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340A - 칫솔대 - Google Patents

칫솔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340A
KR20000065340A KR1019990011523A KR19990011523A KR20000065340A KR 20000065340 A KR20000065340 A KR 20000065340A KR 1019990011523 A KR1019990011523 A KR 1019990011523A KR 19990011523 A KR19990011523 A KR 19990011523A KR 20000065340 A KR20000065340 A KR 20000065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fluid
handle
head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서
신흥진
Original Assignee
박충서
신흥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충서, 신흥진 filed Critical 박충서
Priority to KR101999001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5340A/ko
Publication of KR2000006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3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칫솔대에 따르면,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내부에 판스프링을 매설하여 양치시 연결부가 부러지지 않도록 하여 견고성을 증대시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손잡이부를 투명재질로 하되 그 내부에 별도의 장식수단를 구비하여 시각적 효과가 미려하게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및 디자인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칫솔대 {TOOTH BRUSH}
본 발명은 칫솔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내부에 판스프링을 매설하여 양치시 연결부가 부러지지 않도록 하여 견고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손잡이부를 투명재질로 하되 그 내부에 별도의 장식수단를 구비하여 시각적 효과가 미려하게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및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칫솔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칫솔대는 손잡이부와, 칫솔모가 설치되는 헤드부와,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은 대부분 합성수지재이며, 그 제작 방법은 사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칫솔대의 구성중 연결부가 손잡이부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와 헤드부에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양치시 탄성이 부족하여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칫솔대는 대부분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 측면에서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내부에 판스프링을 매설하여 양치시 연결부가 부러지지 않도록 하여 견고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손잡이부를 투명재질로 하되 그 내부에 별도의 장식수단를 구비하여 시각적 효과가 미려하게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및 디자인을 향상시킨 칫솔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칫솔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칫솔대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칫솔대 2 : 칫솔모
3 : 판스프링 11 : 헤드부
12 : 연결부 13 : 손잡이부
13a' : 유체 주입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칫솔대는, 소정량의 유체가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되,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주입구가 형성된 투명 재질의 손잡이부와;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내부에 매설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칫솔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1)는 소정 길이의 손잡이부(13)와, 칫솔모(2)가 형성되는 헤드부(11)와, 이 헤드부(11)와 손잡이부(1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손잡이부(13)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13c)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3c)에는 소정량의 유체(f)가 주입된다.
여기서, 유체(f)의 양을 상기 손잡이부(13)의 공간부(13c)를 가득 채우지 않을 정도만큼 주입하되, 그 나머지 부분에는 공기 방울이 존재하도록 주입한다.
손잡이부(13)에는 유체(f)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체 주입공(13a')이 형성되며, 유체(f)의 주입을 완료한 후에 유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유체 주입공(13b)에는 유체 누수 방지부재(4)가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처럼 두개의 상,하 부재(13a,13b)로 분리 구성되며, 이 상,하 부재(13a,13b)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는 각각 오목한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 부재(13a,13b)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홈부는 서로 마주보게 되어 결국에는 전술한 공간부(13c)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주입공(13a')은 상기 상,하 부재(13a,13b)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유체(f)는 외부에서 손잡이부(13)를 통해 투시할때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느낄수 있도록 임의의 색깔을 혼합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f)를 물로 사용하되 임의의 색깔을 갖는 반짝이(5)를 혼합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유체(f) 및 반짝이(5)는 손잡이부(13)의 내부에 구비되는 장식수단 역할을 하게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칫솔대를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여줌에 따라 투명재질로된 손잡이부 내부 공간부(13c)에 수용된 유체(f)가 유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유체(f)에 섞인 반짝이(5)도 함께 움직이게 되며, 사용자는 움직이는 반짝이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양치의 습관이 들지 않은 유아들에게 본 발명의 칫솔을 사용하도록 하면, 양치시 손잡이부(13)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반짝이(5)에 매료되어 식후마다 양치를 하려고 하는 습관이 생기게 되어 치아의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12)의 내부에는 판스프링(3)이 매설되는 데, 이 판스프링(3)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연결부(12)는 탄성을 갖게된다.
즉, 사용자가 무리한 힘으로 양치를 하더라도 연결부(12)는 도 3에서처럼, 판스프링(3)이 탄성적으로 휘어질때 함께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되어 종래에서처럼 손잡이부(13)와 헤드부(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2)가 부러지지 않게되며, 이에 따라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연결부(12)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할하게 양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칫솔대에 따르면,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내부에 판스프링을 매설하여 양치시 연결부가 부러지지 않도록 하여 견고성을 증대시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손잡이부를 투명재질로 하되 그 내부에 별도의 장식수단를 구비하여 시각적 효과가 미려하게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및 디자인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1)

  1. 소정량의 유체가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13c)가 형성되되, 상기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주입구(13a')가 형성된 투명 재질의 손잡이부(13)와;
    칫솔모(2)가 형성되는 헤드부(11)와;
    상기 헤드부(11)와 상기 손잡이부(1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2)와;
    상기 연결부(12)의 내부에 매설되는 판스프링(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
KR1019990011523A 1999-04-01 1999-04-01 칫솔대 KR20000065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523A KR20000065340A (ko) 1999-04-01 1999-04-01 칫솔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523A KR20000065340A (ko) 1999-04-01 1999-04-01 칫솔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340A true KR20000065340A (ko) 2000-11-15

Family

ID=1957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523A KR20000065340A (ko) 1999-04-01 1999-04-01 칫솔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53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16B1 (ko) * 2001-08-16 2003-10-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KR20190057666A (ko) * 2017-11-20 2019-05-29 황인창 칫솔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16B1 (ko) * 2001-08-16 2003-10-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KR20190057666A (ko) * 2017-11-20 2019-05-29 황인창 칫솔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7940B1 (en) Toothbrush
RU2322165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захватываемой областью
EP3223651B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20070186453A1 (en) Souvenir toiletry article, including a toothbrush, flosser, hair comb or hair brush
KR101451488B1 (ko) 손잡이내에 배치되는 본체를 갖는 구강 관리 기구
BR9509283A (pt) Escova de dentes
DE50107557D1 (de) Zahnbürste mit Massageelement
EP3223652B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BR0013985A (pt) Escova de dentes, e, uso da mesma
BR112019010144A2 (pt) instrumento para cuidados pessoais com cabeça de substituição
US6085379A (en) Mouthbrush adapted for use with liquid cleanser paste
CN107105874B (zh) 具有多部件柄部的口腔护理器具
EP1545264A2 (en) Toothbrush with transparent handle
WO2006060635A2 (en) Souvenir toiletry article, including a tootbrush, flosser, hair comb or hair brush
CN103249366A (zh) 口腔护理器具
KR20000065340A (ko) 칫솔대
KR200205511Y1 (ko) 칫솔
KR100731958B1 (ko) 칫솔
KR200376308Y1 (ko) 1회용 치약.물이 내장된 치솔
KR20160148162A (ko) 일체형 치약칫솔
KR200321229Y1 (ko) 2개 칫솔
KR200288798Y1 (ko) 개량 방 빗자루 커버
KR20000006965U (ko) 치약 공급 기능을 갖는 피스톤 칫솔
KR20040041002A (ko) 입솔
BR7800605U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vassouras de cerdas para limpeza de pisos ou outr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