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604A -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604A
KR20240023604A KR1020247001588A KR20247001588A KR20240023604A KR 20240023604 A KR20240023604 A KR 20240023604A KR 1020247001588 A KR1020247001588 A KR 1020247001588A KR 20247001588 A KR20247001588 A KR 20247001588A KR 20240023604 A KR20240023604 A KR 2024002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
group
acid
carbon atom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나오 카메이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2Cyclodextrin [CD], e.g. cycle with 6 units (alpha), with 7 units (beta) and with 8 units (gamma), large-ring cyclodextrin or cycloamylose with 9 units or mor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하기,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및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를 제공한다. 하기 식 (1)

[식 중,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X는 -CH2CH2O- 또는 -CH2CH(CH3)O-이며, m은 0 또는 1이다.]
로 표시되는 당 단위로 구성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로서, 치환기의 양이 조정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Description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본 발명은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시클로덱스트린은 도넛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내측이 친유성, 외측이 친수성이며, 공동(空洞) 내에 각종 활성 물질을 받아들일 수 있는 포접성(包接性)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난용성의 물질을 가용화하여 제품 속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섬유, 도료 등의 제품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시클로덱스트린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도 보고되었다. 예를 들면, 시클로덱스트린류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킨 시클로덱스트린 축합 폴리머는 유기 매체 중에 함유되는 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의 선택 고착제로서 이용되었다(특허문헌 1). 또, 시클로덱스트린이 아미드기를 통하여 결합한 유도체는 난수용성 화합물의 수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약품, 화장품에의 응용이 보고되었다(특허문헌 2, 3).
측쇄에 시클로덱스트린을 갖는 아크릴계 하이드로겔이 약물, 활성물질, 또는 보호제를 함유하는 능력을 가져, 콘텍트 렌즈나 화장료에 사용되었다(특허문헌 4). 또, 폴리옥시에틸렌기를 연결자로서 포함하는 시클로덱스트린 결합체로 다양한 게스트 분자를 포접한다(특허문헌 5). 단, 이것들은 모두 각종 성분을 포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13-233473호 공보 일본 특개 2007-106789호 공보 일본 특개 2009-024094호 공보 일본 특표 2011-529998호 공보 일본 특개 2007-023280호 공보
본 발명은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화합물은 실리콘 오일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경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을 배합한 화장료는 퍼짐이 좋고, 기름짐이나 끈적임 등이 없고, 실리콘 오일의 특징인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이며, 피부에의 밀착성이 우수하므로, 화장유지(화장 지속성)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효 성분이나 향료 등을 더 함유하는 화장료에서는, 이것들을 안정하게 배합할 수 있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구성하는 당 단위에 있어서, 3개의 수산기의 수소 원자가 치환되어 있는 비율, 즉, 수소 원자의 몰 수 NH, 탄소수 1∼8의 알킬의 몰 수 NA,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의 몰 수 NE, 특정 트리오가노실릴 변성 아미드기의 몰 수 NS, 특정 2가의 오가노폴리실록산기의 몰 수 NLS의 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1. 하기 식 (1)
[식 중,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 하기 식 (2)
(식 중, R1은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n은 1∼10의 정수, a는 0∼3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 (3)
(식 중, R2는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b는 독립하여 2∼16, c는 0∼300이며,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이다.)
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X는 -CH2CH2O- 또는 -CH2CH(CH3)O-이며, m은 0 또는 1이다.]
로 표시되는 당 단위로 구성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로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1몰 중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몰 수 NH, 탄소수 1∼8의 알킬의 몰 수 NA,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의 몰 수 NE,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S,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LS의 비가 NH:NA:NE:NS:NLS=0∼2.85:0∼2.85:0∼2.9:0∼2.9:0.15∼0.5(단, NH+NA+NE+NS+NLS=3.0)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2. 상기 식 (1)의 당 단위가 α형 시클로덱스트린, β형 시클로덱스트린, γ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들 시클로덱스트린이 히드록시에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필기를 갖는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유래인 1 기재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3. 상기 식 (2)에 있어서, n=3, R1이 메틸기인 1 또는 2 기재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4. 당 단위를 갖는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유도체를 알칼리 금속 존재하에서 불포화기 함유 할로겐화 화합물과, 에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수산기의 일부를 불포화기로 치환시켜,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는 공정 1,
필요에 따라, 공정 1에서 얻어진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잔존하는 수산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칼리 금속 존재하에서 할로겐화 알킬에 의해 에테르화, 카르복실산 화합물과의 탈수 반응, 상당하는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의 탈염산 반응, 상당하는 산 무수물에 의해 에스테르화, 또는 하기 식 (4)
(식 중, R1, n, a는 상기와 같다.)
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과의 우레탄 결합 생성 반응에 의해,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치환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는 공정 2, 및
공정 1에서 얻어진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치환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과,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부가 경화 촉매 존재하에서 부가반응시키는 공정 3을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
5.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로서, 상기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화장료 중 0.05∼20질량% 함유하는 화장료.
6. 또한 물을 포함하여, 에멀션의 형태인 5 기재의 화장료.
7. 또한,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글리세리드유 및 자외선흡수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5 또는 6 기재의 화장료.
8. 또한,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로서,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인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화합물은 실리콘 오일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배합한 화장료는 퍼짐이 좋고, 기름짐이나 끈적임 등이 없고, 실리콘 오일의 특징인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이며, 피부에의 밀착성이 우수하므로 화장유지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약효 성분이나 향료 등을 함유하는 화장료에서는, 이것들을 안정하게 배합할 수 있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성분]
본 발명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은 하기 식 (1)
[식 중,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 하기 식 (2)
(식 중, R1은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n은 1∼10의 정수, a는 0∼3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 (3)
(식 중, R2는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b는 독립하여 2∼16, c는 0∼300이며,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이다.)
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X는 -CH2CH2O- 또는 -CH2CH(CH3)O-이며, m은 0 또는 1이다.]
로 표시되는 당 단위로 구성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로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1몰 중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몰 수 NH, 탄소수 1∼8의 알킬의 몰 수 NA,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의 몰 수 NE,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S,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LS의 비가 NH:NA:NE:NS:NLS=0∼2.85:0∼2.85:0∼2.9:0∼2.9:0.15∼0.5(단, NH+NA+NE+NS+NLS=3.0)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이다.
식 (1)로 표시되는 당 단위는 α형 시클로덱스트린, β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γ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들 시클로덱스트린이 히드록시에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필기를 갖는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유래의 당 단위로 이루어지는 시클로덱스트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중의 R은 독립하여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 식 (2)로 표시되는 트리오가노실릴 변성 아미드기, 및 식 (3)으로 표시되는 2가의 오가노폴리실록산 기를 갖는 연결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1몰 중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몰 수 NH, 탄소수 1∼8의 알킬의 몰 수 NA,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의 몰 수 NE,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S,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LS의 비가 NH:NA:NE:NS:NLS=0∼2.9:0∼2.85:0∼2.85:0∼2.9:0.15∼0.5(단, NH+NA+NE+NS+NLS=3.0)가 되는 범위가 되도록, 적당하게 선정된다.
탄소수 1∼20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데실기, 트리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의 직쇄 및 분기된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메틸기, 프로필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의 예로서는 아세트산, 카프릴산, 운데칸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직쇄 및 분기된 지방산의 에스테르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아세트산(잔기로서는 아세틸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의 잔기가 바람직하다.
식 (2)로 표시되는 트리오가노실릴 변성 아미드기에 있어서, R1은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의 예로서는 페닐기, 톨릴기 등의 아릴기, 아랄킬기의 예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치환 알킬기의 예로서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탄소수 1∼8의 알킬기,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n은 1∼10의 정수이며, 2∼6이 바람직하고, 3이 보다 바람직하다. a는 0∼3의 정수이며, 3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이면, 얻어지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실리콘유 등의 유제에 대한 상용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 이러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사용한 화장료는 퍼짐이 좋고, 끈적임도 없는, 사용감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에 있어서, 식 중, R2는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나,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불소 치환 알킬기의 예로서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의 예로서는 페닐기, 톨릴기 등, 아랄킬기의 예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를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탄소수 1∼8의 알킬기,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b는 독립하여 2∼16이며, 2∼6이 바람직하고, 3이 보다 바람직하다. c는 0∼300이며, 0∼200이 바람직하고, 10∼2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이다.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1몰 중에 있어서, 3개의 수산기의 수소 원자가 치환되어 있는 비율, 즉,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1몰 중에 있어서의 비율(비율)은 이하와 같다.
NH:NA:NE:NS:NLS=0∼2.9:0∼2.9:0∼2.9:0∼2.9:0.1∼0.5(단, NH+NA+NE+NS+NLS=3.0)
NH: 수소 원자의 몰 수
NA: 탄소수 1∼8의 알킬의 몰 수
NE: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의 몰 수
NS: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LS: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상기 NH:NA:NE:NS:NLS의 비는 0∼2.8:0∼2.6:0∼2.9:0∼1.5:0.2∼0.5가 바람직하고, 0∼2.7:0∼2.6:0∼2.7:0∼1.5:0.2∼0.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NLS: (3)으로 표시되는 기가 필수적이지만, 그 이외의 기가 NE: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 NH: 수소 원자 및 NE;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 NH: 수소 원자 및 NS: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의 조합이 바람직하고, NLS: (3)으로 표시되는 기, 수소 원자 및 NS: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의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각의 기가 포함되는 경우는 하한은 0.05 이상의 범위에서 적당하게 선정된다.
X는 -CH2CH2O- 또는 -CH2CH(CH3)O-이며, m은 0 또는 1이다.
이것들의 비율에 의해, 각 유제에 대한 용해성, 가교도, 분자량이 바뀌므로, 사용하는 유제에 맞추어 조합할 수 있다. 또, 이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은 그대로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들의 형상은 통상 고체이며, 유제에 용해시킨 상태, 혹은 유제 중에서 겔화시킨 상태에서,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유제로서는 후술의 본 발명의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유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공정 1]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합성
상당하는 당 단위를 갖는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유도체를, 알칼리 금속 존재하에서 불포화기 함유 할로겐 화 화합물과, 에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수산기의 일부를 불포화기로 치환시킨다.
[공정 2]
공정 1에서 얻어진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잔존하는 수산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칼리 금속 존재하에서 할로겐화 알킬에 의해 에테르화, 카르복실산 화합물과의 탈수 반응, 상당하는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의 탈염산 반응, 상당하는 산 무수물에 의해 에스테르화, 또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과의 우레탄 결합 생성 반응에 의해,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치환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는다. NH:NA:NE:NS:NLS의 비의 조정은 이 공정에서의 첨가 물질, 양 등으로 조정한다. 또한, 이 공정은 목적으로 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에 필요하지 않으면, 생략할 수 있다.
(식 중, R1, n, a는 상기와 같다.)
[공정 3]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합성
공정 1에서 얻어진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치환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과,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부가 경화 촉매 존재하에서 부가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공정 1]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유도체로서는 α형 시클로덱스트린, β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γ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들 시클로덱스트린이 히드록시에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필기를 갖는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시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는 미리 가열 건조하여, 포접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나서 제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1에 있어서의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유도체의 에테르화 반응에서 사용되는, 불포화기 함유 할로겐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클로라이드, 비닐브로마이드, 알릴클로라이드, 알릴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칼리 금속으로서 나트륨, 수소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칼륨,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0∼120℃의 범위가 바람직하지만, 불포화기 함유 할로겐화물의 비점에 맞추어 적당하게 선택한다. 각 원료의 배합 몰비를 바꿈으로써, 당 단위 중의 불포화기 함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공정 2]
공정 2에 있어서의 에테르화 반응은 공정 1과 동일한 조건에서 할로겐화알킬을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할로겐화알킬로서는 요오도메탄, 프로필클로라이드, 프로필브로마이드, 헥실브로마이드, 옥틸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화 반응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화합물과의 탈수 반응은 산 촉매 존재하에서 합성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카프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고, 산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 인산, p-톨루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30∼1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의 탈염산 반응은 유기·무기 염기 존재하, 합성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로서는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산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유기·무기 염기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3차 아민류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0∼1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 무수물과의 반응은 유기·무기 염기 존재하에 합성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고, 유기·무기 염기로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반응은 용매를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0∼12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식 (4)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과의 우레탄 결합 생성 반응에서는, 구체적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서는, 반응 효율 향상이나 반응 제어의 관점에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하는 용매로서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그중에서도,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극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반응 효율 향상을 위해 촉매로서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N-메틸모르폴린 등의 아민류, 디라우르산 디-n-부틸주석, 올레산 제일주석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과 같은, 우레탄 결합 형성에 사용되는 공지의 촉매를 첨가해도 된다. 이 반응은 용매의 유무나 그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150℃에서 1∼10시간이다.
[공정 3]
공정 3에 있어서의 부가반응은 공정 1에서 얻어진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치환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불포화기에 대하여,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Si-H기의 몰비가 0.8∼1.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백금 촉매 또는 로듐 촉매 등의 부가반응 촉매하에서 행해진다. 백금 촉매 또는 로듐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백금산,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로서 유효한 양이면 되지만, 백금 또는 로듐량으로서 50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반응은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용제 또는 저급 알코올을 사용한다. 부가반응 온도는 20℃에서 80℃의 범위가 바람직하지만, 용제 환류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겔화제]
본 발명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은 유제의 겔화제로서 적합하다. 유제로서는 후술하는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글리세리드유,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그리고 자외선흡수제 및 이것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겔화되는 유제로서는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유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등의 직쇄형 실리콘,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등의 분기형 실리콘, 데칸, 운데칸, 도데칸 등의 직쇄형 및 이소도데칸 등의 이것들의 분기형 탄화수소유 등이 바람직하다. 겔화시키는 경우의 조성물 중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3∼20질량%가 바람직하다.
[화장료]
본 발명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은 스킨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자외선 방어 화장료, 모발 화장료의 원료로서 적합하다. 그 배합량은 화장료 중 0.05∼2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5∼1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5질량%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이면, 실리콘 오일의 특징인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을 가지고, 배합 안정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된다. 또한, 후술하는 임의 성분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명을 화장품 표시명칭 또는 INCI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고, 화장품 표시명칭과 INCI가 대응하는 경우는 영어 기재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물
본 발명의 화장료는 또한 물을 포함하여, 에멀션의 형태이어도 된다. 물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제계(劑系)에 따라 다르지만, 화장료 중 1∼95질량%가 바람직하고, 20∼8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제
또한,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글리세리드유,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및 자외선흡수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특히는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글리세리드유 및 자외선흡수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 유제를 겔화시킨 것이어도 된다.
상기 유제로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고체, 반고체, 액상, 어느 유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테트라라실록산(INCI), 시클로펜타실록산(INCI), 시클로헥사실록산(INCI), 디메티콘(INCI), 메틸트리메티콘(INCI),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카프릴릴메티콘(INCI), 페닐트리메티콘(INCI),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INCI), 디페닐디메티콘(INCI), 트리플루오로메틸알킬(C1-4)디메티콘, 아모디메티콘(INCI),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INCI), PCA 디메티콘(INCI)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상, 분기상, 또한 휘발성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올레핀 올리고머(INCI), (C13,14)이소파라핀(INCI) 등의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INCI), 운데칸(INCI), 도데칸(INCI), 이소헥사데칸(INCI),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INCI: Hydrogenated Polyisobutene), 스쿠알란(INCI), 미네랄 오일(INCI), 야자 알칸(INCI), (C13-15)알칸(INCI) 등의 알칸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디이소부틸(INCI: Diisobutyl Adipate), 아디프산 디헥실데실(표시명칭), 아디프산 디헵틸운데실(INCI: Diheptylundecyl Adipate),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INCI: Isostearyl Isostearate) 등의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INCI: Isocetyl Isostearate),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INCI: Trimethylolpropane Triisostearate), 디에틸헥산산 글리콜(INCI: Glycol Diethylhexanoate), 에틸헥산산 세틸(INCI: Cetyl Ethylhexanoate), 트리에틸헥산산 트리메틸롤프로판(INCI: Trimethylolpropane Triethylhexanoate), 테트라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틸(INCI: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옥탄산 세틸(INCI: Cetyl Ethylhexanoate), 스테아로일옥시스테아르산 옥틸도데실(INCI: 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등의 옥틸도데실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INCI: Oleyl Oleate), 올레산 옥틸도데실(INCI: Octyldodecyl Oleate), 올레산 데실(INCI: Decyl Oleate), 디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INCI: Neopentyl Glycol Diethylhexanoate),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INCI: Neopentyl Glycol Dicaprate), 말산 디이소스테아릴(INCI: Diisostearyl Malate), 시트르산 트리에틸(INCI: Triethyl Citrate), 숙신산 디에틸헥실(INCI: Diethylhexyl Succinate), 아세트산 아밀(INCI: Amyl Acetate), 아세트산 에틸(INCI: Etyl Acetate), 아세트산 부틸(INCI: Butyl Aceetate), 스테아르산 이소세틸(INCI: Isocetyl Stearate), 스테아르산 부틸(INCI: Butyl Stearate), 세박산 디이소프로필(INCI: Diisopropyl Sebacate), 세박산 디에틸헥실(INCI: Diethylhexyl Sebacate), 락트산 세틸(INCI: Cetyl Lactate), 락트산 미리스틸(INCI: Myristyl Lactate), 이소노난산 이소노닐(INCI: Isononyl Isononanoate),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INCI: Isotridecyl Isononanoate), 팔미트산 이소프로필(INCI: Isopropyl Palmitate), 팔미트산 에틸헥실(INCI: Ethylhexyl Isopalmitate), 팔미트산 헥실데실(INCI: Isocetyl Palmitate, Hexyldecyl Palmitate) 등의 팔미트산 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INCI: Cholesteryl Hydroxystearate),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INCI: Isopropyl Myristate),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INCI: Octyldodecyl Myristate), 미리스트산 미리스틸(INCI: Myristyl Myristate) 등의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라우르산 에틸헥실(INCI: Ethylhexyl Laurate), 라우르산 헥실(INCI: Hexyl Laurate),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INCI: Dioctyldodecyl Lauroyl Glutamate),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INCI: Isopropyl Lauroyl Sarcosinate)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리드유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헥사노인(INCI),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INCI: Caprylic/Capric Triglyceride), 코코글리세릴(INCI), (카프릴산/카프르산/숙신산)트리글리세릴(INCI: Caprylic/Capric/Succinic Triglyceride), (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리즈(INCI)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것들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하기의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INCI: Persea Gratissima (Avocado) Oil), 아마인유(INCI: Linum Usitatissimum (Linseed) Seed Oil), 아몬드유(INCI: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백랍, 들깨 유(표시명칭), 들깨유, 올리브유(INCI: 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카카오 버터, 카폭납, 아메리카 비자나무유(INCI: Torreya Californica (California Nutmeg) Oil), 시트로넬라유(INCI: Cymbopogon Nardus (Citronella) Oil), 비자나무 종자유(INCI: Torreya Nucifera Seed Oil), 카르나우바납(INCI: 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 간유, 칸데릴라납(INCI: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정제 칸데릴라납,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 우지, 행인유(INCI: Kyounin Yu), 경랍, 경화유, 밀배아유(INCI: Triticum Vulgare (Wheat) Germ Oil), 참깨유(INCI: Sesamum Indicum (Sesame) Seed Oil), 쌀배아유(INCI: Oryza Sativa (Rice) Germ Oil), 쌀겨유(INCI: Oryza Sativa (Rice) Bran Oil), 사탕수수납(INCI: Saccharum Officinarum (Sugarcane) Wax), 애기동백유(INCI: Camellia Kissi Seed Oil), 홍화유(INCI: 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시어버터(INCI: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중국 오동나무유, 시나몬유, 호호바납, 스쿠알란(INCI), 스쿠알렌(INCI), 세락납, 터틀유(INCI: Turtle Oil), 대두유(INCI: Glycine Soja(Soybean)Oil), 차실유(INCI: Camellia Sinensis Seed Oil), 동백유(INCI: Camellia Japonica Seed Oil), 월견화유(INCI: 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옥수수배아유(INCI: Zea Mays (Corn) Germ Oil), 돈지(INCI: Lard), 유채씨유, 일본 오동나무유, 쌀겨납(INCI: Oryza Sativa (Rice) Bran Wax), 배아유, 마지(INCI: Horse Fat), 퍼식유(표시명칭), 팜유(INCI: Elaeis Guineensis (Palm) Oil), 팜핵유(INCI: Elaeis Guineensis (Palm) Kernel Oil), 피마자유(INCI: Ricinus Communis (Castor) Seed Oil), 경화 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INCI: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포도종자유(INCI: Vitis Vinifera (Grape) Seed Oil), 베이베리납, 호호바종자유(INCI: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마카다미아종자유(INCI: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마카다미아너트유(INCI: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밀랍(INCI: Beeswax), 밍크유, 메도우폼유(INCI: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면실유(INCI: Gossypium Herbaceum (Cotton) Seed Oil), 면랍, 목랍(INCI: Rhus Succedanea Fruit Wax), 목랍핵유, 몬탄납(INCI: Montan Wax), 야자유(INCI: Cocos Nucifera (Coconut) Oil), 경화 야자유, 트리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리드, 양지, 낙화생유(INCI: Arachis Hypogaea (Peanut) Oil), 라놀린(INCI: Lanolin), 액상 라놀린(INCI: Lanolin Oil), 환원 라놀린, 라놀린알코올(INCI),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알코올(INCI: Acetylated Lanolin Alcohol),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INCI: Isopropyl Lanolate),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난황유(INCI: Egg Oil) 등을 들 수 있다. 단,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라우릴알코올(INCI), 미리스틸알코올(INCI),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INCI), 베헤닐알코올(INCI), 헥사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INCI), 이소스테아릴알코올(INCI), 헥실도데카놀, 옥틸도데카놀(INCI),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INCI), 피트스테롤(INCI),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랄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제계에 따라 다르지만, 화장료 중 1∼98질량%의 범위가 적합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고체, 반고체, 액상, 어느 자외선 흡수제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모살레이트(INCI), 옥토크릴렌(INCI),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INCI: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살리실산 에틸헥실(INCI: Ethylhexyl Salicylate),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INCI: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옥시벤존-6(INCI: Benzophenone-6), 옥시벤존-9(INCI: Benzophenone-9), 옥시벤존-1(INCI: Benzophenone-1), 폴리실리콘-15(INCI),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 옥틸(INCI: Ethylhexyl Dimethoxybenzylidene Dioxoimidazolidine Propionate), 옥시벤존-2(INCI: Benzophenone-2), 테레프탈리덴디캄퍼술폰산(INCI: 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에틸헥실트리아존(INCI), 트리메톡시신남산 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INCI: Isopentyl Trimethoxycinnamate Trisiloxa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INCI), 디메틸PABA에틸헥실(INCI: Ethylhexyl Dimethyl PABA), 파라메톡시신남산 이소프로필(INCI: Isopropyl Methoxycinnamate), 메톡시신남산 에틸헥실(INCI: Ethylhexyl Methoxycinnamat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놀트리아진(INCI: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옥시벤존-3(INCI: Benzophenone-3), 옥시벤존-4(INCI: Benzophenone-4), 옥시벤존-5(INCI: Benzophenone-5),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INCI: 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INCI: 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디메톡시신남산 에틸헥산산 글리세릴(INCI: Glyceryl Ethylhexanoate Dimethoxycinnamate), 글리세릴 PABA(INCI: Glyceryl PABA), 디이소프로필신남산 메틸(INCI: Diisopropyl Methyl Cinnamate), 시녹세이트(INCI),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 에틸헥실(INCI: Ethylhexyl Dimethoxybenzylidene Dioxoimidazolidine Propionate) 등을 들 수 있다.
UVA 흡수제(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INCI: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등)와, UVB 흡수제(예를 들면, 메톡시신남산 에틸헥실(INCI: Ethylhexyl Methoxycinnamat) 등)을 병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을 임의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제계에 따라 다르지만, 화장료 중 0.1∼30질량%가 바람직하다.
·분체
본 발명의 화장료는 또한 분체를 포함하며, 이 분체가 분산된, 액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분체의 응집 등의 변화가 없어,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액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의 어느 형태이면, 취급성도 양호하게 되어, 여러 화장료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체로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구상, 침상, 판상 등)이나 입자 직경(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 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를 막론하고,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분체, 유기 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 유색 안료, 펄 안료, 금속 분말 안료, 타르 색소, 천연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INCI: Tiatanium Dioxide), 산화지르코늄(INCI: Zirconiumu Dioxide), 산화아연(INCI: Zinc Oxide), 산화세륨(INCI: Ceriumu Oxid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황산바륨(Bariumu Sulfate), 황산칼슘(Calcium Sulfat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탄산칼슘(Caluciumu Carbonate),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탈크(INCI: Talc), 마이카(INCI: Mica), 카올린(INCI: Kaolin), sericite(Sericite), 운모티타늄(Titanate Mica), 실리카(INCI: Silica), 함수 실리카(INCI: Hydrated Silica), 규산알루미늄(INCI: Aluminum Silicate), 규산마그네슘(INCI: Magnesium Silicate),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INCI: Magnesium Aluminum Silicate), 규산칼슘(INCI: Calcium Silicate), 히드록시아파타이트(INCI: Hydoxyapatite), 벤토나이트(INCI: Bentonaite), 몬모릴로나이트(INCI: Montmorillonaite), 헥토라이트(INCI: Hectorite), 제올라이트(INCI: Zeolite), 알루미나(INCI: Alumina),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질화붕소(INCI: Boron Nitride)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INCI: Polyethylen), 폴리프로필렌(INCI: Polypropylene), 폴리스티렌(INCI: 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메타크릴산 메틸((INCI: Polymethyl Methacrylate), 셀룰로오스(INCI: Cellulose), 실크(Silk), 나일론(Nylon), 실리콘(INCI: Vinyl Dimethicone/Methicone Crosspolymer, Polymethylsilsesquioxane,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Polysilicone-1 Crosspolymer, Polysilicone-22)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금속 비누)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아연(INCI: ZincStearate), 스테아르산 알루미늄(Aluminium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미리스트산 아연(INCI: Zinc Myristate), 미리스트산 마그네슘(Magnesium Myristate) 등을 들 수 있다.
유색 안료로서는 산화철(INCI: Iron Oxide), 수산화철, 티탄산 철의 무기 적색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Yellow Oxide of Iron), 황토(INCI: Yellow Ocher)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Black Oxide of Iron), 카본블랙(INCI: Carbon Black)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망간 바이올렛(INCI: Manganese Violet) 등의 무기 자색 안료, 수산화크롬(INCI: Chromium Hydroxide Green), 산화크롬(INCI: Chromium Oxide Green), 티탄산 코발트(INCI: Cobalt Titanium Oxide) 등의 무기 녹색 안료, 감청(Iron Blue), 군청(Ultramarine)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및 이들 분체를 복합화한 합성 수지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펄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 피복 탈크, 어린박, 산화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분말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Aluminium) 파우더, 커퍼 파우더(INCI: Copper Powder) 등을 들 수 있다.
타르 색소로서는 적색 3호(Erythrosine), 적색 104호(Phloxine B), 적색 106호(Acid red), 적색 201호(Lithol rubine B), 적색 202호(Lithol rubine BCA), 적색 204호(Lake red CBA), 적색 205호(Lithol red), 적색 220호(Deep maroon), 적색 226호(Helindone pink CN), 적색 227호(Fast acid magenta), 적색 228호(Parmatone red), 적색 230호(Eosine YS), 적색 401호(Violamine R), 적색 505호(Oil red XO), 황색 4호(Tartrazin), 황색 5호(Sunset yellow FCF), 황색 202호(Uranine K), 황색 203호(Quinolin yellow WS), 황색 204호(Quinolin yellow SS), 황색 401호(Hanza yellow), 청색 1호(Brilliant blue FCF), 청색 2호(Indigo carmine), 청색 201호(Indigo), 청색 404호(Phtalocyanine blue), 녹색 3호(Fast green FCF), 녹색 201호(Alizanine cyanine green F), 녹색 204호(Pyranine conc), 녹색 205호(Light green SF yellowish), 등색 201호(Dibromofluorescein), 등색 203호(Parmanent orange), 등색 204호(Benzidine orange G), 등색 206호(Diiodofluorescein), 등색 207호(Erlthrosine yellouwish NA)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색소로서는, 예를 들면, 코치닐(Cochineal), 락카산(INCI: Laccaic Acid), 카르타민(Carthamin), 브라질린(Brazilin), 크로신(Crocin)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분체는 분체를 복합화한 것이나, 일반 유제, 실리콘유,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고,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로 처리한 것,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및/또는 분기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가지고 장쇄 알킬로 공변성된 직쇄상 및/또는 분기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가지고, 폴리옥시알킬렌으로 공변성된 직쇄상 및/또는 분기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실리콘계 공중합체 등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분자 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분자 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할 수 있는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INCI: Alcohol), 이소프로판올(INCI: Isopropyl Alcohol) 등의 저급 알코올, 소르비톨(INCI), 말토오스(INCI) 등의 당알코올 등이 있고, 콜레스테롤(INCI), 시트스테롤(INCI: Beta-Sitosterol), 피토스테롤(INCI), 라노스테롤(INCI) 등의 스테롤, 부틸렌글리콜(INCI), 프로필렌글리콜(INCI),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INCI)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이 있다. 분자 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1∼98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INCI: Acacia Senegal Gum), 트라가간트검(INCI: Astragalus Gummifer Gum), 갈락탄, 캬로브검, 구아검(INCI: Cyamopsis Tetragonoloba (Guar) Gum), 카라야검(INCI: Sterculia Urens Gum), 카라기난(INCI: Chondrus Crispus (Carrageenan)), 펙틴(INCI), 한천(INCI: Agar), 퀸스시드(marmelo)(INCI: Pyrus Cydonia Seed), 쌀 전분(INCI: Oryza Sativa (Rice) Starch), 밀 전분(INCI: Triticum Vulgare (Wheat) Starch), 감자 전분(INCI: Solanum Tuberosum (Potato) Starch), 옥수수 전분, 알게콜로이드, 트라가칸트검(INCI: Astragalus Gummifer Gum), 로커스트빈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화합물, 크산탄검(INCI), 덱스트란(INCI), 숙시노글리칸(INCI), 풀룰란(INCI)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화합물, 콜라겐(INCI), 카세인(INCI), 알부킨(INCI), 젤라틴(INCI) 등의 동물계 고분자 화합물, 카르복시메틸 전분Na(INCI: Sodium Carboxymethyl Starch), 히드록시프로필 전분(INCI: Hydroxypropyl Starch) 등의 전분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셀룰로오스(INCI), 에틸셀룰로오스(INCI),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INCI),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INCI), 니트로셀루로오스(INCI),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INCI: Sodium Cellulose Sulfat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INCI: Microcrystalline Cellulose), 셀룰로오스 분말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INCI: Algin),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INCI: Propylene Glycol Alginate)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나트륨(INCI: Sodium Polyacrylate),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INCI: Polyethylacrylate), 폴리아크릴아미드(INCI),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염 코폴리머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 다른 합성 수용성 고분자, 벤토나이트(INCI),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INCI: Magnesium Aluminum Silicate), 몬모릴로나이트(INCI), 바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INCI),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이 있다. 또, 이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에는, 폴리비닐알코올(INCI)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INCI) 등의 피막형성제도 포함된다.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1∼25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의 활성제가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나트륨이나 팔미트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및 그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물염, 알칸술폰산염, 알켄술폰산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술폰산염, 지방산 아미드의 술폰산염, 포르말린 축합계 술폰산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2차 고급 알코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 및 알릴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알킬롤아미드의 황산 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 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알릴에테르인산염, 아미드인산염, N-아실 락트산염, N-아실사르코신염, N-아실아미노산계 활성제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콜지방산 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 4차 암모늄염, 방향족 4차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상 또는 분기상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알칸올아미드, 당에테르, 당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 포스파티딜콜린, 아미노카르복실산염, 이미다졸린 유도체, 아미드 아민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분자 중에 폴리옥시알킬렌쇄 또는 폴리글리세린쇄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상 오가노폴리실록산, 또는 또한 탄소수 6∼20의 장쇄 알킬기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상 오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친수성의 폴리옥시알킬렌기 또는 폴리글리세린 잔기의 함유량이 분자 중의 10∼70질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1∼20질량%가 바람직하고, 0.2∼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실리콘 수지는 아크릴/실리콘 그라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아크릴 실리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카르복실산 등의 음이온 부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리콘 수지는 R1s 3SiO1 / 2 단위와 SiO4 / 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1s 3SiO1/2 단위와 R1s 2SiO2 / 2 단위 및 SiO4 / 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1s 3SiO1 / 2 단위와 R1sSiO3/2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수지, R1s 3SiO1 / 2 단위와 R1s 2SiO2 / 2 단위 및 R1sSiO3 / 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1s 3SiO1 / 2 단위, R1s 2SiO2 / 2 단위, R1sSiO3 / 2 단위 및 SiO4 / 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망상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R1s는 유기 기를 나타낸다). 또,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아미노 부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실리콘 망상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리콘 수지를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1∼20질량%가 바람직하고, 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이 실온에서 액상의 유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배합할 수 있다. 이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자체 중량 이상의 액상 오일을 포함하고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오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액상의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 불소계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JIS Z 8803:2011 기재의 오스왈드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25℃에서의 동점도가 0.65mm2/s∼100.0mm2/s인 저점도 실리콘유,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의 탄화수소유, 트리옥타노인 등의 글리세리드유,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N-아실글루탐산 에스테르, 라우로일사르코신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등의 천연 동식물유를 들 수 있다. 또, 이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의 가교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가지고, 또한,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와의 사이에서 반응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갖는 것으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릴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릴기를 갖는 폴리글리세린, α, ω-알케닐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폴리글리세린 부분, 장쇄 알킬 부분, 알케닐 부분, 아릴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가교 분자 중에 함유하는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이 실온에서 액상의 유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1∼80질량%가 바람직하고, 1∼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실리콘 왁스를 배합할 수 있다. 실리콘 왁스는 α-올레핀과 디엔으로 이루어지는 불포화기를 갖는 올레핀 왁스와, 1분자 1개 이상의 히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부가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실리콘 변성 올레핀 왁스이다. 올레핀 왁스의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의 탄소 원자수 2∼12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디엔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1,4-헥사디엔, 비닐노르보넨, 에틸리덴노르보넨, 디시클로펜타디엔이 바람직하다. 히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직쇄상이나 실록산 분기형 등의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유용성 겔화제, 수지, 제한제, 보습제, 방균방부제, 항균제, 향료, 염류,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개선용 성분(미백제, 세포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수렴제, 항지루제 등), 비타민, 아미노산, 핵산, 호르몬, 모발용 고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INCI: Magnesium Stearate), 징크미리스테이트(INCI: Zinc Myristate) 등의 금속 비누, N-라우로일-L-글루탐산(INCI: Lauroyl Glutamic Acid), α, 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팔미트산 에스테르(INCI: 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스테아르산 에스테르(INCI: Dextrin Stearate), 덱스트린2-에틸헥산산 팔미트산 에스테르(INCI: 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팔미트산 에스테르(INCI: Sucrose Palmitate), 수크로스스테아르산 에스테르(INCI: Sucrose Stearate) 등의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 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등의 프락토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등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겔화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는, 이들 유용성 겔화제를 배합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INCI: Aluminum Chlorohydrate), 염화알루미늄(INCI: Aluminum Chloride), 알루미늄세스퀴클로로하이드레이트, 지르코닐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루코스, 크실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난황 렉시틴, 대두 렉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 지방질 등을 들 수 있다.
방균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알킬에스테르, 벤조산(INCI: Benzoic Acid), 벤조산 나트륨(INCI: Sodium Benzoate), 소르브산(Sorbic Acid) (INCI: Sorbic Acid), 소르브산(Sorbic Acid) 칼륨(INCI: Potassium Sorbate), 페녹시에탄올(INCI) 등, 항균제로서는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INCI), 소르브산(Sorbic Acid), 파라옥시벤조산 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INCI), hexachlorophene(INCI), 염화벤잘코늄(INCI), 염화클로로헥시딘(INCI: Chlorhexidine Dihydrochloride),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향료 및 합성 향료를 들 수 있다. 천연 향료로서는 꽃, 잎, 줄기, 과피 등으로부터 분리한 식물성 향료; 머스크, 시빗 등의 동물성 향료를 들 수 있다. 합성 향료로서는 모노테르펜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르펜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환식 케톤 등의 케톤류; 테르펜계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락톤류; 페놀류; 옥사이드류; 함질소 화합물류; 아세탈류 등을 들 수 있다.
염류로서는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 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INCI: Acetic Acid), 데히드로아세트산(INCI: Dehydroacetic Acid), 시트르산(INCI: Citric Acid), 말산(INCI: Malic Acid), 숙신산(INCI: Succinic Acid), 아스코르브산(INCI: Ascorbic Acid), 스테아르산(INCI: Stearic Acid) 등의 유기산류의 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INCI: Triethanolamine) 등의 아민류의 염,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 등이 있다. 또, 그 외에, 히알루론산(INCI: Hyaluronic Acid),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이나, 게다가, 화장품 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INCI), p-t-부틸페놀, 부틸히드록시아니솔(INCI),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INCI), 피트산 등, pH 조정제로서는 락트산(INCI: Lactic Acid), 시트르산(INCI: Citric Acid), 글리콜산(INCI: Glycolic Acid), 숙신산(INCI: Citric Acid), 타르타르산(INCI: Tartaric Acid), dl-말산(INCI: Malic Acid), 탄산칼륨(INCI: Potassium 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INCI: Sodium Bicarbonate), 탄산수소암모늄(INCI: Ammonium Bicarbonate) 등,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INCI), 에데토산 나트륨염, 폴리인산 나트륨(INCI: Sodium Polyphosphate), 메타인산 나트륨(INCI: Sodium Metaphosphate), 인산 등, 청량제로서는 L-멘톨, 캄퍼 등, 항염증제로서는 알란토인(INCI), 글리시리즈산(INCI: Glycyrrhizic Acid) 및 그 염, 글리시레틴산(INCI: Glycyrrhetinic Acid) 및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INCI: Stearyl Glycyrrhetinate), 트라넥삼산, 아줄렌(nINCI) 등을 들 수 있다.
피부개선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태반추출액, 알부틴(INCI), 글루타티온(INCI), 호이초 추출물(INCI: Saxifraga Sarmentosa Extract) 등의 미백제, 로얄젤리(INCI),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유우혈액 추출액 등의 세포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INCI: Benzyl Nicotinate),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INCI), 진저론, 칸타리스틴크, 이크타몰(INCI), 카페인(INCI), 탄닌산(INCI: Tannic Acid), α-보르네올(INCI), 니코틴산 토코페롤(INCI: Tocopheryl Nicotinate),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INCI) 등의 혈행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수렴제, 유황, 티안톨 등의 항지루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유, 레티놀(INCI), 아세트산 레티놀(INCI: Retinyl Acetate), 팔미트산 레티놀(INCI: Retinyl Palmitate) 등의 비타민 A류, 리보플라빈(INCI), 부티르산 리보플라빈(INCI: Riboflavin Tetrabutyrate), 플라빈아데닌누클레오티드(INCI: Disodium Flavine Adenine Dinucleotide)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INCI: Pyridoxine Tripalmitate) 등의 비타민 B6류, 비타민 B12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5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L-아스코르브산(INCI: Ascorbic Acid), L-아스코르브산 디팔미트산 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INCI: Disodium Ascorbyl Sulfate), L-아스코르브산 인산 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 C류, 에르코칼시페롤(INCI), 콜레칼시페롤(INCI) 등의 비타민 D류, α-토코페롤(INCI), β-토코페롤(INCI), γ-토코페롤(INCI),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INCI: Tocopheryl Acetate),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INCI: Tocopheryl Nicotinate), 숙신산 dl-α-토코페롤(INCI: Tocopheryl Succinate)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H, 비타민 P, 니코틴산,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판토텐산 칼슘,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신(INCI), 발린(valine)(INCI), 류신(INCI), 이소류신(isoleucine)(INCI), 세린(serine)(INCI), 트레오닌(threonine)(INCI), 페닐알라닌(phenylalanine)(INCI), 아르기닌(arginine)(INCI), 리신(INCI), 아스파르트산(asparatic acid)(INCI: Aspartic Acid), 글루탐산(INCI: Glutamic Acid), 시스틴(INCI), 시스테인(INCI), 메티오닌(INCI), 트립토판(INCI) 등, 핵산으로서는 데옥시리보헥산 등,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INCI), 에테닐에스트라디올(INCI) 등을 들 수 있다.
모발 고정용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양쪽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의 각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비닐피롤리돈(INCI),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INCI)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알킬하프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산성 비닐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 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등의 산성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고분자, (메타)아크릴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산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양쪽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케라틴 및 콜라겐 또는 그 유도체 등의 천연 유래 고분자 화합물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료의 형태로서는 분체, 유성, 유중수형 에멀션, 수중유형 에멀션, 비수 에멀션, W/O/W나 O/W/O 등의 멀티 에멀션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화장료로서는 리퀴드, 마사지제, 미용액, 미용 오일, 세정제, 탈취제, 핸드 크림, 립 크림, 주름 은폐제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컨실러, 파우더,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볼연지, 아이 셰도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세팅제 등의 모발 화장료, 제한제, 썬블록 오일이나 썬블록 유액, 썬블록 크림 등의 자외선 방어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물을 포함하여, 에멀션의 형태인 것은 메이크업 베이스, 리퀴드 파운데이션, 썬블록 유액, 썬블록 크림 등으로서 적합하다.
또 이들 화장료의 형상으로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프레스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스틱상, 펜슬상 등, 여러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취급성이 양호한 점에서, 분체가 분산된, 액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의 어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합성예, 비교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예에서 특별히 명기가 없는 경우는 조성의 「%」는 질량%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예를 합성예 3-1∼3-5, 합성 비교예 3-1∼3-2, 화장료의 예를 실시예, 비교예에서 나타낸다.
[합성예 1-1]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합성
γ-시클로덱스트린을 110℃에서 2시간 건조시킨 것 45g을 N-메틸피롤리돈 300g에 용해하고, 또한, 나트륨메톡시드 5.31g, 메탄올 15g 용액을 첨가하고, 5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이것을 50℃로 승온한 후, 알릴브로마이드 12.59g을 적하하고, 8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반응 후, 냉각하고, 아세톤 3,000g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또한 아세톤 300g으로 3회 세정했다. 이것을 메탄올 500g에 첨가하여 교반한 후, 불용물을 여과 분리했다. 얻어진 메탄올 용액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담황색 고체 24.2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하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은 수소기/알릴기=2.65/0.35이었다.
[합성예 1-2]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합성
γ-시클로덱스트린을 110℃에서 2시간 건조시킨 것 40g을 N-메틸피롤리돈 300g에 용해하고, 또한, 나트륨메톡시드 6.66g, 메탄올 15g 용액을 첨가하고, 5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이것을 50℃로 승온한 후, 알릴브로마이드 14.93g을 적하하고, 8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반응 후, 냉각하고, 아세톤 3,000g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또한 아세톤 300g으로 3회 세정했다. 이것을 메탄올 500g에 첨가하고 교반한 후, 불용물을 여과 분리했다. 얻어진 메탄올 용액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담황색 고체 21.5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은 수소기/알릴기=2.53/0.47이었다.
[합성예 1-3] 알릴기 함유 α-시클로덱스트린의 합성
α-시클로덱스트린을 110℃에서 2시간 건조시킨 것 40g을 N-메틸피롤리돈 300g에 용해하고, 또한 나트륨메톡시드 3.33g, 메탄올 10g 용액을 첨가하고, 5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이것을 50℃로 승온한 후, 알릴브로마이드 7.46g을 적하하고, 8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반응 후, 냉각하고, 아세톤 3,000g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또한 아세톤 300g으로 3회 세정했다. 이것을 메탄올 500g에 첨가하여 교반한 후, 불용물을 여과 분리했다. 얻어진 메탄올 용액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담황색 고체 19.5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하기 식 (6)의 당 단위의 R은 수소기/알릴기=2.78/0.22이었다.
[합성예 1-4] 알릴기 함유 2-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의 합성
2-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Mw 1,380)을 110℃에서 2시간 건조시킨 것 45g을, N-메틸피롤리돈 300g에 용해하고, 또한, 나트륨메톡시드 3.70g, 메탄올 10g 용액을 첨가하고, 5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이것을 50℃로 승온한 후, 알릴브로마이드 8.28g을 적하하고, 8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반응 후, 냉각하고, 아세톤 3,000g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또한 아세톤 300g으로 3회 세정했다. 이것을 메탄올 500g에 첨가하고 교반한 후, 불용물을 여과 분리했다. 얻어진 메탄올 용액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담황색 고체 22.0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하기 식 (7)의 당 단위의 R'은 수소기/알릴기=2.70/0.30이었다.
(R'은 R과 같다.)
[합성예 2-1]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부틸에테르화
합성예 1-2에서 얻어진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 14.5g을, N-메틸피롤리돈 200g에 용해하고, 또한, 나트륨메톡시드 13.0g, 메탄올 50g 용액을 첨가하고, 5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이것을 50℃로 승온한 후, 부틸브로마이드 32.9g을 적하하고, 8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반응 후, 냉각하고, 물 2,000g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또한 물 300g으로 3회 세정한 후, 100℃에서 건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 22.8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분석한 바, 잔존 수산기는 없고, 상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의 몰비는 부틸기/알릴기=2.53/0.47이었다.
[합성예 2-2]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아세틸화
합성예 1-1에서 얻어진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 7.8g 및 피리딘 103g을 혼합하고, 실온하에서 무수 아세트산 66.6g을 적하했다. 이것을 승온하여 8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냉각 후 메탄올 100g을 적하한 후, 물 1,000g 중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석출물을 물 300g으로 3회 세정하고, 건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 10.6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분석한 바, 잔존 수산기는 없고, 상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의 몰비는 아세틸기/알릴기=2.65/0.35이었다.
[합성예 2-3] 알릴기 함유 α-시클로덱스트린의 팔미트산 에스테르화
합성예 1-3에서 얻은 알릴기 함유 α-시클로덱스트린 15.0g,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g 및 피리딘 14.5g을 용해하고, 또한, 팔미트산 클로라이드 25.3g을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9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냉각 후, 메탄올 500g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것을 메탄올 300g으로 3회 세정하고, 건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 29.8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분석한 바, 상기 식 (6)의 당 단위의 R의 몰비는 수소 원자/알릴기/팔미트산 에스테르 잔기=1.83/0.22/0.95이었다.
[합성예 2-4]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과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과의 우레탄 생성 반응
합성예 1-1에서 얻은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 13.1g을, N-메틸피롤리돈 150g으로 60℃로 용해한 후, 또한, 트리에틸아민 0.5g을 첨가하고, 하기 일반식 (8)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45.5g을 적하했다. 110℃에서 3시간 교반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물 500g 중에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생성된 석출물을 여과 분리하고, 또한 물 300g으로 2회 세정, 물/메탄올=1/1 용액 300g으로 2회 세정한 후, 건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 48.4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분석하고, 상기 식 (6)의 당 단위의 R의 몰비는 수소 원자/알릴기/하기 식 (9)=1.34/0.35/1.31이었다.
[합성예 3-1]
합성예 2-1의 화합물 6.9g, 톨루엔 100g, 하기 식 (10)의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37.6g을 용해하고,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3% 톨루엔 용액 0.015g을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감압하 톨루엔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44.0g의 담갈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수산기의 치환 몰비를 측정한 바, 하기 식 (11)의 당 단위의 R의 몰비는 부틸기/하기 식 (11-1)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의 비가 2.53/0.47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었다.
[합성예 3-2]
합성예 2-2의 화합물 4.0g, 톨루엔 100g, 하기 식 (12)의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37.3g을 용해하고,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3% 톨루엔 용액 0.015g을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감압하 톨루엔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40.9g의 담갈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수산기의 치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11)의 당 단위의 R에 있어서 아세틸기/하기 식 (12-1)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의 비가 2.65/0.35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었다.
(식 중,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합성예 3-3]
합성예 2-3의 화합물 17.4g, 톨루엔 100g, 하기 식 (13)의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22.9g을 용해하고,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3% 톨루엔 용액 0.015g을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감압하 톨루엔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39.5g의 담갈색 고체를 얻었다.
이것을 1H-NMR로 수산기의 치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11)의 당 단위의 R에 있어서 수소 원자/팔미트산 에스테르 잔기/하기 식 (13-1)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의 비가 1.83/0.95/0.22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었다.
(식 중,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합성예 3-4]
합성예 2-4의 화합물 18.9g, 톨루엔 100g, 하기 식 (14)의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15.5g을 용해하고,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3% 톨루엔 용액 0.015g을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감압하 톨루엔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33.7g의 담갈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수산기의 치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11)의 당 단위의 R에 있어서 수소 원자/하기 식 (14-1)로 표시되는 1가의 기 팔미트산 에스테르 잔기/하기 식 (14-2)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의 비가 1.34/1.31/0.35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었다.
(식 중,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합성예 3-5]
합성예 1-4의 화합물 14.0g, 톨루엔 100g, 하기 식 (15)의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11.2g을 용해하고,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3% 톨루엔 용액 0.015g을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감압하 톨루엔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24.9g의 담갈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수산기의 치환 몰비를 측정한 바, 하기 식 (16)의 당 단위의 R'에 있어서 수소 원자/하기 식 (16-1)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의 비가 2.70/0.30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었다.
(R'은 R과 같다.)
[비교 합성예 1-1]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합성
γ-시클로덱스트린을 110℃에서 2시간 건조시킨 것 45g을, N-메틸피롤리돈 300g에 용해하고, 또한 나트륨메톡시드 1.12g, 메탄올 8g 용액을 첨가하고, 5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이것을 50℃로 승온한 후, 알릴브로마이드 4.0g을 적하하고, 8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반응 후, 냉각하고, 아세톤 3000g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또한 아세톤 300g으로 3회 세정한 후, 건조함으로써, 담황색 고체 39.8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은 수소기/알릴기=2.91/0.09이었다.
[비교 합성예 1-2]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합성
γ-시클로덱스트린을 110℃에서 2시간 건조시킨 것 45g을, N-메틸피롤리돈 300g에 용해하고, 또한 나트륨메톡시드 8.45g, 메탄올 25g 용액을 첨가하고, 5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이것을 50℃로 승온한 후, 알릴브로마이드 20.14g을 적하하고, 80℃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했다. 반응 후, 냉각하고, 아세톤 3000g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또한 아세톤 300g으로 3회 세정했다. 이것을 메탄올 500g에 첨가하고 교반한 후, 불용물을 여과 분리했다. 얻어진 메탄올 용액을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담황색 고체 49.2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은 수소기/알릴기=2.42/0.58이었다.
[비교 합성예 2-1]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아세틸화
비교 합성예 1-1에서 얻어진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 10.0g과, 피리딘 145g을 혼합하고, 또한, 실온하에서 무수 아세트산 93.8g을 적하했다. 이것을 승온하여 8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냉각 후 메탄올 100g을 적하한 후, 물 1,000g 중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석출물을 물 300g으로 3회 세정하고, 건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 14.2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분석한 바, 잔존 수산기는 없고, 아세틸기,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은 아세틸기/알릴기=2.91/0.09이었다.
[비교 합성예 2-2]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의 아세틸화
비교 합성예 1-2에서 얻어진 알릴기 함유 γ-시클로덱스트린 10.0g과, 피리딘 120g을 혼합하고, 또한, 실온하에서 무수 아세트산 77.9g을 적하했다. 이것을 승온하여 8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냉각 후 메탄올 100g을 적하한 후, 물 1000g 중에 첨가하여 석출시켰다. 석출물을 물 300g으로 3회 세정하고, 건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 15.1g을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분석한 바, 잔존 수산기는 없고 아세틸기, 알릴기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5)의 당 단위의 R은 아세틸기/알릴기=2.42/0.58이었다.
[비교 합성예 3-1]
비교 합성예 2-1의 화합물 14.0g, 톨루엔 70g, 및 상기 식 (13)의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9.9g을 용해하고, 또한,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3% 톨루엔 용액 0.01g을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감압하 톨루엔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23.2g의 담갈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수산기의 치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11)의 당 단위의 R에 있어서 아세틸기/하기 식 (13-1)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의 비가 2.91/0.09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었다.
(식 중,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비교 합성예 3-2]
비교 합성예 2-2의 화합물 10.0g, 톨루엔 100g 및 상기 식 (13)의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45.6g을 용해하고,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3% 톨루엔 용액 0.015g을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감압하 톨루엔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54.2g의 담갈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것에 대해, 1H-NMR로 수산기의 치환 몰비를 측정한 바, 상기 식 (11)의 당 단위의 R에 있어서 아세틸기/하기 식 (13-1)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의 비가 2.42/0.58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었다.
(식 중,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합성예 3-1∼3-5, 비교 합성예 3-1∼3-2에서 얻어진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된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소도데칸에 10질량%가 되도록 배합하고, 100℃에서 3시간 교반 후, 실온하에서 육안으로 확인했다. 겔화(증점)성에 대해 표 1에 나타냈다.
합성예 3-1∼3-5는 100℃에서 용해되었고, 실온하에서는 유동성이 없고 겔화되었다. 한편, 비교 합성예 3-1에서는, 100℃에서 용해 후, 실온하에서는 겔화되지 않고 용해된 상태, 비교 합성예 3-2에서는 100℃에서 용해되지 않았고, 실온하에서도 용해되지 않은 상태이었다.
[실시예, 비교예(안정성 평가)]
성분 (1), (3), (4)∼(10)을 혼합하고 균일 분산한 후, (2)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했다. 이것에, 성분 (11), (12) 및 (13)을 용해한 성분을 천천히 가하여 유화하고,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유중수형 유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유중수형 유화물을 유리병에 충전하고, 50℃·7일 후의 외관을 육안관찰, 및 유화 초기와의 점도 변화로 경시 안정성을 평가했다. 또한, 점도는 25℃, BM형 점도계(토키산교(주)제)(로터 No3 또는 No4, 30rpm, 1분)로 측정했다. 또한, 표 중의 배합량은 기재된 배합 제품의 배합량이다(이하, 동일).
(주1)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017(INCI: PEG-10 DIMETHICOME)
(주2)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96A-6cs(INCI: DIMETHICONE)
실시예 1∼5는 50℃·7일 후에도 유화물의 분리가 없고, 점도 변화가 없어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에 반해, 겔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이나, 비교 합성예 1, 2를 사용한 비교예 2, 3에서는, 초기 점도가 낮고, 유화물의 분리가 보였고, 저점도로 되어 버려, 경시 안정성이 뒤떨어졌다. 특히, 비교예 3에서는, 비교 합성예 2의 화합물이 유제에 불용이므로, 까칠까칠한 감촉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감촉을 손상시켜 버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된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포함하는 화장료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6; W/O형 유액]
(성분) (질량부)
1. 합성예 3-1에서 얻어진 화합물 2.0
2. 디메틸폴리실록산(동점도; 6mm2/s) 16.0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8.8
4.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5.0
5.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3) 3.0
6. 1,3-부탄디올 5.0
7. 방부제 0.1
8. 향료 0.1
9. 정제수 50.0
-----------------------------------------------------------------
합계 100.0
(주3)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017(INCI: PEG-10 DIMETHICOME)
(제조 방법)
a: 성분 1, 3, 5를 혼합하고, 80℃에서 용해한 뒤, 2, 4를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b: 성분 6∼9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a에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결과)
이렇게 하여 얻어진 유액은 기름짐, 끈적임이 없고, 보송보송한 감촉이며, 화장유지도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W/O형 유액이었다.
[실시예 7; W/O형 크림]
(성분) (질량부)
1. 합성예 3-3에서 얻어진 화합물 0.5
2. 디메틸폴리실록산(동점도; 6mm2/s) 12.0
3.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4) 2.0
4. 폴리에테르 변성 분기형 실리콘(주5) 0.5
5.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6. 시트르산 나트륨 0.2
7. 에탄올 5.0
8. 방부제 0.1
9. 향료 0.1
10. 정제수 69.6
-----------------------------------------------------------------
합계 100.0
(주4)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SG-210(INCI: DIMETHYCONE/PEG-10/15 CROSSPOLYMER)
(주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028(INCI: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제조 방법)
a: 성분 1, 2, 3을 혼합하고, 80℃에서 용해한 뒤, 3을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b: 성분 5∼10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a에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결과)
이렇게 하여 얻어진 크림은 기름짐, 끈적임이 없고, 보송보송한 감촉이며, 화장유지도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W/O형 크림이었다.
[실시예 8; W/O형 크림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부)
1. 합성예 3-3에서 얻어진 화합물 1.0
2.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6) 3.0
3.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7) 1.0
4. 디메틸폴리실록산(동점도; 6mm2/s) 3.0
5. 데카메틸펜타실록산 9.0
6.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5.0
7. 디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 2.0
8.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체(주8) 1.5
9.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분기형 실리콘(주9) 2.0
10. 실리콘 처리 산화티탄(주10) 6.9
11. 실리콘 처리 적산화철(주11) 0.38
12. 실리콘 처리 황산화철(주12) 0.6
13. 실리콘 처리 흑산화철(주13) 0.12
14. 펜틸렌글리콜 5.0
15. 염화나트륨 0.5
16. 방부제 0.1
17. 향료 0.1
15. 정제수 58.8
-----------------------------------------------------------------
합계 100.0
(주6)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SG-210(INCI: DIMETHYCONE/PEG-10/15 CROSSPOLYMER)
(주7)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017P(INCI: PEG-10 DIMETHICOME)
(주8)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MP-590(INCI: POLYMETHYLSILSESQUIOXANE)
(주9)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105(INCI: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ICONE)
(주1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TP-09W(INCI: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ICONE)
(주11)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TP-09R(INCI: IRON OXIDES, 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ICONE)
(주12)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TP-09Y(INCI: IRON OXIDES, 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ICONE)
(주13)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TP-09B(INCI: IRON OXIDES, 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ICONE)
(제조 방법)
a: 성분 1, 3, 4 및 5의 일부를 혼합하고, 80℃에서 혼합한 후, 3, 6∼8을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b: 성분 9∼13, 5의 잔부를 교반 혼합했다.
c: 성분 14∼16, 18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d: c를 a에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유화를 행했다.
e: 성분 17 및 b를 d에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결과)
이렇게 하여 얻어진 크림 파운데이션은 기름짐, 끈적임이 없고, 보송보송한 감촉이며, 화장유지도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W/O형 크림 파운데이션이었다.
[실시예 9; 크림 아이칼라]
(성분) (질량부)
1. 합성예 3-4에서 얻어진 화합물 2.0
2. 폴리에테르 변성 분기형 실록산(주14) 2.0
3. 디메틸폴리실록산(동점도; 6mm2/s) 6.5
4. 데카메틸펜타실록산 26.6
5. 트리에틸헥사노인 6.0
6.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 1.2
7. 아크릴레이트/디메틸실리콘 공중합체(주15) 1.5
8.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 처리 안료(주16) 5.0
9.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0. 시트르산 나트륨 0.2
11. 방부제 0.1
12. 향료 0.1
13. 정제수 43.8
-----------------------------------------------------------------
합계 100.0
(주14)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028(INCI: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주1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P-575(INCI: 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주16)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AES-3083(INCI: TRIETHOXYCAPRYLSILANE) 처리 안료
(제조 방법)
a: 성분 1, 2, 4의 일부, 6을 80℃에서 혼합한 후, 3, 5를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b: 성분 9∼11, 및 13을 교반 혼합했다.
c: 성분 7, 8, 및 4의 잔부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d: b를 a에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유화를 행했다.
e: 성분 12 및 c를 d에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결과)
이렇게 하여 얻어진 크림 아이칼라는 기름짐, 끈적임이 없고, 보송보송한 감촉이며, 화장유지도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크림 아이칼라이었다.
[실시예 10; 썬블록 크림]
(성분) (질량부)
1. 트리에톡시알킬실리콘 처리 산화아연(주17) 20.0
2. 알킬·폴리글리세린 공변성 실리콘(주18) 12.0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4. 디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 8.0
5. 가교형 알킬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주19) 2.0
6. 합성예 3-3에서 얻어진 화합물 1.0
7. 알킬·폴리에테르 공변성 분기 실리콘(주20) 1.0
8. 메톡시신남산 옥틸 3.0
9. 시트르산 나트륨 0.2
1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11. 방부제 0.1
12. 향료 0.1
13. 정제수 29.6
-----------------------------------------------------------------
합계 100.0
(주17)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9909(INCI: 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ICONE) 처리 산화아연
(주18)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105(INCI: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ICONE)
(주19)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SG-310(INCI: PEG-15/LAURYL DIMETHICONE CROSSPOLYMER)
(주2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038(INCI: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제조 방법)
a: 성분 3의 일부, 및 4∼8을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교반 혼합했다.
b: 성분 9∼11, 및 13을 혼합했다.
c: 성분 1∼2, 및 3의 잔부를 혼합했다.
d: b를 a에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유화를 행했다.
e: c 및 성분 12를 d에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결과)
이렇게 하여 얻어진 썬블록 크림은 기름짐, 끈적임이 없고, 보송보송한 감촉이며, 화장유지도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썬블록 크림이었다.
[실시예 11; 썬블록 유액]
(성분) (질량부)
1. 가교형 변성 실리콘(주21) 4.0
2. 합성예 3-2에서 얻어진 화합물 1.0
3. 디메틸폴리실록산(동점도; 6mm2/s) 6.0
4.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2.0
5.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22) 1.0
6. 산화티탄/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분산물(주23) 30.0
7. 산화아연/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분산물(주24) 30.0
8. 디프로필렌글리콜 3.0
9. 시트르산 나트륨 0.2
10. 방부제 0.1
11. 향료 0.1
12. 정제수 22.6
-----------------------------------------------------------------
합계 100.0
(주21)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SG-15(INCI: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주22)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KF-6017(INCI: PEG-10 DIMETHICOME)
(주23)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SPD-T5(INCI: CYCLOPENTASILOXAN, TITANIUM DIOXID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LMINUMU HYDROXIDE, STEARIC ACID)
(주24)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SPD-Z5(INCI: ZINC OXIDE, CYCLOPENTASILOXAN, TITANIUM DIOXID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제조 방법)
a: 성분 1∼5를 80℃에서 교반 혼합했다.
b: 성분 8∼10, 및 12를 혼합했다.
c: b를 a에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유화를 행했다.
d: 성분 6, 7, 11을 c에 가하고 교반 혼합했다.
(결과)
이렇게 하여 얻어진 썬블록 유액은 기름짐, 끈적임이 없고, 보송보송한 감촉이며, 화장유지도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썬블록 유액이었다.
이상으로부터,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된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배합한 화장료는 기름짐, 끈적임 등이 없고, 실리콘 오일의 특징인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이며, 또한 약효 성분이나 향료 등을 함유하는 화장료에서는, 이것들을 안정하게 배합할 수 있는 화장료인 것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하기 식 (1)

    [식 중,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 하기 식 (2)

    (식 중, R1은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n은 1∼10의 정수, a는 0∼3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 (3)

    (식 중, R2는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및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b는 독립하여 2∼16, c는 0∼300이며, *는 다른 당 단위의 수산기와 결합하는 결합손이다.)
    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X는 -CH2CH2O- 또는 -CH2CH(CH3)O-이며, m은 0 또는 1이다.]
    로 표시되는 당 단위로 구성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로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1몰 중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몰 수 NH, 탄소수 1∼8의 알킬의 몰 수 NA, 탄소수 1∼22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의 몰 수 NE,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S,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의 몰 수 NLS의 비가 NH:NA:NE:NS:NLS=0∼2.85:0∼2.85:0∼2.9:0∼2.9:0.15∼0.5(단, NH+NA+NE+NS+NLS=3.0)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1)의 당 단위가 α형 시클로덱스트린, β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γ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들 시클로덱스트린이 히드록시에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필기를 갖는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유래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 (2)에서, n=3, R1이 메틸기인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4. 당 단위를 갖는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유도체를, 알칼리 금속 존재하에서 불포화기 함유 할로겐화 화합물과, 에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수산기의 일부를 불포화기로 치환시켜,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는 공정 1,
    필요에 따라, 공정 1에서 얻어진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의 잔존하는 수산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칼리 금속 존재하에서 할로겐화 알킬에 의해 에테르화, 카르복실산 화합물과의 탈수 반응, 상당하는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의 탈염산 반응, 상당하는 산 무수물에 의해 에스테르화, 또는 하기 식 (4)

    (식 중, R1, n, a는 상기와 같다.)
    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과의 우레탄 결합 생성 반응에 의해,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치환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얻는 공정 2, 및
    공정 1에서 얻어진 불포화기 함유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치환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과,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부가 경화 촉매 존재하에서 부가반응시키는 공정 3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로서, 상기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을 화장료 중 0.05∼20질량% 함유하는 화장료.
  6. 제5항에 있어서, 또한 물을 포함하여, 에멀션의 형태인 화장료.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또한,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글리세리드유 및 자외선흡수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로서,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인 화장료.
KR1020247001588A 2021-06-18 2022-06-10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240023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01297 2021-06-18
JP2021101297A JP2023000461A (ja) 2021-06-18 2021-06-18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変性シクロデキスト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PCT/JP2022/023483 WO2022264943A1 (ja) 2021-06-18 2022-06-10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変性シクロデキスト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604A true KR20240023604A (ko) 2024-02-22

Family

ID=8452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588A KR20240023604A (ko) 2021-06-18 2022-06-10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7370A1 (ko)
JP (1) JP2023000461A (ko)
KR (1) KR20240023604A (ko)
CN (1) CN117500844A (ko)
WO (1) WO20222649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280A (ja) 2005-07-12 2007-02-01 Kwangju Inst Of Science & Technol シクロデキストリンとポリ(オキシエチレン)の結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6789A (ja) 2005-10-11 2007-04-26 Mie Univ 新規シクロデキストリン化合物
JP2009024094A (ja) 2007-07-20 2009-02-05 Mie Univ 新規シクロデキストリン化合物
JP2011529998A (ja) 2008-08-06 2011-12-15 ウニベルシダーデ デ サンティアゴ デ コンポステラ 側鎖として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有するアクリル系ハイドロゲル、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放出系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成分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3233473A (ja) 2012-05-02 2013-11-21 Neos Co Ltd シクロデキストリンポリマーを利用して媒体に含有されるハロゲン化芳香族化合物を選択的に吸着除去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6332B1 (de) * 1992-08-05 1997-02-05 Ciba-Geigy Ag Kontaktlinsen aus lipophilisierten Cyclodextrinen
DE19612658A1 (de) * 1996-03-29 1997-10-02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und Dispergierung von Pflanzenölen, die mehrfach ungesättigte Fettsäurereste enthalten, mittels gamma-Cyclodextrin sowie derart hergestellte Komplexe und ihre Verwendung
JP4781842B2 (ja) * 2006-02-23 2011-09-28 株式会社 資生堂 植物性美白剤の製造方法、植物性美白剤および美白用皮膚外用剤
WO2008108411A1 (ja) * 2007-03-06 2008-09-12 Advanced Softmaterials, Inc. ポリロタキサンおよびポリロタキサンを有する材料、架橋ポリロタキサン及び該架橋ポリロタキサンを有する材料、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280A (ja) 2005-07-12 2007-02-01 Kwangju Inst Of Science & Technol シクロデキストリンとポリ(オキシエチレン)の結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6789A (ja) 2005-10-11 2007-04-26 Mie Univ 新規シクロデキストリン化合物
JP2009024094A (ja) 2007-07-20 2009-02-05 Mie Univ 新規シクロデキストリン化合物
JP2011529998A (ja) 2008-08-06 2011-12-15 ウニベルシダーデ デ サンティアゴ デ コンポステラ 側鎖として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有するアクリル系ハイドロゲル、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放出系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成分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3233473A (ja) 2012-05-02 2013-11-21 Neos Co Ltd シクロデキストリンポリマーを利用して媒体に含有されるハロゲン化芳香族化合物を選択的に吸着除去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4943A1 (ja) 2022-12-22
EP4357370A1 (en) 2024-04-24
JP2023000461A (ja) 2023-01-04
CN117500844A (zh)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7366B1 (en) Cosmetic comprising a sugar compound obtained by reacting a saccharide, an isocyanate organopolysiloxane and an isocyanate organic compound
JP3678420B2 (ja) 粘度鉱物を有する化粧料
EP2505602B1 (en) Organopolysiloxane and cosmetic containing it
US10588849B2 (en) Cosmetic composition
EP3438159B1 (en) Organopolysiloxane, cosmetic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opolysiloxane
JP7360541B2 (ja) 化粧品組成物
JP2018002643A (ja) 化粧料
JP2009132638A (ja) 化粧料
KR20240017902A (ko)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JP5345309B2 (ja) 化粧料
JP7240345B2 (ja) 化粧料
KR20240023604A (ko) 오가노폴리실록산 변성 시클로덱스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JP7444808B2 (ja) 化粧料
WO2023203916A1 (ja) 界面活性剤、及び化粧料
WO2024106312A1 (ja) 架橋型オルガノシロキサン重合物を有する化粧料
WO2023106180A1 (ja) オイルゲル化剤及び化粧料
JP2024073352A (ja) 架橋型オルガノシロキサン重合物を有する化粧料
WO2022249985A1 (ja) オイルゲル化剤及び化粧料
WO2024038717A1 (ja) 架橋型有機ケイ素樹脂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223800A1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粉体処理剤、並びに該粉体処理剤で処理された処理粉体及び化粧料
JP2009084188A (ja) 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