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330B1 - 액자 꽃병 - Google Patents

액자 꽃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330B1
KR101479330B1 KR20120128822A KR20120128822A KR101479330B1 KR 101479330 B1 KR101479330 B1 KR 101479330B1 KR 20120128822 A KR20120128822 A KR 20120128822A KR 20120128822 A KR20120128822 A KR 20120128822A KR 101479330 B1 KR101479330 B1 KR 10147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ase
decorative frame
ho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302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하나피앤지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피앤지, 김형태 filed Critical (주)하나피앤지
Priority to KR2012012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3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 꽃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자 꽃병은 메인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꽃이 꽂아지는 용기몸체(20)가 설치된다. 상기 용기몸체(20)는 내부의 용기내부공간(22)이 용기몸체(20)의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에는 전시물조립체(15)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장식프레임(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식프레임(30)에는 장식윈도우(34)가 구비되어 상기 전시물조립체(15)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의 형상은 다면체의 통형상이나 원통형상, 병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몸체(10)나 장식프레임(30)이 꽃이 꽂아지는 용기몸체(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꽃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시물조립체(15)의 둘레틀(16)을 교체하거나 장식프레임(30)을 교체함에 의해 보다 다양한 외관을 액자 꽃병이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자 꽃병{Vase with frame}
본 발명은 액자 꽃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형상을 가지고 외면으로 전시물이 노출되는 메인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꽃 등이 위치되는 용기몸체가 설치된 액자 꽃병에 관한 것이다.
꽃병은 내부에 물을 담은 상태로 꽃을 꽂아 보관하면서 보다 오랜 시간동안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꽃병은 일반적으로 유리로 만들어지거나 도자기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꽃병이 넘어지거나 낙하되면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있는 물이 쏟아져 주변에 있는 물품들이 물에 의해 손상되고, 사람들이 파편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꽃병이 쉽게 넘어지지 않거나 외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꽃병의 무게중심을 낮추면서 무게를 상대적으로 무겁게 만들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워지게 되면 사용자가 꽃병을 취급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꽃병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나 도자기 등으로 만들어지므로 외관이 특정한 형상, 모양 및 색채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한 외관을 가지는 꽃병을 오랜 동안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꽃병을 일정 기간 사용하여 싫증이 나거나, 계절을 포함하는 주변환경이 바뀌어 꽃병과 주변이 어울리지 않게 되면, 다른 외관 디자인을 가진 새로운 꽃병을 구입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꽃병 제조자 및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보다 다양한 종류의 꽃병을 제작하고 판매해야 하므로, 재고가 늘어나는 등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1996-00003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 넘어지거나 이동되지 않는 꽃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꽃병을 제공하는 것으로, 액자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꽃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으로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되는 몸체관통공을 가지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시물조립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을 통해 설치되어 물이나 꽃이 꽂아지는 용기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용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시물조립체는 전시물이 노출되는 둘레틀원도우가 형성되고 다수개가 구비되어 교체가능한 둘레틀과,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둘레틀은 상기 메인몸체에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상기 메인몸체를 둘러싸도록 장식프레임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장식프레임에는 상기 전시물조립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윈도우가 구비되고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면에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메인몸체의 일부가 관통된다.
상기 메인몸체와 장식프레임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으로 개구되는 몸체관통공을 둘러서는 내면과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나사링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체결나사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의 체결나사링은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체결나사링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가 체결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어 상기 장식프레임을 메인몸체에 고정한다.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으로 개구되는 몸체관통공과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가 돌출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외면을 둘러서는 체결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나사부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몸체의 몸체관통공 가장자리와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광원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용기몸체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용기내부공간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장식프레임에 상기 광원의 빛이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광통과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으로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되는 몸체관통공을 가지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시물조립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을 통해 설치되어 물이나 꽃이 꽂아지는 용기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메인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전시물조립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윈도우가 구비되며 상면에 상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일부가 관통되는 장식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시물조립체는 전시물이 노출되는 둘레틀원도우가 형성되고 다수개가 구비되어 교체가능한 둘레틀과,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둘레틀은 상기 메인몸체에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외면을 둘러서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부는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체결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어 상기 체결링이 상기 장식프레임에 안착된다.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외면을 둘러서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가 상기 장식프레임에 상기 체결나사부와 상부관통공 내면의 나사부가 체결됨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광원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메인몸체와 장식프레임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장식프레임에 상기 광원의 빛이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광통과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자 꽃병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물과 꽃이 위치되는 용기몸체가 통형상의 메인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통형상의 메인몸체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됨에 의해 액자 꽃병 전체가 외력에 의해 전도되거나 쉽게 이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몸체에는 다수개의 전시물을 설치할 수 있고, 전시물이 위치되는 전시물조립체의 외관을 사용자가 다양하게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액자 꽃병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 꽃병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장식프레임과 용기몸체가 체결링에 의해 결합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장식프레임과 용기몸체가 직접 결합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자 꽃병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몸체(10)가 액자 꽃병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본 실시예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상기 메인몸체(10)는 다면체 등의 통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몸체(10)로서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 삼각기둥형상, 육각기둥형상 등 내부가 비고 외면 일부가 개방된 통형태로 된 다양한 형상이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본 실시예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면, 하면 및 측면들에서 각각 개방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면은 개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는 각각 몸체관통공(13)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관통공(13)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들 몸체관통공(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시물조립체(15)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메인몸체(10) 내부의 광원(50)의 광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관통공(13)중에서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은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가장자리를 따라 체결나사링(14)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나사링(14)은 그 내면과 외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 링형상의 것이다.
전시물조립체(15)는 아래에서 설명될 둘레틀(16), 지지판(18') 등을 구비하여 전시물(18)을 원하는 부분만 노출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시물조립체(15)의 구성을 살펴보면, 둘레틀(16)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둘레틀(16)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 등을 가지는 둘레틀(16)을 사용자가 그때 그때 골라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둘레틀(16)과 전시물(18)에 의해 만들어지는 조립체는 둘레틀(16) 외에도 전시물(18)을 지지하는 지지판(18')이 있다.
상기 둘레틀(16)의 모서리에 인접하여서는 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6')에는 체결구(19)가 관통한다. 상기 체결구(19)는 상기 둘레틀(16)과 전시물(18)들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몸체(10)에 이들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체결구(19)는 상기 둘레틀(16)들을 관통하고 끝부분이 상기 메인몸체(10)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둘레틀(16)의 배면에 전시물(18)이 설치되고, 상기 전시물(18)은 지지판(18')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판(18')의 배면에 여분의 둘레틀(16)이 있는데, 이들 여분의 둘레틀(16)은 상기 전시물(18) 앞쪽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13)을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12) 내부로 용기몸체(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용기몸체(20)는 원통형상의 것으로 내부에 용기내부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내부공간(22)은 물이 채워지고 꽃이 꽂아지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이지만, 상단부 외면에 체결나사부(24)가 구비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상관없다. 즉, 상기 체결나사부(24)가 구비되는 부분은 원통형상으로 되어야 상기 체결나사링(14)과 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체결나사링(14)과 체결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장식프레임(30)을 메인몸체(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링(26)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링(26)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메인몸체(10)의 체결나사링(14)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링(26)의 내면에는 나사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링(26)의 하단은 상기 체결나사링(14)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아래에서 설명될 장식프레임(30)의 상면을 눌러주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체결링(26)의 하단 일부가 돌출된 돌출리브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체결링의 하단을 둘러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10)를 둘러싸도록 장식프레임(3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장식프레임(30)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이 없는 상태로 상기 메인몸체(10)에 전시물조립체(15)가 구비되어 액자 꽃병의 외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은 액자 꽃병의 외관을 보다 다양하게 꾸밀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프레임(30)이 육면체 형상이나 아래에서 설명될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장식프레임(30)의 외관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몸체(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장식몸체내부공간(32)이 구비된다. 상기 장식몸체내부공간(32)은 상기 메인몸체(10)의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의 하면은 완전히 개방되어 상기 메인몸체(10)를 상기 장식몸체내부공간(32)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식프레임(30)에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식윈도우(34)가 형성된다. 상기 장식윈도우(34)는 상기 전시물(18)이 장식프레임(30)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의 상면에는 상부관통공(3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관통공(36)은 상기 메인몸체(10)의 체결나사링(14)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부에는 베이스(4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하부나사부(10')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40)상에는 안착대(4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대(42)의 외면을 둘러서는 베이스나사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42)는 원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40)의 안착대(42)상에는 광원(50)이 설치된다. 상기 광원(50)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위치되어 광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50)과 베이스(40)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다. 상기 광원(50)과 베이스(4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10)나 상기 장식프레임(30)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메인몸체(10)나 상기 장식프레임(30)에 빛을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광통과공을 만들어주거나, 상기 몸체관통공(13)에 설치되는 전시물조립체(15)를 통해 광이 메인몸체(10)의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둘레틀(16)과 지지판(18')을 투명이나 반투명 재질로 만들거나, 둘레틀(16)이나 메인몸체(10)를 관통하는 통공들을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편의상 중요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메인몸체(110)에는 체결나사링이 없고 그 상면에 단지 몸체관통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장식프레임(130)에는 측면에 각각 장식윈도우(132)가 형성되고 장식프레임(130)의 상면에 상부관통공(13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관통공(136)은 상기 메인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용기몸체(120)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장식프레임(130)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용기몸체(120)에서 상기 상부관통공(136)을 통해 돌출된 상단부 외면에는 체결나사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몸체(120)에서 상기 체결나사부(124)에 인접한 하부에는 안착단(12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25)은 상기 체결나사부(124)가 형성된 부분의 외경보다 그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25)에는 상기 메인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113)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메인몸체(110)의 내면이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용기몸체(120)의 체결나사부(124)에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링(126)이 체결되면 상기 메인몸체(110), 장식프레임(130) 및 용기몸체(120)가 일체로 체결된다.
상기 용기몸체(120)의 체결나사부(124)에는 체결링(126)이 체결된다. 상기 체결링(126)은 내경이 상기 용기몸체(120)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120)의 체결나사부(124)에 상기 체결링(126)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128)가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링(126)을 풀게 되면, 상기 메인몸체(110)와 장식프레임(130)을 동시에 상기 용기몸체(120)에서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메인몸체(110)의 하부에 베이스나 광원이 없는데, 본 실시예의 메인몸체(110)의 하부에도 베이스나 광원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에 2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몸체(210)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메인몸체(2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12)은 상기 메인몸체(210)의 상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또한 그 측면에 몸체관통공(213)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212)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몸체관통공(213)은 상기 메인몸체(210)의 측면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210)의 상단 외주를 둘러서는 체결나사링(21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나사링(214)의 외면과 내면에는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210)의 외면중 상기 몸체관통공(213)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전시물조립체(215)가 설치된다. 상기 전시물조립체(215)의 구성은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몸체(220)는 원통형상이고, 내부에 용기내부공간(222)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내부공간(222)에는 물이 채워지고 꽃이 꽂아진다. 상기 용기내부공간(222)은 상기 용기몸체(220)의 상부로만 개방되어 있다. 상기 용기몸체(220)의 상단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메인몸체(210)의 체결나사링(214)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나사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링(226)은 상기 메인몸체(210)에 아래에서 설명될 장식프레임(2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링(226)의 내면을 둘러서는 나사부(228)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228)는 상기 메인몸체(210)의 체결나사링(214)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된다.
장식프레임(230)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장식프레임(230)의 내부에는 장착내부공간(23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내부공간(23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장식윈도우(234)가 장식프레임(230)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장식윈도우(234)를 통해 상기 전시물조립체(215)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장식프레임(230)의 상면에는 상부관통공(236)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210)의 체결나사링(214)이 돌출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메인몸체(210)의 하부에는 베이스(24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40) 상에는 안착대(24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242)의 외면을 둘러서는 베이스나사부(244)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210)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하부나사부(210')와 체결된다.
상기 안착대(242) 상에는 광원(250)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210)의 내부공간(212)에서 발광한다. 상기 베이스(240)와 상기 광원(250)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광원(250)이 사용되는 경우에 광원(250)에서 나온 광이 메인몸체(210) 및 장식프레임(230)을 통과해서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메인몸체(210)나 장식프레임(230)이 투명이나 반투명재질로 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몸체(210)나 장식프레임(230)의 빛을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광통과공을 만들어주거나 상기 몸체관통공(213)에 설치되는 전시물조립체(215)를 통해 빛이 메인몸체(210)의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둘레틀(216)과 지지판(218')을 투명이나 반투명재질로 만들거나 둘레틀(216)이나 지지판(218')을 관통하는 광통과공들을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는 용기몸체(320)가 장식프레임(330)에 안착되는 실시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에는 병모양의 장식프레임(330)이 사용된 액자 꽃병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식프레임(330)의 하부로 노출되게 베이스(340)가 있고, 장식프레임(330)의 상단에서는 용기몸체(320)에 체결링(326)이 체결되어 상기 장식프레임(330)상에 안착되어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용기몸체(320)가 상기 장식프레임(330)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장식프레임(330)의 상부관통공을 통해 장식프레임(330) 상부로 돌출된다.
도 9에 도시된 장식프레임(430)은 상부의 상부관통공(436)이 도 8에 도시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이고, 상기 용기몸체(420)의 상단 외면을 둘러 형성된 체결나사부(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장식프레임(430)의 상부관통공(436)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상기 용기몸체(420)는 상기 상부관통공(436)을 통해 상기 장식프레임(43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 외에도 상기 메인몸체, 용기몸체 및 장식프레임의 연결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액자 꽃병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액자 꽃병을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몸체(10)에 체결구(19)에 의해 조립된 전시물조립체(15)를 장착한다. 즉, 상기 체결구(19)의 후단을 상기 메인몸체(10)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하여 거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몸체(20)를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나사링(14)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용기몸체(20)의 상단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나사부(24)를 체결하여 용기몸체(20)가 메인몸체(10)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은 상기 메인몸체(10)를 둘러싸도록 설치하는데, 상기 메인몸체(10)의 체결나사링(14)이 상기 장식프레임(30)의 상부관통공(36)을 통해 돌출되게 하고, 상기 상부관통공(36)을 돌출하여 나온 체결나사링(14)에 상기 체결링(26)을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프레임(30)이 상기 메인몸체(1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장식프레임(30)에는 장식윈도우(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전시물조립체(15)가 외부로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액자 꽃병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즉, 상기 용기몸체(20)의 내부공간(22)에 물을 채우고 꽃을 꽂게 된다. 물론, 반드시 상기 용기몸체(20)의 내부공간(22)에 물을 채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몸체(10)에 있는 전시물조립체(15)에서 상기 둘레틀(16)을 교체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장식프레임(30)을 제거하여 상기 메인몸체(10)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전시물조립체(15)를 분리하고, 체결구(19)를 풀어 전시물(18)과 둘레틀(16) 그리고 지지판(18')이 분리되게 하고, 여분의 둘레틀(16)중에서 원하는 것을 가장 앞에 둔 상태에서 상기 둘레틀(16), 전시물(18), 지지판(18') 및 여분의 둘레틀(16)을 차례로 적층한 상태로 체결구(19)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둘레틀(16)을 교체한 후에는 다시 상기 메인몸체(10)에 장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식프레임(30)은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들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있다. 따라서, 원하는 형상의 장식프레임(30)으로 교체하면 액자 꽃병의 외관을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광원(50)이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광원(50)에서 나온 광이 상기 메인몸체(10)나 장식프레임(30) 또는 전시물조립체(15)를 통해 외부로 나오면서 액자 꽃병의 외관을 화려하게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체결링(126)만 풀게 되면, 상기 메인몸체(110), 용기몸체(120) 및 장식프레임(230)의 체결상태가 한 번에 풀리게 된다. 이는 상기 용기몸체(120)의 상단 외면을 둘러 체결나사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몸체(120)의 상기 체결나사부(124) 하측에 안착단(125)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단(125)에 상기 메인몸체(110)와 장식프레임(130)이 차례로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안착단(125)에 상기 메인몸체(110)와 장식프레임(130)의 상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몸체(120)의 체결나사부(124)에 체결링(126)이 체결되어 상기 장식프레임(130)과 메인몸체(110)을 상기 안착단(125)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체결링(126)만 풀게 되면 상기 메인몸체(110), 용기몸체(120) 및 장식프레임(130)의 결합이 한번에 해제되는 편리한 점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메인몸체(210), 용기몸체(220) 및 장식프레임(230)의 체결이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만들어져 있다. 즉, 메인몸체(210)의 체결나사링(214)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어 용기몸체(220)의 체결나사부(224)는 상기 체결나사링(214)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링(226)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는 체결나사링(214)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개의 실시예가 설명이 되었는데, 이들 실시예들은 그 일부 구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 다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더해질 수 있고, 역으로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시물조립체(15,115,215)의 구성은 현재 제시된 부품들 외에 다양한 부품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시물조립체(15,115,215)를 구성하는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몸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전시물조립체(15,115,215)의 전면에는 윈도우판이 더 구비되는데, 윈도우판은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윈도우를 가진다. 상기 윈도우는 윈도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전체 윈도우판을 투명재질로 만들고, 윈도우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불투명이나 반투명재질의 필름 등을 설치하여 가릴 수 있다.
10: 메인몸체 12: 내부공간
13: 몸체관통공 14: 체결나사링
15: 전시물조립체 16: 둘레틀
17: 둘레틀윈도우 18: 전시물
18': 지지판 19: 체결구
20: 용기몸체 22: 용기내부공간
28: 나사부 30: 장식프레임
32: 장식내부공간 34: 장식윈도우
36: 상부관통공 40: 베이스
42: 안착대 44: 베이스나사부
50: 광원 110: 메인몸체
112: 내부공간 113: 몸체관통공
115: 전시물조립체 120: 용기몸체
122: 용기내부공간 124: 체결나사부
126: 체결링 128: 나사부
130: 장식프레임 132: 장식내부공간
134: 장식윈도우 136: 상부관통공
210: 메인몸체 212: 내부공간
213: 몸체관통공 214: 체결나사링
215: 전시물조립체 220: 용기몸체
222: 용기내부공간 224; 체결나사부
226: 체결링 228: 나사부
230: 장식프레임 232: 장식내부공간
234: 장식윈도우 236: 상부관통공
240: 베이스 242: 안착대
244: 베이스나사부 250: 광원

Claims (15)

  1.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으로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되는 몸체관통공을 가지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시물조립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을 통해 설치되어 물이나 꽃이 꽂아지는 용기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용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시물조립체는 전시물이 노출되는 둘레틀원도우가 형성되고 다수개가 구비되어 교체가능한 둘레틀과,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둘레틀은 상기 메인몸체에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되는 액자 꽃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를 둘러싸도록 장식프레임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장식프레임에는 상기 전시물조립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윈도우가 구비되고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면에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메인몸체의 일부가 관통되는 액자 꽃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장식프레임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지는 액자 꽃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으로 개구되는 몸체관통공을 둘러서는 내면과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나사링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체결나사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액자 꽃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체결나사링은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체결나사링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가 체결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어 상기 장식프레임을 메인몸체에 고정하는 액자 꽃병.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으로 개구되는 몸체관통공과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가 돌출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외면을 둘러서는 체결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나사부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몸체의 몸체관통공 가장자리와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는 액자 꽃병.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광원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액자 꽃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용기내부공간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로 개방되는 액자 꽃병.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장식프레임에 상기 광원의 빛이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광통과공이 형성된 액자 꽃병.
  10.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으로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되는 몸체관통공을 가지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시물조립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관통공을 통해 설치되어 물이나 꽃이 꽂아지는 용기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메인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전시물조립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윈도우가 구비되며 상면에 상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일부가 관통되는 장식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시물조립체는 전시물이 노출되는 둘레틀원도우가 형성되고 다수개가 구비되어 교체가능한 둘레틀과,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둘레틀은 상기 메인몸체에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되는 액자 꽃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외면을 둘러서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부는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체결링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어 상기 체결링이 상기 장식프레임에 안착되는 액자 꽃병.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외면을 둘러서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프레임의 상부관통공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가 상기 장식프레임에 상기 체결나사부와 상부관통공 내면의 나사부가 체결됨에 의해 설치되는 액자 꽃병.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광원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액자 꽃병.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장식프레임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지는 액자 꽃병.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장식프레임에 상기 광원의 빛이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광통과공이 형성된 액자 꽃병.
KR20120128822A 2012-11-14 2012-11-14 액자 꽃병 KR10147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8822A KR101479330B1 (ko) 2012-11-14 2012-11-14 액자 꽃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8822A KR101479330B1 (ko) 2012-11-14 2012-11-14 액자 꽃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02A KR20140062302A (ko) 2014-05-23
KR101479330B1 true KR101479330B1 (ko) 2015-01-06

Family

ID=5089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8822A KR101479330B1 (ko) 2012-11-14 2012-11-14 액자 꽃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2234B1 (en) * 2017-11-13 2023-03-14 Marc A Fort Display vase and ur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435U (ja) * 1992-12-02 1994-06-28 陳 文榮 植物栽培部材を備えた展示装置
KR200214290Y1 (ko) 2000-08-05 2001-02-15 김명식 사진부착 화분
KR200397179Y1 (ko) * 2005-05-09 2005-09-30 공영근 장식용 화분
JP3120311U (ja) * 2006-01-10 2006-03-30 原欽 陳 ディスプレイ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435U (ja) * 1992-12-02 1994-06-28 陳 文榮 植物栽培部材を備えた展示装置
KR200214290Y1 (ko) 2000-08-05 2001-02-15 김명식 사진부착 화분
KR200397179Y1 (ko) * 2005-05-09 2005-09-30 공영근 장식용 화분
JP3120311U (ja) * 2006-01-10 2006-03-30 原欽 陳 ディスプレ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02A (ko)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55Y1 (ko) 화장품 용기 뚜껑
KR101479330B1 (ko) 액자 꽃병
US20150267901A1 (en) Rotating lamp with exchangeable panels
US20040130899A1 (en) Decorative illumination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KR20130118137A (ko) 경조사용 화환
US20080030995A1 (en) Lamp shade structure
KR101213536B1 (ko) 액자
TWM524424U (zh) 裝飾燈柱
KR101519605B1 (ko) 장식용 조명등
KR101833437B1 (ko) 실내조명 및 장식 기능을 갖는 조명스탠드
KR20140062301A (ko) 액자
US9278574B1 (en) Decorating article set
US20170202377A1 (en) Pillow decoration system
US8511869B1 (en) Decorative window candle top
TWM567028U (zh) Water bottle device
US10825364B2 (en) Liquid light wall
KR20090011201U (ko) 천장용 조명등 커버
KR101871473B1 (ko) 장식등 겸용 포장재
US20150377478A1 (en) Twinkling Door Hanger
KR200395122Y1 (ko) 유골함 꽃 장식용 좌판
KR100622072B1 (ko) 장식물 케이스
JP3185461U (ja) 節句飾り
JPH0641505Y2 (ja) 供物台
EP2110600A1 (en) Wall lamp fixture with replaceable pattern of decoration
US20190335721A1 (en) Novelty covers for ta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