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187B1 -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187B1
KR840000187B1 KR1019800004694A KR800004694A KR840000187B1 KR 840000187 B1 KR840000187 B1 KR 840000187B1 KR 1019800004694 A KR1019800004694 A KR 1019800004694A KR 800004694 A KR800004694 A KR 800004694A KR 840000187 B1 KR840000187 B1 KR 84000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s
compound
herbicide
effect
thiadi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877A (ko
Inventor
엔도 게이지
토리야마 도모미
모리 기사꾸
Original Assignee
쉐링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디에테르 휘셔
게르하르르 리드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링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디에테르 휘셔, 게르하르르 리드케 filed Critical 쉐링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80000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187B1/ko
Priority to KR1019830002840A priority patent/KR840000186B1/ko
Publication of KR83000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초제 조성물
본 발명은 특히 활성성분으로서 2종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신규의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단독으로 각각 시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결과와 비교하여 기대할 수 없었던 현저한 상승 효과를 지니고 있다. 최근에 와서, 수많은 탁월한 제초제를 논 토양에 시용하여 일년생 잡초를 제거하기가 매우 쉬워졌으며 합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일년생 잡초이외에, 최근에 다년생 잡초가 도처에 퍼져나가므로 이들을 사멸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다년생 잡초의 변식으로 말미암아 경작방법 및 파종방법과 경작에 있어서 부적당한 조절방법 등의 여러가지 요인들을 변경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주원인은 다년생 잡초에는 효과가 없으나 일년생 잡초에는 효과를 가지는 작용범위가 좁은 제초제를 여러해동안 계속 사용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일년생 잡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년생 잡초에도 효과를 주어서 다년생 잡초를 제거할 능력을 가진 광범위한 제초제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특허공보 제42853/77호에는 5-(N-페닐카바모일아미노)-1,2,3-티아디아졸을 함유하는 식물 성장조절제가 발표되었으며 이 조절제는 불모지에서 생겨나는 잡초를 제거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음도 아울러 발표되었다.
본 조절제가 가지고 있는 제초적 특성에 관한 시험을 한 결과 논 토양에서 자라는 잡초를 발아전 또는 발아초기 단계에 처리하여 일년생 광엽잡초(일년생 방동사니과 잡초) 및 다년생 잡초(예를들면 올챙이고랭이)처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표하였으나, 농작물에 상당히 큰 피해를 주는 피 및 물담개비에는 효과가 거의 없으며, 그리고 시용 범위가 매우 좁은 제초제이므로 시용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음이 드러났다.
여러 종의 제초제를 혼합하여 사용을 하여 보았으나 거의 모든 경우에 이 효과는 각 제초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얻을 수 있는 결과의 총합에 지나지 않거나 각 제초제의 효과가 서로 보상될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년생 잡초 및 다년생 잡초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결점들을 제거하여 광범위한 제초활성을 지닌 신규의 제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제초제 조성물은5-(N-페닐카바모일아미노)-1,2,3-티아디아졸 및 다음 일반식(Ⅰ)의 디페닐 에테르를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치환제 X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염소원자, 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그룹이며
Y는 수소원자, 저급알콕시, 에록시-에톡시에톡시, 또는 메톡시 카보닐 그룹이며
n은 1내지 3의 정수이다.
본 제초제 조성물은 일년생 잡초 및 다년생 잡초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광범위한 제초효과를 나타내는, 혼합된 각 화합물의 현저한 상승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논 토양에 벼를 이식하기 전 또는 이식한 후에 보통 사용하며 또한 작물(예를 들면 곡류, 콩) 및 야채 등에도 제초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과실수, 잔디, 산림지, 묘목지 및 비농경지 등에도 시용할 수 있다.
제초, 조성물인 일반식(Ⅰ)의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
2,4-디클로로페닐-3'-메톡시-4'-니트로페닐 에테르(화합물 1),
2,4-디클로로페닐-3'-에톡시에톡시에톡시-4'-니트로페닐에테르(화합물 2),
2,4-디클로로페닐-3'-메톡시카보닐-4'-니트로페닐에테르(화합물 3),
2,4,6-트리클로로페닐-4'-니트로페닐 에테르(화합물 4),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톡시-4'-니트로페닐-에테르(화합물 5),
3-메틸페닐-4'-니트로페닐에테르(화합물 6),
3,5-디메틸-4'-니트로페닐 에테르(화합물 7),
하기에서, 화합물 1 내지 7은 상술한 화합물 1내지 7이고 화합물 A는 상술한 5-(N-페닐-카바모일아미노)-1,2,3-티아디아졸이다.
일반식(Ⅰ)화합물들은 모두 기지의 화합물들이며 이들도 모두 화분과 잡초(예를들면 피)와 일년생 광엽잡초(예를들면 물달개비)를 발아 초기에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화학물들은 다년생 잡초(예를들면 너도방동사니, 올미, 올챙이 고랭이)에 대해서는 효과가 거의 없다.
실제적인 사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과립, 수화성분제, 유탁액, 미세과립 및 분말과 같은 제제중 어느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두성분의 혼합비율은 상기 화합물 A 1중량부에 대해 일반식(Ⅰ) 0.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제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고체 담체로는 탈크, 벤토나이트, 클레이, 카오린, 규조토, 버미규라이트, 탄산칼슘 등이다.
액체 담체로서는 벤젠, 알콜, 아세톤, 크실렌, 메틸나프탈렌, 디옥산, 이소포론 및 사이클로헥사논 등이다.
사용 가능한 유화제로는 알킬 황산 에스테르, 알킬 설포네이트, 폴리에틸 렌글라이콜 에테르 및 다가 알콜 에스테르 등이다.
본 제초제 조성물의 제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제제 1 : 수화성 분제
Figure kpo00002
상술한 성분들을 완전히 분쇄하고 혼합하여 수화성 분제로 만든다.
제제 2 : 유탁액
Figure kpo00003
상술한 성분을 혼합하여 유탁액으로 만든다.
제제 3 : 과립
화합물 A : 4부 벤토나이트 : 10부
화합물 5 : 7부 클레이 : 73부
리그닌 설폰산 나트륨 : 6부
상술한 성분을 혼합하고 분쇄한후 물을 가해서 반죽상태로 만든다. 그후 생성된 반죽혼합물을 과립화하고 과립 형태로 건조시킨다.
그 외에 본 제초제 조성물의 유용한 특성을 다음 시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입증된다.
[시험 실시예 1]
너도 방동사니에 대한 제초효과 시험
논토양(바이알 옥토)을 3cm 깊이로 와그너 폿트에 채우고 너도 방동사니의 5개 괴경을 각 폿드에 심는다. 31일후, 화합물A 또는 화합물 1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과립을 표 1에서 볼 수 있는 각각의 화합물 시용 용량으로 토양내에 사용한다.(이때 혼합비뮬은 표 1과 같음). 처리한지 30일 후에 남아 있는 너도 방동사니 식물을 꺼내어 건조량을 측정한다. 그후, 방동사니증 잔존물의 %는 다음 방정식으로 계산하다 :
잔존율%=
Figure kpo00004
×100
결과는 표 1과 같다.
본 제초제 조성물의 상승 효과는, 상승효과를 측정하는 콜비 방정식에 따라, 예상 잔존 잡초량을 계산하였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X는 X화학물을 독립적으로 사용한 경우 측정된 잔존 잡초량(%)을 나타낸 것이고 Y는 Y화학물을 독립적으로 사용한 경우 측정된 잔존 잡 초량을 나타낸 ㄴ것이다. 이들 예상 잔존 잡초량은 표 1에 괄호안에 표시하였다. 예상 잔존 잡초량(%)보다 실제 측정한 잔존 잡초량(%)이 적은 것은 상승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시험 실시예 2]
쇠털꼴에 대한 제초 효과 시험
방동사니 대신 4개의 쇠털꼴 뿌리를 각 폿트에 이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 실시에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을 행한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시험 실시예 3]
포장 조건하에서의 제초 효과 시험
논토양으로 제조한 시험구(5cm)2에 피, 물달개비, 마디꽃, 별이끼, 알방동사니, 올챙이 고랭이, 너도방동사니, 쇠털꼴, 바늘꼴과 같은 잡초의 괴경과 종자를 씨래질하는 동안 혼합시킨다. 이어서, 4엽 단계에 있는 벼 모종을 시험구에 이식시키고 3cm 깊이의 침부 상태로 모양을 덮는다. 벼를 심은지 4일후 시험실시에 1의 방법으로 여러가지 혼합물을 섞어서 제조한 과립을 물 표면에 사용해준다. 처리한지 40일후에, 남아 있는 잡초를 뽑아서 건조 중량을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기술하였다.
제초효과의 순위를 기록하고 순상도를 0내지 10의 지수로 표시하였다.
0 : 무처리 대조구와 동일
1 내지 2 : 식물에서의 효과 극소 약간 7 내지 8 : 식물에서의 효과 많음
3 내지 4 : 〃 적음 9 내지 10 : 〃 극심함
5 내지 6 : 식물에서의 효과 중간정도
[시험 실시에 4]
제초효과 시험
논 토양을 와그너 폿트에 채우고 물을 삽입한 후에 씨래질을 한후에 1/5,000로 측정하고 피, 물달개바, 마디꽃, 별익끼, 올챙이 고랭이의 종자를 파종하고 너도 방동사니의 괴경, 쇠털%꼴의 원근, 3엽 상태의 벼모종을 더 이식한다. 3cm 깊이의 침부 상태로 모양을 더 넣어준다. 벼를 심은지 3일째에시험 실시에 1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여러종의 화합물로 혼합하여 제조한 과립을 침적된 표면에 사용한다. 처리한 후 30일째에 시험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를 행한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같이 5-(N-페닐카바모일아미노)-1,2,3-티아디아졸을 상술한 일반식(Ⅰ)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너도 방동사니, 쇠털꼴, 바늘꼴과 같은 다년생 잡초에 사용할시 현저한 상승효과를 보여 주고 있으며 각각의 성분을 통상적인 용량으로 사용할 시 일년생 잡총-서는 충분한 사멸 효과를 나타내지만 각각의 성분들을 단독으로 다년생 잡초에 사용할 경우에는 충분히 사멸시키지 못하였다.혼합된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농작물 경작에 매우 중요한 제초 효과의 강화, 제초영역의 확대, 잔존효과 기간의 연장, 적절한 사용 기간의 연장, 혼합 비율에 따른 농작물과 잡초선택성의 증가등을 얻게 되었다.
[표 1]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표 1에서 보는 바와같이 현저한 상승작용이 나타났다.
[표 2]
Figure kpo00008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저한 상승작용이 나타났다.
[표 3]
포장 조건하에서 여러종의 잡초에 대한 제초 효과
Figure kpo00009
[표 4]
제초효과에 관한 시험 결과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Claims (1)

  1. 활성 성분으로서 5-(N-페닐카바모일아미노)-1,2,3 티아디아졸 1중량부에 대해 일반식(Ⅰ)의 디페닐 에테르 0.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Figure kpo00013
    상기 일반식에서 치환제 X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염소원자, 메틸 또는 트티플루오로메틸 그룹이고, Y는 수소원자, 저급알콕시에톡시, 에톡시에톡시, 또는 메톡시 카보닐 그룹이며 n은 1 지 3의 정수이다.
KR1019800004694A 1980-12-10 1980-12-10 제초제 조성물 KR84000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694A KR840000187B1 (ko) 1980-12-10 1980-12-10 제초제 조성물
KR1019830002840A KR840000186B1 (ko) 1980-12-10 1983-06-23 제초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694A KR840000187B1 (ko) 1980-12-10 1980-12-10 제초제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840A Division KR840000186B1 (ko) 1980-12-10 1983-06-23 제초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877A KR830003877A (ko) 1983-06-30
KR840000187B1 true KR840000187B1 (ko) 1984-02-28

Family

ID=192184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694A KR840000187B1 (ko) 1980-12-10 1980-12-10 제초제 조성물
KR1019830002840A KR840000186B1 (ko) 1980-12-10 1983-06-23 제초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840A KR840000186B1 (ko) 1980-12-10 1983-06-23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400001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186B1 (ko) 1984-02-28
KR830003877A (ko) 198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187B1 (ko) 제초제 조성물
JPS6372610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S6261561B2 (ko)
JP2767128B2 (ja) 除草剤組成物
JPS6351304A (ja) 除草剤組成物
JPS5843905A (ja) 稲作用殺菌、殺虫組成物
JPS6034902A (ja) 除草性組成物
JP2602659B2 (ja) 除草組成物
KR800000648B1 (ko) 제초제 조성물
JPS608208A (ja) 除草用組成物
DE2260763B2 (de) Bekämpfung von schädlichen Organismen mit Dihalogenpropansulfonsäureesterderivaten
KR930002954B1 (ko) 제초제 조성물
JPS608204A (ja) 除草組成物
KR860000824B1 (ko) 제초제 조성물
KR830002860B1 (ko) 작물 병해 방제 제초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830001609B1 (ko) 수전용 제초제 조성물
SU249317A1 (ru) Гербицидный состав
JPS58188804A (ja) 除草剤
JPS615003A (ja) 除草剤
JPH02174705A (ja) 水田用除草組成物
JPS608207A (ja) 除草剤組成物
JPS6031840B2 (ja) ビス(ホスホノメチルアミノ)スルフイド誘導体、その製法および除草剤
JPS62298505A (ja) 水田用除草剤組成物
JPS63112501A (ja) 除草剤組成物
JPS6115802A (ja) 除草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