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827A -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용도 - Google Patents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827A
KR20240035827A KR1020247004355A KR20247004355A KR20240035827A KR 20240035827 A KR20240035827 A KR 20240035827A KR 1020247004355 A KR1020247004355 A KR 1020247004355A KR 20247004355 A KR20247004355 A KR 20247004355A KR 20240035827 A KR20240035827 A KR 2024003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loxoprofen
clause
composition
dry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용 리앙
옌동 왕
취리앙 위
리앙 리
야핑 쉬에
메이롱 우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오쿠순 옵탈믹 바이오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오쿠순 옵탈믹 파마슈티컬 (광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오쿠순 옵탈믹 바이오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오쿠순 옵탈믹 파마슈티컬 (광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오쿠순 옵탈믹 바이오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안구건조증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용도
본 출원은 출원일자가 2021년 7월 9일인 중국 특허출원 202110780762.8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의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안구건조증은 건성각결막염 증후군으로도 알려져 있다. 세계 눈물막 안구표면학회 TFOS(the Tear Film & Ocular Surface Society)는 2015년 2차 안구건조증 워크숍에서 안구건조증을 재정의하였다. 즉, 안구건조증(dry eye disease, DED)은 안구표면의 다인자성 질환이며, 주로 안구건조증, 이물감, 작열감 등 안구 표면 증상을 동반하는 눈물막의 항상성 상실이 특징이고, 종종 눈에 끈적한 분비물이 동반되기도 하며, 수면의 질 저하, 눈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증상이 심해지며, 중증인 사람은 시력과 정상적인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최근 안구건조증의 발생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가장 흔한 안과 질환 중 하나가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안구건조증 발생률은 5.5% 내지 33.7%로, 발생률을 보면 남성보다 여성이 높고, 청년보다 노인이 많고, 다른 지역보다 아시아인이 높다. 해외 역학조사에 따르면 30 내지 40세의 안구건조증 유병률은 20%이고, 70세 이상에서는 안구건조증 유병률이 36.1%에 달하며, 이들 중 여성의 유병률이 여전히 남성보다 높다.
안구건조증의 발병원인은 눈물막 손상, 눈물샘 기능 장애, 마이봄샘 기능 장애, 안구 표면 단백질 발현 이상, 비타민 A 결핍, 성호르몬 불균형, 신경 조절 이상 등 자체 요인을 포함하여 다양하다.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당뇨병, 쇼그렌 증후군, 류마티스 관절염, 수면 장애, 폐경기 증후군, 갑상선 질환,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같은 많은 전신 질환도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안구건조증의 발생은 또한 연령과 관련이 있다. 또한, 안구건조증의 발생에는 환경오염이나 과도한 건조증, 안구수술 및 안약 남용, 비디오 단말기의 남용 및 콘택트렌즈 착용과 같이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다. 야외에서 자주 일하는 근로자는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안구건조증의 원인인자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안구건조증의 발병기전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록소프로펜나트륨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로서 류마티스 관절염, 요통, 견주염, 목-어깨-손목 증후군 등의 항염증 진통뿐만 아니라 수술, 외상 후 및 발치 후 진통 소염, 그리고 급성상기도염증의 해열 진통 등 치료에 사용되며,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록소프로펜나트륨의 보고는 아직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단점을 극복하여 치료효과가 좋고 자극이 적은 안구건조증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록소프로펜나트륨(화학명: 2-[4-(2-옥소사이클로펜틸-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나트륨 이수화물)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이며, 이의 작용 기전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며, 작용 표적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이다. 상기 화합물은 현재 임상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요통, 견주염, 목-어깨-손목 증후군 등의 항염증 진통뿐만 아니라 수술, 외상 후 및 발치 후의 진통 소염, 그리고 급성상기도염증의 해열 진통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이 눈물 분비 촉진, 눈물막 안정성 강화 및 각막 상피세포 손상 완화 효과가 있고, 안구건조증, 특히 눈물샘 기능 장애 또는 눈물 분비 감소, 눈물막 안정성 저하 및/또는 각막 상피 세포 손상과 관련된 안구건조증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창의적으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동시에 눈물샘 기능 장애 치료 또는 눈물 분비 촉진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시에 눈물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시에 각막 상피 세포 손상을 예방 및/또는 완화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증점제, 금속 이온 착화제, 삼투압 조절제, pH 조절제 및 정균제 중 하나 또는 복수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증점제를 더 포함한다. 록소프로펜나트륨과 상기 증점제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히알루론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록사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나트륨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금속 이온 착화제를 더 포함한다. 록소프로펜나트륨과 상기 금속 이온 착화제의 질량비는 1:(0.02 내지 0.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8 내지 0.2)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 착화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삼투압 조절제를 더 포함한다. 록소프로펜나트륨과 상기 삼투압 조절제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0)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조절제는 염화나트륨, 만니톨, 글루코스, 염화칼륨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pH 조절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pH 조절제의 사용량은 실제 필요에 따라 결정되며, 최종 제품의 삼투압 값을 인체 사용에 적합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염산,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붕산, 붕사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정균제를 더 포함한다. 록소프로펜나트륨과 상기 정균제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0.5)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균제는 티오메르살, 4차 암모늄염계, 도미펜, 클로르헥시딘, 클로로부탄올, 니파긴계, 소르브산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파라벤 또는 염화벤잘코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록소프로펜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록소프로펜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록소프로펜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 염화나트륨 및 에틸파라벤 또는 염화벤잘코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수용액이다. 상기 수용액에서 록소프로펜나트륨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mg/m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mg/mL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상기 약물은 점안액과 같은 용액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상기 약물은 안과용 겔과 같은 겔화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눈 연고와 같은 연고제이다.
도 1은 알칼리 화상 토끼의 안과용 플루오레세인 나트륨 점수에 대한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2는 알칼리 화상 토끼의 안과용 로즈벵갈 염색 점수에 대한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영향을 나타낸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하기 각 실시예는 안구건조증에 대한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치료 효과를 검증한다.
실험의 용이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표 1에서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질량은 C15H17NaO3로 계산됨).
본 실시예는 상기 조성물 1의 제조방법을 더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칭량하고, 약 1/2 처방량의 주사용수를 취하여 교반하면서 히알루론산나트륨에 가하고, 3시간 이상 팽윤하여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완전히 용해시키고;
(2) 록소프로펜나트륨을 칭량하고 소량의 물을 넣어 이를 용해시키고, 염화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을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며;
(3) 소량의 주사용수로 에틸파라벤을 용해시키고 끓여서 이를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이미 용해된 히알루론산나트륨, 록소프로펜나트륨, 염화나트륨 및 에데트산이나트륨 용액과 혼합하여 주사용수를 전량으로 가하였다.
나머지 조성물은 성분의 차이에 따라 조성물 1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통상적인 조정을 통해 각각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액 조성물은 직접 점안액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주사용수를 전량으로 가한 기초에서, 0.22μm 미세다공성 여과막을 통해 여과하여 멸균한 다음, 멸균환경에서 점안액병에 분주한다.
실시예 1: 알칼리 화상으로 인한 뉴질랜드 토끼의 안구건조증에 대한 영향
1. 모델링 방법
뉴질랜드 토끼를 한마리 당 1% 프로포폴 주사액(1.5 ml/kg)으로 정맥마취시킨 후, 동물에게 안정된 마취 상태가 유지된 후 2% 리도카인염산염 주사액 100μl를 눈에 적가하여 표면마취하였다. 동물이 마취 3단계로 유지되었을 때 약 10mm×5mm 크기의 여과지 스트립을 1mol/L의 NaOH 용액에 담그고 토끼 각막 윤부 약 2mm 위의 안검 결막에 방치하고, 90초 후 즉시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약 50ml로 결막낭을 반복적으로 헹구었다.
2. 결막 플루오레세인 염색
피펫을 사용하여 뉴질랜드 토끼의 오른쪽 눈 결막낭에 0.5% 플루오레세인 용액 2μl를 적가하고, 5초 후 여분의 플루오레세인을 0.9% 염화나트륨 주사액으로 헹구고 코발트 블루 확산광을 사용하여 세극등 현미경으로 결막 염색을 관찰하였다. 결막형광염색 채점기준: 결막을 4개의 사분면으로 나누고, 각 사분면은 염색정도와 면적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염색이 없는 경우 0점, 산발적인 점상염색인 경우 1점, 치밀한 점상염색인 경우 2점 , 시트상 염색인 경우 3점으로 총 12점(왼쪽 눈은 모델링되지 않았으며 음성 대조 눈으로 사용됨)이다.
3. 결막 로즈벵갈 염색
피펫을 사용하여 뉴질랜드 토끼의 오른쪽 눈 결막낭에 1% 로즈벵갈 2μl를 적가하고, 5초 후 여분의 로즈벵갈을 0.9% 염화나트륨 주사액으로 헹구고 녹색광을 사용하여 세극등 현미경으로 결막 염색을 관찰하였다. 결막 로즈벵갈 염색의 채점기준은 결막 형광 염색의 점수 기준과 일치하다.
4. 눈물분비량(양안)
Schirmer I 실험(Schirmer I test)으로 뉴질랜드 토끼의 눈물 분비를 측정하였다. 즉, 안과용 집게를 사용하여 페놀레드 실을 집고 뉴질랜드 토끼의 바깥 눈구석에 방치하며, 60초 후에 페놀레드 실을 꺼내어 젖은 페놀레드 실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5. 눈물막 파괴 시간(양안)
조정 가능한 피펫을 사용하여 0.5% 플루오레세인 나트륨 용액 2μl를 뉴질랜드 토끼의 하부 눈꺼풀 결막낭에 적가하고, 눈을 일정한 힘으로 수동으로 여러 번 깜박이게 한 후 토끼 눈을 일정한 힘으로 벌려 세극등 현미경과 코발트블루광으로 각막을 관찰하며 각막의 녹색막에 검은색 영역이 나타나면 눈물막이 파열되었음을 의미한다. 3회 연속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취하였으며,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참고: 음성 대조군 눈과 비교하여 #은 P<0.05, ##은 P<0.01을 의미하고,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는 P<0.05, **는 P<0.01을 의미한다(음성 대조군 눈은 왼쪽 눈이고, 모델 대조군에는 동일한 부피의 0.9% 염화나트륨 주사액을 투여함).
표 2의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성물 1을 투여한 후 1일째(D1)에 눈물막 파괴 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투여 후 5일째(D5), 9일째(D9)에는 눈물막 파괴 시간이 유의하게 연장되어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P<0.05 또는 0.01).
참고: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은 P<0.05를 의미하고, ##은 P<0.01을 의미한다(모델 대조군에는 동일한 부피의 0.9% 염화나트륨 주사액을 투여함).
참고: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은 P<0.05를 의미하고, ##은 P<0.01을 의미한다(모델 대조군에는 동일한 부피의 0.9% 염화나트륨 주사액을 투여함).
알칼리 화상 토끼의 눈 플루오레세인 나트륨 점수 및 로즈벵갈 염색 점수에 대한 조성물의 영향을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도 2 및 표 3과 표 4의 데이터를 종합하면,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 1이 투여 후 5일째, 9일째에 안과 점수에 유의한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 음성 대조군 눈과 비교하여 #은 P<0.05를 의미하고, ##은 P<0.01을 의미한다. (음성 대조군 눈은 왼쪽 눈임)
위의 표 2 내지 표 5의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알칼리 화상으로 인한 토끼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를 가지며, 그 개선 효과는 주로 눈물막 안정성 강화, 눈물 분비량 증가 및 각막 상피 세포 손상의 완화(주로 눈 손상의 국소 부종을 감소시키는 데 나타남)에서 나타났다. 또한, 병리학적 연구 보고를 통해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한 조성물이 술잔세포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성물 2 내지 4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조성물 2 내지 4는 모두 알칼리화상으로 인한 토끼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조성물 1의 효과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2: 마우스의 결막 건조증 증후군에 대한 영향
1. 항원의 제조방법
동일한 종의 마우스를 경추 탈구시켜 안락사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눈 주위를 소독하였다. 결막을 울트라클린 벤치에 꺼내어 80,000/500mL 겐타마이신이 함유된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80,000/500mL의 겐타마이신이 함유된 생리식염수에 넣고, 결막을 조각으로 절단하고 균질화기에서 균질액으로 분쇄했다. 4℃를 유지하고 초음파 분쇄기로 1시간 동안 분쇄한 후 원심분리기에 넣어 원심분리(3000r/min, ×15min)하였다. 상청액을 취하고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법으로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다음 0.14MPBS로 단백질 농도를 100μg/mL로 희석하였다. 완전히 혼합하여 유중수 용액을 얻기 위해 동일한 부피의 결막 항원 용액을 프로인트 완전 보조제(FCA)에 가하였다.
2. 실험방법
전술한 유중수 용액을 마우스 등의 피하 부위, 사지의 겨드랑이 림프절 및 발바닥의 여러 부위에 총 0.5mL로 주입했다. 구체적으로,
(1) 눈물막 파괴 시간(BUT):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하여 BALB/c 마우스의 하부 결막낭에 1μl를 적가한 후 세극등 현미경의 코발트블루광으로 각막을 관찰하며 각막의 녹색막에 검은색 영역이 나타나면 눈물막이 파열되었음을 의미한다. 3회 연속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정상 BUT는 10 내지 15초이고, 10초 미만은 비정상이며, 3회 측정을 반복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2) BALB/c 마우스의 눈물 분비 실험: Schirmer I 실험(Schirmer I test)을 사용하여 BALB/c 마우스의 눈물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즉, 안과용 집게를 사용하여 페놀레드 면실을 집고 BALB/c 마우스의 바깥 눈구석에 방치하며, 60초 후에 페놀레드 면실을 꺼내어 젖은 페놀레드 면실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3) 통계분석 방법 : 모든 데이터를 EXCEL에 입력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고, 각 그룹의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x ±S를 계산하며, 각 실험그룹 간의 비교에 앞서 그룹 간 분산분석(F-test)을 수행하고, 그룹 간 분산이 동질적인 경우에는 Student-T 검정(unpaired T test)을 사용하여 그룹 간 비교를 수행하고, 그룹 간의 분산이 균질하지 않은 경우 교정된 Student-T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참고: 블랭크 대조군 눈과 비교하여 #은 P<0.05, ##은 P<0.01을 의미하고,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는 P<0.05, ##는 P<0.01을 의미한다.
참고: 블랭크 대조군 눈과 비교하여 #은 P<0.05, ##은 P<0.01을 의미하고,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는 P<0.05, ##는 P<0.01을 의미한다.
표 6 및 표 7의 실험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성물 1은 마우스의 결막 건조증 증후군 모델에 대해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으며, 그 개선 효과는 주로 마우스 눈물 분비량 증가 및 눈물막 파괴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성물 2 내지 4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조성물 2 내지 4는 모두 마우스 결막 건조증 증후군 모델에 대해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으며, 또한 조성물 1의 효과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3: 자극성 실험
1. 점안액의 공급원:
프라노프로펜 점안액: 시판되고 있으며 제조사는 Senju Pharmaceutical Co., Ltd. Fukusaki Plant이다.
디클로페낙나트륨 점안액: 시판되고 있으며 제조사는 Zhengzhou Zhuofeng Pharmaceutical Co., Ltd.이다.
록소프로펜나트륨 점안액: 조성물 1은 0.22μm 미세다공성 필터막을 통해 여과하여 얻었다.
2. 실험조작: 각 군에서 안구건조증 환자 20명을 선정하고 3가지 안약을 무작위로 이중맹검하여 사용함으로써, 0.1% 농도의 프라노프로펜, 디클로페낙나트륨, 록소프로펜나트륨 점안액이 환자의 눈에 미치는 자극 증상을 비교하였다. 눈 자극 증상에는 작열감, 따끔거림 또는 눈물이 흐르는 등 증상이 포함된다. 통계 결과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예비통계 결과에 따르면, 디클로페낙나트륨 점안액 투여군의 40%에서 적어도 한 가지 눈 자극 증상이 나타났고, 프라노프로펜 점안액 투여군의 20%에서 적어도 한 가지 눈 자극 증상이 나타났고, 록소프로펜나트륨 점안액 투여군에서는 1명의 환자에서만 눈 자극 증상이 나타났으며 증상은 상대적으로 경미한 눈물을 흘리는 증상이였고, 다른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사용 후 눈이 편안해져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고 하며, 안구건조증이 있는 어린 환자에게도 더 적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2 내지 4를 검출하였고, 조성물 2 내지 4에 의해 제공되는 점안액의 자극이 모두 비교적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일반적인 설명,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시험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기초로 일부 수정 또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수정이나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이 청구하는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안구건조증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건조증은 눈물샘 기능 장애 또는 눈물 분비 감소, 눈물막 안정성 저하 및/또는 각막 상피 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눈물 분비 촉진, 눈물막 안정성 강화 및/또는 각막 상피 세포 손상 완화를 통해 안구건조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눈물샘 기능 장애 치료 또는 눈물 분비 촉진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
  5. 눈물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
  6. 각막 상피 세포 손상을 예방 및/또는 완화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 또는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록소프로펜나트륨 이외에, 증점제, 금속 이온 착화제, 삼투압 조절제, pH 조절제 및 정균제 중 하나 또는 복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히알루론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록사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되고; 및/또는,
    상기 금속 이온 착화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에서 선택되고; 및/또는
    상기 삼투압 조절제는 염화나트륨, 만니톨, 글루코스, 염화칼륨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되고; 및/또는,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염산,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붕산 및 붕사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되고; 및/또는,
    상기 정균제는 티오메르살, 4차 암모늄염계, 도미펜, 클로르헥시딘, 클로로부탄올, 니파긴계, 소르브산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록소프로펜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록소프로펜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록소프로펜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 염화나트륨 및 에틸파라벤 또는 염화벤잘코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하기 중량부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수용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서 록소프로펜나트륨의 농도가 0.05 내지 5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서 록소프로펜나트륨의 농도가 0.1 내지 2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용액제, 겔화제 또는 연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247004355A 2021-07-09 2022-07-08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용도 KR20240035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780762.8 2021-07-09
CN202110780762 2021-07-09
PCT/CN2022/104727 WO2023280319A1 (zh) 2021-07-09 2022-07-08 洛索洛芬钠在制备治疗干眼的药物中的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827A true KR20240035827A (ko) 2024-03-18

Family

ID=8480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355A KR20240035827A (ko) 2021-07-09 2022-07-08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8180A1 (ko)
KR (1) KR20240035827A (ko)
CN (1) CN117615756A (ko)
AU (1) AU2022305711A1 (ko)
WO (1) WO20232803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5801B2 (ja) * 2001-11-29 2008-11-05 東亜薬品株式会社 消炎鎮痛点眼剤
AU2007208054A1 (en) * 2006-01-25 2007-08-02 Aciex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ry eye
EP2160182A1 (en) * 2007-05-24 2010-03-10 Aciex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ry eye
KR102268536B1 (ko) * 2013-12-25 2021-06-23 가부시키가이샤 엘티티 바이오파마 드라이아이 치료용 점안제
CN106913518A (zh) * 2017-03-10 2017-07-04 广州奥博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前体型非甾体抗炎眼用凝胶及其制备方法
CN106880590A (zh) * 2017-03-10 2017-06-23 广州奥博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前体型非甾体抗炎滴眼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68180A1 (en) 2024-05-15
CN117615756A (zh) 2024-02-27
AU2022305711A1 (en) 2024-02-22
WO2023280319A1 (zh)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201B2 (en) Compositions and treatment for eye diseases and disorders
RU2700927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циклоспорин и трегалозу
CN104546670A (zh) 前列腺素F2α及类似物用于愈合角膜和结膜损害的用途
CA2780453A1 (en) Treating xerophthalmia with compounds increasing meibomian gland secretion
JP7418351B2 (ja) 眼科的薬学的組成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適用
JP6994061B2 (ja) 4-(7-ヒドロキシ-2-イソプロピル-4-オキソ-4h-キナゾリン-3-イル)-ベンゾニトリルの製剤
CN112823020A (zh) 用于治疗干眼病的眼用组合物
US20180221407A1 (en) Ophthalmic compositions for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uses
US10568833B2 (en) Two-layer separation-type eye drop containing squalane
JP4475802B2 (ja) 緑内障の局所治療用フルナリジンの使用法
JP2021533100A (ja) 眼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
KR20240035827A (ko)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록소프로펜나트륨의 용도
KR20160096376A (ko) 히알루론산, 미네랄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EP3682867B1 (en) Lutein-containing ophthalmic composition
TWI698250B (zh) 短鏈胜肽組合物於預防或治療乾眼症之應用
Wagh et al. Drug delivery and pharmacotherapy for dry eye disease
KR100938233B1 (ko) 프로스타글란딘계 점안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 방법
CN116407496B (zh) 一种包含青蒿素前体药物的滴眼液及其制备方法
KR20240032950A (ko) 록소프로펜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3048174A1 (ja) 角膜疾患治療剤
CN116270442A (zh) 一种用于矫正近距离视力的眼用制剂
CN112870216A (zh) 一种药物组合物及制剂和用途
JP2023518947A (ja) 機能性の改善を有する眼科用クロロプロカインゲル
CN113041264A (zh) 一种无菌蜂蜜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367829A (zh) 用于干眼的预防剂、改善剂和治疗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