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406B1 -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406B1
KR870001406B1 KR1019850001867A KR850001867A KR870001406B1 KR 870001406 B1 KR870001406 B1 KR 870001406B1 KR 1019850001867 A KR1019850001867 A KR 1019850001867A KR 850001867 A KR850001867 A KR 850001867A KR 870001406 B1 KR870001406 B1 KR 870001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am
diisocyanate
compound
polyol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074A (ko
Inventor
아시다 가네요시
람베르투스 마리아 반 데르 루스 요제프
차레스 프리쉬 쿠르트
Original Assignee
스태미카본 베· 뷔
에프· 에이·카 ;하 ·베 · 반 · 리우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태미카본 베· 뷔, 에프· 에이·카 ;하 ·베 · 반 · 리우벤 filed Critical 스태미카본 베· 뷔
Publication of KR85000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08G69/20Anionic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20/00Compositions for reaction injection mould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amid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락탐은 음이온 중합에서는 특히 카프로락탐, 음이온 중합촉매 및 활성화제(또는 조촉매)가 전형적으로 존재한다.
여러가지의 활성화제는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 304, 291호에 활성화된 음이온의 촉매중합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활성화제는 최소한 하나의 요소, 티오요소 또는 구아니딘 라디칼의 N-치환된 화합물인 탄소원자가 2-12개의 라디칼을 갖는 유기화합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강한 노치충격강도를 갖는 폴리락탐을 제조하는 방법은 중합될 용융 락탐 또는 락탐 혼합물에 용해하는 다량의 폴리에테르 존재하에 활성화된 음이온 촉매의 락탐중합을 한다는 것이다.
폴리에테르는 중합될 락탐의 최고 25중량 %이내이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폴리락탐의 기계적 성질이 나쁘게 된다.
최소 하나의 이소시안산염 화합물을 갖는 이소시안산염 조촉매 용융락탐에 용해하는 폴리에테르의 존재하에 행해진 락탐의 음이온 촉매 중합에 사용된다.
미국특허 제3, 704, 280호에 기술된 바에 따르면 사용된 폴리에테르에 포함된 히드록실그룹의 절대수가 사용된 이소시안산염에 포함된 이소시안산염 그룹의 절대수보다 클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3, 770, 689호에 기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촉매의 도움으로 락탐의 음이온 촉매 중합에 대한 개량된 방법은 용융락탐 또는 락탐 혼합물에 용해하는 에테르화 히드록실 그룹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반응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종래의 적당한 조촉매들은 조촉매의 작용으로 최소한 하나의 말단기로 완전히 종결된 폴리머 사슬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촉매 작용 그룹 또는 치환제들은 산-염화물 그룹, N-카르보닐-설폰아미드 그룹, N-카르보닐-요소그룹 및 산-무수물 그룹과 같은 단량체 조촉매와 비슷하다.
미국특허 제3, 987, 033호에는 방향족 디이소시안산염을 일차 알코올과 반응시키고 이 생성물을 페놀과 같은 히드록시 성분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 171, 305호에는 분말도료 조성의 경화제로 사용된 ε-카프로락탐 디블록된 w, w'-디이소시아나토-1, 3-디메틸벤젠의 순수한 결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 211, 699호에는 아미노 디올 또는 히드라진 디올로부터 유도된 이소시안산염 부가몰디올과 유기디이소시안산염과 자체 교차가능한 및/또는 교차 결합된 폴리우레탄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것들이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 018, 273호에는 유기마그네슘 개시제화합물의 존재하에 본래의 장소에서 카프로락탐을 중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N, N-디아실화합물은 조촉매로 사용된다.
좋은 N, N -디아실 화합물은 조촉매에서 불활성 그룹이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자량이 1000을 넘지 않는, 특히 500을 넘지 않는 N-치환된 이미드, 디카복실산의 고리 이미드들이다.
영국특허 제1, 067, 153호에는 이소시안산염으로 종결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칼륨을 토대로 한 촉매의 존재하에 카프로락탐을 음이온 중합하여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최소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을 포함한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가 생성된다.
미국특허 제3, 862, 262호, 4, 031, 164호 4, 034, 015화와 4, 223, 112호에는 아실락탐 활성화제의 존재하에 카프로락탐으로부터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여러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 031, 164호와 4, 223, 112호에는 여러 성분의 특별한 비로된 락탐-폴리올-폴리아실-락탐블록-삼중합체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특히 미국특허 제4, 031, 164호에는 삼중합체에서 18-90중량 %의 폴리올 블록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 862, 262호에는 락탐-폴리올-아실-폴리락탐블록-삼중합체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4, 034, 015호에는 최소 약 5%의 에스테르 말단 그룹을 갖는 락탐 폴리올-폴리아실락탐 또는 락탐-폴리올-아실-폴리락탐 블록 삼중합체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재발행 특허 제30, 371호에는 최소한 하나의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 또는 주기율표의 IA, IIA, IIB 및 IIIA족으로부터 선택된 금속화합물의 존재하에 알코올과 아실락탐을 축합시킴으로써 풀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1982년 3월 22일 공개된 유럽특허출원 제67693호 및 67694호에는 여러가지 히드록시 화합물로 토대로한 락탐화합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으며, 반면에 1982년 3월 22일 공개된 유럽특허출원 제67694호 및 67695호에는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시 이러한 락탐화합물의 사용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염기 촉매와 조촉매의 존재하에서 최고 25%의 에폭시 화합물과 최소 75%의 락탐을 음이온 중합하여 나일론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미국특허 제4, 400, 490호에 기술되어 있다.
1982년 11월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시에서 개최된 반응성 중합체 가공에 대한 제2차 국제회의에서 제출한 나일론 6중합체계의 고안에서 시발(Sibal)의 다수는 카프로락탐의 무수 음이온 중합과 관련하여 80℃에서 이소시안산염과 건조 카프로락탐을 반응시킴으로써 조촉매와 개시제를 제조하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처음 에카프로락탐을 가열하여 이소시안산염과 반응한 건조잔류부분과 함게 약 20% 정도를 제거하며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2000) 1몰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2몰을 서서히 반응시킴으로 이소시안산염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완전하지 못하며 이 실험의 활성화제를 이용하여 생성된 폴리락탐의 가공성 뿐만아니라 다른 반응 생성물의 특징 및 변수와 반응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다른 조작이 필요한다.
이러한 종류의 활성화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는 열저항, 열을 받으면 변형하는 온도와 내용제성이 부족하다.
더우기 생성물이 변형되지 않고 열처리를 견뎌내는 데 대한 측정인 "열 하강" (h
eat sag)의 자동차페인트용 가열로에서의 온도를 견디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화합물의 충격저항(Charpy 또는 Izod 시험)은 이것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위해서 이 화합물들의 충격저항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화제가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의 열저항, 열을 받으면 변형하는 온도, 내용제성, 열하강 및 충격저항을 증가시키는 락탐의 음이온 중합을 위해서 N-치환된 카르바모빌 형태의 활성화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N-치환된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락탐을 최소한 3개의 히드록실 작용성그룹, 더 상세히 말해서 3에서 10 사이인 각각 3과 6개의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안산염 화합물 및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RIM(reaction­injection­moulding) 나일론 시스템에서 가능한 나일론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화합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르면 N-치환된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이 확실하고, 재생 가능하며 쉬운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락탐 중합촉매와 관련하여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활성화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화합물들은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이중 작용의 이소시안산염이 사용되었을 경우 다음식의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을 생성한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n은 3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기는3-10, 특히 3-6의 정수이고,
R은 3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 폴리올의 잔여물이고,
R'는 탄소원자가 6-25개인 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랄킬 그룹이며,
Y는 탄소원자가 3-14개인 알킬렌 그룹이다.
본 발명에서 이소시안산염으로 종결된 성분은 최소 3개, 바람직하기는 3-10, 특히 3-6개의 히드록실관능기를 갖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안산염의 반응 생성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가지의 폴리 이소시안산염이 사용 가능하다.
광범위하게 얘기하자면 두 개의 관능성 이소시안산염과 6-2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 이소시안산염은 지방족, 아라리파틱(araliphatic), 고리지방족 및 방향족 폴리이소시안산염이다.
예를들자면 1, 5와 1, 6-헥산-디이소시안산염, 이소포론-디이소시안산염(IPDI)과 크실릴렌 디이소시안산염(XDI)이 있다.
쉽게 얻을 수 있는 적당한 디-및 폴리이소시안산염으로는 2, 4-및 2, 6-톨루엔 디이소시안산염, 2, 2-2, 4'-, 및 4, 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안산염(MDI 또는 조 MDI)이 있다.
다른 폴리 이소시안산염으로는 폴리페닐렌 폴리메틸렌 폴리이소시안산염이 있다.
또한 적당한 폴리이소시안산염으로는 카르보디이미드개질 MDI와 같은 개질 M
DI와 수소화 TDI, XDI 또는 MDI와 같은 수소와 방향족 디이소시안산염이 있다.
이러한 이소시안산염들은 단독으로나 혼합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적당한 폴리올은 트리올 또는 그 이상의 히드록시 관능성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중에서 더 적당한 화합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올을 포함한 폴리올 및 소위 말하는 고분자 폴리올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여기에서 정의한 고분자 폴리올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틸렌 불포화 모노머를 폴리올에 분산된 폴리우레아 분산액(PUD) 뿐만 아니라 폴리에테르 폴리올에 그라프트시킴으로써 얻은 그라프고고 분자를 말한다.
이러한 폴리우레아 분산액은 폴리올에 분산된 폴리우레아 화합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디아민 또는 히드라진을 디이소시안산염과 함께 화학양론적인 양으로 폴리올에 용해하여 용해된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틸렌 불포화 모노머가 폴리올에 그라프트된 양은 그라프트된 최종 생성물의 10-35 중량 %이다.
적당한 예의 그라프트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Niax 31-28(유니온 카바이트 회사의 생성물)과 같은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혼합물이다.
마찬가지로 폴리올에 분산된 폴리우레아의 양은 총 분산액의 10-35 중량 %이다.
고분자 폴리올을 사용하면 그 결과의 생성물(나일론 블록 공중합체)이 충격저항은 감소되지 않고 좋은 휨 모듈러스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의 폴리올로는 산화폴리에틸렌의 트리올 및 테트라올, 산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폴리에테르 세그멘트, 폴리아민폴리올과 카프로락탐과 같은 폴리락톤이다.
에틸렌 디아민, 포도당, 과당, 자당 또는 트리메틸을 프로판을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올도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폴리올은 주로 고분자 폴리올이다.
당량은 100-3000 정도가 바람직하며 특히 1000-2500 사이가 좋다.
여기서 말하는 분자량 또는 당량은 수평균 중량을 의미한다.
더우기 폴리올의 당량이라는 말은 히드록실 그룹당 폴리올의 수평균 중량, 즉 작용성으로 나눈 분자량을 말한다.
저분자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N-치환된 카르바모일 화합물이 코딩과 같은 폴리우레탄에 사용된다면 글리세롤 또는 트리메틸올을 프로판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분자 폴리올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펀리하다.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의 혼합물도 역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더욱 잘 실시하기 위해서는 디올의 양이 폴리올 성분에 존재한다.
이 디올은 폴리이소시안산염과 반응하기 전에 세개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 폴리올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디올과 세개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 폴리올을 각각 토대로 하여 활성화제 또는 이에 따른 전구물질을 제조할 수도 있고 적당한 단계에서 여러 성분을 혼합할 수도 있다.
디올을 세개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 폴리올에 첨가한 비는 히드록실 그룹의 양을 토대로 한 2-60당량 %이다.
공업적으로 제조된 세개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 폴리올에 항상 소량의 디올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이 범위에 첨가된 디올에 적용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러나 세개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 폴리올에 이미 존재하는 디올은 이러한 범위를 결정하는데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적당한 디올은 에틸렌 글리콜, 1, 3-프로필렌 글리콜, 1, 2-프로판디올, 1, 2-부탄디올, 1, 3-부탄디올, 1, 4-부탄디올, 1, 5-부탄디올, 1, 10-데칸디올, 1, 1-디메틸올-3-사이클로헥센,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2-히드록시에톡시-1-프로판올, 글리세롤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과 같은 분자량이 최고 350인 저분자 디올이다.
그러나 당량이 300-3000, 특히 1000-2500 사이인 고분자 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이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때 사용될 경우 이러한 디올이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적당한 고분자 디올로는 산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산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산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산화 에틸렌 및 산화 프로필렌의 랜덤(random) 또는 블록 코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올등과 같은 글리콜을 토대로한 폴리에테르 디올들이다.
보통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안산염 사이의 반응은 촉매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지방족 이소시안산염이 사용될 경우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의 폴리우레탄 촉매가 적당하며 그 예로서 3차 아민 또는 카르복실산 주석(II)과 주석(IV)염이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안산염을 사용할 경우 촉매는 필요치 않다.
이 반응에서 용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소시안산염으로 종결된 폴리우레탄의 점도가 반응을 쉽게 하기에 너무 높다면 초산 에톡시에틸(초산셀로솔브)과 같은 적당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용매는 폴리올-폴리이소시안산염 반응 도중 또는 후에나 락탐과 반응후에라도 증류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적당한 락탐은 여러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원자 고리가 4-14 개인 락탐이 적합하며 탄소원자 고리가 5-11 개인 락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락탐은 탄소사슬에 곧은 또는 가지달린 사슬 알킬라디칼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이용하여 활성화제를 제조할때 악영향을 끼치거나 억제하지 않는다.
적당한 락탐의 예로는 2-피롤리돈, 2-피페리돈, 라우릴락탐, 카프로락탐 및 이와유사한 것들이 있다.
알킬치환된 락탐의 예로 6-아미노-5메틸 헥산 산 락탐과 6-아미노-3-메틸-헥산 산 락탐이 있다.
이중에서 카프로락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폴리아미드를 생성하는 다른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부적합하다.
예로서 디카르복실산은 음이온 중합 반응을 방해한다.
더우기 아미노 화합물을 사용하면 카르바모일 락탐과 요소화합물로 분해한다는 설이 있다.
이중산(diacid)을 디아민과 축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부산물과 같은 물을 생성하는 화합물은 활성화제의 생성물을 방해한다.
여러 반응 성분의 비는 주로 이 성분들의 작용성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NCO/OH 그룹의 비는 약2이다.
이소시안산염으로 종결된 폴리우레탄과 락탐을 반응시킬때 NCO/OH 락탐의 비는 약 1이 될 것이다.
N-치환된 카르바모일 화합물은 락탐의 음이온 중합에서, 특히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를 생성할때 활성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 음이온 중합은 알칼리 금속 락타메이트, 특히 나트륨 또는 칼륨 락타메이트와 그리냐드 락타메이트, 특히 브로모 마그네슘 락타메이트와 같은 음이온 중합촉매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이 촉매는 락탐에 대하여 0.01-10 당량%, 특히 락탐에 대하여 0.1-3 당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나일론의 반응사출 성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아미드를 생성하는 화합물은 밀폐형으로 사출되어 빠른 중합이 일어나고 그 결과 나일론이 생성된다.
최종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폴리에테르의 양은 최종 생성물에 대하여 5-35 중량 %, 특히 10-30 중량 % 사이가 편리하다.
이 범위내에서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의 충격강도와 휨 모듈러스가 최적이다.
락탐의 음이온 중합은 락탐의 녹는점과 이 결과의 나일론 블록공중합체의 녹는 점 사이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특히 90-160℃에서 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의 무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잘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메틸렌 비스(4-사이클로헥실 이소시안산염) (Mobay Chemical 회사제품, 상품명 : Desmodur W) 87.6g(0.668당량)과 일차 히드록실 그룹으로 종결된 폴리에테르트 리올(BASF Wyandotte 회사제품, 상품명 : Pluracol 380, OH 당량 : 2244) 500g(0.223당량)을 반응솥에 넣고 교반시키면서 가열한다.
이론 NCO%(3.19%)에도 달하도록 질소권하에서 6시간 40분 동안 교반시켜서 70℃로 가열한다.
이 반응에서 촉매는 사용하지 않는다.
반응 생성물에 카프로락탐 50.4g(0.445몰)을 첨가한다.
혼합물은 85℃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결과의 생성물인 카프로락탐-우레탄 프리폴리머 부가물은 실온에서 점성이 높았으나 70℃에서는 액체였다.
[실시예 2]
Pluracol 380(500g, 0.223당량)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HDI)(56.2g, 0.670당량)과 혼합한다.
혼합물은 이론 NCO%(3.37%)에 도달하도록 75℃에서 5시간 50분 동안 가열한다.
이 반응 생성물에 카프로락탐 50.6g(0.447몰)을 첨가하여 이 혼합물을 85℃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다.
반응 생성물인 카프로락탐-우레탄 프리폴리머 부가물은 실온에서 집성이 높았으나 75℃에서는 액체였다.
실시예 1과 2에서 얻은 카프로락탐 부가물을 나트륨 락타메이트 또는 칼륨 락타메이트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나일론 6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했다.
이 결과가 표 I에서 IV에 나타나 있다.
[표 1 ]
나트륨 락타메이트를 이용하여 130℃에서(HDI+Pluracol 380) 부가물-CLM 공중합의 비연구
Figure kpo00002
[표 2 ]
나트륨 락타메이트를 이용하여 130℃에서(Des.W+Pluracol 380) 부가물-CLM 공중합의 비연구
Figure kpo00003
[표 3 ]
칼륨 락타메이트를 이용하여 130℃에서(Des.W+Pluracol 380) 부가물-CLM 공중합의 비연구
Figure kpo00004
[표 4]
칼륨 락타메이트를 이용하여 130℃에서(HDI+Pluracol 380) 부가물-CLM 공중합의 비연구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이 결과는 HDI를 토대로 한 부사물이 Desmodur W를 토대로 한 부가물보다 고화시간과 구름접에서 더반응성임을 나타낸다.
표 V에서 VIII은 나일론 6블록 공중합체의 물리적 성질을 요약해 놓았고 가령 TAG의 측면에서 볼때 표 V는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고, 표 VI는 Izod 충격강도를 나타내고, 표 VIII는 열안정성을 나타내고, 표 VIII는 물흡수전후의 쇼어 D경도를 나타낸다.
표 IX는 160℃의 주조온도에서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다.
표 X는 디올-과 트리올 카르바모일 락탐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얻느 나일론 6블록 공중합체의 물리적 성질을 요약한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디올은 분자량이 약 4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고 트리올은 상술한 Pluracol 380이다.
사용된 이소시안산염은 Desmodur W이다.
[표 V]
나일론 6 블록 공중합체의 기계적인 성질
Figure kpo00007
주 : 1. 상기 샘플은 그리냐드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했다 : 용융온도 130℃
2. 칼럼 4, 5 및 6은 물 흡수전.
3. 칼럼 7, 8, 9 및 10은 물 흡수후.
[표 VI]
나일론 6블록 공중합체의 Izod 충격강도
Figure kpo00008
[표 VII]
나일론 6블록 공중합체의 열안정성
Figure kpo00009
[표 VIII]
쇼어 D 강도
Figure kpo00010
* 샘플은 브롬화 락탐 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제조했다.
* 샘플은 칼륨 락타메이트를 제조했다(용융온도 130℃).
용융온도 160°에서의 기계적 성질
Figure kpo00011
주 : 샘플은 브롬화 락탐 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제조했다.
[표 X]
디올 및 트리올 폴리에테르의 기계적 성질
Figure kpo00012
주 : 샘플은 브롬화 락탐 마그네슘을 촉매로 이용하여 제조했다(용융온도 160℃).

Claims (9)

  1. 식 R(OH)n의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식 OCN-R'-NCO의 폴리이소시안산염을 혼합하여 반응시켜 이 반응생성물을 최소 하나의 락탐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식의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3
    여기서 n은 3이상의 정수이고, R은 3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이고, R'는 탄소원자가 6-25개인 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랄킬 그룹이며, Y는 탄소원자가 3-14개인 알킬렌 그룹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그라프트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우레아 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 이소시아산염이 디이소시안산염인 거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안산염이 1, 6-헥산디이소시안산염, 이소포론 디이소시안산염, TDI 또는 M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안산염이 1, 6-헥산 디이소시안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락탐이 카프로락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n이 3-1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이 2-60당량 %의 첨가된 이관능성(difunctional) 히드록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따라 제조된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과 락탐 중합촉매의 존재하에서 락탐을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50001867A 1984-03-22 1985-03-20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70001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208384A 1984-03-22 1984-03-22
US592083 1984-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074A KR850007074A (ko) 1985-10-30
KR870001406B1 true KR870001406B1 (ko) 1987-07-30

Family

ID=2436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867A KR870001406B1 (ko) 1984-03-22 1985-03-20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158393A1 (ko)
JP (1) JPS61228A (ko)
KR (1) KR870001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1921A (ja) * 1987-05-22 1988-11-29 Sumitomo Chem Co Ltd エチレン性不飽和基を有するポリエ−テルポリアミド共重合体
NL8702950A (nl) * 1987-12-08 1989-07-03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nylonblokcopolymeer.
BE1006638A3 (nl) * 1993-01-27 1994-11-03 Dsm N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nylonblokcopolymeer.
BE1006897A3 (nl) * 1993-03-01 1995-01-17 Dsm N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nylonblokcopolymeer.
ITPD20040138A1 (it) * 2004-05-28 2004-08-28 Alcan Packaging Italia Srl Composti particolarmente catalizzatori di poliuretani
WO2013045319A1 (de) * 2011-09-28 2013-04-04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miden durch anionische polymeris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1299C3 (de) * 1971-06-24 1981-04-23 Bayer Ag, 5090 Leverkusen Durch Hitzeeinwirkung härtbare Gemisc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diesen Gemischen
DE2647309A1 (de) * 1976-10-20 1978-04-2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ockcopolyamiden
DE3004876A1 (de) * 1980-02-09 1981-08-20 Chemische Werke Hüls AG, 4370 Marl Blockierte polyisocyanate mit hoher reaktionsfaehigkeit,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074A (ko) 1985-10-30
EP0158393A1 (en) 1985-10-16
JPS61228A (ja) 198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128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alloy, molded product, and reaction injection molded products
US4582879A (en) Reactio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reaction injection molded products
US9139752B2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amides via anionic polymerization
US4540515A (en) N-Substituted carbamoyl-lactam compound
EP0156129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nylon block copolymer composition
KR870001406B1 (ko)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EP013523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n-substituted carbamoyllactam compound
KR860001553B1 (ko) N-치환된 카르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US4614615A (en) Process for preparing an N-substituted carbamoyl-lactam compound
US4626385A (en) N-substituted carbamoyl-lactam
EP0324432B1 (en) Process for preparing modified polyamides and polyamides obtainable thereby
KR870001407B1 (ko) N-치환된 카로바모일-락탐 화합물의 제조방법
CA1252090A (en) N- substituted acyl-lactam compound
EP0194362B1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cyl-lactam compound
CA1326729C (en) Process for producing modified, impact-resistant polyamides
JPS6119649B2 (ko)
JPS6153373B2 (ko)
EP0404254A1 (en) N-substituted carbamoyllactam functional compounds and polylactam block copolymers deriv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