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980A - 릴 시트 - Google Patents

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980A
KR20230097980A KR1020220093838A KR20220093838A KR20230097980A KR 20230097980 A KR20230097980 A KR 20230097980A KR 1020220093838 A KR1020220093838 A KR 1020220093838A KR 20220093838 A KR20220093838 A KR 20220093838A KR 20230097980 A KR20230097980 A KR 2023009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reel seat
hood
axial direction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타카하라
켄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3009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98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릴 다리의 길이가 바뀌어도, 잡았을 때의 감촉이 변화하기 어려운 릴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낚시용 릴(200)의 릴 다리(201)의 제1 단부(端部)(202)를 보지(保持)하는 고정 후드(11), 및, 제1 계합부(係合部)를 가지는 릴 시트 본체(2)와, 제1 계합부에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가지고, 릴 시트 본체(2)에 둘레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를 보지하는 가동 후드(3)를 구비한 릴 시트(1)이고, 가동 후드(3)는, 제1 수용부(22)와 제1 수용부(22)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간(離間)하고, 제1 수용부(22)보다도 고정 후드(11)에 축 방향으로 접근하는 제2 수용부(23)를 가지고, 제1 수용부(22) 또는 제2 수용부(23)는, 제2 단부(203)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Description

릴 시트{REEL SEAT}
본 발명은, 낚싯대에 낚시용의 릴을 고정하기 위한 낚싯대용의 릴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릴 시트는, 통상(筒狀)의 릴 시트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통상의 가동 후드를 구비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는, 릴 다리의 일단부(一端部)를 보지(保持)하는 고정 후드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후드는, 릴 다리의 타단부(他端部)를 보지한다. 가동 후드는,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 중의 1개소에, 릴 다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대형의 릴의 경우에는, 릴 다리의 양 단부(端部) 사이의 거리가 길다. 한편, 소형의 릴의 경우에는, 릴 다리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다. 그 때문에, 대형의 릴을 릴 시트에 취부(取付)하면, 가동 후드는 고정 후드로부터 상대적으로 축 방향으로 멀게 위치한다. 한편, 소형의 릴을 릴 시트에 취부하면, 가동 후드는 고정 후드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다. 릴 다리의 둘레 방향의 반대 측에 있어서, 릴 시트 본체의 외주면(外周面)과 가동 후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축 방향에 간극(間隙)이 생기지만, 이 간극은, 가동 후드가 고정 후드에 접근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는 작고, 가동 후드가 고정 후드로부터 멀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크다. 즉, 릴 다리의 크기에 따라 간극의 크기가 변화하게 되고, 그 부분을 파지(把持)하는 손의 감촉도 변화하게 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3038290호
본 발명은, 릴 다리의 길이가 바뀌어도, 잡았을 때의 감촉이 변화하기 어려운 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릴 시트는, 낚시용 릴의 릴 다리의 제1 단부를 보지하는 고정 후드, 및, 제1 계합부(係合部)를 가지는 릴 시트 본체와, 제1 계합부에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가지고, 릴 시트 본체에 둘레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릴 다리의 제2 단부를 보지하는 가동 후드를 구비한 릴 시트에 있어서, 가동 후드는, 제1 수용부와, 제1 수용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간(離間)하고, 제1 수용부보다도 고정 후드에 축 방향으로 접근하는 제2 수용부를 가지고, 제1 수용부 또는 제2 수용부는, 제2 단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릴 시트에 대형의 릴을 취부하는 경우, 릴 다리의 제1 단부를 고정 후드에 보지시키고, 릴 다리의 제2 단부를 제1 수용부에 수용하여, 릴 다리의 제2 단부를 가동 후드에 보지시킨다. 한편, 릴 시트에 소형의 릴을 취부하는 경우, 릴 다리의 제2 단부를 제2 수용부에 수용하여, 릴 다리의 제2 단부를 가동 후드에 보지시킨다. 제2 수용부는, 제1 수용부보다도 고정 후드에 축 방향으로 접근한다. 그 때문에, 소형의 릴을 릴 시트에 취부하였을 경우에 있어서의 가동 후드의 축 방향의 위치와, 대형의 릴을 릴 시트에 취부하였을 경우에 있어서의 가동 후드의 축 방향의 위치는, 차이가 작다. 이와 같이, 릴의 크기가 바뀌었을 경우에, 릴 시트 본체에 대한 가동 후드의 축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크기가 다른 릴로 갈아 끼워도, 그립감의 변화의 정도가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합부와 제2 계합부는, 제1 수용부가 고정 후드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자세와, 제2 수용부가 고정 후드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자세를 선택적으로 계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계합부와 제2 계합부에 의하여, 가동 후드가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선택적으로 규제되고, 고정 후드와 함께 릴 다리를 단단히 보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부는, 가동 후드의 중심축으로부터 경(徑)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1 개구(開口) 단부를 가지고, 제2 수용부는, 가동 후드의 중심축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하고, 제1 개구 단부보다도 고정 후드에 축 방향으로 접근하는 제2 개구 단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수용부의 제1 개구 단부와 제2 수용부의 제2 개구 단부는, 서로, 가동 후드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경방향의 거리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릴 다리의 제2 단부를 제1 수용부에 수용하였을 경우와 제2 수용부에 수용하였을 경우에서, 그립감에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릴 시트 본체는, 고정 후드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반대 측에 설치되고, 릴 시트 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고, 제1 개구 단부 또는 제2 개구 단부와 선택적으로 대향하는 팽출(膨出) 단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 시트 본체의 팽출 단부와 가동 후드의 제1 개구 단부 및 제2 개구 단부는, 릴 시트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경방향의 거리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릴 시트의 팽출 단부와 가동 후드의 제1 개구 단부가 대향하였을 경우에는, 팽출 단부와 제1 개구 단부가 면일(面一)하게 된다. 또한, 릴 시트의 팽출 단부와 가동 후드의 제2 개구 단부가 대향하였을 경우에는, 팽출 단부와 제2 개구 단부가 면일하게 된다. 그 때문에, 양호한 그립감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부에 설치되고, 제2 단부에 당접(當接)하는 제1 당접체를 더 가지고, 제1 수용부는, 내주면에, 제1 당접체를 보지하는 제1 보지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당접체를 예를 들어 쿠션성에 뛰어난 재질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릴 다리의 제2 단부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지부는, 제1 당접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계지부(係止部)와, 제1 당접체의 둘레 방향의 이동 및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계지부에 의하여 제1 당접체의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제1 규제부에 의하여 제1 당접체의 둘레 방향의 이동과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제1 당접체가 안정되고, 제1 당접체에 당접하는 릴 다리의 제2 단부도 안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수용부에 설치되고, 제2 단부에 당접하는 제2 당접체를 더 가지고, 제2 수용부는, 내주면(內周面)에, 제2 당접체를 보지하는 제2 보지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당접체를 예를 들어 쿠션성에 뛰어난 재질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릴 다리의 제2 단부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보지부는, 제2 당접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계지부와, 제2 당접체의 둘레 방향의 이동 및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계지부에 의하여 제2 당접체의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제2 규제부에 의하여 제2 당접체의 둘레 방향의 이동과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제2 당접체가 안정되고, 제2 당접체에 당접하는 릴 다리의 제2 단부도 안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당접체와 제2 당접체는, 서로 동일 형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당접체와 제2 당접체를 공통의 부품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지부와 제2 보지부를 서로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가동 후드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어, 가동 후드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릴 다리의 길이가 바뀌어도, 그립감에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동(同)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동 낚싯대의 도 1에 대응한 단면도.
도 4는 동 낚싯대의 도 2에 대응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동 릴 시트의 가동 후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동 가동 후드를 축 방향으로 본 도면.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C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D-D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E-E 단면도.
도 13은 (a)는 동 릴 시트의 제1 당접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동 제1 당접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용의 릴 시트에 관하여 도면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1)는, 낚싯대(100)에 릴(200)을 취부하기 위한 것이다. 릴 시트(1)는, 낚싯대(100)의 장대 본체(101)에 장착된다. 릴 시트(1)는, 이른바 파이프 시트라고 칭하여지는 통상의 것이다. 릴 시트(1)는, 장대 본체(101)의 경방향 외측에 장착되어 소정 위치에 접착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릴 시트(1)는, 스피닝 릴(200)을 취부하는 것에 적합하지만, 양 베어링 릴(200)을 취부하는 것에 적합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통상(通常)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스피닝 릴(200)은 낚싯대(100)의 하측(下側)에 위치한다. 릴(200)은, 릴 다리(201)를 구비하고 있다. 릴 다리(201)는,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의 단부인 제1 단부(202)와, 축 방향의 제2 방향(Z2)의 단부인 제2 단부(203)를 가지고 있다. 제1 단부(202)는,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을 향하고, 제2 단부(203)는, 축 방향의 제1 방향(Z1)과는 반대 방향인 축 방향의 제2 방향(Z2)을 향하고 있다. 덧붙여,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은, 장대 초리 쪽이어도 무방하고, 장대 손잡이 쪽이어도 무방하다. 릴 다리(201)의 제1 단부(202)와 제2 단부(203)는, 서로 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릴 다리(201)의 제1 단부(202)와 제2 단부(203)를 각각 릴 시트(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릴(200)을 낚싯대(100)에 고정할 수 있다.
릴 시트(1)에는, 상대적으로 큰 릴(200)과, 상대적으로 작은 릴(200)을 취부할 수 있다. 큰 릴(200)은, 큰 릴 다리(201), 즉, 축 방향의 길이가 긴 릴 다리(201)를 가진다. 작은 릴(200)은, 작은 릴 다리(201), 즉, 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릴 다리(201)를 가진다. 도 1 및 도 3에는, 릴 시트(1)에 대형의 릴(200)을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 및 도 4에는, 릴 시트(1)에 소형의 릴(200)을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릴 시트(1)는, 장대 본체(101)의 외주면에 직접 혹은 도시하지 않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접착 고정되는 통상의 릴 시트 본체(2)와, 릴 시트 본체(2)의 경방향 외측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씌워지는 통상의 가동 후드(3)와, 가동 후드(3)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너트(4)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후드(3)와 너트(4)는, 릴 시트 본체(2)의 축 방향의 제2 방향(Z2)에 위치한다. 덧붙여, 릴 시트 본체(2)에 대하여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는, EVA나 코르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그립(5)이 설치된다. 그립(5)은, 릴 시트 본체(2)의 외주면으로부터 장대 본체(101)의 외주면에 걸쳐 장착된다.
릴 시트 본체(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이고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릴 시트 본체(2)의 축 방향 제1 단부(2a)는,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을 향하고 있고, 릴 시트 본체(2)의 축 방향 제2 단부(2b)는, 축 방향의 제2 방향(Z2)을 향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2)는, 릴 다리(201)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다리 재치면(10)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릴 시트(1)를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다리 재치면(10)이 향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칭하고, 그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면 중, 상하 방향을 부호 Y로 나타내고, 좌우 방향을 부호 X로 나타내고 있다. 다리 재치면(10)의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의 단부에, 릴 다리(201)의 제1 단부(202)를 보지하는 고정 후드(11)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후드(11)는, 릴 시트 본체(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후드(11)는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 개구하고 있어, 그 개구로부터 릴 다리(201)의 제1 단부(202)가 고정 후드(11)에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을 향하여 끼워 넣어진다.
릴 시트 본체(2)의 외주면에는 수(雄)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2)는, 다리 재치면(10)보다도 축 방향의 제2 방향(Z2)에 위치하고 있다. 수나사부(12)는, 릴 시트 본체(2)의 축 방향 제2 단부(2b)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수나사부(12)의 형성 영역에는, 제1 계합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계합부(13)는, 수나사부(12)가 부분적으로 결락(缺落)한 가이드 홈이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릴 시트 본체(2)의 축 방향 제2 단부(2b)까지 이르고 있다. 제1 계합부(13)는, 가동 후드(3)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것과 함께, 가동 후드(3)의 둘레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제1 계합부(13)는, 가동 후드(3)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고, 가동 후드(3)가 회전하지 않고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동 후드(3)를 규제한다. 제1 계합부(13)는, 수나사부(12)의 형성 영역의 전체 둘레 중 적어도 180도 대향한 2개소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부(13)는, 상하 방향(Y)으로 대향한 2개소에 설치된다. 덧붙여, 제1 계합부(13)는, 둘레 방향으로 90도의 간격을 두고 합계 4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릴 시트 본체(2)의 외주면이고 수나사부(12)보다도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의 부분에는,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이 대경(大徑)으로 되는 단차부(段差部)(14)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14)는, 다리 재치면(10)과는 둘레 방향의 반대 측에 설치되어 있다. 릴 시트 본체(2)의 외주면에는 팽출 단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 단부(15)는, 다리 재치면(10)과는 둘레 방향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팽출 단부(15)는, 단차부(14)의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 접속하고 있다.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는,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을 향하고 있고,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2 단부(3b)는, 축 방향의 제2 방향(Z2)을 향하고 있다. 팽출 단부(15)는,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와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팽출 단부(15)는, 릴 시트 본체(2)의 중심축(2c)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소정 거리 L인 곳에 위치하고 있다. 덧붙여, 릴 시트 본체(2)의 중심축(2c)은, 가동 후드(3)의 중심축, 너트(4)의 중심축, 및 장대 본체(101)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이하, 릴 시트 본체(2)의 중심축(2c)을 단지 중심축(2c)이라고 한다. 릴 시트 본체(2)의 팽출 단부(15)는, 수나사부(12)보다도 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하여 있다. 팽출 단부(15)의 중심축(2c)으로부터의 소정 거리 L은,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에 있어서의 최대 반경과 일치하고 있다. 팽출 단부(15)는, 수나사부(12)로부터 축 방향의 제1 방향(Z1)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2)의 수나사부(12)에 너트(4)가 나합(螺合)한다. 너트(4)와 고정 후드(11)와의 사이에 가동 후드(3)가 위치하고 있다. 가동 후드(3)는 통상이고 릴 시트 본체(2)의 경방향 외측에 씌워져 있다. 가동 후드(3)의 내주면에는, 도 6 및 도 9와 같이 제2 계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계합부(20)는, 제1 계합부(13)와 계합한다. 제2 계합부(20)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조(突條)이다. 가동 후드(3)의 제2 계합부(20)가 릴 시트 본체(2)의 제1 계합부(13)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가동 후드(3)는, 중심축(2c) 둘레로 회전하는 일 없이, 제1 계합부(13)에 안내되면서 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계합부(20)는, 180도 대향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2 단부(3b)의 내주면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환상(環狀)의 돌조(21)(제1 둘레 방향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너트(4)의 축 방향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환상 홈(90)(제2 둘레 방향 계합부)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4)의 환상 홈(90)에, 가동 후드(3)의 환상의 돌조(21)가 계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너트(4)가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가동 후드(3)도 너트(4)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덧붙여, 너트(4)에 환상의 돌조가 설치되고, 가동 후드(3)에 환상 홈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너트(4)를 둘레 방향의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 후드(3)는 함께 고정 후드(11)에 가까워져 가고, 너트(4)를 둘레 방향의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 후드(3)는 고정 후드(11)로부터 멀어져 간다. 너트(4)를 둘레 방향의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 후드(11)와 가동 후드(3)에 의하여 릴 다리(201)를 축 방향으로 협지(挾持)할 수 있다. 너트(4)를 둘레 방향의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릴 다리(201)를 해방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4)를 둘레 방향의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면, 곧 너트(4)가 수나사부(12)로부터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 멀어진다. 너트(4)가 수나사부(12)로부터 멀어지면, 가동 후드(3)의 제2 계합부(20)가 릴 시트 본체(2)의 제1 계합부(13)로부터 축 방향으로 빠질 수 있고, 가동 후드(3)가 릴 시트 본체(2)로부터 축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릴 시트 본체(2)로부터 가동 후드(3)를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 이반(離反)시키면, 가동 후드(3)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후드(3)를 둘레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다시, 가동 후드(3)의 제2 계합부(20)를 릴 시트 본체(2)의 제1 계합부(13)에 계합시켜, 릴 시트 본체(2)에 가동 후드(3)를 축 방향의 제1 방향(Z1)을 향하게 하여 씌울 수 있다. 즉, 가동 후드(3)를 180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에는, 가동 후드(3)가 제1 자세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4는, 가동 후드(3)가 제1 자세에 대하여 180도 반전한 제2 자세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자세는 제1 자세에 대하여 상하 반전한 자세이다.
가동 후드(3)는,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22) 및 제2 수용부(23)를 가지고 있다. 제1 수용부(22)와 제2 수용부(23)는,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제1 수용부(22) 및 제2 수용부(23)는,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에 개구하고 있다. 제1 수용부(22)는, 가동 후드(3)의 전체 둘레 중 제1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수용부(23)는, 가동 후드(3)의 전체 둘레 중 제2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위치는 제1 위치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둘레 방향으로 180도 떨어져 있다. 즉,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서로 180도 대향한 위치 관계에 있어, 제1 수용부(22)와 제2 수용부(23)는 서로 180도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1 수용부(22)와 제2 수용부(23)는, 서로 상하 방향(Y)으로 대향하고 있다. 도 1및 도 3은, 제1 수용부(22)가 고정 후드(11)에 축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이고, 도 2및 도 4는, 제2 수용부(23)가 고정 후드(11)에 축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이다.
도 8과 같이, 제1 수용부(22)와 제2 수용부(23)는,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의 전체 둘레 중 180도 대향한 2개소가 국소적으로 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한 부분이다.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를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은, 원형상(圓形狀)은 아니고, 제1 수용부(22)와 제2 수용부(23)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긴 장원(長圓) 형상이다. 즉,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는, 상하 방향(Y)으로 길고 좌우 방향(X)으로 짧은 형상이다. 제1 수용부(22)는, 제1 개구 단부(24)를 가지고, 제2 수용부(23)는 제2 개구 단부(25)를 가진다. 제1 개구 단부(24)와 제2 개구 단부(25)는, 가동 후드(3)의 축 방향 제1 단부(3a)에 설치된다. 제1 개구 단부(24)와 제2 개구 단부(25)는, 모두, 가동 후드(3)의 외주면의 부분이고, 중심축(2c)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소정 거리 L인 곳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개구 단부(25)는, 제1 개구 단부(24)보다도,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수용부(23)는, 제1 수용부(22)보다도 고정 후드(11)에 접근한다. 제1 수용부(22)는, 대형의 릴(200)을 취부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제2 수용부(23)는, 소형의 릴(200)을 취부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제1 수용부(22)는, 상대적으로 환상의 돌조(21)에 가깝고, 제2 수용부(23)는, 상대적으로 환상의 돌조(21)로부터 멀다. 즉, 제2 수용부(23)는, 제1 수용부(22)보다도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수용부(22)와 제2 수용부(23)는, 서로 다른 구성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공통된 구성이고, 축 방향의 위치만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동 후드(3)는,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후드(3)는, 통상의 후드 본체(30)와, 후드 본체(30)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가 당접하는 제1 당접체(31) 및 제2 당접체(32)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도 7 ~ 도 9에 있어서, 제1 당접체(31) 및 제2 당접체(32)에는, 다수의 도트(dot)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는,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에 선택적으로 당접한다.
후드 본체(30)는, 가동 후드(3)의 주요부이다. 후드 본체(30)에 환상의 돌조(21)가 설치되어 있다. 후드 본체(30)의 외주면은 가동 후드(3)의 외주면이 된다. 후드 본체(30)는, 예를 들어 금속이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제1 당접체(31) 및 제2 당접체(32)는, 각각 후드 본체(30)와는 별체(別體)이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제1 당접체(31) 및 제2 당접체(32)는, 후드 본체(30)보다도 연질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 본체(30)가 금속제인 경우, 제1 당접체(31) 및 제2 당접체(32)는 합성 수지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당접체(31) 및 제2 당접체(32)는, 서로 다른 재질,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공통의 부품이고, 서로 동일 형상이고, 동일 재질이다.
제1 수용부(22)에 제1 당접체(31)가 설치되고, 제2 수용부(23)에 제2 당접체(32)가 설치된다. 제1 수용부(22)는, 제1 당접체(31)를 보지하는 제1 보지부(40)를 가지고, 제2 수용부(23)는, 제2 당접체(32)를 보지하는 제2 보지부(41)를 가진다.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는 서로 180도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는, 서로 축 방향의 위치가 다르다. 제2 당접체(32)는, 제1 당접체(31)보다도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 위치하고 있다. 후드 본체(30)의 내주면에 제1 보지부(40)와 제2 보지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지부(40)와 제2 보지부(41)는 서로 180도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지부(40)와 제2 보지부(41)는, 서로 축 방향의 위치가 다르다. 제2 보지부(41)는, 제1 보지부(40)보다도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가 서로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제1 보지부(40)와 제2 보지부(41)는 서로 동일 형상이고, 서로 축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 있다.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는, 서로 동일한 부품이다. 도 13에는 제1 당접체(31)를 단체(單體)로 도시하고 있다. 제1 당접체(31)는,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板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당접체(31)는, 내면에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가 당접하는 당접면(50)을 가지는 본체부(51)와, 본체부(51)로부터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 연설(延設)된 연신부(延伸部)(5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51)는, 제1 당접체(31)의 주요부이다. 당접면(50)은,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1 단부(51a)까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1 단부(51a)는, 제1 당접체(31)의 축 방향 제1 단부이다. 연신부(52)는,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2 단부(51b)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신부(52)의 외면(外面)의 둘레 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규제 돌기(53)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돌기(53)는, 원기둥 형상이고,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규제 돌기(53)는,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2 단부(51b)로부터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당접체(31)에 제2 계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계합부(20)는, 제1 당접체(31)의 내면에 설치되고, 중심축(2c)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제2 계합부(20)는, 본체부(51)로부터 연신부(5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계합부(20)는, 연신부(52)의 축 방향 제2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연신부(52)의 축 방향 제2 단부는, 제1 당접체(31)의 축 방향 제2 단부이다.
제1 보지부(40)는, 제1 당접체(31)가 꼭 끼이는 제1 오목부(42)를 가지고, 제2 보지부(41)는, 제2 당접체(32)가 꼭 끼이는 제2 오목부(43)를 가진다. 제1 오목부(42)와 제2 오목부(43)는, 각각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제1 보지부(40)는, 제1 당접체(31)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계지부(44)와, 제1 당접체(31)의 둘레 방향의 이동 및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45)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계지부(44)는,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1 단부(51a) 및 축 방향 제2 단부(51b)를 규제한다. 제1 계지부(44)는, 제1 당접체(31)의 축 방향의 제1 방향(Z1)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포어(fore) 스토퍼(44a)와, 제1 당접체(31)의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백(back) 스토퍼(44b)를 가지고 있다. 제1 포어 스토퍼(44a)는, 후드 본체(30)의 축 방향 제1 단부에 설치되고,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1 포어 스토퍼(44a)는, 둘레 방향으로 긴 볼록조(條)이고, 중심축(2c) 둘레에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설치되어 있다. 제1 포어 스토퍼(44a)에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1 단부(51a)(제1 당접체(31)의 축 방향 제1 단부)가 당접한다. 제1 백 스토퍼(44b)는, 제1 포어 스토퍼(44a)에 대하여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 떨어져 있다. 제1 백 스토퍼(44b)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단차면이다. 제1 백 스토퍼(44b)에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2 단부(51b)가 당접한다.
제1 규제부(45)는, 제1 당접체(31)의 본체부(51)의 둘레 방향 양 단부가 각각 당접하는 한 쌍의 제1 규제 볼록부(45a)와, 제1 당접체(31)의 연신부(52)의 한 쌍의 규제 돌기(53)가 각각 계합하는 한 쌍의 제1 규제 오목부(45b)를 가진다. 제1 규제 볼록부(45a)는, 제1 오목부(42)의 둘레 방향의 양 개구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규제 볼록부(45a)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규제 볼록부(45a)는, 좌우 방향(X)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1 규제 오목부(45b)는, 제1 오목부(42)와 연속하고, 제1 오목부(42)로부터 더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제1 규제 오목부(45b)에, 규제 돌기(53)가 축 방향의 제2 방향(Z2)을 향하여 삽입된다.
제2 보지부(41)는, 제2 당접체(32)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계지부(46)와, 제2 당접체(32)의 둘레 방향의 이동 및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47)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계지부(46)는,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1 단부(51a) 및 축 방향 제2 단부(51b)를 규제한다. 제2 계지부(46)는, 제2 당접체(32)의 축 방향의 제1 방향(Z1)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포어 스토퍼(46a)와, 제2 당접체(32)의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백 스토퍼(46b)를 가지고 있다. 제2 포어 스토퍼(46a)는, 후드 본체(30)의 축 방향 제1 단부에 설치되고,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2 포어 스토퍼(46a)는, 둘레 방향으로 긴 볼록조이고, 중심축(2c) 둘레에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설치되어 있다. 제2 포어 스토퍼(46a)에 제2 당접체(32)의 축 방향 제1 단부가 당접한다. 제2 백 스토퍼(46b)는, 제2 포어 스토퍼(46a)에 대하여 축 방향의 제2 방향(Z2)으로 떨어져 있다. 제2 백 스토퍼(46b)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단차면이다. 제2 백 스토퍼(46b)에 제2 당접체(32)의 본체부(51)의 축 방향 제2 단부(51b)가 당접한다.
제2 규제부(47)는, 제2 당접체(32)의 본체부(51)의 둘레 방향 양 단부가 각각 당접하는 한 쌍의 제2 규제 볼록부(47a)와, 제2 당접체(32)의 연신부(52)의 한 쌍의 규제 돌기(53)가 각각 계합하는 한 쌍의 제2 규제 오목부(47b)를 가진다. 제2 규제 볼록부(47a)는, 제2 오목부(43)의 둘레 방향의 양 개구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규제 볼록부(47a)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규제 볼록부(47a)는, 좌우 방향(X)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2 규제 오목부(47b)는, 제2 오목부(43)와 연속하고, 제2 오목부(43)으로부터 더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제2 규제 오목부(47b)에, 규제 돌기(53)가 축 방향의 제2 방향(Z2)을 향하여 삽입된다.
도 1 및 도 3에는, 대형의 릴(200)을 릴 시트(1)에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대형의 릴(200)을 취부하는 경우, 고정 후드(11)에는, 가동 후드(3)의 제1 수용부(22)를 축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제2 수용부(23)는, 릴 시트 본체(2)의 팽출 단부(15)에 축 방향과 대향한다. 제2 수용부(23)는, 제1 수용부(22)보다도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 위치하고 있다. 팽출 단부(15)와 제2 수용부(23)와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팽출 단부(15)와 제2 개구 단부(25)와의 사이에는, 제1 간극 G1이 생긴다. 중심축(2c)으로부터 팽출 단부(15)까지의 경방향의 거리 L과, 중심축(2c)으로부터 제2 개구 단부(25)까지의 경방향의 거리 L이 같다. 그 때문에, 팽출 단부(15)와 제2 개구 단부(25)와는 제1 간극 G1을 통하여 면일하게 된다.
도 2 및 도 4에는, 소형의 릴(200)을 릴 시트(1)에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소형의 릴(200)을 취부하는 경우, 고정 후드(11)에는, 가동 후드(3)의 제2 수용부(23)를 축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제2 수용부(23)는, 제1 수용부(22)보다도 축 방향의 제1 방향(Z1)에 위치한다. 즉, 제2 수용부(23)는, 제1 수용부(22)보다도 고정 후드(11)에 접근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대형의 릴(200)로부터 소형의 릴(200)로 교체하였을 경우여도, 릴 시트 본체(2)에 대한 가동 후드(3)의 축 방향의 위치의 변화가 작다. 그 때문에, 크기가 다른 릴(200)로 갈아 끼워도, 그립감에 차이가 생기기 어렵다. 낚시꾼은, 변화가 적은 상태로 낚싯대(100)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의 경우에 있어서, 팽출 단부(15)에는, 제1 수용부(22)가 축 방향과 대향한다. 팽출 단부(15)와 제1 수용부(22)와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팽출 단부(15)와 제1 개구 단부(24)와의 사이에는, 제2 간극 G2가 생긴다. 제1 간극 G1과 제2 간극 G2의 차이는 작다. 팽출 단부(15)에는 주로 손바닥이 당접한다. 제1 간극 G1과 제2 간극 G2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손바닥의 감촉에 변화가 작다.
나아가, 중심축(2c)으로부터 팽출 단부(15)까지의 경방향의 거리 L과, 중심축(2c)으로부터 제1 개구 단부(24)까지의 경방향의 거리 L과, 중심축(2c)으로부터 제2 개구 단부(25)까지의 경방향의 거리 L이, 모두 같다. 그 때문에, 대형의 릴(200)을 취부하였을 경우에는, 팽출 단부(15)와 제1 개구 단부(24)는 제1 간극 G1을 통하여 면일하게 된다. 또한, 소형의 릴(200)을 취부하였을 경우에는, 팽출 단부(15)와 제2 개구 단부(25)가 제2 간극 G2를 통하여 면일하게 된다. 어느 경우여도, 거리 L이 동일하기 때문에, 손바닥에 닿는 감촉에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제1 수용부(22)에는 제1 당접체(31)가 설치되고, 제2 수용부(23)에는 제2 당접체(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를 합성 수지제로 하는 것에 의하여,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를 공통의 부품으로 하는 것으로, 제작 코스트가 삭감되는 것과 함께, 제2 단부(203)로의 당접 상태도 일정한 것이 되기 쉽고, 안정되게 또한 확실하게 제2 단부(203)를 보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보지부(40)와 제2 보지부(41)를 서로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축 방향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하면 된다. 그 때문에, 후드 본체(30)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어, 후드 본체(30)의 제작도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드 본체(30)와는 별도의 부재로 된 제1 당접체(31) 및 제2 당접체(32)는, 제1 보지부(40)와 제2 보지부(41)에 의하여 각각 보지된다. 그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후드 본체(30)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여도, 그 양을 삭감할 수 있다. 특히, 제1 계지부(44)와 제2 계지부(46)에 의하여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의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의 축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안정되어 제2 단부(203)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가 후드 본체(30)로부터 축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규제부(45)와 제2 규제부(47)에 의하여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의 둘레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의 둘레 방향의 위치도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안정되어 제2 단부(203)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규제부(45)와 제2 규제부(47)에 의하여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의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도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당접체(31)와 제2 당접체(32)의 후드 본체(30)로부터의 탈락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다리(201)의 제2 단부(203)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2개소 설치되었지만, 3개소나 4개소 등이어도 무방하다.
1: 릴 시트
2: 릴 시트 본체
2a: 축 방향 제1 단부
2b: 축 방향 제2 단부
2c: 중심축
3: 가동 후드
3a: 축 방향 제1 단부
3b: 축 방향 제2 단부
4: 너트
5: 그립
10: 다리 재치면
11: 고정 후드
12: 수나사부
13: 제1 계합부
14: 단차부
15: 팽출 단부
20: 제2 계합부
21: 환상의 돌조
22: 제1 수용부
23: 제2 수용부
24: 제1 개구 단부
25: 제2 개구 단부
30: 후드 본체
31: 제1 당접체
32: 제2 당접체
40: 제1 보지부
41: 제2 보지부
42: 제1 오목부
43: 제2 오목부
44: 제1 계지부
44a: 제1 포어 스토퍼
44b: 제1 백 스토퍼
45: 제1 규제부
45a: 제1 규제 볼록부
45b: 제1 규제 오목부
46: 제2 계지부
46a: 제2 포어 스토퍼
46b: 제2 백 스토퍼
47: 제2 규제부
47a: 제2 규제 볼록부
47b: 제2 규제 오목부
50: 당접면
51: 본체부
51a: 축 방향 제1 단부
51b: 축 방향 제2 단부
52: 연신부
53: 규제 돌기
90: 환상 홈
100: 낚싯대
101: 장대 본체
200: 릴
201: 릴 다리
202: 제1 단부
203: 제2 단부
X: 좌우 방향
Y: 상하 방향
Z1: 축 방향의 제1 방향
Z2: 축 방향의 제2 방향

Claims (9)

  1. 낚시용 릴의 릴 다리의 제1 단부(端部)를 보지(保持)하는 고정 후드, 및, 제1 계합부(係合部)를 가지는 릴 시트 본체와,
    상기 제1 계합부에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릴 시트 본체에 둘레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릴 다리의 제2 단부를 보지하는 가동 후드
    를 구비한 릴 시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 후드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간(離間)하고, 상기 제1 수용부보다도 상기 고정 후드에 축 방향으로 접근하는 제2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수용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단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와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상기 고정 후드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자세와,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고정 후드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자세
    를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가동 후드의 중심축으로부터 경(徑)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1 개구(開口)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가동 후드의 중심축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상기 소정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 단부보다도 상기 고정 후드에 축 방향으로 접근하는 제2 개구 단부를 가지는, 릴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 시트 본체는, 상기 고정 후드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반대 측에 설치되고, 상기 릴 시트 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 단부 또는 상기 제2 개구 단부와 선택적으로 대향하는 팽출(膨出) 단부를 가지는, 릴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단부에 당접(當接)하는 제1 당접체를 더 가지고,
    상기 제1 수용부는,
    내주면(內周面)에, 상기 제1 당접체를 보지하는 제1 보지부를 가지는,
    릴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지부는,
    상기 제1 당접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계지부(係止部)와,
    상기 제1 당접체의 둘레 방향의 이동 및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
    를 가지는 릴 시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단부에 당접하는 제2 당접체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수용부는,
    내주면에, 상기 제2 당접체를 보지하는 제2 보지부를 가지는,
    릴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지부는,
    상기 제2 당접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계지부와,
    상기 제2 당접체의 둘레 방향의 이동 및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
    를 가지는 릴 시트.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당접체와 상기 제2 당접체는, 서로 동일 형상인, 릴 시트.
KR1020220093838A 2021-12-24 2022-07-28 릴 시트 Pending KR20230097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210287 2021-12-24
JP2021210287A JP7715626B2 (ja) 2021-12-24 2021-12-24 リール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980A true KR20230097980A (ko) 2023-07-03

Family

ID=8687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838A Pending KR20230097980A (ko) 2021-12-24 2022-07-28 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715626B2 (ko)
KR (1) KR20230097980A (ko)
CN (1) CN116326555A (ko)
TW (1) TW2023274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290B2 (ja) 1994-06-09 2000-05-08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リールシートの摺動フー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8971U (ko) * 1986-06-11 1987-12-18
JP2593528Y2 (ja) * 1992-07-16 1999-04-1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のリールシート
JP4229302B2 (ja) * 1999-04-13 2009-02-25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係止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290B2 (ja) 1994-06-09 2000-05-08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リールシートの摺動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7448A (zh) 2023-07-16
JP2023094781A (ja) 2023-07-06
JP7715626B2 (ja) 2025-07-30
CN116326555A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8427A (ko) 가동파지고리를 갖는 가위
KR20070103665A (ko)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JP5117736B2 (ja) 位置復帰機能付き椅子用回転式テーブル
CN221315600U (zh) 一种可拼接马克笔
KR20230097980A (ko) 릴 시트
JP3584297B2 (ja) クリック装置
JP6839879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JP2003310109A (ja) リールシート
JP2007500825A (ja) ボーデンケーブル装置の調節構造
US5033224A (en) Fishing reel foot fixing device
JP2017209020A (ja) 装飾キャップを備えたリールシート
JP2017175927A (ja) リールシート及び当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る釣竿
JP2005211245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2013146216A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に用いるフードユニット
JP5817979B2 (ja) リールシート並びにこれに用いるフード及び操作ナット
JP2024001980A (ja) 釣竿用グリップ
JP4229302B2 (ja) リール係止構造
JP3948693B2 (ja) リールシート
JPH0345589Y2 (ko)
JPH044529Y2 (ko)
JP7198901B2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及びこのハンドルノブを備える魚釣用リール
KR100389718B1 (ko) 엘씨디 프로젝터의 줌링과 포커스링의 고정구조
JP4363583B2 (ja) リールシート
JPH0532655Y2 (ko)
JP4514005B2 (ja) リール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