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970A - 카프로락탐의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카프로락탐의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970A
KR20040063970A KR10-2004-7007900A KR20047007900A KR20040063970A KR 20040063970 A KR20040063970 A KR 20040063970A KR 20047007900 A KR20047007900 A KR 20047007900A KR 20040063970 A KR20040063970 A KR 20040063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rolactam
vacuum distillation
mixture
hydrogena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미츠테오도루스마리아
한극스게라르두스빌헬무스아드리아누스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6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9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2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2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23/08Oxygen atoms
    • C07D223/10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1/00Preparation, separation, purification or stabilisation of unsubstituted lactams
    • C07D201/16Separation or pur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3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by two or more of a fractionation, separation or rectification step
    • B01D3/146Multiple effect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33Other features
    • B01D5/0036Multiple-effect condensation; Fractional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olyamid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프로락탐, 물, 경질 및 중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혼합물의 제1 진공 증류에 의하여 중질 성분들과 카프로락탐을 포함하는 제1 하부 생성물, 및 카프로락탐, 물, 불포화 락탐 및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1 상부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불포화 락탐의 적어도 일부를 수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프로락탐의 회수 방법{PROCESS FOR RECOVERING CAPROLACTAM}
본 발명은 카프로락탐, 물, 경질(light) 및 중질(heavy)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프로락탐이 회수되는, 카프로락탐, 물, 중질 및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들은 카프로락탐의 제조 방법에서 보통 사용되며, 상기 방법에서 시클로헥사논 옥심은 산, 보통 올레움(oleum)에 의해 카프로락탐으로 전환된다. 상기 전환은 베크만 전위 반응(Beckmann rearrangement)으로 알려져 있다. 염기,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는 베크만 전위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어 중화된 베크만 전위 반응 혼합물이 수득된다. 베크만 전위 반응 및 이후 중화 반응 중에, 수성 카프로락탐 스트림내에 유해 성분으로서 존재하는 부산물들이 형성된다. 상기 성분들은 이로부터 제조되는 중합 생성물 및 카프로락탐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증류 조건하에서 성분들의 끓는점이 카프로락탐의 끓는점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이들은 이하에 각각 중질 성분들 또는 경질 성분들이라고 언급할 것이다. 카프로락탐으로부터 물과 같은 상기 성분들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화후 1개 이상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작업들은 다른 것들중에서 추출, 증류, 결정화, 이온교환, 산화, 증발 및 수소화를 보통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EP-A-0 065168에는 카프로락탐, 물, 중질 및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 순도 95-99.9%의 카프로락탐이 제1 진공-조작 증류 컬럼에 공급되고, 컬럼 상부 위에서 증류물(제1 상부 생성물)로서 경질 성분들이 배출되도록 분리가 조절되며, 카프로락탐 및 중질 성분들로 구성된 하부 생성물(bottom product)이 제2 진공-조작 증류 컬럼에 공급된다. 제2 컬럼에서, 카프로락탐과 중질 성분들 사이에서 분리가 실시된다.
증류 조건하에서 카프로락탐의 끓는 점과 차이가 많이 안 나는 끓는 점을 갖는 경질 성분들도 또한, 카프로락탐, 물, 경질 및 중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경질 성분들은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특히 소위 불포화 락탐(USL)과 관련되어 있다.
하기 구조식을 갖는 4개의 불포화 락탐들을 USL-1, USL-2, USL-3 및 USL-4로 명명한다.
카프로락탐의 품질은 다른 것들 중에서 소위 PAN 수(PAN number)(ISO 표준 8660에 따라 측정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PAN 수는 카프로락탐내 산화가능한 불순물 함량의 측정치이다. USL은 그중에서도 산화가능한 불순물들에 속한다. 상기 수가 낮을 수록 산화가능한 불순물들은 적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포화 락탐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분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카프로락탐의 손실이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불포화 락탐을 효율적으로 분리시킨다.
상기 목적은 혼합물의 제1 진공 증류에 의하여 중질 성분들과 카프로락탐을 포함하는 제1 하부 생성물, 및 카프로락탐, 물, 불포화 락탐 및 (불포화 락탐 이외의)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1 상부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불포화 락탐의 적어도 일부를 수소화시키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카프로락탐이 거의 손실되지 않으면서 제1 하부 생성물내 불포화 락탐의 양이 (제1 하부 생성물내 카프로락탐의 양을 기준으로) 9ppm(parts per million) 이하, 바람직하게는 6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ppm 이하가 되도록 제1 진공 증류 단계를 실시한다. 불포화 락탐의 양이 (제1 하부 생성물내 카프로락탐의 양을 기준으로) 9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6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ppm 이하인 제1 하부 생성물을 생성시키기 위해 적당한 증류 조건이면 어느 조건이나 적용될 수 있다. 백만분율(ppm; parts per million)이라는 용어는 특정 물질 및 카프로락탐을 포함하는 혼합물 내 카프로락탐의 1,000,000g당 특정 물질의 그람(g)으로 구성된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적은 제1 상부 생성물이 카프로락탐을 함유하도록 증류를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상부 생성물내 카프로락탐의 양은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된 혼합물 내 카프로락탐의 양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다. 제1 진공 증류 단계는 진공 증류 컬럼(이하 제1 진공 증류 컬럼이라고 함)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진공 증류 컬럼의 상부에서 적용 압력은 0.2㎪ 내지 5㎪이며, 하부 온도는 90℃ 내지 170℃이다.
불포화 락탐의 적어도 일부를 수소화하여, 불포화 락탐이 카프로락탐으로 전환된다. 수소화의 또다른 잇점은 불포화 락탐이 유용한 카프로락탐으로 전환되어 효율성이 더 개선된다는 점이다. 또한, 카프로락탐과 불포화 락탐의 혼합물을 수소화하면 유해한 특성들을 갖는 불포화 락탐이 없이 상기 혼합물로부터 불포화 락탐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수소화는 불포화 성분들, 예를 들어 불포화 락탐을 수소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당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수소화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수소화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는 이종 수소화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상기 수소화 촉매의 예로는 산화알루미늄상의 루테늄, 산화알루미늄상의 로듐, 탄소상의 백금, 탄소상의 팔라듐, 라니 니켈(Raney nickel), 실리카상의 니켈 및 산화알루미늄상의 니켈이 있다. 니켈-함유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화될 혼합물 내에 촉매 입자들을 현탁시킨 교반 탱크 반응기 내에서 수소화가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촉매를 반응기 내에 고정시킨 고정층 반응기 내에서 수소화가 실시된다. 수소화 온도는 보통 20℃ 내지 160℃이다. 본래, 저온에서는 반응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너무 낮은 온도는 선택되지 않을 것이다. 고온은 카프로락탐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온도는 너무 높지 않다. 그러므로, 온도는 100℃ 내지 130℃가 바람직하다. 수소화 압력은 0.1㎫ 내지 15㎫이다. 압력은 0.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수소의 양은 압력, 온도 및 수소의 용해도 및 수소화될 불포화 락탐의 양에 따라 다를 것이다. 수소화는 EP-A-635487에 기술된 바에 따라 유리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1 진공 증류 처리되는 카프로락탐, 물, 경질 및 중질 성분들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중량% 이상의 카프로락탐을 함유한다.
중화된 베크만 전위 반응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 및 정제하는 방법에서 제1 진공 증류 단계의 상향스트림(혼합물의 흐름 방향에서 나타남)에 수소화반응기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불포화 락탐의 적어도 일부의 수소화가 상기 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카프로락탐, 물, 경질 및 중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제1 진공 증류 단계 이전에 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수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락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수소화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상부 생성물을 분리하여, 물과 경질 성분들을 함유하는 제1 부분(이중 대부분은 불포화 락탐이외의 경질 성분들임), 및 카프로락탐 및 불포화 락탐을 함유하는 제2 부분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분이 수소화되어 수소화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수소화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상기 수소화 혼합물은 본 발명의 방법중 제1 진공 증류 단계로 재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화 혼합물을 제1 진공 증류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방법은 또한 상기 재순환 이전에 1개 이상의 추가의 단계들로 수소화 혼합물을 처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프로락탐, 물, 경질 및 중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되기 전에 수소화시키는 수소화 반응기로 제2 부분을 재순환시킨다. 또한, 상기 수소화 반응기에 제2 부분을 재순환시키는 단계는 또한 상기 수소화 반응기로 재순환시키기 이전에 1개 이상의 추가의 단계들로 제2 부분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제1 상부 생성물을 분리하여, 물 및 경질 성분들을 함유하는 제1 부분, 및 카프로락탐 및 불포화 락탐을 함유하는 제2 부분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제1 상부 생성물의 응축(condensation)에 의해 유리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의 본 구체예에서, 제1 진공 증류 단계는 제1 진공 증류 컬럼의 상부에서 1㎪ 내지 5㎪의 적용 압력 및 120℃ 내지 170℃의 하부 온도에서 실시된다. 상기 구체예는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된 혼합물 내 불포화 락탐의 양이 비교적 적고/적거나, 제1 하부 생성물내 불포화 락탐의 양이 비교적 많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에서, 제2 부분은 제1 상부 생성물의 제2 진공 증류에 의하여 수득된 제2 하부 생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진공 증류 처리에 의해서 물 및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2 상부 생성물(이중 적어도 대부분은 불포화 락탐이외의 경질 성분들임) 및 카프로락탐 및 불포화 락탐을 포함하는 제2 하부 생성물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제2 하부 생성물이 수소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제1 진공 증류 단계는 제1 진공 증류 컬럼의 상부에서 0.2㎪ 내지 3㎪의 적용 압력 및 90℃ 내지 160℃의 하부 온도에서 실시된다. 제2 진공 증류 단계는 진공 증류 컬럼(이하 제2 진공 증류 컬럼이라고 함)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상부 생성물내 카프로락탐의 양이 제1 하부 생성물내 카프로락탐의 양을 기준으로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가 되도록 제2 진공 증류 단계가 실시된다. 제2 진공 증류 단계는 제2 진공 증류 컬럼의 상부에서 1㎪ 내지 5㎪의 적용 압력 및 120℃ 내지 170℃의하부 온도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는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되는 혼합물 내 불포화 락탐의 양이 비교적 많고/많거나 제1 하부 생성물내 불포화 락탐의 양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물, 카프로락탐, 불포화 락탐 및 다른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1 상부 생성물을 제2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하기 이전에, 1개 이상의 응축기내에서 응축에 의해 제1 상부 생성물을 분리하여, 물을 주로 함유하는 제1 부분, 및 카프로락탐 및 불포화 락탐 및 기타 경질 성분들을 함유하는 제2 부분을 유리하게 생성시키며, 상기 제1 부분은 진공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부분은 제2 진공 증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에 의해 제2 상부 생성물을 분리하여, 주로 예를 들어 80 중량% 이상의 물을 함유하고, 제2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되는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경질 성분들의 일부를 함유하는 프랙션(이 프랙션은 진공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함) 및 제2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되는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경질 성분들의 잔여물을 함유하는 프랙션(이 프랙션은 제2 진공 증류 단계를 위한 환류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있거나 배수 또는 소결될 수 있음)을 생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제1 하부 생성물은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되는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카프로락탐의 90 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프로락탐의 대부분 및 중질 성분들을 함유하는 제1 하부 생성물은 보통 카프로락탐 및 중질 성분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후의 분리 작업에 공급된다. 제1 상부 생성물은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된 카프로락탐의 잔여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간주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제예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비교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2단계(2a, 2b)로 구성된 응축기가 장착된 제1 진공 증류 컬럼(A)의 공급물을 라인(1)을 통해 통과시킨다. 3은 리보일러(reboiler)를 나타낸다. 증류 컬럼(A)은 직경이 10㎝이며, 30㎝의 길이를 갖는 술저(Sulzer) BX 패킹(packing)의 2개의 패키지가 장착되어 있다. 컬럼 상부에서, 압력은 0.5㎪이며, 하부 온도는 113.4℃이다. 0.5 중량%의 물 함량을 갖는 카프로락탐, 아닐린 10ppm, USL-1 10ppm 및 USL-2 및 중질 성분들 10ppm을 30㎏/hour의 속도로 컬럼(A)에 공급하였다. 카프로락탐 및 중질 성분들로 구성된 제1 하부 생성물을 라인(4)를 통해, 카프로락탐 및 중질 성분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분리 장치에 29.5㎏/hour의 속도로 공급한다. 상기 제1 하부 생성물은 아닐린 1ppm 미만(아닐린은 100㎪에서 184.4℃의 끓는점을 가지며, 증류에 의해 카프로락탐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경질 성분이다), USL-1 1ppm, USL-2 5ppm을 추가로 함유한다.
컬럼(A)로부터의 제1 상부 생성물은 라인(5)를 통해 응축기(2a)로 보내고, 그 이후에 응축기(2b)로 보낸다. 응축기(2a)는 70℃에서 유지되며, 응축기(2b)는 20℃에서 유지된다. 응축기(2a)에서 응축되지 않는 증기는 응축기(2b)내에서 부분적으로 응축된다. 제1 상부 생성물이 분리되어, 라인(6)을 통해 수증기로서 진공으로 배출되는 제1 부분, 및 응축 단계(2a, 2b)에서 라인(11, 9)로부터 배합된 응축물 스트림이 라인(7)을 통해 제2 진공 증류 컬럼(B) 및 도시되지 않은 중간물질 저장단계에 공급되는 제2 부분이 생성되도록 전체 응축기를 조절한다. 응축기(2a)로부터 5㎏/hour의 환류 스트림이 라인(8, 10)을 통해 컬럼(A)로 다시 되돌아 흐른다. 라인(7)에서 응축물 스트림은 0.35㎏/hour의 유속을 가지며, 하기 조성을 갖는다:
98.5 중량%의 카프로락탐(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된 카프로락탐의 1.1%에 대응)
1.4 중량%의 물
아닐린 450ppm
USL-1 211ppm
USL-2 190ppm.
5㎝ 직경을 갖고, 각 길이가 100㎝인 술저 BX 패킹의 2개의 패키지가 장착된 제2 진공 증류 컬럼(B)에 상기 응축물 스트림을 라인(7)에서 상기에서 도시되지않은 중간물질 저장단계를 통해 불연속적으로 1000g/hour의 속도로 공급한다. 상기 컬럼의 상부에서, 적용 압력은 3㎪이며, 하부 온도는 161.0℃이다. 응축기(12)를 70℃로 냉각시킨다. 컬럼(B)에서, 라인(7)로부터의 응축물 스트림을 제2 상부 생성물 및 제2 하부 생성물로 분리시킨다.
응축기(12)에 라인(13)을 통해 물과 경질 성분들로 구성된 제2 상부 생성물을 통과시켜서, 주로 물을 함유하는 부분(라인(14)를 통해 증기상으로서 진공으로배출됨) 및 주로 경질 성분들을 함유하는 부분(라인(15, 16)을 통해 100-150g/hour의 유속으로 환류물로서 컬럼(B)로 일부 다시 흐름)으로 분리시킨 반면, 다른 부분은 라인(15, 17)을 통해 빼낸다.
970g/hour의 유속으로 제2 하부 생성물을 라인(18)을 통해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수소화시키고, 이후에 라인(1)을 통해 제1 증류 컬럼(A)에 들어갈때 주요 카프로락탐 스트림으로 혼입시킨다. 참조번호(19)는 리보일러를 나타낸다.
제2 하부 생성물은 아닐린 1ppm 미만, 및 USL-1 8ppm 및 USL-2 159ppm을 함유하며,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된 카프로락탐의 1.0-1.1%를 함유한다.
수소화는 아래와 같이 일어날 수 있다. 수소화 오토클레이브에서, 제2 하부 생성물의 슬러리 500g을 90℃에서 30분간 교반하면서 물 50g 및 RaNi 촉매 100g과 함께 불연속적으로 수소화시킨다. 그후, 여과된 유출물(수소화된 제2 하부 생성물)은 USL-1 1ppm 미만 및 USL-2 20ppm을 함유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수소화된 제2 하부 생성물의 재순환(및 같은 순도의 제1 하부 생성물이 수득됨)을 생략함으로써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된 카프로락탐의 1.1%가 손실된 카프로락탐이 수득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20)을 통해 상부에서 물을 완전히 제거한 단일 컬럼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조성물의 물-함유 카프로락탐을 종래 방법으로 정제했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2단계 응축기(22a, 22b) 및 리보일러(23)를 사용하여, 술저 BX 패킹의 2개의 패키지가 장착되고 길이가 2m인 직경 5㎝의 컬럼(C)로 구성된 진공 증류 컬럼에 정제될 카프로락탐을 15㎏/hour의 속도로 라인(21)을 통해 공급한다. 컬럼 상부에서의 적용 압력은 0.6㎪이며, 컬럼 바닥에서의 압력은 2㎪이다. 바닥 온도는 143.7℃이다. 라인(24)에서 환류 유속은 4㎏/hour이며, 라인(25)에서의 하부 생성물의 유속은 14.8㎏/hour이다. 라인(20)에서 물은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된 카프로락탐 0.05%를 함유한다.
라인(25)에서 하부 생성물은 물 1ppm 미만, USL-1 1ppm, 및 USL-2 9ppm을 가지며, 실시예(도 1)로부터 라인(4)에서 하부 생성물과 같이 처리하여, 이후에 도시되지 않은 중질 성분들을 제거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에서 라인(4)의 제1 하부 생성물은 비교실시예에서 라인(25)에서 하부 생성물보다 40ppm% 적은 불포화 락탐을 함유한다. 분석후, 이는 PAN 수가 1포인트 이상씩 감소됨을 의미한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로부터, 보통 미리 존재하고 수소화에 대한 재순환이 적은 2개의 증류 컬럼들의 시리즈 배열이 PAN 수를 증가시키는 요소들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카프로락탐이 전혀 또는 거의 손실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명확해진다.

Claims (11)

  1. 카프로락탐, 물, 경질(light) 및 중질(heavy)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의 제1 진공 증류에 의하여 중질 성분들과 카프로락탐을 포함하는 제1 하부 생성물, 및 카프로락탐, 물, 불포화 락탐 및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1 상부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불포화 락탐의 적어도 일부를 수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생성물을 분리하여, 물과 경질 성분들을 함유하는 제1 부분, 및 카프로락탐과 불포화 락탐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분을 수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생성물의 제2 진공 증류에 의하여 제1 상부 생성물을 분리하여, 물과 경질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2 상부 생성물 및 카프로락탐과 불포화 락탐을 포함하는 제2 하부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부 생성물을 수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에 의해 수소화 혼합물이 생성되며, 상기 수소화 혼합물로부터 카프로락탐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에 의해 수소화 혼합물이 생성되며, 상기 수소화 혼합물을 제1 진공 증류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 증류 단계 이전에 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혼합물을 수소화시키고, 상기 불포화 락탐의 수소화가 상기 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 증류 단계 이전에 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혼합물을 수소화시키고, 제2 부분을 수소화 반응기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 증류 단계 이전에 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혼합물을 수소화시키고, 제2 하부 생성물을 수소화 반응기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 증류 단계는 제1 진공 증류 컬럼 내에서 수행되며, 제1 진공 증류 컬럼의 상부에서의 적용 압력은 0.2㎪ 내지 3㎪이며, 하부 온도는 90℃ 내지 160℃이고, 제2 진공 증류 단계는 제2 진공 증류 컬럼 내에서 수행되며, 제2 진공 증류 컬럼의 상부에서의 적용 압력은 1㎪ 내지 5㎪이며, 하부 온도는 12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축에 의해 제1 상부 생성물을 분리하여, 물을 함유하는 제1 부분, 및 카프로락탐과 경질 성분들(불포화 락탐 포함)을 함유하는 제2 부분을 생성시키고, 제2 부분을 제2 진공 증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생성물은 제1 진공 증류 단계에 공급되는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카프로락탐의 90 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07900A 2001-11-26 2002-11-25 카프로락탐의 회수 방법 KR20040063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9432 2001-11-26
NL1019432 2001-11-26
PCT/NL2002/000761 WO2003045911A1 (en) 2001-11-26 2002-11-25 Process for recovering caprolact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970A true KR20040063970A (ko) 2004-07-15

Family

ID=1977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900A KR20040063970A (ko) 2001-11-26 2002-11-25 카프로락탐의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141668B2 (ko)
EP (1) EP1448518A1 (ko)
JP (1) JP2005510562A (ko)
KR (1) KR20040063970A (ko)
CN (1) CN1277818C (ko)
AU (1) AU2002347653A1 (ko)
BR (1) BR0214414A (ko)
CO (1) CO5590953A2 (ko)
CZ (1) CZ2004622A3 (ko)
EA (1) EA007536B1 (ko)
MX (1) MXPA04004955A (ko)
MY (1) MY132420A (ko)
PL (1) PL370209A1 (ko)
TW (1) TW200408623A (ko)
WO (1) WO2003045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3094A1 (de) * 2002-11-13 2004-05-27 Basf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Caprolactam
BRPI0410604A (pt) 2003-05-23 2006-06-20 Dsm Ip Assets Bv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caprolactama
ATE465145T1 (de) * 2003-07-25 2010-05-15 Dsm Ip Assets Bv Verfahren zur aufreinigung von caprolactam
JP4755829B2 (ja) * 2005-01-11 2011-08-24 花王株式会社 ピロリ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4983041B2 (ja) * 2006-02-21 2012-07-25 住友化学株式会社 カプロラクタムの精製方法
TW201000635A (en) * 2008-05-20 2010-01-01 Dsm Ip Assets Bv Preparation of epsilon-caprolactam from (Z)-6,7-dihydro-1H-azepin-2(5H)-one
EP2123767A1 (en) * 2008-05-20 2009-11-25 DSM IP Assets B.V. Preparation of epsilon-caprolactam via lysine cyclisation
EP2123768A1 (en) * 2008-05-20 2009-11-25 DSM IP Assets B.V. Preparation of (Z)-6,7-dihydro-1H-azepin-2(5H)-one
US8540870B2 (en) * 2009-06-25 2013-09-24 Uop Llc Process for separating pitch from slurry hydrocracked vacuum gas oil
US8202480B2 (en) * 2009-06-25 2012-06-19 Uop Llc Apparatus for separating pitch from slurry hydrocracked vacuum gas oil
JP6003755B2 (ja) * 2012-12-19 2016-10-05 東レ株式会社 ラクタムの精製方法
US8841445B2 (en) 2012-12-19 2014-09-23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purified caprolactam from the Beckmann rearrangement of cyclohexane oxime
DE102013107238A1 (de) * 2013-07-09 2015-01-15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von Epsilon-Caprolactam aus Extraktwasser
NZ730475A (en) * 2014-10-29 2018-09-28 Dong A St Co Ltd Novel pyridopyrimidinone compounds for modulating the catalytic activity of histone lysine demethylases (kd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102280A (nl) * 1981-05-09 1982-12-01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zuiveren van epsilon-caprolactam.
NL8303028A (nl) * 1983-08-31 1985-03-18 Stamicarbon Winning van caprolactam uit caprolactam-bevattend destillatie-residu.
DE3735054A1 (de) * 1987-10-16 1989-04-27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caprolactam aus leichtsiedern oder schwersiedern der caprolactamdestillation oder gemischen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5911A1 (en) 2003-06-05
EP1448518A1 (en) 2004-08-25
PL370209A1 (en) 2005-05-16
US20050176954A1 (en) 2005-08-11
EA007536B1 (ru) 2006-10-27
TW200408623A (en) 2004-06-01
AU2002347653A1 (en) 2003-06-10
MXPA04004955A (es) 2004-08-11
EA200400736A1 (ru) 2004-10-28
CO5590953A2 (es) 2005-12-30
MY132420A (en) 2007-10-31
CZ2004622A3 (cs) 2004-10-13
US7141668B2 (en) 2006-11-28
JP2005510562A (ja) 2005-04-21
CN1277818C (zh) 2006-10-04
BR0214414A (pt) 2004-09-14
CN1596245A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3970A (ko) 카프로락탐의 회수 방법
US8231765B2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lactams
EP1373201B1 (en) Process for recovering and purifying caprolactam from an organic solvent
KR101227170B1 (ko) 정제된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0138241A2 (en) Recovery of caprolactam from caprolactam-containing distillation residue
KR100518073B1 (ko) ε-카프로락탐과 ε-카프로락탐 전구물질의 수성 혼합물의 연속제조방법
KR20150095930A (ko) 시클로헥사논 옥심의 베크만 재배열로부터 정제된 카프로락탐을 제조하는 방법
KR100424123B1 (ko) 락탐의 처리방법 및 락탐의 정제방법
EP0927160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psilon-caprolactam
EP1270548B1 (en) Purification method of cyclohexanone-oxime
JP4961208B2 (ja) 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JP4961209B2 (ja) テトラヒドロアゼピンを含む不純な6−アミノカプロニトリルからカプロラクタムを製造する方法
JPH09100258A (ja) エチ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JPH03123777A (ja) トリオキサンの精製方法
JP2005504056A (ja) インサイツ製造されたアルカリアミノカプロエートを使用して水性のカプロラクタム生成物からカプロラクタムを回収する方法
JPH0733761A (ja) トリオキサンの精製法
EP1858842A1 (en) Improved method for making caprolactam from impure 6-aminocapronitrile
WO2004031146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ϵ-CAPROLACTAM FROM A MIXTURE COMPRISING 6-AMINOCAPROAMIDE AND/OR OLIGOMERS
JPH0931052A (ja) ε−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