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721A -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 Google Patents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721A
KR20230158721A KR1020220058180A KR20220058180A KR20230158721A KR 20230158721 A KR20230158721 A KR 20230158721A KR 1020220058180 A KR1020220058180 A KR 1020220058180A KR 20220058180 A KR20220058180 A KR 20220058180A KR 20230158721 A KR20230158721 A KR 2023015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lower pot
disassembled
assembled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학
Original Assignee
서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학 filed Critical 서정학
Priority to KR102022005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721A/ko
Publication of KR2023015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수 또는 복수의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물받이와 화분 몸체가 보이지 않도록 장식할 수 있으며, 또한 화분 받침틀에 부여된 장식적 미감을 통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Disassembled and Assembled Flowerpot Holder Assembly}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수 또는 복수의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물받이와 화분 몸체가 보이지 않도록 장식할 수 있으며, 또한 화분 받침틀에 부여된 장식적 미감을 통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화분은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을 말하고, 화분 받침틀은 화분 밑에 놓여져 화분을 지지하는 물건을 말한다.
대체로 실내에 비치되는 화분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839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받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08270에서는 바퀴가 달려 있는 사각형태의 조명박스의 상면에 화분을 걸쳐놓을 수 있고, 측면에 투명 칸막이부재를 부착한 화분 조립체를 제안한 것으로, 이 발명은 조명박스 내의 조명기구의 빛이 투명재 칸막이부재를 투과하여 조명기능을 겸할 수 있으나 미사용시 부피로 인한 점유 공간이 요구되어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분 받침틀(또는 받침대)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물받이와 화분 몸체가 보이지 않도록 장식할 수 있고, 화분 받침틀에 부여된 장식적 미감을 통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분해 및 조립가능한 화분 받침틀로서,
화분의 외면을 지지하는 구멍을 갖추고, 가장자리 면에 배치되는 장부맞춤부를 포함하는 평면부재와;
개방부를 갖추고, 상기 평면부재의 장부맞춤부와 맞물리는 분해가능한 대응측 장부맞춤부를 포함하는 측면부재와;
전술한 측면부재의 장부맞춤부와 맞물리는 분해가능한 대응측 장부맞춤부를 포함하는 저면부재 및;
전술한 개방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틀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평면부재에 마련된 구멍은 화분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이거나 화분이 구멍속으로 빠지지 않은 크기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도어는 표면에 빗살, 격자 또는 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단일형 또는 양문형 도어 중 어느 하나 혹은 혼용되어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각 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조립에 의해 완성된 화분 받침틀은 사각 형상, 원주형상, 다각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화분 받침틀은 저면부재위에 위치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부재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화분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화분 몸통과 물받이가 화분 받침틀 내에 안치되므로 외부는 화초와 화분받침틀만 보이게 되므로 마치 인테리어용 장식품에 화초를 심은 것처럼 화분 받침틀에 부여된 장식적 미감에 의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미사용시 각 부재를 분해하면 부피가 축소되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분 받침틀 조립체의 일 예에 따른 조립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틀 조립체에서 도어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4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틀 조립체 중 평면부재와 저면부재의 각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틀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틀 조립체에서 도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틀 조립체의 응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틀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분 받침틀 조립체의 일 예에 따른 조립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화분 받침틀 조립체(100)은 도면을 보면 사각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오직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는 것일 뿐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립 및 분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화분 받침틀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틀 조립체(100)는 평면부재(101), 측면부재(102) 및 저면부재(103) 및 도어(105)를 포함한다.
전술한 평면부재(101), 측면부재(102) 및 저면부재(103)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평면부재(101)는 화분 받침틀 조립체(100)의 평면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화분의 외면을 수용하고 그것을 지지할 수 있는 구멍(101a)이 마련되어 있고, 그 가장자리 면에 다른 부재와 조립 및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는 장부맞춤부(200)가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장부맞춤부(200)는 도 2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귀주먹장부맞춤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하면, 이웃한 부재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고 필요시 연귀주먹장부맞춤을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측면부재(102)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받침틀(100)의 측면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도어(105)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진 개방부(101a)를 포함하고, 그 가장자리 면에 평면부재(101)와 저면부재의 가장자리면에 마련된 장부맞춤부(200)와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응측 장부맞춤부(200)를 포함한다.
전술한 측면부재(102)은 평면부재와 저면부재의 각 가장자리면과 결합되어 화분 받침틀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개방부(101a)는 도어(105)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공(102c)이 대칭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도어(105)는 개방부(102a)의 면적을 가릴 수 있는 단일형 도어 또는 양문형 도어이거나 혼용하여 각 면마다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도어(105)를 측면부재(102)의 힌지핀(105a)을 힌지공102c)에 결합하는 방식은 도어(105)를 약간 힘을 주어 휘어지도록 변형한 후 양 힌지핀(105a)을 양 힌지공102c)에 끼우고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내재된 탄성에 의해 힌지핀(105a)이 힌지공(102c) 삽입되어 잘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도어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을 채용하였다.
한편, 전술한 평면부재(101)와 저면부재(103)는 도 3과 도 4를 보면 동일한 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자의 표면적(크기)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할 때, 평면부재(101)와 측면부재(102) 및 저면부재(103)가 만나는 변의 길이를 맞추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8에 도시된 평면부재(101)와 측면부재(102) 및 저면부재(103)를 조립하면 화분 받침틀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고, 반대로 각 부재의 맞춤 결합을 해체하면 부재의 부피가 축소되므로 혐소한 공간에도 쉽게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구멍(101a)은 화분의 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나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 화분은 사각형 구멍으로, 원통형 화분은 원형 구멍을 적용하거나 화분의 주연부보다 다소 더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화분을 수용하면서도 화분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재(101)의 구멍(101a)은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개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화분 받침틀(100)에 크기와 형태가 서로 다른 화분들을 동시에 받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저면부재(103) 위에 화분 물받이(도면에는 미도시)를 위치시킬 수 있고, 건전지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도면에는 미도시)를 위치시켜 화분 받침틀을 실내 무드등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와 도 5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02b는 개방부(102a)속으로 도어(105)가 밀리지 않도록 도어(105)를 제지하는 스토퍼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인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한정적 의미로 설명한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다양한 변형 예 및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예나 응용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0: 화분 받침틀
101: 평면부재
102: 측면부재 102a: 개방부
103: 저면부재 105: 도어
200: 장부맞춤부

Claims (5)

  1. 분해 및 조립가능한 화분 받침틀로서,
    화분의 외면을 지지하는 구멍을 갖추고, 가장자리 면에 배치되는 장부맞춤부를 포함하는 평면부재와;
    개방부를 갖추고, 상기 평면부재의 장부맞춤부와 맞물리는 분해가능한 대응측 장부맞춤부를 포함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장부맞춤부와 맞물리는 분해가능한 대응측 장부맞춤부를 포함하는 저면부재 및;
    상기 개방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부맞춤부는 연귀주먹장부맞춤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재는 상기 저면부재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재의 구멍은 크기가 다른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재와 저면부재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KR1020220058180A 2022-05-12 2022-05-12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KR20230158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80A KR20230158721A (ko) 2022-05-12 2022-05-12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80A KR20230158721A (ko) 2022-05-12 2022-05-12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721A true KR20230158721A (ko) 2023-11-21

Family

ID=8898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180A KR20230158721A (ko) 2022-05-12 2022-05-12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7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494S (en) Container for bulbs
US20100147844A1 (en) Container Configured to Display Decorative Objects
US10165876B2 (en) Floral display box
US5124903A (en) Decorative light display unit
US7762862B2 (en) House toy and display
KR200479680Y1 (ko)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KR20230158721A (ko)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화분 받침틀 조립체
JP2007068673A (ja) システムファニチャー
JP2020074711A (ja) フラワーディスプレイ用具
KR102476304B1 (ko) 조립식 다단 화환대
JP3227551U (ja) 装飾用置物
KR200174587Y1 (ko) 조립형 화분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JP3166992U (ja) プランター
JP3214445U (ja) 植物棚パーティション
JP6167137B2 (ja) 花スタンド
KR101479330B1 (ko) 액자 꽃병
JP3125736U (ja) 観賞用植物セット
KR20200134046A (ko) 물품 진열용 케이스
KR101228037B1 (ko) 조립식 화분 커버
KR20080054947A (ko) 수경재배를 위한 미니화병
USD994443S1 (en) Plant stake and display tag holder
JP7373141B2 (ja) 被飾体保持具
JP3055165U (ja) ハンギングバスケットフラワーの携行用ケース
KR200414921Y1 (ko) 장식용 화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