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794B1 -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794B1
KR100243794B1 KR1019960018919A KR19960018919A KR100243794B1 KR 100243794 B1 KR100243794 B1 KR 100243794B1 KR 1019960018919 A KR1019960018919 A KR 1019960018919A KR 19960018919 A KR19960018919 A KR 19960018919A KR 100243794 B1 KR100243794 B1 KR 10024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cover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ab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603A (ko
Inventor
쥰지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4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by photoelectric sen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테이프릴과 각각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섀시상에 배치된 릴대와, 상기 릴대를 구동하는 릴대구동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섀시에 장착된 릴대커버와, 상기 릴대커버상에 설치된 테이프 단부검출소자를 구비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대커버와 상기 섀시와의 맞닿기면에, 상기 릴대커버상의 테이프단부검출소자로부터 연장된 배선과 상기 섀시상에 설치된 배선을 접속하는 접점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점부와 이 접점부 근방에 위치한 맞닿기개시부와의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맞닿기면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릴대커버를 상기 섀시에 고정한다.

Description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VTR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릴대커버의 장착구조 및 테이프단부검출소자의 배선접속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분의 측면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분의 상부측의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분의 하부측의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VTR의 언로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종래의 VTR의 로딩완료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종래의 VTR에 있어서의 릴대커버의 장착구조 및 테이프단부검출소자의 배선접속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섀시(메인섀시) (2) : 제 2섀시(슬라이드섀시)
(2a) : 나사걸어맞춤구멍 (3) : 회전드럼
(7) : 공급릴대 (8) : 감기릴대
(9) : 테이프카세트 (10) : 자기테이프
(11), (12) : 릴 (14) : 아이들러기어
(16a) : 고정나사 (17) : 발광소자
(30) : 릴대커버 (30a)~(30d) : 장착부
(31) : 나사삽입구멍 (32) : 맞닿기면
(32a), (32b) : 돌출부 (32c) : 맞닿기개시부
(33) : 도형형상의 영역 (40a),(40b),(50a),(50b) : 배선패턴
본 발명은 VTR등의, 릴대커버상에 테이프단부검출소자를 설치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5도 및 제 6도는 VTR에 삽입된 테이프카세트가 회전드럼에 접근하는 방식의 VTR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VTR은 제 1섀시인 메인섀시(1)와, 제 2섀시인 슬라이드섀시(2)를 포함하고 있고, 슬라이드섀시(2)는 메인섀시(1)상에서의 슬라이딩동작을 위해서 구성되어 있다. VTR은 또 메인새시(1)상에 배치된 회전드럼(3)을 포함하며, 이 회전드럼상에는 복수의 기록 또는 재생용 자기헤드가 탑재되어 있다. 또 VTR은 메인섀시(1)상에 돌출한 캡스턴(4), 테이프로딩수단을 구성하는 테이프가이드부재(5), (6) 및 슬라이드섀시(2) 상에 설치된 한쌍의 릴대(7), (8)를 포함하고 있다. 테이프카세트(9)는 자기테이프(10)가 감겨진 한쌍의 릴(11), (12)을 수납하고 있다.
상기 VTR에 있어서는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카세트(9)가 슬라이드섀시(2)상에 장착될때 양 릴(11), (12)이 각각 양릴대(7), (8)에 끼워진 다음, 슬라이드섀시(2)가 메인섀시(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드럼(3)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테이프가이드부재(5), (6)에 의해 개구부(9a)를 통해 테이프카세트(9)로부터 자기테이프(10)가 인출된다. 최종적으로 제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3)의 적어도 일부가 테이프카세트(9)의 개구부(9a)내로 상대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자기테이프(10)가 회전드럼(3)의 주변면을 포함한 소정의 경로로 로딩된다. 이 상태에서, 필치롤러(도시생략)에 의해 자기테이프(10)가 캡스턴(4)에 대해서 압압되고, 자기테이프(10)가 주행되어서 회전드럼(3)의 자기헤드에 의해 희망하는 정보가 기록 또는 재생된다.
통상, VTR에는 테이프단부, 즉 자기테이프(10)의 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테이프단부검출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섀시(1)에 대해서 슬라이드섀시(2)가 이동하는 상기 방식의 VTR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릴대구동부를 슬라이드섀시(2)상의 양 릴대(7), (8) 사이에 배치하므로, 테이프단부검출소자의 설치장소 및 그의 배선구조로서 이하의 구성 및 구조를 채택한다. 구체적으로, 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릴대(7)와 감기릴대(8)가 설치된 슬라이드섀시(2)는 회전드럼(3)이 배치된 메인섀시(1)에 대해서 가이드핀(1a)~(1d)과 가이드홈(2a)~(2d)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브기어(13)는 메인섀시(1)상에서 회전구동되고, 아이들러기어(14)는 슬라이드섀시(2)상에서 드라이브기어(13)의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하므로 드라이브기어(13)의 회전이 아이들러기어(14)를 통해서 공급릴대(7)와 감기릴대(8)로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아이들러기어(14)를 커버하는 릴대커버(15)는 그 4개 코너가 고정나사(16a)~(16d)에 의해 슬라이드섀시(2)에 고정되어 있다. 테이프단부검출용의 발광소자(17)는 릴대커버(15)상의 그 중앙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발광소자(17)에 대응하는 한쌍의 수광소자(18), (19)는 슬라이드섀시(2)상에 설치되어 있고, 릴대커버(15)상에 배설된 가요성의 필름형상배선재(20), 즉, 가요성프린트배선기판(이하, 커버FPC(20)라 칭함)은 그 일단부가 발광소자(17)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드섀시(2)상에 배설된 FPC(21)(이하, 섀시FPC(21)라 칭함)는 그 일단부(도시생략)가 VTR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드섀시(2)상에는, 커버FPC(20)의 다른 단부가 섀시FPC(21)의 다른 단부에 땜납(2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VTR에 있어서는, 통상, 발광소자(17)의 설치장소가 테이프카세트(9)의 통일포맷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상술의 VTR에서는, 테이프카세트(9)가 슬라이드섀시(2)와 함께 이동되므로 발광소자(17)를 이동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슬라이드섀시(2)상에는 아이들러기어(14)가 배치되므로, 발광소자(17)를 릴대커버(15)상에 설치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발광소자(17)의 배선용 커버FPC(20)는 아이들러기어(14) 등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릴대커버(15)상에 연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발광소자(17)의 배선구조 및 설치장소는 상술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그와 같은 종래예에서는, 릴대커버(15)를 슬라이드섀시(2)에 고정하는 공정의 경우, 커버FPC(20)의 배선과 섀시FPC(21)의 배선과의 땜납(22)에 의한 접속공정이 필요하므로, 자동화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섀시상으로의 릴대커버의 높이를 확실하게 설정하여 고정하는 공정의 자동화가 용이하고, 커버배선과 섀시배선 양방을 확실히 접속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릴주위에 감겨진 테이프가 수납된 카세트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섀시와, 상기 섀시상에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릴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각각 지닌 한쌍의 릴대와, 적어도 상기 한쌍의 릴대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릴대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1개의 맞닿기부를 지녀 이 맞닿기부에서 상기 섀시에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테이프의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된 센서와, 일단부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섀시상에 설치된 제 1배선부와, 일단부가 상기 센서의 일부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맞닿기부와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상에 설치된 제 2배선부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섀시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의 맞닿기면에,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 2배선부의 상기 다른 단부에 접속시키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의 맞닿기개시부사이에, 상기 맞닿기부를 상기 섀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 및/또는 재상장치의 섀시상에 설치된 한쌍의 릴대사이에 배치된 커버는, 상면판과, 상기 상면판에 일체로 연결되어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섀시와 맞닿는 면에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섀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지니고, 상기 구멍은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부의 코너부와 상기 돌출부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쌍의 릴주위에 감겨진 테이프가 수납된 카세트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제 1섀시와, 상기 제 1섀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 2섀시와, 상기 제 2섀시상에 설치되고, 한쌍의 릴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각각 지닌 한쌍의 릴대와, 적어도 상기 한쌍의 릴대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릴대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1개의 맞닿기부를 지녀 이 맞닿기부에서 상기 제 2섀시에 고정되는 커버와, 테이프의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된 센서와, 일단부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섀시상에 설치된 제 1배선부와, 일단부가 상기 센서의 일부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맞닿기부와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상에 설치된 제 2배선부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섀시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의 맞닿기면에,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 2배선부의 상기 다른 단부에 접속시키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의 맞닿기개시부사이에, 상기 맞닿기부를 상기 제 2섀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이외의 목적 및 양상은 이하의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 1도~제 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7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소자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간략화를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VTR의 전체구성은 제 5도 및 제 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도를 참조하면, 아이들러기어(14)를 커버하는 릴대커버(30)에 발광소자(17)가 설치되어 있고, 릴대커버(30)는 4개코너의 장착부(30a)~(30d)가 고정나사(16a)~(16d)에 의해 슬라이드섀시(2)에 고정되어 있다. 제 2도~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대커버(30)의 장착부(30a)는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나사삽입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장착부(30b)~(30d)도 장착부(30a)와 동일하다. 장착부(30a)의 배면인 맞닿기면(32)의 선단근방에는 한쌍의 돌출부(32a), (32b)가 설치되어 있다.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삽입구멍(31)은 맞닿기면(32)의 굴곡모서리부인 맞닿기개시부(32c)와 돌출부(32a), (32b)에 의해 정해지는 도형형상의 영역(33)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나사삽입구멍(31)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삽입구멍(31)은 그 중심(s)이 장착부(30a)의 길이방향(제 2도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있어서, 맞닿기개시부(32c)와 돌출부(32a), (32b)와의 중점 "m"에서 맞닿기개시부(32c)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후술한 릴대커버(30)의 높이 "h"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구성에서는, 장착부(30a)의 나사삽입구멍(31)이 형성된 위치보다도 선단부쪽에 돌출부(32a), (32b)가 각각 형성된 것에 주의한다. 또, 맞닿기개시부(32c)와 나사 삽입구멍(31)의 중심(s)과의 거리의 2배이상의 거리만큼 맞닿기개시부(32c)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돌출부(32a), (32b)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에도 주의한다.
제 1도를 다시 참조하면, 릴대커버(30)에 접착된 FPC(40)(이하, 커버FPC(40)과 칭함)는 그 일단부에 있어서 배선패턴(40a), (40b)이 발광소자(17)에 접속되어 있다. 제 2도~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FPC(40)의 폭이 넓은 다른 단부는 릴대커버(30)의 장착부(30a)의 선단부의 맞닿기면(32)으로 돌아가서 접혀져 장착부(30a)의 표면과 배면의 양면에 접착되어 있다. 각각의 배선패턴(40a), (40b)은 커버FPC(40)의 다른 단부에서 폭이 넓은 단부를 지니고, 각 배선패턴(40a), (40b)의 선단부의 노출부분(도전부)(40a'), (40b')이 맞닿기면(32)의 돌출부(32a), (32b)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0a)의 나사 삽입구멍(31)의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커버FPC(40)의 배선패턴(40a), (40b) 사이에는 고정나사(16a)의 두부의 직경보다도 큰 사이즈의 도피구멍(41)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섀시(2)에 접착된 FPC(50)(이하, 섀시FPC(50)이라 칭함)는 그 일단부(도시생략)가 VTR의 회로에 접속되고 패선패턴(50a), (50b)을 지니며, 각각의 배선패턴(50a), (50b)의 다른 단부의 노출부분(도전부)(50a'), (50b')이 릴대커버(30)의 맞닿기면(32)의 각 돌출부(32a), (32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 및 구조에 있어서,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16a)에 의해 릴대커버(30)의 장착부(30a)를 슬라이드섀시(2)의 나사걸어맞춤구멍(2a)에 체결하면, 장착부(30a)의 맞닿기면(32)은 맞닿기개시부(32c)와 돌출부(32a), (32b) 각각에 있어서 슬라이드섀시(2)와 섀시FPC(50)에 대해서 압압된다. 이것에 의해, 릴대커버(30)가 슬라이드섀시(2)에 고정됨과 동시에, 커버FPC(40)의 배선패턴노출부분(40a'), (40b')과 섀시FPC(50)의 배선패턴노출부분(50a'), (50b')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릴대커버(30)가 슬라이드섀시(2)에 고정됨과 동시에, 커버FPC(40)의 배선과 섀시FPC(50)의 배선이 서로 접속된다. 따라서, 릴대커버(30)와 슬라이드섀시(2)를 고정시키는 공정중에, 배선을 납땜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정공정의 자동화가 용이해진다.
슬라이드섀시(2)로의 릴대커버(30)의 고정을, 맞닿기개시부(32c)와 돌출부(32a), (32b)에 의해 정해지는 영역(33)내의 맞닿기면(32)의 체결에 의해 행한다. 따라서, 맞닿기개시부(32c)와 돌출부(32a), (32b)가 슬라이드섀시(2)와 밀착되므로, 배선간의 접촉을 안정시킬 수 있고, 릴대커버(30)의 높이(제 2도의 "h"), 즉, 발광소자(17)의 높이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제 2도의 구조에 있어서, 섀시FPC(50)를 릴대커버(30)의 맞닿기면(32)의 맞닿기개시부(32c)까지 연장하여 맞닿기개시부(32c)와 슬라이드섀시(2) 사이에서 클램프해도 되다. 게다가, 릴대커버(30)의 맞닿기면(32)에 돌출부(32a), (32b)를 설치하고 있지만, 그러한 돌출부를 슬라이드섀시(2)상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커버FPC(40)의 각 노출부분(40a'), (40b') 또는 섀시FPC(50)의 각 노출부분(50a'), (50b')에 도전성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질적으로 동등한 작용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해서 각종의 유효한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대커버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맞닿기면의 돌출부의 위치에 배선을 서로 접속시키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릴대커버와 섀시와의 맞닿기면사이의 접점부에 배선을 서로 접속해도 된다. 따라서, 접점부는 특별한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평탄한 면으로 배선을 서로 접촉시켜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맞닿기면의 돌출부를 섀시에 대해서 기판 등의 부재를 통해서 맞닿도록 한 구성도 포함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선을 위해 FPC를 사용하였지만, 그외의 와이어 등의 배선재를 사용해도 된다. 게다가, 릴대커버상의 테이프 단부검출소자를 발광소자로 하였지만, 수광소자 또는 이외의 각종 소자를 사용해도 된다. 첨언하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와 같은 슬라이드섀시가 없는 경우에도, 릴대구동부를 커버하는 릴대커버가 섀시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면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섀시로의 릴대커버의 고정공정중에, 접점부와 맞닿기개시부에 의해 정해지는 영역내에 맞닿기면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맞닿기면의 접점부와 맞닿기개시부가 섀시에 대해서 밀착된다. 따라서, 접점부에서의 배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릴대커버의 높이, 즉, 테이프단부검출소자의 높이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자동조립에 적합하고 동작신뢰성이 높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3)

  1. (a) 섀시와; (b) 상기 섀시상에 설치되고, 한쌍의 릴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각각 지닌 한쌍의 릴대와; (c) 적어도 상기 한쌍의 릴대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릴대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1개의 맞닿기부를 지녀 이 맞닿기부에서 상기 섀시에 고정되는 커버와; (d) 테이프의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된 센서와; (e) 일단부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섀시상에 설치된 제 1배선부와; (f) 일단부가 상기 센서의 일부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맞닿기부와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상에 설치된 제 2배선부를 지닌, 상기 한쌍의 릴주위에 감겨진 테이프가 수납된 카세트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섀시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의 맞닿기면에,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 2배선부의 상기 다른 단부에 접속시키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와 맞닿기개시부사이에, 상기 맞닿기부를 상기 섀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는 L자형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부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는 상기 L자형의 코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2개로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로 정해진 영역내에서 상기 맞닿기부가 상기 섀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는 L자형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부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는 상기 L자형의 코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와의 거리의 절반의 위치에서 상기 맞닿기개시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맞닿기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섀시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선부가 접속된 상기 센서의 일부는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섀시상에 설치된 한쌍의 릴대사이에 배치된 커버에 있어서, (a) 상면판과; (b) 상기 상면판에 일체로 연결되어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고정부와; (c) 상기 고정부의 상기 섀시와 맞닿는 면에 설치된 돌출부와; (d) 상기 고정부를 상기 섀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지니고, 상기 구멍은 L자형단면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부의 코너부와 상기 돌출부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2개로 설치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2개의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코너부로 정해진 영역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코너부사이의 거리와의 절반의 위치에서 상기 코너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4. (a) 제 1섀시와; (b) 상기 제 1섀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 2섀시와; (c) 상기 제 2섀시상에 설치되고, 한쌍의 릴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각각 지닌 한쌍의 릴대와; (d) 적어도 상기 한쌍의 릴대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릴대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1개의 맞닿기부를 지녀 이 맞닿기부에서 상기 제 2섀시에 고정되는 커버와; (e) 테이프의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된 센서와; (f) 일단부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섀시상에 설치된 제 1배선부와; (g) 일단부가 상기 센서의 일부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맞닿기부와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상에 설치된 제 2배선부를 지닌, 상기 한쌍의 릴주위에 감겨진 테이프가 수납된 카세트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섀시와 상기 커버의 상기 맞닿기부와의 맞닿기면에, 상기 제 1배선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 2배선부의 상기 다른 단부에 접속시키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의 맞닿기개시부사이에, 상기 맞닿기부를 상기 제 2섀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는 L자형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부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는 상기 L자형의 코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2개로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로 정해진 영역내에서 상기 맞닿기부가 상기 제 2섀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는 L자형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부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는 상기 L자형의 코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맞닿기부의 상기 맞닿기개시부와의 거리의 절반의 위치에서 상기 맞닿기개시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맞닿기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섀시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선부가 접속된 상기 센서의 일부는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19960018919A 1995-05-31 1996-05-31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243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402995 1995-05-31
JP95-134029 1995-05-31
JP8083915A JP2873675B2 (ja) 1995-05-31 1996-04-05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カバー
JP96-83915 1996-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603A KR960042603A (ko) 1996-12-21
KR100243794B1 true KR100243794B1 (ko) 2000-02-01

Family

ID=1511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919A KR100243794B1 (ko) 1995-05-31 1996-05-31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73675B2 (ko)
KR (1) KR1002437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70B1 (ko) * 2002-11-08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릴커버 장착장치
KR100513862B1 (ko) * 2003-02-14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커버
US7121492B2 (en) 2004-06-17 2006-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el cover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34B1 (ko) 2002-09-1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용 테이프-엔드 검출센서 전원공급장치
US7092201B2 (en) 2002-09-16 2006-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deck mechanism with main cam gear moving sub-deck, pole base loading unit, brake unit and main sliding memeb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70B1 (ko) * 2002-11-08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릴커버 장착장치
KR100513862B1 (ko) * 2003-02-14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커버
US7121492B2 (en) 2004-06-17 2006-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el cover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73675B2 (ja) 1999-03-24
JPH0950690A (ja) 1997-02-18
KR960042603A (ko)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794B1 (ko)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20015188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접지 구조 장치
US4809115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69269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reel mounts and reels mount cover
KR100420853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US7345843B2 (en) Capstan motor connection structure for a tape recorder
US6816336B2 (en) Magnetic tape drive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a behavior of magnetic tape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sensor
KR10041250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커버 조립체
US5313348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1069749A (ja) 電子機器及び記録再生機構部を有する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
KR017497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KR200212355Y1 (ko)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US5555141A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detecting starting/ending portions of a tape
US565339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rotative velocity of a reel table
KR0113720Y1 (ko) 비데오카세트홀더의정전기제거장치
US5523905A (en)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tape guide members providing a space to receive a tape-end sensor
JPH0713481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16064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엔드센서
JP345969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60070B2 (ja) 磁気再生装置
KR100233014B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전폭소거 헤드 결합구조
JPH08297885A (ja) 配線材の弛み取り構造及びリール台駆動装置並びに記録又は再生装置
JPS63279484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WO1995031810A1 (en) Viedocassette housing with improved slack limiter area
JPH0226029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