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457A -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457A
KR20240027457A KR1020220105690A KR20220105690A KR20240027457A KR 20240027457 A KR20240027457 A KR 20240027457A KR 1020220105690 A KR1020220105690 A KR 1020220105690A KR 20220105690 A KR20220105690 A KR 20220105690A KR 20240027457 A KR20240027457 A KR 2024002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sill
inner panel
coupled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학
이재승
전국현
전찬웅
한상경
이해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457A/ko
Priority to US18/158,260 priority patent/US20240066960A1/en
Publication of KR2024002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3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E05D15/3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05D15/3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with wings opening parallel to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60J5/0479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without B-pillar or releasable B-pillar, i.e. the pillar is moving with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5Swinging or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2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loor or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 개방부를 구성하는 패널이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상의 설치홈이 형성된 이너패널; 이너패널의 설치홈에 배치된 구동장치; 및 회전축을 통해 차체에 설치되며, 일단은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도어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장치의 구동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개폐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DOOR SWITCH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기구와 차량의 도어가 연결되어 개폐되는 차량의 도어 개폐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업계에서는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신개념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중의 하나가 목적 기반 모빌리티로서의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이다.
PBV 차량은 지상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탑승객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친환경 이동 솔루션으로, 전기 차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해 상황 별 최적 경로 설정 및 군집주행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BV 차량은 넓은 실내 공간을 지닌 박스형 디자인 차량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윈드실드 글라스를 차체의 최전방에 구성하고, 실내측 출입구를 종래의 차량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차체의 측면에 형성하고 도어가 장착되었다.
이때 종래의 차량보다 크게 형성된 차체의 출입구 개방을 위해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스윙 도어 또는 슬라이딩 도어가 아닌 4절링크의 회전을 통해 개폐되는 도어가 적용되며, 이러한 4절링크가 적용된 도어를 차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차체의 구조가 요구되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2-008689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도어가 링크기구의 회전을 통해 개폐되며, 링크기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차량의 실내 측에 배치시키기 위한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 개방부를 구성하는 패널이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상의 설치홈이 형성된 이너패널; 이너패널의 설치홈에 배치된 구동장치; 및 회전축을 통해 차체에 설치되며, 일단은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도어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장치의 구동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개폐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기구는 일단이 차량의 플로어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설치홈은 이너패널의 하단에 형성되어 구동장치가 이너패널의 하단에 결합되고, 구동장치와 링크기구을 연결시키는 연결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로어의 측면에 결합되고,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되어 플로어의 하부에 배치된 링크기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사이드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실에는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1만입부가 형성된 사이드실이너; 사이드실이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포함된 사이드실아우터; 및 링크기구 하부에서 이너사이드실의 제1만입부와 아우터사이드실의 연장부를 연결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센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너패널의 설치홈은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구동장치가 사이드실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사이드실아우터의 연장부는 상부가 이너패널부의 하부와 외측으로 중첩됨으로써 이너패널과 연장부가 오프닝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실이너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1하부플랜지가 더 포함되고, 사이드실아우터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하부플랜지와 면접촉을 통해 결합되는 제2하부플랜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이드실이너에는 제1만입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상부플랜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너패널에는 상하방향으로 구분되어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파트 및 제1파트의 하부에연결되어 제1파트와 사이드실을 연결하는 제2파트가 포함될 수 있다.
제2파트는 사이드실의 단부와 연결되며 단부를 커버하도록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2만입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너패널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사이드실과 루프를 연결하는 차체의 필러 외측을 형성하는 아우터필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필러부는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이너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기구는 일단에서 차량의 실내 측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차량의 실외측의 타탄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수납공간은 제1만입부보다 차량의 실내 측으로 더 만입되도록 사이드실이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설치홈이 형성된 이너패널 및 도어와 차체를 연결하는 링크기구가 마련되고, 링크기구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가 이너패널의 설치홈에서 실내측에 결합되어 차량의 실내 측에 배치될 수 있음에 따라 구동장치에 대한 수밀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기구가 차량의 플로에 연결되고 도어가 폐쇄시 사이드실에 링크기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도어가 폐쇄되고 차량이 주행되거나 정차된 상태에서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링크기구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링크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dl 결합된 사시도,
도 4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도어가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양문형 도어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이 결합된 사시도, 도 4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도어가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양문형 도어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목적 기반 모빌리티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으로 제조된 본 발명이 적용된 차체(10)는 차량의 측면에 도어가 장착되는 개방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차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차량의 루프부 및 플로어(F)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체(10)에는 4절링크로 형성된 링크기구(400)를 통해 차체(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기구(400) 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며 상단에 연결된 링크기구(400)는 루프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단에 연결된 링크기구(400)는 차체(10)의 사이드실(300)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기구(400)는 차체(10)에 결합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이러한 링크구조 및 모터를 차체(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차체(10)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 개방부를 구성하는 패널이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상의 설치홈(110)이 형성된 이너패널(100); 이너패널(100)의 설치홈(110)에 배치된 구동장치(200); 및 회전축을 통해 차체(10)에 설치되며, 일단은 구동장치(20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도어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장치(200)의 구동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개폐하는 링크기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차량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루프 또는 플로어(F)와 같이 프레임에 패널이 결합되어 차체(1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너패널(100)은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체(1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너패널(100)의 외측은 도어의 개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너패널(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되어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된 설치홈(110)에는 구동장치(200)가 결합되고, 설치홈(110)은 구동장치(200)가 차량의 실내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는 링크기구(400)에 의해 차체(10)와 연결되고 링크기구(400)의 회전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200)와 연결되어 구동장치(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조와 같이 링크기구(400)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200)가 이너패널(100)에서 차량의 실내 측에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음에 따라 수밀 및 오염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하고, 이에 따라 구동장치(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동장치(200)는 링크기구(4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력으로 작동되는 모터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기구(400)는 일단이 차량의 플로어(F)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설치홈(110)은 이너패널(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구동장치(200)가 이너패널(100)의 하단에 결합되고, 구동장치(200)와 링크기구(400)을 연결시키는 연결기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와 연결되는 링크기구(400)는 일단이 차량의 플로어(F)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와 회전가능도록 연결되며, 설치홈(110)은 이너패널(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구동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고, 구동장치(200)와 링크기구(400)는 서로 연결기구(5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기구(500)는 다양항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장치(200)의 동력을 링크기구(400)로 전달하여 링크기구(4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와 밴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어가 폐쇄시 링크기구(400)가 회전되어 차량의 플로어(F) 하단에 배치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동장치(200)와 링크기구(40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연결기구(500)의 길이를 최소화여 연결기구(500)에서 손실되는 동력을 최소화하고 연결기구(500)의 제조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로어(F)의 측면에 결합되고,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되어 플로어(F)의 하부에 배치된 링크기구(4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340)이 형성된 사이드실(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실(300)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플로어(F) 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차량의 측면 충돌시 충돌을 흡수하며 차량의 측면의 강건성을 향상시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플로어(F)에 결합된 링크기구(400)는 도어가 폐쇄시 플로어(F)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이드실(300)에는 상측으로 플로어(F) 하부에 위치된 링크기구(4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340)이 형성되어 도어가 폐쇄시 링크기구(400)는 회전되어 수납공간(34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가 폐쇄되고 차량이 주행되거나 정차된 상태에서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링크기구(40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링크기구(4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이드실(300)에는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1만입부(313)가 형성된 사이드실이너(310); 사이드실이너(3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21)가 포함된 사이드실아우터(320); 및 링크기구(400) 하부에서 이너사이드실(300)의 제1만입부(313)와 아우터사이드실(300)의 연장부(321)를 연결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센터(330)가 포함될 수 있다.
사이드실(300)의 중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이드실(300)에는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1만입부(313)가 형성되고, 플로어(F)의 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실이너(310), 사이드실이너(310)에서 차량의 실외 측으로 돌출된 사이드실(300) 아우터가 형성되고 링크기구(400) 하부에서 사이드실이너(310)와 사이드실아우터(320)를 연결하는 사이드실센터(330)가 마련되어 사이드실이너(310), 사이드실아우터(320) 및 사이드실센터(330)의 단면이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사이드실(300)의 중공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실이너(310), 사이드실아우터(320) 및 사이드실센터(330)가 패널 형상으로 제조되고 서로 용접으로 인해 결합됨으로써 종래의 사이드실(300) 대비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너패널(100)의 설치홈(110)은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구동장치(200)가 사이드실(3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패널(100)에 형성된 설치홈(110)은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된 설치홈(110)의 차량 실내 측에 구동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200)의 회전축은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로어(F) 하부에 배치된 링크기구(400)와 구동장치(200)를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구동장치(200)를 차량의 실내 측으로 배치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 또는 충격으로부터 구동장치(200)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이드실아우터(320)의 연장부(321)는 상부가 이너패널(100)부의 하부와 외측으로 중첩됨으로써 이너패널(100)과 연장부(321)가 오프닝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실아우터(320)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321)는 이너패널(100)의 하단부와 서로 중첩되도록 결합되어 이너패널(100)의 외측과 함께 오프닝플랜지를 형성하여 도어가 폐쇄시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닝플랜지 형상을 통해 도어의 웨더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어, 도어가 폐쇄시 차량 실내로 먼지 또는 수분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또한 외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사이드실이너(310)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1하부플랜지(312)가 더 포함되고, 사이드실아우터(32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하부플랜지(312)와 면접촉을 통해 결합되는 제2하부플랜지(3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실이너(310)와 사이드실아우터(3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이드실이너(310)에는 제1만인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하부플랜지(312)가 형성되고, 사이드실아우터(320)에는 제1하부플랜지(312)에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제2하부플랜지(322)가 형성됨으로써 제1하부플래지와 제2하부플랜지(322)가 면접촉된 이후 용접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실이너(310)와 사이드실아우터(3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이드실이너(310)에는 제1만입부(313)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플로어(F)에 결합되는 상부플랜지(3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이드실(300) 이너에는 제1만입부(313)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311)가 마련되며, 상부플랜지(311)가 플로어(F)의 측면에 결합되고, 제1만입부(313)의 상면이 플로어(F)의 하면과 결합됨으로써 사이드실(300)과 플로어(F)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너패널(100)에는 상하방향으로 구분되어 차체(10)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파트(101) 및 제1파트(101)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1파트(101)와 사이드실(300)을 연결하는 제2파트(10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패널(100)은 2개의 파트로 구분되고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파트(101)는 차체(10)의 프레임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파트(101)가 결합된 이후 사이드실(300)이 차량의 플로어(F)에 결합되고, 제2파트(102)가 결합되어 제1파트(101)와 사이드실(3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1파트(101)와 제2파트(102)가 서로 구분되어 결합되고, 제1파트(101), 사이드실(300) 및 제2파트(102) 순서로 차체(10)에 결합됨으로써 결합이 편리해져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이너패널(100)의 복잡한 형상을 2개의 파트로 분리하여 제조함에 따라 제조시 발생하는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파트(102)는 사이드실(300)의 단부와 연결되며 단부를 커버하도록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2만입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파트(102)에는 차량의 외측에서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2만입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만입부(120)는 사이드실(300)의 단부에 결합되며, 개방된 사이드실(300)의 단부를 커버링할 수 있어 중공 형상의 사이드실(300)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패널(10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사이드실(300)과 루프를 연결하는 차체(10)의 필러 외측을 형성하는 아우터필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필러부(600)는 이너패널(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하단이 사이드실(300)의 외측과 연결되고 상단이 차량의 루프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상하방향 및 측면방향의 차체(10) 강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우터필러부(600)는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이너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패널(100)의 외측에 결합된 아우터필러부(600)는 이너패널(10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필러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상하방향 강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링크기구(400)는 일단에서 차량의 실내 측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차량의 실외 측의 타단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수납공간(340)은 제1만입부(313)보다 차량의 실내 측으로 더 만입되도록 사이드실이너(3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기구(400)는 일단에서 차량의 실내 측으로 연장된 이후 절곡되어 타단이 실외 측으로 연장된 구즈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연결기구(500)에 의해 구동장치(200)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링크기구(400)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링크기구(400)가 차량의 필러부 또는 구동장치(200)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의 도어는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양문형 스윙 도어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PBV 차량으로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차체(10)의 출입구를 종래의 차체(10) 출입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요구되어 양문형 도어가 차체(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양문형 도어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개방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차체
100 : 이너패널
101 : 제1파트
102 : 제2파트
110 : 설치홈
120 : 제2만입부
200 : 구동장치
300 : 사이드실
310 : 사이드실이너
311 : 상부플랜지
312 : 제1하부플랜지
313 : 제1만입부
320 : 사이드실아우터
321 : 연장부
322 : 제2하부플랜지
330 : 사이드실센터
340 : 수납공간
400 : 링크기구
500 : 연결기구
600 : 아우터필러부

Claims (13)

  1. 차량의 도어 개방부를 구성하는 패널이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상의 설치홈이 형성된 이너패널;
    이너패널의 설치홈에 배치된 구동장치; 및
    회전축을 통해 차체에 설치되며, 일단은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도어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장치의 구동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개폐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크기구는 일단이 차량의 플로어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설치홈은 이너패널의 하단에 형성되어 구동장치가 이너패널의 하단에 결합되고,
    구동장치와 링크기구을 연결시키는 연결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로어의 측면에 결합되고,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되어 플로어의 하부에 배치된 링크기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사이드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사이드실에는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1만입부가 형성된 사이드실이너; 사이드실이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포함된 사이드실아우터; 및 링크기구 하부에서 이너사이드실의 제1만입부와 아우터사이드실의 연장부를 연결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이너패널의 설치홈은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구동장치가 사이드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이드실아우터의 연장부는 상부가 이너패널부의 하부와 외측으로 중첩됨으로써 이너패널과 연장부가 오프닝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이드실이너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1하부플랜지가 더 포함되고,
    사이드실아우터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하부플랜지와 면접촉을 통해 결합되는 제2하부플랜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이드실이너에는 제1만입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상부플랜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이너패널에는 상하방향으로 구분되어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파트 및 제1파트의 하부에연결되어 제1파트와 사이드실을 연결하는 제2파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파트는 사이드실의 단부와 연결되며 단부를 커버하도록 차량의 실내 측으로 만입된 제2만입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이너패널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사이드실과 루프를 연결하는 차체의 필러 외측을 형성하는 아우터필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아우터필러부는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이너패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13. 청구항 4에 있어서,
    링크기구는 일단에서 차량의 실내 측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차량의 실외측의 타탄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수납공간은 제1만입부보다 차량의 실내 측으로 더 만입되도록 사이드실이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KR1020220105690A 2022-08-23 2022-08-23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KR20240027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90A KR20240027457A (ko) 2022-08-23 2022-08-23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US18/158,260 US20240066960A1 (en) 2022-08-23 2023-01-23 Vehicle Door Opening/Clo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90A KR20240027457A (ko) 2022-08-23 2022-08-23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457A true KR20240027457A (ko) 2024-03-04

Family

ID=9000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90A KR20240027457A (ko) 2022-08-23 2022-08-23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66960A1 (ko)
KR (1) KR202400274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90A (ko) 2020-12-17 2022-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방 차체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90A (ko) 2020-12-17 2022-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방 차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6960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112B1 (en) Vehicle door assembly
KR20240027457A (ko)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JP4337577B2 (ja) 車両のボデー構造
JP3838056B2 (ja) バックドア装置
JP2014069638A (ja) 車両のサイドドア装置
JPS621625A (ja) 自動車のプラスチツクドア構造
JP3198580B2 (ja) 車両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装置
KR20220021937A (ko) 테일게이트용 힌지 결합구조
US11607934B1 (en) Door mounting unit for vehicle
JP3664982B2 (ja) バックドアのモール取付け構造
JPH0517292Y2 (ko)
KR20240080542A (ko) 트윈 스윙 게이트의 실링 어셈블리
KR100402120B1 (ko)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JPH07197739A (ja) 車庫用自動扉
JPH0448966Y2 (ko)
JPH024806Y2 (ko)
JPS5822815Y2 (ja) 自動車等における2ヒンジ式ドア
JPS621627A (ja) 自動車のプラスチツクドア構造
JPH0620654Y2 (ja) 自動車用ドア
CN118107361A (zh) 用于双摆门的密封组件
KR20240026756A (ko)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KR19980043140U (ko) 차량의 센터 필러 결합구조
JPH0343046Y2 (ko)
JP2021094866A (ja) 建設機械のドア
JPH02299925A (ja) 自動車のドア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