A (ko)
DE (1) DE3307159A1 (ko)
FR (1) FR2522431B1 (ko)
GB (1) GB2117962B (ko)
MY (1) MY8700261A (ko)
NL (1) NL18391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6481A1 (de) * 1984-05-04 1985-11-07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Lichtkanalabdeckung fuer eine endabschaltvorrichtung eines kassettenmagnetbandes
JPS62232750A (ja) * 1986-04-02 1987-10-13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4762292A (en) * 1987-01-30 1988-08-09 Anci Alexander M D Vacuum column web loop position sensing system
JPS63213139A (ja) * 1987-02-27 1988-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320664A (ja) * 1988-06-23 1989-12-26 Pioneer Electron Corp テープレコーダのスレッディング装置
JP2533621B2 (ja) * 1988-10-28 1996-09-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US5054501A (en) * 1990-05-16 1991-10-08 Brigham & Women's Hospital Steerable guide wire for cannulation of tubular or vascular organs
US5222003A (en) * 1990-11-13 1993-06-22 Colorado Memory Systems Optical tape position sensing system for magnetic tape media in computer memory backup devices
JP2693049B2 (ja) * 1991-02-26 1997-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6223554A (ja) * 1993-01-26 1994-08-12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274839A (ja) 1993-03-23 1994-09-30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要素クリーニングカセット
US5572381A (en) * 1993-06-07 1996-11-0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for a simplified video cassette recorder apparatus
CN1077313C (zh) * 1994-04-08 2002-01-02 三星电子株式会社 夹送轮驱动装置
US5597130A (en) * 1995-06-21 1997-01-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ape winding linkage of drum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70017327A (ko) * 1995-09-30 1997-04-30 배순훈 브이씨알의 산란 방지용 릴센서 프리즘
JP3768655B2 (ja) * 1997-09-09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ープガイド装置及びそれを含む記録又は再生装置
JP2000235746A (ja) * 1999-02-12 2000-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検知装置
JP4333054B2 (ja) * 2001-05-25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US7057840B2 (en) * 2002-06-03 2006-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 and playback device
KR20060041442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4377B (de) * 1967-01-25 1967-11-16 Robert Bosch Elektronik Tonbandgeraet fuer ein in einer Kassette untergebrachtes Tonband mit einer fotoelektrischen Endabschaltung
US3497157A (en) * 1967-07-14 1970-02-24 Minnesota Mining & Mfg Two-reel cartridges having reflecting means
US3614453A (en) * 1970-04-08 1971-10-19 Richard M Johnson Radiation sensitive cassette leader detector
FR2098778A5 (ko) * 1970-07-21 1972-03-10 Teppaz Sa
DE2058744A1 (de) * 1970-11-30 1972-06-08 Sued Atlas Werke Gmbh Kassette zum Aufnehmen von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n
JPS5149926Y2 (ko) * 1971-04-08 1976-12-02
US3866856A (en) * 1972-08-03 1975-02-18 Victor Company Of Japan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3861619A (en) * 1972-11-02 1975-01-21 Minnesota Mining & Mfg Magnetic tape position sensing
JPS5539057B2 (ko) * 1972-12-29 1980-10-08
AT328202B (de) * 1973-05-03 1976-03-10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t
US3912205A (en) * 1973-12-19 1975-10-14 Victor Company Of Japa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utomatically stopping apparatus
DE2445751A1 (de) * 1974-09-25 1976-04-15 Compur Werk Gmbh & Co Tonaufnahme- und wiedergabegeraet
JPS5545593Y2 (ko) * 1975-04-14 1980-10-25
CA1077618A (en) * 1975-12-13 1980-05-13 Victor Company Of Japan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ends of a cassette tape
US4057839A (en) * 1975-12-22 1977-11-08 Mfe Corporation Tape cassette drive
US4185306A (en) * 1978-04-03 1980-01-22 Dudley Don J Magnetic tape processor having cleaning and evaluating means
JPS5552546A (en) * 1978-10-06 1980-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671849A (en) * 1979-11-16 1981-06-15 Canon Inc Cassette type video tape recorder
JPS5880163A (ja) * 1981-11-05 1983-05-14 Can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886A (ko) 1984-10-04
GB2117962B (en) 1985-10-02
FR2522431A1 (fr) 1983-09-02
DE3307159C2 (ko) 1987-07-30
MY8700261A (en) 1987-12-31
BR8301000A (pt) 1983-11-16
NL183910B (nl) 1988-09-16
GB8305548D0 (en) 1983-03-30
NL183910C (nl) 1989-02-16
NL8300740A (nl) 1983-10-03
FR2522431B1 (fr) 1986-07-25
US4616274A (en) 1986-10-07
GB2117962A (en) 1983-10-19
DE3307159A1 (de) 198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746B1 (ko)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KR900006770B1 (ko) 단시간 기록용 테이프 카세트
US3764757A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tape guide and pick-up system for use with a tape cartridge
US4964001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lective use with tape cassettes of two different sizes
US4499513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012364A (en) Tape-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lective use of tape cassettes of two different sizes
US4626938A (en) Tape loading device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138746Y2 (ko)
US6762903B2 (en) Tape drive
JP200610754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58663B2 (ko)
JPS6234046Y2 (ko)
JPH0438058B2 (ko)
JP364651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38764Y2 (ko)
JPH0422416Y2 (ko)
JPS58171759A (ja) 記録再生装置
JPH0112574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38765Y2 (ko)
JPH0633555Y2 (ja) テープ駆動モード切換装置
JPS595455A (ja) 記録再生装置
JPS6133320Y2 (ko)
JP3536335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S5880162A (ja)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3156767A (ja) テープ式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