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211A -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211A
KR20240031211A KR1020237026733A KR20237026733A KR20240031211A KR 20240031211 A KR20240031211 A KR 20240031211A KR 1020237026733 A KR1020237026733 A KR 1020237026733A KR 20237026733 A KR20237026733 A KR 20237026733A KR 20240031211 A KR20240031211 A KR 2024003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tate battery
meth
segment
slur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 오츠카
겐지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2/027177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286717A1/ja
Publication of KR2024003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사용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때에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화하거나, 대규모의 드라이 룸 등의 설비 투자를 실시하지 않아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 수지의 탈지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는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기 용매, 바인더 수지 및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A) 와,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및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세그먼트 (B) 를 함유하고, 세그먼트 (A) 와 세그먼트 (B) 의 합계가 70 중량% 이상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방전의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리튬 이온 전지에는 가연성의 유기 용매가 봉입되어 있어, 액누출이나 폭발 등의 사고가 다발하고 있는 점에서, 최근에는 무기계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리튬 이온 전지 (이하 「전고체 전지」라고도 한다) 가 검토되고 있다. 전고체 전지의 제조에서는, 무기 전해질과 바인더 수지를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슬러리 조성물을 도공 건조함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무기 분체 시트를 제작하고, 이들을 겹쳐서 전지를 형성하고, 소성함으로써 바인더 수지를 제거하는, 습식법이라고 불리는 공정이 이용된다. 바인더 수지는, 도공에 의해 두께를 제어하거나, 시트의 적층시에 필요하게 되는데, 적층체 중에 남은 상태에서는 전기 저항이 되어 전지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성에 의해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바인더 수지로는, 탈지성이 특히 우수한 아크릴 수지나, 무기 분체의 분산성이나 시트 강도가 우수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전고체 전지의 고성능화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전해질과 활물질 사이에서의 계면 저항이 문제가 되고 있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고저항 부위의 형성을 억제하는 저항층 형성 억제 코트층을 갖는 활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계면 저항 저감을 위해서, 알칼리성 화합물을 갖는 산화물 입자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중화 생성물을 갖는 산화물 입자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분산질로서 가넷형의 고체 전해질 입자와, 리튬 및 붕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입자가 분산매에 분산된 고체 전해질 슬러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66728호 일본 특허공보 제582545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5191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는,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활물질을 피복하기 때문에, 슬러리 조성물로 했을 때, 슬러리가 강알칼리성이 되어 버려, 바인더 수지가 겔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서는, 산화물 입자를 중화 생성물로 피복하는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도, 얻어지는 슬러리는 강알칼리성을 나타내고, 바인더 수지의 겔화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서는, 수분에 의한 리튬 및 붕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분산매인 유기 용매 중의 수분량을 0.007 질량% 이하로 저감하지 않으면 안 되어, 생산 설비 전체를 절건 상태로 관리할 필요가 있고, 생산 설비에 다대한 비용이 들게 된다는 문제가 있어, 보다 간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슬러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사용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때에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화하거나, 대규모의 드라이 룸 등의 설비 투자를 실시하지 않아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 수지의 탈지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는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 (1) 은, 유기 용매, 바인더 수지 및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A) 와,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및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세그먼트 (B) 를 함유하고, 세그먼트 (A) 와 세그먼트 (B) 의 합계가 70 중량% 이상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이다.
본 개시 (2) 는, 바인더 수지는, 세그먼트 (A) 를 20 ∼ 90 중량% 함유하는 본 개시 (1) 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이다.
본 개시 (3) 은, 바인더 수지는, 세그먼트 (B) 를 10 ∼ 80 중량% 함유하는 본 개시 (1) 또는 (2) 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이다.
본 개시 (4) 는, pH 가 11 이상인 본 개시 (1) ∼ (3) 중 어느 것과의 임의의 조합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이다.
본 개시 (5) 는, 무기 분체는 리튬을 포함하는 본 개시 (1) ∼ (4) 중 어느 것과의 임의의 조합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이다.
본 개시 (6) 은, 본 개시 (1) ∼ (5) 중 어느 것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무기 분체 시트를 얻는 공정, 상기 무기 분체 시트를 600 ℃ 이하에서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의 세그먼트를 갖는 바인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사용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때에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화하거나, 대규모의 드라이 룸 등의 설비 투자를 실시하지 않아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 수지의 탈지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바인더 수지>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A) 와,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및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세그먼트 (B) 를 함유하고, 세그먼트 (A) 와 세그먼트 (B) 의 합계가 70 중량% 이상이다.
상기 바인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사용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때에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화하거나, 대규모의 드라이 룸 등의 설비 투자를 실시하지 않아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 수지의 탈지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의 탄소수는, 3 이상이고,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하이고,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알칼리 조건하에서의 겔화를 더욱 억제하면서, 취급성이 양호한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A) 의 함유량은, 2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A) 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알칼리 조건하에서의 겔화를 더욱 억제하면서,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의 가소성과 저온 분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취급성이 양호한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호모폴리머의 Tg 는,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탄소수 5 ∼ 20 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탄소수 5 ∼ 2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5 ∼ 20 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5 ∼ 2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5 이상이며,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20 이하이고,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8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다고리형의 탄화수소기여도 되고, 단고리형의 탄화수소기여도 되지만, 단고리형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여도 되고, 지환식 탄화수소기여도 되지만, 지환식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량은, 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알칼리 조건하에서의 겔화를 더욱 억제하면서,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의 강도와 저온 분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취급성이 양호한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호모폴리머의 Tg 는,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은, 상기 탄소수 5 ∼ 2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는 상이한 것이다.
상기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 m- 혹은 p-메틸스티렌, 비닐자일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호모폴리머의 Tg 는,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는, 방향족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이 축합된 방향족 에스테르 단위여도 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o-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아젤라산, 옥틸숙신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데카메틸렌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2,2-디메틸프로판-1,3-디올), 1,2-헥산디올, 2,5-헥산디올, 2-메틸-2,4-펜탄디올, 3-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카르복실산이 테레프탈산, 디올이 에틸렌글리콜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에스테르 단위에 의해 구성되는 폴리머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에스테르 단위에 의해 구성되는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호모폴리머의 Tg 는,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량은, 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및 상기 방향족기를 갖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세그먼트 (B) 의 함유량은, 상기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및 상기 방향족기를 갖는 세그먼트의 합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상기 세그먼트 (B) 의 함유량은, 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세그먼트 (B) 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의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취급성이 양호한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세그먼트 (A) 및 상기 세그먼트 (B) 의 합계 함유량은, 70 중량% 이상이다.
상기 합계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임으로써,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사용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때에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화하거나, 대규모의 드라이 룸 등의 설비 투자를 실시하지 않아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 수지의 탈지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다.
상기 합계 함유량은, 7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고, 95 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통상 100 중량% 이하이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세그먼트 (A) 의 함유량과 상기 세그먼트 (B) 의 함유량의 비 (세그먼트 (A) 의 함유량/세그먼트 (B) 의 함유량) 는, 0.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세그먼트 (A) 의 함유량과 상기 세그먼트 (B) 의 함유량의 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의 인성과 저온 분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취급성이 양호한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상기 세그먼트 (A), 상기 세그먼트 (B) 외에, 직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탄소수 21 이상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탄소수 3 ∼ 4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탄소수 21 이상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극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다른 세그먼트 (C) 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저온 소결성 및 알칼리 조건하에서의 겔화 억제의 관점에서, 글리시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1 이상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이소헨이코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3 ∼ 4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시클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1 이상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시클로헨이코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극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극성기로서,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등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세그먼트 (C) 의 함유량은,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5 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 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ISO-1133 에 의한 멜트 플로 인덱스 (MFR 값) 가 10 g/10 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FR 값은, 바람직하게는 8 g/10 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g/10 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g/10 분 이하이며,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 g/10 분 이상이다.
상기 MFR 값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의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취급성이 우수함과 함께, 보다 얇은 무기 분체 시트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이 10 만, 바람직한 상한은 300 만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 만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은 충분한 점도를 갖는 것이 되고,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을 300 만 이하로 함으로써, 인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 만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0 만이다.
특히, 상기 바인더 수지의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 만 ∼ 150 만이면, 후술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수지로 충분한 점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예사성이 적은 슬러리 조성물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이 3.3 만, 보다 바람직한 하한이 8.0 만, 바람직한 상한이 45 만, 보다 바람직한 상한이 35 만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과 수 평균 분자량 (Mn) 의 비 (Mw/Mn) 가 2 이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저중합도의 성분이 적당히 함유되기 때문에,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가 바람직한 범위가 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의 시트 강도를 적당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w/Mn 이 2 미만이면 도공시의 레벨링성이 나쁘고, 무기 분체 시트의 평활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Mw/Mn 이 8 보다도 크면, 고분자량 성분이 많아지기 때문에, 무기 분체 시트의 건조성이 나쁘고, 표면 평활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Mw/Mn 은 3 이상 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 수 평균 분자량은, 칼럼으로서 예를 들어 칼럼 LF-804 (쇼와 전공사 제조) 를 사용하여 GPC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05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가소제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어, 상기 바인더 수지가 갖는 저온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Tg 는,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은, 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3 ∼ 1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 혼합물을 유기 용매 등에 첨가하여 모노머 혼합액을 조정한다. 또한, 얻어진 모노머 혼합액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상기 원료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계면 중합, 용액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록시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록시퍼옥사이드, 과산화시클로헥사논, 디숙신산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퍼멘타 H, 퍼쿠밀 P, 퍼옥타 H, 퍼쿠밀 H-80, 퍼부틸 H-69, 퍼헥사 H, 퍼로일 SA (모두 니치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가수분해성이 15 % 이하인 바인더 수지가 제공된다. 상기 가수분해성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예를 들어 0 % 이상이다. 상기 가수분해성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겔화 억제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겔화를 억제함으로써,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높은 전지 성능을 갖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성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바인더 수지를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켜 수지 고형물 15 중량% 의 용액을 얻은 후, 이 용액을 세로 50 mm, 가로 50 mm 의 PET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한다. 다음으로, 100 ℃ 에서 5 분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PET 이형 필름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세로 50 mm, 가로 50 mm, 두께 50 ㎛ 의 필름상의 바인더 수지를 얻는다. 이 필름상의 바인더 수지를 0.1 몰/L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 g 에 80 ℃ 에서 1 주간 침지하고, 그 후, 핵자기 공명 (NMR) 측정을 실시하고, 가수분해로 생성된 알코올량의 정량을 실시하고, 하기 식 (1) 을 사용하여 가수분해성을 구할 수 있다.
가수분해성 (%) = (A1/A2)×100 (1)
식 (1) 중, A1 은 생성된 알코올의 몰수, A2 는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환산 몰수를 나타낸다.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환산 몰수는, 하기 식 (2) 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환산 몰수 = Σ(B×ri/Mi) (2)
식 (2) 중, B 는 시험편의 바인더 수지의 중량을 나타내고, ri 는 바인더 수지 중의 모노머 i 성분의 배합률을 나타내며, Mi 는 i 성분의 모노머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상기 가수분해성이 15 % 이하인 바인더 수지는, 예를 들어 상기한, 세그먼트 (A) 와 세그먼트 (B) 를 함유하고, 세그먼트 (A) 와 세그먼트 (B) 의 합계가 70 중량% 이상인 바인더 수지 (특히 (메트)아크릴 수지) 여도 되고, 그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유기 용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함유한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계 화합물,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식 탄화수소 및 아세트산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용매를 함유함으로써, 무기 분체 시트를 제작할 때에, 도공성, 건조성, 무기 분체의 분산성 등이 우수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메틸벤질자일렌, 1,4-디메틸-2-(1-페닐에틸)벤젠, 에틸벤젠 등의 알킬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페놀, 벤질알코올, 크레졸 등의 방향족 알코올, 아세토페논 등의 방향족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헥산, n-헵탄, 이소펜탄, n-옥탄, n-노난, n-데칸 등 외에, 노르말파라핀, 이소파라핀, α-올레핀, 이소부틸렌 유도체 등의 올레핀계 용제를 들 수 있다. 방향족계 화합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 및 방향족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리모넨, 디펜텐, 테르피넨, 네솔, 시넨, 오렌지 플레이버, 테르피놀렌, 펠란드렌, 멘타디엔, 테레벤, 디하이드로사이멘, 모슬렌, 이소테르피넨, 크리스멘, 카우트신, 카제프텐, 에울리멘, 피넨, 테레빈, 멘탄, 피난, 테르펜,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알킬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트산에스테르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헥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톨루엔, 자일렌,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헥실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용매의 비점은,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4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90 ℃ 이하이다.
상기 비점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증발이 지나치게 빨라지지 않아, 취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점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무기 분체 시트에 대한 유기 용매의 잔류를 줄일 수 있어, 시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유기 용매의 함유량은,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도공성,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기 분체>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은, 무기 분체를 함유한다.
상기 무기 분체는, 알칼리 금속을 함유한다.
상기 무기 분체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지의 특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은,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프랑슘이며, 리튬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무기 분체로는, 예를 들어, Li2S-P2S5 계 재료, Li2S-GeS2 계 재료, Li2S-GeS2-P2S5 계 재료, Li2S-SiS2 계 재료, Li2S-B2S3 계 재료, Li3PO4-P2S5 계 재료 등의 황화물 재료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황화물 재료에 할로겐화리튬을 첨가한 재료 (예, LiI-Li2S-P2S5, LiCl-LiI-Li2S-P2S5, LiBr-LiI-Li2S-P2S5, LiI-Li2S-SiS2, LiI-Li2S-B2S3 등) 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Li2S-P2S5 계 재료의 황화물계 무기 분체는 고가의 희토류를 포함하지 않고,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용량이 큰 전지를 설계하기 위해서 Li 를 함유하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활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Li 7La3Zr2O12 등의 리튬란탄지르코늄 함유 복합 산화물 (LLZ 계), Al 도프-LLZO, 리튬란탄티탄 함유 복합 산화물 (LLT 계), Al 도프-LLT 계, 인산리튬계 등의 복합 산화물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코발트산리튬, 니켈산리튬,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 리튬-망간-니켈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분체는, 리튬 금속 화합물로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코팅에 사용하는 리튬 금속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리튬니오브산, 리튬티탄산, 리튬규산, 리튬붕규산, 리튬붕산, 리튬인산, 리튬아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무기 분체의 함유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이 10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이 20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이 3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이 9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이 80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이 7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한 상한이 60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이 50 중량% 이다.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점도를 갖고, 우수한 도공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무기 분체의 분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은,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는,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 아실기를 3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디(부톡시에틸), 아디프산디부톡시에톡시에틸,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프탈산디-2-에틸헥실, 프탈산부틸화벤질, 프탈산디이소데실, 트리에틸렌글리콜디부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헥사노에이트, 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아세틸시트르산디에틸, 아세틸시트르산디부틸, 세바크산디부틸, 트리아세틴, 아세틸옥시말론산디에틸, 에톡시말론산디에틸, 트리프로피오닌,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프탈산부틸화벤질, 프탈산디이소데실, 프탈산디-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트리프로피오닌, 트리아세틴, 펜타에리트리톨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의 비점은 240 ℃ 이상 39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점을 240 ℃ 이상으로 함으로써, 건조 공정에서 증발하기 쉬워져, 성형체로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390 ℃ 미만으로 함으로써, 잔류 탄소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점은, 상압에서의 비점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1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가소제의 소성 잔류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은, 추가로 유기 과산화물 등의 소결 보조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는, 1,1,3,3-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2,3-디메틸-2,3-디페닐부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10 시간 반감기 온도가 1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은, 추가로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HLB 값이 10 이상 20 이하의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HLB 값이란, 계면 활성제의 친수성, 친유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계산 방법이 몇 가지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면, 에스테르계의 계면 활성제에 대하여, 비누화값을 S, 계면 활성제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산가를 A 로 하고, HLB 값을 20 (1-S/A) 등의 정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사슬에 알킬렌에테르를 부가시킨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갖는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는, 열분해성이 양호하지만, 대량으로 첨가하면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의 열분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의 pH 는 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pH 가 11 이상이면, 얻어지는 전지의 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pH 는, 예를 들어, pH 시험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 에 있어서 B 형 점도계를 사용하고 프로브 회전수를 5 rpm 으로 설정하여 측정한 경우의 점도의 바람직한 하한이 0.1 Pa·s, 바람직한 상한이 100 Pa·s 이다.
상기 점도를 0.1 Pa·s 이상으로 함으로써, 다이 코트 인쇄법 등에 의해 도공한 후,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점도를 100 Pa·s 이하로 함으로써, 다이의 도출흔 (塗出痕) 이 사라지지 않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인쇄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작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교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 수지, 상기 무기 분체, 상기 유기 용매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가소제 등의 다른 성분을 3 개 롤, 고속 교반기 등으로 교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편면 이형 처리를 실시한 지지 필름 상에 도공하고, 유기 용매를 건조시켜, 시트상으로 성형함으로써, 무기 분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분체 시트는, 두께가 1 ∼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분체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롤 코터, 다이 코터, 스퀴즈 코터, 커튼 코터 등의 도공 방식에 의해 지지 필름 상에 균일하게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분체 시트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지지 필름은,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가짐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필름이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롤 코터, 블레이드 코터 등에 의해 지지 필름의 표면에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고, 얻어지는 무기 분체 시트 형성 필름을 롤상으로 권회한 상태로 보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플로로에틸렌 등의 함불소 수지, 나일론,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 100 ㎛ 가 바람직하다.
또, 지지 필름의 표면에는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전사 공정에 있어서, 지지 필름의 박리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공 건조함으로써 무기 분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분체 시트를 소성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무기 분체 시트를, 유전체 그린 시트, 전극 페이스트에 사용함으로써 적층 세라믹스 콘덴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전고체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전극 활물질 및 전극 활물질층용 바인더를 함유하는 전극 활물질층용 슬러리를 성형하여 전극 활물질 시트를 제작하는 공정, 상기 전극 활물질 시트와 상기 무기 분체 시트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 및, 상기 적층체를 소성하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전극 활물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리 분말, 세라믹 분말, 형광체 미립자, 규소 산화물 등, 금속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리 분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산화비스무트 유리, 규산염 유리, 납 유리, 아연 유리, 보론 유리 등의 유리 분말이나, CaO-Al2O3-SiO2 계, MgO-Al2O3-SiO2 계, LiO2-Al2O3-SiO2 계 등의 각종 규소 산화물의 유리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유리 분말로서, SnO-B2O3-P2O5-Al2O3 혼합물, PbO-B2O3-SiO2 혼합물, BaO-ZnO-B2O3-SiO2 혼합물, ZnO-Bi2O3-B2O3-SiO2 혼합물, Bi2O3-B2O3-BaO-CuO 혼합물, Bi2O3-ZnO-B2O3-Al2O3-SrO 혼합물, ZnO-Bi2O3-B2O3 혼합물, Bi2O3-SiO2 혼합물, P2O5-Na2O-CaO-BaO-Al2O3-B2O3 혼합물, P2O5-SnO 혼합물, P2O5-SnO-B2O3 혼합물, P2O5-SnO-SiO2 혼합물, CuO-P2O5-RO 혼합물, SiO2-B2O3-ZnO-Na2O-Li2O-NaF-V2O5 혼합물, P2O5-ZnO-SnO-R2O-RO 혼합물, B2O3-SiO2-ZnO 혼합물, B2O3-SiO2-Al2O3-ZrO2 혼합물, SiO2-B2O3-ZnO-R2O-RO 혼합물, SiO2-B2O3-Al2O3-RO-R2O 혼합물, SrO-ZnO-P2O5 혼합물, SrO-ZnO-P2O5 혼합물, BaO-ZnO-B2O3-SiO2 혼합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 은, Zn, Ba, Ca, Mg, Sr, Sn, Ni, Fe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다.
특히, PbO-B2O3-SiO2 혼합물의 유리 분말이나, 납을 함유하지 않는 BaO-ZnO-B2O3-SiO2 혼합물 또는 ZnO-Bi2O3-B2O3-SiO2 혼합물 등의 무연 (無鉛) 유리 분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 페라이트, 지르코니아, 지르콘, 지르콘산바륨, 지르콘산칼슘, 산화티탄,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칼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아연, 티탄산란탄, 티탄산네오듐, 티탄산지르콘납, 질화알루미나, 질화규소, 질화붕소, 탄화붕소, 주석산바륨, 주석산칼슘, 규산마그네슘, 멀라이트, 스테아타이트, 코디어라이트, 포스테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ITO, FTO, 산화니오브, 산화바나듐, 산화텅스텐, 란탄스트론튬망가나이트, 란탄스트론튬코발트페라이트,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가돌리늄도프세리아, 산화니켈, 란탄크로마이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미립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형광체 물질로는, 디스플레이용 형광체 물질로서 종래 알려져 있는 청색 형광체 물질, 적색 형광체 물질, 녹색 형광체 물질 등이 사용된다. 청색 형광체 물질로는, 예를 들어, MgAl10O17 : Eu, Y2SiO5 : Ce 계, CaWO4 : Pb 계, BaMgAl14O23 : Eu 계, BaMgAl16O27 : Eu 계, BaMg2Al14O23 : Eu 계, BaMg2Al14O27 : Eu 계, ZnS : (Ag, Cd) 계의 것이 사용된다. 적색 형광체 물질로는, 예를 들어, Y2O3 : Eu 계, Y2SiO5 : Eu 계, Y3Al5O12 : Eu 계, Zn3(PO4)2 : Mn 계, YBO3 : Eu 계, (Y, Gd)BO3 : Eu 계, GdBO3 : Eu 계, ScBO3 : Eu 계, LuBO3 : Eu 계의 것이 사용된다. 녹색 형광체 물질로는, 예를 들어, Zn2SiO4 : Mn 계, BaAl12O19 : Mn 계, SrAl13O19 : Mn 계, CaAl12O19 : Mn 계, YBO3 : Tb 계, BaMgAl14O23 : Mn 계, LuBO3 : Tb 계, GdBO3 : Tb 계, ScBO3 : Tb 계, Sr6Si3O3Cl4 : Eu 계의 것이 사용된다. 그 외, ZnO : Zn 계, ZnS : (Cu, Al) 계, ZnS : Ag 계, Y2O2S : Eu 계, ZnS : Zn 계, (Y, Cd)BO3 : Eu 계, BaMgAl12O23 : Eu 계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미립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리, 니켈, 팔라듐, 백금, 금, 은, 알루미늄, 텅스텐이나 이들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등과의 흡착 특성이 양호하고 산화되기 쉬운 구리나 철 등의 금속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 분말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금속 착물 외에, 다양한 카본 블랙, 카본 나노 튜브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전극 활물질은, 리튬 또는 티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LiO2·Al2O3·SiO2 계 무기 유리 등의 저융점 유리, Li2S-MxSy (M = B, Si, Ge, P) 등의 리튬황계 유리, LiCoO2 등의 리튬코발트 복합 산화물, LiMnO4 등의 리튬망간 복합 산화물, 리튬니켈 복합 산화물, 리튬바나듐 복합 산화물, 리튬지르코늄 복합 산화물, 리튬하프늄 복합 산화물, 규인산리튬 (Li3.5Si0.5P0.5O4), 인산티탄리튬(LiTi2(PO4)3), 티탄산리튬 (Li4Ti5O12), Li4/3Ti5/3O4, 인산게르마늄리튬 (LiGe2(PO4)3), Li2-SiS 계 유리, Li4GeS4-Li3PS4 계 유리, LiSiO3, LiMn2O4, Li2S-P2S5 계 유리·세라믹스, Li2O-SiO2, Li2O-V2O5-SiO2, LiS-SiS2-Li4SiO4 계 유리, LiPON 등의 이온 도전성 산화물, Li2O-P2O5-B2O3, Li2O-GeO2Ba 등의 산화리튬 화합물, LixAlyTiz(PO4)3 계 유리, LaxLiyTiOz 계 유리, LixGeyPzO4 계 유리, Li7La3Zr2O12 계 유리, LivSiwPxSyClz 계 유리, LiNbO3 등의 리튬니오브 산화물, Li-β-알루미나 등의 리튬알루미나 화합물, Li14Zn(GeO4)4 등의 리튬아연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극 활물질층용 바인더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외에, (메트)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활물질 시트와 상기 무기 분체 시트를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각각 시트화한 후, 열 프레스에 의한 열 압착, 열 라미네이트 등을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온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50 ℃, 바람직한 상한은 600 ℃ 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전고체 전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고체 전지로는,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층,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층, 및 정극층과 부극층 사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무기 분체 시트를 얻는 공정, 상기 무기 분체 시트를 600 ℃ 이하에서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적층 세라믹스 콘덴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무기 분체 시트에 도전 페이스트를 인쇄, 건조하여, 유전체 시트를 제작하는 공정, 및, 상기 유전체 시트를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 페이스트는, 도전 분말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도전 분말의 재질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니켈, 팔라듐, 백금, 금, 은, 구리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도전 분말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도전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 다이 코트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어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층 세라믹스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도전 페이스트를 인쇄한 유전체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적층 세라믹스 콘덴서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사용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때에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화하거나, 대규모의 드라이 룸 등의 설비 투자를 실시하지 않아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 수지의 탈지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는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냉각관, 온도 조정 가능한 유조, 질소 도입관, 교반 날개를 설치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이 되도록 조정한 원료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와, 유기 용매로서 톨루엔 10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유조를 80 ℃ 로 설정하고, 중합 개시제로서 퍼로일 L (니치유사 제조) 2.5 중량부를 첨가하여 원료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시켰다. 건조법을 이용하여 수지 고형분을 평가한 결과, 모노머가 거의 100 % 중합되어 폴리머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톨루엔을 600 중량부 추가하여 희석한 후, 감압 펌프, 용매 트랩을 세트하고, 감압 펌프로 1 시간 처리하여, 미량으로 포함되는 미반응 모노머나 수분을 함유한 톨루엔을 회수하여, 수지 고형분이 15 중량% 인 수지 용액을 얻었다. 또한, 수지 고형분은 건조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고속 교반기용 폴리 용기에, 수지 고형분이 4 중량부가 되도록 수지 용액을 칭량하여 취하고, 표 1 의 배합이 되도록 유기 용매를 추가하고,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PL-1) 1 중량부를 첨가하고, 밀폐 상태의 용기를 고속 회전시켜, 수지 용액을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또한, 도전성 무기 분체로서 Li7La3Zr2O12 (토시마 제작소사 제조 LLZ) 를 40 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용기를 밀폐 상태에서 고속 회전시켜 무기 분체를 분산시켜,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 20, 비교예 1 ∼ 4)
중합 개시제의 첨가량, 원료 모노머 혼합물의 배합을 표 1 과 같이 하고, 유기 용매, 가소제의 종류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 20, 비교예 1 ∼ 4 에 있어서, 원료 모노머, 가소제, 무기 분체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원료 모노머>
(A)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
tBMA :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4)
2EHMA :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8)
iNMA : 이소노닐메타크릴레이트 (9)
iDMA : 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10)
iSMA : 이소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18)
(B)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고리형 탄화수소기의 탄소수) 또는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
St : 스티렌
iBoMA :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10)
BBZMA : 벤질메타크릴레이트 (7)
CHMA :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6)
(C) 다른 모노머
nBMA : 부틸메타크릴레이트
MM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GMA :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가소제)
PL-1 :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PL-2 : 프탈산부틸화벤질
PL-3 : 아디핀산디이소노닐
PL-4 : 프탈산디이소데실
PL-5 : 트리프로피오닌
PL-6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세테이트
PL-7 : 아디핀산디이소데실
PL-8 : 프탈산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PL-9 : 트리아세틴
<무기 분체>
LLZ : Li7La3Zr2O12 (토시마 제작소사 제조)
LLT : 리튬란탄티탄 함유 복합 산화물 (토호 티타늄사 제조)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바인더 수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슬러리 조성물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었다.
(1) 유리 전이 온도 (Tg)
얻어진 바인더 수지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하여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50 mL/분 유량의 질소 분위기하, 승온 속도 5 ℃/min 으로 -150 ℃ 에서 150 ℃ 까지 온도를 평가하였다.
(2) 중량 평균 분자량 (Mw), 수 평균 분자량 (Mn), Mw/Mn
얻어진 바인더 수지에 대해, 칼럼으로서 LF-804 (SHOKO 사 제조) 를 사용하여,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수 평균 분자량 (Mn) 을 측정하였다.
(3) 가수분해성
상기 서술한 수지 용액 (수지 고형분 : 15 중량%) 을 세로 50 mm, 가로 50 mm 의 PET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에, 100 ℃ 에서 5 분간 건조한 후, PET 이형 필름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세로 50 mm, 가로 50 mm, 두께 50 ㎛ 의 필름상의 바인더 수지를 얻었다. 이 필름상의 바인더 수지를 0.1 몰/L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성 10 g 에 80 ℃ 에서 1 주간 침지하고, 그 후, 핵자기 공명 (NMR) 측정을 실시하고, 가수분해로 생성된 알코올량의 정량을 실시하고, 하기 식 (1) 을 사용하여 가수분해성을 구하였다.
가수분해성 (%) = (A1/A2)×100 (1)
식 (1) 중, A1 은 생성된 알코올의 몰수, A2 는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환산 몰수를 나타낸다.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환산 몰수는, 하기 식 (2) 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환산 몰수 = Σ(B×ri/Mi) (2)
식 (2) 중, B 는 시험편의 바인더 수지의 중량을 나타내고, ri 는 바인더 수지 중의 모노머 i 성분의 배합률을 나타내며, Mi 는 i 성분의 모노머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4) 슬러리 조성물의 pH
얻어진 슬러리 조성물을 스포이트로 pH 시험지 (어드밴텍사 제조) 에 도포하고, 변색도로부터 슬러리 조성물의 pH 를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pH 가 낮은 경우, 슬러리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의 양이 적어, 얻어지는 전지 성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A : pH 11 이상으로, 슬러리 조성물이 강알칼리성이었다.
B : pH 11 미만으로, 슬러리 조성물이 강알칼리성은 아니었다.
(5) 슬러리 조성물의 겔화
얻어진 슬러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속 교반기용 폴리 용기를 이슬점 온도 -30 ℃ 로 조정한 실내에서 개봉하여, 스패출러로 휘저어, 슬러리의 겔화 상태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겔화를 억제함으로써,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높은 전지 성능을 갖는 전고체 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A : 슬러리는 유동성을 가져, 응고물 등이 보이지 않는다.
B : 슬러리는 유동성을 갖고 있었지만, 1 시간 이상 2 시간 이내에 응고되었다.
C : 슬러리는 유동성을 갖고 있었지만, 1 시간 이내에 응고되었다.
D : 슬러리는 용기를 연 시점에서 겔화되었다.
(6) 슬러리 조성물의 인쇄성
「(5) 슬러리 조성물의 겔화」에 있어서 유동성을 나타낸 슬러리 조성물에 대해서, 이슬점 -30 ℃ 의 드라이 룸 내에서 유리판 상에 고정한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도공하고, 120 ℃ 로 설정한 송풍 오븐에서 30 분간 건조시켜 무기 분체 시트를 제작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인쇄성이 우수한 경우, 균일한 시트를 제작할 수 있어, 고성능의 전고체 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A : 도공면이 평활하고 치밀한 시트를 제작할 수 있었다.
B : 끊김이나 뭉침, 번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보였다.
C : 유동성을 나타내지 않아 인쇄할 수 없었다. 또는, 유동성이 나빠 두께가 일정한 도공을 할 수 없었다.
(7) 무기 분체 시트의 취급성
「(6) 슬러리 조성물의 인쇄성」에서 얻어진 무기 분체 시트로부터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를 벗겨내고, 핀셋으로 무기 분체 시트를 소성용 세라믹판에 올려놓고, 시트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취급성이 우수한 경우, 전극을 제작하기 쉬워져, 전지를 제작하기 쉽다고 할 수 있다.
A : 시험편에 균열, 금이 보이지 않는다.
B : 시험편에 극히 약간의 균열, 금이 보였다.
C : 시험편에 균열, 금이 보였다.
D : 시험편이 산산이 균열되었다.
(8) 무기 분체 시트의 소결성
「(7) 무기 분체 시트의 취급성」에 있어서, 세라믹판 상에 올려놓은 상태의 무기 분체 시트를 전기로에서 소성하였다. 소성 조건은, 600 ℃ 에서 30 분간 탈지 후, 1000 ℃ 에서 5 시간 유지하여 소성을 실시하였다. 소성 후의 시트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소결성이 높은 경우, 균일하고 불순물이 적은 시트를 제작할 수 있어, 보다 고성능의 전고체 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A : 보이드나 소성 잔사 (그을음) 가 없고, 치밀한 무기분 소결체가 얻어졌다.
B : 일부에 소성 잔사 (그을음) 가 보였다.
C : 보이드나 소성 잔사 (그을음) 에 의한 공극이 곳곳에 보였다.
(9) 인장 시험
얻어진 바인더 수지를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도공하고, 100 ℃ 송풍 오븐에서 10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20 ㎛ 의 수지 시트를 제작하였다. 모눈종이를 커버 필름으로서 사용하여, 가위로 폭 1 cm 의 단책상 (短冊狀) 의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 23 ℃, 50 RH 조건하에서 오토그래프 AG-IS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를 사용하여 척간 거리 3 cm, 인장 속도 10 mm/분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는, 응력-변형 특성 (최대 응력, 파단 신도) 을 확인하였다.
(10) TGDTA
얻어진 슬러리 조성물을 TG-DTA 의 플라티나 팬에 채우고, 30 ℃ 로부터 5 ℃/분으로 승온하여, 용제를 증발, 수지, 가소제를 열분해시켰다. 그 후, 무기 분체를 제외한 중량 중 90 중량% 가 감소한 시간을 측정하여, 분해 종료 시간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사용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때에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화하거나, 대규모의 드라이 룸 등의 설비 투자를 실시하지 않아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 수지의 탈지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는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유기 용매, 바인더 수지 및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분체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 3 ∼ 20 의 분기사슬형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A) 와,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 및 방향족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세그먼트 (B) 를 함유하고,
    세그먼트 (A) 와 세그먼트 (B) 의 합계가 70 중량% 이상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는, 세그먼트 (A) 를 20 ∼ 90 중량% 함유하는,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는, 세그먼트 (B) 를 10 ∼ 80 중량% 함유하는,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가 11 이상인,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분체는 리튬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무기 분체 시트를 얻는 공정, 상기 무기 분체 시트를 600 ℃ 이하에서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237026733A 2021-07-14 2022-07-11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KR20240031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16463 2021-07-14
JPJP-P-2021-116463 2021-07-14
PCT/JP2022/027177 WO2023286717A1 (ja) 2021-07-14 2022-07-11 全固体電池製造用スラリー組成物及び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11A true KR20240031211A (ko) 2024-03-07

Family

ID=8468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733A KR20240031211A (ko) 2021-07-14 2022-07-11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97752B1 (ko)
KR (1) KR20240031211A (ko)
CN (1) CN1169648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25935B (zh) * 2023-07-04 2024-01-12 深圳市贝特瑞新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聚合物电解质预聚液、聚合物电解质及电化学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455B1 (ko) 1971-07-08 1983-05-27 Siemens Ag
JP2009266728A (ja) 2008-04-28 2009-11-12 Toyota Motor Corp 抵抗層形成抑制コート層被覆正極活物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
JP2021051912A (ja) 2019-09-25 2021-04-01 株式会社デンソー 固体電解質スラリーと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743B2 (ja) * 2006-11-13 2013-03-06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電解質保持板形成用スラリー組成物、電解質保持板形成用グリーンシート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3149630A (ja) * 2013-05-07 2013-08-01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溶融炭酸塩形燃料電池の繊維強化電解質板の製造方法
JP6861942B2 (ja) * 2015-08-10 2021-04-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固体電解質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ナトリウムイオン全固体二次電池
KR102229238B1 (ko) * 2017-06-23 2021-03-1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무기 미립자 분산 슬러리 조성물, 무기 미립자 분산 시트,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적층 세라믹스 콘덴서의 제조 방법
WO2020203042A1 (ja) * 2019-03-29 2020-10-08 Jsr株式会社 全固体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全固体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全固体二次電池用スラリー、全固体二次電池用固体電解質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全固体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64996A (ko) * 2019-10-18 2022-05-19 가부시키가이샤 에네오스 마테리아루 그린 시트 성형용 바인더 조성물, 그린 시트 성형용 슬러리, 그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455B1 (ko) 1971-07-08 1983-05-27 Siemens Ag
JP2009266728A (ja) 2008-04-28 2009-11-12 Toyota Motor Corp 抵抗層形成抑制コート層被覆正極活物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
JP2021051912A (ja) 2019-09-25 2021-04-01 株式会社デンソー 固体電解質スラリーと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64807A (zh) 2023-10-27
JP7197752B1 (ja) 2022-12-27
JPWO2023286717A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6991B2 (ja) 樹脂組成物、無機微粒子分散スラリー組成物、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及び積層セラミクス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6438538B2 (ja) 無機微粒子分散ペースト組成物、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及び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219154B1 (ko) 전극용 바인더, 전극용 조성물 및 전극 시트
KR20240031211A (ko) 전고체 전지 제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CN114555745B (zh) 生片成型用粘结剂组合物、生片成型用浆料、生片和其制造方法,以及设备和其制造方法
WO2023286717A1 (ja) 全固体電池製造用スラリー組成物及び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JP7329037B2 (ja) 焼結用樹脂組成物、無機微粒子分散スラリー組成物、及び、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
KR20240022439A (ko) (메트)아크릴 수지 조성물, 무기 미립자 분산 슬러리조성물 및 무기 미립자 분산 성형물
JP2023008201A (ja) 固体電池製造用スラリー組成物及び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JP7246420B2 (ja) (メタ)アクリル樹脂組成物、無機微粒子分散用ビヒクル組成物、無機微粒子分散スラリー組成物、及び、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
JP2021042370A (ja) 無機微粒子分散スラリー組成物、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及び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4048303A1 (ja) (メタ)アクリル樹脂粒子、ビヒクル組成物、スラリー組成物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2107176A (ja) 無機微粒子分散ペースト
JP3743588B2 (ja) 誘電体材料成形用バインダー
CN118076696A (zh) 无机微粒分散用载体组合物、无机微粒分散用载体组合物的制造方法、无机微粒分散浆料组合物和电子部件的制造方法
JP2023039156A (ja) 無機微粒子分散スラリー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無機微粒子分散シート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