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873B1 -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873B1
KR102034873B1 KR1020170027762A KR20170027762A KR102034873B1 KR 102034873 B1 KR102034873 B1 KR 102034873B1 KR 1020170027762 A KR1020170027762 A KR 1020170027762A KR 20170027762 A KR20170027762 A KR 20170027762A KR 102034873 B1 KR102034873 B1 KR 10203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heet
substrate
counterfeiting
counterfei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682A (ko
Inventor
유한솔
이혁원
한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7002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873B1/ko
Priority to US16/490,581 priority patent/US20200079134A1/en
Priority to PCT/KR2018/002525 priority patent/WO2018160031A1/ko
Priority to GB1913221.6A priority patent/GB2574539A/en
Publication of KR2018010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4Rel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6Lith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1Mark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25Marking by deformation, e.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6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 B42D25/47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80Recognising image objects characterised by unique random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하고, 통상의 잉크 및 평판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사용하여 잠상을 구현하여,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도록 하는 위조방지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특수 잉크를 사용하거나, 복잡한 인쇄 과정을 거치거나, 특수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위조방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평판잉크 등의 저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평판 인쇄 등 기존의 공정을 사용하여 단일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 보안라벨, 복사방해용지, 은선, 투명창, 인증서, 태그, 벽지, 라벨, 포장지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으로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서 촬영을 함으로써, 진위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ANTI-COUNTERFEITING SHEET USING VIEW ANGLE, DIRECTION AND DISTANCE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통상의 잉크와 평판 인쇄를 사용하여 잠상(latent image)을 구현함으로써,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도록 하는 위조방지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조된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스마트폰으로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조방지시트에는 은화(watermark), 은선, 투명창(security window)이나 잠상 등의 다양한 보안 효과를 적용하고 있다. 은화는 시트의 위조방지 효과를 위해 보안용지에서 구현되는 중요한 보안요소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섬유의 두께 및 밀도 차이에 의해, 빛이 적게 투과되는 부분은 어둡게 보이고, 빛이 많이 투과되는 부분은 밝게 보이도록 하여 명함차에 의해 은화 형상이 변화 또는 발현되도록 구현된다. 은화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3208호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은화 제작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열변색 또는 광변색 잉크 등의 특수 잉크를 활용하여 특정 광이나 특정 온도에서 문양이 발현 또는 변색되도록 하는 기술도 많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4286호에는 변색 특성을 사용한 전사지에 관련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잠상 기술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요판 인쇄에 의해 형성되거나, 형상을 이루는 라인의 선폭이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이미지가 시인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214304호에는 융기패턴 상에 인쇄를 하여 잠상무늬가 형성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특수 시변각잉크를 사용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이 보이는 효과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술한 위조 방지 효과들은, 열변색, 광변색, 또는 시변각 잉크 등의 고가의 특수 잉크를 사용하거나, 요판 인쇄나 스크린 인쇄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거나, 특수한 섬유소재를 사용하거나, 시트 제작단계에서 특수한 효과를 주입하는 등, 소재 비용이 높거나 제작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213208. KR 10-0824286. JP 2009-214304.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하여, 색변환 잉크, 시변각 잉크 등의 특수 잉크나 요판 또는 스크린 인쇄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잉크 및 평판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사용하여 잠상을 구현함으로써,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도록 하는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인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 제1문양이 인쇄된 제1기재; 및 일면이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된 면과 합지되고 타면에 제2문양이 인쇄된 제2기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문양은 복수 개의 제1요소와 제1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문양은 복수 개의 제2요소와 제2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요소의 직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제2요소에 의해 감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된 면의 타면에 제3문양이 더 인쇄되고, 상기 제3문양은 복수 개의 제3요소와 제3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요소 또는 제2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3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제1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문양은 상기 제2여백 또는 제3여백을 통해 시인될 수 있다.
상기 제1문양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
상기 제1요소는 서로 다른 색상의 서브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제3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는 평판, 그라비아, 스크린 또는 잉크젯 인쇄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합지는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재는 엠보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 기재일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앱(APP; application);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문양은 식별패턴을 포함하여 도안되고, 상기 앱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위조방지시트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이미지에서 상기 식별패턴을 탐지하여 진위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식별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진위여부 인식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조방지시트 진위여부 인식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재의 일면에 제1문양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된 면에 코팅층 또는 필름을 열압착 또는 접착하는 제2기재 형성단계; 및 상기 형성된 제2기재의 상기 제1기재와 접한 면의 타면에 제2문양을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문양은 복수 개의 제1요소와 제1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문양은 복수 개의 제2요소와 제2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요소의 직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제2요소에 의해 감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문양을 인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문양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되는 면의 타면에 제3문양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문양은 복수 개의 제3요소와 제3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요소 또는 제2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3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제1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제3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는 평판, 그라비아, 스크린 또는 잉크젯 인쇄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합지는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재는 엠보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 기재일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은 상기 위조방지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하고, 통상의 잉크와 평판, 그라비아, 스크린 또는 잉크젯 인쇄를 사용하여 잠상을 구현하여,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도록 하는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특수 잉크를 사용하거나, 복잡한 인쇄 과정을 거치거나, 특수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위조방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평판잉크 등의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고, 평판 인쇄 등 기존의 공정을 사용하여 단일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저가 제품군이나 소량 다품종 제품군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 등으로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서 인식 및 촬영을 함으로써, 진위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에 인쇄되는 제1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트를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서 시인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트를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서 시인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및 순서도이다.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도시되고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도시와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를 들어 순서도 또는 플로우 차트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방법이 일련의 단계로서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단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것과 다른 순서로 또는 다른 단계들과 동시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예시된 모든 단계들이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을 구현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10)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제2요소(23)의 평면도이고, (b)는 위조방지시트(10)의 단면도이고, (c)는 제1요소(13)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조방지시트(10)는 제1요소(13)가 인쇄된 제1기재(11)와 제2요소(23)가 인쇄된 제2기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을 잠시 참조하면, 제1문양(12)은 복수 개의 제1요소(13)와 제1여백(16)으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제2문양(22)은 복수 개의 제2요소(23)와 제2여백(26)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기재(11)는 통상의 종이 기재 또는 폴리머 소재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기재(11)는 사용 용도에 따라 투명한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가지는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불투명한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기재(21)는 통상의 코팅층 기재이거나 필름 기재를 열압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코팅층이나 필름은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가지는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은 폴리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요소(13)는 제1기재(11)의 일면에 인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요소(13)의 단면(b) 및 평면도(c)가 함께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제1기재(11)의 일면에 제1요소(13)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제1요소(13)의 평면도(c)에서 A-A'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2요소(23)는 제2기재(21)의 합지면의 타면에 인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요소(23)의 단면(b) 및 평면도(a)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제1요소(13) 또는 제2요소(23)는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육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정육각형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방향에서 패턴(제1요소 또는 제2요소)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 원형에 대비하여 단위면적당 많은 패턴을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단위 면적당 패턴의 개수는 나타내고자 하는 패턴의 크기와 인식하고자 하는 거리와 연관성이 높다. 자세한 것은 도 1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여백(16)은 제1기재(11)의 인쇄면에서 제1요소(13)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가리킨다. 제2여백(26)은 제2기재(21)의 인쇄면에서 제2요소(23)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가리킨다.
제1요소(13)와 제2요소(23)는 각각 제1기재(11)와 제2기재(21)에 인쇄될 때 여백(16, 26)과 함께 배치되어 인쇄될 수 있다. 이 여백을 통해서 도 10에서 설명하게 될 착시 효과를 낼 수 있다.
위조방지시트(10)를 직상방에서(제2기재(21) 또는 제2요소(23)의 위쪽에서 수직 방향으로 내려다보면, 제1요소(13)는 제2요소(23)에 의해 감추어져(또는 가려져, 또는 차폐되어) 보이지 않는다. 제1요소(13)와 제2요소(23)의 패턴폭(25)이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위조방지시트(10)를 특정한 시야 각도로 옆에서 바라보면(31) 제2요소(13)가 시인된다(보인다). 즉, 제2여백(26)을 통하여 특정한 시야 각도로 옆에서 바라보면(31) 제1요소(13)가 시인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폭(17)만큼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이렇게 시인되는 효과는 제2기재(21)의 두께 또는 밀도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제1요소(13)의 내부에는 인쇄가 되지 않은 영역이 있는데, 이 영역은 특정한 시야각으로 옆에서 바라볼 때(31), 보이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이 영역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영역이므로 굳이 인쇄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도시된 폭(17)만큼은 인쇄 또는 도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20)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과 비교하여, 제2요소(23)의 패턴폭(25)보다 제1요소(13)의 패턴폭(15)이 더 크고, 제2기재(21)의 두께가 더 크다. 이 두가지 차이점은 제1요소(13)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 두가지 차이점을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고, 두가지 중에 한가지만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조방지시트(10)의 경우는, 위조방지시트(10)를 직상방에서(위에서 수직으로) 내려다보면, 제1요소(13)는 제2요소(23)에 의해 완전히 감추어져 보이지 않는다. 즉, 제1요소(13)와 제2요소(23)의 패턴폭(25)이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위조방지시트(20)의 경우는, 위조방지시트(10)를 위에서(제2기재(21)의 위쪽에서) 내려다보면, 제1요소(13)의 일부(18)가 보인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제2기재(21)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 시인성을 크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기재(21)가 두꺼워짐에 따라, 숨겨져 있던 요소가 특정한 시야각으로 옆에서 바라보면(33) 더 많이 보일 수 있으므로, 도 1의 폭(17)보다 도 2의 폭(19)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요소(13)의 패턴폭(15)과 폭(18, 19)을 크게 하고, 제2기재(21)를 두껍게 함으로서 특정 시야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일부 폭(18)을 너무 크게 하면 제1요소(13)의 노출이 너무 많이 되어 보안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각 폭들(15, 17, 18, 19)은 위조방지시트의 사용이나 응용 목적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요소(13)의 잉크 농도를 높일 수도 있고, 잉크의 두께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30)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와 비교하여, 제1기재(11)에 인쇄된 제1요소가 두가지 색의 서브요소(13, 14)로 구성(도안 또는 인쇄)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제1요소를 빨간색 서브요소(13)와 파란색 서브요소(14)로 구성한다면, 특정 시야각으로 제1요소를 시인하되, 왼쪽(37)에서 바라보면 빨간색(13)이 보이고, 오른쪽(35)에서 바라보면 파란색(14)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제1요소를 특정 방향별로 서브요소(13, 14)로 나누어서 다른 색으로 도안하면, 각 특정 방향별로 서로 다른 색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오른쪽의 2개 방향으로 제1요소를 도안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제1요소를 나누어 도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아래 방향을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하/좌/우를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에 인쇄되는 제1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요소가 3개의 서브요소(13, 14, 55)로 구성되어 세 방향에서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보이도록 도안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와 비교하여, 제2요소(23)의 패턴폭(25)보다 제1요소(13)의 패턴폭(15)이 더 작다. 즉, 도 2의 경우와 반대의 경우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수직으로 위조방지시트(20)를 바라볼 때 잠상(또는 제1요소(13) 또는 제1문양(12))이 완전히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제1요소(13)의 패턴폭(15)이 제2요소(23)의 패턴폭(25)보다 같거나 크면, 수직 방향으로 바라보다가 조금이라도 기울여보면 바로 잠상이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일 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와 비교하여, 제1기재(11)의 타면, 즉 제1요소(13)가 인쇄된 면의 타면에 제3요소(57)가 추가로 형성되어 인쇄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제3요소(57)는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고, 제3문양(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3문양은 복수개의 제3요소(57)와 제3여백(미도시)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3요소(57)는 도 1에서 설명한 제2요소(23)와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도안 및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요소(57)는 제2요소(23)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을 하면, 위조방지시트의 양쪽면에서 공히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6의 위조방지시트(20)는, 화폐의 위조방지 효과로 많이 사용되는 투명창(security window)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기재(11)와 제2기재(21)를 모두 투명한 기재를 사용하면, 위조방지시트의 양쪽면에서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 또는 도 6과 비교하여, 제1기재(11)와 제2기재(21)의 사이에 접착층(59)이 더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제2기재(21)는 코팅층 또는 필름을 열압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접착 성분이 없는 소재일 경우는 제1기재(11)에 합지를 시키기 위하여 접착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 7의 위조방지시트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기재(11)에 제2기재(21)를 합지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층(59)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접착제는 투명한 소재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만약, 광 투과성이 낮은 접착제를 사용한다면, 위조방지시트에 빛을 비추어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a)는 도 2의 위조방지시트에 접착층(59)이 추가된 경우이고, 도 7(b)는 도 6의 위조방지시트에 접착층(59)이 추가된 경우이다. 접착층(59)이 포함될 경우 위조방지시트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커질 수 있으므로 위조방지시트의 두께 조절에 이를 참작하는 것이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과 비교하여, 위조방지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61, 63)이 더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보호층(61, 63)은 외부로 노출된 인쇄패턴의 손상 등을 보호하고 인식성이나 위조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능성 코팅층으로서 제1시트(11)나 제2시트(21)의 노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a)는 도 7(a)의 위조방지시트의 일면에 보호층(61)이 추가된 경우이고, 도 7(b)는 위조방지시트의 양면에 보호층(61, 63)이 추가된 경우이다.
또한, 보호층(61, 63)을 추가적인 위조방지층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증착된 형태의 층이 적용되거나 반사율이 높은 펄 잉크층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층을 도입함으로써 복사나 스캔을 이용하여 복제 또는 위조하는 경우에 도입된 보호층(61, 63)으로 인해 정확한 상을 얻을 수 없도록 방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4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3과 비교하여, 제2기재(21)의 소재가 다르다.
도 9에 도시된 제2기재(21)는 내부에 엠보(27)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a)을 사용한 것이거나 표면에 엠보(27)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b)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엠보(27)를 사용하면, 엠보 표면에서의 굴절에 의한 시인(39)에 의해 제1요소(13)가 더 많이 시인될 수 있다. 즉 시야 각도가 커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시인성이 커지게 된다.
도 9(b)는 표면에 엠보(27)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을 사용한 예시인데, 이러한 경우는 제2요소(23)나 제2문양(22)이 엠보(27)의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제1요소(13,14) 및 제2요소(23)를 실제 문양에 적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a)에는 제2기재(21)에 인쇄되는 제2문양(22, 벌집 모양) 및 제2문양(22)을 구성하는 제2요소(23)들이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제1기재(11)에 인쇄되는 제1문양(12, S자) 및 제1문양(12)을 구성하는 제1요소(13, 14)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2요소(23)가 여백(26)과 함께 제2문양(22)을 구성할 수 있다. 제2요소(23)는 단위면적당 많은 패턴을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도록 정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렇듯 복수 개의 제2요소(23)를 제2여백(26)과 함께 벌집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이유는, 벌집 여백(26) 사이사이로 제1요소(13, 14)들이 특정 시야 각도(31, 33, 35, 37)에서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여백(26)을 통해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제1문양(12)의 시인성이 변화하는 것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요소(13, 14)가 여백(16)과 함께 제1문양(12)인 S자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요소(13)는 제2요소(23)에 의해 각각 전체 또는 일부가 감추어져(차폐되어) 보이지 않도록, 제2요소(23)처럼 정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a) 및 (b)의 확대한 부분(53)를 보면, 제1기재(11)와 제2기재(21)의 동일한 위치(좌표)에는 제1요소(13, 14)와 제2요소(23)가 도 3에서처럼 상하로 쌍으로 존재하게 된다. 즉, (53) 부분이 보안용지 시트상에서 동일한 위지(좌표)에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요소들을 배치하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조방지시트(30)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제1문양(12) 및 제1요소(13)들이 거의 노출되지 않고, 특정 시야 각도(31, 33, 35, 37)에서는 제2기재(21)의 여백(26) 사이사이로 제1문양(12) 및 제1요소(13, 14)들이 일부 노출이 된다. 또한, 제1요소(13, 14)는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방향에서 서로 다른 색으로 보이게 된다.
그럼, 거리에 따른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특정 방향과 특정 시야 각도에서 시인하면서, 제1문양(12)과의 거리를 점점 멀리해서 보기로 한다. 그러면, 신기하게도 따로 떨어져 있는 제1요소(13, 14)들이 하나로 모아져 보이게 된다. 이는 거리에 따른 사람 눈의 착시 현상 때문이다. 즉, 상기 제1문양(12, S자)과의 거리가 특정 거리에 다다를수록 따로 떨어져 있던 제1요소(13, 14)들이 점점 하나로 모아져 보이는데, 가까이 있을 때는 S자가 인지되지 않지만, 특정 거리에 다다를수록 S자가 인지되기 시작하면서 점점 선명해진다.
또한, 패턴(제1 및 제2요소)과 패턴 사이의 간격, 패턴의 피치, 패턴의 넓이, 패턴의 크기, 패턴의 규칙성, 패턴의 개수 등에 따라 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선명성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를 사용하면 이미지의 선명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도 10의 위조방지시트를 수직으로 시인한 것으로서 제1문양(12, S자)이 거의 또는 전부 감추어져서 시인되지 않는다.
도 11(b)를 참조하면, 위조방지시트(30)를 왼쪽 방향 및 특정 각도, 특정 거리에서 시인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빨간색의 제1문양(12, S자)이 인지됨을 알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위조방지시트(30)를 오른쪽 방향 및 특정 각도, 특정 거리에서 시인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빨간색의 제1문양(12, S자) 대신 파란색의 제1문양(12, S자)이 인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b) 및 도 8(b)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트의 제3요소(57)에도 상술한 실시예를 적용하여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제3요소(37) 및 여백으로 구성된 제3문양(미도시)을 통해 위조방지시트의 양면 방향 모두에서 상술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시트는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서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평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과 비교하여, 제2기재(21)에 별모양의 제2문양(51)이 도시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즉, 제2문양(22, 51)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문양(51)에는 반사율이 높은 펄 기능의 잉크를 적용하였다. 즉, 별모양이 아닌 부분(a)에는 일반적인 잉크를 사용하고, 별 모양 부분(b)에는 반사율이 높은 잉크를 적용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라 별이 노출이 되도록 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a)는 특정 시야각에서 제2문양(51, 별 모양)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반사율이 높은 잉크가 적용되어 있는 별 모양(51)이 하얀색에 가깝게 인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b)를 참조하면, 위조방지시트를 왼쪽 방향 및 특정 각도, 특정 거리에서 시인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문양(51, 별 모양)이 흐리게 보이고 빨간색의 제1문양(12, S자)이 선명하게 인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c)를 참조하면, 위조방지시트를 오른쪽 방향 및 특정 각도, 특정 거리에서 시인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문양(51, 별 모양)이 흐리게 보이고 빨간색의 제1문양(12, S자) 대신 파란색의 제1문양(12, S자)이 선명하게 인지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시트는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서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문양전환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사용자 단말(67)로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및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0(b)와 비교하여 제1기재(11)에 식별패턴(65)이 추가로 도안되어 인쇄된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등)로 위조방지시트를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서 시인 또는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67)에는 카메라와 앱(APP; application)이 구비될 수 있다.
식별패턴(65)은 주 패턴(제1 문양(12))이 형성된 영역에 겹쳐서 혹은 주 패턴이 형성된 곳이 아닌 주변부 소정 영역(혹은 주 패턴 형상, 주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겹쳐서 형성된 추가 패턴 형상 및 주변부 소정 영역에 형성된 추가 패턴 형상 모두를 조합 가능)에 사용자(일반인)가 볼 때에는 식별되지 않거나 주 패턴만이 인쇄된 것과의 차이점을 찾아내기 용이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식별 장치(스마트폰(67) 등)를 통해 식별 가능한 다양한 형태(도형이나 점, 선 등)의 추가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식별패턴(65)은 필요에 따라 인쇄는 이루어지지만 일정한 기능성을 갖지 않는 허구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각도로 시야각을 주었을 때 비로소 형성되는 패턴으로서 식별 장치를 활용하였을 때 기 설정된 시야각에 이르렀는지를 알 수 있는 인식 좌표로서 사용되거나, 피검물의 추가적인 진위확인 용도로 이용될 수 있어, 이러한 추가 패턴을 활용하게 되면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감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 장치로서 스마트폰의 예를 들었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카메라를 구비하고, 앱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67)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태블릿이나 노트북일 수도 있고, 카메라가 연결된 PC일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인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S70)이다.
S71 단계에서, 앱은 사용자 단말(67)의 카메라로 위조방지시트를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서 시인 또는 촬영하여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S73 단계에서, 앱은 입력된 이미지에서 식별패턴(65)을 탐지할 수 있다. 이 때, 앱은 미리 식별패턴(65)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식별패턴(65)을 탐지하여, 식별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미리 저장된 식별패턴과 비교하여 진위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시트는 사용자 단말(67)로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진위여부 인식방법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언급된 기록 매체는 ROM, 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S81 단계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적용하여 제1문양(12) 및 제2문양(22)을 도안할 수 있다. 즉,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서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문양전환이 발생하도록, 제1요소(13, 14), 제1여백(16), 제2요소(23) 및 제2여백(26)을 복 수개 배치하여 제1문양(12) 및 제2문양(22)을 도안할 수 있다.
S83 단계에서는 제1기재(11)의 일면에 제1문양(12)을 인쇄할 수 있다. 사용되는 잉크는 색변환 잉크, 시변각 잉크 같은 특수 잉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통상의 일반적인 잉크이면 충분하다. 또한, 요판 인쇄 등의 특수한 인쇄 공정도 사용할 수 있지만, 평판, 그라비아, 스크린 또는 잉크젯 인쇄이면 충분하다.
S85 단계에서는 제1기재(11)의 인쇄면에 코팅층 또는 필름을 열압착하여 제2기재(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처럼,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함으로써, 접착층(59)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제는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 코팅층 및 필름은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은 폴리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제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접착제를 두텁게 사용하거나 두꺼운 코팅층이나 필름을 사용하면 시야 범위가 커져 제1문양(12)의 시인성이 높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엠보(27)가 삽입되어 있는 필름을 사용하면 시야 각도가 커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S87 단계에서는 제2기재(21)의 (제1기재(11)와 접한 면의) 타면에 제2문양(22)을 인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렴한 통상의 일반적인 잉크를 사용하면 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 도 12의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해 반사율이 높은 펄 기능의 잉크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S87 단계의 인쇄는 S83 단계와 동일한 평판, 그라비아, 스크린 또는 잉크젯 인쇄를 함으로써 단일 공정에 의한 비용 절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쇄시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하였듯이, 제1요소(13)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제2요소(23)에 의해 감추어져(차폐되어) 보이지 않도록 레지스터 맞춤을 통한 정밀인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위조방지시트는 특정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서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문양전환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S90과 도 18에 도시된 S100은 제3요소(57)로 구성된 제3문양(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의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S80과 비교하여, S91 단계에서는 제3요소(57)로 구성된 제3문양을 추가로 도안할 수 있다.
S93 단계에서는, 제1기재(11)의 양면에 각각 제1문양(12) 및 제3문양을 인쇄할 수 있다. 이때, 제3문양이 인쇄된 쪽에서의 시인 효과를 보기 위해, 제1기재(11)는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95 단계에서는 S85 단계와 유사한 합지를 실시할 수 있다.
S97 단계에서는 S87과 유사한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S90과 비교하여, 제3문양의 인쇄를 합지(S105) 후에 한다는 점(S107)이 다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하고, 통상의 잉크 및 평판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사용하여 잠상을 구현하고, 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도록 하는 위조방지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특수 잉크를 사용하거나, 복잡한 인쇄 과정을 거치거나, 특수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위조방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평판잉크 등의 저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평판 인쇄 등 기존의 단순한 공정을 사용하여 단일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저가 제품군이나 소량 다품종 제품군에 사용이 용이하다. 적용 가능한 제품으로는 카드, 보안라벨, 복사방해용지, 은선, 투명창, 인증서, 태그 등의 보안제품 및 벽지, 라벨, 포장지 등의 상업제품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시트는 진위여부를 손쉽게 식별(level 1)할 수 있다. 즉, 특정 온도나 특수한 광원이 필요하지 않고,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폰 등으로 일정 시야 각도에서 촬영하면 진위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위조방지시트
11: 제1기재
12: 제1문양
13, 14: 제1요소
16: 제1여백
21: 제2기재
22: 제2문양
23: 제2요소
26: 제2여백
27: 엠보
31, 33, 35, 37: 시야 각도
55: 서브요소
57: 제3요소
59: 접착층
61, 63: 보호층
65: 식별패턴
67: 사용자 단말

Claims (28)

  1. 일면에 제1문양이 인쇄된 제1기재; 및
    일면이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된 면과 합지되고 타면에 제2문양이 인쇄된 광 투과성의 제2기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문양은 복수 개의 제1요소와 제1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문양은 복수 개의 제2요소와 제2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요소의 직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제2요소에 의해 감추어지고,
    특정 시야 각도에서는 상기 제2여백을 통해 제1문양 및 제1요소가 노출되며,
    상기 제1요소는 서로 다른 색상의 서브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문양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된 면의 타면에 제3문양이 더 인쇄되고,
    상기 제3문양은 복수 개의 제3요소와 제3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요소 또는 제2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3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제1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양은 상기 제2여백 또는 제3여백을 통해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평판, 그라비아, 스크린 또는 잉크젯 인쇄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는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는 엠보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15. 앱(APP; application);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로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위조방지시트의 진위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문양은 식별패턴을 포함하여 도안되고,
    상기 앱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위조방지시트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이미지에서 상기 식별패턴을 탐지하여 진위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식별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진위여부 인식방법.
  16. 청구항 제 15항에 따른, 위조방지시트 진위여부 인식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7. 청구항 제16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8. 제1기재의 일면에 제1문양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된 면에 코팅층 또는 필름을 열압착 또는 접착하는 광 투과성의 제2기재 형성단계; 및
    상기 형성된 제2기재의 상기 제1기재와 접한 면의 타면에 제2문양을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문양은 복수 개의 제1요소와 제1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문양은 복수 개의 제2요소와 제2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요소의 직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제2요소에 의해 감추어지고,
    특정 시야 각도에서는 상기 제2여백을 통해 제1문양 및 제1요소가 노출되며,
    상기 제1요소는 서로 다른 색상의 서브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문양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양을 인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문양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재의 제1문양이 인쇄되는 면의 타면에 제3문양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문양은 복수 개의 제3요소와 제3여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요소 또는 제2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3요소는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2.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제1문양의 선명성이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양이 발현하거나 또는 문양전환이 발생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문양은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5.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평판, 그라비아, 스크린 또는 잉크젯 인쇄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 형성단계는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는 엠보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28.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시트 제조방법.

KR1020170027762A 2017-03-03 2017-03-03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KR10203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62A KR102034873B1 (ko) 2017-03-03 2017-03-03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US16/490,581 US20200079134A1 (en) 2017-03-03 2018-03-02 Anti-counterfeiting sheet using visu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iewing angle, direction, and d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recognition method therefor
PCT/KR2018/002525 WO2018160031A1 (ko) 2017-03-03 2018-03-02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GB1913221.6A GB2574539A (en) 2017-03-03 2018-03-02 Anti-counterfeiting sheet using visu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iewing angle, direction, and d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recogni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62A KR102034873B1 (ko) 2017-03-03 2017-03-03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682A KR20180101682A (ko) 2018-09-13
KR102034873B1 true KR102034873B1 (ko) 2019-10-22

Family

ID=6337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762A KR102034873B1 (ko) 2017-03-03 2017-03-03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79134A1 (ko)
KR (1) KR102034873B1 (ko)
GB (1) GB2574539A (ko)
WO (1) WO20181600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105A (ko) 2021-11-22 2023-05-31 (주)광인사 위조방지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702B1 (ko) * 2018-12-21 2023-02-23 한국조폐공사 은화를 포함하는 보안 시트
KR102432422B1 (ko) * 2020-10-20 2022-08-12 한국조폐공사 흰색 보안 패턴을 가지는 보안 인쇄물
KR102333137B1 (ko) * 2021-06-08 2021-12-01 박정훈 다중 복합인쇄구조 및 이 인쇄구조가 형성된 특수인쇄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794A (ja) * 2002-04-17 2003-10-28 National Printing Bureau 真偽判別可能な積層体
KR101422564B1 (ko) 2013-10-15 2014-07-25 제일엠텍(주) 금속 표면의 레이저 마킹 방법 및 그에 의한 마커를 가진 제품
KR101535534B1 (ko) * 2014-08-29 2015-07-13 대한민국 프린터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위조방지수단이 구비된 문서의 생성 방법 및 그 문서에 대한 위변조 확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86B1 (ko) 2006-11-22 2008-04-24 이재구 자외선 조명에 의해 변색되는 전사지, 스티커
JP2009214304A (ja) 2008-03-07 2009-09-24 National Printing Bureau 偽造防止用潜像模様形成体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147284B1 (ko) * 2010-10-26 2012-05-18 한국조폐공사 위변조 방지 보안 문서 및 이의 진위 식별 도구
KR101213208B1 (ko) 2011-04-25 2012-12-18 한국조폐공사 레이저를 이용한 은화 형성방법 및 은화가 형성된 보안용지
US20140284912A1 (en) * 2011-10-11 2014-09-25 National Printing Bureau,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794A (ja) * 2002-04-17 2003-10-28 National Printing Bureau 真偽判別可能な積層体
KR101422564B1 (ko) 2013-10-15 2014-07-25 제일엠텍(주) 금속 표면의 레이저 마킹 방법 및 그에 의한 마커를 가진 제품
KR101535534B1 (ko) * 2014-08-29 2015-07-13 대한민국 프린터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위조방지수단이 구비된 문서의 생성 방법 및 그 문서에 대한 위변조 확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105A (ko) 2021-11-22 2023-05-31 (주)광인사 위조방지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913221D0 (en) 2019-10-30
GB2574539A (en) 2019-12-11
US20200079134A1 (en) 2020-03-12
KR20180101682A (ko) 2018-09-13
WO2018160031A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873B1 (ko) 시야 각도,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시인 특성을 활용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인식방법
CN104090319B (zh) 图像显示体及带标签的物品
US9501697B2 (en) Method for the authentication and/or identification of a security item
KR20180136937A (ko) 광 스위치 장치
CN104245346B (zh) 光学可变防伪元件
KR101806391B1 (ko) 다중 복합구조를 갖는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0935A (ko) 보안 부재의 인증 및/또는 확인 방법
JP6477682B2 (ja) カード、カードの製造方法
US10730336B2 (en) Secure item comprising a combined image and/or a revealing screen
EP3362298B1 (en) Mirrored fluorescent security feature
EP3774373B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2269582B1 (ko) 위변조 방지 및 진위확인을 위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인식방법
JP5637371B2 (ja) 画像表示体、転写箔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515713B2 (ja) 画像表示体、転写箔及び個人認証媒体
EP2893515B1 (en) Secure laminate with security feature on the edge
JP2012071477A (ja) 画像形成体、個人認証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0780728B2 (en) Secure article comprising a combined image and/or a revelation screen
JP6032429B2 (ja) 動画模様印刷物
JP2013092746A (ja)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CN1359340A (zh) 包含衍射光学滤镜的保密物件
JP5915055B2 (ja) 画像形成体および個人認証媒体並びに画像形成体の形成方法および個人認証媒体の形成方法
JP4742725B2 (ja) カード
JP6051504B2 (ja) 画像表示体、個人認証媒体及びブランク媒体
JP5413236B2 (ja) 画像表示体及び個人認証媒体及びブランク媒体
JP5920784B2 (ja) 潜像印刷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