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605B1 - 장식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장식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605B1
KR101519605B1 KR1020140039411A KR20140039411A KR101519605B1 KR 101519605 B1 KR101519605 B1 KR 101519605B1 KR 1020140039411 A KR1020140039411 A KR 1020140039411A KR 20140039411 A KR20140039411 A KR 20140039411A KR 101519605 B1 KR101519605 B1 KR 10151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lamp
cover
lower pedestal
lamp cove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주)한지와이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지와이야기 filed Critical (주)한지와이야기
Priority to KR102014003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18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일정한 체적을 갖도록 중공부가 마련되어 상면 및 측면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정 높이를 갖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의 일측면에 개구된 출입구와, 내부에 소정의 생활용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하부받침대의 내측으로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함; 조명스위치가 구비되어 하부받침대의 외부로 연결된 전원공급선을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점소등되도록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을 감싸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명등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장식용 조명등{A lighting lamp for decoration}
본 발명은 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이 수겹의 한지로 이루어진 조명등커버로 밀폐되어 조명등 점등시 다수겹의 한지 중 문양한지의 문양이 은은한 조명과 함께 조명등커버의 외부로 표출되어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명등 하부에 개폐가능한 수납함을 갖는 수납대가 마련되어 소형 생활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장식용 조명등은 일반적으로 스탠드라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전기식 스탠드가 일반적이며, 사용되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전구식, 형광등식, 엘이디식 스탠드로 구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기식 스탠드는 특정 고정물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식 또는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학생 공부용, 장식용, 작업용 등으로 분류되어 일반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무실, 공장, 작업실, 실험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근래에는 이러한 전기식 스탠드가 본래의 조명용 이외에도 실내 인테리어의 소품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호텔과 같은 고급 숙박시설 등에서는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의 조명등이 실내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킴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일반 가정이나 고급식당 등에서도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 실내 장식효과가 뛰어난 장식용 조명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사용자가 생활에 필요한 형태의 제품을 직접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방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재료와 형태 및 기능을 갖는 장식용 조명등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식스탠드가 장식용으로서 이용가치가 증대되면서 한국 등록특허 제10-654895호와 같이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거나 꽃을 꽂아 놓을 수 있는 화분 내지 화병의 기능과 더불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안출된 바 있고, 또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6-0000070호와 같이 실내 가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어항이 구비된 스탠드 분수대 구조물을 제공한 고안이 안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기식 스탠드는 그 기능성을 높이는데 주안점이 있어서 실제 이용에는 많은 불편함이 발생되어 실용성과 장식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 한국 등록특허 제10-654895호(등록일: 2006.11.30, 발명의 명칭: 실내장식용 화초 스탠드) -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6-0000070호(공개일: 2006.11.28, 고안의 명칭 :어항이 구비된 스탠드 분수대 구조물)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150472호(등록일: 1999.04.07, 고안의 명칭: 수납틀이 구비된 전기스탠드)
본 발명은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조명등의 장식미와 실용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하부 수납대 상면에 조명등이 설치되고, 이 조명등의 외측으로 수겹의 한지로 이루어진 조명등커버가 설치되어 조명등 점등시 은은한 불빛과 함께 한지의 문양이 외부로 표출되어 고급스러움과 고풍미를 제공하면서 간단한 생활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장식효과와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조명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은 내부에 일정한 체적을 갖도록 빈 공간부가 마련되어 상면 및 측면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정 높이를 갖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의 일측면에 개구된 출입구와, 내부에 소정의 생활용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하부받침대의 내측으로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하부받침대의 일측면에 설치되거나 하부받침대의 외부로 연결된 전원공급선에 구비된 조명스위치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점소등되도록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을 감싸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명등 커버를 형성하되, 그 조명등 커버는, 외부충격에 강하면서 투명하여 조명등의 점등시 불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는 플라스틱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설치되는 하드케이스와, 상기 하드케이스의 외측면에 덧붙여지는 초배지와, 조명등의 점등시 문양이 표출되도록 다양한 모양의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초배지의 외측으로 덧붙여지는 문양한지와, 상기 조명등의 점등시 문양한지의 문양과 더불어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문양한지의 외측면에 덧붙여지는 색상한지와, 조명등의 점소등시 조명등 커버의 외측모양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의 문양이나 무늬가 형성되어 상기 문양한지 외측으로 덧붙여지는 요철한지;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은 주 재료가 종이재인 한지로 구성되어 한지만의 고풍스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되, 그 공간을 실내 장식용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생활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대로 이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실용성을 갖춘 장식용 조명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조명등의 바깥에 한지를 덧붙여 구성된 조명등커버가 문양한지를 포함한 다수겹의 한지가 덧붙여 형성되어 있어서 조명등 점등시 조명등커버의 외측으로 문양한지의 문양이 외부로 은은하게 비춰져 장식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명등커버를 한지로만 성형하여 분리 및 보관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지지대를 끼워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서 이동성, 보관성,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용 조명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장식용 조명등에서 조명등커버의 일측 수직 절단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서 조명등커버의 변형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분리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서 조명등커버의 접혀진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은 주 재료로 한지를 이용하여 제작되어지되, 조명등커버의 경우 내충격성이 뛰어난 투명재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형상을 만든 후에 그 표면에 다수겹의 한지를 덧붙여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은 일정 높이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조명등이 설치되며, 상기 조명등이 설치된 하부받침대의 상부로 일정 높이를 갖는 조명등커버가 조명등을 감싸도록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대는 한 개 이상의 수납함이 구비되어 간단하고 비교적 작은 개인 생활용품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납대 가능으로도 사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0)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장식용 조명등(100)의 외관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장식용 조명등(100)에 대한 분해상태도이며, 도 3은 장식용 조명등(100)에서 조명등커버(40)의 A-A선에 따른 수직 절단 단면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0)은 상하로 주요부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다수겹의 한지를 덧붙여서 성형되는 일정 높이의 하부받침대(1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받침대(10)는 그 내부에 일정한 체적의 중공부가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면 및 측면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일측면에는 일정 크기의 출입구(17)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7)에는 하부받침대(10)의 내측으로 출입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작은 생활용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2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수납함(20)도 다수겹의 한지를 적층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외측면에는 수납함(20)의 인출을 위한 손잡이(22)가 형성되며, 하부받침대(10)의 높이에 따라 상기 수납함(20)은 한 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대(10)의 상면에는 조명등(30)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조명등(30)은 하부받침대(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원공급선(32)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선(32)에는 조명등(30)의 점소등을 위한 조명스위치(3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명등(30)이 설치되는 하부받침대(10)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일정 높이의 걸림턱(12)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12)은 하부받침대(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조명등커버(40)가 안착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편리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등커버(40)에 대해서 좀더 상술하면,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등커버(40)는 다수겹의 한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틀을 형성하도록 가장 내측에 내충격성이 뛰어나면서 비교적 중량이 가볍고 조명등의 점등시 조명등의 불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하드케이스(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드케이스(42)의 외측면에는 복수겹의 한지를 붙이기 위해 초배지(43)가 덧붙여지며, 상기 초배지(43)의 외측면에는 조명등(30)의 점등시 일정한 모양의 문양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문양이 형성된 문양한지(45)가 덧붙여진다.
그리고, 상기 문양한지(45)의 외측면에는 문양한지(45)에 형성된 문양이 조명등의 불빛에 의해 외부로 표출될 때, 문양한지(45)의 문양과 조화되어 일정한 색감이 표출되도록 색상한지(46)가 덧붙여지고, 상기 색상한지(46)의 외측면으로 다양한 요철문양이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노출시 조명등커버(4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요철한지(48)가 추가로 덧붙여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0)은 하부받침대(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명스위치(35)를 조작하여 조명등(30)의 점소등이 이루어지며, 조명등(30)의 점등시 조명등커버(40)의 외측으로 하드케이스(42)에 접착된 문양한지(45)와 색상한지(46) 및 요철한지(48)의 문양과 색상이 조화롭게 외부로 비추게 되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부받침대(10)의 수납함(20)에는 간단한 생활용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수납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조명등(30)은 일반 전구 뿐만 아니라 엘이디 조명등을 이용하여 조명등의 수명을 증대하면서 조립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0)에서 변형된 조명등커버(40a)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커버(40a)는 그 하단 테두리부에 하부받침대(10)의 상면 걸림턱(12) 내측에 안착시 그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명등커버의 이탈방지수단(50)이 추가로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수단(50)으로 다양한 수단이 구성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변형실시예에서는 상호 대면하는 조명등커버(40)의 하단측과 하부받침대(10)의 상단 걸림턱(12) 중 어느 일측에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대향되는 측에 금속제가 각각 결합되어 조명등커버(40)의 안착시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조명등커버(40)가 하부받침대(1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1)(102)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1)(102)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 높이의 하부받침대(10)와, 이 하부받침대(10)에 복수개의 수납함(20)이 구비된 구성은 동일하지만 하부받침대(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명등(30) 및 조명등커버(40b)(40c)의 구성에 일부 변형된 특징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 및 제3실시예의 경우, 하부받침대(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조명등(30)은 엘이디소자로 구성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스위치(35)가 하부받침대(10)의 일측면에 매립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경우 조명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명등(30)은 단계별로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등(30)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조명스위치(35)는 터치형 접촉스위치로 구성되어 터치 순서에 따라 조명등의 광도가 단계별로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등커버(40b)(40c)는 다수겹의 한지(韓紙)로만 덧붙여진 상태로 성형되되, 종이로만 이루어져 일정 높이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네 모서리부에 상하방향으로 조명등커버(40b)(40c)의 길이보다 다소 큰 지지대(60,61)가 끼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각 지지대(60,61)의 하단부가 하부받침대(10)의 상면 모퉁이에 형성된 결합공(13)에 고정되어 조명등커버(40b)(40c)가 안정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하부받침대(10)의 상면에서 조명등커버(40b)(40c)가 분리되어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60,61)는 조명등커버(40b)(40c)의 내측 네 모서리부에 형성된 별도의 원통형 지지구(65)를 관통하여 끼움 설치되어 조명등커버(40b)(40c)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지지대(60,61)는 조명커버(40b)(40c)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어 조명등커버(40b)(40c)의 상하단에 일정부분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조명등커버(40b)(40c)의 상단에 돌출된 지지대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파지부(62) 역할을 하고, 하단으로 돌출된 지지대는 하부받침대(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13)에 결합되는 고정부(64)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커버(40b)(40c)는 초배지(43)와 문양한지(45), 색상한지(46) 및 요철한지(48)가 순서대로 접합되어져 순수 종이재로만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지지대(60) 하단부에 외표면이 요철 구조를 갖는 끼움돌기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받침대(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13)에 일정한 힘으로 끼워 넣어 지지대(60)가 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는 복수의 지지대(61) 하단 외주연에 소정의 나사부가 형성되어 하부받침대(10)의 상면 모퉁이에 형성된 결합공(13)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상술한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1,102)에서 하부받침대(10)에서 분리된 조명등커버(40b)(40c)가 폭방향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1,102)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명등커버(40)에 구비되는 하드케이스(42)가 구비되지 않고 단지 다수겹의 한지로만 성형되어 있어서 외력을 가할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접혀져 그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조명등커버(40b)(40c)의 각 모퉁이에 끼움 결합된 지지대(60,61)는 조명등커버(40b)(40c)에서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조명등커버(40b)(40c)와 함께 일체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 보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 : 하부받침대 12 : 걸림턱
13 : 결합공 15 : 중공부
17 : 출입구 20 : 수납함
30 : 조명등 32 : 전원공급선
35 : 조명스위치 40,40a,40b,40c : 조명등 커버
42 : 하드케이스 43 : 초배지
45 : 문양한지 46 : 색상한지
48 : 요철한지 50 : 이탈방지수단
60,61 : 지지대 62 : 파지부
64 : 고정부 65 : 지지구
100,101,102 : 장식용 조명등

Claims (5)

  1. 내부에 일정한 체적을 갖도록 빈 공간부가 마련되어 상면 및 측면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정 높이를 갖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의 일측면에 개구된 출입구와, 내부에 소정의 생활용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하부받침대의 내측으로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하부받침대의 일측면에 설치되거나 하부받침대의 외부로 연결된 전원공급선에 구비된 조명스위치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점소등되도록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을 감싸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명등 커버를 형성하되, 그 조명등 커버는, 외부충격에 강하면서 투명하여 조명등의 점등시 불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는 플라스틱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설치되는 하드케이스와, 상기 하드케이스의 외측면에 덧붙여지는 초배지와, 조명등의 점등시 문양이 표출되도록 다양한 모양의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초배지의 외측으로 덧붙여지는 문양한지와, 상기 조명등의 점등시 문양한지의 문양과 더불어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문양한지의 외측면에 덧붙여지는 색상한지와, 조명등의 점소등시 조명등 커버의 외측모양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의 문양이나 무늬가 형성되어 상기 문양한지 외측으로 덧붙여지는 요철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와 수납함은 복수겹의 한지 또는 종지를 덧붙여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출입구와 수납함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조명등커버의 이탈방지와 편리한 안착이 가능하도록 조명등 커버의 하단 테두리부를 감싸는 구조로 일정 높이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내측과 걸림턱의 내측에 위치하는 조명등커버의 하단테두리 에는 조명등커버의 이탈 또는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커버는 복수겹의 한지가 덧붙여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조명등커버의 직립유지와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조명등커버의 테두리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하단부는 조명등커버의 상하단으로 각각 일정길이 노출되어지되, 상단으로 노출된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하단으로 노출된 지지대의 하단부는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KR1020140039411A 2014-04-02 2014-04-02 장식용 조명등 KR10151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11A KR101519605B1 (ko) 2014-04-02 2014-04-02 장식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11A KR101519605B1 (ko) 2014-04-02 2014-04-02 장식용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605B1 true KR101519605B1 (ko) 2015-05-12

Family

ID=5339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411A KR101519605B1 (ko) 2014-04-02 2014-04-02 장식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461A (ko) * 2016-04-25 2017-11-02 임미경 한지 아트 등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111A (ja) * 1994-03-01 1995-09-1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用ポール及び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111A (ja) * 1994-03-01 1995-09-1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用ポール及び照明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461A (ko) * 2016-04-25 2017-11-02 임미경 한지 아트 등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5002A (en) Portable art object wall decoration
US20080073243A1 (en) Toilet paper and toilet plunger utility stand
KR101519605B1 (ko) 장식용 조명등
KR200415567Y1 (ko) 발광 컵
CN201328171Y (zh) 一种月景壁灯多媒体音箱
US7625095B1 (en) Multi-purpose holiday display light box
CN214396196U (zh) 一种新型发光工艺品
KR200447195Y1 (ko) 다용도 프레임
CN204467495U (zh) 多功能景观长凳
KR200497642Y1 (ko) 화폐 보관케이스를 구비한 장식용 액자
US10874233B2 (en) Decorative lighted cover for water jugs
JP7125584B2 (ja) 照明器具及びその機能を用いる装飾品ケース
CN209898544U (zh) 多功能收纳盒
CN211969045U (zh) 一种多功能陶瓷工艺摆件
US10825364B2 (en) Liquid light wall
CN214549160U (zh) 浴室镜柜
CN2503324Y (zh) 三脚撑吊篮落地灯
CN208709003U (zh) 一种多功能玄关柜
CN218112216U (zh) 一种具有灯光调节功能的永生花固定结构
JP5329507B2 (ja) 小型仏壇
CN213565228U (zh) 一种装饰石柱
CN207461729U (zh) 一种新型多功能的办公用品收纳箱
CA2538466A1 (en) Decorative shelf
KR100622072B1 (ko) 장식물 케이스
CN204393964U (zh) 一种可悬挂式多功能展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