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631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631A
KR20230120631A KR1020237008837A KR20237008837A KR20230120631A KR 20230120631 A KR20230120631 A KR 20230120631A KR 1020237008837 A KR1020237008837 A KR 1020237008837A KR 20237008837 A KR20237008837 A KR 20237008837A KR 20230120631 A KR20230120631 A KR 2023012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volume
length
width direction
maximum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 기모토
료스케 다카이
고우다이 이시카와
지아웨이 리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네크부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장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폭 방향의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12㎜ 이상 18㎜ 이하이고, 두께 방향의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2㎜ 이상 4㎜ 이하이고, 네크부의 폭 방향의 최소 길이 및 두께 방향의 최소 길이는 3㎜ 이상 5㎜ 이하이고, 네크부에 있어서, 제2 위치로부터, 네크부의 길이에 대하여 65%가 되는 제3 위치까지의 영역을 C라고 하고, 제3 위치로부터, 네크부의 길이에 대하여 35%가 되는 네크부와 파지부의 경계의 제4 위치까지의 영역을 D라고 하면,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제4 위치에 있어서,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크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2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20-21444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칫솔의 헤드부의 사이즈는, 사용자의 기호 및 목적에 맞추어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다. 구강 위생의 점에서는, 「이 하나씩, 정성스럽게 닦을 수 있는」 콤팩트 헤드가 일반적으로 적합하지만, 이닦기 방식의 테크닉이 부족한 사람,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닦을 수 있는 것을 중시하고 있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치경부, 치간 및 치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는, 헤드부가 광폭으로 된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이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의 과제는, 복수의 청소 부위를 동시에 쇄소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효율성은 높지만, 각각의 부위의 「청소의 정밀도」, 특히, 치간 및 치경부 등의 간극 부분의 청소에 대해서는, 뒤떨어지기 쉬운 점에 있다. 이것은, 닦고 싶은 장소 이외의 주변 부위에도 칫솔의 모 끝이 닿아 버려, 물리적 간섭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3247호 공보
구강 내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가는 네크부를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에 채용한 경우, 쇄소 시에 무게 중심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네크부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장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비틀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네크부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장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장축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식모면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된 파지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배치된 네크부를 갖고,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고 상기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12㎜ 이상 18㎜ 이하이고,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2㎜ 이상 4㎜ 이하이고, 상기 네크부의 상기 폭 방향의 최소 길이 및 상기 두께 방향의 최소 길이는 3㎜ 이상 5㎜ 이하이고,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 상기 장축 방향으로 선단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의 제1 위치까지의 영역을 A라고 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제2 위치까지의 영역을 B라고 하고, 상기 네크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네크부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65%가 되는 제3 위치까지의 영역을 C라고 하고,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네크부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5%가 되는 상기 네크부와 상기 파지부의 경계의 제4 위치까지의 영역을 D라고 하면,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영역 A의 체적)/(상기 영역 D의 체적)≤0.6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영역 D의 체적은 1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영역 A의 체적과 상기 영역 C의 체적의 총합)/(상기 영역 A의 체적과 상기 영역 B의 체적과 상기 영역 C의 체적과 상기 영역 D의 체적의 총합)≤0.7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11㎜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1.5㎜≤(영역 A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7㎜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은, (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최댓값+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최솟값)/2로 표현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영역 C는, 장축 방향에 걸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가 4.5㎜ 이하이고, (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크부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장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칫솔(1)을 식모면(3a)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헤드부(3) 및 네크부(4)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헤드부(3) 및 네크부(4)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헤드부(3)의 식모면(3a)이 마련된 측(식모면과 대향하는 측)을 칫솔(1)의 정면측이라고 하고, 헤드부(3)의 식모면(3a)이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을 칫솔(1)의 배면측이라고 한다. 또한, 핸들체(2)가 연장되는 방향을 장축 방향이라고 하고, 식모면(3a)과 평행이고, 또한 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칫솔(1)의 폭 방향이라고 하고, 식모면(3a)에 직교하는 방향을 칫솔(1)의 두께 방향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또한, 장축 방향에서 헤드부(3)가 마련되는 측(헤드부(3)측)을 선단측이라고 하고, 파지부(5)가 마련되는 측(파지부(5)측)을 후단측이라고 하여 적절히 설명한다.
도 1은, 칫솔(1)을 식모면(3a)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브러시(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전체적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성형체를 포함하는 핸들체(2)와 브러시(40)를 구비하고 있다. 칫솔(1)의 전체 길이로서는, 일례로서, 150㎜ 이상 200㎜ 이하이다.
핸들체(2)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체(2)는, 선단측에 위치하여 식모면(3a)을 갖는 헤드부(3)와, 헤드부(3)보다 후단측에 배치된 파지부(5)와, 헤드부(3)와 파지부(5) 사이에 배치된 네크부(4)를 갖고 있다. 칫솔(1)은,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심어 마련된 복수의 모 다발(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브러시(40)에 의해 구강 내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체(2)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로서는, 일례로서, 굽힘 탄성률(JIS7171)이 1000㎫ 이상 280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수지, 폴리아세탈(POM)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등을 강도면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체의 폭 방향 양측의 외형 윤곽선 형상)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핸들체(2)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여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핸들체(2)의 폭 방향 양측의 외형 윤곽선이 선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폭 방향의 일방측(도 1 중, 하측)의 외형 윤곽선에 대하여 설명하고, 타방측(도 1 중, 상측)의 외형 윤곽선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곡선 영역의 곡률 중심의 위치에 대해서는, 외형 윤곽선에 대하여 폭 방향의 중심측의 경우를 내측이라고 하고, 폭 방향의 중심과 반대측의 경우를 외측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핸들체(2)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핸들체(2)의 폭 방향의 외형 윤곽선에 있어서, 헤드부(3)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원호 형상으로 넓어지는 제1 곡선 영역 E1과, 제1 곡선 영역 E1의 후단으로부터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고 제1 위치 P1까지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 영역 L1과, 제1 위치 P1로부터 헤드부(3)와 네크부(4)의 경계가 되는 제2 위치 P2까지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작아지는 제2 직선 영역 L2와, 제2 위치 P2로부터 네크부(4)의 폭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고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제3 직선 영역 L3과,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고 제3 직선 영역 L3의 후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 영역 E2와, 내측에 곡률 중심을 갖고 제2 곡선 영역 E2의 후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3 곡선 영역 E3과, 제3 곡선 영역 E3의 후단으로부터 파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고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제4 직선 영역 L4를 갖고 있다.
(핸들체의 정면측의 외형 윤곽선 형상)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핸들체(2)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핸들체(2)의 정면측의 외형 윤곽선에 있어서, 헤드부(3)의 후단측으로부터 파지부(5)측을 향해, 헤드부(3)의 식모면(3a)으로부터 연속하여 후단측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5 직선 영역 L5와,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고 제5 직선 영역 L5의 후단으로부터, 볼록 형상의 정점(51)이 마련되고 네크부(4)와 파지부(5)의 경계인 제4 위치 P4까지 후단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4 곡선 영역 E4와,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고 제4 위치 P4의 정점(51)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5 곡선 영역 E5와, 제5 곡선 영역 E5의 후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6 직선 영역 L6을 갖고 있다.
(핸들체의 배면측의 외형 윤곽선 형상)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핸들체(2)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핸들체(2)의 배면측의 외형 윤곽선에 있어서, 헤드부(3)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7 직선 영역 L7과,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고 제7 직선 영역 L7의 후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6 곡선 영역 E6과, 제6 곡선 영역 E6의 후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8 직선 영역 L8을 갖고 있다.
또한, 상술한 칫솔(1)에 있어서의 외형 윤곽선 형상의 직선 및 곡선은 일 양태이고, 예를 들어 제2 직선 영역 L2 및 제3 직선 영역 L3 등이 곡선인 구성이나 곡선과 직선을 조합한 구성이어도 되고, 외형 윤곽선 형상으로서는 상기한 기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헤드부)
헤드부(3)는, 복수의 모 다발에 의해 구강 내를 쇄소하는 부분이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을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룸과 함께, 코너부가 둥그스름한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헤드부(3)와 네크부(4)의 경계는, 헤드부(3)의 정면에서 본 형상에 있어서의, 네크부(4)측의 코너 컷을 형성하는 곡선의 종점, 즉, 코너 컷을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되는 제2 위치 P2이다.
헤드부(3)는, 정면측에 식모면(3a)을 갖고 있다. 식모면(3a)에는, 식모 구멍(6)이 복수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식모 구멍(6)의 형상, 구멍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도 1에서는 일례로서, 정면에서 보아 원형이고 동일 직경의 식모 구멍(6)이 나타나 있다. 식모 구멍(6)은,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에 따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도 2에서는, 3 내지 7개) 나열된 열이 장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도 2에서는 10열) 마련되어 있다. 식모 구멍(6)에는, 브러시(40)를 구성하는 모 다발이 각각 식모되어 있다.
모 다발은, 복수개의 솔(필라멘트)을 묶어 절반 접고, 그 사이에 평선(平線)이라고 불리는 금속제의 빠짐 방지 도구(도시하지 않음)를 끼우고 식모 구멍(6)에 타입함으로써, 각 식모 구멍(6)에 심어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3)는, 그 형상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정면측의 식모면(3a)과 배면측의 면이 서로 평탄하고 평행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헤드부(3)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예를 들어 12㎜ 이상 18㎜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부(3)는, 소위 와이드 헤드형이다. 와이드 헤드형의 헤드부(3)를 가짐으로써, 이의 각 부위에 대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이를 닦을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이를 닦을 수 있다.
헤드부(3)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는, 예를 들어 2㎜ 이상 4㎜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상 3.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부(3)는, 소위 박형 헤드이다. 박형의 헤드부(3)를 가짐으로써, 와이드 헤드형의 헤드부(3)라도 어금니에 대한 조작성을 높여, 어금니에 대한 청소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헤드부(3)에 있어서, 장축 방향으로 선단으로부터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의 제1 위치 P1까지의 영역을 A라고 하고, 제1 위치 P1로부터 헤드부(3)와 네크부(4)의 경계의 제2 위치 P2까지의 영역을 B라고 하자.
또한, 헤드부(3)의 정면에서 본 외형 윤곽이 타원 등이고,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의 위치가, 헤드부(3)의 장축 방향의 중앙보다도 후단측에 없는 경우는, 폭 방향으로 나열하는 식모 구멍(6)의 수가 가장 많은 열 중, 가장 후단측의 열에 있어서의 식모 구멍(6)의 후단 측연부의 장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부(3)에 있어서, 식모 구멍(6)의 전체 용적(전체 구멍 체적)과, 가장 외주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6)의 외측연부를 연결한 식모 영역의 수지 체적의 비로서는, 1: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 구멍(6)의 전체 용적과 식모 영역의 수지 체적의 비를 1:2.5 이상으로 함으로써, 식모 구멍(6)에 대하여 식모 영역의 수지량이 커져, 헤드부(3)가 강직하게 되기 때문에, 와이드 헤드형, 또한 박형 헤드형이면서도 헤드부(3)의 휨이나 사용 시의 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헤드부(3)의 장축 방향의 최대 길이로서는,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3)의 장축 방향의 최대 길이를 25㎜ 이상으로 함으로써, 얇은 영역이 길어져 어금니의 안쪽까지 닦기 쉬워진다. 또한, 네크부(4)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네크부(4)가 과도하게 휘는 일 없이 닦을 수 있다.
(네크부)
네크부(4)는, 파지부(5)와 헤드부(3) 사이에 배치되어 파지부(5)와 헤드부(3)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네크부(4)와 파지부(5)의 경계는, 측면에서 보아 제4 곡선 영역 E4와 제5 곡선 영역 E5가 교차하는 제4 위치 P4이다. 즉,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4 곡선 영역 E4와 제5 곡선 영역 E5로 연결되어 볼록 형상의 정점(51)이 형성되는 위치이다.
볼록 형상의 정점이 없는 경우, 혹은 시인할 수 없는 경우의 네크부(4)와 파지부(5)의 경계는, 측면에서 보아 두께 방향에 있어서, 곡률 중심이 전환되는 위치로 하고, 이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예를 들어 경질 수지로부터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수지 등, 다른 수지로 전환되는 위치로 하고, 이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헤드부(3)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75㎜의 위치로 한다.
네크부(4)는, 헤드부(3)와의 경계인 제2 위치 P2로부터 파지부(5)를 향해, 도 1에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외형 윤곽선이 제3 직선 영역 L3으로 형성되는 영역이 일정하고 최소폭으로 된다. 네크부(4)는, 제3 직선 영역 L3의 후단으로부터 외형 윤곽선이 제2 곡선 영역 E2를 통해 연결되는 제3 곡선 영역 E3의 후단이 되는 제4 위치 P4까지의 영역에서 최소폭으로부터 폭이 점차 넓어진다.
네크부(4)의 폭 방향의 최소 길이로서는, 3㎜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네크부(4)의 두께 방향의 최소 길이로서는, 3㎜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네크부(4)는, 소위 슬림 네크형이다. 네크부(4)의 폭 방향의 최소 길이 및 두께 방향의 최소 길이를 3㎜ 이상 5㎜ 이하로 함으로써, 와이드 헤드형의 헤드부(3)라도 어금니에 대한 조작성을 높여, 어금니에 대한 청소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의 제1 위치 P1로부터, 네크부(4)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가장 선단측의 제2 위치 P2까지의 길이는,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치 P1부터 제2 위치 P2까지의 길이를 9.0㎜ 이하로 함으로써, 헤드부(3)의 후단측의 폭이 급준하게 수렴하게 되고, 네크부(4)가 가장 가는 부분이 될 때까지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파지부)
파지부(5)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고, 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5)는, 도 1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네크부(4)와의 경계의 제4 위치 P4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폭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다.
파지부(5)는, 도 2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네크부(4)와의 경계의 제4 위치 P4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정면측의 외형 윤곽선에 있어서의 제5 곡선 영역 E5가 제4 위치 P4에서 극댓값이 되고 파지부(5)가 최소 두께가 되는 제5 곡선 영역 E5의 후단측 단부까지 두께가 점차 작아진다. 파지부(5)는, 제5 곡선 영역 E5의 후단측 단부보다도 후단측이, 두께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다.
파지부(5)는, 정면측에, 일례로서, 엄지 손가락이 닿는 손가락 접촉부(50)를 갖고 있다. 측면에서 보아 손가락 접촉부(50)는, 정점(51)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배면측을 향하는 오목 형상의 만곡면이 되는 제5 곡선 영역 E5의 후단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접촉부(50)에 오목 형상의 만곡면이 마련됨으로써, 손가락 접촉부(50)를 배면측으로 가압했을 때 피트성이 얻어진다.
손가락 접촉부(50)가 볼록 형상의 정점(51)과 편평 형상을 가짐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지 않도록 조정하고, 또한 네크부(4)로부터 파지부(5)로의 휨의 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볼록 형상의 정점(51)을 마련함으로써, 파지부(5)의 정면측의 두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어, 두께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지 않고, 또한 적당한 유연성을 파지부(5)측에 전함으로써 네크부(4)로부터 파지부(5)로의 휨의 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헤드부(3)의 선단으로부터 손가락 접촉부(50)의 선단측 단부(제4 위치 P4)까지의 장축 방향의 길이로서는, 77㎜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3)의 선단으로부터 손가락 접촉부(50)의 선단측 단부까지의 장축 방향의 길이를 77㎜ 이상 90㎜ 이하로 함으로써, 손가락 접촉부(50)의 선단측 단부보다도 선단측이 충분히 길어져, 어금니의 안쪽까지 다다르기 쉬워진다.
네크부(4)의 가장 가는 부분(제2 위치 P2)으로부터 손가락 접촉부(50)의 선단측 단부(제4 위치 P4)까지의 장축 방향의 길이로서는, 52㎜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네크부(4)의 가장 가는 부분으로부터 손가락 접촉부(50)의 선단측 단부까지의 장축 방향의 길이를 52㎜ 이상 70㎜ 이하로 함으로써, 네크부(4)가 충분히 길어져, 어금니의 안쪽까지 다다르기 쉬워진다.
네크부(4)로부터 파지부(5)의 후단에 걸쳐서, 두께 방향의 배면측 또는 정면측의 어느 한쪽이 헤드부(3)의 배면과 파지부(5)의 배면 사이의 두께 방향의 거리, 혹은 헤드부(3)의 정면(식모면(3a))과 파지부(5)의 정면의 두께 방향의 거리가 2.5㎜ 이하이고, 또한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폭 넓은 편평이고, 두께 방향의 배면측 또는 정면측의 어느 다른 쪽이 네크부(4)로부터 손가락 접촉부(50)까지의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네크부(4)로부터 손가락 접촉부(50)까지의 두께가 하나의 배향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롱형의 네크부(4)라도 휘어지기 어려워 확실한 이닦기 느낌이 얻어진다. 또한, 네크부(4)와 파지부(5)의 두께 방향 위치의 차가 작기 때문에, 구강 내의 목표로 한 위치를 닦기 쉬워진다. 또한, 제3 직선 영역 L3의 후단측 단부의 위치는, 후술하는 제3 위치 P3으로부터 장축 방향으로 ±15㎜ 이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네크부(4)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가장 후단측의 위치로부터 손가락 접촉부(50)의 선단측 단부까지의 영역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10㎜에서 급격하게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3)의 배면과 파지부(5)의 배면, 혹은 헤드부(3)의 정면과 파지부(5)의 정면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파지부(5)로부터 헤드부(3)로 전달한 힘이 동 벡터로 이에 가해져 확실한 이닦기 느낌을 얻을 수 있어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파지부(5)는, 두께 방향의 길이가 9.0㎜ 이상이고, 폭 방향의 길이가 10㎜ 이상이고, 또한 두께와 폭이 일정한 영역을 80㎜ 이상 갖고, 또한 경질 수지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와 폭이 일정한 영역을 90㎜ 이상 120㎜ 이하로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지부(5)의 두께와 폭이 일정한 영역이 80㎜ 미만인 경우에는, 손바닥 전체로 파지할 수 없어 안정되지 않는다. 파지부(5)의 두께와 폭이 일정한 영역이 120㎜를 초과한 경우에는, 파지하는 개소가 정해지지 않아, 후단측에서 파지한 경우에 무게 중심이 안정되지 않는다. 파지부(5)의 두께 및 폭을 상기한 범위로, 또한 경질 수지만으로 형성함으로써, 휘기 어렵고, 또한 확실히 파지할 수 있어, 확실한 이닦기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손가락 접촉부(50)의 선단으로부터 파지부(5)의 후단까지의 파지부(5)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80㎜ 이상 120㎜ 이하이고, 핸들체(2)의 전체 길이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50㎜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5) 및 핸들체(2)를 상기한 범위의 길이로 함으로써, 확실히 파지할 수 있고, 확실한 이닦기 느낌이 얻어짐과 함께, 전체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음으로써, 파지하기 쉬움과 구강 내에 다다르기 쉬움을 확보할 수 있다.
(영역 A 내지 영역 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크부(4)에 있어서, 제2 위치 P2로부터, 네크부(4)의 장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65%가 되는 제3 위치 P3까지의 영역을 C라고 하고, 제3 위치 P3으로부터, 네크부(4)의 장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5%가 되는, 네크부(4)와 파지부(5)의 경계의 제4 위치 P4까지의 영역을 D라고 하면,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 즉, 네크부(4)에 있어서 후단측에 위치하는 영역 D의 체적을, 네크부(4)에 있어서 선단측에 위치하는 영역 C의 체적 이상으로 함으로써, 네크부(4)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구강 내 조작성의 이점을 확보하면서, 네크부(4)의 파지부(5)측의 근본을 견고하게 하여 휨과 비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영역 A 내지 영역 D의 각 체적으로서는, 각 영역 A 내지 D의 정면에서 본 면적×측면에서 본 면적/장축 방향의 길이에 의해 산출했다.
영역 C의 후단측 단부의 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로서는, 6.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를 6.7㎜ 이하로 함으로써, 네크부(4)가 헤드부(3)와의 경계의 제2 위치 P2부터 제3 위치 P3까지 가는 영역이 계속되게 되어,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영역 C의 장축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영역 C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영역 C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로 표현되는 값은, 1.0 이상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 C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영역 C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로 표현되는 값을, 영역 C의 장축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1.0 이상 1.8 이하로 함으로써,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1)에 있어서의 네크부(4)로서 광폭으로 함으로써 비틀어지기 어려워진다.
영역 C의 시작점이 되는 제2 위치 P2에 대하여, 폭 방향의 길이가 1㎜ 커지는 위치는, 영역 C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하여, 네크부(4)의 장축 방향의 길이의 40%가 되는 위치보다도 손가락 접촉부(50)측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네크부(4)의 장축 방향의 길이의 50%가 되는 위치보다도 손가락 접촉부(50)측에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폭 방향의 길이가 1㎜ 커지는 위치가, 네크부(4)의 장축 방향의 길이의 40%가 되는 위치보다도 손가락 접촉부(50)측에 존재함으로써, 폭 방향의 길이가 작고 가는 영역이 길게 존재하기 때문에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영역 D의 후단측 단부인 제4 위치 P4에 있어서,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위치 P4에 있어서, 폭 방향의 최대 길이가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큰 것에 의해, 폭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영역 D의 체적으로서는,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D의 체적을 1000㎣ 이상으로 함으로써, 네크부(4)의 근본의 체적이 충분히 커져, 휨과 비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영역 D의 후단측 단부인 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11㎜ 이상이고, 또한 (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 D의 후단측 단부인 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를 11㎜ 이상으로 함과 함께, (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2㎜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네크부(4)의 근본이 폭이 넓기 때문에, 네크부(4)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과 비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5㎜≤(영역 A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7㎜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 A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가 1.5㎜ 미만인 경우, 와이드 헤드형의 헤드부(3)로서 적용되지 않거나, 혹은 네크부(4)의 근원이 이상 광폭이 되어 사용감을 손상시키게 된다. (영역 A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가 7㎜를 초과한 경우, 비틀어짐 억제 효과가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위치 P4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3㎜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네크부(4)의 영역 D 내에서 두께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두께 방향의 휨을 파지부(5)에 전파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영역 D 내에서 네크부(4)의 두께가 급격하게 증가함으로써, 조작성의 이점을 확보하면서 비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헤드부(3)에 있어서의 영역 A와, 네크부(4)의 영역 D에 대해서는, (영역 A의 체적)/(영역 D의 체적)≤0.6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역 A의 체적)/(영역 D의 체적)≤0.4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A의 체적에 대해서는, 식모 구멍(6)의 용적(전체 구멍 체적)을 제외하고 있다.
(영역 A의 체적)/(영역 D의 체적)≤0.60으로 함으로써, 네크부(4)의 후단측의 체적에 대하여, 헤드부(3)의 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영역 A의 체적)/(영역 D의 체적)≤0.60으로 함으로써, 박형 와이드 헤드에 의한 효율적인 쇄소와 조작성의 이점을 확보하면서, 네크부(4)의 후단측을 견고하게 하여 휨과 비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헤드부(3)에 있어서의 영역 A 및 영역 B와, 네크부(4)의 영역 C에 대해서는, 0.7≤(영역 A의 체적)/[(영역 B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 B의 체적에 대해서는, 식모 구멍(6)의 용적(전체 구멍 체적)을 제외하고 있다.
0.7≤(영역 A의 체적)/[(영역 B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영역 A의 체적이 영역 B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의 총합에 비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은, (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최댓값+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최솟값)/2로 표현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장축 방향에 걸치는 영역 A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2㎜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헤드부(3)로부터 네크부(4)에 있어서의 선단측(헤드부(3)측)의 65%의 두께가 크게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역 C는, 장축 방향에 걸쳐서,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가 4.5㎜ 이하이고, (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 C가, 장축 방향에 걸쳐서,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가 4.5㎜ 이하이고, (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3 위치 P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1㎜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네크부(4)의 근원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에서 조작성의 이점을 확보하면서, 네크부(4)가 폭이 넓고, 네크부(4)가 폭 방향으로 휘는 것과 비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영역 A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의 총합)/(영역 A의 체적과 영역 B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과 영역 D의 체적의 총합)≤0.7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0.20≤(영역 A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의 총합)/(영역 A의 체적과 영역 B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과 영역 D의 체적의 총합)≤0.5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A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의 총합)/(영역 A의 체적과 영역 B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과 영역 D의 체적의 총합)≤0.70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핸들체(2)의 전체에 대하여, 비틀어짐을 유인하는 영역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어, 비틀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3은, 헤드부(3) 및 네크부(4)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한쪽 측연의 점 P11과, 네크부(4)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점 P12를 연결하는 선분 S1과,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양 측연의 점끼리를 연결하는 선분 S2가 교차하는 각도 중, 작은 측의 각도 α는, 4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분 S1과 선분 S2가 교차하는 각도 α를 40° 이상 60° 이하로 함으로써, 헤드부(3)의 후단측의 폭이 급준하게 수렴하게 되어, 네크부(4)가 가장 가는 부분이 될 때까지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한쪽 측연의 점 P11과, 네크부(4)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점 P13을 연결하는 선분 S3과,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양 측연의 점끼리를 연결하는 선분 S2가 교차하는 각도 중, 작은 측의 각도 β는, 75° 이상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분 S3과 선분 S2가 교차하는 각도 β를 75° 이상 85° 이하로 함으로써, 네크부(4)가 가장 가는 부분이 되는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헤드부(3) 및 네크부(4)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한쪽 측연의 점 P14와, 네크부(4)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점 P12를 연결하는 선분 S4와,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양 측연의 점끼리를 연결하는 선분 S5가 교차하는 각도 중, 작은 측의 각도 γ는, 7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분 S4와 선분 S5가 교차하는 각도 γ를 70° 이상 80° 이하로 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영역이 긴 헤드부(3)가 되기 때문에, 어금니의 안쪽을 닦기 쉬워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한쪽 측연의 점 P14와, 네크부(4)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점 P13을 연결하는 선분 S6과, 헤드부(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의 양 측연의 점끼리를 연결하는 선분 S5가 교차하는 각도 중, 작은 측의 각도 Δ는, 80° 이상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분 S6과 선분 S5가 교차하는 각도 Δ를 80° 이상 85° 이하로 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영역이 긴 헤드부(3)가 되기 때문에, 어금니의 안쪽을 닦기 쉬워진다. 또한, 네크부(4)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네크부(4)가 과도하게 휘는 일 없이 닦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 있어서는, 네크부(4)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장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와이드 헤드형의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더 명확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2)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2의 칫솔의 샘플을 제작했다.
각 예의 칫솔의 각 부위는 표 1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핸들체의 경질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사용했다.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2의 샘플은, 모두 헤드부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를 15.0㎜로 하고, 헤드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를 일정한 3.0㎜로 하고, 네크부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를 4.0㎜로 하고, 네크부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를 4.0㎜로 했다.
[평가 방법]
10명의 전문화 패널이, 각 예의 칫솔의 샘플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때의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을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10명의 전문화 패널의 평균점에 기초하여 하기의 평가로 했다. 전문화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5.5점 이상을 「◎(Very Good)」, 평균점 4.0점 이상 5.5점 미만을 「○(Good)」,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Not Bad)」, 평균점 3.0점 미만을 「×(Bad)」로 했다.
(1)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
[평가 기준]
7점: 상당히 휘기 어렵다.
6점: 꽤 휘기 어렵다.
5점: 약간 휘기 어렵다.
4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3점: 약간 휘기 쉽지만 허용할 수 있다.
2점: 꽤 휘기 쉽다.
1점: 상당히 휘기 쉽다.
(2)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
7점: 전혀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을 수 있다.
6점: 거의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을 수 있다.
5점: 별로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을 수 있다.
4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3점: 약간 비틀어져 확실히 닦을 수 없지만 허용할 수 있다.
2점: 꽤 비틀어져 확실히 닦을 수 없다.
1점: 상당히 비틀어져 확실히 닦을 수 없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의 헤드부의 최대 길이가, 12㎜ 이상 18㎜ 이하이고, 두께 방향의 헤드부의 최대 길이가, 2㎜ 이상 4㎜ 이하이고, 네크부의 폭 방향의 최소 길이 및 두께 방향의 최소 길이가, 3㎜ 이상 5㎜ 이하이고,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영역 D의 후단측 단부의 위치인 제4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가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큰 실시예 1 내지 9의 칫솔의 샘플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또한, (영역 A의 체적)/(영역 D의 체적)≤0.6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실시예 3 내지 4, 9의 칫솔의 샘플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또한, 영역 D의 체적이 1000㎣ 이상인 실시예 5 내지 6, 9의 칫솔의 샘플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또한, (영역 A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의 총합)/(영역 A의 체적과 영역 B의 체적과 영역 C의 체적과 영역 D의 체적의 총합)≤0.7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실시예 2 내지 7, 9의 칫솔의 샘플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또한, 제4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가 11㎜ 이상이고, 또한 (제4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제4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실시예 8 내지 9의 칫솔의 샘플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9의 칫솔의 샘플이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의 양쪽에서 특히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고, 이어서 실시예 2, 6의 칫솔의 샘플에서 더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한편,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 1 및 영역 D의 후단측 단부의 위치인 제4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가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작은 비교예 2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휘기 어려움」과 「비틀어지지 않고 확실히 닦이는 느낌」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제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 요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
1: 칫솔
3: 헤드부
3a: 식모면
4: 네크부
5: 파지부
6: 식모 구멍

Claims (9)

  1. 장축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식모면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된 파지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배치된 네크부를 갖고,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고 상기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12㎜ 이상 18㎜ 이하이고,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2㎜ 이상 4㎜ 이하이고,
    상기 네크부의 상기 폭 방향의 최소 길이 및 상기 두께 방향의 최소 길이는 3㎜ 이상 5㎜ 이하이고,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 상기 장축 방향으로 선단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가장 후단측의 제1 위치까지의 영역을 A라고 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제2 위치까지의 영역을 B라고 하고,
    상기 네크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네크부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65%가 되는 제3 위치까지의 영역을 C라고 하고,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네크부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5%가 되는 상기 네크부와 상기 파지부의 경계의 제4 위치까지의 영역을 D라고 하면, (영역 D의 체적)/(영역 C의 체적)≥1.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A의 체적)/(상기 영역 D의 체적)≤0.6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D의 체적은 1000㎣ 이상인,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A의 체적과 상기 영역 C의 체적의 총합)/(상기 영역 A의 체적과 상기 영역 B의 체적과 상기 영역 C의 체적과 상기 영역 D의 체적의 총합)≤0.7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11㎜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상기 영역 A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7㎜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장축 방향에 걸치는 상기 영역 A의 상기 두께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C는, 상기 장축 방향에 걸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가 4.5㎜ 이하이고,
    (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상기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KR1020237008837A 2020-12-24 2021-11-25 칫솔 KR20230120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4446A JP2022100465A (ja) 2020-12-24 2020-12-24 歯ブラシ
JPJP-P-2020-214446 2020-12-24
PCT/JP2021/043227 WO2022137971A1 (ja) 2020-12-24 2021-11-25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631A true KR20230120631A (ko) 2023-08-17

Family

ID=8215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837A KR20230120631A (ko) 2020-12-24 2021-11-25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100465A (ko)
KR (1) KR20230120631A (ko)
CN (2) CN116634904A (ko)
TW (1) TW202228550A (ko)
WO (1) WO202213797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3247A (ja) 2014-07-01 2016-01-28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16B1 (ko) * 2001-08-16 2003-10-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JP4767637B2 (ja) * 2005-09-16 2011-09-0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および歯ブラシパッケージ
KR102183114B1 (ko) * 2016-03-09 2020-11-25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SG10202104233SA (en) * 2016-10-28 2021-06-29 Lion Corp Toothbrush
JP7190872B2 (ja) * 2018-11-08 2022-12-1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3247A (ja) 2014-07-01 2016-01-28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932263U (zh) 2022-07-12
CN116634904A (zh) 2023-08-22
TW202228550A (zh) 2022-08-01
WO2022137971A1 (ja) 2022-06-30
JP2022100465A (ja)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39598A1 (ja) 歯ブラシ
CN215603803U (zh) 牙刷
KR20230120631A (ko) 칫솔
JP5324877B2 (ja) 歯間ブラシ
JP7407091B2 (ja) 歯ブラシ
JP5174510B2 (ja) 歯間ブラシ
KR102358655B1 (ko)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의 제조 방법
CN214127439U (zh) 牙刷
JP7378472B2 (ja) 歯ブラシ
WO2021131553A1 (ja) 歯ブラシ
WO2020262346A1 (ja) 歯ブラシ
WO2022130770A1 (ja) 歯ブラシ
CN216932264U (zh) 牙刷
WO2017018340A9 (ja) 歯ブラシ
JP7033813B2 (ja) 歯ブラシ
US20240172864A1 (en) Interdental brush having an insertion guidance tip
WO2022004575A1 (ja) 歯間清掃具
WO2019230838A1 (ja) 歯ブラシ
WO2020003797A1 (ja) 歯間清掃具
KR20210060435A (ko) 삽입 안내 팁을 가진 치간 칫솔
JP2021106725A (ja) 歯間清掃具
JP2022011650A (ja) 歯間清掃具
JP2022000290A5 (ko)
WO2019003949A1 (ja) 歯間清掃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