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306A - 피부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의 고체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의 고체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306A
KR20240016306A KR1020237043740A KR20237043740A KR20240016306A KR 20240016306 A KR20240016306 A KR 20240016306A KR 1020237043740 A KR1020237043740 A KR 1020237043740A KR 20237043740 A KR20237043740 A KR 20237043740A KR 20240016306 A KR20240016306 A KR 20240016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istillation residue
oily extract
extrac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드릭 칸
발레리 세니조
비르지니 루께
Original Assignee
라보하뜨와 엠에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하뜨와 엠에엘 filed Critical 라보하뜨와 엠에엘
Publication of KR2024001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색을 위한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의 고체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드라이플라워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 및 헥실레소르시놀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의 고체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
본 발명은 피부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 및 헥실레소르시놀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또한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 색소 침착의 메커니즘은 표피의 기저층에 위치한 특수한 세포인 멜라닌 세포에 의한 멜라닌의 생성을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개략적으로, 이러한 메커니즘은 하기의 주요 단계를 포함한다:
티로신 → 도파 → 도파퀴논 → 도파크롬 → 멜라닌
이러한 일련의 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촉매화됨.
피부색은 주로 멜라닌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멜라닌의 유형 및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멜라닌 세포는 내부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멜라노좀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리소좀 유사 소기관에서 멜라닌을 생성할 수 있다. 성숙 후, 핵주위 멜라노좀은 미세소관 및 액틴 세포 골격을 따라 멜라닌 세포 수상 돌기의 주변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멜라닌을 함유하는 멜라노좀은 인접한 각질세포로 옮겨진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에서의 임의의 단계의 손상은 피부 색소 침착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활성 멜라닌 세포 수의 증가 및/또는 멜라닌 생성의 증가 및/또는 멜라닌 세포에서 각질세포로의 멜라노좀 이동의 증가는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적, 유전적 및/또는 호르몬 요인은 피부 및/또는 모발에서의 멜라닌의 양, 유형 및 분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상당한 미용적 및 심리적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더 어둡고/거나 더 많은 색상의 반점이 피부에 나타날 수 있으며, 보다 특히 햇빛에 노출된 특정한 사람들의 손에 나타날 수 있다. 멜라닌 세포 과다 활성으로 인한 다른 유형의 국소 과다 색소 침착은 임신 동안에 발생하는 특발성 흑미증 ("임신 가면" 또는 간반증) 또는 에스트로프로게스테론성 피임법이다. 이에 반해, 흉터가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 또는 백반증과 같은 특정한 백혈병의 경우, 피부 과소 색소 침착이 관찰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손상된 피부를 다시 착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정상 피부의 나머지 부분을 탈색하여 피부 전체가 균일한 백색 색조를 띠게 한다.
모든 이들 과다 색소 침착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효능을 갖는 무해한 국소 탈색 물질의 사용이 특히 요구된다.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하나, 특히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함으로써, 또는 멜라닌 합성 사슬에서의 화학적 화합물 중 하나의 구조적 유사체로서 삽입함으로써 (이는 이후에 사슬을 차단하여 탈색을 보장하고, 따라서 피부 미백을 보장함), 멜라닌 생성이 일어나는 표피 멜라닌 세포의 활력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고/거나, 멜라닌 생합성 단계 중 하나를 방해하는 경우, 이러한 물질은 표백 또는 탈색 작용이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젤라산, 글리콜산, n-부틸레소르시놀 (또는 루시놀), 헥실레소르시놀, 및 또한 글루타티온 및 이의 유도체와 같은 다양한 미용 활성제가 현재 이들 과다 색소 침착 문제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억제, 형성되는 멜라닌 양의 감소, 및 심지어 각질세포에서의 멜라닌 제거의 자극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용 방식을 가진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의 일부는 화상, 홍반 및 피부 건조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알려진 것만큼 효과적이지만 단점이 없는, 즉, 피부에 자극이 없고, 독성이 없고/없거나 알레르기가 없는 신규의 인간 피부 표백제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헬리크리숨 짐노세팔룸 (Helichrysum gymnocephalum) (DC) 험버트 (Humbert) 의 지상부의 다양한 드라이플라워 추출물, 특히 에탄올과 같은 용매를 사용한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물을 표백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이러한 추출물은 칼콘 또는 디히드로칼콘, 특히 짐노칼콘의 모노테르펜 유도체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FR 2970416). 흉터 및 피부 색소 침착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헬리크리숨 아레나리움 (Helichrysum arenarium) 의 (정의되지 않은) 추출물의 사용을 제안하는 WO 2007/015232, 및 헬리크리숨 브락테아툼 (Helichrysum bracteatum) 의 물-글리콜 추출물의 탈색 효과를 개시하는 CN 111973544 가 또한 언급될 수 있다. 표백 특성은 또한 헬리크리숨 안구스티폴리움 (Helichrysum angustifolium) 에센셜 오일에 기인하였다 (CN 108670926). 또한, 노화 방지 특성, 및 또한 색소 반점을 감소시키는 능력에 대해 여러 개의 상이한 드라이플라워 추출물의 조합이 제안되었다 (FR 3003167). 마지막으로, 특허 출원 WO 2019/086602 는 카페오일퀸산을 함유하는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의 꽃 꼭대기의 아임계 물 추출물이 탈색 특성을 가지며, 결점 방지 미용 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본 출원인은 이제 매우 놀랍게도, 각질세포 분화를 자극하는 특성 및 피부 장벽을 복원하는 능력에 대해 이미 알려진 또다른 드라이플라워 추출물 (WO 2019/180368) 이 낮은 농도에서도 양호한 탈색 활성을 나타내며, 동시에 충분히 용인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주제는 정확하게는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제제로서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종의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종의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제제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 중량% 내지 1 중량% 의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 및 0.001 중량% 내지 5 중량% 의 헥실레소르시놀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상기에서 언급한 미용 조성물의 미용 용도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조성물을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미용 방법이다.
본 발명은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종, 바람직하게는 코르시칸 기원의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을 사용한다.
용어 "증류 잔류물" 은 드라이플라워 식물의 임의의 부분의 하이드로증류 또는 스팀 증류 및 생성된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의 분리 후에 남아 있는 고체 잔류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은 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지상부, 특히 이의 꽃 또는 꽃 꼭대기의 하이드로증류 또는 스팀 증류 단계, 이어서 증류 또는 스팀 증류 잔류물의 회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수득된다.
이어서, 증류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은 증류 잔류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임의의 공정을 통해,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산화 질소, 디메틸 에테르, 프로판, 에틸렌 또는 메탄올과 같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증류 잔류물을 추출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의 목록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원하는 추출 속도 및 수율의 함수로서, 추출 매개변수, 특히 온도, 압력 및 유체 유속을 조정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초임계 CO2 를 사용하는 추출은 250 내지 300 bar 의 압력 및 4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출 후, 초임계 유체는 감압에 의해 기체 상태로 되돌아가서, 일반적으로 재활용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수득된 식물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추출물에 존재하는 비누화 불가능한 물질을 농축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18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 ℃ 의 온도에서 분자 증류 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분자 증류 단계 전에, 식물 추출물은 임의로 특히 해바라기유와 같은 식물 오일을 기반으로 하는 유성 용매에 희석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성 용매는 분자 증류 단계 동안에 제거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증류 잔류물을 초임계 유체,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추출하는 단계, 이어서 임의로 분자 증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수득된다.
따라서, 특히 30 중량% 내지 50 중량%, 보다 특히 35 중량% 내지 45 중량% 의 비누화 불가능한 물질, 및 1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특히 3 중량% 내지 7 중량% 의 스테롤, 본질적으로 베타-시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증류물이 수득된다.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또는 분자 증류 단계로부터 생성된 증류물은 임의로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 중량%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특히 3 중량% 내지 5 중량% 의 농도로 유성 용매에 희석될 수 있다. 미용 용도에 적합한 임의의 유성 용매, 특히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질량 분석법과 결합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을 특성화하였다. 따라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10 % 미만의 휘발성 분획을 함유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팔미톨레산, 리날룰, 네롤, 2-데센알, 2-트리데카논, 헵타데칸, 8-헵타데센, 이소부티르산, 이소발레르산, 헥사데센올, 라우르산, 펜타데칸산, 데칸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즉, 10 중량% 미만, 또는 심지어 5 중량% 미만, 또는 심지어 2 중량% 미만인) 점에서, 드라이플라워 꽃 꼭대기의 초임계 CO2 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과 조성의 관점에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추출물은 10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드라이플라워 꽃 꼭대기의 초임계 CO2 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에서 확인되지 않은 성분, 즉, 2(Z)-데센산 및 4(Z)-데센산을 함유한다.
또한, 드라이플라워 에센셜 오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스테롤, 본질적으로 베타-시토스테롤, 선형 카르복실산, C7-C10 선형,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특히 헵탄산, 옥텐산 및 데센산), 벤조산 및 C8-C18 선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에틸 에스테르 (특히 카프릴레이트, 카프레이트 및 리놀레에이트) 를 함유한다.
이것은 또한 임의의 리모넨을 함유하지 않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유성 추출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지방산 및/또는 이의 에틸 에스테르 (헵탄산, 2-옥텐산, 4-옥텐산, 노난산, 2-데센산, 4-데센산, 리놀레산) 및 벤조산을 함유한다는 점에서, 해바라기유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득된 드라이플라워 유성 추출물과 상이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폴리페놀이 적으며, 특히 디카페오일퀸산 및 칼콘이 없다.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 % 내지 1 % 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특히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즉, 미용 용도에 부적합한 임의의 따끔거림 또는 발적을 일으키지 않는 매질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에 포함된다. 이러한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상 및/또는 지방 상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특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형의 에멀젼 형태, 또는 무수 유성 조성물의 형태이다. 용어 "무수 조성물" 은 5 중량% 미만의 물,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의 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심지어 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존재하는 경우, 수성 상은 물, 및 임의로 폴리올 및 수성 겔화제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한다. 물은 유리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40 % 내지 80 %, 예를 들어 50 % 내지 70 % 를 나타낸다. 폴리올은 특히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조성물의 총 중량의 5 %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25 % 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수성 겔화제" 는 수화되어 물 분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수성 상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합체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겔화제는 다당류, 예컨대 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개질된 전분, 카라기난, 한천, 크산탄 검 및 식물 검, 예컨대 구아 검 또는 로커스트 빈 검; 합성 중합체 및 특히 임의로 가교된 나트륨 아크릴레이트 단일중합체, 및 또한 임의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량체, 유리하게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AMPS) 을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 특히 나트륨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톡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들 공중합체는 임의로 가교된다);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지방 상은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오일의 예는 분지형 알칸, 예컨대 이소도데칸, 및 선형 C10-C13 알칸이다. 특히 언급될 수 있는 비-휘발성 오일은 다음을 포함한다:
- 포화 선형 C2-C10 (바람직하게는 C6-C10) 산과 포화 선형 C10-C18 (바람직하게는 C10-C14) 모노알코올의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 포화 선형 C10-C20 산과 분지형 또는 불포화 C3-C20 (바람직하게는 C3-C10) 모노알코올의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 분지형 또는 불포화 C5-C20 산과 분지형 또는 불포화 C5-C20 모노알코올의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 분지형 또는 불포화 C5-C20 산과 선형 C2-C4 모노알코올의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산 및 모노알코올 에스테르;
- 카프릴산 및 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및 트리헵타노인과 같은 C6-C12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C10-C20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및 리놀레산);
-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C10-C20 지방 알코올 (예컨대, 옥틸도데칸올 및 올레일 알코올);
- 스쿠알란 (C30), 특히 올리브유에서 추출된 식물 스쿠알란, 및 헤미스쿠알란 (C15) 과 같은 탄화수소;
-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헥실 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알킬 카보네이트;
- 디카프릴릴 에테르와 같은 디알킬 에테르; 및
- 이의 혼합물.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식물성 오일이 언급될 수 있다.
산과 모노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는, 특히 모노에스테르, 예컨대 코코일 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 혼합물, 에틸 마카다미에이트, 시어 버터 에틸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헥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에틸헥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세토스테아릴 노나노에이트, 프로필헵틸 카프릴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에스테르는 산과 모노알코올의 디에스테르, 예컨대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및 디이소아밀 세바케이트를 포함한다.
식물성 오일의 예는 특히 밀배아유, 해바라기유, 아르간유, 히비스커스유, 고수유, 포도씨유, 참깨유, 옥수수유, 살구유, 피마자유, 시어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대두유, 스위트 아몬드유, 팜유, 유채씨유, 면실유, 헤이즐넛유, 마카다미아유, 호호바유, 알팔파유, 양귀비유, 호박유, 골수유, 블랙커런트유, 달맞이꽃유, 라벤더유, 보라지유, 기장유, 보리유, 퀴노아유, 호밀유, 홍화유, 캔들넛유, 시계꽃유, 로즈힙유, 에키움유, 카멜리나유 및 동백유이다.
지방 상은 또한 하나 이상의 지방 상 구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지방 상 구조화제" 는 특히 왁스, 지방 상 겔화제 및 페이스트성 지방 물질, 및 또한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조성물에 함유되는 오일을 증점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 이외의 하나 이상의 탈색 활성제를 함유하며, 이는 특히 식물 추출물, 특히 감초 추출물;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특히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아스코르브산 에틸 에테르,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알부틴; 페룰산; 코지산; 레소르시놀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헥실레소르시놀 및 4-(1-페닐에틸)-1,3-벤젠디올 (특히 Symrise 사에서 상표명 Symwhite 377® 로 판매됨); 살리실산, 이의 염 및 이의 에스테르; 메도스위트 및 아이리스 플로렌티나 추출물; 이칼륨 글리시리지네이트; 트라넥삼산; 엘라그산; 니아신아미드와 같은 니코틴산 유도체; 키위 과일 (악티니디아 키넨시스 (Actinidia chinensis)) 추출물 (Gattefosse 로 판매됨); 작약 뿌리 (파에오니아 수프루티코사 (Paeonia suffruticosa)) 추출물 (Ichimaru Pharcos 에서 상표명 Botanpi® Liquid 로 판매됨); 리포아미노산 (운데실렌산으로 개질된 페닐알라닌) (SEPPIC 에서 상표명 Sepiwhite® 로 판매됨);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에센셜 오일;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미용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1 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3 중량% 의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 및 0.001 중량% 내지 5 중량% 의 헥실레소르시놀을 함유한다.
헥실레소르시놀 또는 4-헥실-1,3-페닐렌디올은 하기 화학 구조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헥실레소르시놀은 이의 탈색 및 피부 보호 특성에 대해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미용 조성물에 도입되는 헥실레소르시놀은 정제되며, 레소르시놀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다 (후자의 화합물은 불안정하며, 피부에 대해 자극 효과를 가진다). 이를 위해, Sytheon 특허 EP 2 152 685 에 기재된 방법을 통해 수득된 생성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99.5 % 초과의 헥실레소르시놀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진 상용 제품 Synovea® HR 을 직접 사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Funasaka A.H. et al., J. Lipid Res. 1999), 또한 인간 지원자의 피부에 대해 표백 활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EP 2 152 685).
하기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헥실레소르시놀의 탈색 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형으로서 또는 추가로, 이러한 미용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 보습제, 각질세포 및/또는 섬유아세포의 분화 및/또는 증식 자극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 및/또는 진피표피 고정 원섬유 및/또는 탄성 섬유의 합성 자극제; 콜라겐 및/또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진피표피 고정 원섬유 및/또는 탄성 섬유의 분해 방지제; 당화 방지제;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화 방지 활성제의 예는 특히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에테르 및 에스테르, 특히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아데노신; 리보오스; 꿀 추출물; 특히 스위트 아몬드에서 추출된 단백질 및 당단백질; 특히 쌀, 히비스커스 종자 또는 루핀으로부터 유래한 가수분해된 식물 단백질; 폴리펩티드 및 슈도디펩티드, 예컨대 카르시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 (Pal-Lys-Thr-Thr-Lys-Ser) 및 팔미토일 트리펩티드-38 (특히 Sederma 에서 상표명 Matrixyl® 3000 및 Matrixyl® Synthe'6 으로 각각 판매됨), 및 팔미토일 트리펩티드-8 (Lucas Meyer 사에서 상표명 Nutrazen® 으로 판매됨), 펜타펩티드-18 (Lipotec 사에서 상표명 Leuphasyl® Solution 으로 판매됨), sh-데카펩티드-9 (Sandream 사에서 상표명 Neoendorphin® 으로 판매됨) 및 팔미토일 헥사펩티드-52 (Infinitec 사에서 상표명 X50 Myocept® Powder 로 판매됨); 메틸실란올 만누로네이트와 같은 실란; 특히 호밀 가루에서 추출된 아라비노자일란 및 특히 낙엽송에서 추출된 갈락토아라비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 특히 미모사에서 추출된 폴리페놀; 레몬에서 추출된 것 및 히비스커스에서 추출된 것 (Naturex 에서 상표명 Hibiscus acids® 로 판매됨) 을 포함하는 α-히드록시산; 워터 클로버, 야생 팬지, 쇠뜨기, 마파네 (아크멜라 올레라세아 (Acmella oleracea)), 당나귀 엉겅퀴 (오노포르둠 아칸티움 (Onopordum acanthium)), 톱풀 (아칠레아 밀레폴리움 (Achillea millefolium), 특히 BASF 사의 제품 Neurobiox® 에 함유됨), 엠벨리아 (엠벨리아 콘신나 (Embelia concinna), SEPPIC 사에서 판매됨), 백년초 (오푼티아 피쿠스 인디카 (Opuntia ficus indica), 특히 Mibelle AG Biochemistry 에서 상표명 AquaCacteen® 으로 판매됨), 세이지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Salvia officinalis), 특히 Provital Group 에서 판매됨), 비텍스 네군도 (Vitex negundo) (특히 Laboratoires Expanscience 에서 상표명 Neurovity® 로 판매됨), 밤나무, 파파야, 아르간, 귀리, 해바라기, 데이지, 모란 또는 딜과 같은 식물의 추출물 (일반적으로 수성); 특히 산호초, 가느다란 구슬 산호초, 운가리아 핀나티파다 (Ungaria pinnatifada), 알라리아 에스쿨렌타 (Alaria esculenta) 또는 난노클로로시스 오쿨라타 (Nannochlorosis oculata) 의 수성 해초 추출물; 특히 머틀의 에센셜 오일; 아연 및/또는 구리 글루코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지방 상 및/또는 수성 상에 분산될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단, 이들은 피부에 대한 국소 적용에 적합해야 한다.
따라서, 이것은 하나 이상의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화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임의로 폴리에톡시화된 소르비탄 에스테르, 글리세롤의 임의로 폴리에톡시화된 지방산 에스테르, 당의 지방 알코올 에테르, 예컨대 알킬 글루코시드, 및 이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유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2 % 내지 10 %, 및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6 % 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유리하게는 다공성 또는 중공,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형태인 하나 이상의 분말형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마이크로입자는 원칙적으로 실질적으로 구형이다. 이들 충전제는 특히 하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 다당류 분말 및 특히 천연 전분, 개질된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아크릴 중합체 분말; 코랄리나 오피시날리스 (Corallina officinalis) 와 같은 건조된 조류 분말과 같은 유기 충전제;
- 실리카, 점토, 진주석 및 활석과 같은 광물 충전제;
- 및 이의 혼합물.
광물 충전제로서 사용하려면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이들 충전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중량% 내지 5 중량% 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특히 청색광 및/또는 UVA 및/또는 UVB 에서 활성인 유기 및/또는 무기 광보호제; 오염 방지 보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다당류 기반 필름 형성 중합체, 예컨대 Solabia 에서 상표명 Pollustop® 및 Solashield® 로 판매되는 제품; 방향제; 항산화제; 격리제; pH 조정제; 방부제; 안료; 착색제;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형태, 특히 밀크, 크림, 유체, 로션, 젤, 페이스트, 오일 또는 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리브-온 조성물, 특히 스킨케어 조성물이다.
변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스킨케어, 특히 얼굴 및 가능하게는 신체에 사용되는 린스-오프 조성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이것은 마스크 또는 각질 제거 페이스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환경적인 요인, 특히 색소 반점, 간반 및/또는 흉터 또는 여드름 자국으로 인한 색소 침착 결함에 의해 매개되는 피부색 불균일성을 갖는 사람들의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해당 부위를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통일하는 관점에서, 신체의 적어도 한 부위, 및 보다 특히 얼굴, 목선, 목, 팔, 손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적용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하루에 한 번 또는 여러 번, 예를 들어 아침 및/또는 저녁에 적용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피부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 중량% 의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0.5 내지 5 mg/㎠ 의 양의 미용 조성물이 매일 해당 피부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
도 1 은 2 개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마우스 B16 멜라닌 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의 억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과를 예시한다.
도 2 는 2 개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마우스 B16 멜라닌 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의 억제에 대한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의 유성 추출물의 효과를 예시한다.
도 3 은 이들 2 개의 활성제 및 2 개의 양성 대조군 각각과 비교하여, 마우스 B16 멜라닌 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의 억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과 헥실레소르시놀의 조합의 효과를 예시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순수하게 예시로서 제공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닌 하기의 실시예에 비추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 추출물의 제조 및 특성화 - 꽃 꼭대기의 유성 추출물과의 비교
1.1 - 추출물의 제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의 꽃 꼭대기의 하이드로증류에 의해 제조한 후, 하이드로증류 잔류물 (증류 잔류물) 을 분리하고, 60 ℃ 의 온도 및 285 bar 의 압력에서 초임계 CO2 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한 비누화 불가능한 물질을 해바라기유에 희석시킨 후, 200 ℃ 에서 분자 증류 단계에 적용하고, 생성된 증류물을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에 3-5 중량% 로 희석시켜 표준화시켰다.
이 추출물의 폴리페놀 조성을 다음과 같이 수득한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의 유성 추출물의 조성과 비교하였다: 10 ℃ 로 냉각된 용기에서, 9 중량% 의 건조 및 분쇄된 식물 분말 (꽃 꼭대기) 을 91 % 의 초음파 탈취된 해바라기유와 혼합하였다. 5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초음파 하에서 30 min 동안 추출을 수행하였다. 0.4 L/min 의 질소 흐름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추출을 계속하였다. 수득된 고체 및 액체 유성 상을 경사 분리에 의해 분리한 후, 유성 상을 여과하고,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저장하고, 빛으로부터 보호하였다.
1.2 - 폴리페놀의 특성화
물질
-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Agilent Technologies, USA)
- 1290 시리즈 자동 주입기
- 1260 시리즈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DAD)
- 질량 분석기: 전기분무 이온화 (ESI) 소스가 장착된 Esquire 6000 (Bruker Daltonics, Bremen).
샘플의 제조
2 g 의 증류 잔류물 추출물을 1 mL 의 헥산에 용해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유성 용액을 2 mL 의 MeOH/H2O 혼합물 (60/40) 로 3 회 추출하였다. 이어서, MeOH/H2O 상을 모으고, MeOH/H2O 혼합물 (60/40) 에 1/2 로 희석시켰다.
분석 방법
희석/추출 후에 수득된 용액을 PTFE 필터 (0.45 ㎛) 를 통해 여과한 후, 25 ℃ 에서 유지한 온도 및 0.4 mL/min 의 유속으로 Agilent C18 컬럼 (2.1 mm × 100 mm; 1.8 ㎛) 상에 주입하였다 (1 μL). 사용된 용매는 A = H2O/HCOOH (0.1 %) 및 B = ACN/HCOOH (0.1 %) 였다. 폴리페놀 용리 구배는 다음과 같았다:
[표 1]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나올 때, 용리액을 질량 분석기에 주입하였다. 분석은 음성 또는 양성 모드로 수행하였다.
100 내지 1400 의 전체 질량 범위 (m/z) 에 걸쳐 LC-MS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이어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Hystar version 3.0 software 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표 2]
1.3 - 칼콘의 특성화
상기에서 기술한 증류 잔류물 추출물에서 4 가지 칼콘 (린데라틴, 린데라칼콘, 메틸-린데라틴, 짐노칼콘) 의 존재를 1H/13C HSQC 스펙트럼에 의한 2D NMR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물질 및 방법: 분취량의 증류 잔류물 추출물 (15 mg) 을 700 μL 의 DMSO-d6 에 용해시키고, 298 Kelvin 에서 2D NMR 에 의해 분석하였다.
Cryoprobe® NMR 프로브가 장착된 Bruker Avance AVIII-600 분광계를 사용하여 2D NMR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NMR 값을 ACD Labs software 를 사용하여 계산한 것과 비교하였다.
결과: 샘플에서 칼콘이 검출되지 않았다.
1.4 - 다른 성분의 특성화
병행하여, 상기 2 가지 추출물, 및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한 추출물에서 다양한 유기 화합물의 존재를 평가하였지만, 하이드로증류 잔류물에 대해서가 아니라, 드라이플라워 꽃 꼭대기에 대해서 수행된 공정을 사용하였다.
물질
- Trace GC Ultra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ThermoElectron SAS)
- 질량 분석기: El 모드로 사용되는 El LT Large T ISQ Mass Spectrometer (ThermoElectron SAS)
샘플의 제조
0.3 g 의 추출물을 6 mL 의 이소옥탄에 희석시켜 샘플을 제조하였다. 0.6 mL 의 메탄올성 수산화 칼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초 동안 와동시켰다.
1 g 의 NaHSO4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초 동안 와동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침강시켜 분리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해 상청액의 상부 부분을 채취하였다.
분석 방법
샘플을 하기 조건하에서 분석하였다:
TR WAX 60 m × 0.25 ㎛ × 0.25 mm 극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H2 유속: 1 mL/min
오븐 프로그램: 50 ℃ (2 min), 이어서 10 ℃/min 로 250 ℃ 까지 (18 min)
분할 비율: 100
주입 부피: 1 μL
인젝터 온도: 250 ℃
질량 범위: 50-650 amu
결과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추출물은 리모넨을 함유하지 않고, 훨씬 더 많은 β-유데스몰을 함유하며, 드라이플라워 꽃 꼭대기의 유성 추출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지방산 및/또는 이의 에틸 에스테르 (헵탄산, 2-옥텐산, 4-옥텐산, 노난산, 2-데센산, 4-데센산 및 리놀레산) 및 벤조산을 함유한다는 점에서, 꽃 꼭대기의 유성 추출물과 상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잔류물 추출물은 특히 10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지 않고, 존재하더라도 훨씬 적은 양의 테르페노이드 (특히 모노테르펜 및 세스퀴테르펜) 를 함유하며, 특히 네롤 및 리날룰이 없고, 존재하더라도 훨씬 적은 양의 중급 알칸 (1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 을 함유하며, 팔미톨레산, 이소부티르산 및 이소발레르산, 2-데센알 및 헥사데센올이 없다는 점에서, 꽃 꼭대기의 초임계 CO2 추출물과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잔류물 추출물은 꽃 꼭대기의 초임계 CO2 추출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징적인 분자, 즉, (2)-(Z)-데센산 및 4-(Z)-데센산을 함유한다.
실시예 2 : 멜라닌 생성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의 영향
실시예 1 에서 기술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 및 꽃 꼭대기의 유성 추출물을 시험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2.1 - 물질 및 방법
멜라닌 세포 (마우스 계통 B16) 를 10 % 우태 혈청, 2 mM 글루타민,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및 100 ㎍/ml 노르모신을 함유하는 페놀 레드-비함유 DMEM 배지에서 웰 당 2000 개의 세포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다음날, 세포를 0.1 μM 의 NDP-MSH 로 처리하여 색소 침착을 유도하였다. 시험 조건하에서, NDP-MSH 의 존재하에, 3 mM 의 코지산 및 0.5 % 의 비타민 C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를 색소 침착 억제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으며, 평가할 추출물을 여러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모든 조건은 3 회 시험하였다. 세포를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의 존재하에서 72 h 동안 37 ℃, 5 % CO2 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XTT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으며, 비-세포독성 조건 (생존율이 미처리 대조군의 생존율의 85 % 를 초과) 에서만 멜라닌 양을 분석하였다.
멜라닌 분석을 위해, 각각의 웰에서의 배지를 흡인하고, 50 ㎕ 의 1 M NaOH 를 세포 론에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30 분 동안 진탕시킨 후, 용해물을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95 ℃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용해물을 2000 rpm 으로 원심 분리하여 세포 잔해를 제거하였다. 각각의 웰에서의 멜라닌의 양을 반영하여 상청액의 흡광도를 405 nm 에서 판독하고, 각각의 조건에 대해 3 회 반복의 평균을 결정하였다. NDP-MSH 로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웰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으며, 이의 OD 값을 다른 웰의 모든 OD 값으로부터 공제하였다. 이어서, 하기 공식에 따라서 멜라닌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100 - ((시험 조건에서의 멜라닌 양 / 미처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양) × 100)
one-way Anova 시험 (증류 잔류물 추출물 및 꽃 꼭대기의 유성 추출물에 대해) 또는 Student's t 시험 (코지산 및 비타민 C 에 대해) 을 사용하여 결과의 중요성을 평가하였다.
2.2 - 결과
도 1 및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지산 및 비타민 C 의 효능을 입증함으로써 시험을 검증하였다 (***p<0.001; ****p<0.0001).
도 1 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이 0.05 % 의 농도 이상에서 투여량 의존적으로 멜라닌 세포 색소 침착을 상당히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0.1 % 에서 ****p<0.0001; 0.05 % 에서 *p<0.05). 0.1 % 의 농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잔류물 추출물은 화장품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백 활성제를 구성하는 비타민 C 의 최고 농도보다 훨씬 더 높은 효능을 가진다. 이의 효능은 벤치마크 탈색제인 코지산과 비슷하지만, 알레르기 및 자극의 심각한 위험을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이 피부 미백을 위해 선택된 미용 활성제를 구성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에 비해, 도 2 는 드라이플라워 꽃 꼭대기의 유성 추출물의 색소 침착에 대한 효과가 대조군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 멜라닌 생성에 대한 헥실레소르시놀과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의 조합의 영향
헥실레소르시놀을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에 첨가하여, 실시예 2 에서 기술한 시험을 반복하였다. 예비 세포독성 연구는 세포에 적용될 수 있는 최대 비-세포독성 투여량, 즉, 헥실레소르시놀의 경우 10 ㎍/mL 및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의 경우 1 % 를 정의하였다. 이들 2 가지 활성제를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 추출물의 경우 0.035 % 및 헥실레소르시놀의 경우 5 ㎍/mL 의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결과를 동일한 투여량으로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단독 및 헥실레소르시놀 단독으로 수득한 효과와 비교하였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지산 및 비타민 C 의 효능을 입증함으로써 시험을 검증하였으며 (****p<0.0001), 헥실레소르시놀의 탈색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한 조합은 2 가지 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색소 침착을 더 강력하게 억제한다. 이 효능은 미처리 대조군 뿐만 아니라, 동일한 농도로 단독으로 사용된 각각의 활성제와 크게 다르다 ("one-way Anova 시험", $$ p<0.01 대 증류 잔류물 추출물; Δ p<0.05 대 헥실레소르시놀).
따라서, 이 시험은 멜라닌 생성에 대한 헥실레소르시놀의 영향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상당히 강화된다는 것을 입증하며, 이는 예상하지 못했다.
실시예 4 : 미용 조성물
하기의 성분을 지시된 중량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방식으로 하기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핸드 크림
오일 10-15 %
폴리올 20 %
시어 버터 5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5 %
공-유화제 1.5-2 %
분말형 충전제 2-5 %
수성 겔화제 1-2 %
헥실레소르시놀 0.5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0.1 %
드라이플라워의 에센셜 오일 0.001 %
아데노신 0.04 %
항산화제 qs
방향제 qs
물 qs 100 %
얼굴 및 바디 오일
오일
지방산 에스테르 50-60 %
식물성 오일 15-20 %
알칸 10-15 %
분지형 지방 알코올 10-20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0.05 %
항산화제 qs
방향제 qs

Claims (17)

  1.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제제로서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종의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10 % 미만의 휘발성 분획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2-(Z)-데센산 및 4-(Z)-데센산을 포함하는 선형, 포화 또는 불포화 C7-C10 카르복실산; 및 선형, 포화 또는 불포화 C8-C18 지방산의 에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 3 항에 있어서, 선형, 포화 또는 불포화 C7-C10 카르복실산이 헵탄산, 옥텐산 및 데센산을 포함하고; 선형, 포화 또는 불포화 C8-C18 지방산의 에틸 에스테르가 에틸 카프릴레이트, 카프레이트 및 리놀레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스테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 5 항에 있어서, 스테롤이 주로 베타-시토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종의 드라이플라워가 코르시칸 기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증류 잔류물을 초임계 유체,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추출하는 단계, 이어서 임의로 분자 증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8 항에 있어서, 추출 및 임의로 분자 증류에 의해 수득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유성 용매에 희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제 8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이 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지상부, 특히 이의 꽃 또는 꽃 꼭대기의 하이드로증류 또는 스팀 증류 단계, 이어서 증류 또는 스팀 증류 잔류물의 회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얼굴, 목선, 목, 팔, 손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피부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이 환경적인 요인, 특히 색소 반점, 간반 및/또는 흉터 또는 여드름 자국으로 인한 색소 침착 결함에 의해 매개되는 피부색 불균일성을 갖는 사람들의 피부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4.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 중량% 내지 1 중량% 의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 및 0.001 중량% 내지 5 중량% 의 헥실레소르시놀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15. 제 14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제 14 항에 따른 조성물의 미용 용도.
  16. 헬리크리숨 이탈리쿰 (Helichrysum italicum) 종의 드라이플라워 증류 잔류물의 유성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제제.
  17. 제 14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표백하고/하거나 안색을 밝게 하고/하거나 피부색을 균질화하고/하거나 색소 반점의 출현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미용 방법.
KR1020237043740A 2021-06-03 2022-05-13 피부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의 고체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 KR20240016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05840 2021-06-03
FR2105840A FR3123568B1 (fr) 2021-06-03 2021-06-03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huileux de dreches d'immortelle comme agent eclaircissant de la peau
PCT/FR2022/050914 WO2022254116A1 (fr) 2021-06-03 2022-05-13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huileux de dreches d'immortelle comme agent eclaircissant de la p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306A true KR20240016306A (ko) 2024-02-06

Family

ID=7680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740A KR20240016306A (ko) 2021-06-03 2022-05-13 피부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의 고체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46863A1 (ko)
KR (1) KR20240016306A (ko)
CN (1) CN117412760A (ko)
FR (1) FR3123568B1 (ko)
WO (1) WO2022254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3756A1 (fr) * 2022-03-24 2023-09-29 Laboratoires M&L Utilisation cosmétique d’une combinaison d’extraits d'immortelle pour réduire la visibilité des pores cutané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17422C (en) 2005-08-01 2014-01-07 Hawk Medical Technologies Ltd. Fluid, method, and device for eradication of pigmentation and scar tissue
US20080305059A1 (en) 2007-06-06 2008-12-11 Chaudhuri Ratan K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R2970416B1 (fr) 2011-01-18 2013-02-22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Nouveaux derives monoterpeniques de chalcone ou dihydrochalcone et leur utilisation comme depigmentants
FR3003167B1 (fr) 2013-03-15 2015-03-27 M & L Lab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et son utilisation
US10166412B2 (en) * 2014-12-30 2019-01-01 Conopco, Inc. Skin ligh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4-hexylresorcinol and ilomastat
US9956151B2 (en) * 2015-03-05 2018-05-01 Avon Products, Inc. Methods for treating skin
FR3072874B1 (fr) 2017-11-02 2020-11-20 Laboratoire Phenobio Extrait particulier de plantes a parfums, aromatiques et medicinales, procede d'obtention, compositions l'incluant et utilisations
FR3079144B1 (fr) * 2018-03-20 2020-12-25 Laboratoires M&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huile essentielle d'immortelle et un extrait huileux de dreches d'immortelle
CN108670926A (zh) 2018-07-09 2018-10-19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湿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
CN111973544A (zh) 2019-12-05 2020-11-24 上海遇鑫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肌肽紧致提拉面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6863A1 (fr) 2024-04-10
FR3123568B1 (fr) 2023-06-09
CN117412760A (zh) 2024-01-16
WO2022254116A1 (fr) 2022-12-08
FR3123568A1 (fr)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096B1 (ko) 하나 이상의 뽕나무 추출물, 하나 이상의 골무꽃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살리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
AU681805B2 (en) Product for topical application containing a lipase and an active ingredient precursor
KR102318173B1 (ko) 임모르텔의 에센셜 오일 및 임모르텔 껍질의 유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0970544B1 (ko)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EP1255531B1 (en) Tanning preparation for the skin
US10532023B2 (en) Camellia japonica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WO2009157575A1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老化剤および抗酸化剤
JP2004067676A (ja) 少なくとも一つのマレイン酸無水物コポリマー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少なくとも一つの酸化感受性親水性活性物質を含む組成物の美容用及び/または皮膚科学用の使用
KR101920617B1 (ko) 마돈나 백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287242B1 (ko) 탈색제로서의옥사메이트유도체의용도
KR100825628B1 (ko)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40016306A (ko) 피부 미백제로서의 드라이플라워의 고체 잔류물로부터의 유성 추출물의 미용 용도
JP2003300815A (ja) テトラヒドロクルクミノイドとアミド油の組み合わせを含む化粧品用又は皮膚用組成物
KR101919745B1 (ko) 마돈나 백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60124044A (ko) 피부세포 재생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544159B1 (ko)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을 함유한 나노 에멀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5064681A1 (ja) 外用組成物
JP2006504699A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及びフィルターを含む化粧品または皮膚科用組成物
JP2024520672A (ja) 皮膚増白剤としての、イモーテルの蒸留残渣からの油性抽出物の美容的使用
KR20010062535A (ko)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및 아르부틴 또는그의 유도체 및/또는 엘라직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EP3068496B1 (fr) Composition huileuse a base d&#39;extraits lipophiles de rose de porcelaine et de jacinthe d&#39;eau
KR100364314B1 (ko) 탈색제로서 미발효된 당밀의 용도
WO2024104797A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39;un extrait d&#39;immortelle comme agent éclaircissant de la peau
WO2023073550A1 (en) Oxidizer and acid based system and regimen for enhancing skin appearance
WO2023156068A1 (en) Antioxidant compo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