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292A -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 Google Patents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292A
KR20230101292A KR1020210191276A KR20210191276A KR20230101292A KR 20230101292 A KR20230101292 A KR 20230101292A KR 1020210191276 A KR1020210191276 A KR 1020210191276A KR 20210191276 A KR20210191276 A KR 20210191276A KR 20230101292 A KR20230101292 A KR 2023010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upler
flow path
vibration
membran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to KR102021019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292A/ko
Publication of KR2023010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커플러를 통하여 진동이 감쇠될 때 큰 진폭의 진동에서는 높은 감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은 진폭의 진동에서는 낮은 동강성을 가지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에 관한 것으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어부의 방사상 방향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액실과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액실을 연결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는 방진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 부싱에 있어서 : 상기 방진체는,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액실을 연결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디커플러를 포함하며 ; 상기 디커플러는,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시 상기 제2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멤브레인과,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시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에 따라 상기 제2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Hydraulic Busing for Vehicle with variable decoupler}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엔진 차량이나 전기차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디커플러가 유체 유압에 따라 유로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행에는 진동과 충격이 수반된다. 이러한 진동과 충격은 엔진이나 트랜스미션과 같은 동력 전달계(Power train)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차륜이 노면과 접촉하며 발생하는 진동, 그리고 요철에 의한 충격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진동과 충격을 감쇠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각종 진동감쇠장치가 장착된다.
차량용 진동감쇠장치로서는 크게 고무 부싱(Rubber Bushing)과 하이드로 부싱(Hydraulic Bushing)으로 구분된다.
고무 부싱은 고무절연체의 진동감쇠 특성을 이용하는 반면, 하이드로 부싱은 그 내부에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하도록 봉입된 유체의 진동감쇠 특성을 이용한다.
두 가지 부싱 모두 차체 등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는 코어부와, 코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코어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그리고 코어부와 하우징의 이격된 사이에 마련되는 방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무 부싱은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하기 위한 방진체가 탄성부재인 고무로 형성되며, 하이드로 부싱은 방진체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복수의 액실과 이들을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액실과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봉입되어 제작된다.
하이드로 부싱은 액실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유체가 변위를 일으키며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에너지가 감쇠되도록 한다.
한편 하이드로 부싱의 발전된 형태로서 디커플러를 구비한 하이드로 부싱이 알려져 있다.
디커플러를 구비한 하이드로 부싱은, 내부에 복수의 액실이 형성되며, 복수의 액실 사이에는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제1유로가 형성되며, 아울러 복수의 액실 사이에는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제2유로를 형성하는 디커플러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10~30 Hz의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이 입력되면, 디커플러는 디커플러를 통한 제2유로의 유체 유동을 막게 되며, 따라서 유체는 제1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면서 진동을 감쇠한다.
한편 100~400 Hz의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이 입력되면 유체는 디커플러의 제2유로를 통하여 유동함으로써 진동을 감쇠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커플러를 구비한 하이드로 부싱에서, 디커플러는 오직 제2유로를 개폐할 뿐이므로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206호 "디커플러 일체형 하이드로 부쉬 마운트" (2015. 2. 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커플러를 통하여 진동이 감쇠될 때 큰 진폭의 진동에서는 높은 감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은 진폭의 진동에서는 낮은 동강성을 가지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어부의 방사상 방향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액실과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액실을 연결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는 방진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 부싱에 있어서 : 상기 방진체는,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액실을 연결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디커플러를 포함하며 ; 상기 디커플러는,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시 상기 제2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멤브레인과,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시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에 따라 상기 제2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증가하면 유로 단면적을 축소시키며,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감소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유로 단면적을 복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러는, 서로 이격되면서 그 이격된 공간에 멤브레인 수용부를 형성하며 유체 유동구가 형성되는 한쌍의 격벽과, 각각의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 수용부의 반대측에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유체 통로용 측벽과, 상기 멤브레인 수용부에 장착되는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유체 통로에 마련되는 상기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방진체는 상기 복수의 액실 사이에 디커플러 수용부가 형성되며 ;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격벽과 상기 유체 통로용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디커플러 수용부에 안착되는 디커플러 케이스와, 상기 멤브레인 수용부와 상기 유체 통로를 덮으면서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밸브 부재를 고정하는 디커플러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유체 통로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밸브 프레임과, 상기 밸브 프레임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밸브 프레임의 중앙을 향하면서 상기 격벽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성 재질의 날개형 밸브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디커플러를 통하여 진동이 감쇠될 때 큰 진폭의 진동에서는 높은 감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은 진폭의 진동에서는 낮은 동강성을 가지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배면도,
도 7은 도 4에서 디커플러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에서 디커플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4의 디커플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디커플러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디커플러 덮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디커플러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B-B 기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C-C 기준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서 디커플러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에서 디커플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은, 크게 코어부(100)와, 방진체(200)와, 하우징(300)으로 이루어진다.
코어부(100)는 금속 재질로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100)에 방진체(20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진체(200)는, 코어부(100)를 방사상 방향에서 감싸는 구조를 가진 중간 링형 프레임(210, "미들 링" 또는 "미들 파이프"라고도 함.)과, 코어부(100)와 중간 링형 프레임(210) 사이에서 가류 접착되는 탄성고무(220)와, 디커플러(400)을 포함한다.
중간 링형 프레임(210)은, 하우징(300)과 결합되기 위한 부위일 뿐만 아니라 탄성고무(220)의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한다.
중간 링형 프레임(210)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며, 탄성고무(220)는 탄성을 가진 고무로 이루어진다.
중간 링형 프레임(210)은 코어부(100)의 방사상 방향 외측을 감싸는 링형 또는 파이프 형태이다.
탄성고무(220)는, 코어부(100)의 외주면에 접착되며 중간 링형 프레임(21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내장되도록 코어부(100)와 중간 링형 프레임(210)에 가류 접착되며, 복수의 액실(221, 222)을 형성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체(200)의 상부에 액실(221)이 형성되며, 또한 방진체(200)의 하부에 액실(222)이 형성된다.
방진체(200)에는 한 쌍의 액실(221, 222)을 연결하는 제1유로(223)가 형성된다.
제1유로(223)의 형태는 도 5 및 도 6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제1유로(223)는 10 ~ 30Hz 사이의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방진체(200)는 한 쌍의 액실(221, 222) 사이에 디커플러 수용부(224)가 형성되며, 디커플러 수용부(224)에 디커플러(400)가 장착된다.
디커플러(400)는 대략 30Hz 초과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400Hz의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한 쌍의 액실(221, 222)을 연결하는 제2유로(제1유로(223)와는 별개의 유로)가 형성되며, 10 ~ 30Hz 사이의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시 제2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커플러(400)의 구조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방진체(200)에 원통 형태의 하우징(300)이 결합되면서 각 액실(221, 222)과 제1유로(233)와 디커플러(400)의 방사상 방향 외측이 완전히 덮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방진체(200)의 중간 링형 프레임(210)에 하우징(300)이 조립되어 각 액실(221, 222)과 제1유로(233)와 디커플러(400)에 봉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새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방진체(200)와 하우징(300)의 조립은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코어부(100)의 방사상 방향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300)과 코어부(100) 사이에 탄성고무(220)를 포함하는 방진체(200)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디커플러(40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도 4의 디커플러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디커플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디커플러 덮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9의 디커플러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C-C 기준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커플러(400)는, 디커플러 케이스(410)와, 멤브레인(420)과, 밸브 부재(430)와, 디커플러 덮개(440)를 포함한다.
디커플러 케이스(410)는, 디커플러 수용부(224)에 안착되기 위한 ㄷ자 형태의 케이스 프레임(411)과, 서로 이격되면서 그 이격된 공간에 멤브레인 수용부(412)를 형성하는 한쌍의 격벽(413)과, 각각의 격벽(413)으로부터 멤브레인 수용부(412)의 반대측에 유체 통로(414)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체 통로용 측벽(41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프레임(411)과 한 쌍의 격벽(413)과 복수의 유체 통로용 측벽(415)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각각의 격벽(413)에 복수의 유체 유동구(413a)가 형성되며, 아울러 각각의 유체 유동구(413a)마다 유체 통로(414)가 연결된다.
멤브레인(420)은 멤브레인 수용부(412)에 삽입되어 멤브레인 수용부(412)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그 간극을 따라 유체가 유동하도록 한다.
또한 멤브레인(420)은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시 유체 유동구(413a)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멤브레인(420)의 양측에는 강성 유지 돌기(421)가 돌출 형성되며, 아울러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위치 유지 돌기(4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멤브레인(420)의 강성 유지 돌기(421) 및 위치 유지 돌기(422)가 디커플러 케이스(410)에 압착되면서 멤브레인(420)의 자세 및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멤브레인(420)은 중앙부에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원활한 개폐 동작(즉 유체 유동구(413a)를 차단하거나 차단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유체 통로용 측벽(415)에 의하여 형성된 유체 통로(414)마다 밸브 부재(430)가 마련된다.
밸브 부재(430)는, 유체 통로(414)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ㄷ자 형태의 밸브 프레임(431)과, 밸브 프레임(431)에서 유체 통로(414)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형 밸브 본체(432)를 포함한다.
날개형 밸브 본체(432)는 밸브 프레임(431)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밸브 프레임(431)의 중앙을 향하면서 격벽(413)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체 통로(414)의 내부에 축소된 유로 단면적을 가진 가변형 통로(433)를 형성한다.
밸브 부재(430)는 유연한 고무 또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유체 통로(414)를 흐르는 유체의 유압에 따라 날개형 밸브 본체(432)가 휘어지면서 가변형 통로(433)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날개형 밸브 본체(432)는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증가하면 가변형 통로(433)의 유로 단면적을 축소시키며, 아울러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감소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가변형 통로(433)의 유로 단면적을 복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디커플러 케이스(410)에 멤브레인(420)과 밸브 부재(430)가 장착된 상태에서 디커플러 케이스(410)의 개방된 일면을 디커플러 덮개(440)가 덮는다.
디커플러 덮개(440)는 디커플러 케이스(410)에 고정되면서 멤브레인 수용부(412)와 유체 통로(414)를 덮으면서 멤브레인(420) 및 밸브 부재(43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의 작동을 설명한다.
10 ~ 30Hz 사이의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이 입력되면 멤브레인(420)에 의하여 유체 유동구(413a)가 닫히면서, 제1유로(223)에 의하여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이 감쇠된다.
대략 30Hz 초과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400Hz의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이 입력되면 디커플러(400)의 멤브레인(420)과 멤브레인 수용부(412) 사이의 간극을 지나는 제2유로를 통하여 유체가 유동하면서 고주파/저진폭의 진동기 감쇠된다.
한편 디커플러(400)가 작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교적 큰 진폭의 진동이 입력되면(도 15 참조) 유체의 유압이 증가하면서 날개형 밸브 본체(432)가 가변형 통로(433)의 유로 단면적을 축소시켜 높은 감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 디커플러(400)가 작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 진폭의 진동이 입력되면(도 14 참조) 유체의 유압이 감소하면서 날개형 밸브 본체(432)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가변형 통로(433)의 유로 단면적이 복원되어(즉 확장되어) 낮은 동강성을 가지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코어부
200 : 방진체
210 : 중간 링형 프레임
220 : 탄성고무
221 : 액실 222 : 액실
223 : 제1유로 224 : 디커플러 수용부
300 : 하우징
400 : 디커플러
410 : 디커플러 케이스 411 : 케이스 프레임
412 : 멤브레인 수용부 413 : 격벽
413a : 유체 유동구 414 : 유체 통로
415 : 유체 통로용 격벽
420 : 멤브레인 421 : 강성 유지 돌기
422 : 위치 유지 돌기
430 : 밸브 부재
431 : 밸브 프레임 432 : 날개형 밸브 본체
433 : 가변형 통로
440 : 디커플러 덮개

Claims (5)

  1.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어부의 방사상 방향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액실과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액실을 연결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는 방진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 부싱에 있어서 :
    상기 방진체는,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액실을 연결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디커플러를 포함하며 ;
    상기 디커플러는, 저주파/고진폭의 진동시 상기 제2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멤브레인과, 고주파/저진폭의 진동시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에 따라 상기 제2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증가하면 유로 단면적을 축소시키며,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감소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유로 단면적을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러는, 서로 이격되면서 그 이격된 공간에 멤브레인 수용부를 형성하며 유체 유동구가 형성되는 한쌍의 격벽과, 각각의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 수용부의 반대측에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유체 통로용 측벽과, 상기 멤브레인 수용부에 장착되는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유체 통로에 마련되는 상기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4.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방진체는 상기 복수의 액실 사이에 디커플러 수용부가 형성되며 ;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격벽과 상기 유체 통로용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디커플러 수용부에 안착되는 디커플러 케이스와, 상기 멤브레인 수용부와 상기 유체 통로를 덮으면서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밸브 부재를 고정하는 디커플러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유체 통로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밸브 프레임과, 상기 밸브 프레임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밸브 프레임의 중앙을 향하면서 상기 격벽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성 재질의 날개형 밸브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KR1020210191276A 2021-12-29 2021-12-29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KR20230101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76A KR20230101292A (ko) 2021-12-29 2021-12-29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76A KR20230101292A (ko) 2021-12-29 2021-12-29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292A true KR20230101292A (ko) 2023-07-06

Family

ID=8718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276A KR20230101292A (ko) 2021-12-29 2021-12-29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2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206B1 (ko) 2009-10-07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커플러 일체형 하이드로 부쉬 마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206B1 (ko) 2009-10-07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커플러 일체형 하이드로 부쉬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8072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two differently tuned orifices and means for controlling pressure in air chamber or chambers adjacent to equilibrium chamber or chambers
US8864114B2 (en) Liquid-sealed antivibration device
WO2015145672A1 (ja) 防振装置
US20110024960A1 (en) Multi-stage switchable inertia track assembly
US9279473B2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JP2010159873A (ja) 流体封入式筒形防振装置
JP5977141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WO2018180259A1 (ja) 流体封入式筒形防振装置
WO2018193670A1 (ja) 防振装置
WO2018168567A1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CN108131390B (zh) 水弹性轴承
KR20230101292A (ko)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JP5130094B2 (ja) 圧力感応切換式オリフィス通路を備えた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6250281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4579962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5510713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2010255831A (ja) 防振装置
JP2008190653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の流体封入式コンプライアンスブッシュ
JP2007270910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2440671B1 (ko) 차량용 세미 액티브 엔진 마운트
JP4579994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3603653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668231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WO2020230375A1 (ja) 液封ブッシュ
JP5893482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