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876B1 -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876B1
KR860000876B1 KR1019810002361A KR810002361A KR860000876B1 KR 860000876 B1 KR860000876 B1 KR 860000876B1 KR 1019810002361 A KR1019810002361 A KR 1019810002361A KR 810002361 A KR810002361 A KR 810002361A KR 860000876 B1 KR860000876 B1 KR 86000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stopper
arm
tapping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441A (ko
Inventor
스에기 구보
고오이찌로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닛신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마에다 마사요시
구로사끼 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바야마다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2049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93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94634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9316A/ja
Application filed by 닛신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마에다 마사요시, 구로사끼 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바야마다께오 filed Critical 닛신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441A/ko
Priority to KR101984000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36Devices for plugging tap holes, e.g. plugs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제 1도 및 제 2도는 레이들내의 슬래그 혼입량과 출강시간, 슬래그 혼입량과 차아지(charge)회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3도는 레이들 출강구에 있어서의 용강의 깊이와 출강(出鋼)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4도는 슬래그혼입의 메커니즘을 나타낸 설명도.
제 5도 내지 제 8도는 종래의 몇가지의 슬래그 커트 또는 검지법을 나타낸 설명도.
제 9도는 본원 발명의 슬래그커트 장치의 정면도.
제 10도는 동평면도.
제 11도는 스토퍼지지아암, 아암안내통, 아암조출기구(繰出機構)의 상세측면도.
제 12도 내지 제 14도는 제 11도의 Ⅰ-Ⅰ선, Ⅱ-Ⅱ선 및 Ⅲ-Ⅲ선에 의한 횡단면도.
제 15도는 아암조출기구의 상세도.
제 16도는 Ⅳ-Ⅳ선에 의한 단면도.
제 17도는 스토퍼노즐의 상세 일부 단면정면도.
제 18도는 스토퍼지지아암에 스토퍼노즐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제 19도 내지 제 22도는 스토퍼노즐의 승강량조정용 리미트 장치의 상세설명도.
제 23도 내지 제 25도는 수직아암지지축, 아암승강기구, 아암선회기구의 상세설명도.
제 26도는 본원 발명 방법의 균형을 나타낸 설명도.
제 27도는 출강구 틀과 슬래그두께, 출강시간의 관계도.
본원 발명은 전로에서 용강을 출강한 경우에 유출용강속에 슬래그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출강(出鋼)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로의 제강공정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의 발생을 막을수는 없지만, 그후의 강철의 정련(精鍊)에 있어서는 슬래그가 존재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가급적 전로로부터의 출강에 있어서 용강과 슬래그를 분리할 필요가 있고, 슬래그의 존재에 의하여 인(燐)분이 제거되며, 개재물에 의하여 강철물질이 열화(劣化)된다. 또 슬래그에 의한 악영향으로 내화물수명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이들 나쁜 영향을 미치는 슬래그를 다음 공정에 혼재(混在)시키지 않으려면, 출강법으로서 강철과 슬래그를 정확히 확인하고 강철의 출강수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슬래그의 유출이 시작된 시점에서 단시간내에 확실하게 슬래그를 멈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하나의 문제로서 강철의 출강시에 용강상부에 뜬 슬래그가 와류현상(渦流現象)으로 용강류내에 끌려들어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와류를 방지하여 정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취련후(吹鍊後)의 전로내의 슬래그량의 대(對)용강비는 제철소에 따라 상당히 다르지만, 평균적으로는 약 13.0중량%(28.6용량%)정도로 생각된다. 또 수강레이들(受鋼 ladle)내에의 슬래그혼입량은 슬래그커트를 하지않았을 경우는 제 1 및 제 2도의 그래프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다. 이들 그래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슬래그혼입량은 출강구의 확대에 따라서 가속도적으로 증가한다. 또 제 3도는 전로의 경도(傾倒)에 의한 출강시간과 출강구에 있어서의(용강+슬래그)깊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Vi은 슬래그의 혼입을 발생하지 않고 출강되는 용강량, V2는 레이들내에 유입하는 슬래그량을 나타낸다. 상기, V1및 V2량을 계산해보면,
Figure kpo00001
이것으로부터 V1: V2=380 : 2.7≒140 : 1로 된다.
다만, A=출강구면적 C=유동계수
상기 계산으로부터 슬래그와 용강과의 식별이 확실히 된다고 한하면 수강레이들내에 혼입하는 슬래그량은 용적비로 1/140 정도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들내에는 실제로는 1/20전후의 슬래그가 혼입하고 있다. 이것은 출강말기에는 대량의 슬래그가 용강과 혼합한 상태, 즉 제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수 10초간 계속된다고 생각되며, 이와같은 상태를 관측한 사람은 아직 용강이라고 판단하여 출강을 계속시키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출강내의 대량의 슬래그혼입량을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종래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우선 제 5도의 것은 본원 출원인이 일본특허원 소 53-78910호에 개시한 것이며, 이 장치는 둑(weir)을 구비한 스토퍼를 전로의 출강구의 내측개구에 배설하고, 다음에는 용강내로 슬래그가 혼입하는 것을 검지하며, 마지막으로 출강구에 스토퍼를 낙하시킴으로써 슬래그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스토퍼와 둑을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스토퍼를 낙하시킨 후에는 다시 들어올릴 수가 없으며, 오동작으로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 이 장치가 이동 가능한 대차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노전작업(爐前作業)이 불편했었다.
제 6도는 슬라이딩 노즐장치를 전로의 출강구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슬래그혼입량을 종래의 것에 비해
Figure kpo00002
정도를 감소시키고 있다. 그러나 실제작업에 있어서는 정비상, 상당한 문제가 있으며, 또 출강류내에 끌어들인 혼입슬래그를 완전히 커트하기까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슬래그커트 장치로서는 완벽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제 7도는 비중조정한 내회물보올(일명, 슬래그보올이라고 한다)을 출강시에 출강구상에 투입함으로써 슬래그커트를 실시하고 있는 예이지만, 그러나 이 방법은 슬래그보올의 출강구에의 자연세팅을 기대하고 있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제 8도는 출강구에 피일드코일을 부착시켜 코일의 임피이던스의 변화를 포착하며, 용강과 슬래그의 식별을 하고, 적당한 시기에 노를 일으켜서 출강을 멈추게 하거나 또는 에어로 용강류중의 슬래그를 스플래슁(splashing)시키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용강 또는 슬래그의 단독유출의 영역에 있어서, 임피이던스의 변화를 명확히 포착하여 관측자의 개인차를 초래함이 없이 완전히 슬래그커트가 가능하지만, 반대로 끌어들인 슬래그 등에 의해 용강과 슬래그가 혼합하여 출강하는 영역으로 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임피이던스의 변화가 현저히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용강과 슬래그의 판별이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이 영역이 수십초간 계속되는 출강과정에서 유출물을 에어로 스플래쉬시키거나 노를 일으켜서 출강을 멈추거나 할 경우에 있어서도 슬래그의 혼입방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슬래그커트는 고사하고, 출강수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결점이 있어서, 이것도 완전한 것이 못된다.
이상으로, 종래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지만, 이들 방법은 현재까지는 일장일단이 있으며, 반드시 만족스러운 슬래그커트 효 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고, 가장 적합한 방법 내지 장치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착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강류가 제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그를 끌어들이기 직전에 출강구를 스토퍼로 폐쇄하고 그후에 약간 개구시킴으로써 슬래그를 끌어들이는 양을 가급적 저감할 수 있는 슬래그커트장치 및 출강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 명세서중에 사용되는 스토퍼란 전로의 출강구를 폐쇄시키는데 적합한 형상을 갖는 모든 폐쇄물(폐쇄전, 폐쇄봉, 폐쇄체 등)을 말한다. 이하, 본원 발명에 의한 슬래그커트 장치방법을 제 9도 내지 제 25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9도 및 제 10도에 슬래그커트 장치의 전체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슬래그커트장치(1)는 전로(2)뒷쪽의 작업바닥면상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는 건물지지주(3)에 지브(jib)크레인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전로 뒷쪽의 작업바닥면상에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스토퍼지지아암(4), 동스토퍼지지아암(4)의 선단에 매달려서 이루어져 있는 노즐스토퍼(5), 동스토퍼지지아암(4)을 진퇴자재로 둘러싸는 아암안내통(6), 동아암안내통(6)위에 부착되어 수토퍼지지아암(4)을 전로(2)내에 진퇴자재로 조출하는 아암조출기구(7), 하단을 아암안내통(6)의 기단(基端)과 회동자재로 원추형 접합하고, 중간을 건물지지주(3)의 옆걸기부착리브(橫架付着 rib)(8)에 베어링(9)을 통해 승강 및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수직아암지지축(10), 스토퍼지지아암(4)을 승강할 수 있게 수직아암지지축(10)에 병렬되어 이루어진 아암승강기구(11), 스토퍼지지아암(4)을 수직아암지지축(10)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선회되도록 옆걸이부착리브(8)에 병설되어 있는 아암선회기구(12) 및 일단을 수직아암지지축(10)의 중간에 연결하고, 타단을 아암안내통(6)의 선단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아암경도기구(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각 요부의 상세가 제 11도 내지 제 16도에 걸쳐서 표시되어 있다. 먼저 제 11도 내지 제 16도에 걸쳐서 스토퍼 지지아암(4), 아암안내통(6) 및 아암조출기구(7)의 구조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지지아암(4)은 4각형단면을 갖는 장척강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일단에 노즐스토퍼(5)를 매달고, 또 냉각수순환기구를 형성코자 내관(20), 중간관(20a) 및 외관(21)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토퍼지지아암(4)은 양측면에 후술하는 피니온(25)과 맞물리는 랙(22)을 고착하고 있다.
스토퍼지지아암(4)을 진퇴자재로 내장하는 아암안내통(6)은 실질적으로 장척복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소요개소에 스토퍼지지아암(4)의 진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로울기구(23), (24)를 부착하고 있다. 아암조출기구(7)는 아암안내통(6)의 중간에 장설되어 있으며, 랙(22)과 맞물리도록 아암안내통(6)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피니온(25), 피니온부착축(26)위에 역시 부착되어 있는 워엄휘일(27), 양단이 베어링(28)에 지지되고 중간에 상기 워엄휘일(27)과 맞물리는 워엄기구(29)를 갖는 구동축(30), 동구동축에 커플링(31)을 통해서 회동력을 전달하는 아암조출용모우터(32)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지지아암(4), 아암안내통(6) 및 아암조출기구(7)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아암조출용모우터(32)를 구동하면, 피니온(25)이 랙(22)을 통해서 스토퍼지지아암(4)에 축선방향력, 즉 동아암을 진퇴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 17도에서 제 22도에 노즐스토퍼(5)의 구조가 상세히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스토퍼(5)는 하단에 구상부(球狀部)(40)를 갖는 통형상내화 스토퍼(41), 동통상내화스토퍼(41)내에 삽입되는 심체(芯體)(42), 동 심체정상부를 통해서 통형상내화스토퍼(41)에 연결되는 스토퍼지지봉(43)으로 구성되고, 동스토퍼지지봉(43)은 상부에 설치한 장공(45)을 스토퍼지지아암(4)의 선단에 부착시킨 지지용핀(44)에 끼워넣음으로써 요동상태로 매달린다. 또 스토퍼지지봉(43)은 정상부에 홈(46)을 가지고 있으며, 동홈에 중간을 스토퍼지지아암(4)의 선단에 추지(樞支)(47)되어 이루어지는 회동레버(48)의 일단이 접촉하고 있다. 한편, 회동레버(48)의 타단은 연결로드(49) 및 스프링(38)을 통해서 제 19도에서 제 22도에 나타낸 리미트장치(39)와 연락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스토퍼(5)는 출강구내면에의 접촉후의 상승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제 23도에서 제 25도에 수직아암지지축(10), 아암승강기구(11) 및 아암경도기구(13)의 구조의 상세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아암지지축(10)은 하위 트러니온부(trunnion)(50)를 추축(51)을 통해 아암안내통(6)의 기단과 회동자재로 연결하여 동안내통(6) 및 아암(4)을 경동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또 수직아암 지지축(10)은 옆걸기부착리브(8)에 부착한 베어링(9)(바람직하게는 스러스트베어링(52)봉입하는 것)에 의해 건물지지주(3)에 승강 및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아암지지축(10)은 상위베어링(9)의 윗쪽 위치에 고정키이(53)로 고정보스부(54)를 부착시키고 있으며, 동보스부에는 아암선회기구(12)로서 작용하는 수평구동실린더(55)의 신축로드단과 연결되는 제 1브래키트(56)가 부착되어 있다. 또 고정보스부에는 제 2브래키트(57)가 제 1브래키트(56)와 대략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며, 동 제 2브래키트(57)에 아암승강기구(11)로서 작용하는 수직구동실린더(58)의 기단이 지지되게 된다. 한편, 수직구동실린더(58)는 그 아래쪽, 신축로드단을 수직아암지지축(10)의 하단에 설치한 트러니온부(50)와 결합하고 있다.
아암경도기구(13)는 수직아암지지(10)의 상단과 아암안내통(6)의 중간사이에 대각선으로 뻗는 구동실린더(59)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실린더는 대각구동기단을 수직아암지지축(10)의 상위베어링(9)에 아래위치에 부착시킨 고정보스부(60)에 추지하는 동시에 신축로드단을 아암안내통(6)의 선단상면에 설치한 브래키트(61)에 추지하고 있다.
수직아암지지축(10), 아암승강기구(11), 아암선회기구(12) 및 아암경도기구(13)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므로 수직구동실린더(58)를 구동하면 수직아암지지축(10), 노즐지지아암 등은 일체적으로 승강하고, 수평구동실린더(55)를 구동하면 수직아암지지축(10), 스토퍼지지아암(4)등은 수직지지축(10)를 선회중심으로하여 선회하며, 또 대각구동실린더(59)를 구동하면 스토퍼지지아암(4)이 일체적으로 트러니온부(50)를 구동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경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갖는 슬래그커트 장치에 의한 슬래그커트 작업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제 9도 및 제 10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는 스토퍼지지아암(4) 및 노즐스토퍼(5)를, 아암선회기구(12), 아암승강기구(11), 아암경도기구(13) 및 아암조출기구(7)를 일체적 내지 개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전로(2)내에 삽입한다. 이어서 전로(2)가 90°로 경사한 시점에서 노즐스토퍼(5)를 밀어넣어 대기시켜, 전로(2)가 출강최종각도(93~94°)에 도달한 시점에서 노즐스토퍼를 하강시켜서, 일단 출강을 멈추고(1~2초), 그리고 규정된 치수(20~40mm)만큼 인상하고, (이 인상량은 리미트스위치(39)로 조절한다), 이 노즐스토퍼(5)와 전로(2)의 틈으로 출강시킨다. 출강이 끝나면 빨리 노즐스토퍼(5)를 다시 강하시켜 슬래그커트를 하는 동시에 수강레이들을 주입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전로(2)를 복전(覆轉)시켜, 노내의 슬래그가 배출하지 않는 각도에서 일단 정지하고, 노즐스토퍼(5)를 상승시킨 다음에 아암조출기구(7), 아암승강기구(11), 아암선회기구(12), 아암경도기구(13)를 일체적 내지 개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전체의 슬래그커트장치를 제 9도 및 제 10도에 나타낸 위치로 후퇴시킨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로에서 유출하는 용강으로 슬래그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1) 상기 스토퍼가 출강구의 내공위로 규정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전로내에 포함된 용강안에 노즐스토퍼를 담그고, (2) 상기 스토퍼가 틈을 통해서 출강구로 용강이 계속 유입하는 동안, 규정위치 즉 내측개구상에 있어서의 규정높이는 출강구의 형상, 용강의 깊이에 따라 어느정도 변동하지만, 20mm~40mm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로의 경동에 불구하고, 내측개구로 노즐스토퍼를 지향시키며, (3) 용강위에 떠 있는 슬래그가 틈을 통해 출강구로 유입되려고 할때, 출강구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노즐스토퍼을 낮추어, 슬래그가 유출된 용강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 슬래그의 유출개시시기를 판단하는 수단은 용융슬래그와 용강사이에는 목시상(目視上)명도(明度), 색채의 차가 있으며, 슬래그의 유출개시시기는 현장작업숙련자의 목시에 의한 명도, 색채의 차이에 의거하여 정확히 판단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의한 출강방법의 특징은 전로의 출강구상으로부터 일정거리의 틈을 설치하여 전로의 경동각도에 따라서 일정거리에 배치한 스토퍼 또는 기타 이물(異物)을 추종고정시켜, 이 틈에서 용탕을 유출시켜 슬래그의 유출개시시에 이 스토퍼에 의해서 출강구를 폐쇄하여 용강과 슬래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 의한 특징은 용강상면에 떠 있는 슬래그를 끌어들여 용강을 유출시킨다고 하는 이른바 와류를 방지하는 것이며, 스토퍼를 출강구상에 일정한 틈을 설치하여 추종, 고정시킴으로써, 용강류속에의 슬래그를 끌어들이는 것에 의한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는 등 슬래그의 유출시기를 늦추는데 있다. 본 방법의 특징을 사전에 확인하기 위해 물과 수지에 의해 실험을 한 결과, 유출구의 크기를 100mmψ로 했을 경우, 100mm의 수심, 또 150mmψ로 했을 경우, 200mm의 수심에서 물윗면에 떠 있는 수지가 유출류(流出流)에 끌려들어 물과 혼합하여 유출이 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스토퍼를 유출구상부에 일정거리와 틈을 두고 실험한 결과, 유출구의 크기에 관계없이 20~30mm의 수심까지 수지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실험에 의거하여 전로에 용융한 결과, 상시 작업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로가 93~94°위 경사각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노즐스토퍼를 하강시켜 일단 출강을 멈춘다음, 출강구 윗쪽에 노즐스토퍼를 규정치수 즉 20mm~40mm로 끌어올려, 이 틈에서 출강을 시키는 출강법의 실시에 의하여 출강중의 슬래그가 끌려들어가는 것은 출강완료시점까지 거의 찾아볼수 없었다.
즉, 전로에 의한 제강법에 있어서, 출강시의 용강과 용융슬래그와의 양상은 물은 용강으로 간주하고 또 수지를 슬래그로 간주하여, 실험적으로 그 동향을 축적함으로써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상술한 출강구 윗쪽에 노즐스토퍼를 규정치수 즉 20mm~40mm로 끌어올려라고 하는 조건은 물과 수지를 사용했을때의 시뮬레이션테스트(simulation test)의 결과의 가장 적합한 조건이 이 범위내에 있었던 것에 의거한 것이다. 스토퍼의 위치를 20mm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스토퍼와 출강구와의 사이의 틈이 좁아져서 용강의 유출량이 적어져 능률이 나빠지며, 또 40mm를 넘었을 경우는 슬래그를 끌어들이는 와류가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 출강법의 경우의 슬래그유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용강류와의 끌어들이기에 의한 슬래그배출이 현저히 감소하여 총배출 슬래그량의 감소에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또, 본 출강법의 채용으로 출강시의 용강과 슬래그와의 분리가 거의 완전한 것으로 되었기 때문에, 출강완료시의 슬래그유출 개시시기의 판정이 종래의 목시자에 의한 판정에서 용강과 슬래그의 도통을 센서로 측정하는 판정으로, 또 수상용기의 용강중량을 측정하는 판졍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현재, 이들 방법에 의해 슬래그의 유출개시시기를 탐지하여, 재빨리 신호를 발하여 스토퍼를 하강시켜, 출강구를 폐쇄하여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는 슬래그커트법의 실시도 추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출강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출강중도의 용강류에의 슬래그의 끌어들임은 거의 없어지고, 또 출강완료시점의 슬래그유출은 본원 방법의 장치에 의하여 신속히 커트할 수가 있어서 용강의 출강수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수강레이들내의 슬래그량을 종래의 1/8~1/10 이상으로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을 150톤 용량의 상취(上吹) LD전로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7도는 출강구내부 윗가장자리와 스토퍼하단과의 틈과, 수강레이들중의 용강상 슬래그층의 두께에 의해 나타내는 슬래그 끌어들이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A와 출강시간과의 관계 B를 나타낸 곡선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X는 슬래그 끌어들이기량의 허용상한을 나타내며, Y는 출강시간의 허용상한을 나타낸다. 본원 발명에 의한 틈의 수치범위인 20mm~40mm는, 슬래그층의 두께가 슬래그 끌어들이기량의 허용상한 X를 훨씬 밑도는 범위이며, 또, 출강시간도 충분히 허용시간인 상한 Y보다도 훨씬 밑도는 시간이었다. 이것으로부터, 본원 발명방법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슬래그커트가 행해진 것을 알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전로뿐만 아니라 수강레이들, 탄디쉬, 혼선로(混銑爐)등의 용융금속수탕용기에 있어서의 용량의 배출기구부에 실시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출강구의 내측개구상의 설정높이(출강구의 형상, 용강의 깊이에 따라 어느정도 변동하지만 20mm~40mm)로 스토퍼가 위치하기까지 용융금속수재용기내(溶融金屬受載容器內)의 용탕중에 요동 가능한 장척 스토퍼를 담그는 공정과, 스토퍼의 끝부분과 출강구의 개구의 설정간격이 용기의 경사에 불구하고 유지되도록, 출강구를 향하는 용탕류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개구에 자동적으로 스토퍼를 지향시키고, 그 결과 틈을 통해 출강중에 용탕을 정상적으로 유출시키는 공정과, 용탕상에 떠 있는 슬래그가 상기 틈을 통해 출강구에 유입하기 직전에 스토퍼를 내려 출강구를 폐쇄해서 출강되는 용탕중에의 슬래그의 혼입을 방지하는 공정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금속수재 용기에서 출강된 용탕중에 슬래그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로에 있어서의 슬래그혼입 방지방법.
KR1019810002361A 1980-07-05 1981-06-30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KR86000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767A KR860000013B1 (ko) 1980-07-05 1984-08-09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4980A JPS5719315A (en) 1980-07-05 1980-07-05 Slag cutting device used for converter or the like and tapping method
JP92049 1980-07-05
JP9463480A JPS5719316A (en) 1980-07-10 1980-07-10 Slag cutting method used for converter or the like
JP94634 1980-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441A KR830006441A (ko) 1983-09-24
KR860000876B1 true KR860000876B1 (ko) 1986-07-11

Family

ID=2643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361A KR860000876B1 (ko) 1980-07-05 1981-06-30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4431169A (ko)
KR (1) KR860000876B1 (ko)
AU (1) AU528085B2 (ko)
CA (1) CA1189698A (ko)
DE (1) DE3126559C2 (ko)
GB (3) GB2079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17252U1 (de) * 1983-06-13 1983-11-24 Thyssen Stahl AG, 4100 Duisburg Verschlussorgan zum zurueckhalten der schlacke waehrend des abstiches aus einem konverter
DE3327671C2 (de) * 1983-07-30 1986-06-05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Einrichtung zum weitestgehend schlackenfreien Abstechen von Metalschmelzen, insbesondere von Stahlschmelzen, aus metallurgischen Gefäßen
US4634106A (en) * 1984-06-18 1987-01-06 Labate Ii Michael D Device for placing slag retention means in tapping converter
US4637592A (en) * 1984-08-23 1987-01-20 Insul Company, Inc. Elevated swinging device for placing slag retention devices in tapping converters
US4553743A (en) * 1984-08-23 1985-11-19 Insul Company, Inc. Elevated device for placing slag retention means in tapping converters
US4640498A (en) * 1985-05-14 1987-02-03 Insul Company, Inc. Horizontally and vertically movable elevated apparatus for placing slag retaining means in tapping converters
US4733853A (en) * 1987-02-17 1988-03-29 Allegheny Ludlum Corporation Molten metal taphole design to improve yield and cleanliness
ATE89866T1 (de) * 1987-08-20 1993-06-15 Preussag Stahl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minderung des mitlaufenden schlackenanteils bei geringstmoeglicher reststahlmenge im konverter.
US5203909A (en) * 1991-10-15 1993-04-20 Ltv Steel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lag free casting
US5249780A (en) * 1992-06-12 1993-10-05 Ajf, Inc. Slag control shape release apparatus for molten metal vessels
US5423522A (en) * 1992-06-12 1995-06-13 Ajf, Inc. Slag control shape release apparatus for molten metal vessels
US5375816A (en) * 1993-11-16 1994-12-27 Wci Steel Corporation Slag detecting device and method
US5421560A (en) * 1994-02-15 1995-06-06 Ajf, Inc. Slag control apparatus for molten metal vessels
US6280499B1 (en) 1994-12-28 2001-08-28 Robert J. Koffron Yield metal pouring system
US5645792A (en) * 1996-01-16 1997-07-08 Ajf, Inc. Slag control shape release apparatus for molten metal vessels
US6074598A (en) * 1998-06-15 2000-06-13 Tetr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lag separation sensing
US6153146A (en) * 1998-08-11 2000-11-28 Inland Enterprises, Inc. Molten metal receptacle and slag control body transfer apparatus therefor
US6576039B2 (en) 2001-07-02 2003-06-10 Tetr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tal pouring
CN1302124C (zh) * 2002-11-28 2007-02-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悬挂式挡渣塞投掷装置的自动控制方法
AT508236A1 (de) 2009-05-15 2010-11-15 Tbr Engineering Metalltechnolo Vorrichtung für arbeiten in einem metallurgischen gefäss
US7914602B1 (en) 2009-12-02 2011-03-29 Carbide Industries, LLC Process to reduce steel furnace slag carry-over during tapping
DE202011100121U1 (de) 2011-05-02 2011-10-28 Elektro-Thermit Gmbh & Co. Kg Reaktionstiegel für aluminothermische Schweißungen
CN102601456B (zh) * 2012-03-05 2014-09-17 宁波市江东科壬机械有限公司 用于桶体内壁的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6644A (en) * 1944-08-11 1947-09-02 Norton Co Furnace construction for fusing refractory materials and the like
US2458236A (en) * 1944-12-07 1949-01-04 Scovill Manufacturing Co Continuous pouring furnace
US2668994A (en) * 1951-05-22 1954-02-16 Crane Co Furnace valve or the like
US2810169A (en) * 1956-04-16 1957-10-22 Hofer Otto Slag-free casting method and a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FR1464005A (fr) * 1965-11-15 1966-07-22 Est Aciers Fins Installation pour la coulée continue de l'acier
DE1261869B (de) * 1966-03-04 1968-02-29 Mannesmann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Zurueckhalten der Schlacke an Abstichkonvertern
DE1508223B1 (de) * 1966-09-26 1970-04-09 Mannesmann Ag Schwimmerverschluss zum Zurueckhalten der Schlacke waehrend des Abstiches bei Abstichkonvertern
AU8108175A (en) * 1974-05-13 1976-11-18 Broken Hill Pty Co Ltd Receptacles
DE2637421C2 (de) * 1976-08-17 1978-03-02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des Gießendes beim Vergießen von Metallen aus GießgefäBen
SE413074B (sv) * 1976-10-25 1980-04-14 Asea Ab Forfarande for metning av resistiva spenningsfall vid tappstellen fran metallurgiska behall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478392A (en) 1984-10-23
GB2079423B (en) 1985-01-03
AU7254281A (en) 1982-04-01
GB2140541A (en) 1984-11-28
GB2140542A (en) 1984-11-28
DE3126559A1 (de) 1982-09-23
DE3126559C2 (de) 1986-02-20
US4431169A (en) 1984-02-14
GB8334444D0 (en) 1984-02-01
CA1189698A (en) 1985-07-02
GB2079423A (en) 1982-01-20
KR830006441A (ko) 1983-09-24
GB2140542B (en) 1985-07-17
GB2140541B (en) 1985-06-26
GB8334443D0 (en) 1984-02-01
AU528085B2 (en) 198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876B1 (ko)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US4373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lag and pouring molten steel out of a container such as a converter or the like
US3884400A (en) Articulated holder for pouring tube
KR860000013B1 (ko)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CN107385143B (zh) 一种转炉出钢保护装置和方法
CN106944608B (zh) 控制钢液中大型夹杂物的装置与操作方法
JPH08290259A (ja) 取鍋スラグ検知・取鍋詰め砂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0000369A (zh) 一种悬臂式钢包引流砂添加装置
JPH09253815A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取鍋内溶湯量調節装置
JP6491039B2 (ja) 下注ぎ造塊方法
JP4412316B2 (ja) 液体容器および該液体容器を用いた液体排出方法
JP2506240B2 (ja) 電気炉における出鋼スラグ流出減少方法
CN110860683A (zh) 一种铸铁机高纯铁水无渣控制浇铸设备及工艺
US4795139A (en) Apparatus for tapping slag-free steel from a continuous melting furnace
SU81283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дотвращени пОпАдАНи шлАКА из KOHBEPTOPAB СТАлЕРАзлиВОчНый КОВш
JPS5831018A (ja) 溶湯容器に用いるスラグカツト方法
CN118023508A (zh) 连铸钢包引流砂排除装置及方法
JP2003236649A (ja) タンディッシュ内残鋼量の絞込み方法
JPS60210352A (ja) 溶融金属容器の出湯孔からのスラグ流出防止方法
JPS5858217A (ja) 転炉出鋼時のスラグ混入防止装置
JPS6160886B2 (ko)
SU1135766A1 (ru) Способ выпуска расплава из подового сталеплави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JP2021109193A (ja) 溶鋼の給湯方法
KR100930513B1 (ko) 래들용 슬래그 유출 방지용 다트
JP2639755B2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タンディッシュ熱間回転用タンディッシ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