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22A -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22A
KR20230072522A KR1020210156705A KR20210156705A KR20230072522A KR 20230072522 A KR20230072522 A KR 20230072522A KR 1020210156705 A KR1020210156705 A KR 1020210156705A KR 20210156705 A KR20210156705 A KR 20210156705A KR 20230072522 A KR20230072522 A KR 2023007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unit
molding
moving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711B1 (ko
Inventor
정학규
김석
한지선
유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to KR102021015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7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motion of a material which is continuously fed to a working station in a stepwis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8Handling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29C43/0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mounted on chain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29C43/0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mounted on chains, belts
    • B29C43/0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mounted on chains, belts with circular movement, e.g. mounted on rolls, 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05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 B29C2043/3416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66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rotating supports, e.g. turntable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의 내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함에 따라 다수의 단열재를 빠르게 진공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성형물이 적치되는 적치부와 적치부가 안착되며, 동력에 의하여 적치부를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순환부에 형성되며, 성형물을 수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성형부와 진공성형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며, 성형물을 순차적으로 진공 성형하는 구획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Manufacturing Vacuum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단열재의 내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함에 따라 다수의 단열재를 빠르게 진공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피진공성형물이 다단으로 투입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투입된 피진공성형물 상부에서 가압하는 프레스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캐리어파트; 상기 캐리어파트를 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축 레일부과, x축 레일부에 중첩 배치되어 y축 방향으로 캐리어파트를 이송하는 y축 레일부로 구성되는 컨베이어파트; 상기 y축 레일부와 대향하도록 바닥에 y축 멀티레일부가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구비되는 진공챔버파트; 상기 컨베이어파트의 x축 레일부 및 진공챔버파트 내부에 설치되어 프레스플레이트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업다운파트; 상기 진공챔버파트 측벽에 설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피진공성형물 단부를 실링처리하도록 상, 하부 실링바가 구비되는 실링파트;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피진공성형물이 안착되도록 고정바에 의해 복층으로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유동바에 의해 간격유지되면서 피진공성형물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웨이트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가압셔틀부; 상기 가압셔틀부 이송을 제어하는 트렌스퍼와, 트렌스퍼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바의 상하이송을 제어하여 웨이트플레이트를 형개, 형합 작동하는 승강잭으로 구성되는 로딩부 및 언로딩부; 상기 로딩부 상의 가압셔틀부를 전달받아 이송을 제어하는 트렌스퍼와, 가압셔틀부에 로딩된 피진공성형물을 단계적으로 진공압착하는 복수의 진공챔버와, 어느 하나의 진공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피진공성형물 입구를 밀봉처리하는 실링부로 구성되는 진공성형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다단 적층되어 단일 구동수단에 의해 형개, 형합작동되고, 심재가 수용된 진공단열재 외피가 투입되도록 층별 독립된 진공챔버이 구비되는 코어부; 상기 진공챔버 내부 진공도를 조성하는 진공발생부; 상기 진공챔버 내부에서 외피 입구를 실링처리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를 포함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코어패널과 이에 일치되는 규격의 베이스필름이 각 코어패널의 밑에 깔리는 형태로 배치되고, 각 코어패널과 베이스필름을 일괄커버하는 커버필름이 그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를 진공흡착하는 진공테이블과, 진공테이블상의 상기 베이스필름과 코어패널 및 커버필름을 압착하는 프레스프레임과, 상기 진공테이블과 프레스프레임에 의해 압착된 베이스필름과 코어패널 및 커버필름에 열을 가하여 베이스필름과 커버필름을 용착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997141 B1 (2019년07월01일) KR 10-1776095 B1 (2017년09월01일) KR 10-1751814 B1 (2017년06월22일) KR 10-2014-0012853 A (2014년02월04일)
본 발명은 단열재의 내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함에 따라 다수의 단열재를 빠르게 진공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복수의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적치부(100); 상기 적치부(100)가 안착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적치부(100)를 순환시키는 순환부(200); 상기 순환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을 수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성형부(300); 상기 진공성형부(300)를 구획하여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을 순차적으로 진공 성형하는 구획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적치부(100); 순환부(200); 진공성형부(300); 구획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치부(100)에 형성되며, 상기 순환부(200)에 거치되는 지그(110); 상기 지그(110)에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카트리지(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적치부(100); 순환부(200); 진공성형부(300); 구획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순환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컨베이어(210);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의 단부에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이동컨베이어(210)를 연결하는 연결컨베이어(220);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상기 연결컨베이어(220)가 접합하며, 상기 적치부(10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턴테이블(2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적치부(100); 순환부(200); 진공성형부(300); 구획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턴테이블(23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연결되는 제 1연결레일(240); 상기 제 1연결레일(24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를 상기 연결컨베이어(220)로 이동시키는 제 2연결레일(250); 상기 제 2연결레일(25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251);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적치부(100); 순환부(200); 진공성형부(300); 구획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진공성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공기를 1차로 흡입하는 제 1성형부(310); 상기 제 1성형부(310)와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압력 변화를 유지하는 제 2성형부(320); 상기 제 2성형부(320)와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성형물(10)을 밀폐시키는 제 3성형부(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적치부(100); 순환부(200); 진공성형부(300); 구획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진공성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가 수용되는 진공챔버(350); 상기 진공챔버(350)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챔버(3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36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적치부(100); 순환부(200); 진공성형부(300); 구획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3성형부(33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일면을 밀폐시키는 기밀장치(4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적치부(100); 순환부(200); 진공성형부(300); 구획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구획부(500)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챔버(350)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도어(5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를 복수로 적치하여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가 복수로 적치된 적치부를 순환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치부를 복수의 성형부로 이동하며 유입시킴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진공 상태로 생성함에 따라 복수의 단열재를 진공상태로 제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성형부 사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압력 변화에 따른 단열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정면도.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성형물의 단면도.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획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적치부(100); 상기 적치부(100)가 안착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적치부(100)를 순환시키는 순환부(200); 상기 순환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을 수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성형부(300); 상기 진공성형부(300)를 구획하여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을 순차적으로 진공 성형하는 구획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10)에 형성되며, 공기를 차단하는 커버(11); 상기 커버(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충진재(12);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12)에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소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11)는 삼면이 막힌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는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진공단열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는 복수의 진공단열재를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성형물(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다. 이때, 성형물(10)은 도 6을 참조하면,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커버(11)가 삼면이 막힘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11)의 내부에는 충진재(12)가 형성되며, 다공성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될 경우 열 전도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충진재(12)는 내부의 수분 또는 가스가 흡착되도록 흡착소재가 더 충진된다.
또한, 성형물(10)을 진공단열재로 제조하기 위하여 복수의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적치부(100)를 순환부(200)에서 순환시킴에 따라 복수의 진공성형부(300)로 유입시켜 커버(11)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진공성형부(300)에는 흡입장치(360)가 형성되어 진공성형부(300)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성형물(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성형물(10)은 도 1을 참조하면, 순환부(200)에 의하여 순환되도록 이동하며, 진공성형부(300)에서 순차적으로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성형물(10)의 진공을 빠른 시간에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흡입된 성형물(10)은 순환부(200)에서 이동하며, 일단부에서 진공으로 형성된 성형물(10)은 제거되고 새로운 성형물(10)은 다시 적치부(100)에 적치되는 것이다. 이때, 성형물(10)의 제거 및 적치는 같은 곳에서 이루어지거나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각각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VIP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열재를 진공성형부(300)에 수용한 후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단열재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적치부(100)에 형성되며, 상기 순환부(200)에 거치되는 지그(110); 상기 지그(110)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카트리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그(110)에 형성되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순환부(200)에 안착되는 안착프레임(111); 복수의 상기 안착프레임(111)을 연결하며, 상기 카트리지(120)가 거치되는 거치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11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순환부(200)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2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적치판(121);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적치판(12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1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치부(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적치부(100)는 복수의 성형물(10)을 적치하여진공성형부(300)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적치부(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순환부(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지그(110)가 수직으로 형성됨에 따라 카트리지(120)가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지그(110)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순환부(200)에 안착되는 안착프레임(111)이 형성되며, 안착프레임(111)은 카트리지(1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카트리지(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안착프레임(111)은 거치프레임(112)에 의하여 복수의 카트리지(120)를 지지하는 것으로 거치프레임(112)은 안착프레임(111)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거치프레임(112)은 복수의 카트리지(120) 하단에 형성됨에 따라 카트리지(120)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거치프레임(112)에 의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착프레임(111)의 하단에는 이동프레임(113)이 형성되며, 이동프레임(113)은 안착프레임(111)의 하단에 x축, y축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순환부(200)에 의하여 적치부(1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카트리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형물(10)이 적치되는 것으로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적치판(121)과 적치판(12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판(122)이 형성되어 적치부(100)가 이동할 때 성형물(10)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120)는 지그(110)에 고정되지 않고 거치됨에 따라 카트리지(120)에 성형물(10)을 적치한 후 카트리지(120)를 교환하여 복수의 성형물(10)을 지그(110)에 적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치부(100)는 순환부(200)에서 이동하며 복수의 성형물(10)을 진공성형부(300)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컨베이어(210);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의 단부에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이동컨베이어(210)를 연결하는 연결컨베이어(220);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상기 연결컨베이어(220)가 접합하며, 상기 적치부(10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턴테이블(230);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지그(11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260);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260)는 롤러, 레일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260)는 일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적치부(100)를 순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상기 연결컨베이어(22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260)가 상부에 안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에 상기 순환부(200)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순환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순환부(200)는 상부에 안착되는 적치부(1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부(200)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적치부(100)가 이동하는 이동컨베이어(210)와 이동컨베이어(210)의 단부에서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컨베이어(220)가 형성된다. 이때, 이동컨베이어(210)는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동컨베이어(210)의 양단부는 연결컨베이어(220)가 형성됨에 따라 적치부(100)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이동컨베이어(210)는 진공성형부(300)가 형성되며, 진공성형부(300)를 이동하는 적치부(100)에 적치된 성형물(10)을 진공 흡입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컨베이어(210)와 연결컨베이어(220)에는 이동장치(260)가 형성되며, 이동장치(260)는 롤러, 레일 등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된 적치부(1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컨베이어(210)와 연결컨베이어(220)는 이동장치(260)가 상부에 안착되는 결합프레임이 형성되며, 결합프레임은 고정프레임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된다. 이동장치(260)는 결합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적치부(10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장치(260)는 모터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적치부(100)를 순환부(200)에서 순환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동컨베이어(210)와 연결컨베이어(220)가 접하는 위치에는 턴테이블(230)이 형성되며, 턴테이블(230)은 적치부(100)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23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연결되는 제 1연결레일(240); 상기 제 1연결레일(24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를 상기 연결컨베이어(220)로 이동시키는 제 2연결레일(25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레일(24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레일(25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연장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레일(25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251);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251)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하는 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턴테이블(2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턴테이블(230)은 순환부(200)에서 이동하는 적치부(100)를 직교하도록 방향 전환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턴테이블(230)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컨베이어(210)와 연결되는 제 1연결레일(240)이 형성되며, 제 1연결레일(240)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적치부(100)를 연결컨베이어(220)로 이동시키는 제 2연결레일(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연결레일(240)은 이동컨베이어(210)의 결합프레임과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프레임이 형성되며, 연장프레임의 상부에는 이동장치(26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연장프레임 사이에는 연장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프레임이 형성되며, 승강프레임은 적치부(100)의 방향을 전환할 때 승강하는 것이다. 승강프레임은 적치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프레임(113)이 안착되는 이동장치(260)가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의 이동장치(260)에 의하여 적치부(100)가 진공성형부(300)로 이동한다.
이때, 연장프레임과 승강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장치(26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이 연장프레임보다 높게 승강하면 적치부(100)가 진공성형부(300)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승강프레임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형성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것으로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함에 따라 적치부(100)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공기를 1차로 흡입하는 제 1성형부(310); 상기 제 1성형부(310)와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성형물(10)의 공기를 2차로 흡입하는 제 2성형부(320); 상기 제 2성형부(320)와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성형물(10)의 공기를 3차로 흡입한 후 밀폐시키는 제 3성형부(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가 수용되는 진공챔버(350); 상기 진공챔버(350)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챔버(3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36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 1성형부(310)는 상기 성형물(10)의 공기를 40 ~ 60 % 흡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 2성형부(320)는 상기 성형물(10)의 공기를 20 ~ 40 % 흡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제 3성형부(330)는 상기 제 1성형부(310)와 상기 제 2성형부(320)에서 흡입하고 남은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 3성형부(330)에 형성되며,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31);를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 3성형부(33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진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공성형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진공성형부(300)는 성형물(10)의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함에 따라 공기 흡입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성형부(300)는 일반적으로 성형물(10)의 공기를 챔버에서 흡입함에 따라 다른 성형물(10)은 성형물(10)의 공기가 흡입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에 따라 성형물(10)을 진공 성형하는 소요 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본원발명은 진공성형부(300)가 제 1성형부(310), 제 2성형부(320), 제 3성형부(330) 등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성형부에서 순차적으로 성형물(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성형물(10)을 진공 성형하는 소요 시간이 줄어드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진공성형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컨베이어(210)를 수용하는 진공챔버(350)가 형성되며, 진공챔버(350)는 제 1성형부(310), 제 2성형부(320), 제 3성형부(330)로 구획된다. 그리고 진공챔버(350) 적치부(100)가 수용되는 일면이 개폐되는 개폐도어(370)가 형성되며, 개폐도어(370)는 이동컨베이어(210)가 일부 절단되어 형성됨에 따라 개폐도어(370)가 이동컨베이어(210)에 의하여 밀폐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진공챔버(350)는 실링부재가 형성되어 진공챔버(350)가 진공 상태로 형성될 때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챔버(350)의 내측 양측면에는 지지대가 형성되며, 지지대는 기밀장치(400)에 의하여 성형물(10)의 일면이 밀폐될 때 성형물(1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진공챔버(350)의 내부에는 측정센서가 형성되어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진공챔버(350)가 구획되어 형성되는 제 1성형부(310)는 성형물(10)이 적치된 적치부(100)가 수용된 후 성형물(10)의 공기 중 40 ~ 60 %를 흡입한다. 그리고 제 2성형부(320)는 구획부(500)와 구획되어 성형물(10)의 공기를 20 ~ 40 %를 흡입한다. 이와 같이 제 1성형부(310)와 제 2성형부(320)에서 순차적으로 성형물(10)의 공기를 일부 흡입한 후 제 3성형부(330)에서 성형물(10)의 공기를 모두 흡입하여 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형물(10)은 제 3성형부(330)에서 일면이 밀폐되어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 3성형부(330)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성형물(10)이 수용되어 공기가 흡입된 후 급격한 압력 변화에 의하여 성형물(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조절밸브(331)가 형성된다. 이때, 조절밸브(331)는 진공챔버(35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성형물(10)을 진공 상태로 제조한 후 개폐도어(370)를 개방하면 급격한 압력 변화에 의하여 성형물(1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절밸브(331)가 형성되는 것으로 조절밸브(331)는 내부 압력을 서서히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진공챔버(350)에는 성형물(10)의 내부가 효과적으로 진공 상태로 형성되었는지 판단하거나 압력 변화에 따른 성형물(10)의 변형을 판단하는 판단장치(340)가 형성되며, 판단장치(340)는 X-ray 등으로 형성되어 성형물(10)의 형태와 진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실시예 5-8)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3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361);를 포함한다.
(실시예 5-9)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5-8에 있어서, 상기 흡입펌프(361)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챔버(350)와 연결되는 연결관(36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36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흡입장치(360)는 진공챔버(3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입장치(360)는 진공챔버(350)와 연결되는 연결관(362)이 형성되며, 연결관(362)의 단부에는 흡입펌프(361)가 형성되어 진공챔버(3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 3성형부(33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일면을 밀폐시키는 기밀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을 압착시키는 압착장치(410); 상기 압착장치(41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일면을 접합시키는 접합장치(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41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일면을 압착하는 압착판(411);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41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접합장치(420)는 열접합, 레이저 접합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밀장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밀장치(400)는 성형물(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할 때 성형물(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일면을 밀폐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밀장치(400)는 도 7을 참조하면, 성형물(10)을 압착시키는 압착장치(410)가 형성되며, 압착장치(410)는 승하강장치(430)에 의하여 승하강함에 따라 성형물(10)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기밀장치(400)는 성형물(10)의 일면을 압착시키는 압착판(411)이 형성되며, 압착판(411)은 승하강장치(430)에서 승하강하여 성형물(10)의 상부를 압착한다. 그리고 압착장치(410)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위치에는 접합장치(420)가 형성되며, 접합장치(420)는 열 접합, 레이저 접합 등으로 성형물(10)의 일면을 접합시키는 것이다. 접합장치(420)는 진공챔버(35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면 성형물(10)의 진공 여부를 판단하여 성형물(10)의 일면을 접합하는 것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챔버(350)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도어(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도어(510)의 양측 압력을 조절하는 벤트(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벤트(520)는 상기 제 1성형부(310)와 상기 제 2성형부(320) 또는 상기 제 2성형부(320)와 상기 제 3성형부(3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획부(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구획부(500)는 진공챔버(350) 내부에서 승하강 함에 따라 적치부(100)가 수용된 제 1성형부(310), 제 2성형부(320), 제 3성형부(33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획부(500)는 진공챔버(35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구획부(500)에 의하여 제 1성형부(310), 제 2성형부(320), 제 3성형부(330)가 구획된다. 그리고 진공챔버(350)로 수용된 적치부(100)의 위치에 따라 개폐되어 적치부(100)의 성형물(10)의 공기를 흡입할 때 기밀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때, 구획부(500)는 진공챔버(350)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도어(510)가 형성되며, 승강도어(510)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됨에 따라 승하강한다. 그리고 구획부(500)에는 제 1성형부(310)와 제 2성형부(320) 또는 제 2성형부(320)와 제 3성형부(330) 사이에 형성되나 구획부(500)의 수량은 한정하지 않으며, 구획부(500)의 수량에 따라 성형부의 수량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500)는 도 8을 참조하면, 양측면에 형성되는 성형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서로 이웃하는 성형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벤트(520)가 설치된다. 벤트(520)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으로 적치부(100)가 수용된 성형부의 압력과 서로 이웃하는 성형부의 압력을 일치시켜 성형물(10)의 압력 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 1성형부(310)에 적치부(100)가 수용되어 성형물(10)의 공기를 흡입한 후 구획부(500)의 승강도어(510)를 개방하면 제 2성형부(320)와 제 1성형부(310)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성형물(10)의 공기가 다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벤트(520)를 통해 제 2성형부(320)의 압력을 제 1성형부(310)와 일정하게 유지한 후 승강도어(510)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와 동일하게 제 2성형부(320)와 제 3성형부(330)에서도 벤트(520)에 의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후 승강도어(510)를 개방하는 것으로 제 2성형부(320) 또는 제 3성형부(330)에서 적치부(100)의 성형물(10) 공기를 흡입할 경우 제 1성형부(310)에서 새로운 적치부(100)가 수용되어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제 1성형부(310)는 새로운 적치부(100)가 수용되므로 다시 공기를 유입시켜 압력을 외부와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제 2성형부(320)와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획부(500)는 제 1수용부, 제 2수용부, 제 3수용부를 구획하여 각각 압력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적치부(100)의 성형물(10)이 각각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구획부(500)는 각각의 성형부로 이동할 때 압력 변화에 따른 성형물(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벤트(520)가 설치되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획부(500)는 성형물(10)의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하여 다수의 성형물(10)을 자동으로 빠르게 진공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10: 성형물 11: 커버
12: 충진재 100: 적치부
110: 지그 111: 안착프레임
112: 거치프레임 113: 이동프레임
120: 카트리지 121: 적치판
122: 이탈방지판 200: 순환부
210: 이동컨베이어 220: 연결컨베이어
230: 턴테이블 240: 제 1연결레일
250: 제 2연결레일 251: 승강장치
260: 이동장치 300: 진공성형부
310: 제 1성형부 320: 제 2성형부
330: 제 3성형부 331: 조절밸브
340: 판단장치 350: 진공챔버
360: 흡입장치 361: 흡입펌프
362: 연결관 370: 개폐도어
400: 기밀장치 410: 압착장치
411: 압착판 420: 접합장치
430: 승하강장치 500: 구획부
510: 승강도어 520: 벤트

Claims (8)

  1. 복수의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적치부(100);
    상기 적치부(100)가 안착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적치부(100)를 순환시키는 순환부(200);
    상기 순환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을 수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성형부(300);
    상기 진공성형부(300)를 구획하여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을 순차적으로 진공 성형하는 구획부(500);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치부(100)에 형성되며, 상기 순환부(200)에 거치되는 지그(110);
    상기 지그(110)에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성형물(10)이 적치되는 카트리지(120);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컨베이어(210);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의 단부에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이동컨베이어(210)를 연결하는 연결컨베이어(220);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상기 연결컨베이어(220)가 접합하며, 상기 적치부(10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턴테이블(230);을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23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210)와 연결되는 제 1연결레일(240);
    상기 제 1연결레일(24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를 상기 연결컨베이어(220)로 이동시키는 제 2연결레일(250);
    상기 제 2연결레일(25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251);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공기를 1차로 흡입하는 제 1성형부(310);
    상기 제 1성형부(310)와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압력 변화를 유지하는 제 2성형부(320);
    상기 제 2성형부(320)와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성형물(10)을 밀폐시키는 제 3성형부(330);를 포함하는 공단열재 제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치부(100)가 수용되는 진공챔버(350);
    상기 진공챔버(350)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챔버(3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360);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3성형부(330)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10)의 일면을 밀폐시키는 기밀장치(400);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챔버(350)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도어(510);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KR1020210156705A 2021-11-15 2021-11-15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KR10258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05A KR102586711B1 (ko) 2021-11-15 2021-11-15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05A KR102586711B1 (ko) 2021-11-15 2021-11-15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22A true KR20230072522A (ko) 2023-05-25
KR102586711B1 KR102586711B1 (ko) 2023-10-12

Family

ID=8654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705A KR102586711B1 (ko) 2021-11-15 2021-11-15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7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853A (ko) 2012-07-23 2014-02-04 도영에이치에스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제조방법
KR101751814B1 (ko) 2016-11-30 2017-06-28 (주)브이아이테크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KR101776095B1 (ko) 2017-06-15 2017-09-07 (주)브이아이테크 중력 가압셔틀부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자동화 제조장치
KR20180074362A (ko) * 2016-12-23 2018-07-03 (주)국민기업 단열재 투입장치, 이종 단열재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KR101997141B1 (ko) 2019-03-20 2019-07-05 (주)브이아이테크 진공단열재 자동화 생산 시스템
KR102010327B1 (ko) * 2019-03-20 2019-08-14 (주)베인스코어 진공단열재 자동화 생산 시스템을 이용한 진공단열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853A (ko) 2012-07-23 2014-02-04 도영에이치에스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제조방법
KR101751814B1 (ko) 2016-11-30 2017-06-28 (주)브이아이테크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KR20180074362A (ko) * 2016-12-23 2018-07-03 (주)국민기업 단열재 투입장치, 이종 단열재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KR101776095B1 (ko) 2017-06-15 2017-09-07 (주)브이아이테크 중력 가압셔틀부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자동화 제조장치
KR101997141B1 (ko) 2019-03-20 2019-07-05 (주)브이아이테크 진공단열재 자동화 생산 시스템
KR102010327B1 (ko) * 2019-03-20 2019-08-14 (주)베인스코어 진공단열재 자동화 생산 시스템을 이용한 진공단열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711B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3601B2 (ja) 真空多段積層装置
KR101776095B1 (ko) 중력 가압셔틀부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자동화 제조장치
KR101881476B1 (ko) 진공유리 제조장치
KR102586711B1 (ko) 진공단열재 자동 제조 장치
US7293976B2 (en) Single station thermo-forming machine
KR101997141B1 (ko) 진공단열재 자동화 생산 시스템
KR102598221B1 (ko)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
KR102010327B1 (ko) 진공단열재 자동화 생산 시스템을 이용한 진공단열재 제조 방법
WO2015139251A1 (zh) 真空玻璃的真空抽取车及真空玻璃生产线
KR20130037640A (ko)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S58100024A (ja) パレツト荷積装置
CN217495242U (zh) 一种封闭式层压机及联动成套层压设备
CN215922671U (zh) 一种全自动试管装盒机
JP2012101832A (ja) 真空充填封止方法および真空充填封止装置
TWI577652B (zh) 成型爐
EP1524094A1 (en) A single station thermo-forming machine
CN118107167A (zh) 仓中仓式压差披覆设备
TWI724845B (zh) 氮氣密閉烘烤機台及基板進出烘烤裝置的方法
CN219524364U (zh) 一种吨袋真空封口机
KR102371221B1 (ko) 조립 장치
TW202146294A (zh) 托板,玻璃板包裝體和運輸用包裝體
JP3936417B2 (ja)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と装置
CN220763555U (zh) 隔热板包覆机
CN219852631U (zh) 太阳能电池组件激光焊接承载台及太阳能电池组件激光焊接设备
JPH03275308A (ja) 成形品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