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13B1 -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013B1
KR860000013B1 KR1019840004767A KR840004767A KR860000013B1 KR 860000013 B1 KR860000013 B1 KR 860000013B1 KR 1019840004767 A KR1019840004767 A KR 1019840004767A KR 840004767 A KR840004767 A KR 840004767A KR 860000013 B1 KR860000013 B1 KR 86000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topper
slag
molten steel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022A (ko
Inventor
스에노기 구보
고오이찌로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닛신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마에다 마사요시
구로사끼 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바야마 다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2361A external-priority patent/KR860000876B1/ko
Application filed by 닛신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마에다 마사요시, 구로사끼 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바야마 다께오 filed Critical 닛신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4000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013B1/ko
Publication of KR85000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레이들내의 슬래그 혼입량과 출강시간, 슬래그 혼입량과 차아지(charge)회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3도는 레이들 출강구에 있어서의 용강의 깊이와 출강(出鋼)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4도는 슬래그혼입의 매커니즘을 나타낸 설명도.
제5도∼제8도는 종래의 몇 가지의 슬래그커트 또는 검지법을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본원 발명의 슬래그 커트장치의 정면도.
제10도는 동 평면도.
제11도는 스토퍼지지아암, 아암안내통, 아암조출기구(繰出機構)의 상세측면도.
제12도∼제14도는 제11도의 I-I선, II-II선 및 III-III선에 의한 횡단면도.
제15도는 아암조출기구의 상세도.
제16도는 IV-IV선에 의한 단면도.
제17도는 스토퍼노즐의 상세 일부 단면정도.
제18도는 스토퍼지지 아암에 스토퍼노즐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제19도∼제22도는 스토퍼노즐의 승강량 조정용 리미트 장치의 상세설명도.
제23도∼제25도는 수직아암 지지축, 아암승강기구, 아암선회기구의 상세 설명도.
제26도는 본원 발명방법의 변형을 나타낸 설명도.
본원 발명은 전로에서 용강을 출강할 경우에 유출용 강속으로 슬래그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로등에 사용하는 슬래그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로의 제강공정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의 발생을 막을수는 없지만, 그후의 강철의 정련(精鍊)에 있어서는 슬래그가 혼재하는 것은 좋지않으며, 가급적 전로로부터의 출강에 있어서 용강과 슬래그를 분리할 필요가 있고, 슬래그의 존재에 의하여 인분이 제거되며, 개재물에 의하여 강철품질이 열화(劣化)된다. 또, 슬래그에 의한 악영향으로 내화물 수명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이들 나쁜 영향을 미치는 슬래그를 다음 공정에 혼재(混在)시키지 않으려면, 출강법으로서 강철과 슬래그를 정확히 확인하고 강철의 출강수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슬래그의 유출이 시작된 시점에서 단시간 내에 확실하게 슬래그를 멈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하나의 문제로서 강철의 출강시에 용강상부에 뜬 슬래그가 와류현상(渦流現象)으로 용강류내에 끌어들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와류를 방지하여 전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취련후(吹鍊後)의 전로내의 슬래그량의 대용강비는 제철소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약 13.0중량%(28.6 용량%)정도로 생각된다. 또, 수강레이들(受鋼 ladle)내에의 슬래그 혼입량은 제1도 및 제2도의 그래프에 표시되어 있는바와 같다. 이들 그래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슬래그 혼입량은 출강구의 확대에 따라서 가속도적으로 증가한다. 또, 제3도는 전로의 경도(傾度)에 의한 출강시간과 출강구에 있어서의(용강+슬래그)깊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V1은 슬래그의 혼입을 발생하지 않고 출강되는 용강량, V2는 레이들내에 유입하는 슬래그량을 나타낸다. 상기, V1및 V2량을 계산해보면,
Figure kpo00001
이것으로부터, V1: V2=380 : 2.7=140 : 1로 된다.
다만, A=출강구면적, C=유동계수,
상기 계산으로부터 슬래그와 용강과의 식별이 확실히 된다고 한다면 수강레이들내에 혼힙하는 슬래그량은 용접비로 1/140 정도로 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레이들내에는 실제로는 1/20 전후의 슬래그가 혼입하고 있다. 이것은 출강 말기에는 대량의 슬래그가 용강과 혼합한 상태,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태가 수 10초간 계속된다고 생각되며, 이와같은 상태를 관측한 사람은 아직 용강이라고 판단하여 출강을 계속시키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은 출강내의 대량의 슬래그 혼입량을 저감하는 장치로서 종래에 있어서도 여러가지의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우선 제5도의 것은 본 출원인이 일본국 특허원 소 53-78910호에 개시한 것이며, 이 장치는 둑(Weir)을 구비한 스토퍼를 전로의 출강구의 내측개구에 배설하고, 다음에는 용강내로 슬래그가 혼입하는 것을 검지하며 마지막으로 출강구에 스토퍼를 낙하시킴으로써 슬래그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스토퍼와 둑을 설치하고 있는것에 의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스토퍼를 낙하시킨 후에는 다시 들어올릴수가 없으며, 오동작으로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 이 장치가 이동가능한 대차위에 설치도어 있기 때문에 다른 노전작업(爐前作業)이 불편했었다.
제6도는 슬라이딩 노즐장치를 전로의 출강구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슬래그 혼입량을 종래의 것에 비해
Figure kpo00002
정도를 감소기키고 있다. 그러나, 실제작업에 있어서는 정비상, 상당한 문제가 있으며, 또 출강류내에 끌어들인 혼입슬래그를 완전히 커트하기 까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슬래그커트장치로서는 완벽한 것이라고 할수 없다. 제7도는 비중 조정한 내화물보올(일명, 슬래그보올이라고 한다)을 출강시에 출구상에 투입함으로써 슬래그커트를 실시하고 있는 예이지만, 그러나 이 방법은 슬래그보올의 출강구에의 자연세팅을 기대하고 있는점에서 문제가 있다.
제8도는 출강구에 피일드코일을 부착시켜 코일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포착하며, 용강과 슬래그의 식별을 하고, 적당한 시기에 노를 일으켜서 출강을 멈추게 하거나 또는 에어로 용강류중의 슬래그를 스플래슁(Splashing) 시키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용강 또는 슬래그의 단독 유출의 영역에 있어서, 임피이던스의 변화를 명확히 포착하여 관측자의 개인차를 초래함이 없이 완전히 슬래그커트가 가능하지만, 반대로 끌어들인 슬래그 등에 의해 용강과 슬래그가 혼합하여 출강하는 영역으로 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임피이던스의 변화가 현저히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용강과 슬래그의 판별이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이 영역이 수십초간 계속되는 출강과정에서 유출물을 에어로 스플래쉬시키거나 노를 일으켜서 출강을 멈추거나 할경우에 있어서도 슬래그의 혼입방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완전한 슬래그커트는 고사하고 출강수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결점이 있어서, 이것도 완전한 것이 못된다.
이상으로, 종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지만, 이들 방법은 현재까지는 일장 일단이 있으며, 반드시 만족스러운 슬래그커트 효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어서, 가장 적절한 장치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착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강류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래그를 끌어들이기 직전에 출강구를 스토퍼로 폐쇄하고 그 후 약간 개구시킴으로써 슬래그를 끌어들이는 양을 가급적 저감할 수가 있는 슬래그 커트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 명세서중에 사용되는 「스토퍼」란 전로의 출강구를 폐쇄시키는데 적합한 형상을 갖는 모든 폐쇄물(폐쇄전, 폐쇄봉, 폐쇄체등)을 말한다. 이하, 본원 발명에 의한 슬래그커트 장치를 제9도에서 제25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슬래그커트 장치의 전체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슬래그 커트장치(1)는 전로(2)의 뒷쪽의 작업마루면상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는 건물지지주(3)에 지브크레인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전로의 뒷쪽의 뒷쪽의 작업마루면상에 대충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스토퍼지지아암(4), 동 스토퍼지지아암(4)의 선단에 매달려서 이루어져 있는 노즐스토퍼(5), 동 스토퍼지지아암(4)을 진퇴자재로 둘러싸는 아암안내통(6), 동 아암안내통(6)위에 부착되어 스토퍼지지아암(4)을 전로(2)내에 진퇴자재로 조출하는 아암조출기구(7), 하단을 아암안내통(6)의 기단과 회동자재로 원추형 접합하고, 중간을 건물지지주(3)의 옆걸기 부착리브(
Figure kpo00003
Rib)(8)에 베어링(9)을 통해 승강 및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수직아암지지축(10), 스토퍼지지아암(4)을 승강할 수 있게 수직아암 지지축(10)에 병렬되어 이루어진 아암승강기구(11),, 스토퍼지지아암(4)을 수직아암 지지축(10)을 선회중심으로하여 선회되도록 옆걸기 부착리브(8)에 병설되어 있는 아암선회기구(12) 및 일단을 수직아암 지지축(10)의 중간에 연결하고, 타단을 아암안내통(6)의 선단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아암경도기구(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각 요부의 상세가 제11도에서 제25도에 걸쳐서 표시되어 있다. 먼저, 제11도∼제16도에 걸쳐서, 스토퍼지지아암(4), 아암안내통(6) 및 아암조출기구(7)의 구조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지지아암(4)은 4각형 단면을 갖는 신장된 광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일단에 노즐스토퍼(5)를 매달고, 또 냉각수 순환기구를 형성코자 내관(20), 중간관(20a) 및 외관(21)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스토퍼지지아암(4)은 양측면에 후술하는 피니온(25)과 맞물리는 랙(22)을 고착하고 있다. 스토퍼지지아암(4)을 진퇴자재로 내장하는 아암안내통(6)은 실질적으로 장척복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소요개소에 스토퍼아암(4)의 진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 로울러기구(23), (24)를 부착하고 있다.
아암조출기구(7)는 아암안내통(6)의 중간에 장설되어 있으며, 랙(22)과 맞물리도록 아암안내통(6)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피니온(25), 피니온부착측(26) 위에 역시 부착되어 있는 워엄휘일(27), 양단이 베어링(28)에 지지되고 중간에 상기 워엄휘일(27)과 맞물리는 워엄기어(29)를 갖는 구동축(30), 동 구동축에 커플링(31)을 통해서 회동력을 전달하는 아암조출용 모우터(32)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아암(4), 아암안내통(6) 및 아암조출기구(7)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아암조출용 모우터(32)를 구동하면, 피니온(25)이 랙(22)를 통해서 스토퍼지지아암(4)에 축선방향력, 즉 동 아암을 진퇴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17도에서 제22도에 노즐스토퍼(5)의 구조가 상세히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노즐스토퍼(5)는 하단에 구상부(球狀部)(40)를 갖는 통형상 내화스토퍼(41), 동 통형상 내화스토퍼(41)내에 삽입되는 심체(芯體)(42), 동 심체 정상부를 통해서 통형상 내화스토퍼(41)에 연결되는 스토퍼 지지봉(43)으로 구성되고, 동 스토퍼 지지봉(43)은 상부에 설치한 장공(45)을 스토퍼지지 아암(4)의 선단에 부착시킨 지지용핀(44)에 끼워넣음으로써 요동상태로 매달린다. 또, 스토퍼지지봉(43)은 정상부에 요홈(
Figure kpo00004
)(46)을 가지고 있으며, 동 요홈에 중간을 스토퍼지지아암(4)의 선단에 추지되어 이루어지는 회동레버(48)의 일단이 접촉하고 있다. 한편, 회동레버(48)의 타단은 연결로드(49) 및 스프링(38)을 통해서 제19도에 제22도에 나타낸 리미트장치(39)와 연락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스토퍼(5)는 출강구 내면에의 접촉후의 상승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제23도에서 제25도에 수직아암지지축(10), 아암승강기구(11) 및 아암경도기구(12)의 구조의 상세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아암지지축(10)은 하위 트러니온부(trunnion部)(50)를 주축(51)을 통해 아암안내통(6)의 기단과 회동자재로 연결하여 동 안내홈(6) 및 아암(4)을 경동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또 수직아암지지축(10)은 옆걸기 부착리브(8)에 부착한 베어링(9)(바람직하게는 스러스트 베어링(52)봉입하는 것)에 의해 건물지지주(3)에 승강 및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아암지지축(10)은 상위 베어링(9)의 윗쪽위치에 고정키이(53)로 고정보스부(54)를 부착시키고 있으며, 동 보스부에는 아암선회기구(12)로서 작용하는 수평구동실린더(55)의 신축 로드단과 연결되는 제1브래키트(56)가 부착되어 있다. 또, 고정보스부에는 제2브래키트(57)가 제1브래키트(56)와 대충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며, 동 제2브래키트(57)에 아암승강기구(11)로서 작용하는 수직구동 실린더(58)의 기단이 지지되게 된다. 한편, 수직구동 실린더(58)는 그 아래쪽, 신축 로드단을 수직아암 지지축(10)의 하단에 설치한 트러니온부(50)와 결합하고 있다.
아암경도기구(13)는 수직아암 지지축(10)의 상단과 아암안내통(6)의 중간사이에 대각선으로 뻗는 구동실린더(59)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 실린더는 대각구동기간을 수직아암 지지축(10)의 상위 베어링(9)아래 위치에 부착시킨 고정보스부(60)에 추지하는 동시에 신축 로드단을 아암안내통(6)의 선단상면에 설치한 브래키트(61)에 추지하고 있다.
수직아암 지지축(10), 아암승가기구(11), 아암선회기구(12) 및 아암경도기구(13)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므로 수직구동 실린더(58)을 구동하면 수직아암지지축(10), 노즐지지아암 등을 일체적으로 승강하고, 수평구동실린더(55)를 구동하면 수직아암지지축(10), 스토퍼지지아암(4)등은 수직지지축(10)를 선회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며, 또 대각구동실린더(59)를 구동하면 스토퍼지지아암(4)이 일체적으로 트러니온부(50)를 구동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경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갖는 슬래그 커트장치에 의한 슬래그 커트작업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제9도 및 제10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는 스토퍼지지아암(4) 및 노즐스토퍼(5)를 아암선회기구(12), 아암승강기구(11), 아암경도기구(13) 및 아암조출기구(7)를 일체적으로 내지 개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전로(2)내에 삽입한다. 이어서 전로(2)가 90°도 경사한 시점에서 노즐스토퍼(5)를 밀어넣어 대기시켜, 전로(2)가 출강 최종각도(93∼94°)에 도달한 시점에서 노즐스토퍼를 하강시켜서, 일단 출강을 멈추고(1∼2초), 그리고 규정된 치수(20∼40mm)만큼 인상하고(이 인상량은 리미트스위치(39)로 조절한다, 이 노즐스토퍼(5)와 전로(2)의 틈으로 출강시킨다. 출강이 끝나면 빨리 노즐스토퍼(5)를 다시 강하시켜 슬래그커트를 하는 동시에 수강레이들을 주입량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전로(2)를 복전(復轉)시켜, 노내의 슬래그가 배출하지 않는 각도에서 일단 정지하고, 노즐스토퍼(5)를 상승시킨 다음에 아암조출기구(7), 아암승강기구(11), 아암선회기구(12), 아암경도기구(13)를 일체적 내지 개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전체의 슬래그커트 장치를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위치로 후퇴시킨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로에서 유출하는 용강으로 슬래그가 혼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장치에 의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그 효과를 거둔다.
즉, (1) 상기 스토퍼가 출강구의 내공위로 규정높이에 위치할때까지 전로내에 포함된 용강안에 노즐스토퍼를 담그고, (2) 상기 스토퍼가 틈을 통해서 출강구로 용강이 계속 유입하는 동안, 규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로의 경동에 불구하고, 내측개구로 노즐스토퍼를 지향시키며, (3) 용강위에 떠있는 슬래그가 간극을 통하여 출강구로 유입되려고 할때, 출강구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노즐스토퍼를 낮추어, 슬래그가 유출된 용강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슬래그의 유출개시시기를 판단하는 수단은 용융슬래그와 용광사이에는 목시상(目視上) 명도(明度) 색채의 차가 있으며, 슬래그의 유출개시 시기는 현장 작업숙련자의 목시에 의한 명도, 색채의 차이에 의거하여 정확히 판단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장치에 의한 출강방법의 특징은 전로의 출강구상으로부터 일정거리의 틈을 설치하여 전로의 경동각도에 따라서 일정거리에 배치한 스토퍼 또는 기타 이물을 추종 고정시켜, 이 틈에서 용탕을 유출시켜 슬래그의 유출개시에 이 스토퍼에 의해서 출강구를 폐쇄하여 용강과 슬래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장치의 채용에 따른 특징은 용강상면에 떠 있는 슬래그를 끌어들여 용강을 유출시킨다고 하는 이른바 와류를 방지하는 것이며, 스토퍼를 출강구상에 일정한 틈을 설치하여 추종, 고정시킴으로써 용강류속에의 슬래그를 끌어들이는 것에 의한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는 등 슬래그의 유출시기를 늦추는데 있다. 본 장치의 특징을 사전에 확인하기 위해 물과 수지에 의해 실험을 한 결과, 유출구의 크기를 10로 했을 경우, 100mm의 수심 또 150mmψ로 했을 경우, 200mm의 수심에서 물 윗면에 떠있는 수지가 유출류(流出流)에 끌어들어 물과 혼합하여 유출이 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스토퍼를 유출구 상부에 일정거리와 틈을 두고 실험한 결과 유출구의 크기에 관계없이 20∼30mm의 수심까지 수지가 끌려들어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었다. 이 실험예에 의거하여 전로에 응용한 결과, 상기 작업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전로가 93∼94°의 경사각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노즐스토퍼를 하강시켜 일단 출강을 멈춘다음 출강구 윗쪽에 노즐스토퍼를 규정치수 즉, 20∼40mm로 끌어올려, 이 간극에서 출강을 시키는 출강법의 실시에 의하여 출강중의 슬래그가 끌려들어가는 것은 출강완료 시점까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즉, 전로에 의한 제강법에 있어서, 출강시의 용강과 용융슬래그와의 태양(態樣)은 물론 용강으로 간주하고 또 수지를 슬래그로 간주하여, 실험적으로 그 동향을 축적함으로써 정확하게 알수 있다. 상술한 「출강구 윗쪽에 노즐스토퍼를 규정치수 즉 20mm∼40mm로 끌어올려」라고 하는 조건은 물과 수지를 사용했을때의 시뮬레이션 테스트(simulation test)의 결과의 가장 적합한 조건이 이 범위내에 있었던 것에 의거한 것이다. 스토퍼의 위치를 20mm 이하 했을 경우에는 스토퍼와 출강구와의 사이의 틈이 좁아져서 용강의 유출량이 적어져 능률이 나빠지며, 또 40mm를 넘었을 경우는 슬래그를 끌어들인 화류가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 출강법의 경우의 슬래그 유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용강류와의 끌어들이기에 의한 슬래그배출이 현저히 감소하여 총 배출 슬래그량의 감소에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또, 본 장치의 채용으로 출강시의 용강과 슬래그와의 분리가 거의 완전한 것으로 되었기 때문에, 출강 완료시의 슬래그유출 개시시기의 판정이 종래의 목시자에 의한 판정에서 용강과 슬래그의 도통을 센서로 측정하는 판정으로, 또 수강요기의 용강중량을 측정하는 판정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현재, 본 방치에 의해 슬래그의 유출개시 시기를 탐지하여, 재빨리 신호를 발하여 스토퍼를 하강시켜, 출강구를 폐쇄하여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는 슬래그 커트법의 실시도 추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면 출강중도의 용강류에의 슬래그의 끌어들임은 거의 없어지고, 또 출강완료 시점의 슬래그 유출은 본원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신속히 커트할 수가 있어서 용강의 출강수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수강레이들내의 슬래그량을 종래의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이상으로 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었다.
본원 발명의 장치는 전로뿐만 아니라 수강레이들, 탄디쉬, 혼선로 등의 용융금속수탕 용기에 있어서의 용탕의 배출기구부에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경동위치(傾動位置)에 있는 전로내에 전로구에서 신연자재(伸延自在)로 설치할 수냉스토퍼 지지아암의 선단에 장척노즐스토퍼를 요동자재로 매달고, 동 장척노즐 스토퍼의 하단을 출강구와 접촉, 이간시키기위해 상기 수냉스토퍼 지지아암을 진퇴, 경동, 선회,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를 갖는 전로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냉스토퍼 지지아암은 동 스토퍼 지지아암을 진퇴자재로 에워싼 아암안내통, 동 스토퍼를 진퇴자재로 조출(繰出)하는 아암조출 기구와, 하단을 상기 아암안내통의 기단(基端)과 회동자재로 원추형 접합하여, 중간을 건물지지 기둥의 옆걸기 부착리브에 베어링을 통해 승강 및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수직아암 지지축과, 상기 스토퍼 지지아암을 승강시키고자 상기 수직아암 지지축에 병렬로 배치해서 이루어진 아암승강 기구와, 상기 스토퍼 지지아암을 상기 수직아암 지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선회시키고자 옆걸기 부착리브에 병설되어 있는 아암선회기구 및 일단을 상기 수직아암 지지축의 중간과 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아암안내통의 선단에 연결해서 이루어진 아암 경동기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장척노즐 스토퍼의 하단을 출강구와 접촉, 이간시키기 위한 수냉스토퍼 지지아암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가지고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 장치.
KR1019840004767A 1980-07-05 1984-08-09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KR86000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767A KR860000013B1 (ko) 1980-07-05 1984-08-09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4980A JPS5719315A (en) 1980-07-05 1980-07-05 Slag cutting device used for converter or the like and tapping method
JP80-92049 1980-07-05
KR1019810002361A KR860000876B1 (ko) 1980-07-05 1981-06-30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KR1019840004767A KR860000013B1 (ko) 1980-07-05 1984-08-09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022A KR850002022A (ko) 1985-04-10
KR860000013B1 true KR860000013B1 (ko) 1986-01-30

Family

ID=1404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767A KR860000013B1 (ko) 1980-07-05 1984-08-09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9315A (ko)
KR (1) KR860000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7877A (zh) * 2021-12-31 2022-04-12 马鞍山市雨山冶金新材料有限公司 可快速在线更换的特大型转炉挡渣装置及快速更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022A (ko) 1985-04-10
JPS622605B2 (ko) 1987-01-21
JPS5719315A (en) 198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876B1 (ko)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slag)혼입 방지방법
US3884400A (en) Articulated holder for pouring tube
KR860000013B1 (ko) 전로(轉爐)에 있어서의 슬래그 혼입방지장치
US4679773A (en) Horizontal tapping furnace and method of operation
CN107385143B (zh) 一种转炉出钢保护装置和方法
CN110000369A (zh) 一种悬臂式钢包引流砂添加装置
KR101510286B1 (ko) 슬래그 제거장치
US5524119A (en) Taphole design and pouring method
DE3327671C2 (de) Einrichtung zum weitestgehend schlackenfreien Abstechen von Metalschmelzen, insbesondere von Stahlschmelzen, aus metallurgischen Gefäßen
US4795139A (en) Apparatus for tapping slag-free steel from a continuous melting furnace
JP4412316B2 (ja) 液体容器および該液体容器を用いた液体排出方法
SU81283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дотвращени пОпАдАНи шлАКА из KOHBEPTOPAB СТАлЕРАзлиВОчНый КОВш
KR20040029888A (ko) 레이들
CN215713113U (zh) 一种自旋式炼钢转炉出钢挡渣锥
JPS6160883B2 (ko)
SU9846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а
JPS6160886B2 (ko)
JPS5831018A (ja) 溶湯容器に用いるスラグカツト方法
KR20050049110A (ko) 출강중인 전로의 용융물 유동장치
CN118106483A (zh) 连铸机引流砂装置及其控制方法
RU2115510C1 (ru)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шлака от металла в стопорном ковше в конце заливки металла
SU752126A1 (ru) Подовый сталеплавильный агрегат
US4733853A (en) Molten metal taphole design to improve yield and cleanliness
CN118023508A (zh) 连铸钢包引流砂排除装置及方法
KR100930513B1 (ko) 래들용 슬래그 유출 방지용 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