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467B1 - 카프로락탐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카프로락탐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467B1
KR860001467B1 KR1019840005264A KR840005264A KR860001467B1 KR 860001467 B1 KR860001467 B1 KR 860001467B1 KR 1019840005264 A KR1019840005264 A KR 1019840005264A KR 840005264 A KR840005264 A KR 840005264A KR 860001467 B1 KR860001467 B1 KR 86000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rolactam
distillation
hydrogenation
sulfuric acid
distil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899A (ko
Inventor
게리트 프란테마 옷토
고트프리드 마리아 제텐 아놀드
프란시스쿠스 하센 니코라스
Original Assignee
스태미카본 베. 뷔
하. 베. 반 리우벤;제이. 에이취. 크루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태미카본 베. 뷔, 하. 베. 반 리우벤;제이. 에이취. 크루이트 filed Critical 스태미카본 베. 뷔
Publication of KR85000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1/00Preparation, separation, purification or stabilisation of unsubstituted lactams
    • C07D201/16Separation or pur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카프로락탐의 회수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황산 또는 발연황산으로 사이클헥사논 옥심을 전위시켜 얻은 불순한 카프로락탐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남은 잔류무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 -6을 중합하기 위한 순수한 카프로락탐을 얻기 위해서는, 사이클로헥사는 옥심의 전윌로 생성된 불순한 카프로락탐을 여러단계의 정화과정을 거치게 해야 한다. 마지막 단계로 정화하기 위하여 카프로락탐을 감입하에서 증류시켜야 하는데 이 증류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법이 유럽 특허출원 제0065168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증류과정에서 남은 잔류물에 들어있는 카프로락탐의 양은 매우 순수한 상태로 회수할 가치가 있는 양이다.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증류잔류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공지방법(유럽 특허출원 제0022161호 참조)은 두 단계의 증류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이 증류액을 강산으로 처리하여 처리된 증류액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추출할 수 있다. 강산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 공정은 가격이 오히려 비싸다. 본 발명은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잔류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강산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고, 또 한번의 증류단계로도 충분한, 매우 적당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황산 또는 발열황산으로 사이클헥사논 옥심을 전위시켜 얻은 불순한 카프로락탐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남은 잔류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감압하에서 잔류물을 증류시키고, 이 방법으로 얻은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증류액을 수성 매질에서 수소화하여 이 결과 생긴 수소화 생성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끓는점이 높은 불순물과 끓는점이 낮은 불순물은 감압하에서 증류로 분리되며, 이렇게 하므로써 회수하기 위한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증류액이 만족할 정도의 순도는 아니지만 얻어진다.
감압하에서 이 증류는 공지의 방법인 체판 또는 패킹(packing)과 5-25개의 이론단이 설치된 칼레과 같은 증류 장치에서 실시한다.
칼럼내의 선택 온도 및 압력은 바닥에서는 115-250℃의 온도와 상부에서는 3-500mbar의 압력으로 변화한다. 가장 적당한 온도와 압력은 바닥에서는 120-200℃의 온도와 상부에서는 5-150mbar의 압력이다. 충전 칼럼을 이용한 대규모 증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의 여러 충전 물질은 인탈록스 메탈 패킹(Intalox metal packing)(1979년 3월의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페이지 86-91에 기술되어 있다) 설저 패킹 타이프 비엑스(Sulzer packing type BX)(Chemie Ingenieur Technik, 볼륨 37, 페이지 322, 1965를 참조하라)와 실저 패킹 타이프 멜라팩(Sulzer packing type Mellapak)(1977년 11월의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페이지 71-77을 참조하라)과 같은 것이 적당하다.
수성 매질에서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증류액의 수소화는 산화알루미늄에서의 루테늄, 산화알루미늄에서의 로듐, 탄소에서의 플라티늄, 탄소에서의 팔라듐, 라니 니켈과 산화규소에서의 니켈과 같은 공지의 수소화 촉매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니켈을 포함한 촉매를 이용하여 수소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매질에서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증류액의 농도는 10-95중량%이며, 30-7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수소화는 20-160℃의 온도에서도 실시될 수 있는데 70-12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역시 수소압력도 1-100bar 정도이며 2-20bar 정도가 매우 효과적이다.
수성의 수소화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것은, 예를들어 분별증류 또는 톨루엔으로 추출하는 방법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원한다면 분별증류 또는 추출은 사이클로헥사논 옥심의 전위로 얻은 카프로락탐의 작업 공정과 함께 실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실시해야 될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잔류물이 남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I]
응축기가 있는 정류 칼럼과 바닥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강하막 증발기로 구성된 진공증류장치에서 락탐은 유럽특허출원 제0065168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증류에 의해 카프로락탐을 정제하고 남은 증류 잔류물(순도 99중량%)로부터 회수된다. 사용한 강하막 증발기는 노르막형(Normag type) 9318S이다. 정류칼럼(직경 5㎝)에서는 20개의 체판(13개의 이론단)이 사용된다.
증류잔류물은 바닥에서 다섯번째 체판에서 정류 칼럼으로 시간당 1642gr의 양으로 공급된다. 정류 칼럼의 상부 압력은 13mbar이고 바닥온도는 178℃이며 상부온도는 137℃이다. 강하막 증발기에서 매질은 213℃의 온도로 가열된다.
응축기온도가 120℃ 에서 전 환류로 시간당 기상 1.5g(끓는점이 낮은 화합물)이 칼럼 상부에서 운반 제거된다. 바닥으로부터 열번째 체판에 있는 측류 배수를 통하여 160℃와 0.45의 환류비로 시간당 1558gr의 카프로락탐이 운반되어 나온다.
얻어진 바닥생성물중에서 시간당 82.5g이 운반제거된다. 측류를 통하여 나온 카프로락탐의 색지수는 1 하젠(카프로락탐 수용액 50중량%)이고 과망간산염수는 1800이다. 얻은 카프로락탐중 100gr을 물 40gr과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5bar의 수소분압 및 라니니켈 60mgr 존재하에 용량이 0.5ℓ인 압력솥에서 80℃로 한시간 동안 잘 교반된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라니니켈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이 결과로 얻은 용액내 카프로락탐의 과망간산염수는 8000이다.
그리고 나서 이 용액중의 물을 대기압에서 증류하여 제거한다. 나머지 생성물을 8mbar의 압력과 123℃의 온도에서 증류한다. 대규모 공정에서는 물론 이러한 증류를 상기 유럽특허출원 제0065168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류하여 정제하는 것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과망간산염 수 12000를 가진 카프로락탐 95gr이 얻어진다.
[실시예 II]
라니니켈 대신에 산화규소에서의 니켈(니켈 35중량%) 130mgr을 가지고 실시예 I에 설명된 방법으로 행한다. 이 결과는 실시예 I 에서와 같다.
[실시예 Ⅲ]
라니니켈 대신에 산화알루미늄에서의 루테늄(루테늄 0.5중량%) 10mgr으로 실시예 I 에 설명된 방법으로 행한다. 수소화에서 얻은 카프로락탐의 과망간산염수는 6000이며 수소화생성물을 증류하여 회수한 카프로락탐의 과망간산염수는 10000이다.

Claims (8)

  1. 황산 또는 발연황산으로 사이클로헥사논 옥심을 전위시켜 얻은 불순한 카프로락탐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남은 잔류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압하에서 잔류물을 증류시키고, 이 방법으로 얻은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증류액을 수성매질에서 수소화시켜 이 겨롸 생긴 수소와 생성물로부터 카프로 락탐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감압하에서의 증류를 5-25개의 이론단이 있는 충전칼럼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칼럼에서 바닥온도가 120-200℃이고 상부압력이 5-150m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니켈을 포함한 촉매를 수소화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성매질에서 카프로락탐을 포함한 증류액의 농도가 30-75중량%로 수소화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수소화가 70-120℃의 온도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수소화에서 수소의 분압이 2-20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증류시켜 얻은 수소화 생성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회수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40005264A 1983-08-31 1984-08-29 카프로락탐의 회수방법 KR860001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303028A NL8303028A (nl) 1983-08-31 1983-08-31 Winning van caprolactam uit caprolactam-bevattend destillatie-residu.
NL8303028 1983-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899A KR850001899A (ko) 1985-04-10
KR860001467B1 true KR860001467B1 (ko) 1986-09-26

Family

ID=1984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264A KR860001467B1 (ko) 1983-08-31 1984-08-29 카프로락탐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63308A (ko)
EP (1) EP0138241A3 (ko)
JP (1) JPS60155155A (ko)
KR (1) KR860001467B1 (ko)
BR (1) BR8404332A (ko)
CA (1) CA1221365A (ko)
ES (1) ES535516A0 (ko)
IN (1) IN162723B (ko)
NL (1) NL83030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9853A1 (de) * 1987-09-05 1989-03-23 Basf Ag Verfahren zur aufarbeitung von destillationsrueckstaenden, die bei der reinigung von caprolactam anfallen
DE3925575A1 (de) * 1989-08-02 1991-02-07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reinigung von caprolactam
ATE183501T1 (de) * 1993-06-04 1999-09-15 Dsm Nv Wiedergewinnung von epsilon-caprolactam aus teppichabfallen
BE1007298A3 (nl) * 1993-07-19 1995-05-09 Dsm Nv Werkwijze voor het zuiveren van een water-epsilon-caprolactam mengsel.
TW268941B (ko) * 1993-08-20 1996-01-21 Sumitomo Chemical Co
US6369192B1 (en) 1995-10-27 2002-04-09 Praxair Technology, Inc. Method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polymers
DE19623662A1 (de) * 1996-06-13 1997-12-18 Basf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epsilon-Caprolactam
US6132884A (en) * 2000-01-14 2000-10-17 Ticona Llc Process for producing amorphous anisotrophic melt-forming polymers having a high degree of stretchability and polymers produced by same
US6294640B1 (en) 2000-01-14 2001-09-25 Ticona Llc Stretchable polymers and shaped articles produced by same
US6222000B1 (en) 2000-01-14 2001-04-24 Ticona Llc Process for producing amorphous anisotropic melt-forming polymers having a high degree of stretchability
US6207790B1 (en) 2000-01-14 2001-03-27 Ticona Llc Process for producing amorphous anisotropic melt-forming polymers having a high degree of stretchability and polymers produced by same
AU2002347653A1 (en) * 2001-11-26 2003-06-10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recovering caprolactam
US7022844B2 (en) 2002-09-21 2006-04-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mide-based compounds, production, recovery, purification and uses thereof
ATE465145T1 (de) * 2003-07-25 2010-05-15 Dsm Ip Assets Bv Verfahren zur aufreinigung von caprolactam
TWI520944B (zh) * 2015-02-13 2016-02-11 中國石油化學工業開發股份有限公司 己內醯胺之製造方法及其系統
CN116075407A (zh) 2020-07-15 2023-05-0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从受污染的热塑性塑料中去除污染物的方法
CN114516838B (zh) * 2022-02-24 2024-01-23 江苏扬农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环己酮肟气相重排产物残渣的资源化利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33212A (fr) * 1954-11-04 1957-03-25 Stamicarbon Procédé pour l'épuration de caprolactame
FR1337527A (fr) * 1962-08-27 1963-09-13 Snia Viscosa Procédé de purification du caprolactame
DE2443341C3 (de) * 1974-09-11 1979-05-17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Reinigung von Rohcaprolactam
DE2845019A1 (de) * 1978-10-16 1980-04-30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epsilon -caprolactam durch beckmann'sche umlagerung
DE2915360A1 (de) * 1979-04-14 1980-10-3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prolactam
NL8102280A (nl) * 1981-05-09 1982-12-01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zuiveren van epsilon-caprolact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8241A2 (en) 1985-04-24
IN162723B (ko) 1988-07-02
KR850001899A (ko) 1985-04-10
BR8404332A (pt) 1985-07-30
ES8505339A1 (es) 1985-05-16
JPS60155155A (ja) 1985-08-15
US4563308A (en) 1986-01-07
EP0138241A3 (en) 1987-06-03
ES535516A0 (es) 1985-05-16
CA1221365A (en) 1987-05-05
NL8303028A (nl) 198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467B1 (ko) 카프로락탐의 회수방법
US4105688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alonic acid dinitrile and purification thereof
US4076594A (en) Purification of formic acid by extractive distillation
US3174262A (en) Chemical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ethylene oxide
JPS62212351A (ja) アミン水溶液からアミンを分離するための蒸留法
KR20040063970A (ko) 카프로락탐의 회수 방법
KR100551461B1 (ko) 미정제 액상 비닐 아세테이트의 후처리방법
RU1776258C (ru)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 этиленоксида от примесей ацетальдегида и формальдегида
US3682782A (en) Reduced pressure distillation process for recovering aniline from phenolaniline mixtures
KR20020070348A (ko) 폐가스 흐름의 세정 방법
JP3278848B2 (ja) 1,1,1,3,3−ペンタフルオロ−2,3−ジクロロプロパンの精製方法
US4326925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caprolactame
JP2506021B2 (ja) カプロラクタムの精製法
US5459261A (en) Process for producing a high purity caprolactam
US4153516A (en) Process for separating alkoxyketone compounds from the corresponding 1-alkoxy-2-alkanol compound
JP4961208B2 (ja) 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US3451900A (en) Adiponitrile recovery by multistage vacuum distillation
JP3024414B2 (ja) ピロリドン類の製造方法
US4293494A (en)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raw caprolactam which contains amides and other by-products
MXPA02011828A (es) Procedimiento para la separacion de 6-aminocapronitrilo a partir de mezclas que contienen 6-aminocapronitrilo, adipodinitrilo y hexametilendiamina.
US4229262A (en) Process for separating alkoxyketone compounds from the corresponding 1-alkoxy-2-alkanol compound
US3873577A (en) Method of recovering pure maleic anhydride from a crude mixture containing same together with an entrainer
JPS6112680A (ja) グリシド−ルの新規精製方法
JPS6031828B2 (ja) ヘキサメチレンイミンの製法
JP5101486B2 (ja) 不純な6−アミノカプリロニトリルからカプロラクタムを製造する改良された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