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481A -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481A
KR20240006481A KR1020230193193A KR20230193193A KR20240006481A KR 20240006481 A KR20240006481 A KR 20240006481A KR 1020230193193 A KR1020230193193 A KR 1020230193193A KR 20230193193 A KR20230193193 A KR 20230193193A KR 20240006481 A KR20240006481 A KR 2024000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memory
memory device
signal
control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오루 모리
Original Assignee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0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4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4Memory cell safety or protection circuits, e.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reading or writing; Status cells; Test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5Indicating the presence of volt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5In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refresh, e.g. hidden refresh, self refresh, pseudo-S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26Temperature related aspects of refresh ope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4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disturbances due to temperature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7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arranged in matrix form
    • H03K19/17724Structural details of logic blocks
    • H03K19/17728Reconfigurable logic block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54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과제] 사용 시의 환경(예를 들어, 전원전압이나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반도체 기억장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8)와,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링 발진기(14) 및 카운터(15))와, 전원투입 후에 온도 센서(18)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 및 전원투입 후에 전압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소정의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기억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반도체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신호의 전송 속도 등의 고속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전원투입 후에, 반도체 기억장치의 PVT(프로세스/전원전압/온도) 변동에 의존하는 특성을 갖는 링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의 수에 따라서, 내부 클록의 동작 타이밍(셋 업 타임 및 홀드 타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링 발진기는, 전원전압이 높을수록 또는 온도가 높을수록, 출력된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의 수가 많아지고, 전원전압이 낮을수록 또는 온도가 낮을수록, 출력된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의 수가 적어진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링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의 수에만 의거해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예를 들어, 온도 및 전원전압 등)의 모든 패턴(예를 들어, 저온에서 저전압, 저온에서 고전압, 고온에서 저전압, 고온에서 고전압 등)에 대해서 요구 성능(사양)을 충족시키도록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내부 클록의 동작 타이밍이 전원투입 후에 한번밖에 제어되지 않으므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 시의 환경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보다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로서,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전원투입 후에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 및, 전원투입 후에 상기 전압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소정의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한다(발명 1).
이러한 발명(발명 1)에 따르면, 전원투입 후에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와, 전원투입 후에 전압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제어되므로, 온도 및 전원전압의 모든 패턴(예를 들어, 저온에서 저전압, 저온에서 고전압, 고온에서 저전압, 고온에서 고전압 등)에 대해서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요구 성능 등)을 충족시키도록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링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의 수에만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경우와 비교해서, 사용 시의 환경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보다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송 속도 등의 고속화에 적응해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반도체 기억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발명(발명 1)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원투입 후의 임의의 타이밍마다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실행되는 파워 업 시퀀스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발명 2).
이러한 발명(발명 2)에 따르면,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반도체 기억장치가 통상의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사이에, 해당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 내지 2)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커맨드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된 경우에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발명 3).
이러한 발명(발명 3)에 따르면, 예를 들어, 소정의 커맨드가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될 때마다, 해당 커맨드가 입력되었을 때의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3)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커맨드가 실행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발명 4).
이러한 발명(발명 4)에 따르면, 제어 후의 동작 타이밍에 의거해서 소정의 커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시의 환경에 따라서 해당 커맨드를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 내지 4)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가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경우에, 상기 메모리의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발명 5).
이러한 발명(발명 5)에 따르면, 예를 들어, 메모리의 리프레시 동작이 실행될 때마다, 해당 리프레시 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의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명(발명 5)에 따르면,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 중(즉, 소정의 커맨드(예를 들어, 판독 커맨드나 기입 커맨드 등의 액티브 커맨드 등)가 실행되지 않는 사이)에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소정의 커맨드의 실행을 방해하는 일 없이 동작 타이밍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 내지 5)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와, 상기 전압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과,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의 지연량이 대응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해서, 상기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발명 6).
이러한 발명(발명 6)에 따르면, 검출된 온도 및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동작 타이밍의 지연량을 룩업 테이블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동작 타이밍의 지연량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고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6)에 있어서는, 상기 전압검출부는, 상기 전원전압에 의해서 동작하는 소정의 링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토글 횟수에 의거해서 상기 전원전압을 검출해도 된다(발명 7).
이러한 발명(발명 7)에 따르면, 예를 들어, 링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토글 횟수가 많을수록 전원전압이 높다고 검출하고, 해당 신호의 토글 횟수가 적을수록 전원전압이 낮다고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해당 신호의 토글 횟수를 이용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이 높은 것과, 반도체 기억장치의 프로세스가 고속인 것은 마찬가지의 영향을 초래하고,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이 낮은 것과, 반도체 기억장치의 프로세스가 저속인 것은 마찬가지의 영향을 초래한다. 따라서,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의 전원전압이 높다고 검출하는 것은, 실제로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프로세스가 고속이라고 검출하는 것이어도 되고,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이 낮다고 검출하는 것은, 실제로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프로세스가 저속이라고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프로세스(예를 들어, 고속, 중속 또는 저속)가, 대응하는 전원전압(예를 들어, 고전압, 중전압 또는 저전압)이라고 병기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에 따르면, 사용 시의 환경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보다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어부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3(a) 내지 (c)는 룩업 테이블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소정의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의 제어부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5(a) 내지 (b)는, 온도가 고온인 경우에 있어서의 전원전압에 대한 동작 타이밍의 제어 양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 내지 (d)는, 온도가 저온인 경우에 있어서의 전원전압에 대한 동작 타이밍의 제어 양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어부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9는 리프레시 동작이 실행될 경우의 제어부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의 "제1", "제2", "제3" 등의 표기는, 소정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의 수, 순서 또는 우선도 등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요소" 및 "제2 요소"라는 기재가 존재할 경우, "제1 요소" 및 "제2 요소"라고 하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는, 제어부(10)와, 외부장치(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 등)의 사이에서 신호(예를 들어, 칩 선택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클록 신호 등)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도시 생략)와,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어레이(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제어부(10),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 어레이의 각각은, 전용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나 논리회로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는, 예를 들어, DRAM, pSRAM(pseudo-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이어도 된다.
제어부(10)는, 인터페이스부를 개재해서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기입 요구에 의거해서 메모리 어레이에의 데이터의 기입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10)는, 인터페이스부를 개재해서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판독 요구에 의거해서 메모리 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전원투입 후에 온도 센서(18)(후술함)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 및 전원투입 후에 전압검출부(후술함)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실행되는 파워 업 시퀀스에 있어서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반도체 기억장치가 통상의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사이에, 해당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제어부(10)는, 소정의 커맨드(예를 들어, 판독 커맨드나 기입 커맨드 등의 액티브 커맨드 등)가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된 경우에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의 커맨드가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될 때마다, 해당 커맨드가 입력되었을 때의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소정의 커맨드가 실행되기 전에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 후의 동작 타이밍에 의거해서 소정의 커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시의 환경에 따라서 해당 커맨드를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온도 센서(18)(후술함)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와, 전압검출부(후술함)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과,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의 지연량이 대응된 룩업 테이블(16)(후술함)을 이용해서, 동작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검출된 온도 및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동작 타이밍의 지연량을 룩업 테이블(16)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동작 타이밍의 지연량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고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전압검출부(후술함)는, 전원전압에 의해서 동작하는 소정의 링 발진기(14)(후술함)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토글 횟수에 의거해서 전원전압을 검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링 발진기(1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토글 횟수가 많을수록 전원전압이 높다고 검출하고, 해당 신호의 토글 횟수가 적을수록 전원전압이 낮다고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해당 신호의 토글 횟수를 이용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0)가, 데이터 기입 요구 시에 있어서의 클록 신호의 셋 업 타임(tWLS) 및 홀드 타임(tWLH)을 제어할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해서, 제어부(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0)는, 파워 업 시퀀스 제어부(11)와, 타이밍 제어부(12)와, 제1 발진기(13)와, 링 발진기(14)와, 카운터(15)와, 룩업 테이블(16)과, 타이밍 설정부(17)와, 온도 센서(18)를 구비한다. 또,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반도체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주지의 구성(예를 들어, 커맨드 디코더나, 메모리 어레이 및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 등)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파워 업 시퀀스 제어부(11)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 외부전원의 전압(VDD)이 인가되면, 소정의 파워 업 시퀀스를 실행한다. 여기서, 파워 업 시퀀스에는, 예를 들어, 외부전원의 전압(VDD)에 의거해서 초기의 내부전원을 생성하는 것과, 내부전원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트리밍 코드를 판독하는 것과, 외부전원의 전압(VDD) 및 트리밍 코드에 의거해서 내부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파워 업 시퀀스 제어부(11)는, 파워 업 시퀀스의 실행이 종료되면, 파워 업 시퀀스가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프레칩 레디 신호(PCHRDY)를 타이밍 제어부(12)에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는, 프레칩 레디 신호(PCHRDY)가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 처리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신호(TRMEN)를 제1 발진기(13)에 출력한다. 또,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CNTEN)를 링 발진기(14) 및 온도 센서(18)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따른 동작 타이밍을 구하기 위한 신호(CALC)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한다.
또, 타이밍 제어부(12)는, 구해진 동작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하면, 반도체 기억장치가 액세스 가능한 상태(칩 레디 상태(대기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칩 레디 신호(CHRDY)를,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도시 생략)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소정의 커맨드가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PACT)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면,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하고,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해도 된다.
제1 발진기(13)는, 하이 레벨의 신호(TRMEN)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사이, 발진 신호(OSC)를 소정 간격으로 생성하고, 타이밍 제어부(12) 및 링 발진기(14)에 출력한다.
링 발진기(14)는, 외부전원 또는 내부전원의 전압(전원전압)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이 레벨의 신호(CNTEN)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사이, 전원전압에 따른 주파수의 발진 신호(RINGO)를 카운터(15)에 출력한다. 여기서, 링 발진기(14)는, 전원전압이 높을수록, 고주파수의(즉, 토글 횟수가 많은) 발진 신호(RINGO)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동작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링 발진기(14)는, 동작 타이밍의 제어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 또는 회로(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 내의 입력 버퍼나 입력 버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회로 등)와 동일한 디바이스 또는 회로로 구성되어도 되고, 동일한 전원으로 동작해도 된다.
카운터(15)는, 발진 신호(RINGO)가 링 발진기(14)로부터 입력되면, 발진 신호(RINGO)의 토글 횟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카운터(15)는, 카운트 값을 나타내는 소정의 비트수(여기서는, 5비트)의 신호(CNT<4:0>)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한다. 또한, 신호(CNT<4:0>)의 값은, 하이 레벨의 신호(CNTEN)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링 발진기(14)에 새롭게 입력될 때까지 카운터(15)에 유지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 발진기(14) 및 카운터(15)는 본 발명의 "전압검출부"의 일례이다.
룩업 테이블(16)은, 하이 레벨의 신호(CALC)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사이, 카운터(15)로부터 입력된 신호(CNT<4:0>)와, 온도 센서(18)로부터 입력된 온도범위를 나타내는 소정의 비트수(여기서는, 2비트)의 신호(TMP<1:0>)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여기서는, 셋 업 타임(tWLS) 및 홀드 타임(tWLH))의 지연량을 나타내는 소정의 비트수(여기서는, 5비트)의 신호(PTIM<4:0>)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또, 룩업 테이블(16)의 구성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타이밍 설정부(17)는, 하이 레벨의 신호(CHG)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16)로부터 입력된 신호(PTIM<4:0>)를, 동작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비트수(여기서는, 5비트)의 신호(TIM<4:0>)로서, 동작 타이밍의 제어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또는 회로(예를 들어, 지연 회로 등)에 출력한다.
온도 센서(18)는, 하이 레벨의 신호(CNTEN)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면,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범위(예를 들어, 고온도, 중온도, 저온도 등)를 나타내는 소정의 비트수(여기서는, 2비트)의 신호(TMP<1:0>)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또한, 온도 센서(18)는, 소정의 커맨드가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PACT)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면,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고, 신호(TMP<1:0>)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해도 된다. 또한, 신호(TMP<1:0>)의 값은, 하이 레벨의 신호(CNTEN)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새롭게 입력될 때까지 온도 센서(18)에 유지되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어부(10)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우선, 타이밍 제어부(12)는, 파워 업 시퀀스가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프레칩 레디 신호(PCHRDY)가 입력되면, 하이 레벨의 신호(TRMEN)를 제1 발진기(13)에 출력한다. 제1 발진기(13)는, 하이 레벨의 신호(TRMEN)이 입력되고 있는 사이, 발진 신호(OSC)를 소정 간격으로 생성해서, 타이밍 제어부(12) 및 링 발진기(14)에 출력한다.
시각 t1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하이 레벨의 신호(CNTEN)를 링 발진기(14) 및 온도 센서(18)에 출력한다. 링 발진기(14)는, 하이 레벨의 신호(CNTEN)가 입력되고 있는 사이, 전원전압에 따른 주파수의 발진 신호(RINGO)를 카운터(15)에 출력한다. 또한, 카운터(15)는, 발진 신호(RINGO)의 토글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을 나타내는 신호(CNT<4:0>)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센서(18)가 검출한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범위에 따라서, 발진 신호(RINGO)의 토글 횟수가, 소정수(여기서는, 3개)의 온도범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범위로 분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신호(CNT<4:0>)의 값이 12인 경우에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이 저전압(저속 프로세스)으로 분류되고, 신호(CNT<4:0>)의 값이 16인 경우에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이 중전압(중속 프로세스)으로 분류되고, 신호(CNT<4:0>)의 값이 21인 경우에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이 고전압(고속 프로세스)으로 분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온도 센서(18)는, 하이 레벨의 신호(CNTEN)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면,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범위(예를 들어, 고온도, 중온도, 저온도 등)를 나타내는 신호(TMP<1:0>)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한다.
다음에, 시각 t2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하이 레벨의 신호(CALC)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한다. 룩업 테이블(16)은, 카운터(15)로부터 입력된 신호(CNT<4:0>)와, 온도 센서(18)로부터 입력된 온도범위를 나타내는 신호(TMP<1:0>)에 의거해서, 지연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해서, 지연량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내지 (c)는, 룩업 테이블(16)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룩업 테이블(16)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PTIM<4:0>)의 값(도면의 예에서는, 0 내지 31)마다 지연량이 대응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3(a)에 나타낸 예에서는, 신호(PTIM<4:0>)의 값이 0에서부터 15까지 높게 될수록 지연량이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고, 신호(PTIM<4:0>)의 값이 16에서부터 31까지 높게 될수록 지연량이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3(a)에 있어서, x는, 임의의 양의 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의 방향의 지연에 의해서 클록 신호의 셋 업 타임(tWLS)이 개선되고, 음의 방향의 지연에 의해서 클록 신호의 홀드 타임(tWLH)이 개선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또, 룩업 테이블(16)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수(여기서는, 3개)의 온도범위마다 그리고 소정수(여기서는, 3개)의 전압범위마다, 신호(CNT<4:0>)의 값이 대응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3(b)에 있어서, y1, y2, y3, y4(y1<y2<y3<y4)는, 임의의 수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신호(TMP<1:0>)의 값이 0b01이고, 신호(CNT<4:0>)의 값이 16인 경우에는, 전원전압이 중전압이라고 판별된다. 또한, 신호(TMP<1:0>)의 값이 0b11이며, 신호(CNT<4:0>)의 값이 21인 경우에는, 전원전압이 고전압이라고 판별된다.
또한, 룩업 테이블(16)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수(여기서는, 3개)의 온도범위마다 그리고 소정수(여기서는, 3개)의 전압범위마다, 신호(PTIM<4:0>)의 값이 대응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3(c)의 예에서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가 저온인 경우(신호(TMP<1:0>)의 값이 0b00인 경우), 전원전압이 낮게 될수록 지연량의 절대치가 커지고,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가 고온인 경우(신호(TMP<1:0>)의 값이 0b11인 경우), 전원전압이 높게 될수록 지연량의 절대치가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TMP<1:0>)의 값이 0b01이고, 신호(CNT<4:0>)의 값이 16인 경우(즉, 중전압인 경우)에는, 신호(PTIM<4:0>)의 값이 0(도 3 (a)의 예에서는, 0ps)이라고 결정된다. 또한, 신호(TMP<1:0>)의 값이 0b11이고, 신호(CNT<4:0>)의 값이 21인 경우(즉, 고전압인 경우)에는, 신호(PTIM<4:0>)의 값이 5(도 3 (a)의 예에서는, +5x ps)라고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카운터(15)로부터 입력된 신호(CNT<4:0>)와, 온도 센서(18)로부터 입력된 온도범위를 나타내는 신호(TMP<1:0>)에 의거해서, 지연량이 결정된다.
도 2로 돌아가면, 시각 t3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하이 레벨의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타이밍 설정부(17)는, 룩업 테이블(16)로부터 입력된 신호(PTIM<4:0>)를, 동작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TIM<4:0>)로서, 동작 타이밍의 제어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또는 회로(예를 들어, 지연 회로 등)에 출력한다.
또,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가 액세스 가능한 상태(칩 레디 상태(대기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칩 레디 신호(CHRDY)를,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도시 생략)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해서, 반도체 기억장치에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실행되는 파워 업 시퀀스에 있어서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이 제어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해서, 소정의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에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소정의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의 제어부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우선, 반도체 기억장치가 대기 상태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타이밍 제어부(12)는, 하이 레벨의 신호(CNTEN)를, 임의의 간격으로 온도 센서(18)에 출력해도 된다.
시각 t11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소정의 커맨드가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PACT)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면, 하이 레벨의 신호(CALC)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한다. 룩업 테이블(16)은, 카운터(15)로부터 입력된 신호(CNT<4:0>)와, 온도 센서(18)로부터 입력된 온도범위를 나타내는 신호(TMP<1:0>)에 의거해서 지연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지연량을 나타내는 신호(PTIM<4:0>)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다음에, 시각 t12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하이 레벨의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그리고, 타이밍 설정부(17)는, 신호(TIM<4:0>)를, 동작 타이밍의 제어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또는 회로(예를 들어, 지연 회로 등)에 출력한다.
또한, 시각 t13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소정의 커맨드의 실행을 개시하도록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소정의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에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이 제어된다.
도 5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동작 타이밍의 제어 양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b)는, 온도가 고온인 경우에 있어서의 전원전압에 대한 동작 타이밍의 제어 양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c) 내지 (d)는, 온도가 저온인 경우에 있어서의 전원전압에 대한 동작 타이밍의 제어 양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기억장치가 고온일 때에, 전원전압이 높게 될수록 셋 업 타임(tWLS)이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지 않게 될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인 경우에는, 전원전압이 높게 될수록 지연량의 절대치가 커지도록 동작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전원전압이 높아져도, 셋 업 타임(tWLS)이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드 타임(tWLH)도 요구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기억장치가 저온일 때에, 전원전압이 낮게 될수록 홀드 타임(tWLH)이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지 않게 될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인 경우에는, 전원전압이 낮게 될수록 지연량의 절대치가 커지도록 동작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전원전압이 낮아져도, 홀드 타임(tWLH)가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셋 업 타임(tWLS)도 요구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에 따르면, 전원투입 후에 온도 센서(18)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와, 전원투입 후에 링 발진기(14) 및 카운터(15)(전압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이 요구 성능(소정의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제어되므로, 온도 및 전원전압의 모든 패턴(예를 들어, 저온에서 저전압, 저온에서 고전압, 고온에서 저전압, 고온에서 고전압 등)에 대해서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요구 성능 등)을 충족시키도록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링 발진기(1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의 수에만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경우와 비교해서, 사용 시의 환경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보다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송 속도 등의 고속화에 적응해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반도체 기억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원투입 후의 임의의 타이밍마다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에 따르면, 전원투입 후에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조 시의 테스트 공정에 있어서 사전에 동작 타이밍을 설정하는 등의 처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 시의 테스트 공정을 보다 간략화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는, 사전에 정의된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에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사전에 정의된 커맨드가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CMD)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타이밍 제어부(12)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전에 정의된 커맨드는, 예를 들어, 동작 타이밍의 제어만을 실행하기 위한 커맨드이어도 되고, 동작 타이밍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커맨드와 소정의 커맨드를 조합시킨 커맨드이어도 된다. 또, 사전에 정의된 커맨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커맨드는, 예를 들어, 판독 커맨드이어도 되고, 기입 커맨드이어도 되고, 비교적 높은 타이밍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커맨드(예를 들어, 판독 레벨링이나 기입 레벨링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신호(CMD)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 처리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신호(TRMEN)를 제1 발진기(13)에 출력해도 된다. 또,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CNTEN)를 링 발진기(14) 및 온도 센서(18)에 출력해도 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따른 동작 타이밍을 구하기 위한 신호(CALC)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해도 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구해진 동작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해도 된다. 또, 타이밍 제어부(12)는,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하면, 사전에 정의된 커맨드에 포함되는 다른 커맨드(예를 들어, 판독 커맨드, 기입 커맨드, 기입 레벨링, 판독 레벨링 등)를 실행하도록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를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는,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경우에, 해당 메모리의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 중에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점에 있어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 상기 각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는, 메모리의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예를 들어, DRAM, pSRAM 등)이어도 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어부(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전술한 각 부(11 내지 18) 이외에 제2 발진기(19)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밍 제어부(12) 및 온도 센서(18)는,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이 요구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SREF)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발진기(19)는, 칩 레디 신호(CHRDY)가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면, 리프레시 동작을 트리거하기 위한 신호(SRTRIG)를 소정 간격으로 생성해서, 타이밍 제어부(12)에 출력한다.
또, 제1 발진기(13) 및 제2 발진기(19)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의 변동에 의존하는 특성을 지니지 않고 있을 경우에, 제1 발진기(13) 및 제2 발진기(19) 중 어느 한 쪽만이, 제1 발진기(13) 및 제2 발진기(19)의 각각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어부(10)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또, 여기에서는, 신호(SRTRIG)가 4회 토글할 때마다, 4개째의 신호(SRTRIG)의 하강 에지에 있어서 동작 타이밍의 결정이 행해지고, 신호(SRTRIG)가 2회 토글될 때마다, 두번째 신호(SRTRIG)의 상승 에지에 있어서 하이 레벨의 신호(SREF)가 타이밍 제어부(12)에 입력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우선, 시각 t21에 있어서 동작 타이밍의 결정이 개시될 경우, 타이밍 제어부(12)는, 타이밍 제어 처리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신호(TRMEN)를 제1 발진기(13)에 출력해도 된다. 또,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CNTEN)를 링 발진기(14) 및 온도 센서(18)에 출력해도 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따른 동작 타이밍을 구하기 위한 신호(CALC)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해도 된다.
다음에, 시각 t22에 있어서 하이 레벨의 신호(SREF)가 타이밍 제어부(12)에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12)는,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의 개시 시에, 동작 타이밍의 설정을 행해도 된다.
도 9에, 리프레시 동작이 실행될 경우의 제어부(10) 내의 각 부의 신호의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시각 t31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하이 레벨의 신호(SREF)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면, 하이 레벨의 신호(CALC)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한다. 룩업 테이블(16)은, 카운터(15)로부터 입력된 신호(CNT<4:0>)와, 온도 센서(18)로부터 입력된 온도범위를 나타내는 신호(TMP<1:0>)에 의거해서 지연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지연량을 나타내는 신호(PTIM<4:0>)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다음에, 시각 t32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12)는, 하이 레벨의 신호(CHG)를 타이밍 설정부(17)에 출력한다. 그리고, 타이밍 설정부(17)는, 신호(TIM<4:0>)를, 동작 타이밍의 제어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또는 회로(예를 들어, 지연 회로 등)에 출력한다.
또, 타이밍 제어부(12)는, 리프레시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도 8로 돌아가, 시각 t23에 있어서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가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12)는,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시각 t22 내지 시각 t23 사이에 제어된 동작 타이밍에 의거해서,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가 실행된다.
다음에, 시각 t24에 있어서 하이 레벨의 신호(SREF)가 타이밍 제어부(12)에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12)는,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의 개시 시에, 동작 타이밍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에, 시각 t25에 있어서 동작 타이밍의 결정이 개시될 경우, 타이밍 제어부(12)는, 타이밍 제어 처리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신호(TRMEN)를 제1 발진기(13)에 출력해도 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CNTEN)를 링 발진기(14) 및 온도 센서(18)에 출력해도 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따른 동작 타이밍을 구하기 위한 신호(CALC)를 룩업 테이블(16)에 출력해도 된다.
여기서, 하이 레벨의 신호(SREF)가 타이밍 제어부(12)에 입력되기 전에,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가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된 경우에는, 타이밍 제어부(12)는, 신호(SREF)를 하이 레벨로 유지한 상태에서,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2)는,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의 실행이 종료된 후의 시각 t26에 있어서,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도 9에 나타내는 동작 타이밍의 설정을 포함함)을 개시해도 된다.
다음에, 시각 t27에 있어서 하이 레벨의 신호(SREF)가 타이밍 제어부(12)에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12)는,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도 9에 나타내는 동작 타이밍의 설정을 포함함)을 개시해도 된다. 여기서,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 중에,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가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커맨드 디코더(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된 경우에는, 타이밍 제어부(12)는,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이 종료된 후의 시각 t28에 있어서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부(10) 내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회로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에 따르면, 예를 들어, 메모리의 리프레시 동작이 실행될 때마다, 해당 리프레시 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의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 및 전원전압에 의거해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반도체 기억장치의 사용 시의 환경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서, 동작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기억장치에 따르면,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 중(즉, 소정의 커맨드(예를 들어, 판독 커맨드나 기입 커맨드 등의 액티브 커맨드 등)가 실행되지 않는 사이)에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소정의 커맨드의 실행을 방해하는 일 없이 동작 타이밍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기입 요구 시에 있어서의 클록 신호의 셋 업 타임(tWLS) 및 홀드 타임(tWLH)을 제어할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데이터 판독 요구 시에 있어서의 클록 신호의 셋 업 타임 및 홀드 타임이 제어되어도 되고, 다른 동작 타이밍(예를 들어, 행 워드선 활성화 타이밍, 감지 증폭기 활성화 타이밍, 열 비트선 활성화 타이밍 등)이 제어되어도 된다.
또,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가 3개의 온도범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범위로 분류되고,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이 3개의 전압범위 중 어느 하나의 전압범위로 분류되는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는 3개 이외의 복수의 온도범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범위로 분류되어도 되고,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은 3개 이외의 복수의 전원범위 중 어느 하나의 전원범위로 분류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10)의 구성은 일례이며, 적당히 변경되어도 되고, 다른 여러 가지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10: 제어부 11: 파워 업 시퀀스 제어부
12: 타이밍 제어부 13: 제1 발진기
14: 링 발진기 15: 카운터
16: 룩업 테이블 17: 타이밍 설정부
18: 온도 센서 19: 제2 발진기
RINGO: 링 발진기의 출력 신호

Claims (8)

  1. 반도체 기억장치로서,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원전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전압검출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및 전원이 인가된 후 상기 전압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전원전압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특정 간격으로 리프레시 동작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발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온도 센서는 명령 디코더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라는 요청으로서 수신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실행되는 파워 업 시퀀스에 있어서 상기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커맨드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입력된 경우에 상기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커맨드가 실행되기 전에 상기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에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는 메모리가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의 리프레시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 상기 전압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전원전압, 및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내의 동작 타이밍의 지연량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전원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소정의 링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스위칭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검출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신호가 4회 스위칭될 때마다, 상기 동작 타이밍이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신호의 4번째 하강 에지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신호가 2회 스위칭될 때마다, 하이 레벨을 갖는 상기 명령 디코더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신호의 두번째 상승 에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반도체 기억장치.
KR1020230193193A 2020-12-18 2023-12-27 반도체 기억장치 KR20240006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0323A JP7043578B1 (ja) 2020-12-18 2020-12-18 半導体記憶装置
JPJP-P-2020-210323 2020-12-18
KR1020210089337A KR20220088283A (ko) 2020-12-18 2021-07-07 반도체 기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337A Division KR20220088283A (ko) 2020-12-18 2021-07-07 반도체 기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481A true KR20240006481A (ko) 2024-01-15

Family

ID=812151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337A KR20220088283A (ko) 2020-12-18 2021-07-07 반도체 기억장치
KR1020230193193A KR20240006481A (ko) 2020-12-18 2023-12-27 반도체 기억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337A KR20220088283A (ko) 2020-12-18 2021-07-07 반도체 기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88652B2 (ko)
JP (1) JP7043578B1 (ko)
KR (2) KR20220088283A (ko)
CN (1) CN1146490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44781A1 (en) 2016-11-21 2018-05-24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6289A (en) * 1997-06-17 1999-09-21 Micron Technology, Inc. Clock signal from an adjustable oscillator for an integrated circuit
JP2004239760A (ja) * 2003-02-06 2004-08-26 Sharp Corp 半導体メモリのセルフイレース・ライト装置および半導体メモリのセルフバーンインテスト方法
KR100606896B1 (ko) * 2004-08-10 2006-08-01 엘지노텔 주식회사 전압 공급 순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87153A (ja) * 2004-12-28 2006-07-13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半導体回路、dc−dcコンバータ、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2007133526A (ja) 2005-11-09 2007-05-31 Juki Corp メモリコントローラ
US8049145B1 (en) * 2006-04-19 2011-11-01 Agerson Rall Group, L.L.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ariable parameter selection based on temperature and test method
KR100847315B1 (ko) * 2007-02-28 2008-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프 리프레쉬 제어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셀프 리프레쉬 제어 방법
KR101001140B1 (ko) * 2008-11-06 2010-12-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터미네이션 동작 방법
KR100976408B1 (ko) * 2008-11-06 2010-08-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회로
KR20100076771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전압 발생회로
CN103021451B (zh) 2011-09-22 2016-03-30 复旦大学 一种基于阈值电压调节的多级温度控制自刷新存储设备及其方法
TWI561959B (en) 2014-07-03 2016-12-11 Nvidia Corp Clock generation circuit that tracks critical path across 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variation
JP6171066B1 (ja) 2016-09-01 2017-07-26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記憶装置
US10627883B2 (en) * 2018-02-28 2020-04-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Onboard monitoring of voltage levels and droop events
JP2022052089A (ja) * 2020-09-23 2022-04-04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及びメモリシステム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44781A1 (en) 2016-11-21 2018-05-24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96995A (ja) 2022-06-30
US20220199149A1 (en) 2022-06-23
KR20220088283A (ko) 2022-06-27
US11488652B2 (en) 2022-11-01
JP7043578B1 (ja) 2022-03-29
CN114649009A (zh)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3256B2 (en) Column command buffer and latency circuit including the same
US7764110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909630B1 (ko) 어드레스 카운터 회로
JPH08287676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WO2014129438A1 (ja) 半導体装置
JP2007508649A (ja) 低電力リフレッシュ動作のためのクロック同期回路を制御するための回路および方法
US20120307581A1 (en) Semiconductor device on which wafer-level burn-in test is perform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009486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generating clock signals
CN101510439A (zh) 数据选通脉冲时钟缓冲器、其控制方法及半导体装置
US8902685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49917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00084775A (ko) 리프레쉬 제어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시스템
US670082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240006481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20170009291A (ko) 클록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TWI734656B (zh) 半導體記憶裝置
KR100909625B1 (ko) 어드레스 동기 회로
KR100935598B1 (ko) 컬럼 어드레스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1022667B1 (ko) 오버드라이빙 구조를 갖는 반도체메모리소자
KR2006005457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명령 디코더
US1184276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es asynchronously with external clock signal
KR10084578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동기 회로
US11823735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17157258A (ja) セルフリフレッシュ制御装置及び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CN117894352A (zh) 一种延时控制电路、方法和半导体存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