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584A -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584A
KR20230083584A KR1020210171721A KR20210171721A KR20230083584A KR 20230083584 A KR20230083584 A KR 20230083584A KR 1020210171721 A KR1020210171721 A KR 1020210171721A KR 20210171721 A KR20210171721 A KR 20210171721A KR 20230083584 A KR20230083584 A KR 2023008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andrail mounting
mounting device
elevator car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678B1 (ko
Inventor
박윤규
Original Assignee
박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규 filed Critical 박윤규
Priority to KR102021017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6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입되며 상방으로 구부러진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는 거치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너트형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벽면에 밀착되는 패드가 지지대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거치대의 타측에는 레일봉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너트형 체결구와 통하도록 하는 제1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제2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핸드레일장착부재; 상기 제1나사체결공으로 나사 결합되며 상기 너트형 체결구와 나사 결합되는 수평고정부재; 상기 제2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핸드레일에 결합되는 수직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Elevator car handrail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장착되는 핸드레일을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장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벽에는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이 핸드레일은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하는 동안 수직방향의 속도변화에 따른 승객의 자립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중 엘리베이터의 요동에 따른 승객의 전도현상이 발생할 경우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즉, 엘리베이터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거의 모든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겸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법규로 핸드레일의 높이와 핸드레일의 굵기등이 규정되어 있다.
법규에 따르면, 승강기의 내부에는 수평손잡이(핸드레일)를 바닥에서 0.8미터 이상 0.9미터 이하의 위치에 연속하여 설치하거나, 수평손잡이 사이에 3센티미터 이내의 간격을 두고 측면과 후면에 각기 설치하도록 하였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내벽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220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체결볼트를 엘리베이터 내벽에 관통시킨 후 엘리베이터의 외부에서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체결볼트의 머리부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은 엘리베이터 외부에서의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바, 작업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다. 즉, 엘리베이터와 그 외부의 벽면 사이에는 공간이 좁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설치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작업 중 추락의 염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카내부에서 설치하는 핸드레일 구조의 개발 제품이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 엘리베이터 벽면에 홀을 가공하고 가공된 홀에 팸너트를 고정시키고 그 팸너트에 핸드레일 볼트를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팸너트는 얇은 철판에 고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핸드레일을 잡고 회전을 하거나 엘리베이터 탑승객이 핸드레일에 올라타는 경우가 많아 많은 하중이나 충격을 받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팸너트가 흔들림이 발생하면서 벽체에서 분리되는 사례자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많은 어려움이 있더라도 안전하고 견고한 방법으로 카의 외부에 너트를 사용하여 맞결합하는 외부고정 방식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220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핸드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카의 내벽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뒤쪽을 벽면에 사람이 들어갈 필요 없이 카의 내부에 한번의 체결작업으로 카의 외부에 너트를 맞결합시키는 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입되며 상방으로 구부러진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는 거치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너트형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벽면에 밀착되는 패드가 지지대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거치대의 타측에는 레일봉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너트형 체결구와 통하도록 하는 제1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제2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핸드레일장착부재; 상기 제1나사체결공으로 나사 결합되며 상기 너트형 체결구와 나사 결합되는 수평고정부재; 상기 제2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핸드레일에 결합되는 수직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패드에 고정된 부위에서 너트형 체결구를 향해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면의 통공의 상부에 천공되어 상기 너트형 체결구 및 제1나사체결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는 패드에서 안착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는 15~20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안착부와 패드를 연결하면 거치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보강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카의 내벽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뒤쪽을 벽면에 사람이 들어갈 필요 없이 카의 내부에 한번의 체결작업으로 카의 외부에 너트를 맞결합시키는 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대한 배면사시도,
도 3은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를 벽면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킨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에 대한 배면사시도, 도 3은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를 벽면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킨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는,
엘리베이터카(C)의 벽면(100)에 형성된 통공(120)으로 삽입되며 상방으로 구부러진 지지대(2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10)의 일단부는 거치대(2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너트형 체결구(250)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230)는 벽면에 밀착되는 패드(220)가 지지대(21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거치대(230)의 타측에는 핸드레일봉(160)이 안착되는 안착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22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너트형 체결구(250)와 통하도록 하는 제1나사체결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40)의 저면에 제2나사체결공(2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핸드레일장착부재(200);
상기 제1나사체결공(221)으로 나사 결합되며 상기 너트형 체결구(250)와 나사 결합되는 수평고정부재(320);
상기 제2나사체결공(242)에 나사 결합되어 핸드레일봉(160)에 결합되는 수직고정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면(100)은 엘리베이터카(C)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대략 사각형의 구조물을 이루도록 조립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벽면(100)의 일부위에는 핸드레일장착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해 통공(120)이 형성된다.
통공(120)은 너트형 체결구(250)가 관통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벽면(100)의 통공(120)의 상부에 천공되어 상기 너트형 체결구(250) 및 제1나사체결공(221)과 대응되는 체결공(140)이 더 형성된다.
핸드레일장착부재(200)는 주물로 성형 제작되며, 패드(220), 지지대(210), 거치대(230), 안착부(240)가 한몸체로 형성되고, 패드(220)의 외면에 지지대(210)가 상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10)는 패드(220)에 고정된 부위에서 너트형 체결구(250)를 향해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형 체결구(250)가 벽면(100)에 밀착되게 당겨지면 지지대(210)가 절곡되면서 거의 접혀지게 된다.
상기 거치대(230)는 패드(220)에서 안착부(24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거치대(230)는 15~20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거치대(230)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추후 결합된 핸드레일봉(160)을 가압하더라도 거치대(230)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강성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핸드레일장착부재(200)는 안착부(240)와 패드(220)를 연결하여 거치대(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보강부(260)가 양측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보강부(260)가 더 형성됨으로써 거치대(230) 및 안착부(240), 패드(220)가 일체로 서로 힘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드레일장착부재(200)를 경사진 형태로 세워 너트형 체결구(250) 및 지지대(210)가 벽면(100)의 통공(120)을 통과하도록 한 후 수평한 상태로 둔다.
이후 수평고정부재(320)를 제1나사체결공(221)에 결합하여 너트형 체결구(250)까지 나사 결합시키고 계속 조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형 체결구(250)가 당겨지게 되어 벽면(100)의 후면에 밀착하게 된다.
아울러 지지대(210)가 구부러지면서 절곡되어 거의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후 안착부(240)에 핸드레일봉(160)을 안착시킨 후 수직고정부재(34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시켜서 고정시킨다.
따라서 벽면(100)의 후방에서 별도로 너트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카의 안쪽에서 핸드레일장착부재(200)를 벽면(100)에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이 월등히 간단해질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벽면 120 : 통공
200 : 핸드레일장착부재 210 : 지지대
220 : 패드 230 ; 거치대
240 : 안착부 320 ; 수평고정부재
340 : 수직고정부재 160 : 핸드레일봉

Claims (4)

  1. 벽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입되며 상방으로 구부러진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는 거치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너트형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벽면에 밀착되는 패드가 지지대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거치대의 타측에는 레일봉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너트형 체결구와 통하도록 하는 제1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제2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핸드레일장착부재;
    상기 제1나사체결공으로 나사 결합되며 상기 너트형 체결구와 나사 결합되는 수평고정부재;
    상기 제2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핸드레일에 결합되는 수직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패드에 고정된 부위에서 너트형 체결구를 향해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통공의 상부에 천공되어 상기 너트형 체결구 및 제1나사체결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패드를 연결하고 거치대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부가 양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KR1020210171721A 2021-12-03 2021-12-03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KR102572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21A KR102572678B1 (ko) 2021-12-03 2021-12-03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21A KR102572678B1 (ko) 2021-12-03 2021-12-03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584A true KR20230083584A (ko) 2023-06-12
KR102572678B1 KR102572678B1 (ko) 2023-08-30

Family

ID=8677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721A KR102572678B1 (ko) 2021-12-03 2021-12-03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27B1 (ko) 2023-10-26 2024-02-19 주식회사 해마산업 내측에 보강부재가 위치한 안전사고방지 범퍼 핸드레일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207B1 (ko) 1995-05-16 2003-02-19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시리얼액세스메모리장치
KR20050099653A (ko) * 2004-04-12 2005-10-17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130049972A (ko) * 2011-11-07 2013-05-15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207B1 (ko) 1995-05-16 2003-02-19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시리얼액세스메모리장치
KR20050099653A (ko) * 2004-04-12 2005-10-17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130049972A (ko) * 2011-11-07 2013-05-15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지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678B1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506B1 (ko) 승객 콘베이어
KR102572678B1 (ko) 엘리베이터카의 핸드레일 장착장치
JP5863578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0436779Y1 (ko) 난간살 지지대
JP2004026372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組付け方法
EP1647512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5733926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
KR102470244B1 (ko) 천장 경량철골 구조 메인 캐리어의 장착수단
CN201151359Y (zh) 一种新型车辆扶手
JP4698805B2 (ja)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WO2013065144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の手すり装置
KR101555308B1 (ko)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JP2011063935A (ja) 階段用スロープ
WO2020235012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JP2513802B2 (ja) エレベ―タのガイドレ―ル揚重用補助装置
US20240011299A1 (en) Post and Railing Mount
JPH08168146A (ja) 電路工事用固定具
JP20050891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KR102665053B1 (ko) 핸드레일 정지력 측정장치
JP4886292B2 (ja) エレベータ据え付け工事における親綱の保持構造
JP4579042B2 (ja) 吊下具
JP2010143654A (ja) エレベータのかご
JPH0750507Y2 (ja) 桁なしらせん階段
JP4774744B2 (ja) 乗客コンベアの延長デッキ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