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355Y1 -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355Y1
KR200212355Y1 KR2019980023077U KR19980023077U KR200212355Y1 KR 200212355 Y1 KR200212355 Y1 KR 200212355Y1 KR 2019980023077 U KR2019980023077 U KR 2019980023077U KR 19980023077 U KR19980023077 U KR 19980023077U KR 200212355 Y1 KR200212355 Y1 KR 200212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ull width
deck
base plate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691U (ko
Inventor
강기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3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35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35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별도의 체결구와 합성수지로 아웃서트되는 헤드베이스가 구비되므로 부품수의 증가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전폭소거헤드의 정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전폭소거헤드(40)의 하측에 위치결정돌기(44)를 갖는 하부베이스판(43)과 상부베이스판(42)이 형성되어 데크(10)의 헤드결합구멍(15)과 위치결정구멍(16)에 끼워져 회전 결합된다. 따라서 전폭소거헤드를 끼운후 회전시키는 단순한 공수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전폭소거헤드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위치결정이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설정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Full Track Erase Hea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폭소거헤드의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한 예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며 카세트 테이프에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를 도 1을 통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헤드 드럼(1)의 서플라이(supply;2)와 테이크업(take-up;3)측에는 데크(10)상에 폴 베이스 조립체(4)가 위치되어 로딩홀(loading hole;5)을 따라 도시되지 않은 카세트의 테이프를 로딩시키게 된다. 그리고 캡스턴모터(6)는 데크(10)의 저면에 설치되어 릴 기어 조립체(7)를 통해 아이들러 조립체(8)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아이들러 조립체(8)의 작동에 의해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2a)(3a)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카세트는 데크(10)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2a)(3a)에 안착되며, 카세트 테이프는 각 모드의 변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겨져 주행된다.
이와 같은 주행시스템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는 카세트 테이프의 주행과정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여러 가지 모드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느린재생, 2배속재생, 정지, 녹화 등의 모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여러 모드중 녹화모드는 카세트 테이프에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는 모드로서, 데크(10)상에는 기존에 기록된 신호와 중복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폭소거헤드(20)가 설치된다.
도 2를 통해 전폭소거헤드(20)를 상세히 설명하면, 데크(10)의 윗면 일측부에는 헤드베이스(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헤드베이스(30)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메인상에 아웃서트된다. 그리고 헤드베이스(30) 상에는 고정구멍(31)과 체결구멍(32)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가이드판(33)이 형성된다.
한편, 헤드베이스(30)에 결합되는 전폭소거헤드(20)는 저면 한쪽에 고정핀(22)이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구멍(31)에 끼워지고, 저면 외측에는 결합구멍(23)이 형성되어 상기한 체결구멍(32)과 일치된 후에 체결구(S)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전폭소거헤드(20)의 윗면에는 접속단자(21)가 설치되어 커넥터(CN)가 접속되고, 이러한 커넥터(CN)는 메인회로기판(PCB)과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한 전폭소거헤드(20)는 헤드베이스(30)에 의해 데크(10)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녹화모드가 설정되면,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구(S)와 합성수지로 아웃서트되는 헤드베이스(30)가 구비되므로 부품수의 증가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전폭소거헤드(20)의 정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하면, 전폭소거헤드(20)를 데크(10)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로 아웃서트되는 별도의 헤드베이스(30)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헤드베이스(30)에 전폭소거헤드(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S)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품들로 인해 부품수가 증가되고, 또한 전폭소거헤드(20)의 조립작업이 그 만큼 지연되므로 전폭소거헤드(20)의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없었다.
더욱이, 전폭소거헤드(20)는 헤드베이스(30) 상에 형성된 고정구멍(31)과 체결구멍(32)을 통해 그 조립위치가 설정되므로 보다 정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즉, 전폭소거헤드(20)에 형성된 고정핀(22)과 결합구멍(23), 그리고 헤드베이스(30)에 형성된 고정구멍(31)과 체결구멍(32)은 용이한 결합을 위해 일정한 공차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차로 인해 전폭소거헤드(20)의 조립위치가 정확하게 확보되지 못하므로 카세트 테이프와 전폭소거헤드(20)의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과도하게 밀착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전폭소거헤드(20)의 위치설정 작업 시간이 상당시간 소요되며, 또한 카세트 테이프의 주행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폭소거헤드의 부품수를 줄이고 전폭소거헤드의 정확한 위치설정과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폭소거헤드가 적용되는 데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폭소거헤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폭소거헤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데크 15: 헤드결합구멍
16: 위치결정구멍 40: 전폭소거헤드
41: 접속단자 42: 상부베이스판
43: 하부베이스판 44: 위치결정돌기
PCB: 메인회로기판 CN: 커넥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는 일측에 헤드결합구멍과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되는 데크와; 상기한 헤드결합구멍과 위치결정구멍에 결합되도록 상부베이스판과 위치결정돌기를 갖는 하부베이스이 형성되는 전폭소거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폭소거헤드(40)의 조립구조는 크게 데크(10)와 이 데크(10)에 조립되는 전폭소거헤드(40)로 이루어지며, 먼저 데크(10)는 전폭소거헤드(40)가 설치되는 적정한 위치에 헤드결합구멍(15)이 형성되고, 이 헤드결합구멍(15)의 양측에 위치결정구멍(16)이 형성된다.
이때 위치결정구멍(16)은 상기한 전폭소거헤드(40)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는 기준구멍으로 데크(10) 성형시 함께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결합구멍(15)은 전폭소거헤드(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그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외에 타원형이나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전폭소거헤드(40)는 윗면에 접속단자(41)가 설치되고, 아랫부분에는 상부베이스판(42)과 하부베이스판(43)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베이스판(42)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데크(10)의 윗면에 밀착되며, 직사각형상 이외에 타원형이나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베이스판(43)은 윗면 양측에 위치결정돌기(4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한 데크(10)의 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6)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한 상부베이스판(42)과 하부베이스판(43) 사이의 간격은 데크(10)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부베이스판(42)과 하부베이스판(43)의 억지끼움으로 인해 상부베이스판(42)이 데크(10)의 윗면과 탄성 밀착되어 전폭소거헤드(40)의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조립과정중 전폭소거헤드(40)를 조립할 때에는 전폭소거헤드(40)의 하부베이스판(43)을 헤드결합구멍(15)에 결합한 상태에서 전폭소거헤드(40)를 회전시키므로 전폭소거헤드(40)의 조립을 간단하게 끝마치게 된다.
도 2 및 도 3a를 통해 상술하면, 작업자가 전폭소거헤드(40)의 하부베이스판(43)을 헤드결합구멍(15)에 끼운상태에서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폭소거헤드(40)를 회전시키면, 전폭소거헤드(40)의 상부베이스판(42)은 데크(10)의 윗면에 밀착되고 하부베이스판(43)은 데크(10)의 저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하부베이스판(43)의 윗면에 돌출된 위치결정돌기(44)는 상기한 데크(10)의 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6)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베이스는 데크(10)의 윗면과 탄성 밀착되므로 전폭소거헤드(40)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진다. 즉, 상기한 상부베이스판(42)과 하부베이스판(43) 사이의 간격은 데크(10)의 두께보다 작으므로 전폭소거헤드(40)는 억지끼움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하부베이스판(43)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44)는 데크(10)의 위치결정구멍(16)에 결합되므로 가일층 전폭소거헤드(40)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더욱이 전폭소거헤드(40)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된다.
즉 전폭소거헤드(40)의 설치위치는 데크(10) 성형시 위치결정구멍(16)을 통해 이미 그 위치가 확실하게 결정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단순히 전폭소거헤드(40)만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전폭소거헤드(40)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더욱이, 별도의 체결구나 헤드베이스(30)가 불필요하므로 부품수가 전폭소거헤드(40)의 조립시간을 상당히 단축하고, 또한 비용도 절감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데크에 헤드결합구멍과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되고 전폭소거헤드의 하측에는 상부베이스판과 위치결정돌기를 갖는 하부베이스판이 형성되어 상기한 헤드결합구멍에 끼워져 회전 결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는 단순히 전폭소거헤드를 끼운후 회전시키는 단순한 공수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전폭소거헤드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폭소거헤드의 정확한 위치가 손쉽게 확보되는 등 제품원가가 절감되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데크에 조립되어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데크(10)는 일측부에 헤드결합구멍(15)이 형성되고, 이 헤드결합구멍(15)의 양측에 위치결정구멍(16)이 형성되며;
    상기 전폭소거헤드(40)는 헤드결합구멍(15)에 삽입·회전되어 상기 데크(10)의 윗면과 밀착되도록 하부에 상부베이스판(42)이 형성되고, 이 상부베이스판(42)의 하측에는 상기 데크(10) 저면의 위치결정구멍(16)에 결합되도록 윗면 양측에 위치결정돌기(44)를 갖는 하부베이스판(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폭소거헤드(40)의 상부베이스판(42)은 헤드결합구멍(15)에 회전·결합되도록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데크(10)의 헤드결합구멍(15)도 상기 상부베이스판(42)과 대응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폭소거헤드(40)는 데크(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부베이스판(42)과 하부베이스판(43) 사이의 간격이 상기 데크(1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KR2019980023077U 1998-11-25 1998-11-25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KR200212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77U KR200212355Y1 (ko) 1998-11-25 1998-11-25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77U KR200212355Y1 (ko) 1998-11-25 1998-11-25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91U KR20000010691U (ko) 2000-06-26
KR200212355Y1 true KR200212355Y1 (ko) 2001-03-02

Family

ID=6950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077U KR200212355Y1 (ko) 1998-11-25 1998-11-25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3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91U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5582A (en) Erase features for magnetic multi-track rerecording
KR200212355Y1 (ko)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KR100195125B1 (ko) 캡스턴 모터 조립체 및 조립방법
KR100243794B1 (ko) 릴대 및 릴대커버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0127353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전폭소거헤드 조립장치
KR10046522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브레이크 조립체
KR017724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소거 헤드
US6072668A (en) Full width erase head assembly for magnetic reproducer
KR20026449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주행계구조
KR10032725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 소거 헤드 결합체
KR940001208Y1 (ko) 자기기록 및 재생기의 캡스턴모터
KR0130804Y1 (ko) 브이씨알의 캡스턴 모터와 드럼모터의 와이어 고정구조
KR200222133Y1 (ko) 기록재생용 자기헤드
KR200206055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 베이스 장착구조
KR19990013589U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 베이스 안착구조
KR10042457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장착구조
KR19980031757U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조립구조
JPH0114988Y2 (ko)
KR200153001Y1 (ko) 브이씨알의 전폭소거헤드 전원접속구조
KR10020741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레버 조립구조
KR20060068328A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소거헤드 결합구조
KR0113720Y1 (ko) 비데오카세트홀더의정전기제거장치
JPH0110736Y2 (ko)
KR011207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신호연결장치
KR200153818Y1 (ko) Vcr의 데크 접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