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507A - 밀봉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시트상 복합 재료와 용기 전구체 - Google Patents

밀봉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시트상 복합 재료와 용기 전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507A
KR20240012507A KR1020237044199A KR20237044199A KR20240012507A KR 20240012507 A KR20240012507 A KR 20240012507A KR 1020237044199 A KR1020237044199 A KR 1020237044199A KR 20237044199 A KR20237044199 A KR 20237044199A KR 20240012507 A KR20240012507 A KR 2024001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container
adhesive
apex
separation memb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 루
쑤웨 루
페이 첸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지 콤비블록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지 콤비블록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스아이지 콤비블록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79Joints, seams, leakproof joints or corners, speci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4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areas coated with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밀봉 용기, 시트상 복합 재료, 용기 전구체 및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밀봉 용기(100)는 꼭대기부(101), 꼭대기부 접착부(102), 보조 분리 부재(105), 복합층 및 바닥부(107)를 포함한다. 꼭대기부(101)는 꼭대기표면 및 제1 구역(103)을 포함한다.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서로 접착되어 완전히 중첩된다. 보조 분리 부재(105)는 제1 구역(103)와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에 개재된다. 복합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한다. 바닥부(107)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밀봉 용기(100)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밀봉 용기(100)는 그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되면,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분리될 수 있어, 밀봉 용기(100)가 파열되거나 그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봉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시트상 복합 재료와 용기 전구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모든 목적을 위해, 본 출원은 2021년 5월 21일에 출원된, 명칭이 "밀봉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시트상 복합 재료와 용기 전구체"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110559783.7호에 기초하며 이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출원의 일부로서 그 전체가 인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밀봉 용기, 시트상 복합 재료, 용기 전구체 및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은 전체 유통 과정에서 하역, 운송 및 보관 등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식품 포장(food packaging)은 식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식품 상품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다. 식품 포장은 식품 상품이 포장 공장을 떠나 소비자의 손에 도달하는 유통 과정까지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 외부 요인으로 인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식품 포장은 식품 자체의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식품 포장의 미적 및 실용적 설계는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역할도 하며, 이 설계는 식품 식용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식품 포장의 미적 외관에도 반영되며, 그 내부에 포장된 식품 이상의 가치를 지니므로, 식품 포장 공정도 식품 제조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예를 들어, 식품 포장에는 적층 재료로 제작된 용기가 포함되며, 이 적층 재료에는 외부 폴리머층, 용기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 종이판 또는 종이로 구성된 캐리어층, 접착 보조제층, 차단층 및 내부 폴리머층이 포함된다. 장식 또는 인쇄 패턴은 식품 포장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러한 장식 또는 인쇄 패턴은 적층 재료로 형성된 용기에 보관할 식품 성분 및 사용 지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장식 또는 인쇄 패턴은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밀봉 용기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꼭대기표면(頂表面) 및 상기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頂部); 및 상기 꼭대기부와 연결되는 꼭대기부 접착부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서로 접착되어 완전히 중첩되고, 상기 밀봉 용기는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상기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밀봉 용기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상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와 상기 꼭대기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흔적선(痕迹線)이 구비되고, 상기 흔적선을 따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꼭대기부에 대해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키는 위치로 절첩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상기 흔적선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평면 형상은 제1 꼭지각을 포함하는 제1 다변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꼭지각의 꼭짓점은 상기 흔적선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점이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평면 형상은 제2 꼭지각을 포함하는 제2 다변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꼭지각의 꼭짓점은 상기 흔적선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점이고, 상기 제1 다변형과 상기 흔적선 사이의 최단 거리가 제1 거리이고, 상기 제2 꼭짓점에서 상기 흔적선까지의 최단 거리가 제2 거리이고,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점상 패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격자 패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면적이 상기 제1 구역의 면적의 5% 내지 80%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는 기둥형이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가 상기 꼭대기부의 상기 측표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는 2개의 대향 설치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와 상기 제1 구역 사이에만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꼭대기부 밀봉부 및 바닥부 밀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가 상기 바닥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보다 작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용기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제2 접착제가 더 개재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상기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밀봉 용기는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상기 밀봉 용기의 내부를 외부 환경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설정 온도가 상기 제2 설정 온도보다 낮거나 같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시트상 복합 재료를 더 제공하며,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제1 복합 구역 및 제2 복합 구역을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구역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열밀봉층, 지지층 및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합 구역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조 분리 부재, 상기 제1 열밀봉층,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제1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종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1 경계 에지 및 횡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2 경계 에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과 상기 횡방향은 직교하고,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折痕線) 및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를, 바닥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바닥부 구역; 꼭대기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꼭대기부 구역; 및 상기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구역으로 나누고,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계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頂端) 부분; 및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頂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상기 종방향과 상기 횡방향 모두에 대해 기울어지며 상기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비스듬한 절흔선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비스듬한 절흔선은 상기 제2 경계 에지 중 하나의 제2 경계 에지를 향하는 제1 단부 및 연속 라인을 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 라인은 상기 횡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의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스듬한 절흔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 부분과 함께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의 날개편(翼片) 구역을 획정하고, 상기 날개편 구역은 꼭대기부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여기에서, 상기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상기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에 대하여 상기 날개편 구역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함께 절첩 라인을 한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종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구역은 제1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편 구역은 상기 꼭대기부 구역과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은 서로 접착 가능하고 완전히 중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된 상기 날개편 구역 및/또는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복합 구역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시트상 복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 구역에서, 상기 제2 열밀봉층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열밀봉층의 일측에는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용기 전구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용기 전구체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시트상 복합 재료 및 종방향 이음매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이음매는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의 2개의 상기 제1 경계 에지를 연결하여 사방을 감싸는 용기 전구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에 의해 덮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 구역의 외표면과 상기 날개편 구역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접착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상기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제조 방법은,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켜 완전히 중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바닥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상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40℃ 내지 70℃인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가 상기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며, 이하 설명의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만 관련된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음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꼭대기부 및 꼭대기부 접착부를 분해한 후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분리 부재와 제1 구역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분리 부재와 꼭대기부 접착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분리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가 분리 상태에 있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8aa는 도 8a의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O-O'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8ba는 도 8b의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O-O'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8ca는 도 8c의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O-O'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시트상 복합 재료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시트상 복합 재료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얻은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도 9a의 시트상 복합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용기 전구체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꼭대기부 접착부와 보조 분리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꼭대기부 접착부와 보조 분리 부재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일부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기술 또는 과학 용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통상적인 의미를 가져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임의 순서, 수량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상이한 구성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포괄" 또는 "포함"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그 단어 앞에 출현한 요소 또는 물건이 그 단어 뒤에 출현하여 나열된 요소 또는 물건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함을 의미하며, 이는 다른 요소 또는 물건을 배제하지 않는다. "연결" 또는 "서로 연결"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에 국한되지 않으며,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위", "아래", "상", "하" 등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에만 사용되며, 설명하는 대상의 절대적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상대적인 위치 관계도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식품을 가열하면 빠르고 조작성이 강하며 안전성이 높고 위생적인 장점 등이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식품을 가열한다. 실제 조건의 제약으로 인해, 식품을 전자레인지용 용기에 옮기는 것이 편리하지 않고, 포장을 뜯지 않고 포장된 식품을 직접 가열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전자레인지용 재료를 사용하여 식품의 포장을 형성해야 한다. 상기 전자레인지용 재료에는 비금속 재료가 포함되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여 제1 필름층을 형성한 후, 제1 필름층에 무기 금속 산화물을 도금하여 식품의 포장재료를 형성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알루미늄을 대체하여 식품의 식품 포장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식품의 종류가 너무 많아, 일부 식품은 포장을 개봉한 후 가열하고 일부 식품은 개방된 용기에 옮겨 가열하기 때문에, 먼저 가열한 음식의 냄새가 전자레인지에 일부 남는 것은 불가피하다. 나중에 가열하는 식품도 포장을 개봉한 후 가열하는 경우, 나중에 가열하는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거나, 일부 식품은 포장을 개봉한 후 가열하는 과정에서, 전자레인지 지지판의 회전으로 인해 식품이 튀어, 한편으로는 전자레인지를 오염시키거나 손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식품이 낭비되므로, 포장 안에 밀봉된 식품을 전자레인지로 직접 가열할 필요가 있다.
밀봉 용기의 밀봉성이 매우 우수하고, 밀봉 용기에 통상적으로 식품이 완전히 채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밀봉 용기에 일부 가스가 남거나, 액상 식품이 담긴 밀봉 용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밀봉 용기에 남아 있는 가스 및/또는 가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는 통상적으로 가열 과정이 계속됨에 따라 밀봉 용기를 팽창시킬 수 있다. 가열 과정이 끊임없이 계속되고 밀봉 용기 내부 압력이 밀봉 용기가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압력 임계값에 도달하면, 밀봉 용기가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파열되거나 또는 튀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발명자는, 보조 분리 부재를 밀봉 용기에 포함된 꼭대기부의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밀봉 용기의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즉 꼭대기부 접착부가 꼭대기부로부터 튀어나오기 더욱 쉽게 함으로써,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열을 받을 때 압력을 완화시키는 공간을 제공하여,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또한 올려진 귀 날개는 알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즉 귀 날개가 올려지면 가열 온도가 임계값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며, 소비자가 밀봉 용기의 가열을 중단하고 밀봉 용기를 꺼내도록 알릴 수 있다. 밀봉 용기 가열 시간이 연장되고, 밀봉 용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그 꼭대기부 및 꼭대기부 접착부가 분리될 수 있고, 가열 과정이 계속됨에 따라, 밀봉 용기가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여, 밀봉 용기 내의 가스(포장 시 잔류 가스 및/또는 가열 과정에서 형성된 수증기 포함)가 압력 방출 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밀봉 용기 안팎의 압력차를 감소시키므로, 밀봉 용기가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는, 밀봉 용기에 포함된 꼭대기부의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된 보조 분리 부재는, 소비자가 전자레인지 가열 전에 더욱 쉽게 수동으로 꼭대기부 접착부를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로부터 당겨 열어, 압력을 완화하는 공간을 미리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밀봉 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밀봉 용기에는 꼭대기부 및 꼭대기부 접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꼭대기부는 꼭대기표면 및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고, 꼭대기부 접착부는 꼭대기부와 연결되고, 여기에서,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는 서로 접착되어 완전히 중첩되고, 밀봉 용기는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밀봉 용기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꼭대기부의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밀봉 용기가 가열될 때, 밀봉 용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그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가 분리된 후, 가열 과정이 계속됨에 따라 밀봉 용기가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여, 밀봉 용기 내의 가스를 압력 방출 개구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밀봉 용기 안팎의 압력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밀봉 용기가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용기의 내용물은 유체일 수 있고,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된 고체 성분일 수도 있으며, 수분이 함유되지 않는 고체 성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용기(100)는 꼭대기부(101), 꼭대기부 접착부(102), 바닥부(107) 및 보조 분리 부재(도 1에 미도시)를 포함하고,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꼭대기부(101)와 연결된다. 바닥부(107)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밀봉 용기(100)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기울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꼭대기부(101)는 꼭대기표면 및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고, 제1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서로 접착되어 완전히 중첩되고,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꼭대기부(101)의 측표면에 위치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밀봉 용기(100)의 꼭대기표면에 위치하며 꼭대기부(101)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밀봉 용기(100)의 외부 윤곽 형상은 직육면체이고, 상기 직육면체 밀봉 용기는 벽돌형의 박스 용기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밀봉 용기의 외부 윤곽 형상은 원기둥체, 정육면체, 면수가 6보다 큰 다면체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서로 접합(fit)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므로, 도시의 편의성을 위해, 도 1에서 점선 삼각형(이 점선은 절단선 A-A'를 고려하지 않음)으로 도시된 부분을 일부분의 꼭대기부(101)로 표기하고, 실선 삼각형 MNH로 도시된 부분을 꼭대기부 접착부(102)로 정의하고,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꼭대기부(101) 위에 위치하고, 꼭대기부 접착부(102)와 꼭대기부(101)는 연결 지점에서 하나의 밑변을 공유한다.
꼭대기부(101)는 전체 밀봉 용기의 부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 횡단면 D-E-F-G 위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101)는 도 1에서 직육면체의 하나의 직사각형 측표면의 상단에 위치한 부분일 수 있고, 상기 꼭대기부(101)는 도 1에서 직육면체의 꼭대기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도 있고, 상기 꼭대기부(101)는 도 1에서 직육면체의 하나의 직사각형 측표면의 상단에 위치한 일부분일 수도 있고, 도 1에서는 점선 삼각형으로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는 꼭대기부 밀봉부 및 꼭대기부 밀봉부에 가까운 일부 구역을 포함하되,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시에 있어서,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도 1의 직육면체에서 기둥형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일 수 있고, 도 1에서 직육면체의 한 표면과 접합되고 꼭대기표면, 하나의 측표면과 모두 동일 선상에 있는 어느 하나의 다변형 부분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삼각형 구역(102), 즉 삼각형 MNH로 도시된 구역만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꼭대기부(101)의 평면 형상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평면 형상은 모두 삼각형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상이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평면 형상은 각각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톱니형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인 것은 수평인 면 사이의 협각이 30도 이내인 평면을 지칭하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은 밀봉 용기가 정지하거나 수평면 상에서 회전하는 지지 평면 상에 거치되었을 때, 밀봉 용기 꼭대기부가 개방되더라도, 밀봉 용기 내부의 제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음을 의미함에 유의한다.
또한 밀봉 용기의 바닥부는 바닥부의 중간 구역의 일부가 꼭대기부에 가까운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외주 에지의 일부가 동일한 평면에 있는 구조일 수 있고, 바닥부의 중간 구역의 일부 또는 중간 구역에 가까운 일부가 꼭대기부에서 먼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2개의 평면이 압착되어 있고, 압착된 평면의 두께가 너무 얇아, 바닥부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구조로 간주될 수도 있고, 또는 바닥부의 중간 구역의 일부가 꼭대기부에 대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며, 에지의 일부에 적어도 일부 구역이 꼭대기부에 가까운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꼭대기부에서 먼 일측을 향해 돌출되는 것일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바닥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위치할 때, 밀봉 용기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이 충족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2는 도 1의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가 분해된 후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101)는 제1 구역(103)을 포함하고,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서로 접착되며 완전히 중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접착 강도는 2N 내지 20N이다. 일 예시에 있어서,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서로 접착되어 내용물(111)이 담긴 후 상기 밀봉 용기(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시에 있어서, 밀봉 용기(100)가 밀봉된 후,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서로 접착되어 밀봉 용기(100)가 대체적으로 규칙적인 형상을 갖도록 한다.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서로 접착된다는 것은 제1 구역(103) 전체가 꼭대기부 접착부(102) 전체와 접착된다는 것은 아니며, 제1 구역(103)의 일부가 꼭대기부 접착부(102) 일부와 접착되는 것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서로 접착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평면 형상은 각각 삼각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평면 형상은 각각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도 1의 A-A'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며, 도 3에서 제1 구역(103)에 구비된 꼭대기부(101)에 대응하는 두께,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두께 및 보조 분리 부재(105)의 두께를 모두 확대하였고, 이들 셋의 두께 비율은 도 3의 비율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에 개재되고, 밀봉 용기(100)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복합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층의 지지층은 지지 역할을 수행하는 종이 베이스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층 열밀봉층과 내층 열밀봉층의 재료는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등 α-올레핀 및 일부 고리형 올레핀을 단독으로 중합시키거나 공중합시켜 수득한 열가소성 수지의 총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이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제1 구역(103)의 표면이 외층 열밀봉층인 경우, 보조 분리 부재(105)의 재료가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제1 구역(103)의 표면의 재료와 상이하거나,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표면이 외층 열밀봉층인 경우, 보조 분리 부재(105)의 재료가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표면의 재료와 상이하거나,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제1 구역(103)의 표면이 외층 열밀봉층이고,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표면이 외층 열밀봉층인 경우, 보조 분리 부재(105)의 재료는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제1 구역(103) 표면의 재료와 상이하고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표면의 재료와 상이하며, 이 경우, 보조 분리 부재(105)는 독립적으로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용기를 용이하게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제1 구역(103)의 표면의 재료와 보조 분리 부재(105)와 접촉하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표면의 재료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 접착부(102)와 꼭대기부(101)가 연결되는 위치에 흔적선(106)이 구비되며, 흔적선(106)을 따라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꼭대기부(101)에 대하여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서로 접착시키는 위치로 절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흔적선(106)은 직선이고, 대응하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 직사각형 등일 수 있다. 밀봉 용기의 형상에 따라, 상기 흔적선(106)은 호선일 수도 있으며, 대응하는 꼭대기부 접착부(104)의 평면 형상은 부채꼴, 반원형 또는 타원형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밀봉 용기(100)의 날개부일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는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 구역에 있고 상기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10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분리 부재와 제1 구역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흔적선(106)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즉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구역(103)의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제1 구역(103)의 끝점이 있는 위치 및 그 인접한 구역에 설치된다. 보조 분리 부재(105)를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구역(103)의 구역에 설치하면 에지 구역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가열 과정에서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에지 부분에서 먼저 분리되기 더욱 쉽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분리 부재와 꼭대기부 접착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흔적선(106)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즉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끝점이 있는 위치 및 그 인접한 구역에 설치된다. 보조 분리 부재(105)를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구역에 설치하면 에지 구역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가열 과정에서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에지 부분에서 먼저 분리되기 더욱 쉽도록 할 수 있다.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구역(103)의 구역은 흔적선(106)과 인접하지 않은 제1 구역(103)의 구역, 또는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제1 구역(103)의 끝점의 위치 및 상기 끝점과 인접한 구역을 의미하며,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구역은 흔적선(106)과 인접하지 않은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구역, 또는 흔적선(106)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끝점의 위치 및 상기 끝점과 인접한 구역을 의미함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의 평면 형상은 제1 다변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다변형은 삼각형, 마름모,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또는 톱니형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상기 제1 다변형이 삼각형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제1 다변형 ABC는 제1 꼭지각 <ABC를 포함하고, 제1 꼭지각 <ABC의 꼭짓점 B(제1 꼭짓점)는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보조 분리 부재(105)의 점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평면 형상은 제2 다변형이며, 예를 들어 상기 제2 다변형은 삼각형, 마름모,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또는 톱니형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상기 제2 다변형이 삼각형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제2 다변형 A'B'C'는 제2 꼭지각 <A'B'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꼭지각 <A'B'C'의 꼭짓점 B'(제2 꼭짓점)은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점이고, 제1 꼭지각 <ABC와 제2 꼭지각 <A'B'C'는 겹친다. 예를 들어, 에지에서 선이 겹쳐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보조 분리 부재(105)의 끝점 B를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끝점 B'와 겹치도록 설치하여, 끝점 위치에서 에지 부분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 과정에서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에지 부분의 끝점 B' 위치에서 먼저 분리되기 더욱 용이하게 하고,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끝점 B'가 들어 올려지기 더욱 용이하게 하며, 인장응력의 작용으로 인해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끝점 B' 위치로부터 흔적선(106)에 가까운 위치를 향해 더욱 용이하게 꼭대기부(101)와 점차 분리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다변형 ABC의 흔적선(106)으로부터의 최단 거리는 제1 거리(d1)이고, 상기 제1 꼭짓점 B와 제2 꼭짓점 B'에서 흔적선(106)까지의 최단 거리는 제2 거리(d2)이며, 상기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의 절반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은 d1이 제2 거리(d2)의 절반보다 큰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2)의 절반 이상인 기 거리 크기 관계는, 보조 분리 부재(105)가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절반 부분 구역 또는 절반에 가까운 부분 구역(즉, 도 5에 도시된 꼭대기부 접착부(104)의 상반 부분 구역(上半部分區域)의 전부 또는 일부)에 설치되도록 보장하여, 흔적선(1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역에서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더욱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고, 제1 다변형 ABC와 제2 다변형 A'B'C'가 모두 이등변 삼각형인 경우 보조 분리 부재(105)의 면적이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면적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에 충분한 접착 면적을 보장하여, 밀봉 용기(100)의 밀봉성을 보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꼭지각 <ABC와 대향 설치된 제1 다변형 ABC의 변 AC는 제1 밑변이고, 상기 제1 밑변 AC는 흔적선(106)과 평행하다. 제2 꼭지각 <A'B'C와 대향 설치된 상기 제2 다변형 A'B'C의 변은 제2 밑변 A'C'이며, 상기 제2 밑변 A'C'는 흔적선(106)과 평행하고 흔적선(106)과 겹치지 않는다.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밑변은 흔적선(106)과 겹친다.
예를 들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분리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격자 패턴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점상 패턴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점상 패턴과 격자 패턴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도 6(a) 내지 도 6(c)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보조 분리 부재(105)를 밀봉 용기(100)에 사용하면,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의 접착력을 균일하게 약화시킬 수 있고,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에 충분하고 균일한 접착력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 접착부(102) 전체에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가 설치되고, 밀봉 용기(100)의 가열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신속하게 분리되어, 후속적으로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해야 할 때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는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으므로, 밀봉 용기 내의 가스를 즉시 방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구조 설계는 보조 분리 부재(105) 각 부분의 구조 및 재료 설치의 균일성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 있어서, 보조 분리 부재(105)의 면적은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중 하나의 면적의 5% 내지 80%이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105)의 면적은 제1 구역(103) 면적의 5% 내지 80%이며,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105)의 면적은 제1 구역(103) 면적의 5%, 10%, 20%, 30%, 40%, 50%, 60%, 70% 또는 80%이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105)의 면적은 꼭대기부 접착부(102) 면적의 5% 내지 80%이며,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105)의 면적은 꼭대기부 접착부(102) 면적의 5%, 10%, 20%, 30%, 40%, 50%, 60%, 70% 또는 80%이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용기(100)는 기둥형이고,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꼭대기부(101)의 측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밀봉 용기(100)의 기둥형 부분은 외부 윤곽이 직육면체인 사각 기둥이다.
예를 들어, 밀봉 용기(100)가 가열되어 밀봉 용기(100)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꼭대기부(101)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가 분리 상태에 있는 개략도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날개편이고, 흔적선(1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부분이 먼저 꼭대기부(101)와 분리된 후, 추가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점차 들어 올려져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꼭대기부(101)로부터 분리되고 흔적선(106)에서만 연결되어, 도 7에 도시된 상태도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꼭대기부(101)의 측표면에 설치되고, 꼭대기부(101)의 두 측표면에 모두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설치되며(그 중 하나는 가려져 도시되지 않음), 즉 상기 밀봉 용기(100)는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102)만 꼭대기부(10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102)에만 보조 분리 부재(105)가 설치된다.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102)에 보조 분리 부재(105)가 모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102)에만 보조 분리 부재(105)가 설치되는 경우, 꼭대기부 밀봉 지점에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는 데 더욱 유리하므로, 후속적인 압력 방출 과정에 더욱 도움이 된다.
밀봉 용기(100)의 꼭대기부 양측에 위치한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모두 꼭대기부(101)와 분리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용기(100)는 바닥부 및 바닥부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 접착부는 바닥부와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 접착부에는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바닥부와 바닥부 접착부 사이의 위치 관계는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상술한 연결 관계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용기(100)는 꼭대기부 밀봉부와 바닥부 밀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꼭대기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는 바닥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보다 작기 때문에,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꼭대기부 밀봉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용기(100)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108)이 설치되며, 장식 패턴(108)은 보조 분리 부재(1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고, 즉 꼭대기부(101)의 외표면에만 장식 패턴(108)이 설치될 수 있고,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외표면에만 장식 패턴(108)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꼭대기부(101)의 외표면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외표면에 모두 장식 패턴(108)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101)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108)이 설치되며, 상기 장식 패턴(108)은 보조 분리 부재(1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장식 패턴(108)과 보조 분리 부재(105)가 모두 적색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 및 형성되거나, 장식 패턴(108)과 보조 분리 부재(105)가 모두 녹색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 및 형성된다. 장식 패턴(108)과 보조 분리 부재(105)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원재료의 종류를 증가시키거나 공정 단계를 증가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보조 분리 부재(105)의 형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원재료는 상이한 설비나 부재로 도포해야 하므로, 장식 패턴(108)과 보조 분리 부재(105)가 동일한 재료를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설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인쇄를 통해 상이한 색상의 잉크를 꼭대기부(101)의 외표면에 인쇄할 수 있으며, 각 인쇄 단계가 완료된 후, 도포된 잉크가 건조되어 장식 패턴(108)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그 중 한 색상의 잉크를 꼭대기부(101)의 제1 구역(103)에 인쇄하고, 상기 잉크를 건조시키면 보조 분리 부재(105)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에 잉크가 포함된 경우,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외표면에도 장식 패턴(108)을 설치할 수 있으며, 꼭대기부 접착부(102) 상의 장식 패턴(108)과 보조 분리 부재(105)는 동일 층에 설치되고 꼭대기부 접착부(102) 상의 장식 패턴(108)에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방식은, 꼭대기부(101) 상의 장식 패턴(108)과 보조 분리 부재(105)가 동일 층에 설치되고 보조 분리 부재(1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방식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105)에 잉크가 포함되고, 꼭대기부(101)의 외표면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식 패턴(108)이 설치되고, 장식 패턴(108)에 보조 분리 부재(1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경우,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에 접착제가 더 개재되어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서로 접착시키며, 상기 접착제는 보조 분리 부재(105)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보조 분리 부재(105)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일반적인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 접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꼭대기부(101)의 외표면은 환경에 노출된 꼭대기부(101)의 표면을 의미하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외표면은 환경에 노출된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표면을 의미하고, 상기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접착되기 전 또는 분리된 후 환경에 노출된 표면을 의미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보조 분리 부재(105)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이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는 55℃ 내지 65℃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는 시판되는 다우 브랜드 모델인 DOWSIL™ 7657의 실록산 감압 접착제이며, 제1 접착제가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에 대해 접착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 세기는 2.5x104 Pa이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가 40℃보다 낮으면,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가열되지 않은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분리되기 쉬워, 밀봉 용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접착제의 고화 후 연화 온도가 70℃보다 높으면,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가열 조건에서도 분리되기 어렵고, 더욱이 압력 방출 개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밀봉 용기(100)가 가열 과정에서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100)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이 유발되기 쉽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5)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에 제2 접착제가 더 개재되고, 상기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착되고,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는 제2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는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의 공동 접착 작용을 통해 꼭대기부(1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의 접착 안정성을 보장하여, 밀봉 용기(100)가 운반, 이송 또는 압출 과정에서 안정적인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그 내용물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에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를 설치하고,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가 제2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보다 낮으면, 제1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의 부분이 서로 분리되기 더욱 용이할 수 있는데, 즉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접착하지 않고 제2 접착제만 사용하여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를 접착한 경우에 비해, 제1 접착제는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는 시판되는 다우 브랜드 모델인 DOWSIL™ 7657의 실록산 감압 접착제이며, 제1 접착제가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102)에 대해 접착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 세기는 2.5x104 Pa이다.상기 제2 접착제는 일반적인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용기(100)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밀봉 용기(100)는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밀봉 용기(100)의 내부를 외부 환경과 연통시켜, 밀봉 용기(100) 내의 가스(포장 시 잔류한 가스 및 가열 과정에서 형성된 수증기 포함)를 배출시켜 상기 밀봉 용기(100) 안팎의 압력차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밀봉 용기(100)가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슬릿일 수 있으며, 일정 치수의 관통공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꼭대기부 밀봉 구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설정 온도는 상기 제2 설정 온도보다 낮거나 같다. 상기 제1 설정 온도는 40℃ 내지 55℃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40℃, 45℃, 50℃ 또는 55℃이다.상기 제2 설정 온도는 55℃ 내지 7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5℃, 60℃, 65℃ 또는 70℃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용기(100)는 파열 온도가 있으며, 상기 제1 설정 온도 및 제2 설정 온도는 모두 상기 밀봉 용기의 파열 온도보다 낮아, 밀봉 용기가 그 파열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여, 밀봉 용기와 외부 환경 사이의 압력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밀봉 용기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며, 도 8aa는 도 8a의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O-O'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고, 도 8a 및 도 8a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용기의 바닥부(107)의 중간 구역의 일부가 꼭대기부에 가까운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외주 에지 전체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며, 밀봉 용기의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있을 때, 상기 밀봉 용기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 8ba는 도 8b의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O-O'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며, 도 8b 및 도 8b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7)의 중간 구역의 일부가 꼭대기부에 대하여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고, 외주 에지에서 대향하는 양측의 일부가 꼭대기부의 꼭대기표면에서 떨어져 있는 일측을 향하여 중첩된 부분을 가지는데, 예를 들어 상기 중첩된 부분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이다.
예를 들어,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 8ca는 도 8c의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O-O' 라인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고, 도 8c 및 도 8c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7)는 2개의 평면에 의해 압착 형성되며, 압착된 평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압착된 평면의 두께를 무시하여 바닥부(107)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구조로 간주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밀봉 용기(100)의 바닥부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을 가진 다른 구조일 수도 있으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있을 때 밀봉 용기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만 충족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용기는 내용물(11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에는 식품이 포함되고, 식품으로 간주될 수 있는 재료는 사람이 소비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 고체(가열 시 일부 가스를 휘발시킬 수 있음) 또는 액체 식품이거나, 동물 섭취용 식품이다. 예를 들어, 식품은 8℃ 이상에서 액체 상태이며, 상기 액체 상태의 식품에는 유제품, 수프, 소스 및 비탄산 음료가 포함된다. 식품을 밀봉 용기에 밀봉하기 전에 식품 및 식품을 담을 용기에 대해 각각 멸균 처리를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멸균 처리에는 과산화수소 멸균, 자외선 멸균, 저온 멸균 또는 고압 멸균 등 방식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의 꼭대기표면에는 내용물을 취하기 위한 커버층을 갖는 구멍(11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커버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손시킴으로써 내용물을 취한다. 예를 들어, 커버층을 갖는 상기 구멍(110)은 빨대 또는 차단 부재의 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차단 부재는 덮개이고, 빨대가 통과하거나 차단 부재에 의해 보호되어 커버층이 운송 과정에서 기계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커버층을 갖는 상기 구멍의 평면 형상에는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물방울형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개구 보조 부재를 사용하여 커버층에 대한 파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 보조 부재에는 빨대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커버층에 대한 파손을 수행하는 과정은, 빨대를 커버층의 바로 상방에 수직으로 놓은 후, 빨대를 밀어 커버층을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용기(100)에 대해 수평 압축 테스트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는 인장시험기 TIRA 28025이다.
예를 들어, 샘플 준비 단계에는, 테스트할 각 샘플 30개를 준비하고, 충전이 완료된 밀봉 용기를 표준 기후 조건(23℃±1℃, 상대 습도 50%±5%)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수평 압축 테스트의 작동 원리는, 준비된 하나의 밀봉 용기의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를 꼭대기부로부터 분리한 후, 밀봉 용기를 기기 하부의 지지판에 평평하게 놓는데, 즉 꼭대기부 접착부와 접착되지 않은 밀봉 용기의 측면이 지지판과 접촉되며, 기기 상부의 압력판을 이용하여 밀봉 용기에 압력을 인가하고, 압력을 인가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경우, 밀봉 용기 내 누출 지점의 구체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밀봉 용기의 밀봉 강도의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수평 압축 테스트의 단계에는, EDC 컨트롤러 및 TIRA 인장력 테스트 소프트웨어를 열고, 수평 압축 테스트를 위해 선택한 압력 센서의 범위는 1000N이며, 선택 표준은 테스트 결과가 테스트 범위의 20% 내지 80%에 있는 것이고, 설비 센서와 기기의 상부 압축판 및 하부 지지판이 정상인지 확인하고, 밀봉 용기를 기기의 하부 지지판에 평평하게 놓고, 꼭대기부 접착부와 접착되지 않는 밀봉 용기의 측면을 지지판과 접촉시킨 후, 소프트웨어에 표시되는 조작 단계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하며, 테스트 중 상부 압력판의 운동 속도는 10mm/min이고, 수평 압축 테스트의 압력값이 약 30% 감소하면 이 샘플의 테스트를 중지하도록 선택하고, 다음 샘플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테스트 조건을 변경하여 다음 샘플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평 압축 테스트에 선택한 압력값을 약 30% 감소시키거나, 고정 장치를 아래로 이동하거나, 압력 인가 시간을 변경하는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용기의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모두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하거나, 밀봉 용기에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하지 않거나, 밀봉 용기의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하는 구역에만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
테스트 결과,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의 꼭대기표면에서 최종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꼭대기부의 꼭대기표면의 밀봉 강도가 바닥부의 저표면의 밀봉 강도보다 낮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바닥부는 열공기로 활성화된 다음 밀봉되며, 꼭대기부는 초음파 방식에 의해 활성화된 다음 밀봉되기 때문에, 꼭대기부와 바닥부 활성화의 방식이 다르다. 꼭대기부의 밀봉 구조와 바닥부의 밀봉 구조도 다르며, 통상적으로 꼭대기부는 꼭대기부 접착부를 절첩하는 방식으로 밀봉하는데, 즉 꼭대기부에는 귀 날개가 있고, 바닥부는 2개의 평면이 중첩되는 방식으로 밀봉되는데, 바닥부에는 귀 날개가 없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샘플은 50개의 샘플을 기반으로 압력 방출 비율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꼭대기부 밀봉부의 폭, 가열 시간을 조절하여, 압력 방출이 발생하는 샘플의 수를 얻은 후, 압력 방출의 백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가지 샘플 A와 B를 각각 50개씩 취하고, 샘플 A와 B의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 사이에 모두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지 않으며, 샘플 A의 꼭대기부 접착부의 폭을 1.0mm로 설정하고, 가열 시간을 110분으로 설정하고, 샘플 B의 꼭대기부 접착부의 폭을 1.5mm로 설정하고, 가열 시간을 111분으로 설정하였다. 샘플 A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샘플 수는 30개이며, 즉 샘플 A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비율은 60%이고, 샘플 B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샘플 수는 40개이며, 즉 샘플 B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비율은 80%였다.
그 후, 다시 두 가지 샘플 A와 B를 각각 50개씩 취하고, 샘플 A의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 사이에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하고, 샘플 A의 꼭대기부 접착부의 폭을 1.0mm로 설정하고, 가열 시간을 107분으로 설정하였으며, 샘플 A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샘플의 수는 50개이며, 즉 샘플 A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비율은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샘플 B의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 사이에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하고, 샘플 B의 꼭대기부 접착부의 폭을 1.5mm로 설정하고, 가열 시간을 107분으로 설정하였으며, 샘플 B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샘플의 수는 50개이며, 즉 샘플 A에서 압력 방출이 발생한 비율은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테스트 결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 사이에 모두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 사이에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한 경우 압력 방출이 발생하기 더욱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본 개시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밀봉 용기는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킴으로써, 가열 시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가 분리된 후, 밀봉 용기가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여, 밀봉 용기 내의 가스를 배출시켜 상기 밀봉 용기 안팎의 압력차를 감소시키므로, 상기 밀봉 용기가 파열되거나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시트상 복합 재료를 더 제공하며,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제1 복합 구역 및 제2 복합 구역을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1 복합 구역은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열밀봉층, 지지층 및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제2 복합 구역은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조 분리 부재, 제1 열밀봉층, 지지층 및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제1 열밀봉층의 재료가 상이하고, 시트상 복합 재료는 종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1 경계 에지 및 횡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2 경계 에지를 더 포함하고, 종방향과 횡방향은 직교하고, 시트상 복합 재료는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 및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시트상 복합 재료를, 바닥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바닥부 구역; 꼭대기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꼭대기부 구역; 및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 사이에서, 종방향에 대하여 바닥부 구역과 꼭대기부 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구역으로 나누고,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경계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頂端) 부분; 및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인접하며 꼭대기부 중앙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頂側) 부분을 포함하고,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종방향과 횡방향 모두에 대해 기울어지며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비스듬한 절흔선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비스듬한 절흔선은 제2 경계 에지 중 하나의 제2 경계 에지를 향하는 제1 단부 및 연속 라인을 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연속 라인은 횡방향에 평행하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의 꼭대기부 중앙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을 포함하고, 비스듬한 절흔선은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 부분과 함께 시트상 복합 재료의 날개편 구역을 획정하고, 날개편 구역은 꼭대기부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여기에서,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고 횡방향에 대하여 날개편 구역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함께 절첩 라인을 한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종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꼭대기부 구역은 제1 구역을 포함하고, 날개편 구역은 꼭대기부 구역과 연결되고, 여기에서,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은 서로 접착 가능하고 완전히 중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고,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된 날개편 구역 및/또는 제1 구역은 제2 복합 구역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시트상 복합 재료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시트상 복합 재료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얻은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며,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01)의 기본 단위는 직사각형 구조이고, 여기에는 제1 표면(02) 및 제2 표면(03)이 포함되고, 제1 복합 구역(04) 및 제2 복합 구역(05)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제1 복합 구역(04)은 제1 표면(02)으로부터 제2 표면(03)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열밀봉층(06), 지지층(07) 및 제2 열밀봉층(08)을 포함하고, 제2 복합 구역(05)은 제1 표면(02)으로부터 제2 표면(03)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보조 분리 부재(09), 제1 열밀봉층(06), 지지층(07) 및 제2 열밀봉층(08)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09)의 재료는 제1 열밀봉층(06)의 재료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층(07)은 강성을 갖는 베이스층, 예를 들어 종이질 베이스층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01)는 종방향(y축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1 경계 에지(011, 012) 및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2 경계 에지(013, 014)를 더 포함하며, 종방향(y축의 연장 방향) 및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은 직교한다.
예를 들어, 종방향(y축의 연장 방향)은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용기 전구체의 총 높이 방향이며, "총 높이"는 용기 전구체가 일정한 높이를 가질 때의 높이 또는 용기 전구체가 가변 높이를 가질 때의 최대 높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트상 복합 재료(01)는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15) 및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을 더 포함하고,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15) 및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은 시트상 복합 재료(01)를, 바닥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바닥부 구역(017); 꼭대기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꼭대기부 구역(019); 및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15)과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106) 사이에서, 종방향(y축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바닥부 구역(017)과 꼭대기부 구역(019)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구역(022)으로 나누고,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경계 에지(011, 012) 중 하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016b); 및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의 일측에 인접하며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과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016b)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 부분(016c)을 포함하고, 꼭대기부 절흔 패턴(021)은 종방향(y축의 연장 방향)과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 모두에 대해 기울어지며 꼭대기부 구역(019)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비스듬한 절흔선(026a, 026b)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비스듬한 절흔선은 제2 경계 에지(013)를 향하는 제1 단부 및 연속 라인(C-C')을 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연속 라인(C-C')은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의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 및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016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꼭대기부 구역(019)은 꼭대기부 절흔 패턴(021)을 포함하며 용기 전구체의 꼭대기부 부분으로 구성되고, 꼭대기부 부분은 꼭대기판(?quot;겼)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판은 사변형 윤곽을 갖는 평탄하고 수평인 꼭대기판이거나, 비스듬한 꼭대기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구역(022)은 복수의 측벽을 갖는 용기 전구체의 주요 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바닥부 구역(017)은 바닥부 절흔 패턴(018)을 포함하며 용기 전구체의 바닥부 부분으로 구성되고, 바닥부 부분은 바닥판(底板)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사변형 윤곽을 가지며 용기 전구체의 거치 표면을 한정하는 평탄하고 수평인 바닥판이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은 제2 경계 에지(013, 014)와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은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15)보다 꼭대기부 경계 에지(제2 경계 에지(013))에 더 가깝도록 배치되고, 주요 부분과 꼭대기부 부분을 분리하는 용기 전구체의 꼭대기부 주변 에지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에 포함되는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은 용기 전구체의 꼭대기부 전방 에지를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꼭대기단 부분(016b)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상응하는 제1 경계 에지(011, 012) 근처에 위치하고 용기 전구체의 꼭대기부 후방 에지를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꼭대기측 부분(016c)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의 대향측에 인접하도록 연장되고, 각각의 꼭대기측 부분(016c)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을 하나의 상응하는 꼭대기단 부분(016b)에 연결하고, 용기 전구체의 2개의 상응하는 꼭대기부 에지를 한정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15)은 제2 경계 에지(013, 014)에 평행하도록 연장되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보다 바닥부 경계 에지(제2 경계 에지(014))에 더 가깝도록 배치된다.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15)은 주요 부분과 바닥부 부분을 분리하는 용기 전구체의 바닥부 주변 에지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15)에 포함되는 바닥부 중앙 부분(015a)은 용기 전구체의 바닥부 전방 에지를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하단 부분(015b)은 바닥부 중앙 부분(015a)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제1 경계 에지(011, 012) 근처에 위치하고 용기 전구체의 바닥부 후방 에지를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하측 부분(015c)은 바닥부 중앙 부분(015a)의 대향측에 인접하고, 각각의 하측 부분(015c)은 바닥부 중앙 부분(015a)과 하나의 상응하는 하단 부분(015b) 사이에서 연장되고, 용기 전구체의 2개의 상응하는 바닥부측 에지를 한정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시트상 복합 재료(01)에 포함된 2개의 추가적 횡방향 절흔선, 즉 추가적인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23) 및 추가적인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24)은, 이들 둘이 모두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각각 꼭대기부 경계 에지(제2 경계 에지(013)) 및 바닥부 경계 에지(제2 경계 에지(014)) 근처에 위치한다. 추가적인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23) 및 꼭대기부 경계 에지(제2 경계 에지(013))는 상응하는 꼭대기부 횡방향 밀봉 구역을 획정하며, 이는 용기 전구체의 상응하는 꼭대기부 횡방향 밀봉 밴드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024) 및 바닥부 경계 에지(제2 경계 에지(014))는 상응하는 바닥부 횡방향 밀봉 구역을 획정하며, 이는 용기 전구체의 상응하는 바닥부 횡방향 밀봉 밴드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비스듬한 절흔선(026a, 026b)은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 부분(016c)과 함께 시트상 복합 재료(01)의 날개편 구역(027)을 획정하며, 날개편 구역(027)은 꼭대기부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비스듬한 절흔선(026a, 026b)은 종방향(y축의 연장 방향) 및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 모두에 대해 비스듬하며 꼭대기부 구역(019) 내에서 연장되는데, 예를 들어, 절흔선(016)과 추가적인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23)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비스듬한 절흔선(026a, 026b)은 하나의 공통된 단부 및 대향하는 단부를 구비하며, 공통된 단부는 추가적인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23)에 위치하고, 대향하는 단부는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연속 라인 C-C'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상기 날개편 구역(027)은 대체적으로 삼각형인 구역이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 있어서,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016)의 꼭대기부 중앙 부분(016a), 꼭대기단 부분(016b) 및 꼭대기측 부분(016c)은 서로 정렬되며 연속 라인 C-C'와 정렬된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 절흔 패턴(021)은 적어도 한 쌍의 종방향 절흔선(028a, 028b)을 더 포함하며, 예를 들어, 2쌍의 종방향 절흔선(028a, 028b)은 꼭대기부 구역(019) 내에서 연장되고, 횡방향(x축의 연장 방향)에 대해 날개편 구역(027)의 대향측에 배치되고, 함께 하나의 절첩 라인을 한정하며, 꼭대기부 구역(019)은 제1 구역을 포함하고, 날개편 구역(027)은 꼭대기부 구역(019)과 연결되고, 여기에서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은 서로 접착 가능하고 완전히 중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종방향 절흔선(028b)은 가장 내부의 절흔선이고, 종방향 절흔선(028b)은 대향하는 제1 경계 에지(011, 012) 근처에 각각 위치하며, 종방향 절흔선(028b) 사이의 구역 및 종방향 절흔선(028b)과 상응하는 제1 경계 에지(011, 012)에 의해 획정되는 구역은 용기 전구체의 꼭대기판을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바닥부 구역(017)은 날개편 구역을 구비할 수 있고, 날개편 구역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바닥부 구역(017)에 날개편 구역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꼭대기부 구역(019)에 날개편 구역(027)이 구비되는 것과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를 함께 참조하면, 제1 구역 및 날개편 구역(027) 중 적어도 하나에 보조 분리 부재(09)가 설치되고, 보조 분리 부재(09)가 설치된 날개편 구역(027) 및/또는 제1 구역은 제2 복합 구역(05)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복합 구역(04)과 제2 복합 구역(05)은 하나의 전체로 연결되며, 보조 분리 부재(09)의 재료는 제1 열밀봉층(06)의 재료와 상이하다.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01)가 흔적선을 따라 절첩되어 용기 전구체를 형성하도록 할 때, 제2 복합 구역(05)은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꼭대기부 접착부의 구역 또는 꼭대기부의 제1 구역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 있어서, 제1 복합 구역(04)에서, 제2 열밀봉층(08)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열밀봉층(06)의 일측에 장식 패턴(도 9b에 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보조 분리 부재(09)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열밀봉층(06)은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표면이고, 상기 제2 열밀봉층(08)은 용기 전구체에 담을 내용물과 접촉하는 표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열밀봉층(06)의 재료는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등 α-올레핀 및 일부 고리형 올레핀을 단독으로 중합시키거나 공중합시켜 수득한 열가소성 수지의 총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상기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열밀봉층(08)의 재료도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10)는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의 용기 전구체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이고,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10)에는 절흔선이 구비되고, 절흔선을 따라 시트상 복합 재료(10)를 절첩하면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 꼭대기부 접착부, 바닥부 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용기 전구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용기 전구체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시트상 복합 재료 및 종방향 이음매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이음매는 시트상 복합 재료의 2개의 제1 경계 에지를 연결하여 사방을 감싸는 용기 전구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도 9a의 시트상 복합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용기 전구체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이음매(미도시)가 시트상 복합 재료의 2개의 제1 경계 에지(011, 012)를 연결하여 사방이 감싸인 용기 전구체(200)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 전구체는 직통상(直筒狀)이고, 그 꼭대기부와 바닥부는 아직 절첩되지 않았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꼭대기부(201)는 개구단(2011)을 구비하고, 상기 꼭대기부(201)는 개구단(2011)에 개구(2011a)를 구비하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꼭대기부(201)의 개구단(2011)에 설치되고, 상기 직통상의 용기 전구체(200)를 점선으로 도시된 절흔에 따라 절첩한 후, 용기 전구체에 내용물을 채우고, 꼭대기부와 바닥부를 밀봉시키며,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를 접착하면, 도 1에 도시된 밀봉 용기(100)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 있어서, 도 9a, 도 9b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보조 분리 부재(09)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상기 보조 분리 부재(09)가 보조 분리 부재(09)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에 의해 덮인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09)가 보조 분리 부재(09)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으로 덮여 있는 경우, 보조 분리 부재(09)가 일정한 점성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보조 분리 부재(09)를 사용해야 할 때 이형 필름을 떼어내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09)는 잉크를 포함하고, 꼭대기부 구역(019)의 외표면과 날개편 구역(027)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식 패턴(208)이 설치되고, 장식 패턴(208)은 보조 분리 부재(09)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09)는 모두 적색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되거나,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09)는 모두 녹색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된다.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09)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원재료의 종류를 증가시키거나 공정 단계를 증가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보조 분리 부재(09)의 형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원재료는 상이한 설비나 부재로 도포해야 하므로,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09)가 동일한 재료를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설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인쇄를 통해 상이한 색상의 잉크를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의 외표면에 인쇄하며, 각 인쇄 단계가 완료된 후, 도포된 잉크가 건조되어 장식 패턴(208)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그 중 한 색상의 잉크를 꼭대기부(201)의 제1 구역에 인쇄하고, 상기 잉크를 건조시키면 보조 분리 부재(09)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09)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55℃ 내지 65℃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는 시판되는 다우 브랜드 모델인 DOWSIL™ 7657의 실록산 감압 접착제이며, 제1 접착제가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에 대해 접착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 세기는 2.5x104 Pa이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40℃보다 낮으면, 후속적으로 꼭대기부(201)와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을 접착한 후,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는 가열되지 않은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분리되기 쉬워, 밀봉 용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70℃보다 높으면,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는 가열 조건에서도 분리되기 어렵고, 압력 방출 개구도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가 가열 과정에서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이 유발되기 쉽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09)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접착제가 더 설치되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후속적으로 밀봉 용기를 형성할 때,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은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의 공동 접착 작용을 통해, 꼭대기부(201)와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 사이의 접착 안정성을 보장하여, 형성할 밀봉 용기가 운반, 이송 또는 압출 과정에서 안정적인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그 내용물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예를 들어, 형성할 밀봉 용기는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 사이에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를 구비하고,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으면, 제1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의 일부가 서로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을 접착하지 않고 제2 접착제만 사용하여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을 접착하는 경우, 후속적으로 밀봉 용기를 형성할 때, 제1 접착제는 후속적으로 제1 구역과 날개편 구역(027)(꼭대기부 접착부에 대응함)을 접착할 때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전구체는 밀봉 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생산되는 전구체이고, 상기 용기 전구체(200)는, 꼭대기부(201) 및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201)는 꼭대기표면 및 용기 전구체(200)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고, 제1 구역(203)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꼭대기부(20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서로 접착 가능하고 완전히 중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전구체(200)는 보조 분리 부재(205)를 더 포함하고, 도 11에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제1 구역(203)에만 설치되고, 꼭대기부 접착부(202)에는 보조 분리 부재(205)가 설치되지 않고, 용기 전구체(200)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용기 전구체의 수용 공간에서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다. 이 경우, 보조 분리 부재(205)는 독립적으로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용기 전구체를 용이하게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용기 전구체(200)의 외부 윤곽 형상은 대체적으로 직육면체이고,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 전구체(200)의 외부 윤곽 형상은 대체적으로 원통형, 정육면체, 면 수가 6보다 큰 다면체 등일 수도 있다.
꼭대기부(201)는 전체 용기 전구체의 기둥형 부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 횡단면 위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201)는 도 11에서 직육면체의 하나의 직사각형 측표면의 상단(上端) 또는 꼭대기단(頂端)에 위치한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꼭대기부(201)는 도 11에서 직육면체의 꼭대기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도 있고, 상기 꼭대기부(201)는 도 11에서 직육면체의 하나의 직사각형 측표면의 상단에 위치한 일부분일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되,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포함하지 않으며, 꼭대기부(201)에 꼭대기표면 및 용기 전구체(200)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이 포함되는 조건만 충족되면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보조 분리 부재(205)를 제1 구역(203)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가 폴리올레핀인 경우,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에 모두 보조 분리 부재(205)가 설치되고, 제1 구역(203)과 중첩되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표면의 재료와 제1 구역(203)에 대응하는 꼭대기부(201)의 재료가 모두 폴리올레핀인 경우,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의 재료는 보조 분리 부재(205)와 접촉하는 제1 구역(201)의 표면의 재료와 상이하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의 재료는 보조 분리 부재(205)와 접촉하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표면의 재료와도 상이하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예시에 있어서,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가 폴리올레핀인 경우, 상기 제1 구역(203)과 중첩되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표면의 재료는 폴리올레핀이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에만 설치되고, 제1 구역(203)에는 보조 분리 부재(205)가 설치되지 않으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의 재료는 보조 분리 부재(205)와 접촉하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표면의 재료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전구체(200)를 밀봉할 때,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가 보조 분리 부재(205)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에 의해 덮인다. 도 11에서, 보조 분리 부재(205)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205)가 보조 분리 부재(205)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으로 덮여 있는 경우, 보조 분리 부재(205)가 일정한 점성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보조 분리 부재(205)를 사용해야 할 때 이형 필름을 떼어내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201)의 외표면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식 패턴(208)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208)은 보조 분리 부재(2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 패턴(208)은 보조 분리 부재(2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205)는 모두 적색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205)는 모두 녹색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된다.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205)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원재료의 종류를 증가시키거나 공정 단계를 증가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보조 분리 부재(205)의 형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원재료는 상이한 설비나 부재로 도포해야 하므로, 장식 패턴(208)과 보조 분리 부재(205)가 동일한 재료를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설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인쇄를 통해 상이한 색상의 잉크를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의 외표면에 인쇄하며, 각 인쇄 단계가 완료된 후, 도포된 잉크가 건조되어 장식 패턴(208)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그 중 한 색상의 잉크를 꼭대기부(201)의 제1 구역(203)에 인쇄하고, 상기 잉크를 건조시키면 보조 분리 부재(205)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205)에 잉크가 포함되고, 꼭대기부(201)의 외표면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식 패턴(208)이 설치되고, 장식 패턴(208)에 보조 분리 부재(2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경우,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가 더 설치되어 후속적으로 밀봉 용기를 형성할 때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서로 접착시켜 이들을 완전히 중첩시키기 용이하며, 상기 접착제는 보조 분리 부재(205)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보조 분리 부재(205)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일반적인 접착제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 사이 접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잉크를 포함하고,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외표면에는 장식 패턴(208)이 설치되고, 꼭대기부 접착부(202) 상의 장식 패턴(208)에 보조 분리 부재(2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방식은, 꼭대기부(201) 상의 장식 패턴(208)에 보조 분리 부재(205)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방식과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꼭대기부(201)의 외표면은 환경에 노출된 꼭대기부(201)의 표면을 의미하며,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외표면은 환경에 노출된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표면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이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55℃ 내지 65℃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는 시판되는 다우 브랜드 모델인 DOWSIL™ 7657의 실록산 감압 접착제이며, 제1 접착제가 제1 구역(1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에 대해 접착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 세기는 2.5x104 Pa이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40℃보다 낮으면, 후속적으로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접착한 후,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가열되지 않은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분리되기 쉬워, 밀봉 용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70℃보다 높으면,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가열 조건에서도 분리되기 어렵고, 압력 방출 개구도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가 가열 과정에서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이 유발되기 쉽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보조 분리 부재(205)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접착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후속적으로 밀봉 용기를 형성할 때,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의 공동 접착 작용을 통해,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 사이의 접착 안정성을 보장하여, 형성할 밀봉 용기가 운반, 이송 또는 압출 과정에서 안정적인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그 내용물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예를 들어, 형성할 밀봉 용기는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202) 사이에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를 구비하고,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으면, 제1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일부가 서로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접착하지 않고 제2 접착제만 사용하여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접착하는 경우, 후속적으로 밀봉 용기를 형성할 때, 제1 접착제는 후속적으로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접착할 때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 접착부(202)와 꼭대기부(201)가 연결되는 위치에 흔적선(206)이 구비되고, 흔적선(206)을 따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꼭대기부(201)에 대하여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서로 접착되는 위치로 절첩될 수 있으며, 도 11에서, 흔적선(206)을 축으로 하여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아래쪽으로 절첩하여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제1 구역(203)에 가깝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서로 접촉되어 접착되도록 할 수 있고, 도 11에서 상기 흔적선(206)은 직선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과 이격된 제1 구역(203)의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먼 제1 구역(203)의 끝점이 있는 위치 및 그 인접한 구역에 설치된다. 보조 분리 부재(205)를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구역(203)의 구역에 설치하면 에지 구역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과 이격된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즉,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예시에 있어서,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에는 모두 보조 분리 부재(205)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가 흔적선(206)과 이격된 제1 구역(203)의 구역 및 흔적선(206)과 이격된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되는 것은, 구체적으로 보조 분리 부재(205)를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구역(203) 또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하는 상기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구역(203)의 구역은 흔적선(206)과 인접하지 않은 제1 구역(203)의 구역, 또는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제1 구역(203)의 끝점의 위치나 또는 그 인접한 구역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제1 구역(203)의 형상,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형상 및 보조 분리 부재(205)의 평면 형상은 모두 삼각형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구역(203)의 형상,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형상 및 보조 분리 부재(205)의 평면 형상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삼각형,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톱니형 또는 톱니형과 삼각형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꼭대기부(201)의 측표면과 접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후속 충전기의 충전 작업에 더욱 유리하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전구체(200)는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포함하고, 꼭대기부(201)의 양측에는 모두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설치되고, 2개의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각각 흔적선(206)에 의해 꼭대기부(201)와 연결되나,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201) 및/또는 상기 하나의 꼭대기부 접착부(201)에 대응하는 제1 구역에만 보조 분리 부재(205)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전구체(200)는 바닥부 및 바닥부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접착부는 바닥부와 연결되고, 바닥부 접착부 및/또는 그와 접착 가능한 바닥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와 보조 분리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평면은 삼각형이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밑변은 흔적선(206)과 겹친다.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끝점이 있는 위치 및 그 인접한 구역에 설치된다. 보조 분리 부재(205)를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하면,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접착된 후 에지 구역의 접착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102)의 평면 형상은 제1 다변형이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다변형은 삼각형, 마름모,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또는 톱니형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상기 제1 다변형이 마름모 ABCD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마름모 ABCD는 제1 꼭지각 <ABC를 포함하고, 제1 꼭지각 <ABC의 꼭짓점 B(제1 꼭짓점)는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보조 분리 부재(205)의 점이다.
예를 들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평면 형상은 제2 다변형이며, 상기 제2 다변형은 삼각형, 마름모,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또는 톱니형 등일 수 있다.
도 12에서 상기 제2 다변형이 삼각형 A'B'C'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삼각형 A'B'C'는 제2 꼭지각 <A'B'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꼭지각 <A'B'C'의 꼭짓점 B'(제2 꼭짓점)은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먼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점이고, 상기 제1 꼭지각 <ABC와 제2 꼭지각 <A'B'C'는 겹친다. 예를 들어, 에지에서 선이 겹쳐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보조 분리 부재(205)의 끝점 B를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끝점 B'와 겹치도록 설치하여, 후속적으로 상기 용기 전구체를 사용하여 밀봉 용기를 형성한 후, 끝점 위치에서 에지 부분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 과정에서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에지 부분의 끝점 B' 위치에서 먼저 분리되기 더욱 용이하게 한다. 밀봉 용기를 형성한 후,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끝점 B' 위치에서 분리되기 용이하며, 즉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끝점 B'가 먼저 꼭대기부(201)와 분리되어,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끝점 B'가 들어 올려지기 더욱 용이하며, 인장응력의 작용으로 인해,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끝점 B' 위치로부터 흔적선(206)에 가까운 위치를 향해 더욱 용이하게 꼭대기부(101)와 점차 분리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다변형(마름모 ABCD)의 흔적선(206)으로부터의 최단 거리는 제1 거리(d1)이고, 제1 꼭짓점 B와 제2 꼭짓점 B'에서 흔적선(206)까지의 최단 거리는 제2 거리(d2)이고, 도 12에서, 상기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의 절반보다 크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의 절반과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2)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거리 크기 관계는, 보조 분리 부재(205)가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절반 부분 구역 또는 절반에 가까운 부분 구역(즉, 도 12에 도시된 꼭대기부 접착부(204)의 상반 부분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설치되도록 보장할 수 있으므로, 후속적으로 밀봉 용기를 형성한 후,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102)가 흔적선(206)에서 떨어져 있는 구역에서 더욱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꼭대기부 접착부 및 보조 분리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변형은 삼각형 ABC이고, 이는 제1 꼭지각 <ABC를 가지며, 제1 꼭지각 <ABC와 대향 설치된 제1 다변형 ABC의 변 AC는 제1 밑변이고, 제1 밑변 AC는 흔적선(206)과 평행하고, 제2 다변형은 삼각형 A'B'C'이고, 이는 제2 꼭지각 <A'B'C를 가지며, 제2 꼭지각 <A'B'C와 대향 설치된 제2 다변형 A'B'C의 변은 제2 밑변 A'C'이고, 상기 제2 밑변 A'C'는 흔적선(206)과 평행하고,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제2 밑변 A'C'는 흔적선(106)과 겹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다변형(삼각형 ABC)의 흔적선(206)으로부터의 최단 거리는 제1 거리(d1)이고, 제1 꼭짓점 B와 제2 꼭짓점 B'에서 흔적선(206)까지의 최단 거리는 제2 거리(d2)이고, 도 13에서, 상기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의 절반과 같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의 절반보다 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2)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거리 크기 관계는, 보조 분리 부재(205)가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절반 부분 구역 또는 절반에 가까운 부분 구역(즉, 도 13에 도시된 꼭대기부 접착부(204)의 상반 부분 구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 설치되도록 보장할 수 있으므로, 후속적으로 상기 용기 전구체(200)를 이용하여 밀봉 용기를 형성한 후, 꼭대기부(201)와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역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며, 제1 다변형 ABC와 제2 다변형 A'B'C'가 모두 이등변 삼각형인 경우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이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면적의 절반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할 수 있고,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 사이의 충분한 접착 면적을 보장하여,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의 밀봉성을 보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에 보조 분리 부재를 설치하는 예시는 상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6)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점상 패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6)가 격자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6)의 관련 설명은 밀봉 용기의 관련 실시예에서 도 6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로 절첩될 때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완전히 겹쳐진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203)에 설치된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제1 구역(203)의 면적의 5% 내지 80%이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제1 구역(203)의 면적의 5%, 10%, 20%, 30%, 40%, 50%, 60%, 70% 또는 80%이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예시에 있어서, 보조 분리 부재(205)는 꼭대기부 접착부(202)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꼭대기부 접착부(202) 면적의 5% 내지 80%이고,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면적의 5%, 10%, 20%, 30%, 40%, 50%, 60%, 70% 또는 80%이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예시에 있어서, 보조 분리 부재(205)는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에 설치할 수 있고, 제1 구역(203)에 설치된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제1 구역(203)의 면적의 5% 내지 80%이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제1 구역(203)의 면적의 10%, 15%, 25%, 35%, 45%, 55%, 65%, 75% 또는 80%이다. 꼭대기부 접착부(202)에 설치되는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면적의 5% 내지 80%이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205)의 면적은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면적의 10%, 15%, 25%, 35%, 45%, 55%, 65%, 75% 또는 80%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접합(fit)되었으나 접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용기 전구체의 외부 윤곽의 형상은 직육면체이며, 상기 용기 전구체의 외부 윤곽 형상은 원기둥체, 정육면체, 면 수가 6보다 큰 다면체 등일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서,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직육면체 기둥형 부분의 측표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는 상기 직육면체의 상표면 또는 하표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기 전구체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대기부(201)는 제1 구역(203)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205)는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202)에 위치하고, 제1 구역(203)에는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205)는 흔적선(206)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끝점이 있는 위치 및 그 인접한 구역에 설치된다. 보조 분리 부재(205)를 흔적선(2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꼭대기부 접착부(202)의 구역에 설치하면, 후속적으로 밀봉 용기를 형성한 후 에지 구역의 접착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적선(206)을 축으로하여 꼭대기부 접착부(202)를 윗방향으로 절첩하여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제1 구역(203)에 가깝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제1 구역(203)과 꼭대기부 접착부(202)가 서로 접촉되어 접착되며, 도 14에서 상기 흔적선(206)은 직선이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제조 방법은,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하는 단계;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하여 완전히 중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형성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바닥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밀봉 용기는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킴으로써, 가열 시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가 분리된 후, 밀봉 용기가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여, 밀봉 용기 내의 가스를 배출시켜 상기 밀봉 용기 안팎의 압력차를 감소시키므로, 상기 밀봉 용기가 파열되거나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현재 꼭대기부 접착부와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의 접착 방식은, 열공기를 사용하여 사전 접착 위치의 외층 열밀봉층(예를 들어 재료는 폴리에틸렌)을 가열하여 열 활성화를 수행한 다음, 사전 접착 위치에 압력을 인가하여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를 접착시키고, 열공기의 분사량, 분사하는 열공기의 온도, 압력 크기 등 매개변수를 제어하여 꼭대기부 접착부와 밀봉 용기의 꼭대기부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1: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꼭대기부는 전체 기둥형 부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 횡단면 위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꼭대기부는 직육면체의 하나의 직사각형 측표면의 상단(上端) 또는 꼭대기단(頂端)에 위치한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꼭대기부는 직육면체의 꼭대기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도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꼭대기부 밀봉부 및 꼭대기부 밀봉부에 가까운 일부 구역을 포함하나, 꼭대기부 접착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윤곽 형상이 직육면체인 밀봉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직육면체 밀봉 용기는 벽돌형의 박스 용기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밀봉 용기의 외부 윤곽 형상은 원기둥체, 정육면체, 면수가 6보다 큰 다면체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역의 평면 형상은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등일 수 있다.
S12: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꼭대기부의 측표면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꼭대기부 접착부는 밀봉 용기의 꼭대기표면에 위치하며 꼭대기부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와 꼭대기부는 연결 지점에서 하나의 밑변을 공유하며,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평면 형상은 오변형, 칠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조합, 원과 삼각형의 조합, 타원과 삼각형의 조합, 톱니형 등 중 하나일 수도 있다.
S13: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형성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후속적으로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중첩시킬 때, 보조 분리 부재가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가 중첩되는 구역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의 외표면과 꼭대기부 접착부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보조 분리 부재는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장식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되므로, 원료 비용, 공정 비용 및 설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는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이다.
예를 들어, 복합층에 포함되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일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폴리올레핀과 다를 수 있다.
S14: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하여 완전히 중첩시킨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직접 접합시키고, 꼭대기부 또는 꼭대기부 접착부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가 보조 분리 부재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으로 덮여 있는 경우, 이형 필름을 벗겨낸 후,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직접 접합시키고, 꼭대기부 또는 꼭대기부 접착부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S15: 바닥부를 제공하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상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밀봉 용기의 바닥부는 바닥부의 중간 구역의 일부가 꼭대기부에 가까운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외주 에지의 일부가 동일한 평면에 있는 구조일 수 있고, 바닥부의 중간 구역의 일부 또는 중간 구역에 가까운 일부가 꼭대기부에서 먼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2개의 평면이 압착되어 있고, 압착된 평면의 두께가 너무 얇아, 바닥부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구조로 간주될 수도 있고, 또는 바닥부의 중간 구역의 일부가 꼭대기부에 대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며, 에지의 일부에 적어도 일부 구역이 꼭대기부에 가까운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꼭대기부에서 먼 일측을 향해 돌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바닥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위치할 때, 밀봉 용기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이 충족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인 것은 수평인 면 사이의 협각이 30도 이내인 평면을 지칭하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은 밀봉 용기가 정지하거나 회전하는 지지 평면 상에 거치되었을 때, 밀봉 용기 꼭대기부가 개방되더라도, 밀봉 용기 내부의 제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1: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한다.
상기 꼭대기부와 제1 구역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S22: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한다.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S23: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의 외표면의 적어도 하나에 장식 패턴이 형성되고,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잉크를 이용하여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고,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형성할 밀봉 용기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복합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장식 패턴과 보조 분리 부재는 모두 적색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되거나, 장식 패턴과 보조 분리 부재는 모두 녹색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된다. 장식 패턴과 보조 분리 부재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원재료의 종류를 증가시키거나 공정 단계를 증가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보조 분리 부재의 형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원재료는 상이한 설비나 부재로 도포해야 하므로, 장식 패턴과 보조 분리 부재가 동일한 재료를 제작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면 설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인쇄를 통해 상이한 색상의 잉크를 꼭대기부의 외표면에 인쇄할 수 있으며, 각 인쇄 단계가 완료된 후, 도포된 잉크가 건조되어 장식 패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그 중 한 색상의 잉크를 꼭대기부의 제1 구역에 인쇄하고, 상기 잉크를 건조시키면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에 잉크가 포함되는 경우, 꼭대기부 접착부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을 설치할 수도 있고, 꼭대기부 접착부 상의 장식 패턴에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방식은, 꼭대기부상의 장식 패턴에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상술한 방식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에 잉크가 포함되고, 꼭대기부의 외표면과 꼭대기부 접착부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장식 패턴에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구비되는 경우,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접착제가 더 개재되어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키며, 상기 접착제는 보조 분리 부재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보조 분리 부재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일반적인 접착제일 수 있다.
S24: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켜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완전히 중첩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직접 접착시키고, 꼭대기부 또는 꼭대기부 접착부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S25: 바닥부를 제공하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부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1: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한다.
상기 꼭대기부와 제1 구역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S32: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한다.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S33: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며,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이고,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형성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는 55℃ 내지 65℃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는 시판되는 다우 브랜드 모델인 DOWSIL™ 7657의 실록산 감압 접착제이며, 제1 접착제가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에 대해 접착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 세기는 2.5x104 Pa이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가 40℃보다 낮으면,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는 가열되지 않은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분리되기 쉬워, 밀봉 용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접착제의 고화 후 연화 온도가 70℃보다 높으면,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는 가열 조건에서도 분리되기 어렵고, 압력 방출 개구도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밀봉 용기가 가열 과정에서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이 유발되기 쉽다.
S34: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켜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완전히 중첩시킨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제1 접착제)가 보조 분리 부재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으로 덮여 있는 경우, 이형 필름을 벗겨낸 후,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직접 접합시키고, 꼭대기부 또는 꼭대기부 접착부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S35: 바닥부를 제공하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부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41: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한다.
상기 꼭대기부와 제1 구역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S42: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한다.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S43: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고,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형성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제의 설명은 상술한 도 17과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S44: 제2 접착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접착제는 일반적인 접착제일 수 있다.
S45: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로 서로 접착시키고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완전히 중첩시키고,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는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의 공동 접착 작용을 통해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 안정성을 보장하여, 밀봉 용기가 운반, 이송 또는 압출 과정에서 안정적인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그 내용물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를 설치하고, 제1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가 제2 접착제 고화 후의 연화 온도보다 낮으면, 제1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의 부분이 서로 분리되기 더욱 용이할 수 있는데, 즉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접착하지 않고 제2 접착제만 사용하여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접착한 경우에 비해, 제1 접착제는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보조 분리 부재가 보조 분리 부재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으로 덮여 있는 경우, 이형 필름을 벗겨낸 후,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직접 접합시키고, 꼭대기부 또는 꼭대기부 접착부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S46: 바닥부를 제공하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부의 설명은 상술한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은, 용기 전구체를 과산화수소로 멸균한 다음, 용기 전구체에 내용물을 채우는 단계; 추가로 절첩하여 용기 전구체의 꼭대기부 구역을 형성한 후,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켜 밀봉되고 내용물로 채워진 밀봉 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밀봉 용기, 시트상 복합 재료, 용기 전구체 및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1)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는, 보조 분리 부재가 밀봉 용기의 제1 구역과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밀봉 용기를 가열할 때, 밀봉 용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그 꼭대기부와 꼭대기부 접착부가 분리되므로, 밀봉 용기가 파열되거나 밀봉 용기의 내용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밀봉 용기는, 장식 패턴과 보조 분리 부재에 동일한 재료가 채용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므로, 원재료의 종류를 증가시키거나 공정 단계를 증가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보조 분리 부재의 형성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설비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1) 밀봉 용기로서, 상기 밀봉 용기는
꼭대기표면 및 상기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 및
상기 꼭대기부와 연결되는 꼭대기부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서로 접착되어 완전히 중첩되고,
상기 밀봉 용기는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상기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밀봉 용기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상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밀봉 용기.
(2) (1)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와 상기 꼭대기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흔적선이 구비되고, 상기 흔적선을 따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꼭대기부에 대해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키는 위치로 절첩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상기 흔적선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밀봉 용기.
(3) (2)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평면 형상은 제1 꼭지각을 포함하는 제1 다변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꼭지각의 꼭짓점은 상기 흔적선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점이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평면 형상은 제2 꼭지각을 포함하는 제2 다변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꼭지각의 꼭짓점은 상기 흔적선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점이고,
상기 제1 다변형과 상기 흔적선 사이의 최단 거리가 제1 거리이고,
상기 제2 꼭짓점에서 상기 흔적선까지의 최단 거리가 제2 거리이고,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은, 밀봉 용기.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점상 패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밀봉 용기.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면적이 상기 제1 구역의 면적의 5% 내지 80%인, 밀봉 용기.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는 기둥형이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가 상기 꼭대기부의 상기 측표면에 설치되는, 밀봉 용기.
(7) (6)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는 2개의 대향 설치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와 상기 제1 구역 사이에만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된, 밀봉 용기.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꼭대기부 밀봉부 및 바닥부 밀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가 상기 바닥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보다 작은, 밀봉 용기.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용기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는, 밀봉 용기.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인, 밀봉 용기.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제2 접착제가 더 개재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상기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은, 밀봉 용기.
(12)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꼭대기부와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밀봉 용기는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상기 밀봉 용기의 내부를 외부 환경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설정 온도가 상기 제2 설정 온도보다 낮거나 같은, 밀봉 용기.
(13) 시트상 복합 재료로서,
제1 복합 구역 및 제2 복합 구역을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구역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열밀봉층, 지지층 및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합 구역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조 분리 부재, 상기 제1 열밀봉층,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제1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종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1 경계 에지 및 횡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2 경계 에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과 상기 횡방향은 직교하고,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 및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를,
바닥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바닥부 구역;
꼭대기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꼭대기부 구역; 및
상기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구역으로 나누고,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계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頂端) 부분; 및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頂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상기 종방향과 상기 횡방향 모두에 대해 기울어지며 상기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비스듬한 절흔선을 포함하고,
상기 비스듬한 절흔선은 상기 제2 경계 에지 중 하나의 제2 경계 에지를 향하는 제1 단부 및 연속 라인을 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 라인은 상기 횡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의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스듬한 절흔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 부분과 함께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의 날개편 구역을 획정하고, 상기 날개편 구역은 꼭대기부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상기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에 대하여 상기 날개편 구역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함께 절첩 라인을 한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종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구역은 제1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편 구역은 상기 꼭대기부 구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은 서로 접착 가능하고 완전히 중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된 상기 날개편 구역 및/또는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복합 구역에 대응하는, 시트상 복합 재료.
(14) (13)에 따른 시트상 복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 구역에서, 상기 제2 열밀봉층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열밀봉층의 일측에는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는, 시트상 복합 재료.
(15)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13) 또는 (14)에 따른 시트상 복합 재료 및 종방향 이음매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이음매는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의 2개의 상기 제1 경계 에지를 연결하여 사방을 감싸는 용기 전구체를 형성하는, 용기 전구체.
(16) (15)에 따른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에 의해 덮여 있는, 용기 전구체.
(17) (15) 또는 (16)에 따른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구역의 외표면과 상기 날개편 구역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는, 용기 전구체.
(18)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인, 용기 전구체.
(19) (15)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기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접착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상기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은, 용기 전구체.
(20)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로서,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켜 완전히 중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바닥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상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제조 방법.
(21) (20)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22) (20) 또는 (21)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40℃ 내지 70℃-인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가 상기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이하의 몇 가지 설명에 유의해야 한다.
(1) 본 개시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된 구조에만 관련된 것으로, 다른 구조는 통상적인 설계를 참조할 수 있다.
(2) 명확성을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첨부 도면에서, 층 또는 구역의 두께는 확대 또는 축소되었는데, 즉 이러한 첨부 도면은 실제 축척에 따라 제도되지 않았다. 층, 필름, 구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다고 할 때, 해당 요소는 다른 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직접" 위치하거나,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3) 충돌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서의 특징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불과하고,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Claims (22)

  1. 밀봉 용기로서, 상기 밀봉 용기는
    꼭대기표면(頂表面) 및 상기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頂部); 및
    상기 꼭대기부와 연결되는 꼭대기부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서로 접착되어 완전히 중첩되고,
    상기 밀봉 용기는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상기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밀봉 용기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상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밀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와 상기 꼭대기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흔적선(痕迹線)이 구비되고, 상기 흔적선을 따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꼭대기부에 대해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키는 위치로 절첩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상기 흔적선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밀봉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평면 형상은 제1 꼭지각을 포함하는 제1 다변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꼭지각의 꼭짓점은 상기 흔적선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점이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평면 형상은 제2 꼭지각을 포함하는 제2 다변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꼭지각의 꼭짓점은 상기 흔적선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의 점이고,
    상기 제1 다변형과 상기 흔적선 사이의 최단 거리가 제1 거리이고,
    상기 제2 꼭짓점에서 상기 흔적선까지의 최단 거리가 제2 거리이고,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은, 밀봉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점상 패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밀봉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면적이 상기 제1 구역의 면적의 5% 내지 80%인, 밀봉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는 기둥형이고,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가 상기 꼭대기부의 상기 측표면에 설치된, 밀봉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는 2개의 대향 설치된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와 상기 제1 구역 사이에만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된, 밀봉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꼭대기부 밀봉부 및 바닥부 밀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가 상기 바닥부 밀봉부의 밀봉 강도보다 작은, 밀봉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용기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는, 밀봉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인, 밀봉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제2 접착제가 더 개재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상기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은, 밀봉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는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봉 용기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밀봉 용기는 압력 방출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상기 밀봉 용기의 내부를 외부 환경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설정 온도가 상기 제2 설정 온도보다 낮거나 같은, 밀봉 용기.
  13. 시트상 복합 재료로서,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제1 복합 구역 및 제2 복합 구역, 및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구역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열밀봉층, 지지층 및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합 구역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조 분리 부재, 상기 제1 열밀봉층,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제2 열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제1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종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1 경계 에지 및 횡방향에 평행한 2개의 제2 경계 에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과 상기 횡방향은 직교하고,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는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折痕線) 및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를
    바닥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바닥부 구역;
    꼭대기부 절흔 패턴이 포함된 꼭대기부 구역; 및
    상기 바닥부 횡방향 절흔선과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구역으로 나누고,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은,
    꼭대기부 중앙 부분;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계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頂端) 부분; 및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頂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상기 종방향과 상기 횡방향 모두에 대해 기울어지며 상기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비스듬한 절흔선을 포함하고,
    상기 비스듬한 절흔선은 상기 제2 경계 에지 중 하나의 제2 경계 에지를 향하는 제1 단부 및 연속 라인을 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 라인은 상기 횡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꼭대기부 횡방향 절흔선의 상기 꼭대기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단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스듬한 절흔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대기측 부분과 함께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의 날개편(翼片) 구역을 획정하고, 상기 날개편 구역은 꼭대기부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꼭대기부 절흔 패턴은 상기 꼭대기부 구역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에 대하여 상기 날개편 구역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함께 절첩 라인을 한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종방향 절흔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구역은 제1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편 구역은 상기 꼭대기부 구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은 서로 접착 가능하고 완전히 중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설치된 상기 날개편 구역 및/또는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복합 구역에 대응하는, 시트상 복합 재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 구역에서, 상기 제2 열밀봉층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열밀봉층의 일측에는 장식 패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는, 시트상 복합 재료.
  15. 용기 전구체로서,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시트상 복합 재료 및 종방향 이음매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이음매는 상기 시트상 복합 재료의 2개의 상기 제1 경계 에지를 연결하여 사방을 감싸는 용기 전구체를 형성하는, 용기 전구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 분리 부재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분리 가능한 이형 필름에 의해 덮여 있는, 용기 전구체.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부 구역의 외표면과 상기 날개편 구역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식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 패턴은 상기 보조 분리 부재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구비하는, 용기 전구체.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40℃ 내지 70℃인, 용기 전구체.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날개편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접착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상기 제2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낮은, 용기 전구체.
  20. 밀봉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꼭대기표면 및 형성할 밀봉 용기의 약 1/2 높이 이상인 측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구역을 포함하는 꼭대기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꼭대기부와 연결된 꼭대기부 접착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를 서로 접착시켜 완전히 중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층 열밀봉층, 지지층 및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층 열밀봉층을 포함하는 복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리 부재의 재료는 상기 외층 열밀봉층의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바닥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가 수평인 면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면에 놓이면, 상기 밀봉 용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할 밀봉 용기의 외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분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40℃ 내지 70℃인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꼭대기부 접착부가 상기 제1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237044199A 2021-05-21 2022-05-20 밀봉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시트상 복합 재료와 용기 전구체 KR20240012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559783.7 2021-05-21
CN202110559783.7A CN113135332A (zh) 2021-05-21 2021-05-21 密封容器及其制备方法、片状复合材料和容器前体
PCT/CN2022/094168 WO2022242755A1 (zh) 2021-05-21 2022-05-20 密封容器及其制备方法、片状复合材料和容器前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507A true KR20240012507A (ko) 2024-01-29

Family

ID=7681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199A KR20240012507A (ko) 2021-05-21 2022-05-20 밀봉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시트상 복합 재료와 용기 전구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12507A (ko)
CN (1) CN113135332A (ko)
TW (1) TW202306849A (ko)
WO (1) WO2022242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5332A (zh) * 2021-05-21 2021-07-20 康美包(苏州)有限公司 密封容器及其制备方法、片状复合材料和容器前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544A (ja) * 2003-07-24 2005-02-17 Toppan Printing Co Ltd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と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2016043948A (ja) * 2014-08-21 2016-04-04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BR112021009569A2 (pt) * 2018-11-20 2021-08-1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aterial de acondicionamento de folha, e, embalagem vedada
CN209939204U (zh) * 2019-05-31 2020-01-14 山东碧海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液体包装容器的坯料及其包装容器
CN113135332A (zh) * 2021-05-21 2021-07-20 康美包(苏州)有限公司 密封容器及其制备方法、片状复合材料和容器前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35332A (zh) 2021-07-20
WO2022242755A1 (zh) 2022-11-24
TW202306849A (zh)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5302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JP6053281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袋
US10974888B2 (en) Lidded container and container used therefor
CN102233977A (zh) 泡罩包装
JP6265862B2 (ja) 包装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059650B2 (en) Packaging bag for heating in microwave oven
KR20070100093A (ko)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JP2008201437A (ja) ストリップ包装体
KR20240012507A (ko) 밀봉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시트상 복합 재료와 용기 전구체
WO2005051800A1 (ja)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JP2007112488A (ja) 蒸気抜き包装袋
CN102369145A (zh) 聚合物包装
US20060269174A1 (en) Easy open pouch with energy activation
JP2017024746A (ja) 蒸気抜き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WO2022264815A1 (ja) 複合フィルム、蓋材、及び内容物入り蓋付容器
JP6003173B2 (ja) 蓋材
JP4334674B2 (ja) 食品用袋
JP2007015772A (ja)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JP2017081648A (ja) 弁装置付き包装体及びこれに使用する弁装置
JP2017171361A (ja) 包装袋
JP2017165480A (ja) テトラ型パウチ
JP2017007696A (ja) 包装袋
JP5915110B2 (ja) 蓋材
JP2015129000A (ja) 包装体
JP2019038593A (ja) 包装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