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988B1 -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988B1
KR840001988B1 KR1019840003709A KR840003709A KR840001988B1 KR 840001988 B1 KR840001988 B1 KR 840001988B1 KR 1019840003709 A KR1019840003709 A KR 1019840003709A KR 840003709 A KR840003709 A KR 840003709A KR 840001988 B1 KR840001988 B1 KR 84000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r
vinyl
esters
carboxy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오 다까야
하사시 다까스기
다까시 마쓰기
히데아끼 야마나까
고오지 가와바다
Original Assignee
후지사와 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사와 유우기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사와 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사와 유우기찌로오 filed Critical 후지사와 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02Preparation
    • C07D501/04Preparation from compounds already containing the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s, e.g. by dehydrogenation of the ring, by introduction, elimination or modification of sub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2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in position 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살균성을 지닌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는 신규이며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2는 카르복시
R6는 아미노 또는 보호된 아미노,
A는
Figure kpo00002
의 신이성체,
R4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카르복시 또는 보호된 카르복시로 치환된 저급알킬이다.
하기 공정에 대응되는 출발화합물(Ⅳ) 및 본 목적화합물(I-e)에 있어서, 분자내의 비대칭 탄소원자에 인한 광학적 이성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체 이성질체의 쌍이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이성질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화합물(I-e)의 알맞는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은 통상의 무독성염이며 알칼리금속염(예,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토금속염(예,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암모늄염과 같은 무기염기의 염 ; 유기아민염(예, 트리에틸아민염, 피리딘염, 피콜린염, 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등)과 함은 유기염기의 염, 무기산부가염(예,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염, 인산염 등) ; 유기카르복실 동는 술폰산부가염(예,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말리에이트, 터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등) ; 염기성 또는 산성아미노산의 염(예, 아르기닌, 아스파르틱산, 글루타믹산 등)과 같은 염기성과 산성의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하기 반응도표에 의하여 설명된다.
Figure kpo00003
또는 그것의 염
Figure kpo00004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것의 염
상기식에서
X1은 할로겐이며
R2, R6와 A는 전술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상에서,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알맞는 실시예와 설명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저급"이란 다른 설명이 없는한 1-7의 탄소원자의 기를 의미한다.
알맞는 "저급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및 그 유도체의 직쇄 및 측쇄상의 것으로 양호한 것은 C1-C4알킬이다.
알맞는 "보호된 아미노기"는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에 사용된 통상의 아미노-보호기에 의하여 치환된 아미노기인데 다음과 같은 아실기들이 있다. 모너-디(디-, 트리)페닐(저급)알킬과 같은 아르(저급)알킬(예, 벤질, 벤즈히드릴, 트리틸 등),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저급)알킬리덴 또는 이것의 엔아민 토토머(예, 1-메톡시카보닐-1-프로펜-2-일 등), 디(저급)알킬아미노메틸렌(예, 디메틸아미노메틸렌 등).
알맞는 "아실"은 지방족 아실, 방향족 아실, 헤테로시클릭 아실 및 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릭기로 치환된 지방족 아실이다.
지방족 아실은 저급 알칸오일(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온 일,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헥산오일 등), 저급알칸설포닐(예, 메실, 에탄설포닐, 프로판설포닐 등), 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등), 저급알켄오일(예,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크로토노일 등), (C3-C7)-시클로알칸카르보닐(예, 시클로헥산카르보닐 등), 아미디노, 및 그 유사물과 같은 포화된 또는 불포화 아시클릭 또는 시클릭이 포함된다.
방향족 아실은 아로일(예, 벤조일, 톨루오일, 크실로일 등), 아렌술포닐(예, 벤젠술포닐, 토실 등), 및 그 유사물이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릭 아실은 헤테로시클카르보닐(예, 푸로일, 테노일, 니코틴오일, 이소니코틴오일, 티아졸릴카르보닐, 티아디아졸릴카르보닐, 테트라졸릴카르보닐 등) 및 그 유사물이 포함된다.
방향족기로 치환된 지방족 아실은 페닐(저급)알카노일(예, 페닐아세틸, 페닐프로피오닐, 페닐헥사노일 등)과 같은 아르(저급)알카노일, 페닐(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벤질옥시카르보닐, 펜에틸옥시카르보닐 등)과 같은 아르(저급)알콕시카르보닐, 페녹시(저급)알카노일(예, 페녹시아세틸, 페녹시프로피오닐 등), 및 그 유사물이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릭기로 치환된 지방족 아실은 티에닐아세틸, 이미다졸릴아세틸, 푸릴아세틸, 테트라졸릴아세틸 티아졸릴아세틸, 티아디아졸릴아세틸, 티에닐프로피오닐, 티아디아졸릴프로피오닐 및 그 유사물이 포함된다.
이들 아실기는 저급알킬(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등), 할로겐(예, 염소, 브롬, 요오드, 불소 등), 저급알콕시(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등), 저급알킬티오(예,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펜틸티오, 헥실티오 등), 니트로 및 그 유사물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같은 치환물을 지닌 양호한 아실은 모노(디, 트리)할로(저급)알카노일(예, 클로로아세틸, 브로모아세틸, 디클로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등), 모노(디, 트리)할로(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클로로메톡시카르보닐, 디클로로메톡시카르보닐,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등), 니트로(할로, 저급알콕시)페닐(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 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등), 및 그 유사물이 될 수 있다.
알맞은 "보호된 카르복시"기는 3번째 또는 4번째 위치에 통상 페니실린 또는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에 사용되는 에스테르화된 기를 포괄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시기"에서 알맞는 "에스테르부분"은 저급알킬에스테르(예,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t-부틸에스테르, 펜틸에스테르, 헥실에스테르 등), 저급알케닐에스테르(예, 비닐에스테르, 알릴에스테르 등), 저급알키닐에스테르(예, 에티닐에스테르, 프로피닐에스테르 등), 저급알콕시(저급)알킬에스테르(예, 메톡시메틸 에스테르 에톡시메틸에스테르, 이소프로폭시메틸에스테르, 1-메톡시에틸에스테르, 1-에톡시에틸에스테르 등), 저급알킬티오(저급)알킬에스테르(예, 메틸티오메틸에스테르, 에틸티오메틸에스테르, 에틸티오 에틸 에스테르, 이소프로필티오메틸 에스테르 등), 아미노- 및 카르복시-치환된-저급 알킬 에스테르(예, 2-아미노-2-카르복시 에틸에스테르, 3-아미노-3-카르복시프로필에스테르 등), 저급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및 모노(디-, 트리-)페닐(저급)알콕시카르보닐-치환된-저급알킬에스테르와 같은 보호된 아미노-및 보호된-카르복시-치환된-저급알킬에스테르(예, 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에틸에스테르 등), 모노(디, 트리)할로(저급)알킬에스테르(예, 2-요오드에틸에스테르, 2,2,2-트리클로로에틸 에스테르 등), 저급알카노일옥시(저급)알킬 에스테르(예, 아세톡시메틸에스테르, 프로피오닐옥시메틸 에스테르, 부티릴옥시메틸 에스테르, 이소부티릴옥시메틸 에스테르, 발레릴옥시메틸 에스테르, 피발로일옥시메틸 에스테르, 헥사노일옥시메틸에스테르, 2-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2-프로피오닐옥시에틸에스테르, 1-아세톡시프로필에스테르 등), 저급 알켄설포닐(저급)알킬에스테르(예, 메실메틸에스테르, 2-메실에틸 에스테르 등) 아르(저급)알킬 에스테르(예, 벤질에스테르, 4-메톡시벤질에스테르, 4-니트로벤질에스테르, 펜에틸에스테르, 벤즈히드릴 에스테르 트리틸에스테르, 비스(에톡시페닐)메틸 에스테르, 3,4-디메톡시벤질에스테르, 4-히드록시-3,5-디-t-부틸벤질 에스테르 등),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를 갖는 아릴 에스테르(예, 페닐 에스테르, 톨릴에스테르, t-부틸페닐에스테르, 크실릴에스테르, 메시틸에스테르, 큐메닐에스테르, 살리실에스테르 등), 헤테로시클릭에스테르(예, 프탈리딜 에스테르 등), 및 그 유사물이 포함된다.
특히, 본 화합물(I-e)의 "R6", "R2", 및 "R4"의 양호한 예는 다음과 같음 :
R6는 아실아미노[특히 저급알칸아미도(예, 포름아미도 등)]
R4는 카르복시(저급)알킬(예, 카르복시메틸, 1-카르복시에틸, 2-카르복시에틸, 3-카르복시프로필, 1-카르복시-1-메틸에틸 등), 또는 에스테르화카르복시(저급)알킬[특히 저급알콕시카르보닐(저급)알킬(예, 메톡시카르보닐메틸, 에톡시카르보닐메틸, t-부톡시카르보닐메틸, 1-t-부톡시카르보닐에틸, 3-t-부톡시 카르보닐프로필, 1-t-부톡시카르보닐-1-메틸에틸 등), 저급알카노일옥시(저급)알콕시카르보닐(저급)알킬(예, 아세톡시메톡시카르보닐메틸, 피발로일옥시메톡시카르보닐메틸, 헥사노일옥시메톡시카르보닐메틸등) 아미노-와 카르복시-치환된 저급알콕시카르보닐(저급)알킬(예, 2-아미노-2-카르복시에톡시카르보닐메틸 등), 저급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와 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저급)알콕시카르보닐-치환된-저급알콕시카르보닐(저급)알킬(예, 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에톡시카르보닐메틸 등)].
R2는 카르복시 또는 에스테르화 카르복시기 특히 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 등), 저급알카노일옥시(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아세톡시메톡시카르보닐, 프로피오닐옥시메톡시카르보닐, 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카르보닐, 피발로일옥시메톡시카르보닐, 헥사노일옥시메톡시카르보닐, 1-아세톡시프로폭시카르보닐 등), 아미노-와 카르복시-치환된 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2-아미노-2-카르복시 에톡시카르보닐 등), 저급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와 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저급)알콕시카르보닐-치환된-(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에톡시카르보닐 등), 프탈리딜(예, 프탈리드-3-일 등)].
본 발명의 제조공정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된다.
화합물(I-e)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은 화합물(Ⅴ)와 화합물(Ⅳ) 또는 그 염과 반응하여 제조할 수 있다.
출발화합물(Ⅳ)의 적당한 염은 화합물(I-e)에 대해서 염기와 같은 염을 포함한다.
이 반응은 에틸아세테이트,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일화탄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물,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이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용매중에서 실시한다.
반응온도는 일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냉각상태하에서 가열하면서 실시한다.
목적화합물(I-e)은 상기의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데, 추출, 침전, 분별 결정화, 재결정, 크로마토그라피 같은 공지 방법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목적화합물(I-e)가 4 또는 7 위치에 유리아미노기 또는 유리카르복시기를 갖는 경우 이들은 공지의 방법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I-e)과 약학적 허용 가능염은 신규이며, 항생적활성을 가지고 있고 그람-양성과 그람-음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생제의 효과가 있으며, 하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구투여한다.
1. 항균성에 대한 시험
다음에 서술된 2겹 아가-플레이트 희석방법에 따라 시험관 내의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험균주가 있는 Tripticase-soy 배지의 하룻밤 배양된 것의 1루프풀(약 106세포/1㎖)를 등급별 농도의 항균제를 함유하는 HI-아가에 층배시키고 27℃에서 20시간 배양시킨 뒤 MIC(㎍/㎖)를 측정하였다.
○ 본원의 전형적인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7-[2-(2-아미노티아졸-4-일)-2-에톡시아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염화수소(신 이성체)(화합물 A).
7-[2-(2-아미노티아졸-4-일)-2-에톡시아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신 이성체)(화합물 B).
○ 비교화합물
7-[2-(2-푸릴)-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신 이성체)(비교화합물 X)].
7-[2-(2-티에닐)-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신 이성체)(비교화합물 Y)].
○ 시험결과
Figure kpo00005
[실시예 1]
물(20㎖)중의 벤즈히드릴 7-(4-브로모-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1.2g), 티오우레아(0.5g)과 나트륨아세테이트(트리하이드레이트)(0.7g)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을 30℃에서 3.5시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여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용매를 제거하여 잔사를 얻는데, 이것을 디에틸에테르와 분쇄하여 벤즈히드릴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1.05g)을 얻는다.
IR(뉴졸) : 3230, 1780, 1710, 1650, 1620, 1580, 1540cm-1
NMR δppm(DMSO-d6) : 3.78(2H, q, J=17Hz), 3.87(3H, S), 5.28(1H, d, J=5Hz), 5.32(1H, d, J=11Hz), 5.65(1H, d, J=17Hz), 5.72(1H, dd, J=5Hz, 8Hz), 6.80(1H, S), 6.80(1H, dd, J=11Hz, 17Hz), 6.97(1H, S), 7.20-7.67(10H, m), 9.67(1H, d, J=8Hz)
[실시예 2]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신 이성체)(0.8g)은 실시예 1에 따라 7-(4-브로모-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신 이성체)(1.5g)과 티오우레아(0.8g)의 반응에 의해 얻는다.
IR(뉴졸) : 3400-3100, 1780, 1660, 1630, 1540cm-1
NMR δppm(DMSO-d6) : 3.72(2H, q, J=18Hz), 3.87(3H, S), 5.20(1H, d, J=5Hz), 5.33(1H, d, J=11Hz), 5.58(1H, d, J=18Hz), 5.78(1H, dd, J=5Hz, 8Hz), 6.77(1H, S), 6.95(1H, dd, J=11Hz, 18Hz), 9.62(1H, d, J=8Hz)
하기 화합물들은 실시예 1에 따라 대응하는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와 티오우레아의 반응에 의해 얻는다.
[실시예 3]
L-2-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
IR(뉴졸) : 3370, 1775, 1730, 1616cm-1
[실시예 4]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신 이성체).
IR(뉴졸) : 3300, 1770, 1660, 1545cm-1
[실시예 5]
7-[2-(2-아미노티아졸-4-일)-2-헥실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신 이성체).
융점 147-155℃(분해)
IR(뉴졸) : 3250, 1770, 1660, 1530cm-1
[실시예 6]
피발로일옥시메틸 7-[2-(2-아미노티아졸-4-일)-2-(피발로일옥시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 융점 115℃(분해)
IR(뉴졸) : 3400, 3260, 3100, 1780, 1750, 1660, 1635cm-1
[실시예 7]
아세톡시메틸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 융점 78-83℃
IR(뉴졸) : 3300, 1765(브로드), 1660, 1610, 1635cm-1
[실시예 8]
프로피오닐옥시메틸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 융점 79-85℃
IR(뉴졸) : 3350, 1770(브로드), 1650, 1620, 1530cm-1
[실시예 9]
이소부티릴옥시메틸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 융점 92-100℃(분해)
IR(뉴졸) : 3400-3100, 178-1740, 1670, 1610, 1530cm-1
[실시예 10]
피발로일옥시메틸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
IR(뉴졸) : 3300, 1780, 1740, 1670, 1610, 1530cm-1
[실시예 11]
1-아세톡시프로필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세펨-4-카르복실레이트(신 이성체), 융점 97-100℃
IR(뉴졸) : 3300, 1765, 1670, 1610cm-1

Claims (1)

  1. 하기식(Ⅳ)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하기식(Ⅴ)의 화합물 또는 그 염과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하기식(I-e)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2는 카르복시 또는 보호된 카르복시
    R6는 아미노 또는 보호된 아미노
    A는
    Figure kpo00007
    의 신 이성체
    R4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카르복시 또는 보호된 카르복시로 치환된 저급알킬.
    X1은 할로겐.
KR1019840003709A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40001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022920 1980-07-14
GB8022920 1980-07-14
KR1019800004426A KR840001827B1 (ko) 1980-07-14 1980-11-1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426A Division KR840001827B1 (ko) 1980-07-14 1980-11-1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988B1 true KR840001988B1 (ko) 1984-10-26

Family

ID=10514733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426A KR840001827B1 (ko) 1980-07-14 1980-11-1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12A KR840001990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10A KR840002009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08A KR840001987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09A KR840001988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11A KR840001989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07A KR840002008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426A KR840001827B1 (ko) 1980-07-14 1980-11-1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12A KR840001990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10A KR840002009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08A KR840001987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711A KR840001989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3707A KR840002008B1 (ko) 1980-07-14 1984-06-29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840001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0749A1 (en) 2000-03-20 2001-09-27 Hanmi Fine Chemicals Co. Ltd. A process for preparing cephalosporin derivatives using new thiazole compou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0749A1 (en) 2000-03-20 2001-09-27 Hanmi Fine Chemicals Co. Ltd. A process for preparing cephalosporin derivatives using new thiazole compound
US6384212B1 (en) 2000-03-20 2002-05-07 Hanmi Fine Chemicals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cephalosporin antibiotics using new thiazole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989B1 (ko) 1984-10-26
KR840001987B1 (ko) 1984-10-26
KR840002008B1 (ko) 1984-10-27
KR830004313A (ko) 1983-07-09
KR840002009B1 (ko) 1984-10-27
KR840001827B1 (ko) 1984-10-22
KR840001990B1 (ko) 198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4637B1 (en) Starting compounds for 7-acylamino-3-vinylcephalosporanic acid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JPH0225905B2 (ko)
US470585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phosphoniummethyl-3-cephem compounds
JPH0354111B2 (ko)
JPH02176A (ja) 酢酸誘導体およびその塩類
EP0105459B1 (en) Syn-isomer of 7-substituted-3-vinyl-3-cephem compounds, processe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61249989A (ja) 7−アミノ−3−プロペニルセフアロスポラン酸及びそのエステル
HU189792B (en) Process for producing ceph-3-em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840001988B1 (ko)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HU201948B (en) Process for producing cefem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US4354022A (en) Process for preparing 3-methylenecepham compounds or a salt thereof
RU2091384C1 (ru) Производные цефалоспорина и их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е нетоксичные соли, физиологически гидролизуемые сложные эфиры, син-изомеры и оптические изомеры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JP2859630B2 (ja) チアジアゾリル酢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中間体
US4841044A (en) Cephalosporin derivatives
JPH07501311A (ja) 新規な3−縮合ピリジニウムメチルセファロスポリン化合物
JPS58135894A (ja) 7―置換ブチルアミド―3―ビニルセファロスポラン酸誘導体
KR820001323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20001285B1 (ko) 세펨화합물의 제조방법
KR810000635B1 (ko)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KR950008321B1 (ko) 세펨 유도체
JPS62226986A (ja) 新規セフアロスポリン誘導体
JPH02134384A (ja) セファロスポ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JPH072751B2 (ja) 新規なセフアロスポリン類およびその塩
HU185934B (en) Process for producing cepheme-carboxylic acid derivatives
JPH0867684A (ja) 新規セフェム化合物、その製造法及び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