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442A -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442A
KR20060041442A KR1020040090646A KR20040090646A KR20060041442A KR 20060041442 A KR20060041442 A KR 20060041442A KR 1020040090646 A KR1020040090646 A KR 1020040090646A KR 20040090646 A KR20040090646 A KR 20040090646A KR 20060041442 A KR20060041442 A KR 20060041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ape
deck
pris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배
심재훈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1442A/ko
Priority to US11/218,573 priority patent/US7377461B2/en
Publication of KR2006004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주행하는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헤드드럼에 설치되는 데크와; 주행하는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장치;를 포함하며, 센싱장치는, 데크 상에 설치되어 테이프카세트에서 풀려나가 주행되는 테이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테이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주행하는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수광부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A Tape-end detecting sensor and a magnetic recording/rea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배면도.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수광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평면도.
도 7 및 도 8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수광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헤드드럼 20..데크
31,131..서플라이 릴테이블 33,133..테이크업 릴테이블
40,140..센싱장치 41,141..발광부
43,143..수광부 45..회로기판
50..테이프 카세트 120..메인데크
130..서브데크
본 발명은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시작 및 끝단을 감지하는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자기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VCR(video cassette tape recorder), 캠코더(camcoder)등이 있다.
상기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데크에 설치되는 헤드드럼 조립체와, 데크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 조립체로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수단과, 데크에 설치되어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릴을 지지하는 릴테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릴테이블은 테이프를 공급하는 서플라이 릴테이블과, 공급된 테이프를 회수하는 테이크업 릴테이블을 가진다. 상기 각 릴테이블은 데크에 설치되는 캡스턴모터의 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즉,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테이프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서플라이 테이프릴에서 풀려나와 헤드드럼 조립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테이크업 릴테이블을 구동시키면, 테이프는 서플라이 릴테이블 쪽에서 풀려나와 테이크업 릴테이블 쪽으로 감기게 된다. 테이크업 릴테이블 쪽으로 테이프를 감으면서 헤드드럼 조립체에서는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테이프를 어느 한 쪽으로 감을 때, 상기 캡스턴모터의 제어부에서는 최초에 테이프가 어느 정도 감겨져 있는 상태인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테이프가 어느 정도 테이프릴에서 다 풀려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캡스턴모터의 구동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도록 하는 테이프 센싱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테이프 감지장치는, 데크상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데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한 쌍의 릴테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광을 발광한다. 상기 수광부는 데크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광을 각각 수광한다. 상기 테이프의 초기와 끝단은 정보 기록부분과는 서로 다른 광 투과율을 갖도록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은 테이프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광부에서 광을 수광하지 못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테이프의 끝단이 아직 풀리지 않은 상태로 인식하여 캡스턴모터를 계속해서 구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테이프의 끝단이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경우, 테이프의 끝단이 풀리게 되면 수광부에서는 광을 수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캡스턴모터의 구동을 멈추거나 속도를 감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 주행하는 테이프는 그 주행 텐션의 정도에 따라서 높이가 변할 수 있게 된다. 테이프의 높이가 변할 경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테이프에서 차단되지 못하고, 테이프의 테두리를 벗어나서 수광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의 시작 및 끝단을 잘못 감지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테이프의 시작 및 끝단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개선된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는, 데크 상에 안착된 테이프카세트에서 풀려나가는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카세트에서 풀려나가 주행되는 테이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테이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주행하는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광부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데크의 양측벽 각각에 설치되는 프리즘과; 상기 프리즘에서 산란된 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프리즘의 하방에 배치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의 소정면적을 덮도록 부착되는 광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흡수부재는 흑색필름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의 소정면적에 거칠기를 주어 광의 통과를 막도록 한 스크레치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데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리즘에 마주하도록 상기 수광센서를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광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된 채 상기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지지되어 상기 프리즘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주행하는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헤드드럼에 설치되는 데크와; 상기 주행하는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데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카세트에서 풀려나가 주행되는 테이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테이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주행하는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광부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헤드드럼이 설치되는 메인데크와; 상기 메인데크에 왕복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며,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서브데크와; 상기 테이크 카세트에서 풀려나가는 테이프를 센싱하는 테이프 센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센싱장치는, 상기 서브데크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테이프를 통과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광부로 향하는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에서 풀려나와 회수되는 쪽으로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테이프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1수광부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에서 풀려나가는 쪽으로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테이프의 끝단을 감지하는 제2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 각각은, 상기 서브데크의 측벽에 설치되어 압사되는 광을 소정 각도로 굴절시키는 프리즘과; 상기 메인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즘에서 굴절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헤드드럼(11)이 설치되는 데크(20)와, 데크(20) 상에서 테이프카세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릴테이블(31,33)과,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릴에서 풀려나가는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기 위한 테이프 센싱장치(40)를 구비한다.
상기 데크(20)에는 테이프의 로딩 및 정보 기록/재생을 위한 기구적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조물이 적소에 배치된다. 즉, 데크(20)에는 상기 릴테이블 (31,33)에 안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이출하여 소정 경로를 주행하도록 가이드하는 로딩모터(21) 및 다수의 가이드부재(23,24)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드럼(10)은 소정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자기헤드를 가진다.
상기 릴테이블(31,33)은 데크(20)에 설치된 캡스턴모터(2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데크(20)에는 캡스턴모터(25)의 동력을 전달받아 릴테이블(31,33)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아이들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3,25)는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 및 핀치롤러 조립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데크(20)는 소위 원데크로서 폴베이스조립체(23)가 가이드되는 가이드슬릿이 데크(20)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데크(20)에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하우징(미도시)이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 센싱장치(40)는 발광부(41)와, 수광부(43)와, 광차단부(44) 및 회로기판(45)을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41)는 데크(20)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데크(20)의 양측벽(20a,20b) 각각을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이러한 발광부(41)는 상기 회로기판(45)에 설치되는 홀더(41a)와, 홀더(41a)에 지지되는 발광소자(41b)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소자(41b)는 회로기판(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광을 양방향으로 각각 조사하게 된다. 즉, 발광소자(41b)는 테이프 카세트에서 풀려나간 테이프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45)은 데크(20)의 하측에 나사(27)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회로기판(45)에 지지된 발광부(41)가 데크(2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데크(20)에는 통과공(20c)이 형성된다.
상기 수광부(43)는 발광부(41)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발광부(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광부(43)는 테이크업 릴테이블(33) 쪽에서 테이프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1수광부(47)와, 서플라이 릴테이블(31) 쪽에서 테이프의 끝단을 감지하는 제2수광부(48)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수광부(47,48)는 데크(20)의 양측벽(20a,20b)에 각각 지지되는 프리즘(47a,48a)과, 상기 프리즘(47a,48a)의 하방에 배치되는 수광센서(47b,48b)를 구비한다.
상기 각 프리즘(47a,48a)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입사된 광을 굴절 및 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프리즘(47a,48a)은 입사하는 광원에 대해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입사면(s1)과, 입사되어 산란되는 광을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반사면(s2)을 가진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프리즘(47a,48a)에는 광차단부(44)가 마련된다. 상기 광차단부(44)는 테이프(T)를 통과하지 않은 광이 프리즘(47,48)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차단부(44)는 프리즘(47a,48a)의 광 입사면(s1) 일부분을 덮도록 부착된 광흡수부재인 것이 좋다. 상기 광흡수부재는 블랙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즘(47a,48a)의 하단 쪽에 광차단부(44)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광차단부(44)는 프리즘(47a,48a)의 광입사면(s1)을 소정 거칠기를 갖도록 가공한 스크레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리즘(48a,48a)의 성형시, 상기 광입사면(s1)에 스크레치를 가공하여 광차단부를 형성시킴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광센서(47b,48b) 각각은 상기 프리즘(47a,48a) 각각의 하측메 위치되게 상기 회로기판(40)에 설치된다. 각 수광센서(47b,48b)는 회로기판(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리즘(47a,48a)에서 산란되어 굴절되는 광을 수광함으로써,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수광센서(47b,48b)는 데크(20)의 바닥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주행하는 테이프(T)의 상하로 유동하거나 펄럭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경우라도, 테이프(T)를 벗어나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광차단부(44)에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T)의 시작 및 끝단이 아닌 부분에서 테이프(T)를 벗어나서 조사된 광을 수광센서(47b,48b)가 수광하여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의 센싱동작시 발생하는 오동작을 억제시킴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헤드드럼(110)이 설치된 메인데크(120)와, 메인데크(1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데크(130)와, 테이프 센싱장치(140) 및 광차단부(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데크(120)에는 로딩모터(121)의 동력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서브데크(120)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데크(110)에는 테이프(T)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들(123,125,125)이 설치된다.
상기 서브데크(120)에는 테이프카세트(50)의 테이프릴이 안착되는 서플라이 릴테이블(131)과, 테이크업 릴테이블(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릴테이블들(131,133)은 메인데크(120)에 설치된 캡스턴모터(126)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 구동된다.
상기 서브데크(120)는 테이프 카세트(50)의 장착시 헤드드럼(110) 쪽으로 로딩되고, 테이프카세트(50)의 취출을 위해서는 헤드드럼(11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언로딩된다. 이러한 서브데크(120)의 로딩/언로딩동작 및 구동 메커니즘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테이프 센싱장치(140)는 서브데크(13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발광부(141)와, 발광부(141)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발광부(141)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광부(143)(145)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141)는 서브데크(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홀더(141a)와, 상기 홀더(141a)에 지지되는 발광소자(141b)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소자(141b)는 서브데크(130)의 양측벽(135,136) 각각을 향하도록 광을 조사한다. 즉, 발광소자(141b)는 주행하는 테이프(T)를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수광부(143)는 테이크업 릴테이블(133) 쪽으로 감기는 테이프(T)로 조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테이프(T)의 시작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수광 부(145)는 서플라이 릴테이블(131) 쪽으로 공급되는 테이프(T)로 조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테이프(T)의 끝단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143,145) 각각은 서브데크(130)의 측벽(135,136) 각각에 설치되는 프리즘(143a,145a)과, 프리즘(143a,145a)의 하방에 배치되는 수광센서(143b,145b)를 구비하다.
각 프리즘(143a,145a)은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 각각의 프리즘(143a,145a)은 발광부(141)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s1)과, 입사된 광을 수광센서(143b,145b) 쪽으로 굴절시키는 반사면(s2)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143a,145a) 각각에는 상기 광차단부(150)가 마련된다.
상기 광차단부(150)는 프리즘(143a,145a)의 하단쪽에 마련되어 입사하는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광흡수부재는 프리즘(143a,145a)에 부착되는 블랙필름인 것이 좋다. 또한, 광차단부(150)는 프리즘(143a,145a)의 입사면(s1)의 일부를 소정 거칠기로 스크레치 가공한 스크레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광차단부(150)를 마련함으로써, 테이프(T)를 거치지 않고 조사되는 광이 프리즘(143a,145a)을 통해 수광센서(143b,145b)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광센서(143b,145b)는 메인데크(120)에 설치된다. 상기 수광센서들(143b,145b)은 미도시된 신호회로에 연결되어 제어부로 광수광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데크(130)에는 프리즘(143a,145a)에서 굴절되어 수광센서 (143b,145b)로 향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광통과공(130a)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데크(130)가 헤드드럼(110) 쪽으로 이동된 로딩상태에서, 상기 프리즘(143a,145a)의 직하방에 수광센서(143b,145b)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경우에도,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따르면,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수광부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2)

  1. 데크 상에 안착된 테이프카세트에서 풀려나가는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카세트에서 풀려나가 주행되는 테이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테이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주행하는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광부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데크의 양측벽 각각에 설치되는 프리즘과;
    상기 프리즘에서 굴절된 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프리즘의 하방에 배치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의 소정면적을 덮도록 부착되는 광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재는 흑색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의 소정면적에 거칠기를 주어 광의 통과를 막도록 한 스크레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 이프 센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리즘에 마주하도록 상기 수광센서를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된 채 상기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지지되어 상기 프리즘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센싱장치.
  9. 주행하는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헤드드럼에 설치되는 데크와;
    상기 주행하는 테이프의 시작과 끝단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데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카세트에서 풀려나가 주행되는 테이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테이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주행하는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광부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0.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데크의 양측벽 각각에 설치되는 프리즘과;
    상기 프리즘에서 산란된 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프리즘의 하방에 배치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의 소정면적을 덮도록 부착되는 광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재는 블랙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의 소정면적에 거칠기를 주어 광의 통과를 막도록 한 스크레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센서로 굴절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리즘에 마주하도록 상기 수광센서를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된 채 상기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지지되어 상기 프리즘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7. 헤드드럼이 설치되는 메인데크와;
    상기 메인데크에 왕복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며,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서브데크와;
    상기 테이크 카세트에서 풀려나가는 테이프를 센싱하는 테이프 센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센싱장치는,
    상기 서브데크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테이프를 통과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광부로 향하는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에서 풀려나와 회수되는 쪽으로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테이프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1수광부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에서 풀려나가는 쪽으로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테이프의 끝단을 감지하는 제2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 각각은,
    상기 서브데크의 측벽에 설치되어 압사되는 광을 소정 각도로 굴절시키는 프리즘과;
    상기 메인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즘에서 굴절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 각각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재는 블랙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프리즘 각각의 광입사면 일부에 소정 거칠기를 갖도록 마련된 스크레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KR1020040090646A 2004-11-09 2004-11-09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KR20060041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646A KR20060041442A (ko) 2004-11-09 2004-11-09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US11/218,573 US7377461B2 (en) 2004-11-09 2005-09-06 Tape-end sensor and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646A KR20060041442A (ko) 2004-11-09 2004-11-09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442A true KR20060041442A (ko) 2006-05-12

Family

ID=3681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646A KR20060041442A (ko) 2004-11-09 2004-11-09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77461B2 (ko)
KR (1) KR20060041442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274A (en) * 1982-03-01 1986-10-07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end detecting device for extractable tape type cassette
JPH0677385B2 (ja) 1986-09-30 1994-09-28 京セラ株式会社 テ−プクリ−ナ
JPH02187975A (ja) 1989-01-13 1990-07-24 Toshiba Corp カセットテープ
KR970010940B1 (ko) 1994-04-08 1997-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장치
KR970010939B1 (ko) 1994-11-01 1997-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화된 신호대 잡음비 측정장치
JP3558027B2 (ja) * 2000-09-28 2004-08-2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ット
KR20050120095A (ko) * 2004-06-18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77461B2 (en) 2008-05-27
US20060181801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6274A (en) Tape end detecting device for extractable tape type cassette
US4758909A (en) Magnetic recording or reproducing device
KR20060041442A (ko) 테이프 센싱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장치
KR95000045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잔량 검출장치
JP2976555B2 (ja) テープエンド検出機構
KR200301116Y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커버
KR100421989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감지센서 지지장치
GB2308723A (en) Vertically moving guide posts/rollers adjust video tracking
KR2001458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JP358508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検出装置
KR19990029448U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용 수발광부 일체형 감지장치
KR200173006Y1 (ko) 센서의 발광 프리즘 고정구조
KR200183042Y1 (ko) 브이시알의 테이프 끊어짐 감지장치
US7424728B2 (en) Double-sided recording/reproducing disk drive
KR20014364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JPH08273245A (ja) リールテーブルの回転速度検出装置
KR100588913B1 (ko) Vcr장치에서 테이프 보호를 위한 테이프 시작/끝검출방법
KR100206806B1 (ko) 자기기록장치의 테이프엔드 감지센서
JP2531014B2 (ja) テ―プデッキ
KR19980050366U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US6574064B1 (en) Tape recorder
KR19990020310U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단부 및 릴회전감지장치
KR20016064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JPH0338664B2 (ko)
JPH08190748A (ja) テープ終始端の検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