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726A - 소화체 - Google Patents

소화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726A
KR20230113726A KR1020237012377A KR20237012377A KR20230113726A KR 20230113726 A KR20230113726 A KR 20230113726A KR 1020237012377 A KR1020237012377 A KR 1020237012377A KR 20237012377 A KR20237012377 A KR 20237012377A KR 20230113726 A KR20230113726 A KR 20230113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layer
resin
packag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카사 야마자키
준야 다나베
료 쇼다
료헤이 도데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70/0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70/2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having multi-layered walls, e.g. laminated or 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와,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된 소화제를 구비하고, 포장 주머니가 주연에 봉지부를 갖고, 봉지부에 있어서 기재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소화체.

Description

소화체
본 발명은, 소화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테크놀로지의 진보에 수반하여, 우리의 생활은 더욱 더 쾌적해지고 있는 한편으로, 그 쾌적성을 만들어 내기 위한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로 되고 있다. 대량의 에너지를 고밀도로 충전하여 저장하거나, 이동시키거나, 사용한다는 각각의 신에서, 에너지의 취급에는 높은 안전성이 요구된다.
자동차를 예로 들면, 화석 연료를 채굴할 때, 화석 연료로부터 가솔린을 정제할 때, 가솔린을 운반할 때, 가솔린을 엔진으로 연소시킬 때 등에 있어서, 발화나 화재의 위험이 잠재되어 있다. 또, 일렉트로닉스를 예로 들면, 전선을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이동시킬 때, 변전소나 변압기로 전기 에너지의 조정을 실시할 때, 전기 에너지를 가정이나 공장의 전기 기기에서 사용할 때, 또는 일시적으로 축전지에 저장할 때 등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발화나 화재의 위험이 잠재되어 있다.
발화나 화재의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 에서는, 소화액 및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서는, 헬리콥터로부터 투하하는 자동 소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서는, 에어로졸 소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764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63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080023호
선행 기술은 모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화재에 대한 대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편,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발화로부터 얼마 안 되는 단계에서 어떠한 소화 작업 (초기 소화) 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예를 들어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소화제의 성분 자체를, 발화할 우려가 있는 대상물 부근에 미리 존재시켜 둔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대상물로부터 발화한 것을 인간이 감지하기 이전에, 당해 소화제의 성분에 의해 소화가 완료될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해방 공간에 놓여진 소화제가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된다는 문제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당연히 소화제를 대상물 부근에 산포해 두면 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으며, 적당히 취급성이 있는 형상으로 대상물 부근에 설치해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취급성과 소화제의 성상 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재의 발생 및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와,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된 소화제를 구비하고, 포장 주머니가 주연에 봉지부를 갖고, 봉지부에 있어서 기재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소화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소화체이면, 포장 주머니에 의해 그 취급성이 담보된다. 또, 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가 소화제와 외기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소화제의 열화가 억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체는 취급성과 소화제의 성상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소화체를 미리 대상물 부근에 설치해 둠으로써 초기 소화가 가능해져, 주위로 불이 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수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기재의 두께는 4.5 ∼ 1000 ㎛ 여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기재는 추가로 수증기 배리어층을 포함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수증기 배리어층의 수증기 투과도 (JIS K 7129 준거 40 ℃/90 % RH 조건하) 는 10 g/㎡/day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급성과 소화제의 성상 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재의 발생 및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을 이하에 간결하게 정리한다.
·불이 번지는 것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즉 초기 소화가 가능하다.
·사람이 화재 발생을 확인 후, 소화기를 소화 대상 부근에 운반하여 소화 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자동 소화 장치 등의 설비에 비해 간이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제한이 적고 또한 필요한 지점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소화제의 성상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소화체의 교환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외관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단면도이고, 도 1 에 있어서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외관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화체>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외관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단면도이고, 도 1 에 있어서의 II-II 선 단면도이다. 소화체 (10) 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 (11) 와,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된 소화제 (12) 를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 (11) 는 주연에 봉지부 (11a) 를 갖고, 봉지부 (11a) 에 있어서 기재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도 3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단면도이다. 소화체 (20) 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 (21) 와,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된 소화제 (22) 를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 (21) 는 주연에 봉지부 (21a) 를 갖고, 봉지부 (21a) 에 있어서 기재끼리가 접착제 (23) 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 4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외관도이다. 소화체 (30) 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 (31) 와,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된 소화제 (도시 생략) 를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 (31) 는 주연에 봉지부 (31a) 및 되접음부 (31b) 를 갖고, 봉지부 (31a) 에 있어서 기재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되접음부 (31b) 는, 1 쌍의 기재 대신에 1 장의 기재를 사용하여, 그것을 되접음으로써 형성된다. 봉지부 (31a) 는, 봉지부 (11a) 에 준거한 양태여도 되고, 봉지부 (21a) 에 준거한 양태여도 된다.
소화체를 연직 방향 상부에서 봤을 때, 봉지부 (11a) 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화제의 성상 안정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2 ∼ 40 ㎜ 로 할 수 있다.
소화체의 중앙부의 두께는, 그 층 구성이나 봉입되는 소화제의 양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화 성능을 유지하면서, 설치 스페이스를 가리지 않도록 박형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0.2 ∼ 20 ㎜ 로 할 수 있고, 2 ∼ 20 ㎜ 여도 된다. 또, 소화체의 주면 (소화체를 연직 방향 상부에서 봤을 때의 면) 의 면적은, 소화 성능 및 취급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9 ∼ 620 ㎠ 로 할 수 있다.
소화체는, 발화할 우려가 있는 대상물 상이나 대상물 부근에 미리 설치된다. 대상물로부터 발화한 경우, 소화체에 의해 초기 소화가 실시되게 된다.
(기재)
기재는 수지층을 포함한다. 수지층의 재질로는, 폴리올레핀 (PE, PP, COP 등), 폴리에스테르 (PET 등), 불소 수지 (PTFE, ETFE, EFEP, PFA, FEP, PCTFE 등), 비닐 수지 (PVC, PVA 등),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는, 이들 재질로 이루어지는 1 개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수지층은, 각각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기재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층끼리는 접착제 (접착층) 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또는 폴리비닐에테르계 접착제, 또는 그것들 합성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은, 열용융성 (열융착성) 을 가져도 된다. 열용융성을 갖는 수지층을 열용융층이라고 할 수 있다. 열용융층은, 기재의 최내층측 (소화제와 대향하는 측) 에 형성할 수 있다. 기재가 열용융층을 구비하는 경우, 포장 주머니 주연의 봉지부를 히트 시일부라고 할 수 있다. 열용융성을 갖는 수지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즉, 수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MDPE),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C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히트 시일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증기 투과도가 낮아 소화제의 열화를 억제하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LLDPE),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CPP) 를 포함해도 된다. 이들 수지는 투명성을 갖고 있어, 소화제의 외관 검사가 용이하다. 그 때문에, 소화체의 교환 시기의 확인 등을 하기 쉬워진다.
기재는, 수증기 배리어층을 포함해도 된다. 수증기 배리어층은, 기재의 최외층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기재의 중간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가 수증기 배리어층을 구비하는 경우, 소화체의 설치 장소나 사용 환경에 상관없이, 소화제의 성상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정도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수증기 배리어층의 수증기 투과도 (JIS K 7129 준거 40 ℃/90 % RH 조건하) 는, 소화제의 종류에 따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g/㎡/day 이하로 할 수 있고, 1 g/㎡/day 이하여도 된다. 수증기 투과도의 조정의 관점에서, 수증기 배리어층으로는 알루미나 증착층, 실리카 증착층 등의 금속 산화물 증착층을 구비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예를 들어 PET 층),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들 수 있다. 수증기 배리어층이 금속 산화물 증착층을 구비하는 경우, 금속 산화물 증착층은 소화제측을 향해 있어도 된다.
기재는, 소화제를 지지하기 위한 소화제 지지층을 포함해도 된다. 소화제를 소화제 지지층 상에 미리 형성해 둠으로써, 소화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소화제 지지층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예를 들어 PET 층) 을 들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소화체의 사용 환경이나, 허용되는 스페이스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꺼운 기재이면, 수증기 투과를 억제하기 쉽고, 강도나 강성을 얻기 쉽고, 평면성이 높은 형태를 얻기 쉽고, 핸들링이 용이해진다. 또, 얇은 기재이면, 좁은 스페이스에 소화체를 설치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4.5 ∼ 1000 ㎛ 로 할 수 있고, 12 ∼ 100 ㎛ 여도 되고, 12 ∼ 50 ㎛ 여도 된다. 수지층 및 수증기 배리어층의 두께는, 기재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수지층의 두께 (기재가 복수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총두께) 는, 예를 들어 25 ∼ 150 ㎛ 로 할 수 있고, 30 ∼ 100 ㎛ 여도 된다. 수증기 배리어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4.5 ∼ 25 ㎛ 로 할 수 있고, 7 ∼ 12 ㎛ 여도 된다.
(소화제)
소화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른바 소화의 4 요소 (제거 작용, 냉각 작용, 질식 작용, 부촉매 작용) 를 갖는 것을, 대상물의 양태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소화제로는, 일반 소화 약제 (칼륨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계 소화제 외에, 탄산수소나트륨이나 인산염 등의 일반적인 분말계 소화제를 들 수 있다) 에 더하여, 모래 (표준 모래) 등을 들 수 있다. 만능인 소화제로는 ABC 소화제를 들 수 있고, 기름이나 전기 화재용의 소화제로는 BC 소화제를 들 수 있다. 대상물이 리튬 이온 전지인 경우에는, BC 소화제나, 그 밖의 리튬 이온 전지용의 소화제가 사용된다.
소화제의 양은, 대상물의 양태, 발화시의 화력, 소화 시간, 허용되는 스페이스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소화제의 양이 많을수록 소화 능력은 향상되고, 소화 시간도 단축되지만,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소화체를 재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게 된다. 소화제의 양은, 예를 들어 0.4 ∼ 3.9 g/㎠ 로 할 수 있고, 1.0 ∼ 2.5 g/㎠ 여도 된다.
소화제는 바인더와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즉, 소화제는 소화제 (소화제 성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조성물 (소화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소화제의 함유량은, 소화제 조성물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70 ∼ 97 질량% 로 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1-)부텐계 수지, 폴리펜텐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 천연 고무 (NR), 이소프렌 고무 (IR), 부타디엔 고무 (BR), 1,2-폴리부타디엔 고무 (1,2-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클로로프렌 고무 (CR), 니트릴 고무 (NBR), 부틸 고무 (II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EPDM),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CSM), 아크릴 고무 (ACM, ANM),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CO, ECO), 다가류 고무 (T), 실리콘 고무 (Q), 불소 고무 (FKM, FZ), 우레탄 고무 (U) 등의 고무류,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에는 경화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제)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또는 폴리비닐에테르계 접착제, 또는 그것들 합성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85 ℃-85 % RH 고온 고습시에 있어서의 기재와의 밀착성, 저비용을 양립하는 관점에서, 접착제로는 에폭시-우레탄 합성계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지층이 열용융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기재의 주연을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재의 주연을 접합하는 경우, 포장 주머니 주연의 봉지부는, 접착부라고 할 수 있다.
도 3 에서는, 봉지부에만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접착제가 소화제의 성상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기재 내면의 전체면에 사용되어도 된다.
도 7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모식 단면도이다. 소화체 (60) 는, 기재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 (61) 와,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된 소화제 (62) 와, 포장 주머니의 일방의 면에 점착층 (64) (또는 접착층) 및 이형 필름 (65) 을 구비한다. 기재는, 내층으로서 수지층 (611) 과, 외층으로서 수증기 배리어층 (612) 과, 소화제를 지지하기 위한 소화제 지지층 (613) 을 포함한다. 수지층 (611) 과 수증기 배리어층 (612) 은, 접착층 (63) 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는, 소화제는 소화제 지지층 상에 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소화제 지지층을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예를 들어 분말인 채로) 수지층 내에 봉입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장 주머니의 일방의 면에 점착층 (64)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화의 염려가 있는 지점에 소화체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점착층 (64) 을 덮도록 이형 필름 (65) 이 형성되어 있다. 이형 필름 (65) 은, 소화체를 원하는 지점에 첩부할 때에는 벗겨지는 것이며, 수지제여도 되고 종이제여도 된다.
소화체는, 의장층을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의장층은 인쇄 혹은 인자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의장의 구체예로서, 주거 공간을 의식한 나뭇결풍이나, 타일풍 등의 백색, 그레이풍의 솔리드 패턴, 그리고, 그림, 모양, 디자인 및 문자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의장층을 형성함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거나, 소화체를 주위의 환경에 융화시킬 수 있거나, 소화체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는 등의 효과가 발휘된다. 의장층은, 예를 들어 도 7 의 양태이면 포장 주머니의 점착층측 (소화체를 첩부하는 측) 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할 수 있다. 기재에 포함되는 층이 투명한 경우에는, 기재 중에 의장층을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도 7 의 양태이면, 수증기 배리어층의 내측에 의장층을 형성해도 된다. 의장층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소화 대상물)
소화 대상물로는, 발화할 우려가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발화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전선, 배전반, 분전반, 제어반, 축전지 (리튬 이온 전지 등), 건재용 벽지, 천정재 등의 건재, 리튬 이온 전지 회수용 BOX (리사이클 BOX), 휴지통, 자동차 관련 부재, 콘센트, 콘센트 커버 등의 각 부재를 들 수 있다.
<소화체의 제조 방법>
소화체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기재 (44) 사이에 소화제 (42) 를 형성하고, 기재 (44) 의 주연을 히트 시일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봉지함으로써, 소화체를 얻을 수 있다.
도 6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화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장의 기재 (54) 를 되접고, 대향하는 기재 (54) 사이에 소화제 (52) 를 형성하고, 되접은 부분 이외의 기재 (54) 의 주연을 히트 시일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봉지함으로써, 소화체를 얻을 수 있다.
또, 개구를 남긴 상태에서 1 쌍의 기재의 주연을 히트 시일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고, 개구로부터 소화제를 넣은 후, 개구를 히트 시일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봉지함으로써, 소화체를 얻을 수 있다.
또, 1 장의 기재를 되접고, 개구를 남긴 상태에서 대향하는 기재의 주연을 히트 시일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고, 개구로부터 소화제를 넣은 후, 개구를 히트 시일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봉지함으로써, 소화체를 얻을 수 있다.
소화제로서, 소화제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소화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소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액을, 기재 상 (수지층이나 소화제 지지층 상) 에 도포함으로써 소화제의 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기재 사이에 소화제를 형성해도 된다. 또, 소화제를 혼련한 수지를 기재 상에 재치함으로써, 기재 사이에 소화제를 형성해도 된다. 소화제 (소화제 함유층) 는, 소화제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층, 또는 소화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이어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화체의 제조>
(실시예 1)
토요 잉크사 제조의 에폭시-우레탄 합성계 접착제 AD-393 과 CAT-EP5, 희석 용제로서 IPA 를 준비하고, 이들을 배합비 15 : 1 : 25.7 로 혼합 후, 1 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20 질량% 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210 ㎜ × 297 ㎜ 의, 미츠이 화학 토셀로사 제조의 CPP 인 SC-30 (두께 30 ㎛) 과, 토판 인쇄사 제조 알루미나 증착 PET 인 GL-ARH (두께 12 ㎛) 를 준비하였다.
GL-ARH 의 증착층측에, 상기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와이어 바 #14 를 사용하여 바 코트법으로 도공하고, 80 ℃, 30 초의 조건에서 오븐에서 건조시켜, 드라이 도포량 2 g/㎡ 의 접착층 (ADH) 을 얻었다.
타이세이 라미네이터사 제조의 탁상 라미네이터 FA-570 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트 온도 60 ℃, 압력 0.5 ㎫ 의 조건에서, 상기의 접착층에 SC-30 의 코로나 처리면측을 첩합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적층 필름으로부터 가로세로 80 ㎜ 샘플을 2 장 잘라내고, SC-30 이 대향하도록 하여, 테스터 산업사 제조의 히트 시일러 TP-701-B 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150 ℃, 0.5 ㎫, 10 초간의 조건에서, 폭 1 ㎝, 길이 30 ㎝ 의 시일 바를 사용하여, 적층 필름의 단부 3 변을 히트 시일하여, 적층 필름의 주머니를 얻었다.
소화제로서 모리타 미야타 공업 주식회사 제조 ABC 소화제를 32.5 g 계량하여, 적층 필름의 주머니 내에 충전하였다.
상기의 히트 시일러를 사용하여, 개구부 단부를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히트 시일하여, 소화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의 CPP 대신에, 미츠이 화학 토셀로 주식회사 제조 LLDPE 인 MC-S#60 (두께 60 ㎛), 알루미나 증착 PET 대신에, 토판 인쇄사 제조 실리카 증착 PET 인 GL-RD (두께 12 ㎛) 를 준비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화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사이즈 210 ㎜ × 297 ㎜ 의, 미츠이 화학 토셀로사 제조의 CPP 인 SC-30 (두께 50 ㎛), 토요 알루미늄사 제조의 알루미늄박인 8021 (두께 7 ㎛), 및 도레이사 제조의 PET 인 S10 (두께 12 ㎛) 을 준비하고, 각 층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합을 실시함으로써, 3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화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적층 필름으로부터 사이즈 80 ㎜ × 160 ㎜ 의 직사각형 샘플을 1 장 잘라내고, SC-30 을 내측으로 하여 대향하는 단변을 맞추도록 둘로 접었다. 이것을 테스터 산업사 제조, 히트 시일러 TP-701-B 에 설치하고, 150 ℃, 0.5 ㎫, 10 초간의 조건에서, 폭 1 ㎝, 길이 30 ㎝ 의 시일 바를 사용하여, 적층 필름의 단변 이외의 단부 2 변을 히트 시일하여, 적층 필름의 주머니를 얻었다.
소화제로서 모리타 미야타 공업 주식회사 제조 ABC 소화제를 32.5 g 계량하여, 적층 필름의 주머니 내에 충전하였다.
상기의 히트 시일러를 사용하여, 개구부 단부를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히트 시일하여, 소화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소화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소화체를 제조하였다.
각 예에서 얻어진 소화체는 취급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소화제가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제의 성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소화체를 미리 대상물 부근에 설치해 둠으로써, 대상물의 발화에 의한 화재의 발생 및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각 예의 소화체에 대해 하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수증기 배리어층의 수증기 투과도>
수증기 배리어층의 수증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JIS K 7129B MOCON 법에 준거하여, 40 ℃/90 % RH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소화제의 외관 변화>
소화체를 40 ℃/90 % RH 조건하에 7 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소화제의 외관의 변화 (소화제 함유층의 변색, 팽윤 등) 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소화체는 특히, 건장재, 자동차 부재, 항공기 부재, 일렉트로닉스 부재 등의 산업 자재에 사용되는 부재에 대해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20, 30, 60 : 소화체
11, 21, 31, 61 : 포장 주머니
12, 22, 42, 52, 62 : 소화제
23 : 접착제
11a, 21a, 31a : 봉지부
31b : 되접음부
44, 54 : 기재
63 : 접착층
64 : 점착층 (접착층)
65 : 이형 필름
611 : 수지층
612 : 수증기 배리어층
613 : 소화제 지지층

Claims (5)

  1. 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와, 상기 포장 주머니 내에 봉입된 소화제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주머니가 주연에 봉지부를 갖고, 상기 봉지부에 있어서 상기 기재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소화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소화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가 4.5 ∼ 1000 ㎛ 인, 소화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추가로 수증기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소화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리어층의 수증기 투과도 (JIS K 7129 준거 40 ℃/90 % RH 조건하) 가 10 g/㎡/day 이하인, 소화체.
KR1020237012377A 2020-12-01 2021-11-25 소화체 KR20230113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9762 2020-12-01
JPJP-P-2020-199762 2020-12-01
PCT/JP2021/043256 WO2022118735A1 (ja) 2020-12-01 2021-11-25 消火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726A true KR20230113726A (ko) 2023-08-01

Family

ID=8185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377A KR20230113726A (ko) 2020-12-01 2021-11-25 소화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57207A4 (ko)
JP (2) JP7469507B2 (ko)
KR (1) KR20230113726A (ko)
CN (1) CN116669937A (ko)
WO (1) WO202211873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40A (ja) 1996-04-15 1997-10-28 Kyoei Kogyosho:Kk 消火液及びこれを用いた消火器
JP2015006302A (ja) 2013-05-31 2015-01-15 鈴木 義雄 自動消火装置
JP2017080023A (ja) 2015-10-27 2017-05-18 能美防災株式会社 エアロゾル消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457U (ja) * 1983-03-17 1984-09-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消火装置
JPH0237666U (ko) * 1988-09-06 1990-03-13
JPH0668766U (ja) * 1993-03-17 1994-09-27 静代 紅野 消火用消火粉末付きシート
JP2000510737A (ja) * 1996-05-22 2000-08-2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少なくとも1つのケーブルダクトまたは電線ダクトでの消火装置
JP3023463B2 (ja) * 1997-01-22 2000-03-21 政人 芳賀 消火シート
JP2002355325A (ja) * 2001-05-31 2002-12-10 Hochiki Corp 消火器及びその設置方法
JP2015037445A (ja) * 2011-07-29 2015-02-26 株式会社ボネックス 消火薬剤を封入するための樹脂積層体フィルム
JP6089511B2 (ja) * 2012-09-05 2017-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機能性物質層積層フィルム、及び該積層フィルムを適用した包装体
WO2014069022A1 (ja) 2012-11-02 2014-05-08 株式会社ニチボウ 自動消火具
WO2016132961A1 (ja) * 2015-02-17 2016-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35213A (ja) * 2016-08-29 2018-03-08 ユニチカ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接着剤、封止用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8047762A1 (ja) 2016-09-12 2018-03-15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自己消火性成形品
JP7038569B2 (ja) 2018-03-01 2022-03-18 共同印刷株式会社 ブリスターパック用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ブリスターパック
JP2020081809A (ja) * 2018-12-01 2020-06-04 株式会社Saikyo 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れを用いた消火性シート、消火性コードとその補助具
JP2020130661A (ja) * 2019-02-20 2020-08-31 株式会社ハグクミ フッ化炭素系消火薬剤を噴出する消火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応用方法
CN113424356A (zh) * 2019-03-29 2021-09-21 三井化学株式会社 锂离子电池用外部包装膜、锂离子电池、及锂离子电池组
CN115190817A (zh) * 2020-01-22 2022-10-14 雅托普罗德克株式会社 灭火片
WO2021149778A1 (ja) * 2020-01-24 2021-07-29 凸版印刷株式会社 消火体
JPWO2021149777A1 (ko) * 2020-01-24 2021-07-29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40A (ja) 1996-04-15 1997-10-28 Kyoei Kogyosho:Kk 消火液及びこれを用いた消火器
JP2015006302A (ja) 2013-05-31 2015-01-15 鈴木 義雄 自動消火装置
JP2017080023A (ja) 2015-10-27 2017-05-18 能美防災株式会社 エアロゾル消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8735A1 (ja) 2022-06-09
EP4257207A1 (en) 2023-10-11
JP7469507B2 (ja) 2024-04-16
EP4257207A4 (en) 2024-05-08
JPWO2022118735A1 (ko) 2022-06-09
CN116669937A (zh) 2023-08-29
JP2023076558A (ja)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37445A (ja) 消火用積層体
KR20140004876A (ko) 터짐불량이 개선된 진공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20355144A1 (en) Fire stopper
JP2021137346A (ja) 消火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消火用積層体の巻重体
CN110418867B (zh) 真空隔绝板
KR20230113726A (ko) 소화체
WO2021149777A1 (ja) 防火方法及び消火体
US20240131374A1 (en) Fire extinguishing body
WO2023277040A1 (ja) 消火体
US20240173586A1 (en) Fire extinguisher
JP2024056393A (ja) 消火体
KR10197530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케이스
JP6831622B2 (ja) 保冷保温用箱体
KR20230096078A (ko) 소화체 및 배터리 팩
JP7480904B1 (ja) 消火材及び消火材パッケージ
CN117222451A (zh) 灭火用层叠体、灭火用层叠体的制造方法以及电子部件
EP4309745A1 (en) Layered product for extinguishing fire, production method for layered product for extinguishing fire, and electronic member
WO2024014163A1 (ja) 消火材及び消火材パッケージ
WO2023149483A1 (ja) 全固体電池の端子用樹脂フィルム及び全固体電池
WO2023037857A1 (ja) 自己消火性建材
JP7444200B2 (ja) 消火材及び消火材パッケージ
JP7447940B2 (ja) 消火材及び消火材パッケージ
JP2022171057A (ja) 消火用積層体
JP2017052553A (ja) 保冷保温用箱体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23085711A (ja) 消火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