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579A -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 Google Patents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579A
KR20230122579A KR1020237017614A KR20237017614A KR20230122579A KR 20230122579 A KR20230122579 A KR 20230122579A KR 1020237017614 A KR1020237017614 A KR 1020237017614A KR 20237017614 A KR20237017614 A KR 20237017614A KR 20230122579 A KR20230122579 A KR 2023012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kin care
care products
fiber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미 오야마
타이라 오모리
토모코 타카노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04H1/4258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9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에의 밀착성 및 피부에 부착된 화장료의 닦아냄성이 뛰어나고, 또한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뛰어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킨 케어용 부직포는 합성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로서, 상기 합성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를 A, 최대폭을 B라고 할 때, 하기 (1)식에 나타내는 편평도가 1.0∼1.5이고, 편평도=A/B ···(1)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깊이가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1.0% 이상 10.0% 이하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합성 섬유의 단사 섬도가 1㎛ 이상 20㎛ 이하이며, 상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30∼70질량%이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70∼30질량%이며,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 이상 20㎛ 이하이다.

Description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본 발명은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직포는 보액성이나 감촉을 살린 스킨 케어 제품의 용도로서, 그 수요를 계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그리고,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로 대표되는 시트 형상의 스킨 케어 제품은 약액의 피부에의 침투나, 화장료의 제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페이스 마스크는 일정 시간, 피부의 표면에 있어서 약액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종래의 스킨 케어와 비교하여, 약액을 충분히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클렌징 시트는 클렌징제에 의한 화장료의 제거의 효과와, 시트의 피부에의 접촉에 의한 화장료의 제거 효과의 쌍방으로부터, 높은 클렌징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뛰어난 성능으로부터, 시트 형상의 스킨 케어 제품으로서, 다양한 상품이 제안되어 있다.
최근에는 공공 형상이 폐쇄형인 단면 형상의 이형 단면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 부직포를 사용한 대인용 청식용, 미용용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리고, 특허문헌 1에는 상기의 대인용 청식용, 미용용 부직포가 피부에의 자극이 적음과 동시에 닦아냄성이 양호한 것이 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엽 편평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 부직포를 사용한 대인용 청식용이나 미용용의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피부에의 자극이 적음과 동시에 닦아냄성이 양호한 것이 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섬유 단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또는 잘록부를 갖는 합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사용한 액체 함침 피부 피복 시트용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그리고, 특허문헌 3에는 상기의 액체 함침 피부 피복 시트용 부직포가 양호한 밀착성을 나타내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9-79320호 공보 국제공개 2014/13269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9-170756호 공보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직포(이하, 공지 부직포 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공공 형상이 폐쇄형인 단면 형상의 이형 단면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지 부직포 1을 사용한 대인용 청식용, 미용용 부직포는 상기의 이형 단면 섬유의 단면 형상에서 유래하여, 피부에의 자극이 적음과 동시에 닦아냄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공지 부직포 1이 포함하는 이형 단면 섬유의 편평도가 크고, 또한, 이형 단면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이 클 경우, 공지 부직포 1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공지 부직포 1을 대인용 청식용, 미용용 부직포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불충분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부직포(이하, 공지 부직포 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대해서도, 공지 부직포 1과 마찬가지의 과제가 존재한다. 즉, 공지 부직포 2가 포함하는 다엽 편평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편평도가 크고, 또한, 다엽 편평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오목부의 깊이가 클 경우, 공지 부직포 2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공지 부직포 2를 대인용 청식용, 미용용 부직포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불충분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부직포(이하, 공지 부직포 3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섬유 단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또는 잘록부를 갖는 합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지 부직포 3을 사용한 액체 함침 피부 피복 시트용 부직포는 양호한 밀착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예를 들면 공지 부직포 3이 포함하는 합성 섬유의 편평도가 크고, 또한,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오목부의 깊이가 클 경우, 공지 부직포 3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공지 부직포 3을 액체 함침 피부 피복 시트용 부직포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불충분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피부에의 밀착성 및 피부에 부착된 화장료의 닦아냄성이 뛰어나고, 또한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뛰어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의 닦아냄성이란 습윤 상태에 있는 스킨 케어 제품의 닦아냄성을 말하며, 이하, 마찬가지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1) 합성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로서, 상기 합성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를 A, 최대폭을 B라고 할 때, 하기 (1)식에 나타내는 편평도가 1.0∼1.5이고,
편평도=A/B ···(1)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깊이가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1.0% 이상 10.0% 이하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20㎛ 이하이며, 상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30∼70질량%이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70∼30질량%이며,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2)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 이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3) 상기 합성 섬유의 JIS L1015 2010 8.7.1에 준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2.5∼3.2cN/dtex인 (1) 또는 (2)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4)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적층 부직포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층이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일방의 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층이 상기 합성 섬유를 상기 제 1 층 전체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제 1 층에 있어서의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0%이며,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15㎛이고, 또한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35%이고,
상기 제 1 층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얽혀 있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5)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갖는 페이스 마스크,
(6)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갖는 클렌징 시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에의 밀착성 및 피부에 부착된 화장료의 닦아냄성이 뛰어나고, 또한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뛰어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일 실시형태가 함유하는 합성 섬유의 단면 형상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합성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로서, 상기 합성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를 A, 최대폭을 B라고 할 때, 하기 (1)식에 나타내는 편평도가 1.0∼1.5이고,
편평도=A/B ···(1)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깊이가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1.0% 이상 10.0% 이하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20㎛ 이하이고, 상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30∼70질량%이며,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70∼30질량%이고,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우선, 이 합성 섬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소재 중에서도, 친수성이며, 습윤 상태에 있을 때에 합성 섬유가 팽윤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보다 유연한 것이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피부에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을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유에 의해,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소재에는 다른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되고, 안정제 등의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사용되는 합성 섬유는 상기 합성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를 A, 최대폭을 B라고 할 때, 상기 (1)식에 나타내는 편평도가 1.0∼1.5이고,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깊이가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1.0% 이상 10.0% 이하인 오목부를 갖는다. 또한, 이하,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한 상기 합성 섬유가 갖는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간단히 상기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편평도를 1.0∼1.5로 함으로써, 합성 섬유의 제사성(製絲性)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 있어서,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의 배향의 균일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에 의해, 편평도는 1.0∼1.4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3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 섬유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의 이유로부터 예리한 단부를 갖는 단면 형상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원형이다. 예리한 단부를 갖는 단면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4각형이나 6각형 등의 다각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합성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 A란, 합성 섬유의 섬유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상기 단면 형상의 외주 상의 어느 점부터 다른 점까지의 선분의 길이를 측정했을 때, 측정되는 최장의 선분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최대폭 B란 상기의 최대 길이 A의 선분(장축)에 직교하는 직선이, 섬유 단면의 외주와 교차하는 2개의 교점을 연결하는 선분 중, 그 길이가 최대가 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합성 섬유의 편평도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화상을 촬영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 있어서,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가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을 따라,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 사이의 마찰 계수가 높아진다. 그리고, 그 결과,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한편으로,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10.0% 이하로 함으로써, 합성 섬유 표면의 평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을 사용할 때에, 피부에 주는 자극이나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은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일 실시형태가 함유하는 합성 섬유의 단면의 형상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섬유의 단면(1)은 1개의 오목부(2)를 갖고 있다.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란, 도 1에 나타내는 오목부(2)의 최심점(3)으로부터 단면(1)의 외접원(4)으로 내린 수선(외접원(4)의 접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선) 중, 단면(1)의 중심점(N)과는 대략 반대의 방향으로 내린 수선(6)과 외접원(4)의 접점(5)과, 최심점(3) 사이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L)이다. 또한,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고, 동일 사진 내에서,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L)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의 오목부는 합성 섬유의 측면에 있어서도, 섬유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병행인 방향으로 선상의 형태로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의 오목부는 연속된 선상 형태의 것, 불연속의 선상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즉, 그 장단에 관계없이, 이른바 선상의 형태이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는 사용하는 폴리머의 종류에 적합한 통상의 방법으로 방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그 때, 토출 구멍의 형상이나 방사 조건을 적절히 조정하여,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단면 형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면, 알칼리 감량에 의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표면으로부터 무기계 미립자를 탈락시킴으로써, 섬유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지만, 이 형태에서는 상기의 무기계 미립자의 일부가 탈락하지 않고 섬유 표면에 잔류할 가능성이 있고, 그리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을 사용할 때에, 피부에 주는 자극이나 촉감이 저하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가 아니다. 따라서 합성 섬유에 있어서의 무기계 미립자의 함유량은 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함유시킨다고 해도 피부에의 자극이나 촉감 저하를 초래하지 않을 정도, 예를 들면 0.1질량% 이하에 머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은 1.0% 이상 10.0% 이하이기 때문에, 상기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서는, 이 합성 섬유가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을 따라,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 사이의 마찰 계수가 향상된다. 그리고, 그 결과,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 사이의 마찰 계수를 평가하는 수법으로서는, 거칠기/마찰감 테스터(카토 테크사제 KES-SESRU)를 사용하여 측정한 동마찰 계수 평균값(MIU)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의 표면에의 밀착성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되고, 스킨 케어 제품의 닦아냄성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된다고 하는 관점에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동마찰 계수 평균값(MIU)은 0.05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6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7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는 편평도가 1.0∼1.5이기 때문에, 상기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서는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의 배향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은 1.0% 이상 10.0% 이하이기 때문에, 상기 합성 섬유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되고, 상기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을 사용할 때에, 피부에 주는 자극이나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상기 스킨 케어 제품이 피부에 주는 자극이나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으로, 상기 합성 섬유의 오목부가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을 따라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 사이의 마찰 계수가 높아진다. 그리고, 그 결과, 스킨 케어 제품이 뛰어난 밀착성이나 닦아냄성도 구비한 것이 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을 갖는 한편으로 뛰어난 밀착성이나 닦아냄성도 구비하는 상기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 특성을 평가하는 수법으로서는, 거칠기/마찰감 테스터(카토 테크사제 KES-SESRU)를 사용하여, 동마찰 계수 평균값(MIU), 동마찰 계수 평균값의 변동(MMD), 표면 거칠기 평균값의 표준 편차(SMD)의 값을 측정하고, 다음 식(2)에 의해 산출한 표면 특성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된다고 하는 관점에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표면 특성은 2.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다.
표면 특성=MIU/(MMD×SMD)···(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는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20㎛ 이하이다.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스킨 케어 제품의 취급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하한은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단섬유 직경을 20㎛ 이하로 함으로써, 합성 섬유가 강직한 것이 되는 것을 억제하고,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 있어서,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가 피부의 미세한 요철에 의해 고도로 추종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한층 더 뛰어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상한은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킨 케어 제품이 피부에 추종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의 사용시에 있어서, 페이스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존재하는 요철(사용자의 코끝부터 볼에 걸친 부위 등)을 따라 부착되는 성능을 말한다. 여기서,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란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단면 사진으로부터 합성 섬유의 단면의 면적을 측정하고, 상기 단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진원의 직경으로 한다.
또한,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20% 이하임으로써,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균일한 것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의 평활성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의 상한은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된다. 한편,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화상을 촬영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의 인장 강도는 2.5∼3.2cN/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강도가 2.5∼3.2cN/dtex로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합성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한층 더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의 인장 강도는 JIS L1015 2010 8.7.1에 준해서 측정되는 인장 강도이다.
본 발명의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30∼70질량%이다. 합성 섬유는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특정한 비율의 오목부를 갖기 때문에, 상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을 30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 있어서,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가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을 따라,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 사이의 마찰 계수가 높아진다. 그리고, 그 결과,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특정한 비율의 오목부를 가짐으로써 섬유 표면의 평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의 하한은 4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합성 섬유의 함유량을 7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이 커지고,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과 보액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섬유로서는 펄프나 면 등의 식물계 천연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아세테이트나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유에 의해, 레이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은 70∼30질량%이다.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을 70∼30질량%로 함으로써, 스킨 케어 제품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보액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의 하한은 4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하, 평균 단섬유 직경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5㎛ 이상 20㎛ 이하이다. 평균 단섬유 직경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강도를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생산성 및 사용시의 취급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평균 단섬유 직경을 20㎛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유연성이 뛰어난 것이 되기 때문에,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을 사용자의 피부의 미세한 요철을 따르도록 유연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져, 이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에의 추종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한층 더 뛰어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상한은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전체적으로 균질의 부직포 구성이어도 되지만, 두께 방향으로 구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을 갖는 이른바 적층 부직포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제 1 층 및 제 2 층을 구비하는 적층 부직포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층이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일방의 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층이 상기 합성 섬유를 상기 제 1 층의 전체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제 1 층에 있어서의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0%이며,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15㎛이고, 또한,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35%이고, 상기 제 1 층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얽혀 있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상기 제 1 층에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작은 상기 합성 섬유를, 상기 제 1 층 전체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의 평활성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 있어서, 스킨 케어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합성 섬유가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을 따라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스킨 케어 제품과 피부 사이의 마찰 계수가 높아진다. 그리고, 그 결과,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특정한 비율의 오목부를 가짐으로써 섬유 표면의 평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스킨 케어 제품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의 상한은 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의 하한은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층, 제 2 층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의 함유량, 각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 및 단섬유 직경의 편차 등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과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특정한 범위 내임으로써,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끼리의 사이에 적당한 공극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유연한 것이 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유연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의 상한은 1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지만, 그 상한은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층과 제 2 층은 얽힘으로써, 일체화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된다고 하는 관점에서, 상기의 적층 부직포 구조를 갖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상기 제 2 층의 일방의 면에 상기 제 1 층을 배치한 2층 적층 부직포 구조(제 1 층/제 2 층)나, 상기 제 2 층의 양방의 면에 상기 제 1 층을 배치한 3층 적층 부직포 구조(제 1 층/제 2 층/제 1 층)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8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5g/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g/m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위 면적당 중량을 80g/m2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그 결과로서,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JIS L1913:2010 6.2에 근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단섬유 직경이 20㎛ 이상인 합성 섬유나, 합성 섬유나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합성 섬유나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비단이나 양모 등의 동물계 천연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JIS L1913:2010.6.3.2에 준하여 측정되는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이 5.0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의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이란,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진행 방향(이하, MD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과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진행 방법과 대략 수직인 방향(이하, CD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의 평균값이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상기의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이 5.0N/25mm 이하의 범위 내임으로써,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유연한 것이 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유연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이 향상된다. 밀착성 및 닦아냄성이 뛰어난 것이 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보다 유연한 것이 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 및 닦아냄성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된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은 4.0N/2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N/2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N/25mm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에서는 이 셀룰로오스 섬유가 섬유 내부로 약액을 끌어들이기 때문에, 약액이 공기 중으로 휘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본 스킨 케어 제품의 보액성이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본 스킨 케어 제품의 닦아냄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의 보액성을 평가하는 수법으로서는 JIS L1906:2010 3.흡수성에 근거하여, 표준 상태에서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질량의 값과,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증류수를 10분간 함침시킨 후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질량의 값을 사용하여 산출한 흡수 배율로 평가할 수 있다. 스킨 케어 제품의 닦아냄성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된다고 하는 관점에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흡수 배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건식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 부직포로 함으로써, 습식 부직포에 비해 부직포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고, 부직포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로서,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건식 부직포 중에서도 스판레이스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판레이스 부직포는 고압 수류에 의해 구성 섬유를 얽히게 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데, 이 방법은 니들 펀치에 의해 구성 섬유를 얽히게 하는 방법에 비해, 얽힘시의 구성 섬유의 실 끊김이 적고, 부직포 표면의 평활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뛰어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얻어진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고압 수류를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표리면으로부터 복수 회 분사함으로써,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흡수성이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합성 섬유의 흡수성과 비교해서 뛰어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섬유의 얽힘성이 합성 섬유의 얽힘성과 비교해서 향상되고, 셀룰로오스 섬유가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내부에 우선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결과로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표리면에 합성 섬유가 우선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닦아냄성,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의 고압 수류를 분사하는 횟수는 합계로 5회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압은 1∼3회째 분사시에 1∼1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4회째 이후에는 10∼15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을 구비하는 적층 부직포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은 각각 단독으로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한 후에,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을 적층하여, 고압 수류에 의해 일체화시켜 적층 부직포 구조로 해도 되고, 카딩 공정을 거친 후의 (얽힘 전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힘, 일체화시켜, 적층 부직포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힘, 일체화시킬 경우에는 고압 수류를 적층 섬유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각각 1∼5회씩 분사하여, 합계 5회 이상 분사함으로써 실시해도 된다. 수압은 1∼3회째 분사시에서 1∼1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4회째 이후에는 10∼15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적층 부직포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제 1 층을 구성하는 섬유와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그 경계는 서서히 바뀌어 가는 것이어도 되며, 명확한 것이 아니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화장수나 미용액, 혹은 클렌징제 등의 약액을 침지시킴으로써, 스킨 케어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스킨 케어 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나 스킨 케어 시트, 눈가용 마스크, 클렌징 시트(통상의 클렌징 시트 외에, 포인트 메이크업용 클렌징 시트 등도 포함한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측정법을 후술한다.
(1) 섬유의 단섬유 직경,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및 편평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면에 수직으로 절단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로부터 박절편을 잘라내고, 이 박절편의 단면에 Pt-Pd(백금-팔라듐) 합금을 진공 증착하여 증착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이 증착체에 포함되는 부직포의 단면 부분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히타치 하이테크사제 SU3800형)으로 관찰하고, 이 관찰 범위로부터 무작위로 10군데 추출하고, 배율 1,000배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다음에, 동일 사진 내에서, 오목부를 갖는 합성 섬유를 무작위로 10개씩 추출하고, 총100개의 합성 섬유에 대해, 단섬유 직경과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의 편평도를 측정하고, 단섬유 직경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 편평도를 구하였다.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1.0% 이상 10.0% 이하인 오목부의 깊이를 갖고, 편평도가 1.0∼1.4,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20㎛ 이하인 섬유를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로 하였다. 한편,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다.
1)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
상기 (1)에서 추출한 총100개의 합성 섬유의 개개의 단섬유 직경을 측정하고, 얻어진 총100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으로 하였다. 또한, 합성 섬유가 이형 단면 형상인 경우에는 단면 사진으로부터 섬유의 단면적을 측정하고, 상기의 단면적으로부터 진원 직경으로 환산함으로써,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으로 하였다.
2) 섬유의 편평도
상기 (1)에서 추출한 총100개의 합성 섬유에 대해,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 A와 최대폭 B를 측정하고, 편평도를 다음 (1)식에 의해 구하고, 얻어진 총100개의 산출값의 평균값을 합성 섬유의 편평도로 하였다.
편평도=A/B···(1)
3)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 및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상기 (1)에서 추출한 총100개의 합성 섬유에 대해, 배율 5,000배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다음으로, 동일 사진 내에서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도 1에 예시하는 선분(L)의 길이에 해당하는 오목부의 깊이)를 측정하고, 얻어진 총100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합성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로 하였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란, 도 1을 사용하여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고,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경우에는 길이가 최대인 것을 합성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에서 측정한 동일 섬유에 있어서의 단섬유 직경과 오목부의 깊이로부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다음 식(3)에 의해 구하고, 얻어진 100개의 산출값의 평균값을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로 하였다.
합성 섬유 C의 단섬유 직경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합성 섬유 C의 오목부의 깊이(선분(L)의 길이)/합성 섬유 C의 단섬유 직경×100(%)···(3)
(2)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에서 측정한 합성 섬유의 개개의 단섬유 직경의 값을 사용하여, 다음 식(4)에 의해,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산출하였다.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 CV%)=(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표준 편차/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평균값)×100(%)···(4)
(3)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합성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그 밖의 섬유의 소재와 함유량의 특정
JIS L1030-1:2012 「섬유 제품의 혼용률 시험 방법-제 1 부: 섬유 감별」, 및 JIS L1030-2:2012 「섬유 제품의 혼용률 시험 방법-제 2 부: 섬유 혼용률」에 근거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상기 (1)에서 특정한 합성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그 밖의 섬유를 감별하고, 소재를 특정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소재를 특정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합성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그 밖의 섬유의 정량 혼용률(표준 상태에 있어서의 각 섬유의 질량비)을 측정하고, 이것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합성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그 밖의 섬유의 함유량(질량%)으로 하였다.
(4) 적층 부직포 구조인 것의 특정
강제 자와 면도기 날을 사용하여, 시료로부터 50mm×50mm의 시험편을 얻었다. 다음으로, 2개의 핀셋을 준비하고, 2개의 핀셋 중 일방의 핀셋으로 상기 시험편의 일방의 면의 표면 근방부를 잡고, 또한, 2개의 핀셋 중 타방의 핀셋으로 상기 시험편의 타방의 면의 표면 근방을 잡고, 2개의 핀셋을 상기 시험편의 양방향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시험편을 2장의 시트 형상의 분리 시험편으로 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2장의 분리 시험편이 얻어진 경우, 각 분리 시험편에 대해 상기 조작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반복 실시하였다. 상기 조작의 반복은 상기 조작에 의해 분리 시험편이 얻어지지 않게 될 때까지 반복 실시하였다. 여기서, 분리 시험편이 얻어진 시료는 적층 부직포인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분리 시험편이 적층 부직포가 갖는 각 층에 상당한다.
(5) 제 1 층 및 제 2 층인 것의 특정
상기 (4)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리 시험편의 각각에 대해서, 이하의 방법으로 제 1 층 및 제 2 층인 것을 특정하였다.
1) 제 1 층인 것의 특정
상기 (4)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리 시험편의 각각에 대해, 분리 시험편의 핀셋으로 잡고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상기 (1)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오목부를 갖는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 단섬유 직경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편평도를 구하고, 합성 섬유가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1.0% 이상 10.0% 이하인 오목부의 깊이를 갖고, 편평도가 1.0∼1.4,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2)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구하고, 상기 (3)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합성 섬유의 함유량을 산출하고,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0%이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이 50질량% 이상인 분리 시험편을 제 1 층으로 하였다.
2) 제 2 층인 것의 특정
상기 (4)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리 시험편의 각각에 대해, 분리 시험편의 핀셋으로 잡고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상기 (1)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배율 1,000배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다음에, 동일 사진 내에서, 섬유를 무작위로 10개씩 추출하고, 총100개의 섬유에 대해 단섬유 직경을 측정하고, 얻어진 100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분리 시험편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2)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분리 시험편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측정하고, 평균 단섬유 직경이 5∼15㎛이며,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35%인 분리 시험편을 제 2 층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4)에서 분리 시험편이 얻어지지 않은 시료에 대해서도, 이하의 방법으로, 제 1 층 및 제 2 층인 것을 특정하였다.
3) 분리 시험편이 얻어지지 않은 시료에 있어서의 제 1 층 및 제 2 층의 특정
상기 (4)에서 분리 시험편이 얻어지지 않은 시료에 대해, 상기 (1)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배율 50배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다음에, 동일 사진 내에서, 각각의 층 구성의 경계가 육안으로 명확히 판별 가능할 경우에는 판별한 각각의 층에 대해서, 상기 (5)-1) 및 (5)-2)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제 1 층 및 제 2 층을 특정하였다.
또한, 상기의 단면사진에서, 층 구성의 경계를 육안으로 명확히 판별할 수 없을 경우에는 상기 (1)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일방의 표층으로부터 타방의 표층을 향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20군데 추출한 관찰 범위에 대해서, 배율 1,000배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다음에, 동일 사진 내에서, 상기 (1) 및 (2)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0%인 합성 섬유를 특정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3)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합성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그 밖의 섬유의 소재를 감별하고, 동일 사진 내에서 관찰되는 각각의 섬유의 개수와 비중으로부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을 산출하고, 합성 섬유의 함유량이 50질량% 이상인 단면 사진을 모두 특정하였다. 이어서, 이들 단면 사진의 관찰 범위를 포함하고,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면에 대략 평행한 영역을 제 1 층으로 하였다. 한편으로, 합성 섬유의 함유량이 50질량% 미만인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5)-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 2 층을 특정하였다.
(6)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
상기 (1)에서 촬영한 10장의 배율 1,000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단면 사진 내에서, 섬유를 무작위로 10개씩 추출하고, 총100개의 섬유의 단면적을 측정하고, 상기의 단면적으로부터 진원 직경으로 환산함으로써,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측정하고, 총100개의 단섬유 직경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으로 하였다. 또한, 적층 구조를 갖는 시료에 대해서는 측정 대상이 두께 방향으로 균등하게 추출되도록 단면 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 한다.
(7) 합성 섬유의 인장 강도
JIS L1015 2010 8.7.1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로부터 합성 섬유를 50개 채취하였다. 그 다음에,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있는 종이편에, 구분선을 만들어(공간 거리 20mm), 50개의 합성 섬유 중에서 1개씩 구분 내로 가볍게 당긴 상태에서 양단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고정하고, 구분마다를 1시료로 하였다. 다음으로, 1시료를 정속 신장 인장 시험기의 클램프에 부착하고, 상부 클램프의 근처에서 종이편을 절단하여, 측정하였다. 클램프 간격은 20mm로 하고, 20mm/min의 인장 속도로, 시료가 절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하여, 그 때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을 50개의 합성 섬유에 대해 행하였다. 50회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합성 섬유의 인장 강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섬유가 짧아, 클램프 간격 20mm로 시험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클램프 간격 10mm로 하고, 10mm/min의 인장 속도로, 시료가 절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하고, 그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8) 단위 면적당 중량
JIS L1913:2010 6.2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시료로부터 50mm×50mm의 시험편을, 강제 자와 면도기 날을 사용하여 3장 채취하였다. 표준 상태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하여, 단위 면적당 질량을 다음 식에 의해 구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ms=m/S
여기에, ms: 단위 면적당 질량(g/m2)
m: 시험편의 평균 중량(g)
S: 시험편의 면적(m2).
(9) 두께
JIS L1913:2010 6.1.2 A법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시료로부터 50mm×50mm의 시험편을, 강제 자와 면도기 날을 사용하여 5장 채취하였다. 두께 측정기(TECLOCK사제 정압 두께 측정기, 형식 PG11J)를 사용하여 표준 상태에서 시험편에 0.36kPa의 압력을 10초간 가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시험편(5장)에 대해 행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0)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동마찰 계수 평균값(MIU)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시료로부터, 폭 80mm, 길이 120mm의 시험편을 10장(MD 방향 측정용, CD 방향 측정용: 각 5장)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10장의 시험편 중 5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MD 방향에 대한 마찰 계수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들 10장의 시험편 중 나머지 5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CD 방향에 대한 마찰 계수의 측정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MD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시험편을 거칠기/마찰감 테스터(카토 테크사제 KES-SESRU)에 부착하여, SENS를 H(High), 거칠기 정하중을 10.0gf(98mN), SPEED를 1.0mm/sec, 측정 모드를 편도로 하여, FR-GU 단자가 20mm 이동하는 동안의 동마찰 계수 평균값(MIU)을 측정하고, 얻어진 총5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MD 방향의 마찰 계수로 하였다. 또한, CD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시험편을 거칠기/마찰감 테스터(카토 테크사제 KES-SESRU)에 부착하여, SENS를 H(High), 거칠기 정하중을 10.0gf(98mN), SPEED를 1.0mm/sec, 측정 모드를 편도로 하여, FR-GU 단자가 20mm 이동하는 동안의 동마찰 계수 평균값(MIU)을 측정하고, 얻어진 총5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CD 방향의 마찰 계수로 하였다. 얻어진 각 방향의 마찰 계수의 평균값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마찰 계수로 하였다.
(11)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표면 특성
상기 (10)과 마찬가지의 조건에 의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동마찰 계수 평균값의 변동(MMD), 표면 거칠기 평균값의 표준 편차(SMD)의 값을 측정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10)에서 측정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동마찰 계수 평균값(MIU)의 값과, 상기에서 측정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동마찰 계수 평균값의 변동(MMD), 표면 거칠기 평균값의 표준 편차(SMD)의 값으로부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표면 특성을 다음 식(2)에 의해 구하였다.
표면 특성=MIU/(MMD×SMD)···(2)
(12)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습윤시에 있어서의 10% 신장시 강력
JIS L1913:2010.6.3.2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시료로부터, 폭 25mm, 길이 150mm의 시험편을 10장(MD 방향 측정용, CD 방향 측정용: 각 5장)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10장의 시험편 중 5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MD 방향에 대한 습윤시에 있어서의 10% 신장시 강력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들 10장의 시험편 중 나머지 5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CD 방향에 대한 습윤시에 있어서의 10% 신장시 강력의 측정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MD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100mL의 증류수(수온: 20℃) 중에 시험편을 10분간 함침하고, 시험편을 증류수로부터 취출하고 나서 신속하게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 「AG-50kNG」)에 시험편을 부착하여 인장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시험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클램프 간격을 100mm로 하고, 200mm/min의 인장 속도로, 시험편이 절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하여, 시험편이 10% 신장할 때의 강력을 응력 변형 곡선으로부터 판독하고, 얻어진 총5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MD 방향의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으로 하였다. 또한, CD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100mL의 증류수(수온: 20℃) 중에 시험편을 10분간 함침하고, 시험편을 증류수로부터 취출하고 나서 신속하게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 「AG-50kNG」)에 시험편을 부착하여 인장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시험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클램프 간격을 100mm로 하고, 200mm/min의 인장 속도로, 시험편이 절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하고, 시험편이 10% 신장할 때의 강력을 응력 변형 곡선으로부터 판독하고, 얻어진 총5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CD 방향의 습윤시의 10% 신장시 강력으로 하였다. 얻어진 각 방향의 10% 신장시 강력의 평균값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10% 신장시 강력으로 하였다.
(13) 모니터 평가(참고 정보)
1) 제 1 회
[페이스 마스크]
실시예 1∼16 및 비교예 1∼9에서 얻어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를 제작하고,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를 화장수(무지루시 료힝 「화장수·민감 피부용 촉촉한 타입」)에 침지시키고,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화장수를 700질량%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그 다음에, 이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에 대해서 여성 패널 10명에 의해 각자의 절대 평가로 1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점(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으로부터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9∼10점
B: 6∼8점
C: 3∼5점
D: 0∼2점
[클렌징 시트]
실시예 1∼16 및 비교예 1∼9에서 얻어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고, 이 재단 부직포를 클렌징제(코세 코스메포트(주) 「화이트 클렌징 워터」)에 침지시켜, 재단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클렌징제를 700질량% 함유하는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그 다음에, 이 클렌징 시트를 아이라인에 부착된 화장료(시세이도(주) 「베네피크 세오티 스마트 리퀴드 아이라이너」)의 닦아냄성 및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 닦아냄시의 취급성에 대해서 여성 패널 10명에 의해 각자의 절대 평가로 1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점(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으로부터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9∼10점
B: 6∼8점
C: 3∼5점
D: 0∼2점.
2) 제 2 회
[페이스 마스크]
실시예 1∼31 및 비교예 1∼9에서 얻어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를 제작하고,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를 화장수(무지루시 료힝 「화장수·민감 피부용 촉촉한 타입」)에 침지시키고,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화장수를 700질량%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그 다음에, 이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에 대해서 여성 패널 10명에 의해 각자의 절대 평가로 1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점(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으로부터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9∼10점
B: 7∼8점
C: 5∼6점
D: 3∼4점
E: 0∼2점
[클렌징 시트]
실시예 1∼31 및 비교예 1∼9에서 얻어진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고, 이 재단 부직포를 클렌징제(코세 코스메포트(주) 「화이트 클렌징 워터」)에 침지시켜, 재단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클렌징제를 700질량% 함유하는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그 다음에, 이 클렌징 시트를 아이라인에 부착된 화장료(시세이도(주) 「베네피크 세오티 스마트 리퀴드 아이라이너」)의 닦아냄성 및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 닦아냄시의 취급성에 대해서 여성 패널 10명에 의해 각자의 절대 평가로 1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점(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으로부터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9∼10점
B: 7∼8점
C: 5∼6점
D: 3∼4점
E: 0∼2점.
(실시예 1)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5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2㎛) 5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이 웹을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3회(3MPa, 10MPa, 4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1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2㎛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2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5㎛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4)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20㎛,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5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4㎛) 30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단섬유 직경: 25㎛) 20질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8㎛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편평도를 1.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편평도를 1.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7.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9.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을 30질량%로 변경하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을 70질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을 70질량%로 변경하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을 30질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9㎛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인장 강도를 3.5cN/dtex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를, 나일론 6(N6)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1,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4.0%, 인장 강도: 4.9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9%)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3,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1%, 인장 강도: 5.8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6%)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1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1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23%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에 기재된 고압 수류 처리를 합계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1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8)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10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1 층의 웹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 섬유 3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7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3회(3MPa, 10MPa, 4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8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42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6%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8에 기재된 고압 수류 처리를, 합계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마찬가지로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8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42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6%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0)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7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3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1 층의 웹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 섬유 40질량%와, 상기의 레이온 섬유 6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2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48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6%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1)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5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5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1 층의 웹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 섬유 20질량%와, 상기의 레이온 섬유 8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32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68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1㎛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4%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2)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4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6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1 층의 웹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 섬유 60질량%와, 상기의 레이온 섬유 4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2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48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4%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9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9%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8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42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6%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9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8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42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6%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9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를 1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8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42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6%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층의 웹을 제작하였다. 또한,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5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55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단섬유 직경: 2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3%) 4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43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33질량%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함유량은 24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3㎛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27%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2㎛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층의 웹을 제작하였다. 또한,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4㎛,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60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단섬유 직경: 2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3%) 4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40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36질량%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함유량은 24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5㎛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9%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2㎛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층의 웹을 제작하였다. 또한,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5㎛,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50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단섬유 직경: 2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3%) 5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의 제 1 층의 웹과 제 2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40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30질량%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함유량은 30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7㎛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7%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2㎛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27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레이온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7과 마찬가지로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40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36질량%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함유량은 24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1㎛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31%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1㎛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29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2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마찬가지로 하여, 2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40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36질량%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함유량은 24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1㎛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36%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1㎛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31)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9㎛,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7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12㎛, 단섬유 직경의 편차: 11%) 3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1 층의 웹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 섬유 20질량%와, 상기의 레이온 섬유 80질량%를 오프너, 카드, 랩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 2 층의 웹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의 제 2 층의 웹의 표리면에 상기의 제 1 층의 웹을 적층하고,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여, 3층 적층 구성(제 1 층/제 2 층/제 1 층)을 갖는 단위 면적당 중량 50g/m2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고압 수류 처리는 이 웹의 표리면으로부터 기둥형 수류를 합계로 5회(3MPa, 6MPa, 9MPa, 12MPa, 13MPa) 분사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g/m2, 제 2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로 하였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량은 50질량%이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50질량%였다. 또한,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1㎛이고, 상기의 제 2 층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는 14%이며,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5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6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0.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카드 공정에서 실 끊김에 의한 낙면이나 침포에의 감김이 다발하여 웹을 얻을 수 없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제작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2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5㎛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을 3㎛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4㎛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4)
아크릴 섬유(단섬유 직경: 20㎛, 편평도: 1.2,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 5.6%, 인장 강도: 3.0cN/dtex, 단섬유 직경의 편차: 8%) 5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직경: 23㎛) 30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단섬유 직경: 25㎛) 20질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21㎛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편평도를 1.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0.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을 15.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0㎛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율을 20질량%로 변경하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율을 80질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1㎛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율을 80질량%로 변경하고, 레이온 섬유의 함유율을 20질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9㎛였다.
그 다음에,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타발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mm, 길이 55mm로 재단하여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여기서, 본 비교예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부직포 구성을 표 3에 정리하고, 이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물성 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여기서, 비교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제작할 수 없었다. 이것은 비교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사용한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실시예 1의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부직포 1)에 사용한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2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2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단섬유 직경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3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과 취급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과 취급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3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4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4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5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에 비해 다소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비교예 5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5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편평도가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편평도와 비교하여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6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6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이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7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7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이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비교예 8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도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8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율이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율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9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 및 클렌징 시트의 닦아냄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9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율이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아크릴 섬유의 함유율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1: 단면
2: 오목부
3: 최심점
4: 외접원
5: 외접원과의 접점
6: 수선
N: 중심점
L: 선분

Claims (6)

  1. 합성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로서,
    상기 합성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를 A, 최대폭을 B라고 할 때, 하기 (1)식에 나타내는 편평도가 1.0∼1.5이고,
    편평도=A/B···(1)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깊이가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에 대하여 1.0% 이상 10.0% 이하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20㎛ 이하이고,
    상기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30∼70질량%이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전체에 대하여 70∼30질량%이며,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 이상 20㎛ 이하인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이 1㎛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 이상 15㎛ 이하인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의 JIS L1015 2010 8.7.1에 준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2.5∼3.2cN/dtex인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층 및 제 2 층을 구비하는 적층 부직포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층이 상기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일방의 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층이 상기 합성 섬유를 상기 제 1 층 전체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제 1 층에 있어서의 상기 합성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0%이고,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5∼15㎛이고, 또한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 직경의 편차가 11∼35%이며,
    상기 제 1 층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기 제 2 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얽혀 있는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갖는 페이스 마스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갖는 클렌징 시트.
KR1020237017614A 2020-12-23 2021-12-16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KR20230122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3308 2020-12-23
JPJP-P-2020-213308 2020-12-23
PCT/JP2021/046545 WO2022138449A1 (ja) 2020-12-23 2021-12-16 スキンケア製品用不織布、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クレンジング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579A true KR20230122579A (ko) 2023-08-22

Family

ID=8215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614A KR20230122579A (ko) 2020-12-23 2021-12-16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74947A1 (ko)
JP (1) JPWO2022138449A1 (ko)
KR (1) KR20230122579A (ko)
CN (1) CN116528723A (ko)
TW (1) TW202242215A (ko)
WO (1) WO202213844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320A (ja) 2007-09-26 2009-04-16 Kuraray Kuraflex Co Ltd 不織布
KR20140132690A (ko) 2013-05-08 2014-11-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온풍기
JP2019170756A (ja) 2018-03-29 2019-10-10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0257A (ja) * 1996-05-22 1997-12-02 Unitika Ltd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54939B2 (ja) * 2000-05-08 2008-03-05 ライオン株式会社 メイクアップ又は皮脂汚れ除去用顔洗浄用シート
KR101976155B1 (ko) * 2017-09-26 2019-05-07 주식회사 휴비스 마스크팩용 혼섬부직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320A (ja) 2007-09-26 2009-04-16 Kuraray Kuraflex Co Ltd 不織布
KR20140132690A (ko) 2013-05-08 2014-11-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온풍기
JP2019170756A (ja) 2018-03-29 2019-10-10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8449A1 (ja) 2022-06-30
US20240074947A1 (en) 2024-03-07
TW202242215A (zh) 2022-11-01
JPWO2022138449A1 (ko) 2022-06-30
CN116528723A (zh)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531B1 (ko) 와이핑 시트
JP7120211B2 (ja) 積層不織布
KR20230122579A (ko) 스킨 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TWI746630B (zh) 積層不織布
CN107105864B (zh) 一次性化妆棉
TWI655004B (zh) 凝膠面膜用不織布
JP5835578B2 (ja) 不織繊維シートおよびそれからなるワイパー
KR102490724B1 (ko)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 부직포, 약액 함침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JP2020084386A (ja) 積層不織布
KR102469914B1 (ko)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JP7392651B2 (ja) スキンケア製品用不織布、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クレンジングシート
JPH05321186A (ja) 抄紙用フエ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61379A (ja) スキンケア製品用不織布
JP2023101897A (ja) スキンケア製品用不織布
JP2017177655A (ja) フィルム積層不織布ならびに、このフィルム積層不織布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クレンジング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