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816B1 -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 Google Patents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816B1
KR100403816B1 KR10-2001-0049223A KR20010049223A KR100403816B1 KR 100403816 B1 KR100403816 B1 KR 100403816B1 KR 20010049223 A KR20010049223 A KR 20010049223A KR 100403816 B1 KR100403816 B1 KR 10040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andle
neck
millimeter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440A (ko
Inventor
은상태
김영호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4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8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모부를 포함하는 헤드(1)와, 헤드(1)를 손잡이와 연결하는 넥(2)과,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유체를 주입하여 그 형상을 이루는 손잡이(3)를 포함하는 칫솔로서, 상기 유체를 주입한 손잡이(3)를 잡을 때 유동성이 있어 사용자의 손 형상에 적합하도록 편안한 그립성이 있고, 통상의 칫솔 손잡이의 고형화된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에 따라서 잇솔질시 무리하게 부과될 수 있는 압력이 적절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주지 않게 하며 또한 곡선상의 치아형태에 가장 적합하게 칫솔대가 움직여서 잇솔질의 가장 큰 기능중의 하나인 프라그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함으로써 잇몸병이나 충치예방을 하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만든 칫솔이며, 또한 휴대시에는 유체를 제거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칫솔의 최대 장점인 휴대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Tooth brush with fluid injectable handle}
본 발명은 손잡이가 유체를 주입할 수 있게 제작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의 손잡이에 유체를 주입하여 형상을 이루고, 유체를 제거하였을 때에는 최소부피로 접는 것이 가능하게 만든 칫솔로서, 유체의 특성상 통상의 칫솔에 비하여 손잡이의 그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로 인하여 양치시 부과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치아 및 잇몸손상을 줄이고 치아형상에 적합하게 칫솔질을 할수 있게 됨으로써 잇솔질의 가장 큰 기능중 하나인 프라그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여 잇몸병이나 충치예방을 하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휴대시 유체를 제거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성을 극대화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와 잇몸병 예방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와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 그리고 넥이 연결된 칫솔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게 되었고, 칫솔을 사용하여 잇솔질을 함으로써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어 충치를 억제하고 잇몸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는 모든 치아에 칫솔이 도달하여 골고루 잇솔질을 행하여 주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치아 형상은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인접 치아간에 어느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치아에 붙어 있는 프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칫솔대 손잡이가 적절하게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모든 치아에 적합하게 움직여 주어야 한다. 또한 잇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잇솔질시 적절한 잇몸 맛사지를 행하여 주거나 치아나 잇몸에가해지는 무리한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주어 잇몸 손상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칫솔대 손잡이는 양치시 손으로 잡았을 때 사용자에 따라서 250 내지 500그람 정도의 힘이 작용하며 이러한 힘은 칫솔 식모부를 통하여 치아나 잇몸에 전달되는데, 이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주지 않으면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칫솔은 칫솔대 손잡이가 딱딱한 플라스틱제로 되어 있으며, 그 형상이 일정한 형상으로 고형화 되어 있어서 잇솔질시 칫솔대 손잡이가 전혀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적인 잇솔질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플라스틱제로 만들어진 손잡이는 물에 잘 미끌어지기 때문에 그립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입안에 상처를 낼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칫솔의 손잡이에 고무 등의 연질제를 결합 부착하여 손잡이 그립성 및 탄력성을 개선한 칫솔들이 개발되어 졌으며, 이를 통하여 어느 정도의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칫솔들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양치를 할 때에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치아 형상에 적절하게 작용하여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기능을 하거나 잇솔질시 치아나 잇몸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주어 잇몸 손상을 방지하여주는 작용을 하기에는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잇솔질에 의한 건강한 치아를 유지시켜준다는 측면에서 불합리한 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칫솔들은 칫솔대 손잡이가 플라스틱 종류로 채워져 있어서 그부피를 작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칫솔목 부분에서 헤드부분과 보통 직육면체 부분의 손잡이가 분리된 형태, 혹은 헤드와 손잡이를 접을 수 있는 형태등으로 설계된 휴대용 칫솔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칫솔들은 그 손잡이가, 헤드를 접거나 분리하였을때 이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칫솔 손잡이보다 더 크고 단순한 형태를 가지게 되어 잇솔질시 가해지는 압력분산이 더욱 어려워 잇몸손상 방지 및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에 불합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칫솔의 손잡이를 연질의 필름소재를 사용하여 그 내부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그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잇솔질시 가해지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서 입안 구석구석까지 칫솔 식모부가 도달될수 있게 하여 잇몸손상은 물론 효과적인 프라그제거를 할수 있게 하고, 또한 유체의 주입 및 제거를 위한 유체주입구를 형성하여 휴대시 손잡이를 최소부피로 접을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1차 성형물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완성품에 유체를 주입하였을 때의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완성품에 유체를 제거 후 휴대시의 입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 2 : 넥
3 : 손잡이 4 : 결합부
5 : 유체주입구 6 : 마개
a : 헤드의 길이 b : 헤드의 폭 c : 헤드의 두께
d : 넥의 길이 e : 넥의 폭 f : 넥의 두께
g : 손잡이의 길이 h : 손잡이의 폭 i : 손잡이의 두께
j : 1차 성형물의 결합부 길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손잡이와, 손잡이가 연결된 넥, 그리고 넥의 선단 칫솔 헤드에 칫솔모를 식모하여서 된 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내에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유체저장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칫솔대 헤드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인 폴리프로필렌(PP),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틸렌(ABS), 스틸렌 아크릴로나이트릴(SA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CP)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는 유체의 주입이 가능하여 칫솔대가 유연하게 움직이고, 잇솔질시 그립성이 좋을 수 있도록 튜브를 형성할 수 있는 연질 필름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특히 연질 PVC가 바람직하다. 이하 같다.), 폴리우레탄(PU),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고무(SB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와 고무(natural rubber)의 블렌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와 폴리우레탄(PU)의 블렌드, 폴리프로필렌(PP)과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 혹은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의 블렌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플라스틱(PP, ABS, PETG, SAN 등)을 사용하여 칫솔 헤드(1)와 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10 내지 80밀리미터의 일정길이로 칫솔 넥(2)을 형성하는 1차 성형물을 제작하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의 튜브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튜브 형상의 손잡이(3)를, 열융착, 고주파 융착,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등의 방법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 성형물과 튜브 형상의 손잡이(3)를 결합시켜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칫솔의 손잡이(3)에 유체를 주입시킴으로써 상기의 유연성과 그립성을 증가시켜 주며, 또한 잇솔질시 칫솔대 손잡이(3)가 양치 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면서도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력성을 부여하였다.
이때 손잡이(3)에 주입할 수 있는 유체라 함은 사람의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 기구를 이용하여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질소 등의 기체 혹은 물, 오일 등의 액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3)에 유체의 주입과 제거가 가능한 유체주입구(5)를 형성하여 잇솔질시에는 유체를 주입하여 사용하고, 휴대시에는 유체를 제거하면 손잡이(3)의 부피를 최소화되도록 접어서 휴대가 간편할 수 있는 기능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칫솔대 헤드(1)의 길이(a)는 10내지 40밀리미터, 폭(b)은 5내지 15밀리미터, 두께(c)는 3내지 8밀리미터, 단면적은 15내지 300 제곱밀리미터가 바람직하며, 헤드(1)에 평행하게 형성된 넥(2)의 길이(d)는 10내지 80밀리미터, 폭(e)은 5 내지 15밀리미터, 두께(f)는 3내지 20 밀리미터, 단면적은 15내지 300 제곱밀리미터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잇솔질시 이물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상기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잇솔질되는 면적이 작아서 불편함과 함께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손잡이(3)로 사용되는 연질 필름의 두께는 0.01 내지 0.5밀리미터가 바람직하다. 만일 0.01밀리미터 미만의 경우에는 필름이 터질 우려가 있으며, 0.5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튜브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손잡이(3)의 길이(g)는 40내지 150밀리미터가 바람직하며, 폭(h)은 10내지 40 밀리미터, 두께(i)는 10내지 40 밀리미터, 단면적은 100 내지 1600제곱밀리미터가 바람직하다.상기 수치 미만이거나 초과할 경우에는 유체를 주입한 손잡이의 그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손잡이(3)의 모양은 사각형, 육각형, 원형 등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인물, 동물 등의 캐릭터 등의 모든 형태가 포함할 수 있으며, 넥(2)과 손잡이(3)의 결합부(4)분의 길이(j)는 3내지 50밀리미터이고 넥(2)의 길이(d)와 손잡이(3)의 길이(g)의 비율은 1:0.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상기 수치 미만이거나 초과할 경우에는 유체를 주입한 손잡이가 양치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지 못하여 양치감 및 양치시 잇몸보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3)의 일부에 유체의 주입과 제거가 가능한 유체주입구(5)와 마개(6)를 형성하여 휴대시 유체를 제거함으로써 최소부피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최적의 유연성을 가지는 칫솔과 기존의 일반적인 칫솔 및 휴대용 칫솔을 이용하여 사용성에 대한 소비자 평가와 프라그 제거효과에 대한 비교 평가 실험을 실시해 보았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칫솔에 대한 사용성의 선호도 및 프라그제거 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하기의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칫솔대 손잡이(3)에 가장 효과적으로 유연성을 부여하고, 유체를 주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칫솔대를 설계하여 금형을 제작한 후 사출기술을 이용해 만든 상기의 칫솔 헤드(1)와 손잡이(3)를 결합한 실험 칫솔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및 2>
비교예 1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존 칫솔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는 칫솔 손잡이(3)가 속이 빈 직육면체형이며 헤드(1)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통상적인 휴대용 칫솔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 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손잡이 재질 연질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손잡이 형태 튜브형 긴 막대형 속이빈 직육면체형
손잡이 길이 120㎜ 120㎜ 90㎜
손잡이 폭 15㎜ 15㎜ 15㎜
손잡이 두께 9㎜ 9㎜ 22㎜
<실험예 1> 소비자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 평가
30명의 패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로 제조된 칫솔을 일정기간(30일)동안 사용하게 한 후, 비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5점 비교법을 이용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를 표2와 같이 나타내었다.
사용성 선호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칫솔대 유연성 3.9 3.6 3.0
손잡이 그립성 4.0 3.7 3.0
양치시 잇몸 보호효과 3.5 3.4 2.9
양치후 세정감 3.6 3.5 2.9
휴대의 편리성 3.9 3.2 3.8
전반적인 만족도 3.8 3.6 3.2
◆ 평가기준
5: 매우양호 4:양호 3:보통 2:불량 1:매우불량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비하여 칫솔대 유연성, 손잡이(3) 그립성, 양치시 잇몸 보호효과, 양치감, 휴대의 편리성 등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선호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프라그 제거 효과에 대한 비교평가
30명의 임상 대상자를 선정하여 각각 10명씩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로 제조된 칫솔을 일정기간(30일)동안 사용하게 한 후 0일을 기준으로 하여 14일 후 및 30일 후의 치면 프라그지수(Plaque Index) 감소율(%)을 특정하여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프라그 지수는 치아 표면에 부착된 프라그를 착색제를 이용해 착색한 후, 치면 프라그의 양을 0∼5점의 점수로 나타낸 값이며, 0일에 프라그 지수를 측정하여 Base 값으로 취하고 스케일링하여 치면 프라그를 모두 제거한 후, 14일 및 30일에 프라그 지수를 측정하여 감소된 프라그 지수를 %로 나타낸 것이 프라그 지수 감소율이다. 이 수치는 그 값이 클수록 프라그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구분 프라그지수(Plaque Index) 감소율(%)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14일 후 4.3±0.1 3.9±0.2 3.3±0.3
30일 후 8.5±0.2 7.9±0.3 6.3±0.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칫솔은 30일 사용후의 프라그지수(Plaque Index)감소율이 각각 7.9%와 6.3%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조된 칫솔은 8.3%의 값으로 프라그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칫솔대 유연성, 손잡이(3) 그립성, 양치감, 양치시 잇몸 보호효과, 휴대의 편리성 등의 사용성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실제 잇솔질시 치면의 프라그 제거 효과가 향상된 칫솔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손잡이와, 손잡이가 연결된 넥, 그리고 넥의 선단 칫솔 헤드에 칫솔모를 식모하역서 된 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내에 유체저장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저장공간이 그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고 제거할 수 있는 유체주입구와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재질이 튜브 형상을 만들 수 있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우레탄(PU),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고무(SB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와 고무(naturla rubber)의 블렌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와 폴리우레탄(PU)의 블렌드, 폴리프로필렌(PP)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의 블렌드, 폴리프로필렌(PP)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의 블렌드 중 1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연질필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필름의 두께가 0.01 내지 0.5밀리미터인 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칫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길이(g)는 50 내지 150밀리미터, 폭(h)은 10 내지 40밀리미터, 두께(i)는 10내지 40밀리미터, 단면적은 100 내지 1600제곱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칫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모양은 사각형, 육각형, 원형등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인물, 동물 등의 캐릭터 등의 형태들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칫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과 손잡이의 결합 부분의 길이(j)는 3내지 50밀리미터 이고, 넥의 길이(d)와 손잡이의 길이(g)의 비율은 1:0.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칫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과 손잡이의 결합은 열 융착, 고주파 융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의 방법에서 선택된 1이상의 방법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칫솔.
KR10-2001-0049223A 2001-08-16 2001-08-16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KR10040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23A KR100403816B1 (ko) 2001-08-16 2001-08-16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23A KR100403816B1 (ko) 2001-08-16 2001-08-16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440A KR20030016440A (ko) 2003-03-03
KR100403816B1 true KR100403816B1 (ko) 2003-10-30

Family

ID=2771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23A KR100403816B1 (ko) 2001-08-16 2001-08-16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0465A (ja) * 2020-12-24 2022-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829A (ja) * 1989-10-04 1991-05-23 Nec Corp レーザcvd装置
JPH0613553U (ja) * 1992-07-31 1994-02-22 有限会社デザインハウスシンプル 使い捨て簡易歯ブラシ
KR20000065340A (ko) * 1999-04-01 2000-11-15 박충서 칫솔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829A (ja) * 1989-10-04 1991-05-23 Nec Corp レーザcvd装置
JPH0613553U (ja) * 1992-07-31 1994-02-22 有限会社デザインハウスシンプル 使い捨て簡易歯ブラシ
KR20000065340A (ko) * 1999-04-01 2000-11-15 박충서 칫솔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440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351B2 (ja) 歯ブラシ
CN105899102B (zh) 具有倾斜刷毛的牙刷
ES2511565T3 (es) Sistema para el cuidado bucal
US6546586B2 (en) Toothbrush with flossing functionality
US4628564A (en) Toothbrush
US8342193B2 (en) Flexible dental floss applicator and interdental gum stimulator
JP2008006281A (ja) 歯ブラシの柄
CA2833721C (en) Tooth cleaning device with sectioned pad
RU2297196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орпус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убной щетки
BRPI0711267A2 (pt) implemento para cuidado oral
CN105792704B (zh) 口腔护理器具
TW201507662A (zh) 口腔保健器具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KR20120096936A (ko) 복합 연성조직 클리너 부품을 가진 구강 관리기구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CN106343703B (zh) 幼童牙刷组件与方法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KR100403816B1 (ko)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KR20090008288U (ko) 칫솔
WO2008096960A1 (en) Tool for cleansing scalp
JPH08112143A (ja) 口腔洗浄用ブラシ
KR100350325B1 (ko) 유연한 손잡이를 갖는 칫솔
KR20040077155A (ko) 잇몸보호 기능을 가지는 피넛 헤드 형태의 칫솔
KR200404379Y1 (ko) 치솔대가 없는 일회용 치솔
KR100713990B1 (ko) 유연한 헤드를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