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669A -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 Google Patents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669A
KR20240043669A KR1020230093586A KR20230093586A KR20240043669A KR 20240043669 A KR20240043669 A KR 20240043669A KR 1020230093586 A KR1020230093586 A KR 1020230093586A KR 20230093586 A KR20230093586 A KR 20230093586A KR 20240043669 A KR20240043669 A KR 20240043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lat tube
holder
fin
meta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바바
케이이치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6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과제] 프레스 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체의 꺼내기가 가능하고, 집적체에 편평 튜브를 삽입할 때, 집적체의 자세 변경이 생략가능한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편평 튜브용 핀(20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배치에서 절결부(210)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배열설치된 복수의 핀 홀더(92), 핀 홀더(92)의 아래 쪽에서 위쪽으로 뻗은 핀 이재 플레이트(93), 이재 플레이트 홀더(94),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핀 홀더(92)의 연장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을 구비하는 핀 이재 기구(96)가 소요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설치되어 있고, 핀 이재 기구(96)는 편평 튜브용 핀(200)이 핀 홀더(92)에 매달린 후, 편평 튜브용 핀(200)을 핀 홀더(92)에 미리 설정된 일시 집적부(97)에 집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이다.

Description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FLATTENED TUBE FIN STACKER APPARATUS}
본 발명은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용 편평 튜브를 삽입시키는 절결부(切欠部)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을 수평방향으로 집적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등에 있어서의 열교환기는, 냉매를 유통시키기 위한 냉매관에 방열용 핀을 복수매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 중, 냉매관이 편평하게 형성된 것이 있고, 이러한 편평 튜브에는, 핀의 폭방향으로 절결부가 형성된 편평 튜브용 핀이 이용되고, 절결부에 편평 튜브가 삽입된다. 이러한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 장치(스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특허 제700699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으로 판두께 방향으로 편평 튜브용 핀이 집적(적층)되어 있다. 그러나, 집적시킨 편평 튜브용 핀에 냉매관인 편평 튜브를 삽입할 때에는, 특허문헌 2(일본특허 제7037207호 공보)의 실시형태와 같이, 편평 튜브와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체는 수평방향으로 세팅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일본특허 제7006994호 공보(명세서 단락 0048-0049, 도 5 등) 일본특허 제7037207호 공보(명세서 단락 0005, 0041, 도 15 내지 도 18 등)
편평 튜브용 핀은 프레스 장치에 의해 프레스 가공된 후에 반송 장치로 반송되고, 반송 장치로부터 중력의 작용에 의해 집적 장치로 전달된다. 즉 편평 튜브용 핀은 판두께 방향(높이 방향)으로 집적된다. 집적 장치에 소정 매수의 편평 튜브용 핀이 집적되면, 프레스 장치를 일시 정지시킨 후, 집적체 및 집적 장치와, 빈 집적 장치와의 교체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고, 집적체의 꺼내기에 따른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 정지 시간이 길어지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집적된 편평 튜브용 핀(집적체)에 편평 튜브를 삽입할 때에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집적체의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자세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수고가 많이 드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즉, 프레스 장치를 일시 정지시키지 않고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체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며, 집적체에 편평 튜브를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집적체의 자세 변경을 생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자가 예의 연구한 결과, 아래의 구성에 상도(想到)하였다. 즉 본 발명은, 프레스 장치에 의해 프레스 가공되어, 열교환기용의 편평 튜브가 삽입되는 절결부를 가진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를 반송 장치를 따라 반송시킨 후,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를 제품길이로 자른 편평 튜브용 핀을 상기 반송 장치로부터 낙하시킨 후에 집적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로서,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배치임과 아울러 상기 절결부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배열설치된 핀 홀더가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설치되어 있고,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핀 홀더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을 따라 상기 핀 홀더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뻗은 핀 이재(移載) 플레이트와, 상기 핀 이재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이재 플레이트 홀더와, 상기 이재 플레이트 홀더를 상기 핀 홀더의 연장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를 구비하는 핀 이재 기구가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길이 방향으로 소요(所要)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설치되어 있고, 상기 핀 이재 기구는,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이 상기 핀 홀더에 매달린 후,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을 상기 핀 홀더 내에 미리 설정된 복수 개소에 일시 집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이다.
이것에 의해, 프레스 장치를 일시 정지시키지 않고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체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며, 집적체에 편평 튜브를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집적체의 자세 변경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는, 복수개마다의 반송그룹으로 그룹분할되어 있고, 상기 핀 이재 기구는,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이 상기 핀 홀더에 매달린 후,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을 상기 반송그룹의 폭방향 외측 위치에 미리 설정된 개소에 일시 집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편평 튜브용 핀을 일시 집적할 때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의 이동 거리를 적게 할 수 있고,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홀더의 최하류 개소에 일시 집적된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 매수가 미리 설정한 매수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최하류 개소에 집적된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을 외부로 반출하는 핀 반출체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체를 최하류 위치부터 순차적으로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홀더에 매달린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상단부에 맞닿는 위치 또는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둔 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상면을 덮음과 아울러, 상기 핀 이재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핀 홀더를 따라 이동하는 핀 가이드체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핀 홀더를 따라 편평 튜브용 핀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를 슬라이드(slide)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편평 튜브용 핀이 핀 홀더로부터의 들뜨기 등으로 대표되는 핀 홀더로부터의 일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의 상방 위치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의 상기 절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핀 홀더의 상단면에 맞닿거나 대면하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승강가능한 낙하 가이드체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낙하 가이드체는, 상기 반송 장치로 보내진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를 제품길이로 자르기 전에 상기 절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핀 홀더의 상단면에 맞닿거나 대면하는 위치까지 하강하고,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가 제품길이로 잘린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이 상기 핀 홀더에 낙하한 후에 상기 반송 장치의 상방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반송 장치로부터 편평 튜브용 핀을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에 확실하게 집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프레스 장치를 일시 정지시키지 않고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체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며, 집적체에 편평 튜브를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집적체의 자세 변경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띠 형상체의 요부(要部)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 및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우측면도(도 1 중의 화살표 V에서 본 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화살표 Ⅵ에서 본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반송 장치의 요부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지는 반송 장치의 요부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지는 반송 장치의 요부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편평 튜브용 핀을 반송 장치로부터 핀 홀더로 옮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상태에 대응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이어지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를 포함한 편평 튜브용 핀 제조 장치(100)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제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공급부(10), 프레스 장치(20), 이송 기구(30), 열간 슬릿 장치(40), 루프 서포터(50), 집적 이송 장치(60), 컷오프 장치(70), 반송 장치(80),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 및 동작 제어부(101)을 구비하고 있다. 편평 튜브용 핀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편평 튜브용 핀(200)의 집적체(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는 코어 조립 장치(400)로 대표되는 하류측 공정으로 배출된다.
재료 공급부(10)는 언코일러(12)와 루프 컨트롤러(14)와 NC 피더(6)를 가지고 있다. 열교환기용의 편평 튜브용 핀(200)의 재료인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대표되는 금속제 박판(11)은 언코일러(12)에 코일 형상으로 감겨 있다. 언코일러(12)로부터 인출된 박판(11)은 루프 컨트롤러(14)의 내부에 삽입되어,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박판(11)의 덜컹거림이 억제되어 있다. 루프 컨트롤러(14)의 하류측에는, NC 피더(6)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NC 피더(6)는 박판(11)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는 2개의 롤러를 가지고 있고, 이들 롤러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박판(11)을 판두께 방향으로 끼워넣어 프레스 장치(20)로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있다. NC 피더(6)는 동작 제어부(101)에 의해 프레스 장치(20)의 금형 장치(22)에 있어서의 상형과 하형 (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이격을 개시하고 나서 상형과 하형이 맞닿을 때까지의 사이에 박판(11)을 프레스 장치(20)로 송출하도록 동작제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스 장치(20)에는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진 금형 장치(22)가 내장되어 있다. 상형과 하형은 적어도 한 쪽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금형 구동부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쪽을 향해서 접촉/분리이동(接離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박판(11)은 금형 장치(22)에 의해 프레스 가공되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정 형상의 금속띠 형상체(201)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는 금속띠 형상체(201)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일부 범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띠 형상체(201)를 제품폭으로 분할하여 얻어지는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는 편평 튜브(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삽입되는 절결부(210)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있고, 절결부(210)과 절결부(210)의 사이에는 루버(220)을 가진 판형상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루버(220)의 폭방향의 양단측에는, 박판(11)을 잘라세워(切起) 형성한 개구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1개의 루버(220)에 대한 2개의 개구부(240) 중, 한쪽의 개구부(240)는 판형상부(230)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240)의 도면 중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에 편평 튜브용 핀(200)을 집적할 때에 집적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평 튜브용 핀(200)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잘라세움부(cut-and-raised portion)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10)는 편평 튜브용 핀(200)의 폭방향의 한 쪽에서 다른 쪽을 향해 형성되고 있고, 폭방향의 한 쪽만 개구되어 있다. 절결부(210)와 절결부(210) 사이의 복수의 판형상부(230)는 길이 방향(반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뻗어 있는 연결부(2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개구부(240) 중 나머지 하나가 이 연결부(25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띠 형상체(201)에는, 폭방향으로 24개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가 같은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스 장치(20)에 의해 형성된 금속띠 형상체(201)는 프레스 장치(20)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배열설치된 이송 기구(30)에 의해 반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보내진다. 이송 기구(30)는 소위 히치(hitch) 이송 기구가 채용되어 있고, 반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왕복이동 유닛(32)이 NC 피더(6)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부(101)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장치(20)의 금형 장치(22)에 있어서의 상형과 하형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이격을 개시하고 나서 상형과 하형이 맞닿을 때까지의 사이에 왕복이동 유닛(32)이 초기 위치와 송출 위치 사이를 1회 왕복하도록 동작이 제어되어 있다. 왕복이동 유닛(32)의 상면에는, 금속띠 형상체(201)의 절결부(210)나 개구부(240)에 금속띠 형상체(201)의 저면측에서 진입하는 이송 핀(34)이 입설(立設)되어 있다. 이송 핀(34)의 선단부는 반송방향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면(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금속띠 형상체(201)의 저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왕복이동 유닛(32)이 초기 위치에 있는 사이에 금속띠 형상체(201)가 프레스 장치(20)로부터 송출되면, 공지의 기구에 의해 이송 핀(34)이 금속띠 형상체(201)의 절결부(210)나 개구부(240)로 진입한다. 그리고 왕복이동 유닛(32)이 반송방향 하류측의 송출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이송 핀(34)에 의해 금속띠 형상체(201)가 송출 위치까지 견인된다. 왕복이동 유닛(32)이 반송방향 상류측의 초기 위치로 돌아갈 때에는, 이송 핀(34)은 공지의 기구에 의해 절결부(210)나 개구부(240)로부터 퇴피(退避)시킨 상태에서 왕복이동 유닛(32)을 초기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송 기구(30)의 하류측에는 열간 슬릿 장치(40)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열간 슬릿 장치(40)는 금속띠 형상체(201)의 상면측에 있어서 반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윗날 및 아랫날로 이루어진 절단날(42)과 도시되어 있지 않은 링크부를 가지고 있다. 절단날(42)은 금속띠 형상체(201)에 형성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를 개편화(個片化)하는 위치(여기서는 금속띠 형상체(201)의 폭방향의 23개소)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링크부는 프레스 장치(20)의 접촉/분리이동 동작을 동력원으로 하여 절단날(42)을 소요 타이밍으로 접촉/분리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날(42)의 접촉/분리이동 동작이 금형 장치(22)에 있어서의 상형과 하형의 접촉/분리이동 동작과 동위상이 되도록 링크부에 의해 동작 변환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절단날 구동기구에 의해 절단날(42)을 접촉/분리이동시키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하날 구동기구는 동작 제어부(101)에 의해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송 기구(30)에 의해 열간 슬릿 장치(40)로 보내진 금속띠 형상체(201)는 절단날(42)에 의해 편평 튜브용 핀(200)의 제품폭과 동일 폭 치수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로 개편화된다.
열간 슬릿 장치(40)에 의해 금속띠 형상체(201)로부터 개편화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는 각각이 열간 슬릿 장치(40)의 하류측에 배열설치된 루프 서포터(50)에 의해 휘어짐량이 조정되어, 반송방향 하류측이 끝이 벌어지도록 반송되어 있다. 루프 서포터(50)는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저면을 지지하고, 반송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금속띠 형상체(201)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분할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휘어짐량이 최다이고, 폭방향 양단부분에 접근함에 따라 각각의 위치에서 분할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휘어짐량이 점점 감소하도록 루프 서포터(50)의 높이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루프 서포터(50)을 배열설치함으로써,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이 반송방향 하류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끝이 벌어지는 형상으로 반송되더라도, 각각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에 있어서의 절결부(210)의 반송방향 위치를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루프 서포터(50)에 의해 끝이 벌어지는 형상으로 반송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는 집적 이송 장치(60)에 공급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4개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를 1개의 반송그룹(600)으로 한 6개의 반송그룹(600)으로 그룹분할된다. 서로 이웃하는 반송그룹(600)은, 폭방향으로 일시 집적부(97)로 되는 소요 간격이 배열설치된 상태에서 집적 이송 장치(60)로부터 컷오프 장치(70) 및 반송 장치(80)로 공급된다. 집적 이송 장치(60)로부터 반송된 반송그룹(600)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는 컷오프 장치(70)를 소요 길이(편평 튜브용 핀(200)의 제품 길이)로 통과하고, 반송 장치(80)의 유지체(82)에 유지된 상태로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집적 이송 장치(60)에 설치된 이송 장치의 동작은, 이송 기구(30)의 동작과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부(101)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있다.
컷오프 장치(70)에는 고정날 및 가동날과 가동날 구동기구(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날 구동기구는 동작 제어부(101)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형 장치(22)에 있어서의 상형과 하형의 접촉/분리이동 동작과 동위상으로 가동날이 고정날에 접촉/분리이동하도록 가동날 구동기구의 동작이 제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저면측에 고정날을 배열설치하고,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상면측에 가동날을 배열설치하고 있지만, 고정날과 가동날의 배열설치 위치가 반대인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8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 튜브용 핀(200)의 폭방향 양단부의 외측으로부터 서로 접촉/분리이동하는 유지체(82), 유지체 구동부(84), 낙하 가이드 핀(86), 낙하 가이드체(87) 및 낙하 가이드 구동부(88)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체(82)은 L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편평 튜브용 핀(200)의 폭방향 양단부를 소요 폭부분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있고, 유지체 구동부(84)에 의해 근접 상태와 이격 상태 사이에서 접촉/분리이동한다.
낙하 가이드 핀(86)은 유지체(82)에 형성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관통구멍을 관통하는 부분이 세경부(細徑部)에 형성되어 있고, 세경부의 측주면(側周面)이 유지체(82)에 유지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길이 방향측단(側端) 가장자리의 한 쪽에 맞닿음가능한 위치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낙하 가이드체(87)는 유지체(82)에 유지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의 절결부(210)의 바로 위 위치이며 근접상태의 2개의 유지체(82)의 사이를 통과가능한 위치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낙하 가이드 구동부(88)는 낙하 가이드 핀(86)과 낙하 가이드체(87)를 같은 타이밍으로 승강시키는 것이며, 유체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지체 구동부(84) 및 낙하 가이드 구동부(88)의 동작은 집적 이송 장치(60), 컷오프 장치(70) 및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의 동작에 동기하도록 동작 제어부(101)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있다.
반송 장치(80)의 하방 위치에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이하, 집적 장치(90)라고 한다)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집적 장치(90)는, 도 5∼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91), 핀 홀더(92), 핀 이재 플레이트(93), 이재 플레이트 홀더(94) 및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폭방향으로 배열설치된 2개의 베이스(91)와, 베이스(91) 위에 소요 간격을 두고 걸쳐서 놓인 6개의 핀 홀더(92)와, 각각의 핀 홀더(92)의 한 쪽의 기립면(起立面)을 따라 배열설치된 6매의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6매의 핀 이재 플레이트(93)를 유지하는 이재 플레이트 홀더(94) 및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에 의해 1유닛의 핀 이재 기구(96)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 튜브용 핀(200)의 길이 방향으로 4유닛의 핀 이재 기구(96)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베이스(91)는 편평 튜브용 핀(200)의 반송방향을 따라 배열설치된 24개의 반송 장치(80)의 폭방향 양단부보다도 외방측 위치에 배열설치되고 있고, 도 5의 좌측부분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베이스(91)와 좌측단(佐端)에 위치하는 반송 장치(80)와의 사이에는 일시 집적부(97)가 설치되어 있다. 핀 홀더(92)는 편평 튜브용 핀(200)의 절결부(210)에 진입가능한 폭치수로 형성되어, 반송 장치(80)에 반송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의 절결부(210)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반송 장치(80)의 반송방향으로 수평방향에 직교하는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요 간격으로 배열설치된 2개의 핀 홀더(92)를 1조로 하여, 베이스(91)의 길이 방향(반송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3조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2개의 핀 홀더(92) 중 반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핀 홀더(92)에는 반송방향 하류측면을 따라 핀 이재 플레이트(93)가 배열설치되고, 반송방향 상류측에 있어서의 핀 홀더(92)에는 반송방향 상류측면을 따라 핀 이재 플레이트(93)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핀 이재 플레이트(93)는 6매를 1조로 하여 이재 플레이트 홀더(94)에 유지되어 있다.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는 핀 홀더(92)가 걸쳐서 놓인 방향(핀 홀더(92)의 연장 방향: 도 5 및 도 6의 가로방향)의 7개소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7개소에 배열설치된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는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에 부착되어 있다.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로서는,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체 실린더(95A)와,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핀 홀더(92)의 연장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직동장치(95B)를 예시할 수 있다.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직동장치(95B)는 어느 반송그룹(600)에 대응시킨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배출방향 하류측에 이웃하는 반송그룹(600)에 대응시킨 이재 플레이트 홀더(94)의 당초 위치보다도 배출방향 하류측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당초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왕복이동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핀 홀더(92)를 따라 핀 이재 플레이트(93)를 반송그룹(600)의 폭범위 정도의 거리를 이동시키고, 핀 홀더(92)에 유지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200)을 일시 집적부(97)까지 반송함으로써, 단시간에 다음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받아들이는 상태로 할 수 있다.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동작은 집적 이송 장치(60), 컷오프 장치(70) 및 반송 장치(80)의 동작에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부(101)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집적 장치(90)로의 편평 튜브용 핀(200)의 집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재료공급부(10)로부터 집적 이송 장치(60)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동작은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집적 이송 장치(60)로부터 6개의 반송그룹(600)으로 그룹분할된 상태에서 컷오프 장치(70) 및 반송 장치(80)로 송출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는 루프 서포터(50)에 의해 반송방향의 특정 개소의 절결부(210)의 위치가 위치맞춤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가 컷오프 장치(70)를 통과하여 반송 장치(80)에 있어서의 근접상태의 2개의 유지체(82)에 의해 유지된 후, 동작 제어부(101)는 낙하 가이드 구동부(88)를 작동시켜서, 낙하 가이드 핀(86)과 낙하 가이드체(87)를 소정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 가이드 핀(86)의 선단부 측면이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폭방향끝 가장자리에 맞닿음과 아울러, 낙하 가이드체(87)가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복수 개소의 절결부(210)에 삽입되어,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가 반송방향 및 폭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로 된다. 또한, 낙하 가이드체(87)의 하단부는 핀 홀더(92)의 상단면과 맞닿게 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동작 제어부(101)는 컷오프 장치(70)를 작동시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를 제품길이로 잘라서 편평 튜브용 핀(200)으로 개편화한다.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가 편평 튜브용 핀(200)으로 개편화된 후, 동작 제어부(101)는 유지체 구동부(84)를 작동시켜 유지체(82)를 편평 튜브용 핀(200)의 폭방향 외측 위치까지 이격시킨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 튜브용 핀(200)은 유지체(82)로부터 낙하하게 된다. 이 때, 낙하 가이드체(87)와 핀 홀더(92)가 동일 직선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낙하 가이드 핀(86)에 의해 폭방향의 흔들림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핀 홀더(92)를 낙하 가이드체(87)가 삽입통과되어 있던 절결부(210)에 진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핀 홀더(92)로 옮겨진 편평 튜브용 핀(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210)의 개구부측이 아래쪽으로 된 상태(유지체(82)에 유지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90도 회전한 상태)로 핀 홀더(92)에 유지된다.
유지체(82)가 편평 튜브용 핀(200)의 폭방향 외측 위치까지 이격하고, 편평 튜브용 핀(200)이 핀 홀더(92)에 유지된 후(유지체(82)의 이격 완료로부터 소요 시간 경과후), 동작 제어부(101)는 유지체 구동부(84)를 작동시켜 유지체(82)를 근접상태로 되돌림과 아울러, 낙하 가이드 구동부(88)를 작동시켜 낙하 가이드 핀(86)과 낙하 가이드체(87)를 도 8에 나타낸 윗쪽 위치(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반송에 방해가 되지 않는 높이의 초기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를 집적 장치(90)의 범위로만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상태로 된 후, 동작 제어부(101)는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유체 실린더(95A)를 작동시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상승시킨 후,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홀더(92)에 있어서의 각각의 반송그룹(600)의 범위에 유지되어 있는 4매의 편평 튜브용 핀(200)을 배출측(도 14 중의 좌측)에 이웃하는 반송그룹(600)과의 사이에 미리 설치된 각각의 일시 집적부(97)에 일시 집적시킨다. 그 후 동작 제어부(101)는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유체 실린더(95A)를 작동시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초기 위치로 하강시킴과 아울러,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즉, 동작 제어부(101)는 근접상태의 유지체(82)를 이격시키고 나서 다시 근접상태로 될 때까지의 사이에, 도 12에서 도 16에 도시된 상태까지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일시 집적부(97)에 집적가능한 편평 튜브용 핀(200)의 매수는 미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최소한의 일시 집적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
집적 이송 장치(60)에 의한 반송 장치(80)로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공급 동작은 반송 장치(80) 및 집적 장치(90)의 동작과도 동기하고 있다. 먼저 공급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 장치(90)의 일시 집적부(97)에 집적된 후, 동작 제어부(101)는 컷오프 장치(70)를 통과시킨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를 반송 장치(80)에 있어서의 근접상태의 2개의 유지체(82)에 의해 유지시키도록 집적 이송 장치(60)를 작동시킨다. 그 후, 동작 제어부(101)는, 도 8∼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급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에 대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여 편평 튜브용 핀(200)으로 개편화하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홀더(92)에 편평 튜브용 핀(200)을 추가로 유지시킨다.
핀 홀더(92)에 편평 튜브용 핀(200)이 추가로 유지된 후, 동작 제어부(101)는 전번의 타이밍과 동일하게 하여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유체 실린더(95A)를 작동시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상승시킨 후,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홀더(92)의 각각의 반송그룹(600)의 범위에 유지되어 있는 4매의 편평 튜브용 핀(200)을 각각의 일시 집적부(97)에 일시 집적시킨다. 그 후 동작 제어부(101)는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유체 실린더(95A)를 작동시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초기 위치로 하강시킴과 아울러,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95)의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 플레이트 홀더(94)를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이상의 동작을 되풀이함으로써, 24매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로 이루어진 금속띠 형상체(201)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집적 장치(90)로 집적한 경우, 각각의 일시 집적부(97)에 일시 집적되는 편평 튜브용 핀(200)의 매수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중(圖中)의 우측으로부터 4매, 8매, 12매, 16매, 20매, 24매로 수렴한다. 반출방향에 있어서의 최하류 개소인 도중(圖中)의 좌측단(佐端)의 일시 집적부(97)에 집적된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핀 반출체로서의 반출 레일(500)에 의해 반출되어, 다음 공정인 코어 조립 장치(400)에 공급된다. 일시 집적부(97)로부터 반출 레일(500)로의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배출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출 장치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집적 장치(90)를 구비하는 편평 튜브용 핀 제조 장치(100)에서는 프레스 장치(20)를 작동시킨 채로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를 편평 튜브용 핀 제조 장치(10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는 수평방향으로 편평 튜브용 핀(200)이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 공정인 코어 조립 장치(400)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자세 변경이 불필요하게 되는 점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제2 실시형태)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 부호를 명세서 및 도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의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핀 집적 장치(90)는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가 핀 홀더(92) 위를 이동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핀 가이드체(98)를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핀 가이드체(98)는 핀 홀더(92)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상면에 맞닿아서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상면을 덮는 평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핀 가이드체(98)는 핀 이재 플레이트(93)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에 의해 역L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핀 가이드체(98)는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핀 이재 플레이트(93)와는 독립적으로 배열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핀 이재 플레이트(93)에 핀 가이드체(98)가 일체화된 구성을 채용한 경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핀 집적 장치(90)의 동작이 복잡해진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핀 집적 장치(9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핀 홀더(92) 위의 편평 튜브용 핀(200)을 일시 집적부(97)에 집적시킨 후, 직동장치(95B)에 의해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도중(圖中)의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동작 제어부(101)는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서 핀 가이드체(98)의 선단 위치가 일시 집적부(97)에 집적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동작 제어부(101)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실린더(95A)를 작동시켜서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상승시킨다. 동작 제어부(101)는 핀 가이드체(98)의 하면이 핀 홀더(92)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200)의 상단부에 맞닿는 위치로 될 때까지 유체 실린더(95A)를 신장시키고 있다.
다음에 동작 제어부(101)는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장치(80)로부터 공급(낙하)되는 편평 튜브용 핀(200)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도중(圖中)의 좌측(송출측)으로 이동시킨다.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의 이동이 완료된 후, 동작 제어부(10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장치(80)로부터 편평 튜브용 핀(200)을 핀 홀더(92)에 공급(낙하)시킨다. 다음에 동작 제어부(10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도중(圖中)의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핀 홀더(92)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를 가이드하면서 일시 집적부(97)로 송출한다. 다음에 동작 제어부(101)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일시 집적부(97)에 집적한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도중(圖中)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동작 제어부(101)는 유체 실린더(95A)를 작동시켜서,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직동장치(95B)를 작동시켜서 도 21에 나타낸 위치까지 핀 이재 플레이트(93)와 핀 가이드체(98)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26에 나타낸 상태로 되는 사이에 동작 제어부(101) 또는 오퍼레이터가 핀 홀더(92)의 좌측단 위치의 일시 집적부(97)에 집적된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를 반출 레일(500)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송출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도 2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26에 나타낸 상태가 반복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핀 가이드체(98)에 의해 핀 홀더(92)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상단부를 핀 홀더(92)을 향해 가볍게 가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핀 홀더(92)를 따라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편평 튜브용 핀(200)이 핀 홀더(92)로부터 들뜨는 등의 핀 홀더(92)로부터의 일탈이 방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를 구비한 편평 튜브용 핀 제조 장치(100)에 대해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띠 형상체(201)에는 24개의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가 형성되어 있지만, 금속띠 형상체(201)에 형성되는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개수는 복수개면 되고, 구체적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송그룹(600)의 수는 금속띠 형상체(201)에 형성된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갯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80)는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길이 방향의 전범위를 따라 유지체(82)를 배열설치하고 있지만,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요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유지체(82)가 배열설치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유지체(82)는 L자형 단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202)를 유지할 수 있으면, 역ㄷ자형 등의 다른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90)는 편평 튜브용 핀(200)의 길이 방향으로 4유닛의 핀 이재 기구(96)가 배열설치되어 있지만, 1개의 핀 이재 기구(96)로 편평 튜브용 핀(200)을 반출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핀 홀더(92)의 상류측면 또는 하류측면의 한쪽 면에만 평판 형상의 핀 이재 플레이트(93)가 배열설치되어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핀 이재 플레이트(93)는 핀 홀더(92)를 끼워넣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핀 가이드체(98)는 핀 홀더(92)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상면에 맞닿아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핀 가이드체(98)는 핀 홀더(92)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는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상면과 조금 이격시킨 위치에서 편평 튜브용 핀(200)과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의 상면을 덮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핀 홀더(92)의 일시 집적부(97)에 있어서 집적된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를 도 25에 나타낸 상태와 도 26에 나타낸 상태 사이에서 반출 레일(500)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송출하고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핀 홀더(92)의 일시 집적부(97)에 있어서 집적된 편평 튜브용 핀 집적체(300)는, 도 24에 나타낸 상태와 도 25에 나타낸 상태 사이에서 반출 레일(500)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송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변형예끼리 적절히 조합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6)

  1. 프레스 장치에 의해 프레스 가공되어, 열교환기용의 편평 튜브가 삽입되는 절결부를 가진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를 반송 장치를 따라 반송시킨 후,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를 제품길이로 자른 편평 튜브용 핀을 상기 반송 장치로부터 낙하시킨 후에 집적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로서,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배치임과 아울러 상기 절결부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배열설치된 핀 홀더가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설치되어 있고,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핀 홀더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을 따라 상기 핀 홀더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뻗은 핀 이재 플레이트와, 상기 핀 이재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이재 플레이트 홀더와, 상기 이재 플레이트 홀더를 상기 핀 홀더의 연장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레이트 홀더 이동 구동부를 구비하는 핀 이재 기구가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길이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설치되어 있고,
    상기 핀 이재 기구는,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이 상기 핀 홀더에 매달린 후,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을 상기 핀 홀더 내에 미리 설정된 복수 개소에 일시 집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는 복수개마다의 반송그룹으로 그룹분할되어 있고,
    상기 핀 이재 기구는,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이 상기 핀 홀더에 매달린 후,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을 상기 반송그룹의 폭방향 외측 위치에 미리 설정된 개소에 일시 집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 홀더의 최하류 개소에 일시 집적된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집적 매수가 미리 설정한 매수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최하류 개소에 집적된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을 외부로 반출하는 핀 반출체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홀더에 매달린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상단부에 맞닿는 위치 또는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둔 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의 상면을 덮음과 아울러, 상기 핀 이재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핀 홀더를 따라 이동하는 핀 가이드체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의 상방 위치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의 상기 절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핀 홀더의 상단면에 맞닿거나 대면하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승강가능한 낙하 가이드체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가이드체는, 상기 반송 장치로 보내진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를 제품길이로 자르기 전에 상기 절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핀 홀더의 상단면에 맞닿거나 대면하는 위치까지 하강하고, 상기 제품폭 금속띠 형상체가 제품길이로 잘린 상기 편평 튜브용 핀이 상기 핀 홀더에 낙하한 후에 상기 반송 장치의 상방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KR1020230093586A 2022-09-27 2023-07-19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KR20240043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53951 2022-09-27
JP2022153951A JP7442856B1 (ja) 2022-09-27 2022-09-27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集積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669A true KR20240043669A (ko) 2024-04-03

Family

ID=9009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586A KR20240043669A (ko) 2022-09-27 2023-07-19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42856B1 (ko)
KR (1) KR20240043669A (ko)
CN (1) CN1177728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94U (ja) 1993-06-30 1995-01-3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ドアロック機構
JPH0737207U (ja) 1992-08-21 1995-07-11 コーポレーション 4,エス.エー. 医療用腕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4033B2 (ja) 2015-07-08 2019-08-28 日高精機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フィンへの扁平チューブ挿入装置
KR102429690B1 (ko) 2019-01-21 2022-08-05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 장치
JP7037207B2 (ja) 2020-05-28 2022-03-16 日高精機株式会社 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207U (ja) 1992-08-21 1995-07-11 コーポレーション 4,エス.エー. 医療用腕輪
JPH076994U (ja) 1993-06-30 1995-01-3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ドア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72883A (zh) 2024-03-29
JP7442856B1 (ja) 2024-03-05
JP2024048090A (ja) 202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052B1 (ko)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 장치
KR101437863B1 (ko)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장치
KR101525562B1 (ko) 열교환기용 핀의 제조 장치
JP3836147B2 (ja) カミソリ刃の製造
KR101471135B1 (ko) 스택 장치 및 편평한 튜브용 핀의 제조 장치
US10112273B2 (en) Apparatus for taking out flattened tube fins
JP5522419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KR101471132B1 (ko) 편평한 튜브용 핀의 제조 장치
US4751807A (en) Automatic transfer system
CN113165049B (zh) 扁平管用翅片的制造装置
JP5505913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KR20240043669A (ko) 편평 튜브용 핀 집적 장치
US6276513B1 (en) Workpiece handling device
JP6808071B2 (ja) フィン製造装置及びフィン製造方法
JP2024046810A (ja) スタック装置
JP5382823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CN111918731B (zh) 翅片制造装置以及翅片制造方法
JPH11254045A (ja) 金属製短片材の成形方法及び金属製短片材の成形装置
JPS62110826A (ja) 熱交換器用チユ−ブの分配装置
JPH0890332A (ja) ジッパー刃加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