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708A - 전자 밸브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708A
KR20230162708A KR1020237037643A KR20237037643A KR20230162708A KR 20230162708 A KR20230162708 A KR 20230162708A KR 1020237037643 A KR1020237037643 A KR 1020237037643A KR 20237037643 A KR20237037643 A KR 20237037643A KR 20230162708 A KR20230162708 A KR 2023016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onnector
solenoid valve
base
recessed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하타노
미츠히로 코스기
아츠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F16K31/42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 F16K31/4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the actuated valves being cylindrical slid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전자 밸브(11)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 65)를 갖는다. 베이스부(30)에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 65)가 접속되는 베이스측 커넥터부(80, 90)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30)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 65)가 삽입되는 삽입구(43, 44)를 갖고 있다. 베이스측 커넥터부(80, 90)는 삽입구(43, 44)의 내측에 배치된다. 전자 밸브(11)에는 철부(56, 66)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30)에는 철부(56, 66)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요부(87, 97)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 65)는, 철부(56, 66)가 요부(87, 97)에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에서의 삽입구(43, 44)의 주위의 부분에 간섭되지 않고 삽입구(43, 44)에 삽입되고 또한 베이스측 커넥터부(80, 90)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전자 밸브 매니폴드
본 개시는 전자(電磁) 밸브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자(電磁) 밸브 매니폴드는 전자 밸브와, 제어부와,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전자 밸브는 솔레노이드부를 갖는다. 전자 밸브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를 갖는다.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솔레노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는 회로 기판을 갖는다. 회로 기판은 전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한다. 베이스부는 제어부를 갖는다. 베이스부에는 베이스측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접속된다. 베이스측 커넥터부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와 회로 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베이스부는 삽입구를 갖는다. 삽입구의 내측에는 베이스측 커넥터부가 배치된다. 삽입구에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가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접속됨으로써,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와 회로 기판이 베이스측 커넥터부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공개 특허 특개 2020-186781호 공보
이러한 전자 밸브 매니폴드에서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를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접속할 때에,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가 베이스부의 삽입구의 주위의 부분에 간섭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 매니폴드의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밸브 매니폴드는, 솔레노이드부를 갖는 전자 밸브와, 상기 전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기판을 갖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갖는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 밸브는 솔레노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가 접속되는 베이스측 커넥터부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는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와 상기 회로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는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전자 밸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방에는 철부(凸部)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 밸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방에는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의 상기 삽입구에 대한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철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요부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상기 철부가 상기 요부로 안내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서의 상기 삽입구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접속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서의 전자 밸브 매니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밸브와 베이스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밸브 매니폴드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 부재가 베이스부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자 밸브 및 베이스부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베이스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자 밸브 및 베이스부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전자 밸브가 베이스부에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전자 밸브가 베이스부에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전자 밸브 및 베이스부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전자 밸브 및 베이스부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전자 밸브 매니폴드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도 9에 따라 설명한다.
<전자 밸브 매니폴드의 기본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밸브 매니폴드(10)는 전자 밸브(11)를 구비한다. 전자 밸브(11)는, 주밸브부(主弁部)(12)와,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와,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를 구비한다. 전자 밸브(11)는 더블 솔레노이드 타입의 파일럿형 전자 밸브이다. 또, 전자 밸브 매니폴드(10)는, 제어부(40)와, 베이스부(30)를 구비한다.
주밸브부(12)는 밸브 케이싱(13)을 갖는다. 밸브 케이싱(13)은 직사각형 블록상이다. 밸브 케이싱(13)은 밸브 바디(14)와, 제1 연결 블록(15)과, 제2 연결 블록(16)을 갖는다. 밸브 바디(14)는 직사각형 블록상이다. 제1 연결 블록(15)은 밸브 바디(14)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1 단에 연결된다. 제2 연결 블록(16)은 밸브 바디(14)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2 단에 연결된다. 밸브 바디(14)는 베이스부(30)에 대향하는 본체 대향면(14a)을 갖는다.
밸브 케이싱(13)은 스풀 밸브 홀(17)을 갖는다. 스풀 밸브 홀(17)은 밸브 바디(14)에 형성되어 있다. 스풀 밸브 홀(17)은 원공 형상(圓孔狀)이다. 스풀 밸브 홀(17)은 밸브 바디(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 밸브 홀(17)의 제1 단은 밸브 바디(14)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1 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스풀 밸브 홀(17)의 제2 단은 밸브 바디(14)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2 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스풀 밸브 홀(17)은 밸브 바디(14)를 종 방향으로 관통한다.
전자 밸브(11)는 스풀 밸브(18)를 갖는다. 스풀 밸브(18)는 스풀 밸브 홀(1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풀 밸브(18)는, 스풀 밸브(18)의 축 방향이 스풀 밸브 홀(17)의 축 방향과 일치한 상태에서 스풀 밸브 홀(1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풀 밸브(18)는 스풀 밸브 홀(17) 내를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전자 밸브(11)는 공급 포트(P), 제1 출력 포트(A), 제2 출력 포트(B), 제1 배출 포트(R1) 및 제2 배출 포트(R2)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밸브(11)는 5포트 전자 밸브이다. 공급 포트(P), 제1 출력 포트(A), 제2 출력 포트(B), 제1 배출 포트(R1) 및 제2 배출 포트(R2)는 밸브 바디(14)에 형성된다. 공급 포트(P), 제1 출력 포트(A), 제2 출력 포트(B), 제1 배출 포트(R1) 및 제2 배출 포트(R2) 각각은 스풀 밸브 홀(17)과 연통한다.
제1 배출 포트(R1), 제1 출력 포트(A), 공급 포트(P), 제2 출력 포트(B), 제2 배출 포트(R2)는 밸브 바디(14)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1 단로부터 제2 단을 향하여 이 순서로 배열된다. 공급 포트(P), 제1 출력 포트(A), 제2 출력 포트(B), 제1 배출 포트(R1) 및 제2 배출 포트(R2) 각각의 제1 단은 스풀 밸브 홀(17)과 연통한다. 공급 포트(P), 제1 출력 포트(A), 제2 출력 포트(B), 제1 배출 포트(R1) 및 제2 배출 포트(R2) 각각의 제2 단은 밸브 바디(14)의 본체 대향면(14a)에 개구된다.
전자 밸브(11)는 제1 피스톤(19)과 제2 피스톤(20)을 갖는다. 제1 피스톤(19)은 원판상(圓板狀)이다. 제1 피스톤(19)은 스풀 밸브(18)의 제1 단에 연결된다. 제1 피스톤(19)은 스풀 밸브(18)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제2 피스톤(20)은 원판상이다. 제2 피스톤(20)은 스풀 밸브(18)의 제2 단에 연결된다. 제2 피스톤(20)은 스풀 밸브(18)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제1 연결 블록(15)에는 원공 형상의 제1 피스톤 수용 요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피스톤 수용 요부(21)에는 제1 피스톤(19)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1 피스톤 수용 요부(21)와 제1 피스톤(19)은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을 구획한다.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에는, 파일럿 유체가 급배된다.
제2 연결 블록(16)에는, 원공 형상의 제2 피스톤 수용 요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피스톤 수용 요부(23)에는, 제2 피스톤(20)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2 피스톤 수용 요부(23)와 제2 피스톤(20)은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을 구획한다.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에는 파일럿 유체가 급배된다.
베이스부(30)는 매니폴드 블록(31)을 갖는다. 매니폴드 블록(31)은 직사각형 블록상이다. 매니폴드 블록(31)은 재치면(31a)을 갖는다. 재치면(31a)에는 전자 밸브(11)가 탑재되어 있다. 매니폴드 블록(31)의 길이 방향은 밸브 케이싱(13)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매니폴드 블록(31)은, 공급 유로(32), 제1 출력 유로(33), 제2 출력 유로(34), 제1 배출 유로(35) 및 제2 배출 유로(36)를 갖는다. 공급 유로(32), 제1 출력 유로(33), 제2 출력 유로(34), 제1 배출 유로(35) 및 제2 배출 유로(36) 각각은 재치면(31a)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갖고 있다.
공급 유로(32)의 제1 단부는 공급 포트(P)와 연통한다. 제1 출력 유로(33)의 제1 단부는 제1 출력 포트(A)와 연통한다. 제2 출력 유로(34)의 제1 단부는 제2 출력 포트(B)와 연통한다. 제1 배출 유로(35)의 제1 단부는 제1 배출 포트(R1)와 연통한다. 제2 배출 유로(36)의 제1 단부는 제2 배출 포트(R2)와 연통한다.
공급 유로(32)의 제2 단부는, 예를 들면 배관 등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유체 공급원에 접속되어있다. 제1 출력 유로(33)의 제2 단부 및 제2 출력 유로(34)의 제2 단부는, 예를 들면 배관 등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유압 장치에 접속되어있다. 제1 배출 유로(35)의 제2 단부 및 제2 배출 유로(36)의 제2 단부는, 예를 들면 배관 등을 통해 대기와 연통하고있다.
전자 밸브 매니폴드(10)는 환상의 개스킷(37)을 구비하고 있다. 개스킷(37)은, 예를 들면 박판상이다. 개스킷(37)은 전자 밸브(11)의 밸브 바디(14)와 매니폴드 블록(31)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전자 밸브(11)와 베이스부(30) 사이에는 개스킷(37)이 개재되어 있다. 개스킷(37)은 전자 밸브(11)의 밸브 바디(14)와 매니폴드 블록(31) 사이를 씰링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밸브(11)는 베이스부(30)에 대해서 볼트(3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자 밸브(11)의 밸브 케이싱(13)에는 볼트(38)가 삽입되는 볼트 삽통공(38h)이 형성되어있다. 밸브 케이싱(13)에는 볼트 삽통공(38h)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볼트 삽통공(38h)을 1개만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부(30)에는 암나사공(39)이 형성되어있다. 암나사공(39)에는 볼트(38)가 나사 결합된다. 암나사공(39)은 매니폴드 블록(31)의 재치면(31a)에 2개 형성되어 있다. 각 암나사공(39)은 매니폴드 블록(31)의 재치면(31a)에서의 개스킷(37)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응하는 볼트 삽통공(38h)에 삽입된 볼트(38) 각각이 대응하는 암나사공(39)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전자 밸브(11)가 재치면(31a)에 재치된 상태에서 베이스부(30)에 고정된다. 있습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매니폴드 블록(31)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30)는 제어부(40)를 갖는다. 제어부(40)는 회로 기판(41)을 갖는다. 회로 기판(41)에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등의 외부 제어 기기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회로 기판(41)은 매니폴드 블록(31)에 내장되어 있다. 회로 기판(41)은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 각각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41)은 전자 밸브(11)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자 밸브(11)는 솔레노이드부인 제1 솔레노이드부(51)와 제2 솔레노이드부(61)를 갖는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제1 솔레노이드부(51)를 갖는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한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1 솔레노이드부(51)로의 전압인가가 실시되면, 도시하지 않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유체를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에 파일럿 유체로서 공급한다. 한편,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1 솔레노이드부(51)로의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면,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유체의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에의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 내의 파일럿 유체를 대기로 배출한다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2 솔레노이드부(61)를 갖는다.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한다.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2 솔레노이드부(61)로의 전압인가가 실시되면,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유체를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로 파일럿 유체로서 공급한다. 한편,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2 솔레노이드부(61)로의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면,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유체의,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에의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 내의 파일럿 유체를 대기로 배출한다
스풀 밸브(18)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1 솔레노이드부(51)로의 전압의 인가가 실시됨과 동시에,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2 솔레노이드부(61)로의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어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에 의해,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유체가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에 파일럿 유체로서 공급된다. 한편,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 내의 파일럿 유체를 대기로 배출한다. 이에 의해, 스풀 밸브(18)가 제2 피스톤 수용 요부(23)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스풀 밸브(18)는 공급 포트(P)와 제1 출력 포트(A)를 연통하고, 또한, 제2 출력 포트(B)와 제2 배출 포트(R2)를 연통하는 제1 위치로 전환한다. 또, 스풀 밸브(18)가 제1 위치로 전환되면, 공급 포트(P)와 제2 출력 포트(B) 사이가 차단됨과 동시에, 제1 출력 포트(A)와 제1 배출 포트(R1) 사이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공급 포트(P)에 공급되는 유체는 제1 출력 포트(A) 및 제1 출력 유로(33)를 통해 유체압 기기로 출력된다. 그리고, 유체압 기기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제2 출력 유로(34), 제2 출력 포트(B) 및 제2 배출 포트(R2)를 통해 제2 배출 유로(36)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 예를 들면,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1 솔레노이드부(51)로의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회로 기판(41)으로부터 제2 솔레노이드부(61)로의 전압의 인가가 실시되고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에 의해,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유체가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에 파일럿 유체로서 공급된다. 한편,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 내의 파일럿 유체를 대기로 배출한다. 이에 의해, 스풀 밸브(18)는 제1 피스톤 수용 요부(21)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스풀 밸브(18)는 공급 포트(P)와 제2 출력 포트(B)를 연통하고, 또한 제1 출력 포트(A)와 제1 배출 포트(R1)를 연통하는 제2 위치로 전환한다. 또, 스풀 밸브(18)가 제2 위치로 전환되면, 공급 포트(P)와 제1 출력 포트(A) 사이가 차단됨과 동시에, 제2 출력 포트(B)와 제2 배출 포트(R2) 사이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공급 포트(P)에 공급되는 유체는 제2 출력 포트(B) 및 제2 출력 유로(34)를 통해 유체압 기기로 출력된다. 그리고, 유체압 기기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제1 출력 유로(33), 제1 출력 포트(A) 및 제1 배출 포트(R1)를 통해 제1 배출 유로(35)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에 의한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에 의한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가 실시된다. 이에 따라, 스풀 밸브(18)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풀 밸브 홀(17) 내를 왕복 이동한다. 스풀 밸브(18)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포트 간의 연통이 전환된다. 따라서, 주밸브부(12)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22) 및 제2 파일럿압 작용실(24) 각각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복수의 포트 사이의 연통을 전환한다. 도 1에서는 스풀 밸브(18)가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와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서로 일체화되고 또한 병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1 연결 블록(15)의 밸브 바디(14)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1 연결 블록(15)에 대해서 병설되어 있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1 연결 블록(15)에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주밸브부(12)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11)는 돌출부(25)를 갖는다. 돌출부(25)는 전자 밸브(11)에서 밸브 본체(14)의 본체 대향면(14a)보다 베이스부(30)를 향해 돌출된 부분이다. 돌출부(25)는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의 일부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는 제1 측면(25a) 및 제2 측면(25b)을 갖는다. 제1 측면(25a) 및 제2 측면(25b)은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의 병설 방향에서의 돌출부(25)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이다. 제1 측면(25a)은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의 측면이다. 제2 측면(25b)은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의 측면이다. 제1 측면(25a) 및 제2 측면(25b)은 본체 대향면(14a)보다 베이스부(3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밸브(11)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인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 및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를 갖는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를 갖는다.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도전 부재인 제1 도전 부재(52)와, 통상부인 제1 통상부(53)를 갖고 있다. 제1 도전 부재(52)는 제1 솔레노이드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제1 도전 부재(52)를 2개 가지고 있다. 2 개의 제1 도전 부재(52)의 일방은 정극 라인을 구성함과 동시에, 2 개의 제1 도전 부재(52)의 타방은 음극 라인을 구성한다. 각 제1 도전 부재(52)는, 예를 들면 주상이다.
제1 통상부(53)는 2개의 제1 도전 부재(52)를 둘러싸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상부(53)는 2개의 제1 도전 부재(52)에서의 제1 솔레노이드부(51)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선단부를 둘러싸고 있다. 제1 통상부(53)는 원통상이다. 각 제1 도전 부재(52)의 선단은 제1 통상부(53)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통상부(53)의 축 방향은 각 제1 도전 부재(52)의 선단부의 연재 방향과 동일하다.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는 제1 통상부(53)의 개구가 베이스부(30)를 향하도록 베이스부(30)에 대해서 배치된다. 따라서, 각 제1 도전 부재(52)의 선단부는 베이스부(3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 제1 도전 부재(52) 및 제1 통상부(53)는 돌출부(25)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통상부(53)의 외주면에는 제1 장착 홈(5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 홈(53a)은 환상이다. 제1 장착 홈(53a)에는 제1 립 패킹(54)이 장착되어 있다. 제1 립 패킹(54)은 고무로 제조된다. 제1 립 패킹(54)은 원환상이다.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를 갖는다.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도전 부재인 제2 도전 부재(62)와, 통상부인 제2 통상부(63)를 갖고 있다. 제2 도전 부재(62)는 제2 솔레노이드부(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2 도전 부재(62)를 2 개 갖는다. 2 개의 제2 도전 부재(62)의 일방은 정극 라인을 구성함과 동시에, 2 개의 제2 도전 부재(62)의 타방은 음극 라인을 구성한다.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예를 들면 주상이다
제2 통상부(63)는 2개의 제2 도전 부재(62)를 둘러싸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통상부(63)는, 2개의 제2 도전 부재(62)에서의 제2 솔레노이드부(61)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선단부를 둘러싸고 있다. 제2 통상부(63)는 원통상이다. 각 제2 도전 부재(62)의 선단은 제2 통상부(63)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통상부(63)의 축 방향은 각 제2 도전 부재(62)의 선단부의 연재 방향과 동일하다.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는 제2 통상부(63)의 개구가 베이스부(30)를 향하도록 베이스부(30)에 대해서 배치된다. 따라서, 각 제2 도전 부재(62)의 선단부는 베이스부(3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 제2 도전 부재(62) 및 제2 통상부(63)는 돌출부(25)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통상부(63)의 축 방향은 제1 통상부(53)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그리고, 각 제2 도전 부재(62)의 선단부의 연재 방향은 각 제1 도전 부재(52)의 선단부의 연재 방향과 동일하다. 제1 통상부(53) 및 제2 통상부(63)는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의 병설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 및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의 병설 방향은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의 병설 방향과 동일하다.
제2 통상부(63)의 외주면에는 제2 장착 홈(6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 홈(63a)은 환상이다. 제2 장착 홈(63a)에는 제2 립 패킹(64)이 장착되어 있다. 제2 립 패킹(64)은 고무제이다. 제2 립 패킹(64)은 환상이다.
<베이스측 커넥터부>
전자 밸브 매니폴드(10)는 커넥터 부재(70)를 구비한다. 커넥터 부재(70)는 베이스부(30)에 설치된다. 커넥터 부재(70)는 기부(71)를 갖는다. 또, 커넥터 부재(70)는 베이스측 커넥터부인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 및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를 갖는다. 따라서, 베이스부(30)에는, 베이스측 커넥터부인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 및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부재(70)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 및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가 기부(71)에 일체화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71)는 평판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부(71)는 박판상이다. 기부(71)는 수지제이다. 기부(71)는, 기부(71)의 두께 방향에서 평면에서 보면, 장사각판상이다. 기부(71)는 관통공(72)을 갖는다. 관통공(72)은 기부(7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공(72)은 기부(71)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관통공(72)은 기부(71)의 두께 방향에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공 형상이다. 관통공(72)의 길이 방향은 기부(7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는, 제1 단자 수용부(81)와, 제1 접속 단자(82)를 갖고 있다. 제1 단자 수용부(81)는 통상이며, 기부(71)로부터 돌출한다. 제1 단자 수용부(81)는 제1 단자 수용실(83)을 2 개 갖는다. 2개의 제1 단자 수용실(83)은, 제1 단자 수용부(81)의 축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1 단자 수용실(83)은 제1 단자 수용부(81)의 일부인 제1 격벽(84)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각 제1 단자 수용실은 기부(71)에 형성된 대응하는 제1 단자 삽통공(85)을 통해 기부(71)에서의 제1 단자 수용부(81)와는 반대측의 면에 개구된다. 제1 단자 수용부(81)의 선단면에는, 제1 도전 부재 삽통공(86)이 2개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단자 수용실(83)은 대응하는 제1 도전 부재 삽통공(86)을 통해 제1 단자 수용부(81)의 선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는 제1 접속 단자(82)를 2 개 갖는다. 2개의 제1 접속 단자(82)는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실(83)에 각각 수용된다. 각 제1 접속 단자(82)에는 제1 도전 부재 삽통공(86)을 통해 제1 단자 수용실(83)에 삽입된 제1 도전 부재(52)가 삽입되고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각 제1 접속 단자(82)는, 제1 도전 부재 삽통공(86)을 통해 제1 단자 수용실(83) 내에 삽입된 제1 도전 부재(52)가 삽입되고 접속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실(83)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제1 도전 부재(52)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된다.
또, 각 제1 접속 단자(82)에서의 제1 도전 부재(52)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대응하는 제1 단자 삽통공(85)을 통해 회로 기판(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1 접속 단자(82)는 대응하는 제1 도전 부재(52)와 회로 기판(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가 접속된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는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와 회로기판(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는 제2 단자 수용부(91)와 제2 접속 단자(92)를 갖는다. 제2 단자 수용부(91)는 통상이며 기부(71)로부터 돌출한다. 제2 단자 수용부(91)는 제2 단자 수용실(93)을 2 개 갖는다. 2개의 제2 단자 수용실(93)은, 제2 단자 수용부(91)의 축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단자 수용실(93)은 제2 단자 수용부(91)의 일부인 제2 격벽(94)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각 제2 단자 수용실은 기부(71)에 형성된 대응하는 제2 단자 삽통공(95)을 통해 기부(71)에서의 제2 단자 수용부(91)와는 반대측의 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2 단자 수용부(91)의 선단면에는 제2 도전 부재 삽통공(96)이 2 개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단자 수용실(93)은 대응하는 제2 도전 부재 삽통공(96)을 통해 제2 단자 수용부(91)의 선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는 제2 접속 단자(92)를 2 개 갖는다. 2개의 제2 접속 단자(92)는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실(93)에 각각 수용된다. 각 제2 접속 단자(92)에는 제2 도전 부재 삽통공(96)을 통해 제2 단자 수용실(93)에 삽입된 제2 도전 부재(62)가 삽입되어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각 제2 접속 단자(92)는, 제2 도전 부재 삽통공(96)을 통해 제2 단자 수용실(93) 내에 삽입된 제2 도전 부재(62)가 삽입되고 접속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실(93)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다.
각 제2 접속 단자(92)에서의 제2 도전 부재(62)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제2 단자 삽통공(95)을 통해 회로 기판(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2 접속 단자(92)는 대응하는 제2 도전 부재(62)와 회로 기판(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따라서,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가 접속된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는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와 회로기판(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0)는 감합요부(嵌合凹部)(47)를 갖는다. 감합요부(47)는 재치면(31a)에 형성되어 있다. 감합요부(47)에는 돌출부(25)가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감합요부(47)는, 저면(47a)과, 제1 내측면(47b)과, 제2 내측면(47c)을 갖는다. 저면(47a)은 평탄면상이다. 저면(47a)은 재치면(31a)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1 내측면(47b) 및 제2 내측면(47c)은 저면(47a)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내측면(47b) 및 제2 내측면(47c)은 저면(47a)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내측면(47b) 및 제2 내측면(47c)은 재치면(31a)에 연속되어 있다. 제1 내측면(47b) 및 제2 내측면(47c)은 저면(47a)과 재치면(31a)을 접속하고 있다. 제1 내측면(47b)은 돌출부(25)의 제1 측면(25a)과 대향한다. 제2 내측면(47c)은 돌출부(25)의 제2 측면(25b)과 대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0)는 부착벽부(42)를 갖는다. 부착벽부(42)에는 커넥터 부재(70)가 부착(取付)되어 있다. 부착벽부(42)의 외면은 감합요부(47)의 저면(47a)이다. 부착벽부(42)의 내면은 감합요부(47)의 저면(47a)과 반대측의 면이며, 커넥터 부재(70)가 부착되는 부착면(42b)이다. 부착면(42b)은 평탄면상이다.
베이스부(30)는 삽입구인 제1 삽입구(43)를 갖고 있다. 제1 삽입구(43)는 부착벽부(42)를 관통한다. 제1 삽입구(43)는 감합요부(47)의 저면(47a)에 개구되어 있다. 제1 삽입구(43)의 내측에는 제1 단자 수용부(81)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삽입구(43)의 내측에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가 배치된다. 제1 삽입구(43)에는, 제1 통상부(53)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삽입구(43)에는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가 삽입되어 있다. 제1 통상부(53)의 내측에는 제1 단자 수용부(81)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통상부(53)의 내측에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가 삽입된다. 제1 립 패킹(54)은 제1 통상부(53)의 외주면과 제1 삽입구(43)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립 패킹(54)은 제1 통상부(53)와 제1 삽입구(43) 사이를 씰링한다.
베이스부(30)는, 삽입구인 제2 삽입구(44)를 갖고 있다. 제2 삽입구(44)는 부착벽부(42)를 관통한다. 제2 삽입구(44)는 감합요부(47)의 저면(47a)에 개구되어 있다. 제1 삽입구(43) 및 제2 삽입구(44)는,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의 병설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삽입구(43) 및 제2 삽입구(44)의 병설 방향은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의 병설 방향과 동일하다.
제2 삽입구(44)의 내측에는 제2 단자 수용부(9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삽입구(44)의 내측에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가 배치된다. 제2 삽입구(44)에는, 제2 통상부(63)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삽입구(44)에는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가 삽입되어 있다. 제2 통상부(63)의 내측에는 제2 단자 수용부(91)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통상부(63)의 내측에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가 삽입된다. 제2 립 패킹(64)은 제2 통상부(63)의 외주면과 제2 삽입구(44)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립 패킹(64)은 제2 통상부(63)와 제2 삽입구(44) 사이를 씰링한다.
베이스부(30)는 돌출 벽(45)을 갖는다. 돌출 벽(45)은 주상이다. 돌출벽(45)은 장착벽부(4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벽(45)은 기부(71)의 두께 방향에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이다. 베이스부(30)는 2개의 계지 돌기(46)를 갖는다. 2개의 계지 돌기(46)는 돌출벽(45)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2개의 계지 돌기(46)에는, 기부(71)에서의 관통공(72)의 주위 부분이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부(71)는, 2개의 계지 돌기(46)가 관통공(72)의 내측에 삽입될 때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계지 돌기(46)가 관통공(72)의 내측에 삽입될 때, 기부(71)에서의 관통공(72)의 주위 부분이, 기부(71)의 짧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2개의 계지 돌기(46)가 관통공(72)을 통과하면, 기부(71)에서의 관통공(72)의 주위 부분이 탄성 변형되기 전의 원 형상으로 복귀한다. 그 후, 기부(71)에서의 관통공(72)의 주위 부분이 2 개의 계지 돌기(46)에 걸린다.
이와 같이, 커넥터 부재(70)는, 기부(71)에서의 관통공(72)의 주위 부분이 2개의 계지 돌기(46)에 걸림으로써, 베이스부(30)에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 부재(70)는 베이스부(30)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부(71)의 길이 방향 및 기부(71)의 짧은 방향 각각으로의 약간의 이동이 허용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상부(53)가 제1 삽입구(43)의 내측에 삽입되면, 각 제1 도전 부재(52)가, 제1 도전 부재 삽통공(86)을 통해 제1 단자 수용실(83) 내에 삽입되고, 대응하는 제1 접속 단자(82)에 삽입되고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된다. 또, 제2 통상부(63)가 제2 삽입구(44)의 내측에 삽입되면, 각 제2 도전 부재(62)가 제2 도전 부재 삽통공(96)을 통해 제2 단자 수용실(93) 내에 삽입되고, 대응하는 제2 접속 단자(92)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다.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의 제1 삽입구(43)에 대한 삽입 방향과,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의 제2 삽입구(44)에 대한 삽입 방향은 동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의 제1 삽입구(43)에 대한 삽입 방향」 및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의 제2 삽입구(44)에 대한 삽입 방향」을, 간단히 「삽입 방향(Z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철부 및 요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밸브(11)에는 철부인 제1 철부(56) 및 제2 철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철부(56) 및 제2 철부(66)는 돌출부(25)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철부(56)는 돌출부(25)의 제1 측면(25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철부(66)는 돌출부(25)의 제2 측면(25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철부(56) 및 제2 철부(66)는 사각 주상이며, 삽입 방향(Z1)으로 연장된다. 제1 철부(56) 및 제2 철부(66)에서의 베이스부(30)를 향하는 단면은 돌출부(25)의 선단면보다 돌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0)에는 요부인 제1 요부(87) 및 제2 요부(9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요부(87)는 제1 내측면(47b)에 형성된다. 제1 요부(87)는 제1 내측면(47b) 및 재치면(31a)에 개구되어 있다. 제1 요부(87)에는 제1 철부(56)가 삽입된다. 제1 철부(56)의 제1 요부(87)에 대한 삽입 방향은 삽입 방향(Z1)과 동일하다. 제1 요부(87)는 삽입 방향(Z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 철부(56)를 안내한다. 제1 요부(87)는, 제1 철부(56)의 제1 요부(87)에 대한 삽입 방향에서, 재치면(31a)에 개구하는 제1 개구단과, 제1 개구단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폐쇄단을 갖는다. 제1 개구단은 제1 철부(56)를 수용하는 수입구이다.
제2 요부(97)는 제2 내측면(47c)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요부(97)는 제2 내측면(47c) 및 재치면(31a)에 개구되어 있다. 제2 요부(97)에는 제2 철부(66)가 삽입된다. 제2 철부(66)의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은 삽입 방향(Z1)과 동일하다. 제2 요부(97)는 삽입 방향(Z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철부(66)를 안내한다. 제2 요부(97)는, 제2 철부(66)의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에서, 재치면(31a)에 개구하는 제2 개구단과, 제2 개구 단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폐쇄단을 갖는다. 제2 개구단은 제2 철부(66)를 수용하는 수입구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부(97)는, 저면(97a), 제1 직선면(97b), 제1 테이퍼면(97c), 제2 직선면(97d) 및 제2 테이퍼면(97e)을 갖는다. 저면(97a)은 제2 요부(97)에서 제2 철부(66)의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면이다. 저면(97a)은 제2 요부(97)의 제2 폐색단에 위치한다. 저면(97a)은 감합요부(47)의 저면(47a)에 연속하고 있다. 저면(97a)은 감합요부(47)의 저면(47a)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제1 직선면(97b)은 저면(97a)에 연속하고 있다. 제1 직선면(97b)은 저면(97a)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직선면(97b)은 제2 철부(66)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경사면인 제1 테이퍼면(97c)은 제1 직선면(97b)의 저면(97a)과는 반대측의 테두리에 연속하고 있다. 제1 테이퍼면(97c)은 제1 직선면(97b)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2 요부(97)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하는 면이다. 제2 요부(97)의 폭은 도 7에서 좌우 방향의 치수이다. 제2 직선면(97d)은, 제1 테이퍼면(97c)에서의 제1 직선면(97b)과는 반대측의 테두리에 연속하고 있다. 제2 직선면(97d)은 제1 직선면(97b)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2 경사면인 제2 테이퍼면(97e)은, 제2 직선면(97d)에서의 제1 테이퍼면(97c)과는 반대측의 테두리에 연속하고 있다. 제2 테이퍼면(97e)은 제2 직선면(97d)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2 요부(97)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2 테이퍼면(97e)은 재치면(31a)에 연속한다. 제2 테이퍼면(97e)은 제2 요부(97) 중 제2 철부(66)의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에서 수입구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면이다. 제2 요부(97)는 제2 철부(66)를 수용하는 수입구와, 수입구 이외의 부위, 즉 제2 철부(66)의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 수입구보다 안쪽(奧側)에 위치하는 안쪽 부위를 갖는다. 제2 요부(97)는 수입구에서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제2 요부(97)는 수입구(제2 개구단)를 포함하는 부위인 폭광부와, 폭광부 이외의 부위이며, 폭광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폭협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폭광부는 제2 테이퍼면(97e)에 대응하고, 폭협부는 제2 테이퍼면(97e) 이외의 부분에 대응한다.
제1 철부(56)와 제1 요부(87)의 관계는, 제2 철부(66)와 제2 요부(97)의 관계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요부(87)는 제2 요부(97)와 마찬가지로, 수입구에서 그 외의 다른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제1 요부(87)는 수입구(제1 개구단)를 포함하는 부위인 폭광부와, 폭광부 이외의 부위이며, 폭 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폭협부를 갖는다. 도 7에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제1 철부(56)와 제1 요부(87)의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요부(87)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테이퍼면(97c) 및 제2 직선면(97d)을 갖지 않지만, 제1 테이퍼면(97c) 및 제2 직선면(97d)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밸브(11)를 베이스부(30)에 조립할 때에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에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에 안내된다.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의 수입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의 수입구에 삽입될 때, 제1 통상부(53)는 제1 삽입구(43)에 아직 삽입되지 않고, 제2 통상부(63)도 제2 삽입구(44)에 아직 삽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철부(56) 및 제2 철부(66)는 제1 통상부(53) 및 제2 통상부(63)가 제1 삽입구(43) 및 제2 삽입구(44) 각각에 삽입되기 전에 제1 요부(87) 및 제2 요부(97) 각각에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되고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될 때에, 제1 통상부(53)는 제1 삽입구(43)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 통상부(63)는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철부(56, 66)의 삽입 방향에서의 선단부가 제1 및 제2 요부(87, 97)의 광폭부(제2 테이퍼면(97e))를 통과했을 때에, 제1 및 제2 통상부(53, 63)가 제1 및 제2 삽입구(43, 44)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에 맞닿고(當接) 있는 상태에서, 제1 철부(56)는 제1 요부(87)에 맞닿지 않는다. 이 때, 제1 통상부(53)는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43)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 통상부(63)는 베이스부(30)에서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또, 예를 들면,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철부(66)는 제2 요부(97)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에도, 제1 통상부(53)는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43) 주위의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 통상부(63)는 베이스부(30)에서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제1 통상부(53)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제1 단자 수용부(81)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1 도전 부재(52)는 제1 도전 부재 삽통공(86)을 통해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실(83)에 삽입되고, 대응하는 제1 접속 단자(82)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제1 통상부(53)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1 도전 부재(52)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된다.
제2 통상부(63)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제2 단자 수용부(91)에 간섭하지 않고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제2 도전 부재 삽통공(96)을 통해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실(93)에 삽입되고, 대응하는 제2 접속 단자(92)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따라서, 제2 통상부(63)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43)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된다. 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다.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되고, 또한,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될 때에, 제1 통상부(53)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되고,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될 때에, 제2 통상부(63)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또,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에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에 안내됨에 따라, 각 볼트 삽통공(38h)과 대응하는 암나사공(39)의 상대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를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를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할 때에,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에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에 안내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43) 주위의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상부(53)는,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43)의 주위 부분과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또한, 제1 통상부(53)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되고, 각 제1 도전부재(52)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된다.
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베이스부(30)에서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통상부(63)는 베이스부(30)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또한, 제2 통상부(63)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되고, 각 제2 도전 부재(62)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원활하게 접속됨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원활하게 접속된다.
각 제1 도전 부재(52)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됨과 동시에, 각 제2 도전 부재(62)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될 때에, 커넥터 부재(70)에 대해서 기부(71)의 길이 방향 및 짧은 방향 각각으로의 약간의 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각 제1 도전 부재(52)의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와의 접속 및 각 제2 도전 부재(62)의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대한 접속이 실시하기 쉬워진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전자 밸브(11)에는 제1 철부(56) 및 제2 철부(66)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30)에는, 제1 철부(56)를 안내하는 제1 요부(87) 및, 제2 철부(66)를 안내하는 제2 요부(9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구(43)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된다. 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를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를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 매니폴드(1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제1 통상부(53)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 80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1 도전 부재(52)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된다. 제2 통상부(63)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간섭 없이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를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를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 매니폴드(10)의 조립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3) 제1 요부(87)는, 제1 철부(56)를 수용하는 수용구에서, 수용구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철부(56)를 제1 요부(87)에 대해서 삽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2 요부(97)는 제2 철부(66)를 수용하는 수입구에서, 수입구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철부(66)를 제2 요부(97)에 대해서 삽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되고, 또한,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될 때에, 제1 통상부(53)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되고, 또한,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의 수입구보다 안쪽으로 안내될 때에, 제2 통상부(63)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제1 요부(87) 및 제2 요부(97) 각각의 수용구의 폭이 넓어져도, 제1 통상부(53)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1 도전 부재(52)는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될 수 있다. 또, 제1 요부(87) 및 제2 요부(97) 각각의 수용구의 폭이 넓어져도, 제2 통상부(63)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 매니폴드(10)의 조립 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4)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에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에 안내됨에 따라, 각 볼트 삽통공(38h)과 대응하는 암나사공(39)의 상대 위치가 일치한다. 이에 따라, 각 볼트 삽통공(38h)에 삽입된 볼트(38)를 대응하는 암나사공(39)에 나사 결합할 때 볼트(38)가 개스킷(37)에 간섭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요부(97)는 유지부(97f)를 갖고 있어도 좋다. 유지부(97f)는 제2 철부(66)를 유지한다. 유지부(97f)는, 예를 들면, 제2 요부(97)의 제1 직선면(97b)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돌기이다. 유지부(97f)는 제2 요부(97)에 삽입된 제2 철부(66)를 끼워 넣어 유지한다.
이에 따르면, 제2 철부(66)는 유지부(97f)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된 후, 전자 밸브(11)가 베이스부(30)로부터 이탈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요부(87)도 유지부(97f)를 가져도 좋다. 제1 요부(87)의 유지부(97f)는 제1 철부(56)를 유지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2 요부(97)는, 수용구에서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지 않아도 좋다. 제2 철부(66)는,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의 선단부(66a)가 선단부(66a) 이외의 부위보다도 가늘어져도 좋다.
이에 따라, 제2 철부(66)를 제2 요부(97)에 삽입하기 쉽다.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2 철부(66)의 선단부(66a) 이외의 부위가 제2 요부(97)에 대해 안내되었을 때에, 제1 통상부(53)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2 철부(66)의 선단부(66a) 이외의 부위가 제2 요부(97)에 대해 안내되었을 때에, 제2 통상부(63)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제2 철부(66)에서의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의 선단부(66a)가, 선단부(66a) 이외의 부위보다 얇아져도, 제1 통상부(53)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간섭 없이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1 도전 부재(52)를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될 수 있다. 또, 제2 철부(66)에서의 제2 요부(97)에 대한 삽입 방향의 선단부(66a)가, 선단부(66a) 이외의 부위보다 좁아져도, 제2 통상부(63)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간섭 없이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 매니폴드(10)의 조립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제1 요부(87)는 수입구에서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제1 철부(56)도, 제1 요부(87)에 대한 삽입 방향의 선단부가, 선단부 이외의 부위보다 가늘어져 있어도 좋다.
· 실시 형태에서, 예를 들어 베이스부(30)에 철부가 설치되고, 전자 밸브(11)에 삽입 방향(Z1)과 동일한 방향으로 철부를 안내하는 요부가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요컨대, 전자 밸브(11) 및 베이스부(30) 중 일방에 철부가 설치되고, 전자 밸브(11) 및 베이스부(30)의 타방에 요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 실시 형태에서,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는 제1 통상부(53)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제2 통상부(63)를 갖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도, 각 제1 도전 부재(52)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43)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하면 좋다. 그리고, 각 제1 도전 부재(52)가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되면 좋다. 또, 각 제2 도전 부재(62)는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로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로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에서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되면 좋다. 그리고, 각 제2 도전 부재(62)가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되면 좋다.
· 실시 형태에서, 제1 요부(87)는 제1 테이퍼면(97c) 및 제2 직선면(97d)이 생략되지 않고, 제2 요부(97)와 같이, 저면(97a), 제1 직선면(97b), 제1 테이퍼면 97c, 제2 직선면(97d) 및 제2 테이퍼면(97e)을 갖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 실시 형태에서, 제2 요부(97)는 제1 테이퍼면(97c) 및 제2 직선면(97d)이 생략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 실시 형태에서, 제1 요부(87)는 수입구에서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지 않아도 좋다. 또, 제2 요부(97)는, 수용구에서의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지 않아도 좋다.
· 실시형태에서, 제1 철부(56)가 제1 요부(87)에 안내됨과 동시에 제2 철부(66)가 제2 요부(97)에 안내됨에 따라, 각 볼트 삽통공(38h)에 대응하는 암나사공(39)과의 상대 위치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다.
· 실시 형태에서,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와 베이스부(30) 사이에는 환상의 개스킷이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에 의해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 및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와 베이스부(30) 사이가 씰링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자 밸브 매니폴드(10)는 제1 립 패킹(54) 및 제2 립 패킹(64)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와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와 베이스부(30) 사이에 개스킷이 설치되어 있어도,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가 개스킷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된다. 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개스킷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파일럿 전자 밸브(50)와 제2 파일럿 전자 밸브(60)와 베이스부(30) 사이의 씰링 불량이 되는 것이 회피된다.
·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전자 밸브(11)에는 철부가 1개만 설치되고, 베이스부(30)에는 삽입 방향(Z1)과 동일한 방향으로 철부를 안내하는 요부가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좋다. 이 때, 철부가 사각 주상인 경우, 요부는, 예를 들면, 재치면(31a)에 형성되는 사각공 형상의 요부인 것이 좋다. 요컨대,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가 철부가 요부에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에서의 제1 삽입구(43)의 주위의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1 삽입구(43)에 삽입되고, 제1 베이스측 커넥터부(80)에 접속되면 좋다. 또,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는 철부가 요부로 안내됨에 따라 베이스부(30)에서의 제2 삽입구(44)의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제2 삽입구(44)에 삽입되고, 제2 베이스측 커넥터부(90)에 접속되면 좋다.
· 실시 형태에서, 제1 도전 부재(52)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 형태에서, 제2 도전 부재(62)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형태에서, 전자 밸브(11)는, 제1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55) 및 제2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65)를 갖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를 1개만 갖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1개의 통상부와, 제1 솔레노이드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와, 제2 솔레노이드부(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를 갖고 있다. 그리고, 1개의 통상부는 양방의 도전 부재를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30)에는, 베이스측 커넥터부가 1개만 설치되어 있다.
· 실시 형태에서, 전자 밸브(11)는 싱글 솔레노이드 타입의 파일럿형 전자 밸브라도 좋다. 이 경우, 전자 밸브(11)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를 1개만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부(30)에는, 베이스측 커넥터부가 1개만 설치되어 있다.
· 실시 형태에서, 전자 밸브(11)는 예를 들어 제2 배출 포트(R2)를 생략한 4 포트 전자 밸브여도 좋다. 요컨대, 전자 밸브(11)는 적어도 1개의 배출 포트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또, 전자 밸브(11)는 공급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갖는 3포트 전자 밸브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환상(環狀)」이라는 용어는 전체적으로 루프 형상을 형성하는 임의의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환상」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날카롭거나 또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筒狀)」이라고 하는 용어도 마찬가지로, 원형, 타원형 및 날카롭거나 또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임의의 구조를 지칭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

  1. 전자 밸브 매니폴드로서,
    솔레노이드부를 갖는 전자 밸브와,
    상기 전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기판을 갖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갖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가 접속되는 베이스측 커넥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는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와 상기 회로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는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밸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방에는 철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 밸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방에는,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의 상기 삽입구에 대한 삽입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철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요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상기 철부가 상기 요부로 안내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서의 상기 삽입구 주위 부분에 간섭하지 않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접속되는 전자 밸브 매니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와,
    상기 도전 부재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가 내측에 삽입되는 통상부를 갖고,
    상기 철부가 상기 요부에 안내됨에 따라, 상기 통상부가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간섭하지 않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접속되는 전자 밸브 매니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수입구와, 상기 철부의 상기 요부에 대한 삽입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 부위를 갖고,
    상기 요부는 수입구에서 상기 안쪽 부위보다 넓은 폭을 갖고,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상기 철부가 상기 요부의 상기 안쪽 부위로 안내되었을 때에, 상기 통상부가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밸브 매니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는, 상기 요부에 대한 삽입 방향에서의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 이외의 부위를 갖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부 이외의 부위보다도 가늘어지고,
    상기 전자 밸브측 커넥터부는, 상기 선단부 이외의 부위가 상기 요부에 대해서 안내되었을 때에, 상기 통상부가 상기 베이스측 커넥터부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밸브 매니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자 밸브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볼트가 나사 삽입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 밸브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는 개스킷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철부가 상기 요부에 안내됨에 따라, 상기 볼트 삽통공과 상기 암나사공의 상대 위치가 일치하는 전자 밸브 매니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철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부를 갖는 전자 밸브 매니폴드.
KR1020237037643A 2022-04-08 2023-03-23 전자 밸브 매니폴드 KR20230162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64676 2022-04-08
JP2022064676A JP2023154987A (ja) 2022-04-08 2022-04-08 電磁弁マニホールド
PCT/JP2023/011352 WO2023195343A1 (ja) 2022-04-08 2023-03-23 電磁弁マニホール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708A true KR20230162708A (ko) 2023-11-28

Family

ID=8824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643A KR20230162708A (ko) 2022-04-08 2023-03-23 전자 밸브 매니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23154987A (ko)
KR (1) KR20230162708A (ko)
CN (1) CN117222836A (ko)
DE (1) DE112023000040T5 (ko)
TW (1) TW202407243A (ko)
WO (1) WO20231953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6781A (ja) 2019-05-15 2020-11-19 Ckd株式会社 パイロット形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69A (ja) * 1996-04-09 1997-12-22 Ckd Corp 電磁弁マニホールドにおける給電線コネクタ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6781A (ja) 2019-05-15 2020-11-19 Ckd株式会社 パイロット形電磁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3000040T5 (de) 2023-12-28
TW202407243A (zh) 2024-02-16
CN117222836A (zh) 2023-12-12
WO2023195343A1 (ja) 2023-10-12
JP2023154987A (ja)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533B1 (ko) 밸브장치
JP4919002B2 (ja) 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集合体
KR100271472B1 (ko) 밀봉형 전환밸브조립체
KR20020021044A (ko) 위치검출기능을 구비한 매니폴드밸브
JPH10256035A (ja)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4756119B2 (ja) ベース部材に対する弁取付機構
KR100389534B1 (ko) 2포트 밸브
JPH11270512A (ja) 油圧シリンダユニット
EP0124191B1 (en) Electromagnetic unit fuel injector with cartridge type solenoid-actuated valve
KR102359975B1 (ko) 파일럿형 전자밸브
US20010007353A1 (en) Pilot type two-port valve
KR20230162708A (ko) 전자 밸브 매니폴드
EP0719950A2 (en) Poppet type directional control valve
KR20150026855A (ko) 디텐트 기구 부착 더블 솔레노이드 밸브
KR20230162707A (ko) 전자 밸브 매니폴드
US6272862B1 (en) Retention of a gland within an actuator
TWI840130B (zh) 電磁閥歧管
CN117989379A (zh) 电磁阀歧管
CN110566690B (zh) 电磁阀歧管
EP4379221A1 (en) Power cylinder with embedded solenoid valve
US11131394B2 (en) Closure device mounted to a cylinder-piston drive unit displaceable yoke
US11512789B2 (en) Check valve and modulator block including same
TWI786433B (zh) 導引式電磁閥
JP2023108096A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CN117780998A (zh) 减压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