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105A - 위조방지매체 - Google Patents

위조방지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105A
KR20230075105A KR1020210161369A KR20210161369A KR20230075105A KR 20230075105 A KR20230075105 A KR 20230075105A KR 1020210161369 A KR1020210161369 A KR 1020210161369A KR 20210161369 A KR20210161369 A KR 20210161369A KR 20230075105 A KR20230075105 A KR 2023007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rinted
sheet
printed pattern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833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광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인사 filed Critical (주)광인사
Priority to KR102021016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833B1/ko
Priority to PCT/KR2022/018315 priority patent/WO2023090939A1/ko
Publication of KR2023007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6Lith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85Gif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투명재질 일정 두께의 제1 피인쇄체 시트, 제1 피인쇄체 시트의 제1면에 형성된 제1 인쇄패턴, 적어도 제1 피인쇄체 시트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아래쪽에 형성된 제2 인쇄패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위조방지매체로서, 제1 인쇄패턴과 제2 인쇄패턴은 제1 인쇄패턴을 제1 피인쇄체 시트 표면과 평행하게 제2 인쇄패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인쇄패턴과 제2 인쇄패턴이 겹치는 정도가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인쇄패턴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에 해당하는 차별화영역 혹은 면적 부분에 걸쳐 해당 부분의 패턴을 이루는 서로 평행한 선들이나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이차원 폐곡선 도형들을 위의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 기준으로 일 부분을 제거하거나, 일정 거리 이동시키거나, 전체를 인쇄하거나, 전체를 인쇄하지 않는 것과 같은 패턴변화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매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위조방지매체{printed media for preventing counterfeit}
본 발명은 위조방지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평판 인쇄의 결합만으로도 보안, 위조 방지 등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는 위조방지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이 혹은 기타 매체 위에 내용이 표시되는 서류나 증권 등에서 항상 위조 혹은 보안이 문제가 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보안 문제를 포괄하여 단순히 '위조'라는 명칭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기존에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매체에 인쇄 내용과 함께 은화(watermark), 은선, 투명창(security window)이나 잠상 등의 다양한 위조 방지용 효과를 가진 기술들을 적용하고 있다.
은화는 시트의 위조방지 효과를 위해 보안용지에서 구현되는 중요한 보안요소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섬유의 두께 및 밀도 차이에 의해, 빛이 적게 투과되는 부분은 어둡게 보이고, 빛이 많이 투과되는 부분은 밝게 보이도록 하여 명함차에 의해 은화 형상이 변화 또는 발현되도록 구현된다. 은화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3208호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은화 제작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열변색 또는 광변색 잉크 등의 특수 잉크를 활용하여 특정 광이나 특정 온도에서 문양이 발현 또는 변색되도록 하는 기술도 많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4286호에는 변색 특성을 사용한 전사지에 관련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잠상 기술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요판 인쇄에 의해 형성되거나, 형상을 이루는 라인의 선폭이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이미지가 시인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214304호에는 융기패턴 상에 인쇄를 하여 잠상무늬가 형성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특수 시변각잉크를 사용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이 보이는 효과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술한 위조 방지 효과들은, 열변색, 광변색, 또는 시변각 잉크 등의 고가의 특수 잉크를 사용하거나, 요판 인쇄나 스크린 인쇄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거나, 특수한 섬유소재를 사용하거나, 시트 제작단계에서 특수한 효과를 주입하는 등, 소재 비용이 높거나 제작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34873호에는 대상을 보는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 방지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는 일면에 제1문양이 인쇄된 제1기재와, 일면이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된 면과 합지되고 타면에 제2문양이 인쇄된 광 투과성의 제2기재를 포함하고, 제1문양은 복수 개의 제1요소와 제1여백을 포함하고, 제2문양은 복수 개의 제2요소와 제2여백을 포함하여, 제2요소의 직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1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2요소에 의해 감추어지고, 특정 시야 각도에서는 제2여백을 통해 제1문양 및 제1요소가 노출되도록 하되 제1요소는 서로 다른 색상의 서브요소들을 포함하도록 하여 제1문양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시인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런 구성에서는 컬러 인쇄를 전제로 하며, 제1 문양과 제2 문양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이를 정확한 위치에 상하로 정렬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6391호에도 상면에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시트와 그 아래에서 상면에 제2 패턴을 가지는 제2 시트가 겹쳐서 이루어지는 위조방지시트가 개시되나, 이런 경우에도, 제2 시트의 패턴이 배면에서 볼 때 인식되는 은화를 가지거나, 제 1 패턴에 의해 제2 패턴이 시트 법선 방향에서 완전히 가려져야 하는 등의 제한이 있어 제작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1320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4286호 일본국 특허공개 2009-21430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348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639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위조방지시트 등 위조방지매체의 제조, 시행 상의 어려움이나 제한, 비용증가 요인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 인쇄, 가령 평판 인쇄 방식의 비교적 단순한 결합만으로도 쉽게 위조 방지의 기능을 행할 수 있으면서 특수재료 사용이나 특수 인쇄 기법 채용 등에 의한 비용증가 등의 문제도 없는 위조방지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매체는 그 자체로서 사용되거나 별도의 대상물, 가령 문서나 증권, 카드 등에 겹치도록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매체는
투명재질 일정 두께의 제1 피인쇄체 시트,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의 제1면(상면)에 형성된 제1 인쇄패턴, 적어도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아래쪽에 형성된 제2 인쇄패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위조방지매체로서
제1 인쇄패턴과 제2 인쇄패턴은 제1 인쇄패턴을 제1 피인쇄체 시트 표면과 평행한 2차원 평면 상에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제2 인쇄패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인쇄패턴과 제2 인쇄패턴이 겹치는 정도가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인쇄패턴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기호 문자 도형 등의 형태에 해당하는 자별화 영역 혹은 면적 부분에 걸쳐 해당 부분의 패턴을 이루는 서로 평행한 선들이나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이차원 폐곡선 도형들을 상기 상대적 이동 방향 기준으로 일 부분을 제거하거나, 일정 거리 이동시키거나 그 특수한 경우로서 선폭과 간격이 같다면 인쇄되는 부분과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반전시키거나, 전체를 인쇄하거나, 전체를 인쇄하지 않는 것과 같은 패턴변화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매체에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의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 즉 하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인쇄패턴은 동일한 투명한 제1 피인쇄체 시트의 서로 반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매체에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의 하부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의 상면 혹은 하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하면에 인쇄되는 것은 제2 피인쇄체 시트가 투명인 경우이다. 피인쇄체 시트의 두께에 따라서 위조방지매체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선 각도가 차이가 날 수 있다. 피인쇄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위조방지매체이 효과를 관찰하는 각도가 커지고 용이해진다. 상대적으로 그 반재의 경우는 관찰 각도가 작아지고 효과가 떨어진다. 필요에 따라서, 제2 인쇄패턴을 제1 인쇄체와는 다른 투명의 제2 피인쇄체 시트를 사용하여 그 하면에 패턴을 인쇄하여, 제1 인쇄패턴과 제2 인쇄패턴 사이의 투명체 두께를 증가시켜 위조방지매체 효과를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매체에서 제1 인쇄 패턴 및 제2 인쇄 패턴은 일정 선폭의 복수 개의 선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제2 인쇄 패턴은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을 제외하면 제1 인쇄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선은 직선이나 곡선일 수 있고, 서로 평행하여 일정 선폭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효과면에서는 제1 인쇄패턴은 상부에 위치하고 제2 인쇄패턴은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의 제1 인쇄패턴과 하부의 제2 인쇄패턴의 위치를 서로 바꿀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매체에서 제1 인쇄 패턴 및 제2 인쇄 패턴은 다각형의 인쇄부와 피인쇄부가 번갈아 위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다각형과 구분선은 전체 시트를 빈틈없이 채우도록 연속되는 삼각형, 사각형으로서 마름모나 평행사변형, 육각형, 서로 다른 다각형의 규칙 반복적 조합일 수 있다. 단, 원이나, 타원 기타 2차원 폐곡선 도형 패턴의 평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패턴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매체에서 시트의 두께, 패턴 인쇄의 두께, 인쇄되어 반복되는 부분의 선폭 혹은 크기를 달리하여 보는 정면에서 이동되는 일 방향으로의 시야 혹은 시인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위조방지시트 등 위조방지매체의 제조, 시행 상의 어려움이나 제한, 비용증가 요인 등의 문제를 해결 또는 개선하여, 일반적 인쇄 방식의 비교적 단순한 결합만으로도 쉽게 위조 방지의 기능을 행할 수 있으면서 특수재료 사용이나 특수 인쇄 기법 채용 등에 의한 비용증가 요인이 많지 않아 전체적 위조방지 매체의 제작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위조방지 대상물의 작성 혹은 제작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보안인쇄매체의 일반적 원리를 나타내는 예로서, 양면에 선 패턴이 인쇄된 투명한 피인쇄체를 선 패턴과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도1과 같은 보안인쇄매체를 볼 때 효과가 달라지는 주요 시선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도1과 같은 보안인쇄매체를 도2의 각 시선각도로 볼때의 형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비교도,
도4는 도1과 같은 보안인쇄매체를 특히 시선각도 90도와 시선각도 45도로 볼 때의 대비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비교하여 나타내는 비교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피인쇄체 시트 및 제1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 및 제2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5 제1 피인쇄체 및 도6의 제2 피인쇄체가 겹쳐 이루어진 보안인쇄매체에서의 보안인쇄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 및 제2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도5 제1 피인쇄체 및 도8의 제2 피인쇄체가 겹쳐 이루어진 보안인쇄매체에서의 보안인쇄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 및 제2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도5 제1 피인쇄체 및 도10의 제2 피인쇄체가 겹쳐 이루어진 보안인쇄매체에서의 보안인쇄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구성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 및 제2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라 도5 제1 피인쇄체 및 도12의 제2 피인쇄체가 겹쳐 이루어진 보안인쇄매체에서의 보안인쇄효과를 설명하기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구성하는 제1 피인쇄체 시트 및 제1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구성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 및 제2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구성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 및 제2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구성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 및 제2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을 구성하는 제1 피인쇄체 시트 및 제1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9 내지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제1 인쇄패턴을 이루는 기본 패턴 혹은 기본 도형으로 각각 동심의 원형, 사각형, 삼각형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22 내지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제1 인쇄패턴을 이루도록 측방으로 주기적으로 배열되는 기본 도형으로 각각 삼각형, 마름모를 사용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이용하는 기본적 원리 설명을 하면, 본원 발명은 투명재질 재료의 두께 차이로 아래 위의 두 개의 패턴이 겹치고 펼쳐지면서 생기는 변화, 간섭 형태를 위조 방지에 이용하게 되는데, 선 패턴 (또는 폐곡선 도형과 같은 2차원 평면 패턴)이 일정하게 얇은 공간을 가지고 서로의 패턴을 간섭하면서 모양이나 색을 만들거나 사라지게 된다.
피인쇄체로 투명한 모든 재질, 대개는 PVC, PET, PE, PC등 플라스틱 계통과 유리 등 무기 계통 포함 인쇄가 가능한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며, 위에서 언급한 두 개의 패턴을 투명재질 시트의 전면과 후면의 인쇄하여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서 서로 겹치거나 분산될 때 숨겨진 그림이나 문자 또는 색상을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이런 내용은 이하의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양면에 선 패턴이 인쇄된 피인쇄체를 선과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A는 전면(윗면), B는 후면(아랫면), D는 투명재질 피인쇄체 두께이며, H는 인쇄 잉크 두께를 나타낸다. 또한, E는 선폭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AE는 전면 패턴의 선폭, BE는 후면 패턴의 선폭이고, F는 선 간격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AF는 전면 패턴의 선 간격, BF는 후면 패턴의 선 간격이고, AP는 전면 인쇄, BP는 후면 인쇄, θ는 피인쇄체를 관찰자가 보는 각도를 나타낸다.
물론, 선폭과 선 간격, 피인쇄체 두께는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인쇄된 선의 선폭과 선의 간격은 동일하고, 피인쇄체의 두께(D)도 선폭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E = AF = BE = BF = D
위 등식은 이 발명의 효과를 가장 이상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등식이며, 피인쇄체 두께(D)가 선폭(E)보다 클 경우, 이 기법의 효과가 나타나는 각도(숨은 그림이나 문자 또는 색상이 나타나는 관찰 각도)가 수직(90°)에 더 가까워지고, 선의 굵기보다 작을 경우, 수평(0°)에 가깝게 나타나게 된다. 이 발명에 사용되는 선의 폭은 가령 0.1 ~ 1.5 mm 이며, 위의 등식에 따라서 선이 굵을수록 피인쇄체도 그만큼 두꺼워져야 한다. 한편, 일반적인 잉크 두께(H)는 미려하므로 옵셋인쇄의 경우 0.05 ~ 0.001 mm(1μm)이므로 관찰시 이 두께는 무시할 수도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관찰하는 각도는 피인쇄체 표면의 일측과 시선방향 사이의 각도로, 0 내지 180도의 모든 자연각으로 관찰이 가능하지만, AE = AF = BE = BF = D 의 조건에서 피인쇄체 굴절율을 크게 고려하지 않으면, 전면의 선폭 일측과 후면의 인접 선폭 타측이 서로 정확하게 겹쳐지고 전체면이 반만 검게 보이는 각도인 26.6°, 전면의 선폭 일측과 후면의 인접 선폭 중간 지점에 놓이고, 여백의 반만 검게 보이는 각도인 33.7°, 전면의 선폭 일측과 후면의 인접 선폭 타측이 서로 정확하게 겹쳐지고 전체면이 검게 보이는 각도인 45°, 전면의 선폭 일측과 후면의 인접 여백부분의 중간 지점에 놓이고, 여백의 반만 검게 보이는 각도인 63.4°, 전면 선의 선폭과 후면 선의 선폭이 완전히 겹쳐 전체면이 반만 검게 보이는 각도인 90°, 위의 각도와 방향만 바뀌면서 효과는 다시 역으로 바뀌는 116.6°, 135°, 146.3°, 153.4°등이 기준이 되어 관찰에 이용될 수 있다. 26.6° 이하 또는 153.4° 이상의 관찰각도에서는 이론상 더 섬세한 변화가 일어나지만, 실제 눈으로 관찰시 보여지는 각이 너무 좁아서 색상 구분의 한계가 있으므로 최소 관찰 각도는 26.6° 이상, 최대 관찰각도는 153.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도2와 같이 몇 가지 중요 시선 각도로 투명 제1 인쇄매체 상면과 하면에 같은 수평선 패턴이 위에서 볼 때 완전히 겹치게 형성된 위조방지매체를 몇 가지 중요 시선 각도로 볼 때의 대상 위조방지매체의 크기, 형태와 인쇄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각도 90도에서는 전체 화면의 반만 검게 보여 가장 밝고, 각도 45도 혹은 135도에서는 후면 여백이 전면 선폭에 가려 전체 화면이 모두 검게 보여 가장 어두운 화면이 됨을 도4의 비교도면을 통해 볼 수 있다. 도4의 가장 위 부분은 도1과 같은 단면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시선방향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나타내며, 그 아래 부분은 이런 경우, 매체를 위에서 수직하게 내려볼 때 즉 시선방향으로 볼 때 나타나는 결과형상 평면도, 다음의 아래 부분은 같은 패턴을 시선방향 각도가 45도인 경우, 제일 아래쪽 부분은 시선각도 45도일 때 결과형상 평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5는 투명한 제1 시트 상면에 선폭과 간격이 0.45mm로 동일한 다수 수평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인쇄패턴이 인쇄된 것을, 도6은 그 아래에 합지된 별도의 제2 시트 상면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인쇄패턴과 같은 제2 인쇄패턴이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1에서는 제2 인쇄패턴의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에서는 선의 선폭을 절반으로 줄여 인쇄(표현)하였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알파벳 대문자 B와 C를 겹쳐 표현하였고, B의 영역에서는 선폭의 상부 절반을 제거하고, C의 영역에서는 선폭의 하부 절반을 제거하여 B와 C가 모두 겹치는 부분은 선폭 전체가 제거되어 인쇄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7은 도5 및 도6과 같은 제1 시트(10)와 제2 시트(20)를 겹쳐 형성한 위조방지매체에서 시선방향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45도, 90도, 135도로 할 때 보이는 형태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위쪽 제1 시트(10)의 제1 패턴(11)은 전체 영역에서 완전한 선폭의 제1 패턴이고, 아래쪽 제2 시트(20)의 제2 패턴은 배경 영역에서는 완전한 선폭의 패턴(21)을 가지나, B에 전속인 부분에서는 위쪽 절반 선폭만 가지고 아래쪽 절반 선폭은 인쇄되지 않은 선 패턴(23)이고, C에 전속인 부분에서는 아래쪽 절반 선폭만 가지고 위쪽 절반 선폭은 인쇄되지 않은 선 패턴(25)이고, B, C에 공통인 부분은 선이 전체폭이 인쇄되지 않은 미인쇄 패턴(27) 상태이다.
따라서 수평한 선 패턴을 아래쪽 45도 경사로 보면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동일하다면 전체가 검게 보여야 하나, 전속이건 공통이건 B에 해당하는 부분은 선간 거리 부분의 절반이 인쇄되지 않은 영역이 보여 B 영역만 상대적으롤 밝게 드러나고, 수평한 선 패턴을 위쪽에서 경사지게 보면 가령 135도 각도에서 보면 전속이건 공통이건 C에 해당하는 부분은 선간 거리 부분의 절반이 인쇄되지 않은 영역이 보여 C 영역만 상대적으롤 밝게 드러나게 된다. 물론, 바로 위쪽에서 보면, 즉, 시선을 90도 각도로 보면 위쪽 선 패턴이 아래쪽의 완전한 선패턴과 절반 폭 선패턴을 모두 가려 제1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보이게 된다.
결국 시선 방향에 따라 이런 위조방지 매체는 단순한 수평선 패턴으로 보이거나, B를 나타내는 형태로 보이거나, C를 나타내는 형태로 보이게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도5의 제1 시트를 여전히 상부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1의 도6과 같은 패턴 대신 도8과 같은 패턴을 제1 시트에 합지된 별도의 제2 시트 상면에 형성하여 위조방지매체로 사용한다.
여기서는 제2 인쇄패턴의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에서는 그 주변의 배경을 이루는 부분과 대비할 때, 배경 패턴의 선이 인쇄된 위치에 간격(비인쇄부)을 형성하고, 간격이 있어야 하는 비인쇄부에는 선이 인쇄되도록 한다. 즉, 선이라는 인쇄부와 간격이라는 비인쇄부가 반전 형태로 표현되도록 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알파벳 대문자 C를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로 하였다.
도9는 도5 및 도8과 같은 제1 시트(10)와 제2 시트(30)를 겹쳐 형성한 위조방지매체에서 시선방향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45도, 90도, 135도로 할 때 보이는 형태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위쪽 제1 시트(10)의 제1 패턴(11)은 전체 영역에서 완전한 선폭의 제1 패턴이고, 아래쪽 제2 시트(30)의 제2 패턴은 배경 영역에서는 제1 패턴과 완전한 같아 보이는 선 패턴(31) 및 간격 부분(32)을 가지나, C형태에 해당하는 부분(C 표시 영역)에서는, 주변인 배경 영역에서는 인쇄 부분인 선 부분(34)이 비인쇄 부분으로 반전되고, 배경 영역에서는 비인쇄부인 간격 부분(33)이 인쇄부분으로 반전되어 있다.
따라서, 바로 위쪽에서 보면, 즉 90도 시선방향으로 보면 C 부분은 전체가 검게 나타나 배경 영역보다 어둡게 나타나고, 45도 135도에서는 배경 영역은 전체가 검게 나타나지만 C의 영역에서는 선과 간격이 반복 배치되는, 상대적으로 밝은 스트라이프 무늬 부분으로 나타나 위조방지 매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도4의 제1 시트를 여전히 상부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2의 도8과 같은 패턴 대신 도10과 같은 패턴을 제1 시트에 합지된 별도의 제2 시트 상면에 형성하여 위조방지 매체로 사용한다.
여기서는 제2 인쇄패턴의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C) 부분에서는 그 주변의 배경을 이루는 부분과 대비할 때, 모든 영역이 인쇄가 되어 선과 간격 사이의 구분이 없고, 스트라이프 패턴을 보여주지 않는다.
도11은 도4 및 도10과 같은 제1 시트(10)와 제2 시트(40)를 겹쳐 형성한 위조방지매체에서 시선방향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45도, 90도, 135도로 할 때 보이는 형태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위쪽 제1 시트(10)의 제1 패턴(11)은 전체 영역에서 완전한 선폭의 제1 패턴이고, 아래쪽 제2 시트(40)의 제2 패턴은 배경 영역에서는 제1 패턴과 완전한 같아 보이는 패턴(41)을 가지나, C형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모두 인쇄부(43)가 되어 바로 위쪽에서 보면, 즉 90도 시선방향으로 보면 C 부분은 전체가 검게 나타나 배경 영역보다 어둡게 나타나고, 45도 135도에서는 배경 영역도 전체가 검게 나타나고, C의 영역도 검게 나타나 구분이 되지 않게 보임으로써 차이가 이루어져 위조방지 매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도4의 제1 시트를 여전히 상부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3의 도10과 같은 패턴 대신 도12와 같은 인쇄패턴을 제1 시트에 합지된 별도의 제2 시트 상면에 형성하여 위조방지 매체로 사용한다.
여기서는 제2 인쇄패턴의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C) 부분에서는 그 주변의 배경을 이루는 부분과 대비할 때, 모든 영역이 인쇄가 되지 않아 선과 간격 사이의 구분이 없고, 당연히 스트라이프 패턴을 보여주지 않는다.
도13은 도4 및 도12와 같은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겹쳐 형성한 위조방지매체에서 시선방향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45도, 90도, 135도로 할 때 보이는 형태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위쪽 제1 시트(10)의 제1 패턴(11)은 전체 영역에서 완전한 선폭의 스트라이프 무늬를 보이는 패턴이고, 아래쪽 제2 시트(50)의 제2 패턴은 배경 영역에서는 제1 패턴과 완전한 같아 보이는 패턴(51)을 가지나, C형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모든 영역이 인쇄가 되지 않아, 바로 위쪽에서 보면, 즉 90도 시선방향으로 보면 C 부분도 제1 패턴에 가려 제1 패턴과 동일하게 보이므로 C 형태는 나타나지 않지만, 45도 135도에서는 배경 영역도 전체가 검게 나타나고, C의 영역은 단순한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나타나 배경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므로 C형태를 구분할 수 있고, 차이가 이루어져 위조방지 매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실시예 5)
도14는 투명한 제1 시트 상면에 선폭과 간격이 0.3mm로 동일한 다수 수평선과 다수 수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격자형의 제1 인쇄패턴이 인쇄된 것을, 도15는 그 아래에 합지된 별도의 제2 시트 상면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인쇄패턴과 같은 제2 인쇄패턴이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제2 인쇄패턴의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에서는 그 주변의 배경을 이루는 부분과 대비할 때, 배경 패턴의 수평선 및 수직선이 인쇄된 위치에 간격을 형성하고, 그들 사이의 간격이 있어야 하는 부분에는 수평선 혹은 수직선이 인쇄되도록 한다. 즉, 선과 간격이 반전 형태로 표현되도록 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도14 및 도15와 같은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겹쳐 형성한 위조방지매체에 대해 시선방향을 위조방지매체 평면과 90도를 이루는 법선 방향에서 본 상태의 도면(평면도)을 기준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45도, 90도, 135도 경사로 볼 때 C자가 배경과 구분되는지 여부와 좌측에서 우측으로 45도, 90도, 135도 경사로 볼 때 C자가 배경과 구분되는지 여부는 동일하다.
따라서, 평면도 기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시선 각도를 바꾸면서 보는 경우만 따져보면, 제2 시트의 인쇄패턴에서는 C형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주변인 배경 영역에서는 인쇄 부분이던 선 부분이 간격 부분으로 반전되고, 배경 영역에서는 간격 부분이던 부분이 선 부분(인쇄부분)으로 반전되어 있다.
따라서, 바로 법선 방향에서 보면, 즉 90도 시선방향으로 보면 C 부분은 전체가 검게 나타나 배경 영역보다 어둡게 나타나므로 C자의 구분이 가능하다. 그리고, 45도 135도에서는 배경 영역은 전체가 검게 나타나지만 C의 영역에서는 이론적으로는 선과 간격이 반복 배치되는,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이 조금 나타나 구분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시예 2의 경우에 비해 어두운 부분이 더 많고, 실제로 투명체 표면에서 반사가 일어나 구분은 쉽지 않다. 그러나, 구분이 되건 되지 않건 90도 시선 방향에서 보는 형태와 다른 형태가 나타나 어쨋든 위조방지 매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런 실시예는 1차원적 선으로만 패턴이 그려진 실시예 2의 경우와 비교할 때 시선 방향을 반드시 한 수직 평면에서만 바꿀 필요가 없고, 서로 다른 수직 평면에서 시선 방향을 바꾸면서 위조방지용 패턴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감식하기 위해 위조방지용 대상물을 특정 방향으로 돌려야 하거나, 자신의 위치를 바꾸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현재 위치에서 눈높이만 바꾸면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점이 있고, 주변에서 여러 사람이 각각 여러 위치에서 위조방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점이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앞선 실시예 3과 위조방지매체를 형성하는 원리는 같지만, 한 방향에서만 감별하는 것이 아니고 2차원 평면의 2 이상 여러 방향에서 위조방지 효과를 인식하여 대상물을 감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마치 실시예 2와 실시예 5 사이의 관계와 유사하다.
앞선 실시예5와 비교할 때, 여기서도 도14의 제1 시트를 여전히 상부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5의 도15와 같은 패턴 대신 도16과 같은 패턴을 제1 시트에 합지된 별도의 제2 시트 상면에 형성하여 위조방지 매체로 사용한다. 즉, 여기서 제2 인쇄패턴의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C) 부분에서는 그 주변의 배경을 이루는 부분과 대비할 때, 모든 영역이 인쇄가 되어 선과 간격 사이의 구분이 없다. 따라서, 위쪽 제1 시트의 제1 인쇄패턴은 전체 영역에서 완전한 격자형 패턴이고, 아래쪽 제2 시트의 제2 인쇄패턴은 배경 영역에서는 제1 패턴과 완전한 같아 보이는 패턴을 가지나, C형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모두 인쇄가 되어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보면, 즉 90도 시선방향으로 보면 C 부분은 전체가 검게 나타나 배경 영역보다 어둡게 나타나 형태 구분을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실시예5와 비슷한 논리로, 평면도 기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시선 각도를 바꾸면서 보는 경우만 따져보기로 한다. 그러면, 45도 135도에서는 배경 영역도 전체가 검게 나타나고, C의 영역도 검게 나타나 구분이 되지 않게 보임으로써 차이가 이루어져 위조방지 매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도14의 제1 시트를 여전히 상부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6의 도16과 같은 패턴 대신 도17과 같은 인쇄패턴을 제1 시트에 합지된 별도의 제2 시트 상면에 형성하여 위조방지 매체로 사용한다.
여기서는 제2 인쇄패턴의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C) 부분에서는 그 주변의 배경을 이루는 부분과 대비할 때, 모든 영역이 인쇄가 되지 않아 격자 구분이 없다.
여기서도 실시예5와 비슷한 논리로, 평면도 기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시선 각도를 바꾸면서 보는 경우만 따져보기로 한다. 그러면,
아래쪽 제2 시트의 제2 인쇄패턴은 C형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모두 인쇄가 되지 않아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보면, 즉 90도 시선방향으로 보면 C 부분은 제1 인쇄패턴에 단순히 가려져 배경과 동일한 격자 무늬 패턴으로 나타나고 C자 형태 구분을 할 수 없다.
45도 135도에서는 배경 영역은 전체가 검게 나타나고, C의 영역은 비인쇄부가 보이는 부분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밝게 나타나 차이가 이루어져 위조방지 매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언급은 이상적인 경우를 말하는 것이고, 현실적으로 물질적 특성, 위치별 시선 각도의 차이, 기타 요인으로 90도 시선 방향에서 볼 때에도 완전한 구분은 어렵고, C 부분이 약간 밝게 보일 수 있지만 육안으로 보기에도 확실히 밝음과 어두움의 주변 배경과의 차이가 있거나 줄어드는 등으로 위조방지 매체로서의 기능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도18과 같이 피인쇄체 시트에 기본적 제1 패턴으로 실시예 5의 도 14와 같은 2차원적 패턴을 사용한 것은 같지만 격자형 패턴 대신에 체스판과 같은 직각4각형 패턴을 사용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런 4각형 패턴은 원리적으로 위조방지매체 형성을 위한 제1 인쇄패턴과 제2 인쇄패턴 정열과 각 시선 각도에서 보여주는 양상은 같아서, 위조방지매체 평면도 기준으로 시선을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와 위아래로 움직이는 경우의 구분 양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도18과 같은 제2 인쇄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실시예 5의 격자무늬 패턴과 비교할 때 밝은 비인쇄 부분이 더 많아 전체적으로 더 밝은 양상을 보일 수 있고, 어두운 배경과 덜 어두운 C형태와 같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상태에서 구분을 좀 더 잘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19 내지 도23을 참조하면서 기타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19 내지 도 21에는 제1 인쇄패턴인 기본 패턴으로 동심의 원형, 사각형, 삼각형이 도시된다. 여기서도 바람직하게 선폭과 선 간격은 동일하고, 이와 상하로 정렬되어 위조방지 매체를 만드는 제2 인쇄패턴은 기본 패턴을 가지는 영역 가운데 원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싶은 영역에 앞선 실시예와 같이 반전 패턴, 선폭을 줄인 패턴, 피치를 이동한 패턴, 전체를 인쇄하거나 인쇄하지 않은 패턴을 형성하여 위조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경우, 원 중심을 기준으로 이차원 평면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눈을 이동하면서 시선 각도를 바꾸어 나타내는 인식 형태가 주변과 구분되거나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누리기에 적합하고,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경우,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각 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눈을 이동하면서 시선 각도를 바꾸어 나타내는 인식 형태가 주변과 구분되거나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누리기에 적합하다.
앞서, 실시예 1의 도5와 같은 스트라이프 패턴의 선 대신 곡선도 가능하다고 했으므로 곡선을 사인곡선과 같은 물결선으로 하여 물결무늬의 기본 패턴을 가지는 경우, 물결이 위아래로 변하는 그 중간으로 직선을 그리고 그 직선에 수직하게 눈을 이동하면서 시선 각도를 바꾸면 본 발명의 효과를 누리기에 적합할 것이다.
도22 및 도23에는 기본 인쇄 패턴인 제1 인쇄매체(피인쇄체)의 제1 인쇄 패턴으로 정삼각형 연속 무늬 배열 및 마름모의 연속 무늬 배열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일종의 2차원 폐곡선 도형을 대표하도록 예시한 것으로, 5각형 6각형 8각형과 같은 다른 다각형, 다각형 외의 다른 원이나 타원, 별표와 같은 도형, 이상 도형의 조합 구성도 가능하다.
도 20 및 도21과 관련하여 이미 언급하였지만, 같은 원리로 도형이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경우,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각 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눈을 이동하면서 시선 각도를 바꾸어 나타내는 인식 형태가 주변과 구분되거나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누리기에 적합하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투명재질 일정 두께의 제1 피인쇄체 시트,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의 제1면(상면)에 형성된 제1 인쇄패턴, 적어도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아래쪽에 형성된 제2 인쇄패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위조방지매체로서
    상기 제1 인쇄패턴과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제1 인쇄패턴을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 표면과 평행한 2차원 평면 상에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인쇄패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인쇄패턴과 상기 제2 인쇄패턴이 겹치는 정도가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인쇄패턴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에 해당하는 차별화영역 혹은 면적 부분에 걸쳐 상기 제1 인쇄패턴과 대비하여 혹은 상기 차별화영역 외의 배경 영역과 대비하여, 패턴을 이루는 서로 평행한 선들이나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이차원 폐곡선 도형들을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한 방향 기준으로 일 부분을 제거하거나, 일정 거리 이동시키거나, 일정 거리 이동의 특수한 경우로서 선폭과 간격이 같다면 인쇄되는 부분과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반전시키거나, 전체를 인쇄하거나, 전체를 인쇄하지 않는 방식 가운데 하나의 패턴변화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의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 즉 하면에 형성되는 것인 위조방지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제1 피인쇄체 시트와 별도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피인쇄체 시트의 상면 혹은 하면에 형성되는 것인 위조방지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패턴 및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일정 선폭의 복수 개의 선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인 상기 차별화영역을 제외하면 상기 제1 인쇄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이루는 것인 위조방지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패턴 및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다각형의 인쇄부와 상기 다각형의 인쇄부 사이의 피인쇄부가 번갈아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다각형과 구분선은 전체 시트를 빈틈없이 채우도록 연속배열되며,
    상기 다각형은 삼각형, 직각사각형, 마름모, 육각형, 8각형, 혹은 이들 다각형의 규칙 반복적 조합인 것인 위조방지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패턴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에 해당하는 차별화영역 혹은 면적 부분에 걸쳐 상기 제1 인쇄패턴과 대비하여 혹은 상기 차별화영역 외의 배경 영역과 대비하여, 패턴을 이루는 서로 평행한 선들이나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이차원 폐곡선 도형들을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한 방향 기준으로 일 부분을 제거하되,
    상기 차별화영역에서 상부 부분을 제거하여 제1 형태를 형성하고, 하부 부분을 제거하여 제2 형태를 형성하여 관찰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형태와 제2 형태가 보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매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패턴 및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일정 선폭의 복수 개의 선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루어지되, 선폭과 선 사이의 간격 크기가 같고,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인 상기 차별화영역에서 선 부분과 선 사이의 간격 부분이 반전되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매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패턴 및 상기 제2 인쇄 패턴을 이루는 일정 선폭의 복수 개의 선으로 복수의 수평선과 복수의 수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쇄 패턴 및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격자형 패턴을 가지는 위조방지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패턴 및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일정 선폭의 복수 개의 선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루어지되, 선폭과 선 사이의 간격 크기가 같고,
    상기 제2 인쇄 패턴은 나타내고자 하는 형태 부분인 상기 차별화영역에서 선 부분과 선 사이의 간격 부분이 반전되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매체.
KR1020210161369A 2021-11-22 2021-11-22 위조방지매체 KR10263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369A KR102632833B1 (ko) 2021-11-22 2021-11-22 위조방지매체
PCT/KR2022/018315 WO2023090939A1 (ko) 2021-11-22 2022-11-18 투명재질 피인쇄체와 양면측 선화인쇄를 통한 위조방지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369A KR102632833B1 (ko) 2021-11-22 2021-11-22 위조방지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105A true KR20230075105A (ko) 2023-05-31
KR102632833B1 KR102632833B1 (ko) 2024-02-01

Family

ID=8639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369A KR102632833B1 (ko) 2021-11-22 2021-11-22 위조방지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2833B1 (ko)
WO (1) WO202309093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86B1 (ko) 2006-11-22 2008-04-24 이재구 자외선 조명에 의해 변색되는 전사지, 스티커
JP2009214304A (ja) 2008-03-07 2009-09-24 National Printing Bureau 偽造防止用潜像模様形成体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213208B1 (ko) 2011-04-25 2012-12-18 한국조폐공사 레이저를 이용한 은화 형성방법 및 은화가 형성된 보안용지
KR101806391B1 (ko) 2015-09-03 2018-01-10 한국조폐공사 다중 복합구조를 갖는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1682A (ko) * 2017-03-03 2018-09-13 한국조폐공사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KR20180126538A (ko) * 2016-03-23 2018-11-27 드 라 뤼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폴리머 기판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6025B2 (en) * 2005-10-31 2010-04-27 Xerox Corporation Moiré-based auto-stereoscopic watermarks
KR100744035B1 (ko) * 2006-03-21 2007-07-30 한국조폐공사 중첩 패턴을 이용한 위조방지 요소 및 그 제조방법
KR101721557B1 (ko) * 2015-02-05 2017-03-30 손서경 위조방지를 위한 모아레 간섭무늬의 생성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86B1 (ko) 2006-11-22 2008-04-24 이재구 자외선 조명에 의해 변색되는 전사지, 스티커
JP2009214304A (ja) 2008-03-07 2009-09-24 National Printing Bureau 偽造防止用潜像模様形成体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213208B1 (ko) 2011-04-25 2012-12-18 한국조폐공사 레이저를 이용한 은화 형성방법 및 은화가 형성된 보안용지
KR101806391B1 (ko) 2015-09-03 2018-01-10 한국조폐공사 다중 복합구조를 갖는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6538A (ko) * 2016-03-23 2018-11-27 드 라 뤼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폴리머 기판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KR20180101682A (ko) * 2017-03-03 2018-09-13 한국조폐공사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KR102034873B1 (ko) 2017-03-03 2019-10-22 한국조폐공사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939A1 (ko) 2023-05-25
KR102632833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925B2 (en) Visu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KR0153034B1 (ko) 인쇄물 및 인쇄방법
US9669647B2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ically variable structures
TWI419799B (zh) 由特效墨水印刷所形成的保護裝置
US20180117949A1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JP5142154B2 (ja) 潜像印刷物
JP5099645B2 (ja) 潜像印刷物
DE10129939A1 (de) Optisch variables Flächenmuster
JP2019166711A (ja) 色彩変化印刷物
KR20150095774A (ko) 보안 장치를 갖는 보안 문서
KR102269582B1 (ko) 위변조 방지 및 진위확인을 위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인식방법
JP5885164B2 (ja) 潜像印刷物
JP6399359B2 (ja) 潜像印刷物
RU2586130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ценного документ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документ
KR20230075105A (ko) 위조방지매체
JP5527528B2 (ja) 偽造防止印刷物
JP5967658B2 (ja) 特殊潜像画像形成体
JP6032423B2 (ja) 潜像印刷物
JP5907382B2 (ja) 潜像印刷物
JP3718742B2 (ja) 印刷又は表示画像の作成方法及び該作成方法により作成された画像表示体
JP5920784B2 (ja) 潜像印刷物
JP5481691B2 (ja) 偽造防止用形成体
JP2017087634A (ja) 色彩変化印刷物
JP2018079656A (ja) 偽造防止印刷物
JP7185883B2 (ja) 偽造防止印刷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