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557A - 방열용 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방열용 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557A
KR20230155557A KR1020237034665A KR20237034665A KR20230155557A KR 20230155557 A KR20230155557 A KR 20230155557A KR 1020237034665 A KR1020237034665 A KR 1020237034665A KR 20237034665 A KR20237034665 A KR 20237034665A KR 20230155557 A KR20230155557 A KR 20230155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fin
stack
holding
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니시자와
게이이치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21D43/22Devices for pil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스택 장치(80)가 방열용 핀(30)을 적층 수용함에 있어서, 스택 장치(80)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해결 수단으로서, 프레스 장치(48)에 의해 형성된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방열용 핀(30)으로 개편화하는 컷오프 장치(60)의 하류측에 배열설치된 방열용 핀(30)의 유지 장치(70)의 상방 위치에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를 설치하고, 유지 장치(70)로부터 방열용 핀(30)을 스택 장치(80)에 전달할 때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를 스택 장치(80)에 접근시켜,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에 의해 방열용 핀(30)을 가이드하면서 스택 장치(80)에 낙하시킴으로써 스택 장치(80)에 적층 수용되고, 방열용 핀(30)이 수용된 후의 스택 장치(80)는 하강 동작만을 행한다.

Description

방열용 핀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방열용 핀(fin)을 제조하기 위한 방열용 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쿨러 등의 열교환기에는,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열교환 튜브(32)를 삽입하는 절결부(34)가 복수 형성된 방열용 핀(30)이 열교환 튜브(32)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복수매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열용 핀(30)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열용 핀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박판(10)이 코일 형상으로 감긴 언코일러(40)가 설치되어 있다. 언코일러(40)로부터 루프 컨트롤러(42)를 거쳐 인출된 박판(10)은 NC 피더(44)를 통과시킴으로써 프레스 장치(48) 내에 설치된 금형 장치(46)에 간헐적으로 일정 길이로 공급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금형 장치(46)에 공급되기 전의 박판(10)의 표면에 가공용의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금형 장치(46)는 내부에 상하동 가능한 상형 다이세트(46A)와, 정지 상태에 있는 하형 다이세트(46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금형 장치(46)에 의해,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열용 핀 성형체(31)(방열용 핀(30))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띠형상체(11)가 형성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금속 띠형상체(11)는 열간 슬릿 장치(52)에 의해 반송 방향과 수평면 내에서 직교하는 폭 방향에서 제품 폭으로 분할됨으로써 방열용 핀 성형체(31)로 형성된다. 방열용 핀 성형체(31)는 유지 장치(70)로 송출된 후, 반송 방향의 소요 길이로 컷오프 장치(60)에 의해 절단되어 방열용 핀(30)으로 개편화된 후에, 스택 핀(pin)(SP)이 세워져 설치된 스택 장치(80)에 적층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방열용 핀(30)은, 열교환 튜브(32)가 삽입되는 절결부(34)가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34)와 절결부(34) 사이에는 루버(35)가 형성된 판형상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절결부(34)는 방열용 핀(30)의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결부(34)와 절결부(34) 사이의 복수의 판형상부(36)는 길이 방향을 따라 뻗는 연결부(3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열용 핀(30)을 적층 수용할 때 사용하면 적합한 스택 장치(80)를 가지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의 구성이 출원인에 의해 이루어져, 특허문헌 1(국제공개번호 WO2020/152736A1)에 있어서 스택 장치(80)의 구체적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번호 WO2020/152736A1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의 스택 장치(80)에 있어서는, 컷오프 장치(60)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배열설치된 방열용 핀(30)의 유지 장치(70)의 하측으로부터 스택 장치(80)를 상승시켜 유지 장치(70)로부터 방열용 핀(30)을 적층 수용시키는 형태가 채용되고 있다(전체 이미지의 도시는 생략). 즉 방열용 핀(30)의 적층 수용 수의 증가에 따라 중량이 증가하여, 스택 장치(80)를 상승시킬 때에 있어서의 스택 장치(80)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즉, 방열용 핀 제조 장치의 스택 장치가 방열용 핀을 적층 수용함에 있어서, 스택 장치에 방열용 핀이 적층되어 있을 때는 하강 동작만으로 함으로써, 방열용 핀의 적층 수용 수가 늘어나 중량이 증가해도, 스택 장치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방열용 핀 제조 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이하의 구성에 생각이 미쳤다. 즉 본 발명은, 재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미가공의 금속제의 박판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방열용 핀 성형체로 하는 금형 장치가 설치된 프레스 장치와, 상기 프레스 장치로의 상기 박판의 공급, 및 상기 프레스 장치로부터의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반출을 행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방열용 핀으로 하는 컷오프 장치와, 상기 컷오프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컷오프 장치의 반송처측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측방 위치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유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서로 접리동 가능하며,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 및 상기 방열용 핀을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체, 및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접리동시키는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가지는 유지 장치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방열용 핀을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유지 장치의 하방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기 방열용 핀에 삽입통과되는 스택 가이드체가 세워져 설치된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 상기 스택 가이드체에 삽입통과된 복수매의 상기 방열용 핀 중 최하부의 상기 방열용 핀의 하면에 맞닿는 핀 받이부, 및 상기 핀 받이부를 상기 스택 가이드체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택 장치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상방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통과 가능한 평면 위치에 배열설치된 낙하 가이드체, 및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상기 스택 장치를 향하여 접리동시키는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가지는 낙하 가이드 장치와, 적어도 상기 컷오프 장치, 상기 유지 장치, 상기 스택 장치, 및 상기 낙하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이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스택 장치에 방열용 핀을 적층 수용시킬 때는, 스택 장치의 상측으로부터 낙하 가이드체를 스택 장치를 향하여 접리동시킴으로써 방열용 핀의 낙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택 장치가 방열용 핀의 하측으로부터 방열용 핀을 꽂으러 가지 않아도 되어, 스택 장치를 상하동시킬 필요가 없어졌다. 즉, 스택 장치가 방열용 핀을 적층 수용함에 있어서, 스택 장치를 상승시킬 때는, 비어있는 상태만으로 하고, 방열용 핀이 적층 수용된 상태에서는 하강 동작만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스택 장치로의 방열용 핀의 적층 수용 수가 늘어나도, 스택 장치를 안정적인 상태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종래에는 스택 장치를 방열용 핀을 향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방열용 핀을 적층 수용하고 있었으므로, 위치 맞춤을 위해 스택 핀을 가늘게 할 필요가 있어, 스택 핀의 강성이 낮았다. 따라서, 스택 장치에 적층 수용한 방열용 핀의 적층체를 핸들링할 때는 불안정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택 장치의 스택 핀을 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택 장치에 적층 수용한 방열용 핀의 적층체를 안정적인 상태에서 핸들링할 수 있다.
또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유지체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 가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상기 방열용 핀의 수취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 처리와, 상기 반송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컷오프 장치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상기 소정 길이에 걸쳐 통과시키는 제2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에 의해 유지된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으로 절단될 때까지,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하단부를 상기 스택 가이드체의 상단부에 접근시키는 제3 처리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소정 치수로 절단시키는 제4 처리와, 상기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이반시킴으로써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따라 상기 방열용 핀을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하는 제5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이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된 후,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상기 하단부를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상방 위치로 퇴피시키는 제6 처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미리 설정한 높이로 하강시키는 제7 처리를 각각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유지체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 가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송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컷오프 장치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상기 소정 길이에 걸쳐 통과시키는 제1 처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상기 방열용 핀의 수취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2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에 의해 유지된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으로 절단될 때까지,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하단부를 상기 스택 가이드체의 상단부에 접근시키는 제3 처리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소정 치수로 절단시키는 제4 처리와, 상기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이반시킴으로써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따라 상기 방열용 핀을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하는 제5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이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된 후,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상기 하단부를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상방 위치로 퇴피시키는 제6 처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미리 설정한 높이로 하강시키는 제7 처리를 각각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스택 장치에 방열용 핀을 적층 수용시킬 때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동작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6 처리를 실행한 이후에, 상기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상기 유지 가능 위치로 되돌리는 제8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8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제1 처리로 되돌아가, 상기 제1 처리 내지 상기 제8 처리를 미리 설정한 횟수에 걸쳐 반복 실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택 장치에 방열용 핀을 적층시키는 처리를 연속해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처리와 상기 제2 처리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열용 핀을 제조할 때에 있어서의 택트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스택 가이드체는,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키는 스택 블레이드와 상기 방열용 핀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맞닿는 스택 핀을 가지고, 상기 낙하 가이드체는,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키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로서,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가 상기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기 스택 장치를 향하여 접리동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지체에 유지되어 있는 열교환용 핀을 스택 장치에 떨어뜨려 넣을 때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스택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의 변형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낙하 가이드체는, 상기 방열용 핀의 외측단 가장자리와 맞닿음 가능하게,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된 낙하 가이드 핀을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지체가 이반될 때 유지체에 유지되어 있던 방열용 핀이 유지체와 함께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스택 장치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낙하 가이드체가 상기 스택 장치로부터 이반될 때에 있어서, 상기 방열용 핀이 함께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리퍼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핀 받이부에 재치된 방열용 핀이 낙하 가이드체의 상승 동작에 맞추어 들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핀 받이부로의 방열용 핀의 재치 상태가 흐트러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핀 제조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방열용 핀 제조 장치의 스택 장치가 방열용 핀을 적층 수용함에 있어서, 스택 장치를 상승시킬 때는, 비어있는 상태로 함과 아울러, 방열용 핀이 적층 수용된 상태에서는 스택 장치를 하강 동작만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스택 장치로의 방열용 핀의 적층 수용 수가 늘어나 중량이 증가해도, 스택 장치를 안정적인 상태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스택 장치의 스택 핀을 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택 장치에 적층 수용한 방열용 핀의 적층체를 안정적인 상태에서 핸들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핀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형 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 띠형상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유지 장치와 스택 장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지 장치 부분을 반송처측으로부터 반송원측을 향하게 한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5는 핀 받이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택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 중의 VII 부분을 반송처측으로부터 반송원측을 향하게 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의 유지체의 상방 위치로부터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9는 스트리퍼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핀 받이부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스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XI 부분을 반송처측으로부터 반송원측을 향하게 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스택 가이드 유지체와 핀 받이부를 동기시켜 방열용 핀 수취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도 11 상당도이다.
도 14는 낙하 가이드체를 한 쌍의 유지체에 유지되어 있는 방열용 핀 성형체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 11 상당도이다.
도 15는 방열용 핀 성형체의 절단 후에 한 쌍의 유지체를 이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 11 상당도이다.
도 16은 한 쌍의 유지체로부터 방열용 핀이 낙하하여 스택 블레이드를 따라 방열용 핀이 핀 받이부에 재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11 상당도이다.
도 17은 낙하 가이드체를 한 쌍의 유지체의 상방 위치로 퇴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 11 상당도이다.
도 18은 핀 받이부만을 방열용 핀 1매분의 높이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 11 상당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A는 방열용 핀 성형체의 평면도이며, 도 20B는 방열용 핀 성형체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 1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는 핀 성형부(100A)와 스택부(100B)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핀 성형부(100A)는 재료 공급부(47), 프레스 장치(48), 이송 장치(50), 열간 슬릿 장치(52), 컷오프 장치(60)를 가지고 있다. 스택부(100B)는 유지 장치(70)와 스택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동작 제어는,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동작 제어 프로그램과, 동작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CPU를 적어도 가지는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제어부(90)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에 편입된 형태 외에,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와는 별체에 설치한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핀 성형부(100A)에 있어서의 재료 공급부(47)는 언코일러(40), 루프 컨트롤러(42), 및 NC 피더(44)를 가지고 있다. 방열용 핀(30)의 재료인 알루미늄 등의 미가공의 금속제의 박판(10)(이하, 간단히 박판(10)이라고 한다)은 언코일러(40)에 코일 형상으로 둘러감겨 있다. 언코일러(40)로부터 인출된 박판(10)은 루프 컨트롤러(42) 내에 삽입되어, 간헐 이송되는 박판(10)의 펄럭임이 루프 컨트롤러(42)에 의해 억제된다. 루프 컨트롤러(42)의 하류측에는 NC 피더(44)가 설치되어 있다. NC 피더(44)는 박판(10)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는 2개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고, 2개의 롤러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박판(10)을 서로 끼워넣어 박판(10)을 일정 길이로 간헐 이송한다.
NC 피더(44)의 하류측에는, 금형 장치(46)가 내부에 배치된 프레스 장치(48)가 설치되어 있다. 금형 장치(46)는 상하동 가능한 상형 다이세트(46A)와, 정지 상태에 있는 하형 다이세트(4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판(10)은 오일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그 표면에 오일이 부여된 후에 프레스 장치(48)에 공급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48)에 의해 형성된 금속 띠형상체(11)는 반송 방향인 화살표 A에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품이 나란한 상태로 되어 있다. 금속 띠형상체(11)를 폭 방향 및 반송 방향으로 적절하게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체적인 제품인 방열용 핀(30)에는 편평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 튜브(32)가 삽입되는 절결부(34)가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4)와 절결부(34) 사이에는 루버(35)를 가지는 판형상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루버(35)의 폭 방향의 양단부측에는 금속제의 박판(10)이 잘려 일으켜져 형성된 개구부(37)가 형성되어 있다. 1개의 루버(35)에 대한 2개의 개구부(37, 37) 중 일방측의 개구부(37)는 판형상부(36)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4)는 방열용 핀(30)의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결부(34)와 절결부(34) 사이의 복수의 판형상부(36)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뻗는 연결부(3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1개의 루버(35)에 대한 2개의 개구부(37, 37) 중 타방측의 개구부(37)는 이 연결부(38)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금속 띠형상체(11)는 2개의 제품이 서로의 절결부(34)의 개구측을 인접시키도록 대치시켜 배치되어 있는 세트가 복수 세트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제품의 절결부(34)의 개구측이 대치하여 배치된 세트가 서로의 연결부(38)끼리를 인접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금속 띠형상체(11)에는 6세트(12개)의 방열용 핀 성형체(31)가 형성되어 있지만(도시하지 않음), 금속 띠형상체(11)는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의 전체 구성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48) 내의 금형 장치(46)에서 형성된 금속 띠형상체(11)는 프레스 장치(48)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 장치(50)에 의해 간헐적으로 반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송 장치(50)의 이송 타이밍은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NC 피더(44) 및 프레스 장치(48)의 프레스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어, 안정적인 간헐 이송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송 장치(5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왕복동 유닛(51)이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초기 위치와 이송 위치 사이를 왕복동하도록 동작이 제어되어 있어, 프레스 장치(48)로부터 금속 띠형상체(11)를 견인한다. 왕복동 유닛(51)의 상면에는 이송 핀(55)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이송 핀(55)이 금속 띠형상체(11)에 형성된 절결부(34) 또는 개구부(37) 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이송 핀(55)이 견인함으로써 금속 띠형상체(11)를 이송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재료 공급부(47)와 이송 장치(50)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바인 반송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반송 장치에는 후술하는 이송 장치(62)를 더할 수도 있다.
이송 장치(50)의 하류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열간 슬릿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열간 슬릿 장치(52)는 금속 띠형상체(11)의 상면측에 배치된 상측 날(53)과, 금속 띠형상체(11)의 하면측에 배치된 하측 날(54)을 가진다. 열간 슬릿 장치(52)는 프레스 장치(48)의 상하동 동작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설치하면 된다. 또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열간 슬릿 장치(52)의 구동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열간 슬릿 장치(52)를 조작 제어할 수도 있다. 상측 날(53) 및 하측 날(54)은 금속 띠형상체(11)의 반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간헐 이송되는 금속 띠형상체(11)를 맞물리게 한 상측 날(53)과 하측 날(54)로 소정 폭으로 절단하여, 반송 방향으로 긴 제품 폭의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제조한다.
열간 슬릿 장치(52)에 의해 절단된 방열용 핀 성형체(31)는 각각이 별체로 설치된 컷오프 장치(60) 내로 이송된다. 또한 복수개의 방열용 핀 성형체(31)는 컷오프 장치(60)에 이송되기 전에 이웃하는 방열용 핀 성형체(31)끼리의 사이를 소정 간격 비워두도록 배치된다. 또 컷오프 장치(60)에 이송되기 전에는, 복수개의 방열용 핀 성형체(31)는 컷오프 장치(60)에 의한 1회의 이송 길이보다 긴 길이를 일시적으로 모으기 위해서, 하방으로 휘도록 하여 버퍼 부분(BF)을 형성하고 있다.
컷오프 장치(60) 내에는, 반송 방향으로 각각의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이송 장치(62)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 장치(62)의 구조로서는, 프레스 장치(48)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 장치(50)의 구조보다, 1회의 이송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송 장치(62)도 또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있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송 유닛(64)이 소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프레스 장치(48)측으로부터 견인하여, 컷오프 장치(60)의 하류측으로 압출하고 있다. 반송 유닛(64)의 상면에는,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수만큼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열의 이송 핀(65)이 열형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송 핀(65)이 각각의 방열용 핀 성형체(31)에 형성된 절결부(34) 또는 개구부(37) 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이송 핀(65)이 견인함으로써 각각의 방열용 핀 성형체(31)가 이송 위치까지 이동된다.
컷오프 장치(60) 내에 있어서, 이송 장치(62)의 하류측에는 절단 장치(66)가 설치되어 있다. 절단 장치(66)는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있고, 각각의 방열용 핀 성형체(31)을 소정 치수(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방열용 핀(30)을 형성한다. 절단 장치(66)는 각각의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상면측에 배치된 상측 날(68)과, 각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하면측에 배치된 하측 날(69)을 가진다. 상측 날(68)과 하측 날(69)이 형 폐쇄함으로써, 각각의 방열용 핀 성형체(31)가 반송 방향에 있어서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제품으로서의 방열용 핀(30)이 제조된다. 컷오프 장치(60)의 하류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택부(100B)로서의 유지 장치(70)와, 제조된 방열용 핀(30)을 판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는 스택 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장치(70)는 컷오프 장치(60)의 하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으로 나온 반송 방향의 소요 길이로 절단되기 전의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장치(70)는 컷오프 장치(60)를 통과해온 절단 전의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폭 방향 단부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유지체(71)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유지체(71)는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길이 방향(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유지체(71)를 반송 방향에서 보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폭 방향 외측으로 함몰되는 오목부(74)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지 장치(70)는 아직 절단되기 전의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시점으로부터, 절단 장치(66)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방열용 핀(30)으로 형성된 후에도 유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유지체(71)는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측방 위치와,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 사이에서 서로 수평 방향으로 접리동 가능(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유지체(71)를 접리동시키기 위한 유지체 접리동 기구로서, 후술하는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유체 실린더(72)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이외의 도면에 있어서는 유체 실린더(72)의 표시를 생략한다).
스택 장치(80)는 스택 가이드체로서의 스택 블레이드(81) 및 스택 핀(SP)이 세워져 설치된 평판 형상의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와, 스택 블레이드(81)에 삽입통과된 복수매의 방열용 핀(30) 중 최하부의 방열용 핀(30)의 하면에 맞닿는 평판 형상의 핀 받이부(83)를 가지고 있다. 스택 핀(SP)은 방열용 핀(30)의 폭 방향 에 있어서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맞닿아, 핀 받이부(83)에 스택시킨 방열용 핀(30)의 평면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택 블레이드(81)는 방열용 핀(30)의 절결부(34)에 삽입통과 가능한 크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절결부(34)의 형상에 맞추어 제품의 폭 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된 박판 형상이다. 또 스택 블레이드(81)의 상단부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소위 입설(立設) 방향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슬래시 커트된 경사 선단부(81A)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평탄 선단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스택 블레이드(81)의 기부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품 측면 가이드(81B)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제품 측면 가이드(81B)는 핀 받이부(83)에 적층된 방열용 핀(30)의 측면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며, 방열용 핀(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 가장자리부에 근접 또는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핀 받이부(83)는 방열용 핀(30)을 적층시키기 위해서 상면이 평탄한 장방형 판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핀 받이부(83)에는 스택 블레이드(81) 및 제품 측면 가이드(81B)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93)과, 스택 핀(SP)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핀 회피부(96)가 각각의 평면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뚫려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택 블레이드(81), 제품 측면 가이드(81B), 및 스택 핀(SP)이 각각 세워져 설치된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도 핀 받이부(83)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로서의 팔레트(82A)와, 스택 블레이드(81)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82B)가 고정된 매거진(82C)을 가지고 있다. 또 스택 블레이드(81)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유지시킨 스페이서(82B)는 매거진(82C)을 통하여 팔레트(82A)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택 장치(80)에 있어서의 핀 받이부(83)와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는 각각 독립적으로 스택 블레이드(81)의 입설 방향을 따라 제1 이동 기구(84) 및 제2 이동 기구(8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이동 기구(84)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이동 기구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택 장치(80)의 핀 받이부(83)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기구(84)는 제1 서보 모터(84A), 제1 볼 나사(84B), 제1 타이밍 벨트(84C), 승강 플레이트(84D)를 가지고 있다. 제1 볼 나사(84B)는 스택 블레이드(81)의 입설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타이밍 벨트(84C)는 제1 서보 모터(84A)의 출력축(84E)에 부착된 제1 타이밍 풀리(84F)와, 제1 볼 나사(84B)의 일단부에 부착된 제1 종동 타이밍 풀리(84G) 사이에 걸쳐져 있다. 승강 플레이트(84D)는 제1 볼 나사(84B)에 나사결합시킨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핀 받이부(83)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트(84D)는 제1 볼 나사(84B)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볼 나사(84B)의 축선 방향을 따라(스택 블레이드(81)의 입설 방향을 따라) 핀 받이부(83)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이동 기구(84)는 핀 받이부(83)의 길이 방향(방열용 핀 성형체(3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핀 받이부(83)를 승강시킬 때에 있어서 핀 받이부(83)의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서로의 제1 이동 기구(84)의 동작이 동기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기구(85)는 제2 서보 모터(85A), 제2 볼 나사(85B), 제2 타이밍 벨트(85C), 승강대(85D)를 가지고 있다. 제2 볼 나사(85B)는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의 하측 위치에 있어서 스택 블레이드(81)의 입설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타이밍 벨트(85C)는 제2 서보 모터(85A)의 출력축(85E)에 부착된 제2 타이밍 풀리(85F)와 제2 볼 나사(85B)의 일단부에 부착된 제2 종동 타이밍 풀리(85G) 사이에 걸쳐져 있다. 승강대(85D)는 횡방향 단부가 제2 볼 나사(85B)에 각각 나사결합시킨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상방향 단부가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에 부착되어 있다. 승강대(85D)는 제2 볼 나사(85B)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볼 나사(85B)의 축선 방향을 따라(스택 블레이드(81)의 입설 방향을 따라)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이동 기구(85)는 제1 이동 기구(84)의 동작과는 독립 및 동기시킨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있다. 또한 제2 이동 기구(85)와 제1 이동 기구(84)의 동작을 동기시킬 때는, 서로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상대 위치가 유지된 상태)가 되도록 각각의 동작이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또 제2 이동 기구(85)의 구성은 생략 가능하며, 제2 이동 기구(85)를 생략함으로써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가 고정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2 이동 기구(85)를 가짐으로써, 유지체(71)로부터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방열용 핀(30)의 대량 적층 수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2 이동 기구(85)를 가짐으로써, 낙하 가이드 핀(59)을 회피한 상태에서 팔레트(82A)를 교환(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들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이동 기구(85)를 가짐으로써 방열용 핀(30)의 적층 수집 작업이 효율화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장치(70)로부터 스택 장치(80)에 방열용 핀(30)을 전달할 때에 있어서 방열용 핀(30)의 낙하를 가이드하는 낙하 가이드 장치(56)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낙하 가이드 장치(56)는 낙하 가이드체로서의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 및 낙하 가이드 핀(59)과,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로서의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 이동부(58)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는 스택 블레이드(81)와 마찬가지로 경사 선단부(57A)를 가지는 블레이드체로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34) 중 어느 하나에 삽입통과 가능한 평면 위치에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택 블레이드(81)가 삽입통과되어 있는 절결부(34)와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가 삽입통과되는 절결부(34)는 동일한 절결부(34)일 필요는 없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된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는 유지 장치(70)의 상방 위치에 배열설치된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 이동부(58)에 의해 유지 장치(70)의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 가능(스택 장치(80)를 향하여 접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 이동부(58)로서 유체 실린더를 채용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 이동부(58)에 의한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의 승강 동작은 동작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또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의 측방 위치에는 낙하 가이드 핀(59)이 매달려 설치되어 있다. 낙하 가이드 핀(59)은 방열용 핀 성형체(31)(방열용 핀(30))의 폭 방향 양단 가장자리 부분(측면)에 외주면이 맞닿는 위치 또는 맞닿기 직전의 위치에 배열설치되어 있고, 유지체(71)에 형성된 퇴피부(96) 부분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낙하 가이드 핀(59)은 유지체(71)에 삽입통과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선단부 소요 범위가 가는 직경부로 형성되어 있다. 낙하 가이드 핀(59)의 하단부 위치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의 하단부 위치보다 하방 위치 또한 스택 핀(SP)의 선단부와 높이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낙하 가이드 핀(59)과 같이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에 이웃하는 위치에 배열설치함으로써,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와 낙하 가이드 핀(59)에 의한 방열용 핀(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밀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71)를 매달아 유지하고 있는 가대(MT)에 매달려 설치된 스트리퍼(92)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트리퍼(92)는 가대(MT)로의 부착부(92A), 가대(MT)로부터의 현수부(92B) 및 방열용 핀(30)과의 맞닿음부(92C)를 가지는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리퍼(92)는 방열용 핀(30)의 바로 위의 위치에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맞닿음부(92C)가 유지되도록 현수부(92B)의 길이가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리퍼(92)에 의해, 방열용 핀(30)에 삽입통과되어 있던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가 퇴피할 때, 방열용 핀(30)이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와 함께 올라가도 맞닿음부(92C)의 위치에서 방열용 핀(30)을 분리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특징적인 동작인 유지 장치(70)와 스택 장치(8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택 장치(80)가 도 6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부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대기 위치로 옮겨질 때는, 동작 제어부(90)는 제1 이동 기구(84)를 작동시켜 핀 받이부(83)만을 스택 블레이드(81)를 따라 상승시킨다(적층 수집 개시 대기). 그리고 스택 장치(80)에 방열용 핀(30)을 스택시키기 위한 동작이 개시되면, 동작 제어부(90)가 제1 이동 기구(84)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이동 기구(84)에 더해 제2 이동 기구(85)를 동기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고 있다. 즉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받이부(83)의 상면으로부터의 스택 블레이드(81)와 스택 핀(SP)의 돌출량을 유지시키면서 핀 받이부(83)와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를 방열용 핀(30)의 수취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있다(제1 처리).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컷오프 장치(60)의 반송 유닛(64)을 작동시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컷오프 장치(60)의 절단 장치(66)로부터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소요 길이 통과시킨다(제2 처리). 또한 도 12에 있어서의 일점쇄선은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패스 라인(한 쌍의 유지체(71)로부터 방열용 핀(30)을 핀 받이부(83)에 전달하는 높이 위치)이다.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 이동부(58)를 작동시켜 한 쌍의 유지체(71)의 상방 위치로부터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를 한 쌍의 유지체(71)에 유지되어 있는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이 때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는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절결부(34)에 삽입통과됨과 아울러, 경사 선단부(57A)가 스택 블레이드(81)의 경사 선단부(81A)(상단부)에 맞닿기 직전까지 접근시키고 있다(제3 처리).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유지체(71)에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는 방열용 핀 성형체(31)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에 의해 또한 반송 방향에 있어서도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동작 제어부(90)가 절단 장치(66)를 작동시켜 방열용 핀 성형체(31)를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치수로 절단하여 방열용 핀(30)으로 개편화한다(제4 처리).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유체 실린더(72)를 작동시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지체(71)의 오목부(74)끼리를 서로 이반시킨다. 이 때, 낙하 가이드 핀(59)이 방열용 핀(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30)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다. 한 쌍의 유지체(71)가 서로 이반하면, 한 쌍의 유지체(71)에 유지시키고 있던 방열용 핀(30)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를 따라 평면 위치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낙하하고, 핀 받이부(83)의 스택 블레이드(81)에 절결부(34)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재치된다(제5 처리).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 이동부(58)를 작동시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를 한 쌍의 유지체(71)의 상방 위치로 퇴피시킨다(제6 처리). 또한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의 퇴피 위치는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패스 라인보다 상방 위치로서 새롭게 이송되는 방열용 핀 성형체(31)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 위치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부(9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처리와 동시에 한 쌍의 유지체(71)를 방열용 핀 성형체(31)가 유지 가능한 위치로 되돌리는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90)는 제6 처리의 실행시에 유체 실린더(72)를 작동시켜, 서로 이반하고 있는 한 쌍의 유지체(71)를 접근시켜 방열용 핀 성형체(31)의 유지 가능 위치로 되돌리고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작 제어부(90)는 서로 이반한 한 쌍의 유지체(71)를 방열용 핀 성형체(31)가 유지 가능한 위치로 되돌리는 처리를 제6 처리의 직전 또는 제6 처리의 직후에 실행할 수도 있다. 또 동작 제어부(90)는 서로 이반한 한 쌍의 유지체(71)를 방열용 핀 성형체(31)가 유지 가능한 위치로 되돌리는 처리를 후술하는 제7 처리를 실행한 후에 제8 처리로서 실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이동 기구(84)를 작동시켜, 핀 받이부(83)를 미리 설정한 높이로 하강시킨다(제7 처리). 핀 받이부(83)를 하강시키는 높이는 적층 대상이 되고 있는 방열용 핀(30)의 1매당의 높이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 장치(70)로부터 핀 받이부(83)로의 방열용 핀(30)의 낙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90)는 제5 처리와 동시 또는 그 직전 혹은 제5 처리 후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방열용 핀(30)의 적층 매수의 카운터값(방열용 핀(30)의 적층 개시시에 수치가 0으로 리셋되어 있음)에 1을 더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는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비교 대상값과 적층 매수의 카운터값의 비교를 행하는 처리(적층수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 비교 대상값>적층 매수의 카운터값일 때는, 동작 제어부(90)는 제2 처리로 되돌아가는 처리를 실행하고, 적층수 확인 처리까지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적층수 확인 처리에 있어서 비교 대상값=적층 매수의 카운터값이 되었을 때는 다음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동작 제어부(90)는 도시하지 않는 스택 장치 이동 기구에 의해 방열용 핀(30)의 적층체, 핀 받이부(83),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를 적층체 인도 위치로 이동시키는 처리(적층체 취출용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도시하지 않는 적층체 취출 장치에 의해 방열용 핀(30)의 적층체를 스택 장치(80)로부터 취출하는 처리(적층체 취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기억부의 적층 매수의 카운터값을 0으로 리셋한 후, 스택 장치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스택 장치(8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처리(스택 장치 복귀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택 장치 복귀 처리는 별체의 핀 받이부(83),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를 부착하는 처리로 치환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동작 제어부(90)는 제1 이동 기구(84)를 작동시켜, 핀 받이부(83)를 적층 개시 기준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처리(대기 상태 이행 처리)를 실행하고, 계속해서 제1 처리 이후의 처리를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복 실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스택 장치(80)의 초기 상태로부터 핀 받이부(83)를 상승시켜 대기 상태 이행 처리로 하고 있지만, 대기 상태 이행 처리 후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의 구성에 의하면, 방열용 핀(30)을 스택 장치(80)에 적층 수용할 때는, 중량물인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열용 핀(30)의 적층 수용시에 있어서의 스택 장치(80)의 전기 에너지 소비량이 삭감되어, 운전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핀 받이부(83)에 방열용 핀(30)이 적층된 후에는, 핀 받이부(83)는 하강 동작만을 행하므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방열용 핀(30)의 적층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는 스택 장치(80)가 방열용 핀(30)을 하방측으로부터 마중나가지 않는 형태이므로, 스택 핀(SP)의 위치 결정 기능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택 핀(SP)을 굵게 할 수 있고, 스택 핀(SP)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스택 장치(80)에 적층 수용한 방열용 핀(30)의 적층체를 안정적인 상태에서 핸들링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또 한 쌍의 유지체(71)로부터 핀 받이부(83)로의 방열용 핀(30)의 전달은 가급적 적은 낙차로 낙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와 스택 블레이드(81), 낙하 가이드 핀(59)과 스택 핀(SP)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방열용 핀(30)을 스택 장치(80)에 적층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는 미가공의 금속제의 박판(10)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용 핀(30)을 병렬시켜 제조했으므로 열간 슬릿 장치(52)를 가지는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늘고 긴 띠형상체로 형성된 금속제의 박판(10)을 사용하고, 박판(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방열용 핀(30)을 1개 취하는 형태를 채용한 경우에는, 열간 슬릿 장치(52)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의 구성으로부터 제2 이동 기구(85)의 구성을 생략한 경우,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82)는 완전히 고정되어, 가이드체 유지부(82)의 상승 동작을 없앨 수 있다. 이 형태를 채용한 경우, 제1 처리에 있어서는 제1 이동 기구(84)만이 작동하고, 핀 받이부(83)만이 방열용 핀(30)의 수취 높이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스택 장치(8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기 에너지 소비량이 더욱 삭감되어, 운전 비용의 추가적인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낙하 가이드체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와 낙하 가이드 핀(59)을 가지고 있지만, 낙하 가이드 핀(59)의 구성은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체(71)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유지체(71)는 적어도 폭 방향 외측으로 함몰되는 오목부(74)로서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는 형태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면 L자형이나 단면 C자형으로 형성된 유지체(71)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 설명한 유지체(71)는 금속 띠형상체(11)의 송출 방향으로 연속된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방열용 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요 길이로 형성된 복수 세트의 한 쌍의 유지체(71)를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열설치한 형태로 해도 된다. 유지체(71)끼리의 배열설치 간격 부분에 낙하 가이드 핀(59)이 진입하도록 배치하면, 낙하 가이드 핀(59)을 유지체(71)에 간섭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는 유지체(71)의 접리동 수단으로서 유체 실린더(72)를 채용하고 있지만, 유지체(71)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유체 실린더(72)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이동 기구(84) 및 제2 이동 기구(85)로서 제1 서보 모터(84A), 제2 서보 모터(85A)와 이들의 출력축(84E, 85E)에 제1 타이밍 풀리(84F), 제2 타이밍 풀리(85F)와 제1 타이밍 벨트(84C), 제2 타이밍 벨트(85C)를 통하여 연결된 제1 볼 나사(84B), 제2 볼 나사(85B)를 채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이동 기구(84)(및 제2 이동 기구(85))에 대해서도 이상에 설명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낙하 가이드 핀(59)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가 진입하는 절결부(34)의 길이 방향 연장선 상의 위치에서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에 기설시킨 상태에서 배열설치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57)와 낙하 가이드 핀(59)이 동일한 절결부(34)의 길이 방향 연장선 상 위치가 아닌 위치에 배치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한 각종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한 방열용 핀 제조 장치(100)의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9)

  1. 재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미가공의 금속제의 박판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방열용 핀 성형체로 하는 금형 장치가 설치된 프레스 장치와,
    상기 프레스 장치로의 상기 박판의 공급, 및 상기 프레스 장치로부터의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반출을 행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방열용 핀으로 하는 컷오프 장치와,
    상기 컷오프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컷오프 장치의 반송처측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측방 위치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유지 위치 사이에서 서로 접리동 가능하며,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 및 상기 방열용 핀을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체, 및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접리동시키는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가지는 유지 장치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방열용 핀을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유지 장치의 하방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기 방열용 핀에 삽입통과되는 스택 가이드체가 세워져 설치된 스택 가이드체 유지부, 상기 스택 가이드체에 삽입통과된 복수매의 상기 방열용 핀 중 최하부의 상기 방열용 핀의 하면에 맞닿는 핀 받이부, 및 상기 핀 받이부를 상기 스택 가이드체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택 장치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상방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통과 가능한 평면 위치에 배열설치된 낙하 가이드체, 및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상기 스택 장치를 향하여 접리동시키는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가지는 낙하 가이드 장치와,
    적어도 상기 컷오프 장치, 상기 유지 장치, 상기 스택 장치, 및 상기 낙하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유지체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 가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상기 방열용 핀의 수취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 처리와,
    상기 반송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컷오프 장치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상기 소정 길이에 걸쳐 통과시키는 제2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에 의해 유지된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으로 절단될 때까지,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하단부를 상기 스택 가이드체의 상단부에 접근시키는 제3 처리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소정 치수로 절단시키는 제4 처리와,
    상기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이반시킴으로써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따라 상기 방열용 핀을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하는 제5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이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된 후,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상기 하단부를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상방 위치로 퇴피시키는 제6 처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미리 설정한 높이로 하강시키는 제7 처리
    를 각각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유지체가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 가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송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컷오프 장치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상기 소정 길이에 걸쳐 통과시키는 제1 처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상기 방열용 핀의 수취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2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에 의해 유지된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으로 절단될 때까지,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의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하단부를 상기 스택 가이드체의 상단부에 접근시키는 제3 처리와,
    상기 컷오프 장치에 의해 상기 방열용 핀 성형체를 소정 치수로 절단시키는 제4 처리와,
    상기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이반시킴으로써 상기 낙하 가이드체를 따라 상기 방열용 핀을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하는 제5 처리와,
    상기 한 쌍의 유지체로부터 상기 방열용 핀이 상기 핀 받이부에 재치된 후,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낙하 가이드체의 상기 하단부를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상방 위치로 퇴피시키는 제6 처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핀 받이부를 미리 설정한 높이로 하강시키는 제7 처리
    를 각각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6 처리를 실행한 이후에, 상기 유지체 접리동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한 쌍의 유지체를 상기 유지 가능 위치로 되돌리는 제8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8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제1 처리로 되돌아가, 상기 제1 처리 내지 상기 제8 처리를 미리 설정한 횟수에 걸쳐 반복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처리와 상기 제2 처리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가이드체는,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키는 스택 블레이드와 상기 방열용 핀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맞닿는 스택 핀을 가지고,
    상기 낙하 가이드체는, 상기 절결부에 삽입통과시키는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로서,
    상기 낙하 가이드체 이동부가 상기 낙하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기 스택 장치를 향하여 접리동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가이드체는, 상기 방열용 핀의 외측단 가장자리와 맞닿음 가능하게,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된 낙하 가이드 핀을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가이드체가 상기 스택 장치로부터 이반될 때에 있어서, 상기 방열용 핀이 함께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리퍼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핀 제조 장치.
KR1020237034665A 2021-06-14 2021-06-14 방열용 핀 제조 장치 KR20230155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2556 WO2022264223A1 (ja) 2021-06-14 2021-06-14 放熱用フィン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557A true KR20230155557A (ko) 2023-11-10

Family

ID=8427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665A KR20230155557A (ko) 2021-06-14 2021-06-14 방열용 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31573A1 (ko)
JP (1) JP7180929B1 (ko)
KR (1) KR20230155557A (ko)
CN (1) CN117295567A (ko)
WO (1) WO2022264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3900B (zh) * 2023-12-27 2024-03-19 南京允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卷料自动冲孔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2736A1 (ja) 2019-01-21 2020-07-30 日高精機株式会社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733A (ja) * 1997-03-24 1998-10-06 Toshiba Corp 切断積層装置
JP5594674B2 (ja) * 2012-10-03 2014-09-24 日高精機株式会社 スタック装置及び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2736A1 (ja) 2019-01-21 2020-07-30 日高精機株式会社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0929B1 (ja) 2022-11-30
US20240131573A1 (en) 2024-04-25
CN117295567A (zh) 2023-12-26
JPWO2022264223A1 (ko) 2022-12-22
WO2022264223A1 (ja)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863B1 (ko)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장치
JP7006994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KR101471135B1 (ko) 스택 장치 및 편평한 튜브용 핀의 제조 장치
KR101525562B1 (ko) 열교환기용 핀의 제조 장치
US9120191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lattened tube fins
JP5522419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JP5505913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CN107206555B (zh) 扁平管用翅片的取出装置
KR20230155557A (ko) 방열용 핀 제조 장치
JP5445875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および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金型と金属帯状体の送り装置
JP5382823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CN117753886A (zh) 堆叠装置
JP2013128977A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KR20240043669A (ko)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