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555B1 - 엔진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555B1
KR102275555B1 KR1020190140638A KR20190140638A KR102275555B1 KR 102275555 B1 KR102275555 B1 KR 102275555B1 KR 1020190140638 A KR1020190140638 A KR 1020190140638A KR 20190140638 A KR20190140638 A KR 20190140638A KR 102275555 B1 KR102275555 B1 KR 10227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upler
core
plate
orific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693A (ko
Inventor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to KR102019014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5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27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lexible walls of equilibration chambers; decoupling or self-tu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유동탄성체로 된 디커플러 몸체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코어 상판의 디커플러 안착면에 밀착되면서 엔진 진동이 감쇠되거나 혹은 디커플러 몸체가 코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엔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엔진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 마운트 장치{ENGINE MOUNT DEVICE}
본 발명은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자력 결합에 의하여 엔진 진동이 감쇠되거나 엔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엔진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엔진은 일종의 진동 발생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을 차체에 장착할 때는 엔진 마운트 장치라 불리는 매개물을 사용하여 장착함으로써 엔진에서 발생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의 전달을 저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 가솔린 엔진 차량의 경우에는 고무로 제작된 부시 타입의 마운트 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형 가솔린 엔진 차량과 디젤엔진의 경우에는 내부에 유체를 봉입한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적인 엔진 마운트 장치는 그 구조상 가변적인 운전 영역 모든 범위에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아이들 상태, 저속 운전상태, 고속 운전상태 등에서 상이하게 발생하므로, 아이들 상태, 저속 운전상태, 고속 운전상태에서 각각 서로 다른 엔진 마운트 장치의 동강성(dynamic stiffness)이 요구된다. 즉, 아이들 상태와 고속 주행에서는 낮은 동강성이 요구되고 큰 진동이 들어 오는 저속 운전 상태에서는 높은 감쇠가 요구된다.
이를 엔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각각 저주파수 대변위 진동이 발생하는 세이크 영역, 중주파수 중변위 진동이 발생하는 아이들 영역 및 고주파수 소변위 진동이 발생하는 부밍(booming)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좀 더 우수한 진동 감쇠 효과를 위해서는 이러한 각 영역에 따라 엔진 마운트 장치가 각각 다른 동강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부시 타입의 엔진 마운트 장치 또는 유체 봉입식 하이드롤릭 타입의 엔진 마운트 장치는 그 구조상 가변적인 모든 영역에서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질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가변적인 엔진의 진동에 대하여 모든 영역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혹은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0246665호"감쇠력이 조절가능한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는 상부액실과 공기실 사이에 보조다이아프램을 마련하여 고주파 미소변위의 진동이 엔진마운트에 입력되면 공기실을 이루는 보조다이아프램이 유동(즉 진동)되어 상부액실내의 압력변화를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24299호 "다단계 전환 가능한 관성 트랙 조립체"는 디커플러가 자유로이 진동하여 낮은 입력 변위를 위한 디커플링 상태를 발생시키거나, 혹은 진공 포트로의 절환에 의하여 디커플러에 진공이 작용되면 이에 의하여 디커플러가 진동할 수 없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상기에서 보조다이아프램 내지 디커플러는 이하에서 디커플러로 통칭하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24299호와 같은 방식으로 디커플러에 진공이 작용되기 위하여는 마운트 장치 외부에 진공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아울러 진공 장치로부터 디커플러까지 진공 압력이 전달되기 위하여는 일정한 시간만큼 지연되어 빠른 반응 속도를 가지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995호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2013. 7.1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997호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2013. 7.1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3436호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2015.11.25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997호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는 디커플러의 진동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진동 차단부재를 왕복 이동시켜 디커플러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방식은 진동 차단부재가 디커플러에 지속적인 충격을 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3436호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2015. 11. 25 등록)는 자기장 발생부에 의하여 자기유동탄성체로 된 자기유동탄성판의 강성을 변화시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을 감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자기유동탄성판의 강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는 매우 높은 전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3436호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2015. 11. 2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995호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2013. 7.1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997호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2013. 7.1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3436호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2015.11.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기유동탄성체로 된 디커플러 몸체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코어 상판의 디커플러 안착면에 밀착되면서 엔진 진동이 감쇠되거나 혹은 디커플러 몸체가 코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엔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엔진 마운트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리피스 본체와 오리피스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메인 러버에 의하여 그 체적이 가변되는 상부 액실과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그 체적이 가변되는 하부 액실을 오리피스 통로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게 분리 및 구획하며 중앙에 상하로 개방된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는 오리피스 모듈이 마련되며, 상기 오리피스 모듈의 중앙 관통공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액실과 상기 하부 액실을 분리시키며 상면이 상기 상부 액실의 유체와 접하며 하면이 상기 하부 액실의 유체와 접하는 디커플러가 마련되는 엔진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오리피스 본체는, 제1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의 중간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로서 상기 중간측벽과 함께 코일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로서 상기 중간측벽과 함께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외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코일 수용부에 자기장 형성용 코일이 장착되며 ;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오리피스 본체의 중앙 관통공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의 코어 몸체와, 상기 코어 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면에 디커플러 안착면이 형성되는 코어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기 코어가 마련되며 ;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코어 상판의 상부에 마련되며 자기유동탄성체로 제작된 디커플러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오리피스 상판은,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오리피스 본체의 외측벽에 결합되면서 상기 오리피스 통로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형태의 제1상판과, 상기 제1상판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와, 상기 상하 연장부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디커플러의 가장자리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링 형태의 제2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코일 수용부에 장착된 상기 자기장 형성용 코일의 상부에 중앙에 제2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영구자석 안착판이 마련되며 ; 상기 영구자석 안착판의 상부에 제3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영구자석이 안착되며 ; 상기 자기 코어의 코어 몸체는 상기 영구자석의 제3중앙구멍, 상기 영구자석 안착판의 제2중앙구멍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 상기 자기 코어의 코어 상판은, 상기 영구자석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코어 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코어 외측 상판과, 상기 코어 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태의 코어 내측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 상기 디커플러 안착면은 상기 코어 내측 상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 상기 자기장 형성용 코일에의 전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커플러 몸체의 중앙부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상기 코어 상판의 디커플러 안착면에 밀착되어 엔진 진동이 감쇠되거나 상기 디커플러 몸체가 상기 코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엔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디커플러 몸체에 내장되며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 재질의 디커플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디커플러 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가장자리 지지용 금속 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디커플러 몸체에 내장되며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 재질의 디커플러 플레이트와, 상기 디커플러 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가장자리 지지용 금속 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유동탄성체로 된 디커플러 몸체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코어 상판의 디커플러 안착면에 밀착되면서 엔진 진동이 감쇠되거나 혹은 디커플러 몸체가 코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엔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엔진 마운트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디커플러 몸체가 코어 상판에 밀착된 상태의 도 1의 엔진 마운트 장치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디커플러 몸체가 코어 상판에 밀착된 상태의 도 1의 엔진 마운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메인프레임(100)의 상하에 각각 메인 러버(200)와 다이어프램(30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봉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오리피스 모듈(400)이 장착되어 상부 액실(U)과 하부 액실(L)이 서로 연통되게 분리구획된다.
또한, 메인 러버(200)에는 엔진과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코어(201)가 가류 접착과 같은 방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즉 상부 액실(U)은 메인 러버(200)에 의하여 그 체적이 가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엔진으로부터 진동이 입력되는 부위에 해당되며, 아울러 하부 액실(L)은 다이어프램(300)에 의하여 그 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오리피스 모듈(400)은 오리피스 통로(413)에 의하여 상부 액실(U)과 하부 액실(L)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며, 또한 오리피스 모듈(400)은 상부 액실(U)과 하부 액실(L)을 분리 및 구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면, 엔진과 결합되는 연결코어(201)를 통해 메인 러버(200)에 변형이 발생하면서 상부 액실(U)의 유체 압력이 변화하고, 이러한 압력 변화에 따라 상부 액실(U)에 봉입된 유체는 오리피스 통로(413)를 통해 하부 액실(L)로 유동하며, 이때 발생하는 유체의 관성 저항에 의해 엔진 진동이 감쇠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디커플러가 코어 상판에 밀착 또는 이격되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진동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오리피스 모듈의 오리피스 통로에 대하여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오리피스 통로를 두어 더욱더 다양한 진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오리피스 통로의 변형의 양상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디커플러의 코어 상판에의 밀착 또는 이격이 발생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 액실(U), 하부 액실(L), 오리피스 모듈(400), 메인 러버(200), 다이어프램(300) 등의 구성은 유체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도면은 하나의 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상부 액실(U), 하부 액실(L), 오리피스 모듈(400), 오리피스 모듈(400)에 형성된 오리피스 통로(413), 메인 러버(200), 다이어프램(300) 등의 구조는 매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 요소들을 설명한다.
먼저 오리피스 모듈(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오리피스 모듈(400)은, 오리피스 본체(410)와, 오리피스 상판(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오리피스 본체(410)는, 중앙에 상하로 개방된 중앙 관통공(411)이 형성되며, 중앙 관통공(411)과 인접한 내측 가장자리에 상면이 개방된 코일 수용부(412)가 형성되며, 외측 가장자리에 상면이 개방된 오리피스 통로(413)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오리피스 본체(410)는, 제1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바닥판(410a)과, 바닥판(410a)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의 중간측벽(410d)과, 바닥판(410a)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로서 중간측벽(410d)과 함께 코일 수용부(412)를 형성하는 내측벽(410c)과, 바닥판(410a)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로서 중간측벽(410d)과 함께 오리피스 통로(413)를 형성하는 외측벽(4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외측벽(410b)과 중간측벽(410d) 사이에는 오리피스 통로(413)가 형성되는 한편 오리피스 통로 차단벽(410e)도 함께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410a)에는 오리피스 통로(413)와 하부 액실(L)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하부 액실용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리피스 본체(410)의 코일 수용부(412)에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이 수용된다.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은 후술하는 디커플러(800)에 자기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은 오리피스 본체(410)의 내측벽(410c)에 권취된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일정 권수로 권취된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이 발생하며, 그 발생된 자기력은 자기 코어(700)를 따라 전달되어, 후술하는 디커플러 몸체(810)와 자력 결합을 하게 된다.
아울러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의 배치가 반대로 변화될 수 있다.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의 상부에 영구자석(620)이 안착된 영구자석 장착판(610)이 마련된다.
영구자석 안착판(610)은 제2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로서 코일 수용부(412)를 덮도록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의 상부에 마련된다.
영구자석 안착판(610)의 상면에 제3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영구자석(620)이 안착되어 있다.
영구자석(620)은 지속적으로 디커플러(800)에 자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며, 극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영구자석(620)의 상부에 자기 코어(700)가 마련된다.
자기 코어(700)는 코어 몸체(710)와, 코어 상판(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어 몸체(7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영구자석(620)의 제3중앙구멍, 영구자석 안착판(610)의 제2중앙구멍, 오리피스 본체(410)의 중앙 관통공(411)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이다.
코어 상판(720)은 코어 몸체(710)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그 상면에 디커플러 안착면(721)이 형성된다. 디커플러 안착면(721)은 후술하는 디커플러 몸체(810)가 밀착되기 위한 부우이다.
코어 상판(720)은 다시 코어 외측 상판(722)과, 코어 내측 상판(723)으로 이루어진다.
코어 외측 상판(722)은 영구자석(620)의 상면을 덮도록 코어 몸체(710)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위이다.
코어 내측 상판(723)은 코어 몸체(710)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태이며, 코어 내측 상판(723)의 상면에 디커플러 안착면(721)이 형성된다.
디커플러 안착면(721)은 디커플러 몸체(810)의 형태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디커플러 몸체(810)의 중앙부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코어 상판(720)측으로 당겨지면서 코어 상판(720)의 디커플러 안착면(721)에 밀착되면 엔진 진동이 감쇠된다.
이와 같은 자기 코어(700)의 형태는 후술하는 디커플러 몸체(810)에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인가하고 아울러 디커플러 몸체(810)가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자기 코어(700)의 상부에 디커플러(800)가 마련된다.
디커플러(800)는, 자기유동탄성체로 제작된 디커플러 몸체(810)와, 디커플러 몸체(810)에 내장되는 금속 재질의 디커플러 플레이트(820)와, 디커플러 몸체(8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가장자리 지지용 금속 링(8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자기유동탄성체(MR Elastomer, MRE, 혹은 자기유변탄성체)는 실리콘 재료나 천연 고무와 같은 폴리머 재료 내부에 체인 형태로 극성화될 수 있는 자성입자(통상 철 분말)를 내포하여 자기장에 의하여 그 성질(특히 강성)이 변화되는 재료이다.
본 발명은 자기유동탄성체의 자기장에 따른 강성 변화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자기유동탄성체의 자성입자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인력을 발휘한다는 것을 염두에 둔 것이다.
즉 디커플러 몸체(810)는 영구자석(620)의 자력과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의하여 자기 코어(700)에 형성된 자력에 따라 자기 코어(700)의 코어 상판(720) 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밀착되면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반면 디커플러 몸체(810)가 자기 코어(700)의 코어 상판(720)으로부터 이격되면 엔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디커플러 몸체(810)에 내장된 금속 재질의 디커플러 플레이트(820)는, 영구자석(620)의 자력과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의하여 자기 코어(700)에 형성된 자력에 더욱 강력하게 자력 결합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디커플러 플레이트(820)는 강자성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자리 지지용 금속 링(830)은, 오리피스 상판(420)에 견고히 결합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디커플러(800)는 그 하면이 하부 액실(L)의 유체와 접하게 된다.
오리피스 본체(410)의 상부 및 디커플러(800)의 상부에 오리피스 상판(420)이 고정 마련된다.
오리피스 상판(420)은, 링 형태의 제1상판(421)과, 원통 형태의 상하 연장부(422)와, 링 형태의 제2상판(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제1상판(421)은, 외측 가장자리가 오리피스 본체(410)의 외측벽(410b)에 결합되면서 오리피스 통로(413)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형태이다.
제1상판(421)에는 오리피스 통로(413)와 상부 액실(U)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상부 액실용 관통공(42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액실(U)의 유체는 상부 액실용 관통공(421a)을 통하여 오리피스 통로(413)로 유입되어 바닥판(410a)에 형성된 하부 액실용 관통공(미도시)을 통하여 하부 액실(L)로 유동하게 된다.
상하 연장부(422)는, 제1상판(42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이다.
제2상판(423)은, 상하 연장부(42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디커플러(800)의 가장자리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링 형태이다.
제2상판(423)의 중앙에는 중앙 개구부(4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부 액실(U)의 유체는 디커플러(800)의 상면에 접촉된다.
한편 다이어프램(300)에는 금속재질의 다이어프램 고정링(30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0)에 의하여 다이어프램(300), 오리피스 모듈(400) 등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디커플러 몸체(810)가 코어 상판(720)의 디커플러 안착면(721)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부 액실(U)내의 유체의 압력변화를 디커플러 몸체(810)가 흡수할 수 있다.
즉 디커플러 몸체(810)는 주로 고주파 미소변위의 진동이 엔진 마운트에 입력되면 이에 따라 진동하여 상부 액실(U)내의 유체의 압력변화를 흡수하게 된다.
이때의 디커플러 몸체(810)는 미소변위에 따른 고주파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자기유동탄성체의 고무 성질을 이용하게 된다.
만일 영구자석(620)이 디커플러(800)를 향한 측에 N극이 형성된다면,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자기 코어(700)의 디커플러(800)를 향한 측에 S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자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거나, 혹은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면 디커플러 몸체(810)가 자기 코어(700)에 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커플러 몸체(810)가 코어 상판(720)에 밀착되면 디커플러 몸체(810)의 진동이 허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동강성(dynamic stiffness)를 얻을 수 있다.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전류의 세기 및 영구자석(620)의 자력에 따라 디커플러 몸체(810)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인력을 받으면서 자기 코어(700)측으로 당겨지면 디커플러 몸체(810)가 코어 상판(720)의 디커플러 안착면(721)에 밀착되면서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가령 영구자석(620)이 디커플러(800)를 향한 측에 N극이 형성된다면,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자기 코어(700)의 디커플러(800)를 향한 측에 N극이 형성되도록 하면 보다 강력하게 디커플러 몸체(800)에 인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커플러 몸체(810)의 코어 상판(720)에의 밀착은, 자기유동탄성체의 자성입자(통상 철 분말)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인력을 발휘하는 것과, 자기유동탄성체의 유연한 고무 성질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커플러 몸체(810)의 코어 상판(720)에의 밀착/이격에 따라 적절한 능동형 진동 감쇠가 가능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자기장 형성용 코일(5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및 방향은, 엔진 진동의 주파수 상태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ECU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자기장 형성용 코일(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및 방향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 장치는 디커플러 몸체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코어 상판의 디커플러 안착면에 밀착되거나 디커플러 몸체가 코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다양한 주파수 영역대의 엔진 진동을 능동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메인 러버 U : 상부 액실
300 : 다이어프램 L : 하부 액실
400 : 오리피스 모듈
410 : 오리피스 본체 411 : 중앙 관통공
412 : 코일 수용부 413 : 오리피스 통로
420 : 오리피스 상판
500 : 자기장 형성용 코일
610 : 영구자석 안착판 600 : 영구자석
700 : 자기 코어
710 : 코어 몸체
720 : 코어 상판 721 : 디커플러 안착면
722 : 코어 외측 상판 723 : 코어 내측 상판
800 : 디커플러
810 : 디커플러 몸체 820 : 디커플러 플레이트
830 : 가장자리 지지용 금속 링

Claims (4)

  1. 오리피스 본체와 오리피스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메인 러버에 의하여 그 체적이 가변되는 상부 액실과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그 체적이 가변되는 하부 액실을 오리피스 통로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게 분리 및 구획하며 중앙에 상하로 개방된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는 오리피스 모듈이 마련되며, 상기 오리피스 모듈의 중앙 관통공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액실과 상기 하부 액실을 분리시키며 상면이 상기 상부 액실의 유체와 접하며 하면이 상기 하부 액실의 유체와 접하는 디커플러가 마련되는 엔진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오리피스 본체는, 제1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의 중간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로서 상기 중간측벽과 함께 코일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통 형태로서 상기 중간측벽과 함께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외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코일 수용부에 자기장 형성용 코일이 장착되며 ;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오리피스 본체의 중앙 관통공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의 코어 몸체와, 상기 코어 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면에 디커플러 안착면이 형성되는 코어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기 코어가 마련되며 ;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코어 상판의 상부에 마련되며 자기유동탄성체로 제작된 디커플러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오리피스 상판은,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오리피스 본체의 외측벽에 결합되면서 상기 오리피스 통로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형태의 제1상판과, 상기 제1상판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와, 상기 상하 연장부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디커플러의 가장자리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링 형태의 제2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코일 수용부에 장착된 상기 자기장 형성용 코일의 상부에 중앙에 제2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영구자석 안착판이 마련되며 ;
    상기 영구자석 안착판의 상부에 제3중앙구멍이 형성된 링 형태의 영구자석이 안착되며 ;
    상기 자기 코어의 코어 몸체는 상기 영구자석의 제3중앙구멍, 상기 영구자석 안착판의 제2중앙구멍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
    상기 자기 코어의 코어 상판은, 상기 영구자석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코어 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코어 외측 상판과, 상기 코어 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태의 코어 내측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
    상기 디커플러 안착면은 상기 코어 내측 상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
    상기 자기장 형성용 코일에의 전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커플러 몸체의 중앙부가 자력 결합에 의하여 상기 코어 상판의 디커플러 안착면에 밀착되어 엔진 진동이 감쇠되거나 상기 디커플러 몸체가 상기 코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엔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디커플러 몸체에 내장되며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 재질의 디커플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러는, 상기 디커플러 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가장자리 지지용 금속 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장치.
KR1020190140638A 2019-11-06 2019-11-06 엔진 마운트 장치 KR10227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38A KR102275555B1 (ko) 2019-11-06 2019-11-06 엔진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38A KR102275555B1 (ko) 2019-11-06 2019-11-06 엔진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693A KR20210054693A (ko) 2021-05-14
KR102275555B1 true KR102275555B1 (ko) 2021-07-09

Family

ID=7591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638A KR102275555B1 (ko) 2019-11-06 2019-11-06 엔진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5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3143A1 (en) * 2000-02-24 2001-08-30 Trelleborg Ab Vibration damping arrangements
KR100837886B1 (ko) 2007-02-26 2008-06-13 조상원 자기장발생층이나 전기장발생층이 포함된 면진받침
KR101573436B1 (ko) * 2015-06-02 2015-12-01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788A (ja) * 1993-10-20 1995-05-09 Nissan Motor Co Ltd 防振支持装置
KR101288997B1 (ko) 2011-07-01 2013-07-23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KR101288995B1 (ko) 2011-07-01 2013-07-23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3143A1 (en) * 2000-02-24 2001-08-30 Trelleborg Ab Vibration damping arrangements
KR100837886B1 (ko) 2007-02-26 2008-06-13 조상원 자기장발생층이나 전기장발생층이 포함된 면진받침
KR101573436B1 (ko) * 2015-06-02 2015-12-01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693A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8830B2 (en) Fluid-filled active damping apparatus
US6527262B2 (en) Fluid-filled active elastic engine mount
US5217211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vacuum-receiving chamber partially defined by flexible diaphragm with rigid restriction member
JP5514508B2 (ja) 液圧式防振マウント及び該液圧式防振マウントを備えている車両
KR101288995B1 (ko)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KR101288997B1 (ko)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JP2006258184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977141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20190008498A (ko) 엔진 마운트
KR101573436B1 (ko)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
US5887844A (en) Fluid-sealed vibration isolating device
KR102275555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KR20100011765A (ko) 엔진 마운트 장치
JPH1089402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2006250281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5113954A (ja) 防振装置
JP2010255831A (ja) 防振装置
JP2011038595A (ja) 防振装置
JP2004069005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9243595A (ja) 圧力感応切換式オリフィス通路を備えた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2105831B1 (ko) 액티브 엔진마운트
JP2010249288A (ja) 防振装置
JP5002176B2 (ja) 電磁式能動型マウント
JP2884804B2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4158111B2 (ja) 空気圧切換型の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