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165A - 수지 조성물,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성형품 및 성형품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성형품 및 성형품의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9165A KR20230119165A KR1020237022905A KR20237022905A KR20230119165A KR 20230119165 A KR20230119165 A KR 20230119165A KR 1020237022905 A KR1020237022905 A KR 1020237022905A KR 20237022905 A KR20237022905 A KR 20237022905A KR 20230119165 A KR20230119165 A KR 202301191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composition
- resin
- mass
- unit
- unit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플로 마크가 발생하기 어려운 다층체를 제공 가능한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및 성형품을 제공한다.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수지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가 55질량% 이상이고,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측정한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가 135℃ 이상이고, 수지 조성물을 3mm 두께의 ISO 시험편으로 성형했을 때의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가 10.0kJ/m2 이상이고,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는, JIS K 7111-1에 있어서, ISO 시험편의 두께를 4mm로부터 3mm로 변경하고, 그 외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측정한 값이며, 수지 조성물의 240℃, 1220초-1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가 500Pa·s 이하인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 수지는, 우수한 투명성과 성형 가공성을 갖고, 표면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광학 재료로서 많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하기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A) 10∼70질량부와, 스타이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B) 90∼30질량부로 이루어지고, ASTM D1003에 기초하여 측정된 2mm 두께의 헤이즈가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A):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단량체 단위 60∼100질량%와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 40∼0질량%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스타이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B):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 75∼95질량%와 무수 말레산 25∼5질량%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한편으로, 아크릴 수지는 재료 인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투명성과 재료 인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공압출에 의해 다층 필름·시트를 제작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여기에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의 다층체로 해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 크랙이 발생하거나, 플로 마크가 발생해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35℃ 정도의 고온에서 성형했을 때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플로 마크가 발생하기 어려운 다층체를 제공 가능한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하에,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이용하고, 또한 수지 조성물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샤르피 충격 강도를 높게, 추가로 용융 점도를 낮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는 해결되었다.
<1>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가 55질량% 이상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측정한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가 135℃ 이상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3mm 두께의 ISO 시험편으로 성형했을 때의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가 10.0kJ/m2 이상이고, 상기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는, JIS K 7111-1에 있어서, ISO 시험편의 두께를 4mm로부터 3mm로 변경하고, 그 외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측정한 값이며, 상기 수지 조성물의 240℃, 1220초-1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가 500Pa·s 이하인 수지 조성물.
<2> 상기 수지 조성물을 두께 1mm의 시험편으로 성형했을 때의 헤이즈가 5.0% 이하인,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3> 상기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측정한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가 140℃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상기 수지 조성물이,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a)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서 스타이렌 수지(b)를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상기 아크릴 수지(a)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단위, 및 글루타르이미드 단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4>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6> 상기 아크릴 수지(a)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4>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7> 상기 아크릴 수지(a)가,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8> 상기 아크릴 수지(a)가,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및/또는,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9> 상기 아크릴 수지(a)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37∼96질량%,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1∼60질량%, 및,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3∼74질량% 포함하는(단,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합계가 10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4>∼<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0>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포함하는, <4>∼<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1>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68∼84질량%,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16∼32질량% 포함하는(단,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의 합계가 10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4>∼<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2>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스타이렌 단위를 포함하는, <4>∼<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3>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무수 말레산 단위를 포함하는, <4>∼<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4> 아크릴 수지(a)와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부를 기준으로 해서, 아크릴 수지(a)의 함유량은 15∼85질량부이고,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은 15∼85질량부인, <4>∼<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5> 추가로 산화 방지제 및/또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6> <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평판상 성형체.
<17> 두께가 10∼5,000μm인, <16>에 기재된 평판상 성형체.
<18> <16> 또는 <17>에 기재된 평판상 성형체를 포함하는 다층체.
<19> <16> 또는 <17>에 기재된 평판상 성형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다층체.
<20> 추가로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 상기 평판상 성형체, 상기 하드 코트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19>에 기재된 다층체.
<21> 추가로 상기 다층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내지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방현 처리, 내후성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방오염 처리 및 안티블로킹 처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실시되어 있는, <18>∼<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체.
<22> <18>∼<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체로 형성된 성형품으로서, 곡률 반경이 50mmR 이하인 부위를 갖는, 성형품.
<23> <18>∼<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체를 133∼143℃에서 열굽힘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플로 마크가 발생하기 어려운 다층체를 제공 가능한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및 성형품을 제공 가능해졌다. 특히, 135℃ 정도의 고온에서 성형하더라도, 다층체에 크랙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반사 방지 필름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간단히 「본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종 물성치 및 특성치는, 특별히 기술하지 않는 한, 23℃에 있어서의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기(원자단)의 표기에 있어서, 치환 및 비치환을 기재하고 있지 않은 표기는, 치환기를 갖지 않는 기(원자단)와 함께 치환기를 갖는 기(원자단)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알킬기」란, 치환기를 갖지 않는 알킬기(비치환 알킬기)뿐만 아니라,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치환 알킬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환 및 비치환을 기재하고 있지 않은 표기는, 비치환 쪽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아크릴 화합물 및 메타크릴 화합물의 쌍방, 또는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메타크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 더하여,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판상 성형체 및 다층체는, 각각, 필름 또는 시트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취지이다. 「필름」 및 「시트」란, 각각, 길이와 폭에 대해서, 두께가 얇고, 대체로 평평한 성형체를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필름」 및 「시트」는, 단층이어도 다층이어도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질량부」란 성분의 상대량을 나타내고, 「질량%」란 성분의 절대량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나타내는 규격이 연도에 따라, 측정 방법 등이 상이한 경우, 특별히 기술하지 않는 한, 출원 시점에 있어서의 규격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가 55질량% 이상이고,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측정한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가 135℃ 이상이고, 수지 조성물을 3mm 두께의 ISO 시험편으로 성형했을 때의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가 10.0kJ/m2 이상이고, 상기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는, JIS K 7111-1에 있어서, ISO 시험편의 두께를 4mm로부터 3mm로 변경하고, 그 외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측정한 값이며, 수지 조성물의 240℃, 1220초-1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가 500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플로 마크가 발생하기 어려운 다층체를 제공 가능한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특히, 135℃ 정도의 고온에서 성형하더라도, 크랙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갖는 다층체는, 125℃ 정도에서도 열굽힘할 수 있지만, 135℃ 이상이면, 열굽힘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수지의 응력 완화가 빨라져, 스프링백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
상기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다고 추정된다. 즉,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하고, 또한 소정의 샤르피 충격 강도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를 낮게 하는 것에 의해, 플로 마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과, 다른 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다층 압출하면,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과 다른 수지 성분이 합류하는 지점이 있다. 이때, 수지의 용융 점도에 차이가 지나치게 크면, 흐름 불량을 야기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를, 아크릴 수지와 공압출되는 수지의 용융 점도에 가깝게 하는 것에 의해, 흐름 불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플로 마크를 억제할 수 있었다고 추측된다.
<수지>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가 55질량% 이상이다.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연필 경도 및 내충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고,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굴절률이 향상되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다른 수지층과의 다층체로 했을 때의 간섭 무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 중의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를 5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수지의 연필 경도와 고굴절률화가 달성된다. 여기에서,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란, 수지 중의 (메트)아크릴 화합물로 구성되는 구성 단위를 말하고,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란, 수지 중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로 구성되는 구성 단위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a)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스타이렌 수지(b)의 블렌딩물이어도 되고,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a)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스타이렌 수지(b)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와 스타이렌 수지(b)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를 효과적으로 낮게 하면서,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우선, (메트)아크릴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트)아크릴 화합물로서는,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한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식(a1) 중, Ra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a2는, 지방족기이다.)
상기 식(a1)에 있어서, Ra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Ra2는, 지방족기이며, 직쇄 또는 분기의 지방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쇄의 지방족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족기는, 알킬기(사이클로알킬기를 포함한다), 알킨일기(사이클로알킨일기를 포함한다), 알켄일기(사이클로알켄일기를 포함한다) 등이 예시되며,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직쇄의 알킬기가 더 바람직하다. Ra2인 지방족기의 탄소 원자수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 또는 2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식(a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바람직하게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평판상 성형체의 충격 강도와 연필 경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은, 바이닐기와 방향환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은, CH2=CH-L1-Ar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L1은 단일 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이며, 단일 결합 또는 식량 100∼500의 2가의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일 결합 또는 식량 100∼300의 2가의 연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단일 결합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L1이 2가의 연결기인 경우,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와 -O-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식량이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의 L1에 상당하는 부분의 1몰당의 질량(g)을 의미한다. 이하, 다른 「식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한다. Ar1은 방향환기이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젠환기 또는 나프탈렌환(바람직하게는 벤젠환)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치환된 벤젠환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은 식(b1)로 표시되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b1)
[화학식 2]
(식(b1) 중, Ra3은, 치환기이며, na는, 0∼6의 정수이다.)
식(b1) 중, Ra3은, 치환기이며, 할로젠 원자(바람직하게는, 염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브로민 원자), 수산기,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아릴기(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알켄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켄일기),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 아릴옥시기(바람직하게는 페녹시기)가 예시된다. na가 2 이상일 때, 복수의 Ra3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na는, 5 이하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하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의 정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 이하의 정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1 이하의 정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0인 것이 더 한층 바람직하다.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은, 분자량 104∼600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 104∼400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o-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바이닐자일렌, 에틸스타이렌, 다이메틸스타이렌, p-tert-뷰틸스타이렌, 바이닐나프탈렌, 메톡시스타이렌, 모노브로모스타이렌, 다이브로모스타이렌, 플루오로스타이렌, 트라이브로모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모노머(스타이렌 유도체)를 들 수 있고, 특히 스타이렌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질량 비율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질량 비율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 100질량부에 대해,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가, 2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70질량부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7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굴절률 향상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적층했을 때의 간섭 무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질량 비율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 100질량부에 대해,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가, 25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0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80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7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평판상 성형체의 충격 강도와 내찰상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는, 각각,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아크릴 수지(a)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 중의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의 비율은,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50질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5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65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7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내찰상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a) 중의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의 비율의 상한치는,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8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 이외의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이외의 모노머로서,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이 예시된다.
다른 모노머 단위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구조 단위, 락톤환 구조 단위, 및 지방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가 예시된다.
다른 모노머 단위의 바람직한 일례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환상 산 무수물 단위, 락톤환 구조 단위, 및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다른 모노머 단위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는,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단위, 글루타르이미드 단위, 및 락톤환 구조 단위 중 적어도 1종이다.
다른 모노머 단위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는, 환상 산 무수물 단위,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른 모노머 단위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른 모노머 단위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및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 수지(a)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상세는, 전술한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스타이렌 수지와의 상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4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이 25질량% 이하, 20질량% 이하, 10질량% 이하, 7질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내찰상성이나 내충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a)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산 무수물 단위는, 무수 말레산 단위, 글루타르산 무수물 단위가 예시되고, 무수 말레산 단위가 바람직하다. 환상 산 무수물 단위, 특히 말레산 단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스타이렌 수지(b)와의 상용성의 향상 효과 및 내열성의 향상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상기 아크릴 수지(a)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스타이렌 수지(b)와의 상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a)는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드 구조 단위로서,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를 들 수 있다.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는,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 N-벤질말레이미드, N-(4-카복시페닐)말레이미드가 예시되고,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및/또는,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18-009144호 공보의 단락 0030∼0034의 기재를 참작할 수 있고,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18-009144호 공보의 단락 0040∼0047의 기재를 참작할 수 있고,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크릴 수지(a)가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특히,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및/또는,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 및 스타이렌 수지(b)와의 상용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상기 아크릴 수지(a)가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바람직하게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바람직하게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4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이 25질량% 이하, 20질량% 이하, 10질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내충격성이나 내찰상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a)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톤환 구조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18-009144호 공보의 단락 0048∼0050의 기재를 참작할 수 있고,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상기 아크릴 수지(a)가 락톤환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락톤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a)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스타이렌 수지(b)와의 상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a)는 락톤환 단위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제1 실시형태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37∼96질량%,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를 1∼60질량%,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단위, 및 락톤환 구조 단위의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3∼74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48∼93질량%,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2∼45질량%,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단위, 및 락톤환 구조 단위의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7∼50질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단위, 및 락톤환 구조 단위의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합계가 10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단위, 및 락톤환 구조 단위의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합계가, 아크릴 수지(a)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아크릴 수지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ax)의 블렌딩물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플로 마크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에 더하여, 고온 고습 후의 휨이 발생하기 어려운 다층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아크릴 수지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ax)의 블렌딩 비율(질량 비율)은, 1∼10:1인 것이 바람직하고, 2∼9: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8:1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7:1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4∼6:1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는,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33℃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성형 시의 크랙 발생 방지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는,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40℃ 이하여도 된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성형 시의 스프링백의 억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이 아크릴 수지(a)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아크릴 수지(a)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는, 혼합물의 Tig로 한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다(이하, 중량 평균 분자량, 연필 경도, 및, 스타이렌 수지(b)의 유리 전이 온도, 중량 평균 분자량, 연필 경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20,00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50,000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평판상 성형체의 충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25,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10,000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2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를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연필 경도는, HB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평판상 성형체의 표면 경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a)의 연필 경도는, 2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타이렌 수지(b)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서 스타이렌 수지(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이렌 수지(b)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로서, 스타이렌 단위, α-메틸스타이렌 단위, o-메틸스타이렌 단위, p-메틸스타이렌 단위 등의 스타이렌계 모노머 단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이며, 스타이렌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이렌 수지(b) 중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계 모노머 단위)의 비율은,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50질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5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65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7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굴절률 향상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적층했을 때의 간섭 무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스타이렌 수지(b) 중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비율의 상한치는,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100질량%이다.
스타이렌 수지(b)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이렌 수지(b)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이외의 모노머 단위, 및 스타이렌계 모노머 단위 이외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이외의 모노머이고,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이 예시된다.
다른 모노머 단위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환상 산 무수물 단위,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사이안화 알켄일 단위가 예시되고, 환상 산 무수물 단위가 바람직하다.
환상 산 무수물 단위는, 무수 말레산 단위, 글루타르산 무수물이 예시되고, 무수 말레산 단위가 바람직하다. 환상 산 무수물 단위, 특히 말레산 단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스타이렌 수지(b)의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스타이렌 수지(b)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16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스타이렌 수지(b) 중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3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6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아크릴 수지와의 상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전체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 수지(b)는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이렌 수지(b)는,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 단위)를 68∼84질량%,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단위)를 16∼32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70∼83질량%,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17∼30질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의 합계가 10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의 합계는, 스타이렌 수지(b)의 말단기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9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이렌 수지(b)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는,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43℃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성형 시의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이렌 수지(b)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는,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시에 있어서의 스프링백의 억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스타이렌 수지(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0,00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60,000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평판상 성형체의 충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이렌 수지(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0,000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80,00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70,000 이하여도 된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를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 수지(b)의 연필 경도는, B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HB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평판상 성형체의 표면 경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이렌 수지(b)의 연필 경도는, 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HB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 수지(a)와 스타이렌 수지(b)의 블렌딩 형태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크릴 수지(a)와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부를 기준으로 해서, 아크릴 수지(a)의 함유량은 15∼85질량부이고,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은 15∼8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a)의 함유량은 20∼80질량부이고,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은 80∼2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아크릴 수지(a)의 함유량은 30∼70질량부이고,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은 70∼30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내찰상성과 내충격성, 내열성이 양립되고, 열굽힘 성형 시에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가 55질량% 이상이며, 6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73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연필경도나 고굴절률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는, 9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80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다른 단위에 의한 수지 조성물 전체의 내열성이나 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a) 및 스타이렌 수지(b))가 수지 조성물의 9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4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7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는, 수지 조성물의 99.9질량%여도 된다.
또한,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 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등이 예시된다.
<산화 방지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아민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싸이오에터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계 산화 방지제 및 페놀계 산화 방지제(보다 바람직하게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인계 산화 방지제는, 성형품의 색상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인계 산화 방지제는, 포스파이트계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고, 이하의 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포스파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식(1)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4]
(식(2) 중, R13∼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1) 중, R11, R12로 표시되는 알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0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1, R12가 아릴기인 경우, 이하의 식(1-a), (1-b), 또는 (1-c)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릴기가 바람직하다. 식 중의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화학식 5]
(식(1-a) 중,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1-b) 중,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18-090677호 공보의 단락 0063, 일본 특허공개 2018-188496호 공보의 단락 0076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산화 방지제는, 상기 외, 일본 특허공개 2017-031313호 공보의 단락 0057∼0061의 기재를 참작할 수 있고,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8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의 상한치로서는,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5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3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0.15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0.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한층 바람직하며, 0.08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한층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을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색상, 내열변색성이 보다 양호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을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내열변색성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습열 안정성이 양호한 평판상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1종만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이용해도 된다. 2종 이상 이용하는 경우는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이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평판상 성형체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형제의 종류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지방족 카복실산, 지방족 카복실산과 알코올의 에스터, 수 평균 분자량 200∼15,000의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수 평균 분자량 100∼5,000의 폴리에터, 폴리실록세인계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제의 상세는, 국제 공개 제2015/190162호의 단락 0035∼0039의 기재를 참작할 수 있고,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이형제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는,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형제는, 1종만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이용해도 된다. 2종 이상 이용하는 경우,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 상기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난연제, 난연 조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방담제, 유동성 개량제, 가소제, 분산제, 항균제, 안티블로킹제, 충격 개량제, 접동 개량제, 색상 개량제, 산 트랩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성분은, 1종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의 함유량은, 함유하는 경우, 합계로 수지 조성물의 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물성>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한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가 135℃ 이상이며, 13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8℃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39℃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140℃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습열 시험, 고온 시험 등의 내환경 시험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의 상한치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145℃ 이하가 실제적이고, 144℃ 이하, 더욱이 143℃ 이하여도 된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시에 있어서의 스프링백의 억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한 중간 유리 전이 온도(Tmg)가 13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1℃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42℃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43℃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습열 시험, 고온 시험 등의 내환경 시험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중간 유리 전이 온도(Tmg)의 상한치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149℃ 이하가 실제적이고, 148℃ 이하, 더욱이 147℃ 이하여도 된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시에 있어서의 스프링백의 억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유리 전이 온도(Tig, Tmg)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수지의 원료 모노머를 조정하는 것이 예시된다. 또한, 수지의 분자량을 높게 하는 것도 들 수 있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일반적으로 원료 모노머와 분자량에 의해 정해지며,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240℃, 1220초-1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가 500Pa·s 이하이다. 상기 용융 점도는, 495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90Pa·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85Pa·s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480Pa·s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 점도의 하한치는, 250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Pa·s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0Pa·s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75Pa·s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400Pa·s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플로 마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용융 점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따라 측정된다.
용융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수지의 분자량을 조정하는 것이나, 수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저분자량 화합물을 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1mm의 두께로 성형했을 때의 헤이즈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4%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0.2%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하한치는, 0%가 이상이지만, 0.01% 이상이 실제적이다.
헤이즈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따라 측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연필 경도가 높은(단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1mm의 두께로 성형하고, JIS K5600-5-4:1999에 준거해서, 연필 경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750g 하중에서 측정한 연필 경도가, 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필 경도를 F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다층체 전체의 경도를 높일 수 있어,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한은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3H 이하가 실제적이다.
연필 경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따라 측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충격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JIS K 7111-1에 있어서, ISO 시험편의 두께를 4mm로부터 3mm로 변경하고, 그 외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측정한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가, 10.0kJ/m2 이상이며, 10.2kJ/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kJ/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20.0kJ/m2 이하가 실제적이고, 13.0kJ/m2 이하여도 충분히 요구 성능을 만족시킨다.
샤르피 충격 강도를 높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 공지된 내충격성이 높은 수지를 배합하는 것, 분자량이 높은 수지를 채용하는 것, 고무 등의 내충격 개질제를 배합하는 것 등이 예시된다.
<평판상 성형체>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평판상 성형체로 가공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는,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는, 내습열성이 우수하다.
평판상 성형체로서는, 플레이트, 필름, 시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평판상 성형체는, 상세를 후술하는 대로, 다른 기재 등에 적층된 다층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는, 다층체의 일부에 짜넣어진 후에, 굽힘 가공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평판상 성형체의 두께는, 하한치가, 예를 들면, 1μm 이상이며, 1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0μm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100μm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성형이 보다 용이해짐과 함께, 경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판상 성형체의 두께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5,0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0μm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3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특히, 상세를 후술하는 대로, 평판상 성형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두께의 합계에 대해, 평판상 성형체가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다층체를 가열 성형하더라도, 크랙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스프링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는, 사출 성형이나 T 다이에 의한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다.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는, JIS K5600-5-4:1999에 준거해서, 연필 경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750g 하중에서 측정한 연필 경도가, 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필 경도를 F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다층체 전체의 경도를 높일 수 있어,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한은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3H 이하가 실제적이다.
연필 경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따라 측정된다.
<다층체>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다층체는 표면 경도가 우수한 것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을 갖는 다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은, 통상, 다층체의 기재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추가로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 상기 평판상 성형체, 상기 하드 코트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 코트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측에도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평판상 성형체 사이, 및 평판상 성형체와 하드 코트층 사이에는, 본 실시형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상기 하드 코트층 상이고, 기재(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와는 반대측의 면에, 저굴절률층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층체는,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반사 방지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1은 기재(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를, 2는 평판상 성형체를, 3은 하드 코트층을, 4는 반사 방지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는, 기재(1), 평판상 성형체(2), 하드 코트층(3) 및 반사 방지층(4)이,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층체가 다른 층을 갖고 있는 경우의 태양으로서는, 상기 다층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내지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방현 처리, 내후성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방오염 처리 및 안티블로킹 처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다층체의 최표면의 일례로서, 하드 코트층을 들 수 있다. 또한, 안티블로킹 처리란, 필름끼리가 밀착하더라도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를 말하고, 안티블로킹제를 첨가하는 것, 다층체의 표면에 요철을 마련하는 것 등이 예시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에는, 상기 외,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층, 점착층, 방오층 등이 예시된다.
다음으로, 기재(1)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재(1)는,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에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는 한, 공지된 기재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기재가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에 의한 복합 기재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에 있어서, 기재(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비율은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란, 비스페놀 A 및 그 유도체 유래의 카보네이트 구성 단위를 갖는 수지를 말하고, 하기 식(B-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의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화학식 6]
식(B-1) 중, X1은 하기 구조를 나타낸다.
[화학식 7]
R5 및 R6은,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며, 적어도 한쪽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이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B-1)은 하기 식(B-2)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8]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있어서의, 식(B-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양 말단을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 중, 7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몰%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몰%가 식(B-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여도 된다.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 말단을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가 식(B-1)의 구성 단위로 구성된 수지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의 실질적으로 양 말단을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란, 양 말단을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99.0몰% 이상인 것을 의미하며, 99.5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9.9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 및 그 유도체 유래의 카보네이트 구성 단위 이외의 다른 구성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다른 구성 단위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8-154819호 공보의 단락 0014에 기재된 방향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말단 구조로서는, 알킬기 치환 페녹시기 및 알콕시카보닐페녹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 치환 페녹시기가 갖는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킬기 치환 페녹시기로서는, m-메틸페녹시기, p-메틸페녹시기, m-프로필페녹시기, p-프로필페녹시기, p-tert-뷰틸페녹시기가 예시된다.
상기 알콕시카보닐페녹시기가 갖는 알콕시기의 탄소 원자수는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보닐페녹시기로서는, 내열성의 관점에서는, 탄소 원자수 1∼10의 알콕시카보닐페녹시기가 바람직하고, p-tert-뷰틸페녹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는, 140∼1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예를 들면, 계면 중합법, 용융 에스터 교환법, 피리딘법,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개환 중합법, 프리폴리머의 고상 에스터 교환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상세는, 일본 특허공개 2019-035001호 공보의 단락 0040∼0073의 기재, 일본 특허공개 2018-103518호 공보의 단락 0016∼0043의 기재를 참작할 수 있고,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기재(1)에는, 원하는 여러 물성을 현저히 해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서, 각종 수지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이형제, 난연제, 적하 방지제, 염료 및 안료(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대전 방지제, 방담제, 안티블로킹제, 유동성 개량제, 가소제, 분산제,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수지 첨가제는 1종이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임의의 조합 및 비율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1)는 단층이어도 되지만, 다층이어도 된다.
기재(1)(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1μm 이상이며, 3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μm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100μm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300μm 이상인 것이 더 한층 바람직하고, 500μm 이상인 것이 특히 한층 바람직하고, 700μm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1)의 두께는, 10,0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μm 이하여도 되고, 2,500μm 이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판상 성형체 및 기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때, 평판상 성형체와 기재(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두께의 관계성은, 평판상 성형체의 두께/[평판상 성형체와 기재의 합계 두께]<1/5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평판상 성형체가 다층체 전체로서 얇은 것이 되기 때문에, 다층체를 가열 성형하더라도, 크랙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스프링백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층체를 절곡했을 때에, 다층체 전체에 남아 있는 굽힘에 대한 잔류 응력을 완화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재뿐만 아니라, 평판상 성형체에 대해서도 잔류 응력을 완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판상 성형체와 기재가 상기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평판상 성형체에서 유래하는 잔류 응력이 완화되기 쉬워져, 스프링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평판상 성형체의 두께/[평판상 성형체와 기재의 합계 두께]<1/6이 보다 바람직하고, 평판상 성형체의 두께/[평판상 성형체와 기재의 합계 두께]<1/8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1/35<평판상 성형체의 두께/[평판상 성형체와 기재의 합계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평판상 성형체의 두께/[평판상 성형체와 기재의 합계 두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판상 성형체와 기재가 전술한 소정의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를, 또한, 다층체가 후술하는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시키면서, 상기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판상 성형체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와 기재(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와 열굽힘 성형 온도(℃)가 이하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상 성형체의 Tig≥열굽힘 성형 온도(℃)>[기재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15℃]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판상 성형체의 Tig>열굽힘 성형 온도(℃)>[기재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15℃]
더 바람직하게는,
평판상 성형체의 Tig>열굽힘 성형 온도(℃)>[기재의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10℃]
로 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백의 억제와 크랙의 발생 억제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평판상 성형체(아크릴 수지층)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체의 고습 열처리 전후의 휨 변화량은, 700μ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μm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휨 변화량의 하한은 0μm가 이상이지만, 1μm 이상이 실제적이다.
휨 변화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따라 측정된다.
다음으로, 하드 코트층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는 하드 코트층은, 기재(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보다도, 표면 경도가 높은 층이다. 이와 같은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다층체 내지 성형품의 표면 경도를 높일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0.5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μm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5μm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하드 코트층에 의한 다층체 전체의 연필 경도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상한은, 2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μm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8μm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시의 가공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하드 코트층은, 열경화 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가 가능한 하드 코트 재료를 도포 후, 경화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도료의 일례로서는, 1작용 혹은 다작용(바람직하게는 2∼10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 등의 단독 혹은 복수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작용 혹은 다작용(바람직하게는 2∼10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조성물에는, 경화 촉매로서 광중합 개시제가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형 수지 도료로서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계, 가교형 아크릴계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 또는 시트용 하드 코트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도 있으며, 도장 라인과의 적정을 가미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하드 코트층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13-020130호 공보의 단락 0045∼0055의 기재, 일본 특허공개 2018-103518호 공보의 단락 0073∼0076의 기재, 일본 특허공개 2017-213771호 공보의 단락 0062∼0082의 기재를 참작할 수 있고,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의 총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층 두께가 두꺼운 편이, 다층체로서의 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층체의 총두께는, 10,0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μm 이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층 두께로 함으로써, 다층체 성형 시에 있어서, 롤 사이에서 다층 시트를 압착시켜, 수지를 냉각할 때에, 다층 체 내부까지 수지가 냉각되기 때문에, 다층체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메인 압출기와,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서브 압출기를 이용하여, 각각 이용하는 수지의 조건에서 수지를 용융하여 압출 다이로 유도하고, 다이 내부에서 적층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하거나, 혹은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에 적층함으로써 다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를 이용한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품은,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로 형성된 성형품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또한 열굽힘 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굴곡부를 갖는 용도에도 적합하다. 예를 들면, 곡률 반경이 50mmR 이하(바람직하게는 곡률 반경이 40∼50mmR)인 부위를 갖는 성형품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품은,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를 130∼150℃(바람직하게는 133∼143℃)에서 열굽힘 성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열굽힘 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곡률 반경이 50mmR 이하인 부위를 갖는 성형품으로 했을 때에, 특히 유익하다. 또, 스프링백이나 크랙의 발생의 관점에서 13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수지의 응력 완화가 빨라져, 스프링백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굽힘 온도는, 14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3℃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용도>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및 성형품은, 광학 부품이나 의장 제품, 반사 방지 성형품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및 성형품은, 표시 장치, 전기 전자 기기, OA 기기, 휴대 정보 단말, 기계 부품, 가전제품, 차량 부품, 각종 용기, 조명 기기 등의 부품 등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각종 디스플레이, 전기 전자 기기, OA 기기, 휴대 정보 단말 및 가전제품의 하우징체, 조명 기기 및 차량 부품(특히, 차량 내장 부품), 스마트폰이나 터치 패널 등의 표층 필름, 광학 재료, 광학 디스크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성형품은, 터치 패널의 센서용 필름이나 각종 디스플레이의 반사 방지 성형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수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정 기기 등이 생산 중단 등에 의해 입수 곤란한 경우, 다른 동등한 성능을 갖는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원료>
아크릴 수지(MMA계 수지)
(A1) 닛폰 쇼쿠바이제, PML203, 스타이렌:N-페닐말레이미드: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MMA(메타크릴산 메틸)의 질량비=6질량%:19질량%:4질량%:71질량%, Tig: 135℃, 중량 평균 분자량: 189,000, 연필 경도: H
(A2) 알케마사제, ALTUGLAS(등록상표) V020, MMA:아크릴산 메틸=97질량%:3질량%, Tig: 109℃, 중량 평균 분자량: 127,000, 연필 경도: 3H
(A3) 다이셀 에보닉제, PLEXIMIDE TT50, MMA와, 글루타르이미드 구조 단위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MMA:글루타르이미드=24질량%:67질량%),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 152℃, 중량 평균 분자량: 90,200, 연필 경도: H
스타이렌 수지(St-MAH 공중합체(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B1) Polyscope사제, XIRANSO23110, 스타이렌:무수 말레산=77질량%:23질량%,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 145℃, 중량 평균 분자량: 74,300, 연필 경도: HB
(B2) Polyscope사제, XIRANSO26080, 스타이렌:무수 말레산=74질량%:26질량%,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 150℃, 중량 평균 분자량: 47,600, 연필 경도: HB
St-MMA-MAH 공중합체
(C) 덴카 주식회사제, R-200, 스타이렌:무수 말레산:메타크릴산 메틸=55질량%:19질량%:26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123,000, Tig: 124℃
(D) 산화 방지제: 아데카스탭 PEP-36, 하기 화합물, tBu는, t-뷰틸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9]
(E) 이형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리켄 비타민 주식회사제, 리케말 S-100A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
(F) 말단기가 p-t-뷰틸페녹시기인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주식회사제, E-2000F, 중량 평균 분자량: 53,000,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 149℃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
각종 수지 및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하기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측정) 조건대로, 승온, 강온을 2사이클 행하여, 2사이클째의 승온 시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했다.
저온측의 베이스라인을 고온측으로 연장한 직선과, 변곡점의 접선의 교점을 개시 유리 전이 온도(Tig)로 하고, 고온측의 베이스라인을 저온측으로 연장한 직선과, 변곡점의 접선의 교점을 종료 유리 전이 온도로 하고, 개시 유리 전이 온도와 종료 유리 전이 온도의 중간 지점을 중간 유리 전이 온도(Tmg)로 했다. 측정 개시 온도: 30℃, 승온 속도: 10℃/분, 도달 온도: 250℃, 강온 속도: 20℃/분으로 했다. 단위는, ℃로 나타냈다.
측정 장치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사제, 「DSC7020」)를 사용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각종 수지 및 수지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는, LC-20AD system(시마즈 제작소사제)을 이용하고, 칼럼으로서, LF-804(Shodex사제)를 접속하여 이용했다. 칼럼 온도는 40℃로 했다. 검출기는 RID-10A(시마즈 제작소사제)의 RI 검출기를 이용했다. 용리액으로서, 클로로폼을 이용하고, 검량선은, 도소사제의 표준 폴리스타이렌을 사용하여 작성했다.
상기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칼럼, 검출기가 입수 곤란한 경우, 동등한 성능을 갖는 다른 장치 등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연필 경도>
각종 수지 및 수지 조성물의 연필 경도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제작한 평판상 성형체에 대하여, JIS K5600-5-4:1999에 준거해서, 연필 경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750g 하중에서 측정한 연필 경도를 구했다. 평가는, 5명의 전문가가 행하고, 다수결로 판단했다.
실시예 1∼5, 비교예 1∼9
<수지 조성물(펠릿)의 제조>
상기에 기재한 각 성분을, 표 1∼3에 기재된 첨가량(표 1∼3의 각 성분은 질량부 표기이다)이 되도록 계량했다. 그 후, 텀블러로 15분간 혼합한 후, 스크루 직경 32mm의 벤트 부착 2축 압출기(니혼 제강소사제 「TEX30α」)에 의해, 실린더 온도 260℃에서 용융 혼련하고, 스트랜드 컷에 의해 펠릿을 얻었다.
<용융 점도의 측정>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융 점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펠릿을 80℃에서 3시간 예비 건조시킨 후, 캐필로그래피를 이용하여, 용융 점도 측정을 행했다. 측정은, 온도 240℃, 캐필러리 길이 10mm, 캐필러리 직경 1mm, 노체(爐體) 직경 9.55mm, 전단 속도 1220초-1의 조건에서 행했다. 단위는, Pa·s로 나타냈다.
캐필로그래피는, 도요 세이키 제작소사제, 캐필로그래피 1D PMD-C를 이용했다.
<1mm 두께의 평판상 성형체의 제조>
얻어진 수지 조성물(펠릿)을 벤트 부착 2축 사출 성형기(Sodick사제 「PE-100」, 2축 스크루 직경 29mm의 맞물림형 동방향 회전식, 플런저 직경 28mm)에 의해, 실린더 온도 260℃에서 용융 혼련하고, 금형 온도 80℃의 조건에서 평판상 성형체(100×100×1mm)를 성형했다.
<헤이즈의 측정>
헤이즈 미터를 이용하여, D65 광원 10°시야의 조건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평판상 성형체의 헤이즈를 측정했다. 헤이즈 미터는,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사제 「HM-150」을 이용했다. 단위는, %로 나타냈다.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샤르피 충격 강도는, JIS K 7111-1에 있어서, ISO 시험편의 두께를 4mm로부터 3mm로 변경하고, 그 외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수지 조성물(펠릿)을 벤트 부착 2축 사출 성형기(Sodick사제 「PE-100」, 2축 스크루 직경 29mm의 맞물림형 동방향 회전식, 플런저 직경 28mm)에 의해, 실린더 온도 260℃에서 용융 혼련하고, 금형 온도 70℃의 조건에서 길이 80mm×폭 10mm×두께 3mm의 성형체(시험편)를 제작했다. 그 후, 두께 이외는 JIS K7111-1에 준거해서,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시험을 행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했다. 단위는, kJ/m2로 나타냈다.
<하드 코트 없는 다층체의 제조>
축 직경 32mm의 단축 압출기와, 축 직경 65mm의 단축 압출기와, 전(全)압출기에 연결된 피드 블록과, 피드 블록에 연결된 650mm 폭의 T 다이를 갖는 다층 압출기에 각 압출기와 연결한 멀티 매니폴드 다이를 갖는 다층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다층체를 성형했다. 축 직경 32mm의 단축 압출기에, 표 1∼3에 나타내는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을 도입하여, 실린더 온도 250℃, 토출량을 3.6kg/h의 조건에서 압출했다. 또한, 축 직경 65mm의 단축 압출기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F)를 연속적으로 도입하여, 실린더 온도 280℃, 토출량을 32.4kg/h로 압출했다. 전압출기에 연결된 피드 블록은 2종 2층의 분배 핀을 구비하고, 온도 270℃로 해서, 압출하고 적층했다. 그 앞에 연결된 온도 270℃의 T 다이로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상류측으로부터 온도 130℃, 140℃, 180℃로 한 3개의 경면 마무리 롤로 경면을 전사하면서 냉각하여, 각 다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다층체의 중앙부의 전체 두께는 1000μm, 아크릴 수지층의 두께는 100μm였다.
<고온 고습 환경하의 휨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없는 다층체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세로 10cm, 가로 6cm의 시험편을 잘라냈다. 시험편을 2점 지지형의 홀더에 세팅하고 온도 23℃, 상대습도 50%로 설정한 환경 시험기에 24시간 이상 투입하여 상태 조정한 후, 휨을 측정했다. 이때의 값을 처리 전 휨량의 값으로 했다. 다음으로 시험편을 홀더에 세팅하고 온도 85℃, 상대습도 85%로 설정한 환경 시험기 중에 투입하고, 그 상태로 120시간 유지했다. 더욱이 온도 23℃, 상대습도 50%로 설정한 환경 시험기 중에 홀더째 이동하고, 그 상태로 4시간 유지 후에 재차 휨을 측정했다. 이때의 값을 처리 후 휨량의 값으로 했다. 휨의 측정에는, 전동 스테이지가 구비된 3차원 형상 측정기를 사용하여, 취출한 시험편을 위로 볼록 상태로 수평으로 정치하고, 1mm 간격으로 스캔하여, 중앙부의 고조를 휨으로서 계측했다. 처리 전후의 휨량의 차, 즉, (처리 후 휨량)-(처리 전 휨량)을 휨 변화량으로서 평가했다. 그때, 평판상 성형체(아크릴 수지층)측이 볼록인 경우는 「-」 부호를 붙여 나타냈다.
A: 휨 변화량의 절대치가 200μm 미만이었다.
B: 휨 변화량의 절대치가 200μm 이상 700μm 미만이었다.
C: 휨 변화량의 절대치가 700μm 이상이었다.
<하드 코트 부착 다층체의 제조>
6작용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제품명: U6HA, 신나카무라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60질량부, PEG200# 다이아크릴레이트(제품명: 4EG-A, 교에이샤 화학 주식회사제) 35질량부, 및 함불소기·친수성기·친유성기·UV 반응성기 함유 올리고머(제품명: RS-90, DIC 주식회사제) 5질량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광중합 개시제(제품명: I-184〔화합물명: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BASF 주식회사제)를 1질량% 가한 도료를, 상기에서 제작한 하드 코트 없는 다층체의 아크릴 수지층의 표면에 바 코터로 도포하고, 메탈 할라이드 램프(20mW/cm2)를 5초간 쬐어 하드 코트를 경화시켰다.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는 6μm였다.
<열프레스 성형 가공성 1(135℃, 7분 열굽힘)>
상기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부착 다층체에 대하여, 곡률 반경이 50mmR이 되는 볼록형(수형)과 오목형(암형)의 금형을 제작했다. 하드 코트층을 도장한 다층체는 성형 전에 90℃에서 1분간 예비 가열하고, 하드 코트층을 도장한 측의 표면이 볼록측이 되도록, 금형에 두어, 금형 온도 135℃에서 7분간 프레스를 행하고, 자연 냉각하는 것에 의해, 열프레스 성형품을 제작했다.
상기 열프레스 성형품의 굽힘 부분의 크랙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5명의 전문가가 행하고, 다수결로 판단했다.
A: 열프레스 성형품의 굽힘 부분에 크랙이 확인되지 않았다.
B: 열프레스 성형품의 굽힘 부분에 크랙이 확인되었다.
<열프레스 성형 가공성 2(140℃, 3분 열굽힘)>
상기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부착 다층체에 대하여, 곡률 반경이 50mmR이 되는 볼록형(수형)과 오목형(암형)의 금형을 제작했다. 하드 코트층을 도장한 다층체는 성형 전에 90℃에서 1분간 예비 가열하고, 하드 코트층을 도장한 측의 표면이 볼록측이 되도록, 금형에 두어, 금형 온도 140℃에서 3분간 프레스를 행하고, 자연 냉각하는 것에 의해, 열프레스 성형품을 제작했다.
상기 열프레스 성형품의 굽힘 부분의 크랙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5명의 전문가가 행하고, 다수결로 판단했다.
A: 열프레스 성형품의 굽힘 부분에 크랙이 확인되지 않았다.
B: 열프레스 성형품의 굽힘 부분에 크랙이 확인되었다.
<외관 플로 마크>
상기 <다층체의 제조>에 있어서 육안으로 플로 마크의 유무를 확인했다. 평가는, 5명의 전문가가 행하고, 다수결로 판단했다.
A: 플로 마크가 확인되지 않았다.
B: 플로 마크가 확인되었다.
상기 표에 있어서의 Tig, Tmg, 용융 점도, 헤이즈, 연필 경도 및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는,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측정치를 나타내고 있다.
1 기재
2 평판상 성형체
3 하드 코트층
4 반사 방지층
2 평판상 성형체
3 하드 코트층
4 반사 방지층
Claims (23)
-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의 합계가 55질량% 이상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측정한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가 135℃ 이상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3mm 두께의 ISO 시험편으로 성형했을 때의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가 10.0kJ/m2 이상이고, 상기 노치 없는 샤르피 충격 강도는, JIS K 7111-1에 있어서, ISO 시험편의 두께를 4mm로부터 3mm로 변경하고, 그 외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측정한 값이며,
상기 수지 조성물의 240℃, 1220초-1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가 500Pa·s 이하인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두께 1mm의 시험편으로 성형했을 때의 헤이즈가 5.0% 이하인, 수지 조성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측정한 초기 유리 전이 온도(Tig)가 140℃ 이상인, 수지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a)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서 스타이렌 수지(b)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 이미드 단위, 및 글루타르이미드 단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및/또는,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a)가,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를 37∼96질량%,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1∼60질량%, 및,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3∼74질량% 포함하는(단, (메트)아크릴 화합물 단위,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무수 말레산 및/또는 N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합계가 10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수지 조성물. -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를 68∼84질량%,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를 16∼32질량% 포함하는(단,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단위 및 환상 산 무수물 단위의 합계가 10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수지 조성물. -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스타이렌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4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수지(b)가 무수 말레산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a)와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부를 기준으로 해서, 아크릴 수지(a)의 함유량은 15∼85질량부이고, 스타이렌 수지(b)의 함유량은 15∼85질량부인, 수지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산화 방지제 및/또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평판상 성형체.
- 제 16 항에 있어서,
두께가 10∼5,000μm인, 평판상 성형체. -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기재된 평판상 성형체를 포함하는 다층체.
-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기재된 평판상 성형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다층체.
- 제 19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 상기 평판상 성형체, 상기 하드 코트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다층체. -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다층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내지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방현 처리, 내후성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방오염 처리 및 안티블로킹 처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실시되어 있는, 다층체. -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체로 형성된 성형품으로서, 곡률 반경이 50mmR 이하인 부위를 갖는, 성형품.
-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체를 133∼143℃에서 열굽힘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210046 | 2020-12-18 | ||
JP2020210046 | 2020-12-18 | ||
JPJP-P-2021-125587 | 2021-07-30 | ||
JP2021125587 | 2021-07-30 | ||
PCT/JP2021/044412 WO2022131014A1 (ja) | 2020-12-18 | 2021-12-03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多層体、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9165A true KR20230119165A (ko) | 2023-08-16 |
Family
ID=8205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2905A KR20230119165A (ko) | 2020-12-18 | 2021-12-03 | 수지 조성물,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성형품 및 성형품의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WO2022131014A1 (ko) |
KR (1) | KR20230119165A (ko) |
TW (1) | TW202237734A (ko) |
WO (1) | WO20221310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040722A (ja) * | 2022-09-13 | 2024-03-26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防眩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0536A (ja) | 2006-08-28 | 2008-03-06 | Denki Kagaku Kogyo Kk | 樹脂組成物と光学成形体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16928A (ja) * | 2009-10-29 | 2011-06-16 | Sanyo Chem Ind Ltd | 低複屈折性透明樹脂組成物 |
US20190299572A1 (en) * | 2016-02-15 | 2019-10-03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Transparent resin laminate |
JP7129181B2 (ja) * | 2017-03-17 | 2022-09-01 | 旭化成株式会社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用部材 |
US11370206B2 (en) * | 2017-09-06 | 2022-06-28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High-hardness molding resin sheet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
WO2021100661A1 (ja) * | 2019-11-18 | 2021-05-27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多層体および反射防止成形体 |
CN115485611A (zh) * | 2020-04-24 | 2022-12-16 | 株式会社可乐丽 | 液晶显示器保护板、以及带曲面液晶显示器保护板及其制造方法 |
-
2021
- 2021-12-03 JP JP2022569857A patent/JPWO2022131014A1/ja active Pending
- 2021-12-03 KR KR1020237022905A patent/KR20230119165A/ko unknown
- 2021-12-03 WO PCT/JP2021/044412 patent/WO202213101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13 TW TW110146507A patent/TW202237734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0536A (ja) | 2006-08-28 | 2008-03-06 | Denki Kagaku Kogyo Kk | 樹脂組成物と光学成形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31014A1 (ja) | 2022-06-23 |
TW202237734A (zh) | 2022-10-01 |
JPWO2022131014A1 (ko) | 2022-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8971B1 (ko) | 적층체 | |
CN108698393B (zh) | 透明树脂叠层体 | |
US9206294B2 (en) | Acrylic resin film having good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20230119165A (ko) | 수지 조성물, 평판상 성형체, 다층체, 성형품 및 성형품의제조 방법 | |
JP2022080269A (ja)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多層体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 |
JP6517791B2 (ja) | 透明耐擦傷性板用共重合体、透明耐擦傷性板用積層体 | |
WO2022131015A1 (ja) | 多層体および成形品 | |
CN114729172B (zh) | 树脂组合物、平板状成型体、多层体和防反射成型体 | |
JP7524450B2 (ja)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多層体、および、成形品 | |
KR102541655B1 (ko) | 다층체 및 성형품 | |
JP2022080270A (ja)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多層体、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 |
JP7356304B2 (ja) | 樹脂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透明基板材料並びに透明保護材料 | |
JP7427730B1 (ja) | 多層体、および、成形品 | |
JP7427731B1 (ja) | 多層体、および、成形品 | |
JP2021080345A (ja)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多層体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 |
JP2023088417A (ja)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多層体、および、成形品 | |
CN116615335A (zh) | 树脂组合物、平板状成型体、多层体、成型品及成型品的制造方法 | |
WO2024043180A1 (ja) | 多層体、および、成形品 | |
CN114729173B (zh) | 树脂组合物、平板状成型体、多层体和防反射膜 | |
JP2024064272A (ja) | 多層体および成形品 | |
CN109153245B (zh) | 树脂层叠体、显示装置及偏光板 | |
JP2022158929A (ja)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および、多層体 | |
JP2024064271A (ja) | 樹脂組成物、平板状成形体、および、多層体 | |
JP2023137992A (ja) | 多層体、透明基板、透明保護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前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用の前面板 | |
CN115141449A (zh) | 树脂组合物、平板状成型体和多层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