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552B1 -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52B1
KR860001552B1 KR1019840004990A KR840004990A KR860001552B1 KR 860001552 B1 KR860001552 B1 KR 860001552B1 KR 1019840004990 A KR1019840004990 A KR 1019840004990A KR 840004990 A KR840004990 A KR 840004990A KR 860001552 B1 KR860001552 B1 KR 86000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am
caprolactam
nylon
polyol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783A (ko
Inventor
아늘드 반 게넬 알베르트
요하네스 마리아본 게르스 조젭
람베르투스 마리아 반 데르 루스 조젭
헨드리쿠스 브린쎈 코르넬리스
Original Assignee
스태미카본 베. 뷔.
제이. 에이치. 크루이트. 하. 베. 반 리우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태미카본 베. 뷔., 제이. 에이치. 크루이트. 하. 베. 반 리우벤 filed Critical 스태미카본 베. 뷔.
Publication of KR85000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61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7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18/8074Lact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G65/33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carboxamide group
    • C08G65/33327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carboxamide group 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08G69/20Anionic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0Polya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프로락탐과 같은 락탐과 같은 락탐의 음이온 중합에서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화합물은 중합하는데 조촉매 또는 활성화제 역할을 한다.
특히 나일론의 반응 사출성형(RIM)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반응 시간이 짧으므로 중합시간을 필요없이 길게 하지않고 틀내에서 락탐을 중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RIM은 보통 액체 성분을 밀페된 틀로 충돌로 인해서 한번에 주입하는 방법이며 이때 빠른 중합이 일어나 모양을 갖춘 가소성 생성물을 얻게 된다.
상기에서 사용된 압력은 종래의 사출성형 방법에서 사용된 압력보다 훨씬 더 적다.
RIM 방법에서 틀로 공급된 물질의 점성은 약 50에서 10,000cps 정도이며 1,500cps정도가 바람직하고 반응 온도는 우레탄에 대해서는 실온에서부터 락탐에 대해서는 150℃정도까지 변화한다.
RIM 방법에서 틀 온도는 전형적으로 약 100에서 220℃정도이다.
틀 압력은 일반적으로 1에서 100bar 정도이고 바람직 하기로는 1에서 30bar 정도이다.
RIM에서 최소한 하나의 성분은 틀에서 폴리머로 중합되는 모노머와 그에 따른 부가물로 구성되어 있다.
RIM은 여러가지 중요한 면에서 사출성형과는 다르다. 사출성형과 RIM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RIM에서는 틀내에서 모노머 또는 부가물을 폴리머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사출성형은 고체수지를 용해하여 이용해된 수지의 온도를 150에서 350℃로 유지하면서 실온에서 틀로 전달하므로서 틀구멍에서 약 700에서 1,400bar의 압력으로 이루어진다. 약 150에서 300℃의 사출온도에서 사출성형 공정에서 용융수지의 점성은 일반적으로 50,000에서1,000,000cps 정도이며 전형적으로 약 200,000cps 정도이다.
사출성형공정에서 수지는 성형 생성물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에서 90초 내에 응고되며 그리고 나서 성형생성물을 틀로 부터 제거해 낸다.
수지가 틀로 들어갈 때 사출성형공정에서 화학적인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실제응용을 위해서는 RIM 과정에서 화학적인 반응은 더 적은 성형물을 위하여 2분 이내에 재빨리 일어나야만 한다. 아래에 설명한 음이온 중합 나일론의 장점들이 여러면에서 일반적인 나일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미국 특허 제3,018,273호에 카프로락탐 중합에 대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 데 여기서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이 개시제로 사용되고 N,N 디아실 화합물은 조촉매(또는 활성화제)로 사용된다.
영국 특허 제 1,067,153호에는 나이론 6플리머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여러가지 활성화제의 존재하에 카프로락탐을 음이온 중합시켜 나일론-블록-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정지시키는 이소시안산염과 칼륨 염기화 촉매를 이용한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법도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최소한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을 포함한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가 생성된다.
미국 특허 제3,862,262, 4,031,164, 4,034,015 및 4,223,112호에 아실락탐 활성화제의 존재하에 카프로락탐으로부터 나일론 블록코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031,164와 4,223,112호에는 여러가지 성분비를 갖는 락탐-폴리올-폴리아실-락탐-블록터폴리머가 기술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특허 제4,031,164호에는 터폴리머에서 폴리올블록을 18내지 19중량% 사용한다고 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862,262호에는 락탐-폴리올-아실-폴리락탐블록-터폴리머가 설명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031,015호는 최소 5%의 에스테르 정지 말단기를 갖는 락탐-폴리올-폴리아실-락탐 또는 락탐-폴리올-아실-폴리락탐 블록 터폴리머를 설명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30,371호에는 ⅠA, ⅡA, ⅡB 및 ⅢA족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중 최소한 하나의 존재하에 알코올 및 아실락탐을 응축시켜 폴리에스터-폴리아미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925,325에는 유기알루미늄, 이미드-알코올 응축촉매의 존재하에 이미드와 알코올의 반응결과로 생긴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와 같은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화합물을 제조하는 촉매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965,075호에는 상기 응축을 위하여 아미드 또는 ⅣA, ⅠB, ⅣB, ⅤB, ⅥB 또는 Ⅷ족 유기금속화합물을 이용한다고 되어 있다.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제67,693호에는 할로겐 산물질과 아실락탐 작용 물질이 다음과 같은 식을 갖는 것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나일론 블록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데 유용하다고 되어 있다.
Figure kpo00001
이고,
a는 1,2 또는 3이며
b는 2 또는 2 보다 큰 정수이며
R은 탄화수소 그룹과 에테르 결합이 있는 탄화수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가 또는 다가 그룹이며
Z는 (1) 최소분자량이 2,000인 폴리에스터,
(2) 최소분자량이 2,000인 폴리에스터 세그멘트를 포함한 폴리에스터,
(3) 탄화수소의 세그멘트 또는
(4) 폴리실옥산중의 하나의 세그멘트이다.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제67,695호에는 유럽 특허 출원제67,693호에 기술된 락탐 모노머, 염기성 락탐 중합 촉매와 아실락탐 작용물질을 접촉시켜 반응 시키므로서 나일론 플록 코폴리머가 제조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제67,694호에는 할로겐산과 아실락탐 작용물질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 물질과 함께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도 기술하고 있다.
할로센 산 또는 아실락탐 작용 물질은 착체식으로 정의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다.
RIM'로 나일론 6 중합 시스템을 고안한 시발외 다수는 1982년 11월, 피츠버그 파에서 개최된 폴리머 반응 과정에 대한 제2차 국제회의에서 폴리머 개시제를 포함한 락탐을 음이온 중합하기 위한 여러가지 개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고했다.
이 개시체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HDI) 2몰에 대해서 폴리올 1몰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HDI를 평균 분자량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이 결과 생긴 생성물을 80℃에서 무수 락탐과 반응시킨다. 최종 생성물에 대한 역학적인 특성은 보고되지 않았다. 생성물의 가공성 및 특성을 개발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이 논문은 변수를 결정하는 다른 공정과 반응비는 알려지지 않아서 더많은 연구가 필요 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400,490호에는 염기성 촉매와 조촉매의 존재하에 락탐을 애폭시 화합물과 음이온 중합시키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폴리머 폴리올과 에폭시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이 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3,793,399호에는 폴리카프로락탐의 내충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용융 카프로 락탐에 용해되는 폴리올의 사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 중합에서 유기질소 화합물의 조촉매로 사용된다. 카프로락탐의 음이온 중합에서 에테르화 폴리올의 사용은 미국 특허 제3,770,698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활성화제로 이용되는 N-치환된 카르바모일 락탐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2
yi의 평균치가 0보다 큰, 즉 폴리올 잔여물과 폴리-이소시안염 잔여물 사이의 활성화제 분자내로 최소한 얼마간의 락탐 고리가 혼합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생성물은 일부 락탐 그룹이 제거되고 다른 것이 존재하는 여러 화합물의 혼합물이 될 것이다.
만약 각 락탐 블록 폴리이소시안산염 중 하나의 락탐 고리가 폴리올 잔여물과 폴리이소시안산염 잔여물 사이에서 개환되고, 혼합된다면 락탐그룹의 총량의 분을로 제거된 락탐그룹의 실제 이론상 가능한 양의 평균치는 0.01에서 0.95정도이며, 더 상세히 말해서 0.50과 0.75사이이며, 비록 이보다 낮은 값인 0.05, 0.10및 0.25도 무방하다.
이러한 그룹의 화합물을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에서, 특히 중합이 매우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RIM(Reaction Injection Moulding) 또는 RRIM(Reinforced RIM)에서 활성화제로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더우기 이러한 화합물을 가지고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로부터 내충격성이 매우 강한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중요하게 응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것은 래커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래커에서 블록 이소시안산염 성분으로 매우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액상에서, 금속화합물 촉매의 존재하에 최고 150℃의 온도로 폴리올과 락탐 블록폴리이소시안산염을 반응시키므로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은 용융 락탐, 특히 용융 카프로락탐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가들은 상술한 조건하에 폴리올과 락탐 블록디이소시안산염 사이의 반응이 매우 빨리 진행된다는 것을 알았다.
또 락탐의 중합은 사실상 일어나지 않았다.
"락탐 블록 폴리이소시안산염"이라는 말은 폴리이소시안산염이 락탐, 특히 카프로락탐과의 반응으로 생긴 생성물을 말한다. 원칙적으로 실제 모든 이소시안산염 그룹이 락탐 분자와 반응하여 다음과 같은 그룹을 생성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Figure kpo00003
N-치환된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에 열린 락탐 그룹이 존재하는 것은 이러한 락탐 그룹이 부분적으로 중합된 폴리올 락탐계에서 활성화제 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와함께 제조된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역학적인 성질에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계의 행동을 이해 하려면 중합할 동안 활성화제가 락탐 폴리아미드 계로부터 침전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일부 락탐 그룹이 존재하는 것은 미리 상분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활성화제 그룹을 상경계면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 활성화제 그룹이 중합반응에서 더 긴 부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여러가지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ⅠA, ⅡA 또는 Ⅷ족 금속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를 위해서는 루이스 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적당한 촉매의 예로는 브로모 마그네슘 락타메이트, 나트륨 락타메이트, 칼륨 락타메이트, 염화마그네슘, 칼슘 에톡시드, 칼슘 락타케이트, 칼슘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바륨락타메이트, 염화 바륨, 바륨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염화아연, 아연 아세틸 아세토 네이트, 아연 락타메이트, 염화카드뮴, 카드뮴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카드뮴 락타메이트, 보론 아세틸 아세토 네이트, 알루미늄 트리락타메이트, 염화알루미늄, 클로로 알루미늄 디락타메이트, 락탐 염화 알루미늄, 염화제이주석, 에톡시드 제이주석,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제이주석, 삼염화티타늄,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제삼티타늄, 에톡시드 제삼티타늄, 에톡시드 제삼바나듐,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제삼바나듐, 염화제삼바나듐, 염화제삼크롬,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제삼크롬, 염화제이망간,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제이망간, 염화제삼철,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제삼철,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제이철, 염화제이코발트, 아세닐 아세토네이트 제이코발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니켈, 염화니켈, 아세테이트제삼크롬, 아세틸아세토 네이트 제이구리가 있다.
분자당 최소 두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히드록시 화합물과 같은 여러 유기 히드록시 화합물이 폴리올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지의 폴리올이 사용된다.
좋은 폴리올은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올을 포함한 실옥산 및 / 또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폴리머"의 폴리올이다.
여기서 정의한 "폴리머"의 폴리머의 폴리올이란 폴리올에서 폴리우레아 분산(PUD) 뿐만아니라 폴리에테르폴리올로 하나 또는 2 이상의 불포화모노머를 그라프트시키므로서 얻어지는 그라프트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우레아 분산은 폴리올에서 화학양론적인 양으로 디이소시안산염과 함께 디아미 또는 히드 라진을 용해하므로서 얻어질 수 있고 용해된 화합물을 반응시키므로서 폴리올에서 분산된 폴리우레아 화합물을 생성하게 된다.
폴리올로 그라프트된 불포화 모노머의 양은 그라프트된 최종 생성물("폴리머"의 폴리올)에 대하여 10∼35중량%이다.
그라프트되는 모노머의 예로는 특히 아세토니트릴 또는 스티렌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물이 적당하다. 이러한 형태의 적당한 생성물은 Niax 31∼28로 알려져있다. 마찬가지로 폴리올에 분산된 폴리우레아의 양은 충분산양의 10∼35중량%이다.
이러한 "폴리머"의 폴리올은 내충격성을 감소시키지 않고서 더 높은 휨계수를 갖는 생성물(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폴리올은 디올, 트리올 및 테트라올의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또는 그에 따른 혼합물,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아민-폴리올과 폴리아세톤을 포함한 폴리에테르 세그멘트가 있는 폴리올이다.
에틸렌 디아민,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사카로오스 또는 트리메틸을 프로판을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하여 얻은 폴리올도 역시 적당하다.
상술한 바의 폴리올은 대부분이 비교적 고분자이다.
이러한 폴리올의 분자량은 최소 300 이라야 하며 좀더 상세히 말해서 1,000에서 2,500사이가 적당하다.
이러한 범위에서 높은 점성으로 인하여 활성화제를 제조하는 데 아무런 문제없이 높은 휨계수를 가짐과 동시에 높은 충격힘을 가진 최종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한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을 말한다.
더우기 폴리올의 분자량은 히드록시 기당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 즉 작용성으로 나누어 지는 분자량을 말한다.
디이소시안산염을 종결시키는 락탐은 카프로락탐과 같은 락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이소포로디이소시안산염, 톨루엔 디이소시안산염, 메틸렌 비스(페닐-이소시안산염) MDI 및 수소화 MDI와 같은 디이소시안산염, 또는 카르보디 이미드 변성 MDI(이소네이트 143L, 업죤회사 또는 몬두르 피에프, 모베이 화학회사)와 같은 변성 MDI와 MDI(이소네이트 181 또는 191)의 디올 확대프리폴리머를 반응시키므로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이소시안산염인 XDI, H6XDI와 수소화 TDI도 가능하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반응 매질로 용융락탐, 특히 카프로락탐이 사용된다.
그러나 락톤과 같은 폴리이소시안산염에 대하여 불활성인 다른 용매에서 반응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우기 불활성 용매와 락탐의 혼합물 또는 다른 락탐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좋다.
반응 생성물의 비는 그 작용성과 말단 생성물의 성질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올에서 사용되는 히드록시기의 당량당 최소 1당량의 락탐블록 디이소시안산염이 사용될 것이므로 모든 히드록시기는 락탐블록 디이소시안산염 분자와 반응할 것이다.
히드록시기의 수와 비교하여 디이소 시안산염이 부족하게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히드록시기당 3개의 디이소시안산염 분자가 사용될 경우 많은 폴리올 분자가 결합하여 고분자 폴리올 블록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은 1,6-헥산 디이소 시안산염의 응용에서 매우 중요한데 폴리올이 대칭적으로 락탐 블록 디이소시안산염과 알칼리 토금속과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반응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락타메이트와 같은 염기성 촉매와 일어나는데 반응매질에서 나트륨 락타메이트, 마그네슘 브로모락타메이트 또는 마그네슘 비스락타메이트를 생성하는 촉매와 반응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나일론 블록코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것과 이러한 나일론 코폴리머로부터 제조된 물건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염기성 락탐-중합촉매의 존재하에 상기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이 용융 락탐에서 반응하는 것이다.
이 촉매는 상술한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촉매와 같다.
예를 들자면 나트륨 락타 메이트, 마그네슘 디락타메이트 및 락탐 염화 또는 브롬화 마그네슘등이다.
중화되는 락탐과 비교하여 1몰 %이하의 소량의 촉매로도 충분하나 2몰 %정도의 많은 양이 사용될 수도 있다.
블록 코폴리머는 적당한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예를 들어 10분내에, 특히 10초에서 5분사이에 생성된다.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에 대한 락탐 모노머비의 범위는 매우 넓다.
일반적으로 각 성분의 5에서 95중량%사이이다.
적당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진 내 충격성 물건을 얻기 위하여 총 혼합물과 비교해서 5∼40중량%의 카르바 모일 락탐 화합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히다.
10∼30중량%의 카르바모일 락탐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이 제조에서, 나일론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이 최소 2,000이라야 하며, 특히 4,000정도가 좋다. 이것은 첨가한 락탐의 양과 비교하여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로부터 생긴 카르 바모일-락탐 그룹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락탐을 첨가하는 것과 같이 같은 락탐을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에 사용한다.
특히, 카프로락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에 사용되는 화합물 하나 또는 2이상, 예를 들어 충진제, 가소제, 난연제, 안정화제와 석면 또는 유리섬유와 같은 보강섬유의 존재하에서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로는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
[실시예 1]
카프로탐락 블록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295.9g(0.75몰), 카프로락탐 79.1g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950g(0.375몰)(분자량 2,000인 디올, PPG 2,000)을 150℃로 가열한다.
교반하면서 카프로락탐에 나트륨락타메이트 13.4g을 넣는다.
블록 디이소시안산염에 대한 촉매의 양은 2.5몰%이다.
촉매를 첨가한 후 즉시 반응혼합물에서 점성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150℃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다.
분석해 보니 유리 카프로락탐의 양이 증가 되었으므로 반응부분에서 최소한 카프로락탐은 제거되어야만 한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미반응 블록 디이소시안산염은 더 이상 검출되지 않았다.
제거된 카프로 락탐의 양은 64%이다.
[실시예 2]
카프로락탐 블록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5.9g(0.015몰), 카프로락탐 1.6g과 PPG2,000 20g(0.01몰)을 150℃에서 가열한다.
이 온도에서 카프로락탐에 나트륨 락타메이트 1.1g(블록 디이소시안산염에 대하여 촉매 10몰%)를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150℃에서 15분동안 반응시킨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다.
생성물에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미반응 블록 디이소시안산염을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리 카프로락탐의 양은 명백히 증가 하였으므로 최소한 반응부분에서 카프로락탐은 제거되어야 한다.
[실시예 3(비교실시예)]
카프로락탐 블록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5.9g(0.015몰), 카프로락탐 1.6g과 PPG 2,000 20g(0.01몰)을 190℃에서 15분동안 교반시키면서 가열한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최초 조성물의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4에서 6]
실시예 1과 2에서 유추하여 N-치환된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이 다수의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카프로락탐 블록 이소시안산염은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안산 염이고 촉매는 나트륨 락타메이트이다.
Figure kpo00004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ㅈ
[실시예 Ⅹ]
폴루라콜 TPE 4542(실시예 Ⅳ)를 토대로한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 92.7g을 질소 기압하에서 용기내에서 카프로락탐 60g에 용해시킨다.
다른 용기에는 질소 기압하에서 나트륨 락타메이트 1.63g을 카프로락탐 75.7g에 용해한다.
상기 두 용기를 105℃로 가열한 뒤 미리 100℃로 가열시킨 평평한 틀(200×200×4mm)에 부어 혼합한다.
이렇게 하여 폴리에테르 30중량%로 얻어진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는 건조시 66kJm-2의 나치 충격강도(ASTM D256에 따른 아이조드)를 가진다.
[실시예 11에서 13]
실시예 X에서 유추하여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가 여러가지의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화합물로부터 제조되었다.
모든 경우에서 촉매는 나트륨락타메이트이다.
첨가된 카프로락탐의 양은 상기 두용기에 똑같이 분배진다. 아이조드 충격 강도는 생성물을 건조하였을 경우 결정된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14에서 16]
혼합하기전 두용기의 온도를 120℃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X에서 유추하여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한다.
촉매는 브로모마그네슘 락타메이트이다.
첨가한 카프로락탐의 양은 두 용기에 똑같이 분배진다. 아이조드 충격 강도와 E-휨은 생성물이 건조시에 측정된다.
Figure kpo00006

Claims (3)

  1. 염기성락탐-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N-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을 용융 락탐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나일론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이 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나일론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이 4,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40004990A 1983-08-20 1984-08-18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 KR860001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302928 1983-08-20
NL8302928A NL8302928A (nl) 1983-08-20 1983-08-20 N-gesubstitueerde carbamoyl-lactam verbin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783A KR850001783A (ko) 1985-04-01
KR860001552B1 true KR860001552B1 (ko) 1986-10-04

Family

ID=1984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990A KR860001552B1 (ko) 1983-08-20 1984-08-18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40515A (ko)
EP (1) EP0134616B1 (ko)
JP (1) JPS6099128A (ko)
KR (1) KR860001552B1 (ko)
BR (1) BR8404125A (ko)
CA (1) CA1221364A (ko)
DE (1) DE3468036D1 (ko)
IN (1) IN162233B (ko)
NL (1) NL8302928A (ko)
PL (1) PL143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400006A (nl) * 1984-01-03 1985-08-01 Stamicarbon Werkwijze voor de condensatie van imide en alkohol.
JPS63291921A (ja) * 1987-05-22 1988-11-29 Sumitomo Chem Co Ltd エチレン性不飽和基を有するポリエ−テルポリアミド共重合体
NL8801914A (nl) * 1988-07-30 1990-02-16 Stamicarbon Omzettingsprodukten van met lactam geblokkeerde diisocyanaten en daarvan afgeleide polylactamblokcopolymeren.
NL8900001A (nl) * 1989-01-02 1990-08-01 Stamicarbon Acyllactam functionele verbindingen en daarvan afgeleide polylactamblokcopolymeren.
NL8901570A (nl) * 1989-06-22 1991-01-16 Stamicarbon N-gesubstitueerde carbamoyllactam functionele verbindingen en daarvan afgeleide polylactamblokcopolymeren.
BE1006897A3 (nl) * 1993-03-01 1995-01-17 Dsm N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nylonblokcopolymeer.
KR20040015924A (ko) * 2002-08-14 2004-02-21 한명희 환경 및 건강 친화적 분필 조성물
ES2844323T3 (es) * 2010-03-01 2021-07-21 Lubrizol Advanced Mat Inc Elastómeros de copolieteramida procesables en estado fundido
EP2520602A1 (en) 2011-05-03 2012-11-07 BrüggemannChemical L. Brüggemann KG Composition for anionic lactam polymerization
EP2734184B1 (en) * 2011-07-21 2018-03-28 Croda International Plc Branched polyether-polyamide block co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944144B1 (ko) * 2011-09-28 2019-01-30 바스프 에스이 음이온 중합을 통한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
WO2016125170A1 (en) 2015-02-05 2016-08-11 Stratasys Ltd. Digitally-controlled three-dimensional printing of polymerizable materials
JP7048502B2 (ja) 2016-02-05 2022-04-05 ストラタシス リミテッド ポリアミド形成材料を使用する三次元インクジェット印刷
EP3478663B1 (en) * 2016-07-01 2020-12-09 Hercules LLC Lactam-functionalized polymer,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904544A (ko) * 1969-03-25 1970-09-29
DE2707660C2 (de) * 1977-02-23 1985-12-19 Bayer Ag, 5090 Leverkusen Abspalter- und Diolrest enthaltende Diisocyanat-Adduk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2929224A1 (de) * 1979-07-19 1981-02-05 Huels Chemische Werke Ag Herstellung von freie nco- und endstaendig mit epsilon -caprolactam blockierte nco-gruppen enthaltenden isophorondiisocyanataddukten, sowie danach hergestellte verbindungen
JPS5733014A (en) * 1980-08-05 1982-02-23 Nippon Denso Co Ltd Cooler with cool box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21364A (en) 1987-05-05
EP0134616B1 (en) 1987-12-09
IN162233B (ko) 1988-04-16
JPS6099128A (ja) 1985-06-03
PL143375B1 (en) 1988-02-29
EP0134616A1 (en) 1985-03-20
NL8302928A (nl) 1985-03-18
DE3468036D1 (de) 1988-01-21
KR850001783A (ko) 1985-04-01
US4540515A (en) 1985-09-10
BR8404125A (pt) 1985-07-16
PL249231A1 (en) 198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552B1 (ko) 나일론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
US4742128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alloy, molded product, and reaction injection molded products
US4582879A (en) Reactio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reaction injection molded products
US4611034A (en) Branched thermoplastically processible impact-resistant polyamides
US3704280A (en) Anionic catalytic polymerization of lactams in the presence of an organic isocyanate and a polyether
EP013523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n-substituted carbamoyllactam compound
KR860001553B1 (ko)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US3758631A (en) Polycaprolactam block polymers of polyesters
KR880000829B1 (ko) 이미드와 알코올의 축합방법
KR870001406B1 (ko)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EP0324432B1 (en) Process for preparing modified polyamides and polyamides obtainable thereby
KR880002238B1 (ko) N-치환된 아실-락탐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US4614615A (en) Process for preparing an N-substituted carbamoyl-lactam compound
EP0194362B1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cyl-lactam compound
KR880002239B1 (ko) N-치환된 아실-락탐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US4593076A (en) Polymer of caprolactam containing elastomeric copolyesteramide having high impact strength
EP0350843B1 (en) Process for producing modified, impact-resistant polyamides
WO1994017124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nylon block copolymer
JPH041229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