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874Y1 -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874Y1
KR200145874Y1 KR2019960007907U KR19960007907U KR200145874Y1 KR 200145874 Y1 KR200145874 Y1 KR 200145874Y1 KR 2019960007907 U KR2019960007907 U KR 2019960007907U KR 19960007907 U KR19960007907 U KR 19960007907U KR 200145874 Y1 KR200145874 Y1 KR 200145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light receiving
lead frame
en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667U (ko
Inventor
오현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07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874Y1/ko
Publication of KR970059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by photoelectric sen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Photo Coupler, Interrupter, Optical-To-Optical Conver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된 캡과; 캡의 내부에 위치되며, 좌ㆍ우 수광 프리즘과 대응되는 양측면에 안착홈이 마련된 리드 프레임과; 리드 프레임의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어 좌ㆍ우 수광 프리즘을 광을 조사하는 좌ㆍ우 발광소자와; 리드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좌ㆍ우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내장된 리드단자;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광이 직접 수광 프리즘을 통해 수광소자에 안내됨으로써, 광효율이 향상된 것이며, 특히 별도의 발광 프리즘이 불필요하여 조립작업성의 향상 및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제1도는 일반적인 엔드센서의 구성을 보인 발췌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발광수단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수광센서 21 : 수광소자
22 : 수광 프리즘 50 : 리드 프레임
51,52 : 안착홈 51a,52a : 경사면
60,70 : 좌ㆍ우 발광소자 80 : 리드단자
90 : 전선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양단을 검출하는 엔드센서(end sensor)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자기기록매체인 테이프를 데크(deck)상의 소정의 주행경로상으로 주행시키면서 테이프에 영상 및 음성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테이프의 주행모드에 있어서, 특히 빨리 감기(FF MODE)나 빨리되감기(REW MODE)등의 고속주행시에는 테이프가 끝까지 감길 경우 테이프가 감겨지는 릴(reel)의 관성력(慣性力)에 의해 테이프가 늘어지거나 심한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따라 불투명한 자기 테이프의 양단부에 투명한 리더 테이프(reader tape)를 각각 접착하고 데크상에는 광투과 여부에 따라 테이프의 리더 테이프를 검출하는 엔드센서를 구비하여, 테이프의 주행시 테이프가 끝까지 감기기 전에 미리 릴의 회전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제1도에는 이러한 엔드센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테이프의 내측에서 광을 조사하는 발광센서(10)와, 테이프의 양 외측에서 발광센서(10)로부터 조사된 광을 각각 감지하는 수광센서(20)로 구성된다.
발광센서(10)는, 데크(미도시) 하부의 회로기판 중간에 설치되는 발광소자(30)와 이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데크에 설치되어 그 광을 테이프에 대향하는 양측으로 전달하는 경사진 반사면(12a,12b)을 갖는 발광 프리즘(12)으로 구성되고, 각 수광센서(20)는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수광소자(21)와 이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발광프리즘(12)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소자(21)로 각각 안내하는 수광 프리즘(22)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엔드센서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발광소자(30)로부터의 조사된 광을 수광소자(21)로 안내하기 위하여 별도의 발광 프리즘(12)을 필요로 함으로써, 부품수 증가에 의한 단가상승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 발광 프리즘(12)을 도시하지 않은 데크새시상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나사등 많은 구성부품을 필요로 함으로써, 이 또한 단가상승을 초래하고 특히 작업성의 저하를 유발하였다.
둘째, 발광 프리즘(12)을 데크새시상에 고정함에 있어서, 매우 정밀한 조립을 요함으로써, 조립성의 저하를 유발하였다.
셋째, 하나의 발광소자(30)로부터 조사된 광을 양측에 위치된 수광소자(21)로 안내하는 것이어서, 광 효율을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발광소자(30)로부터 조사된 광이 발광 프리즘(12)을 통해 안내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누설됨으로써, 이 또한 광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단가절감과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는, 발광수단과, 이 발광수단을 중심으로 좌ㆍ우 양측면에 위치되며 발광수단에 의해 조사된 광을 수광소자로 안내하는 수광 프리즘으로 구성되어 테이프의 양끝을 검출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좌ㆍ우 수광프리즘과 대응되는 양측면에 안착홈이 마련된 리드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의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어 좌ㆍ우 수광 프리즘을 광을 조사하는 좌ㆍ우 발광소자와; 상기 리드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좌ㆍ우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내장된 리드단자;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좌ㆍ우 발광소자가 안착된 리드 프레임이 안착홈의 내측면은, 상기 좌ㆍ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좌ㆍ우 수광 프리즘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의 정면도이고, 제3도는 발광수단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1도를 참조하여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는, 크게 광(光)을 조사(照射)하는 발광수단과, 이 발광수단의 양 외측에서 조사된 광을 각각 감지하는 수광센서(20)로 대별된다.
전술한 수광센서(2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도시되지 않은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수광소자(21)와 이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발광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소자(21)로 각각 안내하는 수광 프리즘(22)으로 구성된다.
한편, 광을 조사하는 발광수단은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제3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41)가 형성된 투명한 캡(cap : 40)을 구비한다.
캡(40)의 내부에는 수광 프리즘(22)과 각각 대면하는 위치에 안착홈(51,52)이 형성된 리드 프레임(Lead Frame : 50)이 위치되는 바, 특히 이 리드 프레임(50)의 안착홈(51,52)으로는 수광센서(20)의 수광 프리즘(22)으로 광을 조사하는 좌ㆍ우 발광소자(60,70)가 각각 위치된다.
한편, 캡(40)의 내부에 위치된 리드 프레임(30)의 하면으로 부터는 하부를 향하여 리드단자(80)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바, 이 리드단자(80) 상에는 좌ㆍ우 발광소자(60,70)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써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90)이 내장 설치된다.
이때 좌ㆍ우 발광소자(60,70)가 내장 설치된 안착홈(51,52)의 내면에는 좌ㆍ우 발광소자(60,7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광 프리즘(22)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즉,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광 프리즘(22)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는 경사면(51a,52a)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리드단자(80)상에 내장된 전선(90)을 통해 발광소자(60,70)내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발광소자(60,70)가 좌ㆍ우측의 수광 프리즘(22)을 향해 광을 조사하게 되고, 이에 의해 수광소자(21)가 광의 수광여부에 따라 테이프의 양끝단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에 의하면,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광이 직접 수광 프리즘을 통해 수광소자에 안내됨으로써, 광효율이 향상된 것이며, 특히 별도의 발광 프리즘이 불필요하여 조립작업성의 향상 및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발광수단과, 이 발광수단을 중심으로 좌ㆍ우 양측면에 위치되며 발광수단에 의해 조사된 광을 수광소자로 안내하는 수광 프리즘으로 구성되어 테이프의 양끝을 검출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41)가 형성된 캡(40)과; 상기 캡(4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좌ㆍ우 수광 프리즘(22)과 대응되는 양측면에 안착홈(51,52)이 마련된 리드 프레임(50)과; 상기 리드 프레임(50)의 안착홈(51,52)에 각각 안착되어 좌ㆍ우 수광 프리즘(22)을 광을 조사하는 좌ㆍ우 발광소자(60,70)와; 상기 리드 프레임(50)의 하면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좌ㆍ우 발광소자(60,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90)이 내장된 리드단자(80);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 발광소자(60,70)가 안착된 리드 프레임(50)의 안착홈(51,52)의 내측면은, 상기 좌ㆍ우 발광소자(60,7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좌ㆍ우 수광 프리즘(22)을 향해 반시키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51a,52a)을 갖는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KR2019960007907U 1996-04-12 1996-04-12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KR200145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907U KR200145874Y1 (ko) 1996-04-12 1996-04-12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907U KR200145874Y1 (ko) 1996-04-12 1996-04-12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667U KR970059667U (ko) 1997-11-10
KR200145874Y1 true KR200145874Y1 (ko) 1999-06-15

Family

ID=1945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907U KR200145874Y1 (ko) 1996-04-12 1996-04-12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8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667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58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US3925817A (en) Optical drive control with head mounted light guide means
KR0183111B1 (ko)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KR100243794B1 (ko)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200173006Y1 (ko) 센서의 발광 프리즘 고정구조
KR100421989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감지센서 지지장치
KR20016064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KR200152556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엔드부분 감지장치
KR200301116Y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커버
US5555141A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detecting starting/ending portions of a tape
KR0181041B1 (ko) 앤드센서의 발광 프리즘 고정구조
KR19980050364U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JPH0514341Y2 (ko)
KR19980050366U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KR19980050429U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US7377461B2 (en) Tape-end sensor and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437305Y2 (ko)
KR870003383Y1 (ko) 테이프단 검출 장치
KR19980050078U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양끝단 검출용 프리즘의 오동작 방지장치
KR0113720Y1 (ko) 비데오카세트홀더의정전기제거장치
KR19990041370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구동 방법
KR19990029448U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용 수발광부 일체형 감지장치
KR100230293B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에서의 테이프 톱/엔드 판별방법
KR20014364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KR100378806B1 (ko) 브이씨알의 주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