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04A -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 Google Patents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04A
KR20230072504A KR1020237014158A KR20237014158A KR20230072504A KR 20230072504 A KR20230072504 A KR 20230072504A KR 1020237014158 A KR1020237014158 A KR 1020237014158A KR 20237014158 A KR20237014158 A KR 20237014158A KR 20230072504 A KR20230072504 A KR 20230072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cid
composition
salt
sa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나가 다무라
히로유키 다카세
노리오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파인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파인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파인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22Amides or hydr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28Ami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32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유화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을 부여하는 조성물(특히 향장품 원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명세서에 기재된, 성분 A와, 성분 B, 성분 C, 성분 D 및 성분 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단, 상기 성분 C만, 또는 상기 성분 D만은 제외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본 발명은, 조성물(특히 향장품 원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는, 미량 첨가로도 향장품 원료로서, 특히 모발이나 피부의 pH에 가까운 약산성 처방의 안정성이나 유화성, 분산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점에서 근년 특히 중요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겔상 조성물이 안정성, 사용감이 뛰어난 조성물인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의 배합에 의한 화장료에 있어서의 처방 안정성이나 방부 효과나 저자극성에 대한 기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0707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60686호 공보
향장품 처방에 있어서는, 유화능이나 분산능이 고도로 요구되는 것이 특히 스킨케어, 헤어 케어 용도에서 보여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향장품 처방에 있어서도, 고도의 유화 안정성이나 분산 안정성을 얻는 것은 아직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우수한 유화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을 부여하는 조성물(특히 향장품 원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구조를 갖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를, 다양한 성분과 조합함으로써, 우수한 유화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을 부여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와 같다.
[1]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 하기 성분 C, 하기 성분 D 및 하기 성분 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단, 상기 성분 C만, 또는 상기 성분 D만은 제외함)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성분 A: 하기 일반식 (A)로 표시되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01
(식 (A)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1,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이며,
n1 및 n2는, 0 및 2이거나, 또는 2 및 0이며,
n3 및 n4는, 0 및 2이거나, 또는 2 및 0임)
·성분 B: 하기 일반식 (B)로 표시되는 N-아실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02
(식 (B) 중,
R3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4는,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임)
·성분 C: 하기 일반식 (C)로 표시되는 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03
(식 (C) 중,
R4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5 및 M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임)
·성분 D: 하기 일반식 (D)로 표시되는 지방산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04
(식 (D) 중,
R5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7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임)
·성분 E: 하기 일반식 (E)로 표시되는 지방산아미드
Figure pct00005
(식 (E) 중,
R6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임).
[2]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B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조성물.
[3]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E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조성물.
[4]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B와, 상기 성분 E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조성물.
[5]
상기 일반식 (A) 내지 (E)에 있어서의 R1 내지 R6이,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 1 내지 29의 탄화수소기인,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6]
상기 일반식 (A) 내지 (D)에 있어서의 M1 내지 M7이, 각각 독립적으로, Na, K, 트리에탄올아민, Mg, Ca, Al, Zn, 아르기닌, 또는 H인,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7]
상기 성분 B의, 상기 성분 A에 대한 비율이 0.004% 이상인, [1], [2], [4], [5] 및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8]
상기 성분 C의 양이,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C의 합계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8질량% 이상이며,
상기 성분 D의 양이,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D의 합계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6질량% 이상인, [1] 및 [5]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9]
상기 성분 E의 양이, 상기 성분 A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5질량% 이상인, [1] 및 [3]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0]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 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 중에서, 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과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고, 상기 반응액을 산으로 pH 1 내지 6으로 하고, 25 내지 80℃의 온도에 있어서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하는 공정;
2) 상기 유기층을 산성하에서 농축 건조시키고,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의 일부를 N-아실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으로 변환하는 공정;
3)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과 산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N-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을 얻는 공정; 및
4)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과 리신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켜서,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얻는 공정.
[11]
상기 공정 2)에 있어서, 상기 유기상을, 건조 감량이 10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농축 건조시키는, [10]에 기재된 제조 방법.
[12]
상기 공정 2)에 있어서의 농축 건조를 감압하에서, 50℃ 이상에서 실시하는, [10] 또는 [11]에 기재된 제조 방법.
[13]
향장품 원료 조성물인,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4]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의 향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15]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료.
[16]
pH 4 이상인, [15]에 기재된 화장료.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유화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을 부여하는 조성물(특히 향장품 원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단순히 「본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지, 본 발명을 이하의 내용으로 한정한다는 취지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조성물〕
본 실시 형태는,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 하기 성분 C, 하기 성분 D 및 하기 성분 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단, 성분 C만, 또는 성분 D만은 제외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특히 향장품 원료 조성물) 및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성분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A+B, A+E, A+B+C, A+B+D, A+B+E, A+C+D, A+C+E, A+B+C+D, A+B+C+E, A+C+D+E를 들 수 있다.
성분 A는, 하기 일반식 (A)로 표시되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이다.
Figure pct00006
(식 (A)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1,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콜린이며,
n1 및 n2는, 0 및 2이거나, 또는 2 및 0이며,
n3 및 n4는, 0 및 2이거나, 또는 2 및 0임)
성분 B는, 하기 일반식 (B)로 표시되는 N-아실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성분 B는, 「아실 PCA」라고도 한다.
Figure pct00007
(식 (B) 중,
R3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4는,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콜린임)
성분 C는, 하기 일반식 (C)로 표시되는 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이다.
Figure pct00008
(식 (C) 중,
R4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5 및 M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콜린임)
성분 D는, 하기 일반식 (D)로 표시되는 지방산 또는 그의 염이다.
Figure pct00009
(식 (D) 중,
R5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7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콜린임)
성분 E는, 하기 일반식 (E)로 표시되는 지방산아미드이다.
Figure pct00010
(식 (E) 중,
R6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임).
본 실시 형태의 향장품 원료 조성물은, 고도의 초기 유화 안정성이나 분산 안정성을 향장품 처방에 부여하고, 또한 양호한 사용감도 부여할 수 있다.
일반식 (A)에 있어서의 R1 및 R2는, 탄화수소기이면 포화, 불포화, 직쇄, 분지쇄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1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7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21의 탄화수소기로 해도 된다. 특히, R1-C(=O)- 구조 및 R2-C(=O)- 구조로서는, 카프로일기, 운데리놀레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이소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이소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올레일기, 리놀릴기, 리놀레일기, 아라키딜기, 베헤닐기 등 세상에 흔히 유통되고 있는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고, 팜유, 팜핵유, 야자유 유래인 조성물의 혼합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29의 탄화수소기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수소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7의 탄화수소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공기 산화 방지의 관리가 어렵지 않은 포화 탄화수소기를 사용한다. 경제적 관점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R1-C(=O)- 구조 및 R2-C(=O)- 구조는, 라우로일기 및/또는 미리스토일기이다.
일반식 (A)로 표시되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의 3개의 카르복실산기는, 모두 유리 카르복실산이어도 되고, 모두 카르복실산염이어도 되며, 유리 카르복실산과 카르복실산염의 조합이어도 된다.
일반식 (A)에 있어서의 카르복실산염(COOM1, COOM2, COOM3)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아민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미노메틸프로판올염 등의 아민염(유기 또는 무기 암모늄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콜린염, 알루미늄염, 아연염 등의 단일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성능이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및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르기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이다.
성분 A의 함유량은, 향장품 원료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3 내지 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 내지 0.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 (B)에 있어서의 R3은, 탄화수소기이면 포화, 불포화, 직쇄, 분지쇄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R3은, 탄소수 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1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7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21의 탄화수소기로 해도 된다. 특히, R3-C(=O)- 구조로서는, 카프로일기, 운데리놀레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이소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이소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올레일기, 리놀릴기, 리놀레일기, 아라키딜기, 베헤닐기 등 세상에 흔히 유통되고 있는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고, 팜유, 팜핵유, 야자유 유래인 조성물의 혼합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수소기이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29의 탄화수소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7의 탄화수소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공기 산화 방지의 관리가 어렵지 않은 포화 탄화수소기를 사용한다. 경제적 관점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R3-C(=O)- 구조는, 라우로일기 및/또는 미리스토일기이다.
일반식 (B)에 있어서의 카르복실산염(COOM4)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아민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미노메틸프로판올염 등의 아민염(유기 또는 무기 암모늄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콜린염, 알루미늄염, 아연염 등의 단일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성능이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및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르기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이다.
향장품 처방에 고도의 초기 유화 안정성이나 분산 안정성을 부여한다는 점과 경제성의 관점에서, 성분 B의 성분 A에 대한 비율은 0.004%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3.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2.0% 이하이다. 성분 B의 함유량이 0.004% 이상이면 처방계에 있어서의 유화성 및 유화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성분 B가 7.0% 이하이면, 처방계의 용해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비율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HPLC 분석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성분 B의 함유량은, 향장품 원료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03 내지 0.0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1 내지 0.0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02 내지 0.00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 (C)에 있어서의 R4는, 탄화수소기이면 포화, 불포화, 직쇄, 분지쇄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R4는, 탄소수 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1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7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21의 탄화수소기로 해도 된다. 특히, R4-C(=O)- 구조로서는, 카프로일기, 운데리놀레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이소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이소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올레일기, 리놀릴기, 리놀레일기, 아라키딜기, 베헤닐기 등 세상에 흔히 유통되고 있는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고, 팜유, 팜핵유, 야자유 유래인 조성물의 혼합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29의 탄화수소기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수소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7의 탄화수소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공기 산화 방지의 관리가 어렵지 않은 포화 탄화수소기를 사용한다. 경제적 관점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R4-C(=O)- 구조는, 라우로일기 및/또는 미리스토일기이다.
일반식 (C)에 있어서의 카르복실산염(COOM5, COOM6)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아민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미노메틸프로판올염 등의 아민염(유기 또는 무기 암모늄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콜린염, 알루미늄염, 아연염 등의 단일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성능이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및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르기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이다.
성분 C의 함유량(%)은, 성분 A와 성분 C의 합계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8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이다. 상기 비율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일반식 (D)에 있어서의 R5는, 탄화수소기이면 포화, 불포화, 직쇄, 분지쇄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R5는, 탄소수 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1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7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21의 탄화수소기로 해도 된다. 특히, R5-C(=O)- 구조로서는, 카프로일기, 운데리놀레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이소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이소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올레일기, 리놀릴기, 리놀레일기, 아라키딜기, 베헤닐기 등 세상에 흔히 유통되고 있는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고, 팜유, 팜핵유, 야자유 유래인 조성물의 혼합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29의 탄화수소기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수소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7의 탄화수소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공기 산화 방지의 관리가 어렵지 않은 포화 탄화수소기를 사용한다. 경제적 관점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R5-C(=O)- 구조는, 라우로일기 및/또는 미리스토일기이다.
일반식 (D)에 있어서의 카르복실산염(COOM7)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아민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미노메틸프로판올염 등의 아민염(유기 또는 무기 암모늄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콜린염, 알루미늄염, 아연염 등의 단일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성능이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및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르기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이다.
성분 D의 함유량(%)은, 성분 A와 성분 D의 합계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6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4질량% 이상 0.55질량% 이하이다. 상기 비율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일반식 (E)에 있어서의 R6은, 탄화수소기이면 포화, 불포화, 직쇄, 분지쇄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R6은, 탄소수 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1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7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9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21의 탄화수소기로 해도 된다. 특히, R6-C(=O)- 구조로서는, 카프로일기, 운데리놀레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이소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이소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올레일기, 리놀릴기, 리놀레일기, 아라키딜기, 베헤닐기 등 세상에 흔히 유통되고 있는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고, 팜유, 팜핵유, 야자유 유래인 조성물의 혼합 탄화수소기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29의 탄화수소기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수소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7의 탄화수소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공기 산화 방지의 관리가 어렵지 않은 포화 탄화수소기를 사용한다. 경제적 관점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R6-C(=O)- 구조는, 라우로일기 및/또는 미리스토일기이다.
향장품 처방에 고도의 초기 유화 안정성이나 분산 안정성을 부여한다는 점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성분 E의 성분 A에 대한 비율(성분 A/성분 E)은, 0.005질량% 이상 5.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질량% 이상 3.00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이다. 상기 비율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향장품 원료 조성물 및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의 pH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4.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식 (A) 내지 (D)에 있어서의 M1 내지 M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나트륨, 리튬, 칼륨, 마그네슘, 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1 내지 M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나트륨, 리튬, 칼륨, 마그네슘, 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1 내지 M7 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이며, M1 내지 M7 중 적어도 하나가 나트륨, 리튬, 칼륨, 마그네슘, 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1 내지 M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며, M1 내지 M7 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이며, M1 내지 M7 중 적어도 하나가 나트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조성물(특히 향장품 원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공정을 포함한다.
1) [제1 공정] 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 중에서, 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과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고, 상기 반응액을 산으로 pH 1 내지 6으로 하고, 25 내지 80℃의 온도에 있어서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하는 공정.
2) [제2 공정] 상기 유기층을 산성하에서 농축 건조시키고,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의 일부를 N-아실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성분 B)으로 변환하는 공정.
3) [제3 공정]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과 산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N-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을 얻는 공정.
4) [제4 공정]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과 리신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켜서,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성분 A)을 얻는 공정.
[제1 공정]
본 실시 형태의 아실화 반응 공정은, 물과, 예를 들어 t-부탄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이소프로판올 등의 유기 용매와의 혼합 용매 중에서, 알칼리성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글루타민산과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축합 반응하는 공정이며, 아실화 반응에 의해, 조 N-아실글루타민산이 생성된다.
아실화 반응 공정에 있어서, 글루타민산에 대한 지방산 클로라이드의 몰비는, 1.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이다. 글루타민산에 대한 지방산 클로라이드의 몰비가 1.05 이하임으로써, 유리지방산의 생성량을 저감시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아실화 반응 공정에 있어서, 혼합 용매의 조성으로서는, 물/유기 용매의 용량비가 90/10 내지 2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15 내지 50/50의 범위이다. 90/10 내지 20/80의 범위임으로써, 글루타민산과, 지방산 클로라이드와 알칼리성 화합물의 3자가 상용되기 쉬워,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아실화 반응 공정에서의 글루타민산의 투입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반응 중 경시적으로 반응액의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반응 종료에 가까워진 시점에서 교반 혼합이 가능한 정도의 투입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화 반응 공정의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주반응 촉진과 부반응 억제의 관점에서, -10 내지 7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범위이다.
아실화 반응 공정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성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등의 무기 염기를 들 수 있다.
아실화 반응 공정에서의 pH는, 주반응 촉진과 부반응 억제의 관점에서, 9 내지 13.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3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실화 반응액을, 예를 들어 염산, 황산과 같은 산(바람직하게는 무기산)으로 pH를 1 내지 6으로 하고, 유기층과 수층의 2층으로 분리하고, 유기층을 취득한다. 아실화 반응액 중에서는, 생성된 N-아실글루타민산이 알칼리염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에 산을 첨가함으로써, N-아실글루타민산 중의 카르복실기의 일부 혹은 전부를 유리산으로 함으로써,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하는 것이다(산침 공정). 산침 시의 pH로 의해, 카르복실기의 해리 상태가 바뀌고, 분층 상태, 즉 유기층과 수층의 질량비나 무기염류의 제거성이 약간 바뀌기 때문에, pH 1 내지 3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1 내지 2.5이다.
산침 공정에서의 온도는, 25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다. 25℃ 이상임으로, 분층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평형에 도달했을 때에 유기층 중의 무기염의 잔존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제2 공정]
본 발명 형태의 제2 공정은, 제1 공정에서 얻어진 유기층을, 산성하에서 농축 건조시키고, N-아실글루타민산의 일부를 N-아실피롤리돈카르복실산(성분 B)으로 변환한다. 농축 건조는, 가온하여, 상압하 또는 감압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 건조는, 건조 감량이,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실시한다. 다음 공정에서 아실글루타민산을 무수물화하므로, 수분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건조 감량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건조 감량」은, 건조에 의해 감소하는 질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시료 1g을, 105℃에서 3시간 건조시켰을 때에 감소하는 질량의 비율이며, 하기 식으로 산출된다.
건조 감량(%)=[{초기 시료 질량(g)-건조 시료 질량(g)}/초기 시료 질량(g)]×100
농축 건조는,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당초는 유기 용매의 비점 부근보다 높은 온도, 혹은 사용하는 유기 용매와 물의 공비점 부근에서, 유기 용매와 물을 증류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유기 용매가 물에 대하여 질량비 3% 이하로 되면, 공존하는 아실글루타민산이 발포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가열하면서의 주의 깊은 감압 제어가 필요하다. 유기 용매가 거의 증류 제거해도 수분은 아직 잔존하고 있으며, 실질 조작으로서는, 물의 비점 부근에서 감압을 속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은, 설정 온도하에서 정치를 계속하는 동결 건조 방법과 비교하여, 발포 제어, 즉 발포 상황에 적응시킨 완만한 교반이 필요하지만, 아실글루타민산이 약 10질량% 이하이고 또한 85℃ 이상의 고온하에서, 적량의 아실 PCA를 부생시키고, 이것을 처방계에 있어서의 유화성이나 분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예를 들어 조작으로서는, 동결 건조 처리를 사용한다. 처리 중에 거의 발포가 발생하지 않고, 건조 조작상은 인적으로는 전혀 실시하는 일은 없어 간편하지만, 아실 PCA는 보이지 않는다.
아실글루타민산이 주체의 유기물에 대하여, 건조 감량이 감소해 가면, 발포는 수렴해 간다. 도달 감압도 200kPa에 있어서, 도달 온도 85℃ 이상을 20분간 이상 유지했을 때, 건조 감량은 10질량% 이하가 된다.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 감량을 저감시키고 싶은 경우, 도달 감압도는 50kPa 이하가 바람직하고, 20k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달 온도는, 아실글루타민산의 융점 및 감압도에도 의존하지만,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건조 감량을 1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성분 B(아실 PCA)를, 아실글루타민산으로부터 부생시킬 수 있다.
[제3 공정]
제2 공정에서 얻어진 아실글루타민산 주체의 고형물에, 무수 아세트산과 같은 무수 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키고, 얻어진 반응액으로부터 여과 분리·건조시켜서, 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 주체의 조 결정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탈수제는 무수 아세트산과 같은 무수 카르복실산이며, 경제적 및 환경적 관점에서 무수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글루타민산을 무수물화시키는 반응의 후, 과잉의 무수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은 여과 분리에 의해 제거한다. 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의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에테르, 다음으로 석유 에테르로 세정하고, 그 후 건조시켜서 당해 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 주체의 고형물을 얻을 수 있다.
[제4 공정]
제3 공정에서 얻어진 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 주체의 고형물을, 일본 특허 제 4070768호 공보에 준하여, 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 2몰 당량에 대하여 리신이 1몰 당량이 되도록, 반응시켜서, 후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성분이 일반식 (A)로 표시되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의 수용액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향장품이란, 약기법에서 말하는 의약 부외품 및 화장품의 총칭이며, 구체적으로는, 의약 부외품으로서는 구강 청량제, 액취 방지제, 천화분류, 양모제, 제모제, 염모제, 영구 웨이브용제, 목욕용제, 약용 화장품, 약용 치약류 등을 열거할 수 있고, 화장품으로서는, 화장 비누, 세안료(크림·페이스트상, 액·젤상, 과립·분말상, 에어로졸 사용 등), 샴푸, 린스 등의 청정용 화장품; 염모료, 헤어 트리트먼트제(크림상, 미스트상, 오일상, 젤상 그 밖의 형태의 것 및 지모 코팅제를 함유), 헤어 세팅제(헤어 오일, 세팅 로션, 컬러 로션, 포마드, 치크, 헤어 오일, 헤어 스프레이, 헤어 미스트, 헤어 리키드, 헤어 폼, 헤어 젤, 워터 그리스) 등의 두발용 화장품; 일반 크림, 유액(클렌징 크림, 콜드 크림, 배니싱 크림, 핸드 크림 등), 면도용 크림(애프터 쉐이빙 크림, 쉐이빙 크림 등), 화장수(핸드 로션, 일반 화장수 등), 오데코롱, 면도용 로션(애프터 셰이빙 로션, 셰이빙 로션 등), 화장 오일, 팩 등의 기초 화장품; 분(크림분, 고형분, 가루분, 탤컴 파우더, 갠 분, 베이비 파우더, 보디 파우더, 물 분 등), 파우더, 파운데이션(크림상, 액상, 고형 등), 볼연지, 눈썹 연필, 아이크림, 아이섀도 마스카라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일반 향수, 갠 향수, 분말 향수 등의 향수류; 겔 타입, 액체 타입, 도자기 타입 등의 방향제, 소취제, 탈취제; 썬탠·자외선 차단 크림, 썬탠·자외선 차단 로션, 썬탠·자외선 차단 오일 등의 썬탠·자외선 차단 화장품; 네일 크림, 에나멜, 에나멜 제거액 등의 네일 화장품; 아이라이너 화장품; 립스틱, 립크림 등의 입술 화장품; 치약 등의 구강 화장품; 바스 솔트, 바스 오일, 버블 바스 등의 목욕용 화장품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향장품 원료 조성물에는, 성분 A 및 성분 B 내지 성분 E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한, 용도, 목적에 따라 각종 기재와 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고무 등의 천연 고무류, 사포닌 등의 글루코시드류,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리그닌술폰산염, 셸락 등의 천연 고분자, 폴리아크릴산염,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물의 염, 비닐나프탈렌-말레산 공중합물의 염, β-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나트륨염, 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고분자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비이온성 고분자 등의 분산제;
고급 지방산염(비누), 소수기부의 탄소수 8 내지 20의 고급 지방산의 염, N-아실아미노 산형 음이온 계면 활성제: 아실기로서는, 탄소수 8 내지 20의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구성 아미노산으로서는, 글루타민산이나 아스파르트산 등의 상기한 산성 아미노산류, 또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시스테인, 트립토판, 티로신, 페닐알라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옥시프롤린, β-아미노프로피온산, γ-아미노부티르산, 안트라닐산, m-아미노벤조산, p-아미노벤조산 등의 아미노산 등,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아미드에테르카르복실산염 등, 알킬황산에스테르염(AS),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 염(AES), 알킬에테르 황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의 황산염, 황산화 유지, 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페닐에테르 황산염, 알파-올레핀술폰산염(AOS),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SAS),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알파 술폰화 지방산염, 알칸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술폰산염, 알파 술폰화 지방산염, 고급 지방산아미드의 술폰산염, N-아실-N-알킬타우린염, N-아실-N-메틸타우린염, 알킬인산염, 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 포르말린 축합물 등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알킬베타인류, 알킬아미드베타인류, 알킬술포베타인류, 이미다졸리늄베타인류, 아세트산베타인류, 레시틴류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AE),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알킬글루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 등의 산화 에틸렌 축합형, 다가 알코올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당 아민아실화물, 트리에탄올아민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알킬아민옥사이드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제1 내지 제3급 지방산 아민염, 염화알킬암모늄염, 테트라알킬암모늄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알킬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알킬이소퀴놀륨염, 벤제토늄염, 벤잘코늄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알긴산나트륨, 전분 유도체, 트래거캔스 고무 등의 고분자 계면 활성제;
인지질, 레시틴, 라놀린, 콜레스테롤, 사포닌 등의 천연 계면 활성제;
아보카도유, 터틀유, 옥수수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카카오유, 참기름, 홍화유, 대두유, 동백유, 페르식유, 피마자유, 포도 종자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밍크유, 면실유, 목랍, 야자유, 난황유, 팜유, 팜핵유,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소맥 배아유, 산다화유, 아마씨유, 달맞이꽃유, 들깨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미당유, 시나길유, 일본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마유, 경화 야자유, 우지, 우각지, 양지, 경화 우지, 돈지, 우골지, 목랍 핵유, 경화유,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의 유지;
유동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이소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렌, 프리스탄,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
밀랍, 경랍, 라놀린,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면랍, 베이베리 왁스, 백랍,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 왁스,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알코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루콜,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라놀린 알코올에테르 및 그의 유도체 등의 왁스;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라놀린 지방산, 경질 라놀린 지방산, 연질 라놀린 지방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라우릴 알코올, 세탄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라놀린 알코올,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코올, 헥실 데칸올, 옥틸도데칸올 등의 고급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의 스테롤류;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트레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 오일,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파틴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틸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의 에스테르 오일;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에폭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알콕시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고분자 실리콘, 휘발성 실리콘, 환상 실리콘 등의 휘발성 및 불휘발성 실리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3-부탄디올, 프로판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N-메틸글리신, N,N-디메틸글리신, N,N,N-트리메틸글리신, N-에틸글리신, 글리실 베타인 등의 알킬글리신류, 소르비톨, 라피노오스,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류, 락트산염류, 히알루론산염류, 세라마이드류, 트레할로오스, 키실로비오스, 말토오스, 자당, 포도당, 식물성 점질 다당 등의 (다) 당류 및 그의 유도체, 수용성 키틴, 키토산, 펙틴, 콘드로이틴 황산 및 그의 염 등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 그의 염,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티로신, 발린, 류신, 아르기닌, 글루타민, 프롤린산 등의 아미노산 및 그의 염 등, 아미노카르보닐 반응물 등의 당아미노산 화합물, 알로에, 마로니에 등의 식물 추출액, 요소, 요산, 암모니아, 글루코사민, 크레아티닌, DNA, RNA 등의 핵산 관련 물질 등의 보습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에테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 전분,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염, 구아 검, 로커스트빈 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 검, 펙틴, 만난, 전분, 크산탄 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커드란, 히알루론산,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콜라겐, 메톡시에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양성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염화 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니트로셀룰로오스, 실리콘레진 등의 수용성 및 유용성 고분자;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양이온성 전분, 양이온화 구아 검 유도체, 디알릴 제4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4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4급화 비닐피롤리돈/비닐이미다졸폴리머, 폴리글리콜/아민 축합물, 4급화 콜라겐 폴리펩티드,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실리콘폴리머, 아디프산/디메틸아미노 히드록시프로필 디에틸렌트리아민 코폴리머, 폴리아미노폴리아미드, 양이온성 키틴 유도체, 4급화 폴리머 등의 양이온성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메틸글리코시드, 테트라데센술폰산염 등의 증점, 증포 성분;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오일 겔화제;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및 그의 염류, 히드록시 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 및 그의 염류, 인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글루콘산, 폴리인산염류, 메타인산염, 히노키티올류 등의 금속 이온 봉쇄제;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벤조산 및 그의 염류, 페녹시에탄올, 히노키티올, 살리실산 및 그의 염류, 소르브산 및 그의 염, 데히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파라클로로메타클레졸, 헥사클로로펜, 붕산, 레조르신, 트리브롬살란, 오르토페닐페놀, 티람, 감광소 201호, 할로카르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아세트산토코페롤, 징크 피리티온, 페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페놀, 헥사클로로펜, 클로르헥시딘, 염화벤제토늄, 염화벤잘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데카리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메틸벤제토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로일콜라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트리클로산, 비오졸 등의 방부·항균제;
시트르산, 말산, 아디프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pH 조정제;
그 밖에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살리실산, 징크피리티온, 이소프로필메틸 페놀 등의 비듬·가려움 방지제;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파라메톡시 신남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그 밖의 자외선 흡수제;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염(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외에, 암모늄염, 아미노산염 등), 아스코르브산 유도체(L-아스코르브산알킬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 및 그의 염, L-아스코르브산-2-황산에스테르 및 그의 염,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등), 알콕시살리실산 및 그의 염(알콕시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등), 하이드로퀴논 배당체 및 그의 유도체(알부틴 등), 코지산 및 그의 유도체, 엘라그산, 카밀레 엑기스, 알테아 엑기스, 감초 엑기스, 상백피 엑기스, 라즈베리 엑기스, 사과 플라보노이드, 밀기울 엑기스,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히노키티올, 태반 엑기스, 루시놀, 카모밀라 ET, 글루타티온, 정향나무 엑기스, 차 추출물, 아스타크산틴, 소 태반 엑기스, 트라넥삼산 및 그의 유도체, 레조르신의 유도체, 아줄렌, γ-히드록시부티르산 등의 미백제;
당약 엑기스, 세파란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감마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고추 틴크, 생강 틴크, 칸타리스 틴크, 니코틴산벤질 에스테르 등의 국소 자극제;
각종 비타민이나 아미노산 등의 영양제;
여성 호르몬제;
모근 부활제;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알란토인, 아줄렌, 아미노카프로산, 히드로코르티손 등의 항염증제;
산화아연, 황산아연, 아란토인히드록시알루니늄,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술포석탄산아연, 탄닌산, 시트르산, 락트산 등의 수렴제;
멘톨, 캄포 등의 청량제;
염산디펜히드라민, 말레산 클로르페니라민,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등의 항히스타민제;
토코페롤류, BHA, BHT, 갈산, NDGA 등의 산화 방지제;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등의 피지 억제제;
황, 살리실산, 레조르신 등의 각질 박리·용해제;
글리콜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등의 α-히드록시산;
살리실산 등의 β-히드록실산;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탄산칼슘,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타르계 색소 등, 마이카, (합성) 세리사이트, 탄화규소, 질화붕소, 이산화티타늄, 흑산화티타늄, 감청, 적산화철, 흑산화철, 황산화철, 군청, 티타늄 코티드 마이카, 옥시 염화비스무트, 벵갈라, 점결 안료, 군청 핑크, 군청 바이올렛, 수산화크롬, 운모티타늄, 산화크롬, 산화알루미늄 코발트, 카본블랙, 무수 규산, 규산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합성) 마이카, 산화지르코늄, (메트)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칼슘, 폴리에틸렌 분말, 나일론 분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말, 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산 공중합 분말, 염화 비닐리덴-메타크릴산 공중합 분말, 울 파우더, 실크 파우더, 결정 셀룰로오스, N-아실리신,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말, 식물의 열매나 껍질을 분말상으로 한 것, 옥시염화비스무트, 운모티타늄, 산화철 코팅 운모, 산화철 운모티타늄, 유기 안료 처리 운모티타늄, 알루미늄 파우더, 미립자 산화티타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티타늄 피복 운모티타늄, 미립자 산화아연 피복 운모티타늄, 황산바륨 피복 운모티타늄, 카르민, β-카로틴, 금속 비누, 클로로필, 선셋 옐로우 FCF, 폰 소어 SX, 에오신 YS, 테트라브로모플루오레세인, 로다민 B, 퀴놀린옐로우 SS, 퀴놀린옐로우 WS, 아리자닌시아닌그린, 퀴니자린그린, 리솔루빈 B, 리솔루빈 BCA, 파마톤레드, 헬린돈핑크 CN, 프탈로시아닌블루, β-아포-8-카로티날, 캅산틴, 릴로핀, 빅신, 크로신, 칸타크산틴, 시소닌, 라파닌, 니노시아닌, 카르타민, 사프롤옐로우, 루틴, 쿠엘세틴, 카카오 색소, 리보플라빈, 락카인산, 카르민산, 케르메스산, 알리자닌, 시코닌, 아르카닌, 니키노크롬, 혈색소, 커큐민, 베타닌 등의 화장품용 색재:
정제수, 그 밖에, 화극 엑기스, N-메틸-L-세린, 호에이, 니코틴산아미드, 디이소프로필아민디클로로아세트산, 메발론산, γ-아미노부티르산(γ-아미노-β-히드록시부티르산을 함유), 알테아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살구나무 핵 엑기스, 울금 엑기스, 우롱차 엑기스, 해수 건조물, 가수 분해 소맥 분말, 가수 분해 실크, 당근 엑기스, 오이 엑기스, 겐티아나 엑기스, 효모 엑기스, 쌀배아유, 컴프리 엑기스, 사포나리아 엑기스, 지황 엑기스, 자근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박하 엑기스, 당약 엑기스, 비사보롤, 프로폴리스, 수세미외 엑기스, 보리자나무 엑기스, 홉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무환자나무 엑기스, 멜리사 엑기스, 유칼리 엑기스, 바위치 엑기스, 로즈메리 엑기스, 로마 카밀레 엑기스, 로얄젤리 엑기스, 해초, 미강, 감초, 진피, 왜당귀, 도엽의 분쇄물, 스핀고 지질, 구아이아줄렌, 비타민 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종 값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하한값 또는 상한값으로 해도 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종의 값(수치 범위의 하한값 및 상한값을 함유)과 적절히 조합해서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종의 2개의 값을 적절히 조합해서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 해도 된다.
[제조예 1]
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1수화물 104g(0.56mol), 순수 265.2g, 3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9.6g(수산화나트륨으로서 0.56mol)의 혼합 용액에, 87질량% t-부탄올 수용액 93.2g을 첨가하고, 이 용액을 3℃로 유지하면서, 32%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12로 조정하면서 염화 라우로일 117.8g(0.54mol)을 교반하에 적하하였다.
다음으로 75% 황산을 적하해서 액의 pH값을 2로, 또한 액의 온도를 65℃로 조정하고, 1시간 정치해서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한 후,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이때의 유기층 중의 라우로일글루타민산을 주체로 하는 고형분/t-부탄올/물의 성분 중량비는 62/24/14였다.
[제조예 2]
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1수화물 104g(0.56mol), 순수 145.8g, 3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9.6g(수산화나트륨으로서 0.56mol)의 혼합 용액에, 아세톤 126g을 추가하고, 이 용액을 3℃로 유지하면서, 32%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12로 조정하면서 염화라우로일 117.8g(0.54mol)을 교반하에 적하하였다.
다음으로 75% 황산을 적하해서 액의 pH값을 2로, 또한 액의 온도를 50℃로 조정하고, 1시간 정치해서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한 후,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이때의 유기층 중의 라우로일글루타민산을 주체로 하는 고형분/아세톤/물의 성분 중량비는 55/30/15였다.
[제조예 3]
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1수화물 104g(0.56mol), 순수 265.2g, 3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9.6g(수산화나트륨으로서 0.56mol)의 혼합 용액에, 87질량% t-부탄올 수용액 93.2g을 추가하고, 이 용액을 3℃로 유지하면서, 32%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12로 조정하면서, 염화 미리스토일 26.6g(0.11mol)을 교반하에 적하하고, 계속해서 염화 라우로일 94.2g(0.43mol)을 교반하에, 적하하였다.
다음으로 75% 황산을 적하해서 액의 pH값을 2로, 또한 액의 온도를 65℃로 조정하고, 1시간 정치해서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한 후,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이때의 유기층 중의 아실글루타민산(라우로일글루타민산과 미리스토일글루타민산)을 주체로 하는 고형분/t-부탄올/물의 성분 중량비는 62/27/11이었다.
<HPLC 분석법>
하기의 성분 B를 포함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성분 A, 성분 B는, 하기의 HPLC를 사용한 분석에 의해 얻어진 피크 에어리어 면적으로부터 측정을 하였다.
검출기: UV 검출기(205㎚)
측정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주)시마즈 세이사쿠쇼의 SPD-10Avp, SPD-10AVvp, SPD-20A 및 SPD-20AV 등이 사용 가능하다.
분리관: 내경 6㎜, 길이 150㎜의 스테인리스관에 입경 5㎛, 구멍 직경 12㎚의 실리카겔에 옥타데실실릴기를 수식한 것을 충전하였다.
분리관 온도: 60℃ 부근의 일정 온도
이동상: 메탄올/물/인산=2000/400/0.31
유량: 매분 0.8mL 부근의 일정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HPLC를 사용한 분석에 의해 얻어진 성분 A, 성분 B 등의 검출되는 물질 각각의 피크 에어리어 면적으로부터, 성분비를 산출하였다. 총 성분비 100%로부터, 우선은 얻어진 건조 감량을 차감하고, 그 차감한 값을, HPLC 분석으로 얻어진 피크 면적비로 배분하였다. 별도, 성분 B 비율(%)을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하기 표 중의 「성분 B 비율(%)」에 해당한다.
성분 B 비율(%)=[성분 B의 피크 에어리어 면적/성분 A의 피크 에어리어 면적]×100
상기와 같이 UV 검출을 사용하면, 아실 PCA(성분 B)의 피크 감도가 다른 물질보다 높다는 점에서, 성분 B(%) 비율에 있어서도, 높은 측정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등의 고형분/t-부탄올/물의 성분 중량비가 62/24/14인 유기층 100g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액온이 90℃에 도달할 때까지 상압에서 승온시켰다. 그 후 서서히 감압하면서 승온시켜서, 과도하게 발포하지 않도록 감압도를 천천히 높여 가고, 도달 감압도 20kPa에 있어서, 도달 온도 105℃를 20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서서히 상압으로 되돌리고, 가마 내의 용융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냉장고에 하룻밤 두고, 쥬서 믹서로 돌려서 분쇄한 결과, 56.6g의 고형물이 얻어졌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25%로,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94.9%, 라우로일 PCA 3.7%, 라우르산 0.44%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당해 고형물 54.0g을, 무수 아세트산 36.4g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무수 아세트산 18.2g을 더 첨가하고, 그대로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여과 분별함으로써,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무수물을 주체로 하는 조 결정을 얻었다. 이 결정을, 에테르 8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15ml로 세정·건조시켜서 고형물을 34.0g 취득하였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24%이고,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무수물 95.2%, 라우로일 PCA 2.3%, 라우로일글루타민산 2.2%이며,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라이신염산염 9.1g(0.05mol)을 물 57g과 혼합하였다. 이 액을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범위를 10 내지 11로 조정하면서, 또한 반응 온도를 5℃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에, 전술에서 세정·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 31.1g을 2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반응을 실시하였다. 또한 30분 교반을 계속한 후, tert-부탄올을 액중 농도 20질량%로 되도록 첨가한 후, 75% 황산을 적하해서 액의 pH값을 2로, 또한 액의 온도를 65℃로 조정하였다. 적하 종료 후, 교반을 정지하고, 20분간 65℃로 정치하면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하고, 이로부터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미반응의 리신은 수층에 거의 회수된다. 얻어진 유기층에 대하여, 동일한 수세 조작을 반복한 후, 얻어진 유기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산화나트륨으로 고형분 30질량%, pH 7(25℃)의 수용액이 되도록 중화 조제하였다. 또한 물을 첨가하면서, 감압 증류하고, tert-부탄올을 액중 농도 10질량ppm 이하가 될 때까지 감압 증류를, 감압도 13 내지 22kPa, 액온 45 내지 60℃로 계속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것은, 식 (A)로 나타내는 아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체로 하는 pH 7(25℃)의 32중량% 수용액으로, 성분 A는 96.9%, 성분 B의 아실 PCA는 0.031%, 라우로일글루타민산은 2.98%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전술한 HPLC 분석법에 의한 아실 PCA(%) 비율은 0.032%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등의 고형분/t-부탄올/물의 성분 중량비가 62/24/14의 유기층 100g을, 동결 건조하였다.
예비 동결로서, 선반 순환 온도를 -60℃로 설정하고, 시료 온도가 -40℃에 도달한 후 2시간 냉각시켰다. 선반 순환 온도를 -40℃로 설정하고, 2시간 건조 후, -10℃로 설정하고, 거의 5Pa로 건조시켰다. 그 후 설정 온도를, 0℃, 10℃, 30℃로 높였다.
품온 27.5℃, 도달 진공도 1Pa 이하를 확인 후, 건조 질소에서 진공 해제하였다. 이상의 건조 공정의 소요 시간은 40시간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은, 플레이트형이며, 이것을 쥬서 믹서로 돌려서 분쇄하고, 57.1g의 고형물이 얻어졌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1.2%이고,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98.1%, 라우로일 PCA는 검출되지 않고, 라우르산은 0.40%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당해 고형물 54.0g을, 무수 아세트산 36.4g에 50℃에서 용해시켜, 무수 아세트산 18.2g을 더 첨가하고, 그대로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여과 분별함으로써,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무수물의 조 결정을 얻었다. 이 결정을, 에테르 8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15ml로 세정·건조시켜서 고형물을 34.3g 취득하였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1.2%이며, HPLC 분석한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무수물 96.6%, 라우로일글루타민산 2.1%이고, 라우로일 PCA 및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라이신염산염 9.1g(0.05mol)을 물 57g과 혼합하고, 이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성분 A의 제작을 계속하고, 결과적으로, 성분 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체로 하는 pH 7(25℃)의 32중량% 수용액을 얻었다. 이때, 성분 A는 97.1%, 라우로일글루타민산은 2.62%였다. 라우로일 PCA 및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고, 그 밖에도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HPLC 분석법에 의한 아실 PCA(%) 비율은 0%였다.
[실시예 2]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등의 고형분/아세톤/물의 성분 중량비가 55/30/15의 유기층 115.0g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액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 상압에서 승온시킨다. 그 후 서서히 감압하면서 승온시켜서, 과도하게 발포하지 않도록 감압도를 천천히 높여 가고, 도달 감압도가 20kPa로, 도달 온도 105℃에 도달시켰다. 도달 감압도가 20kPa로, 도달 온도 105℃를 80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서서히 상압으로 되돌리고, 가마 내의 용융물을 회수하였다. 농축 개시 후로부터 완료까지 10시간을 소요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냉장고에 하룻밤 두고, 쥬서 믹서로 돌려서 분쇄한 결과, 58.9g의 고형물이 얻어졌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21%이며,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83.5%, 라우로일 PCA 15.6%, 라우르산 0.14%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당해 고형물 54.0g을, 무수 아세트산 36.4g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무수 아세트산 18.2g을 더 첨가하여, 그대로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여과 분별함으로써,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무수물의 조 결정을 얻었다. 이 결정을, 에테르 8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15ml로 세정·건조시켜서 고형물을 34.2g 취득하였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21%이며,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무수물 83.7%, 라우로일글루타민산 1.9%, 라우로일 PCA 13.4%,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라이신염산염 9.1g(0.05mol)을 물 57g과 혼합하고, 이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성분 A의 제작을 계속하고, 결과적으로, 성분 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체로 하는 pH 7(25℃)의 32중량% 수용액을 얻었다. 이때, 성분 A는 95.3%, 성분 B의 아실 PCA는 1.27%, 라우로일글루타민산은 3.33%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전술한 HPLC 분석법에 의한 아실 PCA(%) 비율은 1.33%였다.
[비교예 2]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등의 고형분/아세톤/물의 성분 중량비가 55/30/15의 유기층 115.0g을, 동결 건조하였다.
예비 동결로서, 선반 순환 온도를 -60℃로 설정하고, 시료 온도가 -40℃에 도달한 후 2시간 냉각시켰다. 선반 순환 온도를 -40℃로 설정하고, 2시간 건조 후, -10℃로 설정하고, 거의 12Pa로 건조시켰다. 그 후 설정 온도를, 0℃, 15℃, 30℃로 높였다.
품온 27.5℃, 도달 진공도 1Pa 이하를 확인 후, 건조 질소로 진공 해제하였다. 이상의 건조 공정의 소요 시간은 70시간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은, 플레이트형이며, 이것을 쥬서 믹서로 돌려서 분쇄하고, 59.5g의 고형물이 얻어졌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51%이며,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98.9%, 라우로일 PCA와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당해 고형물 54.0g을, 무수 아세트산 36.4g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무수 아세트산 18.2g을 더 첨가하고, 그대로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여과 분별함으로써,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무수물의 조 결정을 얻었다. 이 결정을, 에테르 8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15ml로 세정·건조시켜서 고형물을 34.2g 취득하였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1.2%이며,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무수물 96.0%, 라우로일글루타민산 2.4%, 라우로일 PCA와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라이신염산염 9.1g(0.05mol)을 물 57g과 혼합하고, 이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성분 A의 제작을 계속하고, 결과적으로, 성분 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체로 하는 pH 7(25℃)의 32중량% 수용액을 얻었다. 이때, 성분 A는 96.3%, 라우로일글루타민산은 3.30%였다. 라우로일 PCA 및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고, 그 밖에도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HPLC 분석법에 의한 아실 PCA(%) 비율은 0%였다.
[실시예 3]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아실글루타민산 등의 고형분/t-부탄올/물의 성분 중량비가 62/27/11의 유기층 100.0g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액온이 70℃에 도달할 때까지 상압에서 승온시킨다. 그 후 서서히 감압하면서 승온시켜서, 과도하게 발포하지 않도록 감압도를 천천히 높여 가고, 도달 감압도가 20kPa에서, 도달 온도 115℃에 도달시키고, 이것을 20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서서히 상압으로 되돌리고, 가마 내의 용융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냉장고에 하룻밤 두고, 쥬서 믹서로 돌려서 분쇄한 결과, 55.5g의 고형물이 얻어졌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14%이며, HPLC 분석의 결과, 아실글루타민산 90.9%, 아실 PCA 7.7%, 유리지방산(라우르산과 미리스트산 총계)은 0.74%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당해 고형물 54.0g을, 무수 아세트산 36.4g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무수 아세트산 18.2g을 더 첨가하고, 그대로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여과 분별함으로써, N-아실-L-글루타민산 무수물의 조 결정을 얻었다. 이 결정을, 에테르 8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15ml로 세정·건조시켜서 고형물을 33.7g 취득하였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20%이며, HPLC 분석의 결과, 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 91.6%, 아실글루타민산 1.7%, 아실 PCA 6.1%, 유리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라이신염산염 9.1g(0.05mol)을 물 57g과 혼합하고, 이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성분 A의 제작을 계속하고, 결과적으로, 성분 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체로 하는 pH 7(25℃)의 32중량% 수용액을 얻었다. 이때, 성분 A는 96.2%, 성분 B의 아실 PCA는 0.293%, 아실글루타민산은 2.61%였다. 유리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전술한 HPLC 분석법에 의한 아실 PCA(%) 비율은 0.312%였다.
[비교예 3]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아실글루타민산 등의 고형분/t-부탄올/물의 성분 중량비가 62/27/11의 유기층 100g을, 동결 건조하였다.
예비 동결로서, 선반 순환 온도를 -60℃로 설정하고, 시료 온도가 -40℃에 도달한 후 2시간 냉각시켰다. 선반 순환 온도를 -40℃로 설정하고, 2시간 건조 후, -10℃로 설정하고, 거의 5Pa로 건조시켰다. 그 후 설정 온도를, 0℃, 20℃, 30℃로 높였다.
품온 27.5℃, 도달 진공도 1Pa 이하를 확인 후, 건조 질소에서 진공 해제하였다. 이상의 건조 공정의 소요 시간은 55시간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은 플레이트형이며, 이것을 쥬서 믹서로 돌려서 분쇄하고, 57.2g의 고형물이 얻어졌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61%이고, HPLC 분석의 결과, 아실글루타민산 98.6%, 아실 PCA는 검출되지 않고, 유리지방산은 0.54%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당해 고형물 54.0g을, 무수 아세트산 36.4g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무수 아세트산 18.2g을 더 첨가하고, 그대로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여과 분별함으로써, N-아실-L-글루타민산 무수물의 조 결정을 얻었다. 이 결정을, 에테르 8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15ml로 세정·건조시켜서 고형물을 32.8g 취득하였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1.5%이며, HPLC 분석한 결과, 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 96.0%, 아실글루타민산 2.1%로, 아실 PCA 및 유리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라이신염산염 9.1g(0.05mol)을 물 57g과 혼합하고, 이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성분 A의 제작을 계속하고, 결과적으로, 성분 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체로 하는 pH 7(25℃)의 32중량% 수용액을 얻었다. 이때, 성분 A는 96.6%, 아실글루타민산은 3.15%였다. 아실 PCA 및 유리지방산은 검출되지 않고, 그 밖에도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HPLC 분석법에 의한 아실 PCA(%) 비율은 0%였다.
[실시예 4]
제조예 1과 동등한 조작을 별도 다시 실시하여,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등의 고형분/t-부탄올/물의 성분 중량비가 64/25/11인 유기층을 얻었다. 이 유기층 125g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액온이 90℃에 도달할 때까지 상압에서 승온시켰다. 그 후 서서히 감압하면서 승온시켜, 과도하게 발포하지 않도록 감압도를 천천히 높여 가고, 도달 감압도 40kPa에 있어서, 도달 온도 105℃를 120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서서히 상압으로 되돌리고, 가마 내의 용융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냉장고에 하룻밤 두고, 쥬서 믹서로 돌려서 분쇄한 결과, 70.6g의 고형물이 얻어졌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20%로,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80.7%, 라우로일 PCA 14.1%, 라우르산 4.7%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당해 고형물 54.0g을, 무수 아세트산 36.4g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무수 아세트산 18.2g을 더 첨가하고, 그대로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여과 분별함으로써,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무수물을 주체로 하는 조 결정을 얻었다. 이 결정을, 에테르 80ml, 또한 다시 에테르 80ml로 세정·건조시켜서 고형물을 32.7g 취득하였다. 이 고형물의 건조 감량은 0.19%로, HPLC 분석의 결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무수물 84.5%, 라우로일 PCA 13.0%, 라우로일글루타민산 1.9%로, 라우르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라이신염산염 9.1g(0.05mol)을 물 57g과 혼합하였다. 이 액을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pH 범위를 10 내지 11로 조정하면서, 또한 반응 온도를 5℃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에, 전술로 세정·건조시켜서 얻어진 고형물 32.7g을 2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반응을 실시하였다. 또한 30분 교반을 계속한 후, tert-부탄올을 액중 농도 20질량%로 되도록 첨가한 후, 75% 황산을 적하해서 액의 pH값을 2로, 또한 액의 온도를 65℃로 조정하였다. 적하 종료 후, 교반을 정지하고, 20분간 65℃에서 정치하면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하고, 이로부터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미반응의 리신은 수층에 거의 회수된다. 얻어진 유기층에 대하여, 동일한 수세 조작을 반복한 후, 얻어진 유기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고형분 30질량%, pH 7(25℃)의 수용액이 되도록 중화 조제하였다. 또한 물을 첨가하면서, 감압 증류하고, tert-부탄올을 액중 농도 10질량ppm 이하가 될 때까지 감압 증류를, 감압도 13 내지 22kPa, 액온 45 내지 60℃에서 계속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것은, 식 (A)로 나타내는 아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체로 하는 pH 7(25℃)의 32중량% 수용액으로, 성분 A는 91.2%, 성분 B의 아실 PCA는 6.25%, 라우로일글루타민산은 2.32%였다. 이 밖에 현저한 불순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전술한 HPLC 분석법에 의한 아실 PCA(%) 비율은, 6.85%였다.
<HPLC 분석법 및 고형분 측정법>
성분 A에 대한 성분 C 및 성분 D의 비율을 산출할 때는, 하기의 HPLC를 사용한 분석에 의해 얻어진 피크 에어리어 면적으로부터 순도를 산출하였다.
검출기: RI 검출기
분리관: 내경 6㎜, 길이 150㎜의 스테인리스관에, 입경 5㎛, 구멍 직경 12㎚의 실리카겔에 옥타데실실릴기를 수식한 것을 충전하였다.
분리관 온도: 60℃ 부근의 일정 온도
이동상: 메탄올/물/인산=2000/400/0.31
유량: 매분 0.8mL
계속해서, 성분 C/성분 A+C, 성분 D/성분 A+D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고, 하기 표 중의 「성분 C 질량(%)」,「성분 D 질량(%)」에 해당한다.
성분 C/성분 A+C=
[성분 C의 순분(g)/성분 A순분(g)+성분 C순분(g)]×100 (%)
성분 D/성분 A+D=
[성분 D의 순분(g)/성분 A순분(g)+성분 D순분(g)]×100 (%)
<고순도의 성분 A의 제작>
아사히 카세이 파인캠(주)제 페리세아 L-30의 동결 건조물(수분 2.0%), 혹은 실시예 1에서 산 클로라이드를 변경하여 제조한 그 동결 건조물을 원료로 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시하였다. 상기 동결 건조물과 증류수와 tert-부탄올을 중량비 45/33/22로 60℃에서 교반한다. 60℃ 도달 후, 황산을 천천히 첨가하고, 65℃에서 pH2가 될 때까지 황산 첨가를 계속하고, 30분 후에 교반을 정지하여, 정치한다. 30분 정치 후, 분층한 하층(수층)을 제외하였다. 층(수층)을 칭량하고, 동 중량의 20중량% tert-부탄올 수용액(tert-부탄올/증류수의 중량비가 2/8)을 상층에 첨가하고, 60℃에서 교반한다. 30분 후에 교반을 멈추고, 30분간 정치한다. 하층을 또한 제거한다. 전술한 하층과 동 중량의 20중량% tert-부탄올 수용액을 주입하고 나서, 교반, 정치, 하층을 제거한 공정(수세 탈염 공정)을, 2회, 계 3회 더 반복하였다. 수세 탈염 공정을 종료한 유기층을 동결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물을 실온에서 에테르 10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50ml로 세정·건조시켰다. 이것을 다시 실시하고, 성분 A를 얻었다. 이것을 전술한 HPLC로 분석하였지만, 피크 비율 0.1% 이상의 타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고순도의 성분 B의 제작>
질소 분위기 10℃의 조건하에서, 피로 글루타민산 90mmol, 트리에틸아민180mmol, 아세토니트릴 150mL를 플라스크 내에서 교반 혼합하였다. 이어서, 아세토니트릴 60mL에 각종 산 클로라이드 90mmol을 첨가한 용액을 첨가 후, 빙욕으로부터 취출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유리 필터로 여과한 후, 감압하에서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물 150 mL과 1M 염산 120 mL를 첨가한 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 100mL로 4회 추출하였다. 병합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헵탄/아세트산에틸=5:4(90mL)로 재결정하고, 아실피로글루타민산을 순도 95% 이상으로 얻었다.
<고순도의 성분 C의 제작>
아사히 카세이 파인캠(주)제 아미노서팩트 ALMS-P1, 혹은 산 클로라이드를 변경하여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조성물에 수세 조작을 2번 반복한 후, 얻어진 유기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고형분 30질량%, pH 7(25℃)의 수용액이 되도록 중화 조제 건조시킨 조성물을 원료로 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시하였다. 상기 제품과 증류수와 tert-부탄올을 중량비 45/33/22로 60℃에서 교반한다. 60℃ 도달 후, 황산을 천천히 첨가하고, 65℃에서 pH2가 될 때까지 황산 첨가를 계속하고, 30분 후에 교반을 정지하여, 정치한다. 30분 정치 후, 분층한 하층(수층)을 제외하였다. 하층(수층)을 칭량하고, 동 중량의 20중량% tert-부탄올 수용액(tert-부탄올/증류수의 중량비가 2/8)을 상층에 첨가하고, 60℃에서 교반한다. 30분 후에 교반을 멈추고, 30분간 정치한다. 하층을 또한 제거한다. 전술한 하층과 동 중량의 20중량% tert-부탄올 수용액을 주입하고 나서, 교반, 정치, 하층을 제거한 공정(수세 탈염 공정)을, 추가로 2회, 계 3회 반복하였다. 수세 탈염 공정을 종료한 유기층을 동결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물을 실온에서 에테르 120ml, 이어서 석유 에테르 60ml로 세정·건조시켰다. 이것을 다시 실시하고, 성분 C를 얻었다. 이것을 전술한 HPLC로 분석하였지만, 피크 비율 0.1% 이상의 타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고순도의 성분 D의 입수>
도쿄 가세이 고교(주)로부터, 카프릴산(O0027), 라우르산(L0011), 미리스트산(M0476), 팔미트산(P1145), 스테아르산(S0163), 베헨산(B1248)을 입수하였다.
<고순도의 성분 E의 입수>
후지 필름 와코준야쿠(주)로부터, 카프릴산아미드(O237203), 라우르산아미드(516472), 미리스트산아미드(B22610), 팔미트산아미드(QE-1627), 스테아르산아미드(192-04015), 베헨산아미드(B131150)를 입수하였다.
<LC-MS 분석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성분 E는, 하기의 LC-MS를 사용한 분석에 의해 순도를 확인하였다.
(LC-MS 장치)
분리관: 내경 2㎜, 길이 30㎜의 스테인리스관에, 입경 3㎛의 입자에 페닐기를 수식한 것을 충전하였다.
분리관 온도: 40℃ 부근의 일정 온도
이동상: 10mM 아세트산 암모늄 수용액 및 아세토니트릴의 구배 용출법
유량: 매분 0.3mL 부근의 일정량
측정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주)시마즈 세이사쿠쇼의 LCMS-9030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온화: ESI+
스캔 레인지: m/z50 내지 1200
M+H: 200.203
<HPLC 분석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성분 E와 성분 A의 비율을 산출할 때는, 하기의 HPLC를 사용한 분석에 의해 순도를 확인하였다.
검출기: UV 검출기(205㎚)
측정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주)시마즈세이사쿠쇼의 SPD-10Avp, SPD-10AVvp, SPD-20A 및 SPD-20AV 등이 사용 가능하다.
분리관: 내경 6㎜, 길이 150㎜의 스테인리스관에, 입경 5㎛, 구멍 직경 12㎚의 실리카겔에 옥타데실실릴기를 수식한 것을 충전하였다.
분리관 온도: 60℃ 부근의 일정 온도
이동상: 메탄올/물/인산=2000/400/0.31
유량: 매분 0.8mL 부근의 일정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분 E/성분 A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고, 하기 표 중의 「성분 E 질량(%)」에 해당한다.
성분 E/성분 A=[성분 E의 순분(g)/성분 A의 순분(g)]×100(%)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코카미도 MEA는 가와켄 파인 케미컬(주)의 아미졸 CME, 라우라미드 MEA는 가와켄 파인 케미컬(주)의 아미졸 LME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7, 30, 33, 36, 42, 45, 48,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은 실시예 1의 32% 수용액과, 실시예 28, 31, 34, 37, 43, 46, 49, 52, 55, 58, 61, 64, 67, 70, 73, 76, 79, 82, 85, 88은 실시예 2의 32% 수용액과, 실시예 29, 32, 35, 38, 44, 47, 50, 53, 56, 59, 62, 65, 68, 71, 74, 77, 80, 83, 86, 89는 실시예 4의 32% 수용액과, 상기 고순도 성분 A, 성분 C, 성분 D, 성분 E를 혼합하고, 표에 기재된 카운터 염·pH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그 밖의 실시예·비교예는, 고순도의 성분 A, 성분 C 내지 성분 E를, 정확하게 칭량하고, 얻어진 고체 분말을 카운터 염으로 될 수 있는 수산화나트륨 혹은 수산화칼륨 혹은 트리에탄올아민 혹은 아르기닌을, 계산량 혼합하여, pH와 고형분을 조정한 수용액을 제작하였다. 이들 수용액을 최종적으로 지정된 pH와 고형분 32%로 조정하였다. 비교예 7 내지 9,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은, 성분 A를 동량의 폴리소르베이트 60으로 치환하고, 성분 B 내지 성분 E의 비율은 폴리소르베이트 60이 성분 A였던 경우의 비율로서 기재하였다. 실시예 9에는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Na를 1%, 실시예 10에는 미리스트산 3%, 팔미트산 2%를 정제수와 치환해서 추가하였다.
<유화 안정성 확인 시험 1>
하기의 조성을 제작하였다.
조성 wt%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32% 수용액 0.09
·오일(팔미트산에틸헥실, 올리브 오일
미네랄 오일, 시클로메티콘, 디메티콘) 20.0
·카보머(카보폴 981) 0.2
·30wt/v% NaOH 수용액 0.28
·정제수 79.43
상기 조성은, 하기 1. 내지 4.의 제작순에 따른다.
1. 카보머를 정제수에 용해시킨다.
2. 카보머 수용액을 KOH 혹은 트리에탄올아민 혹은 아르기닌 혹은 NaOH 수용액에서 지정된 pH로 조정한다.
3.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32% 수용액과, 각각의 오일을 첨가한다.
4. 실온으로 5분간, 호모믹서(6000rpm)를 사용하여 유화한다.
상기 조성을, 55℃ 보존해서 2개월 후, 2.5개월 후, 3.0개월 후에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
5: 액심의 전부에 걸쳐 유화하고 있다
4: 액심의 90% 이상이 유화하고 있다
3: 액심의 80% 이상이 유화하고 있다
2: 액심의 70% 이상이 유화하고 있다
1: 유화하고 있는 액심이 70%에 미치지 않는다
<유화 안정성 확인 시험 2>
하기의 조성을 제작하였다.
조성 wt%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32% 수용액 0.09
·미네랄 오일(5, 8 내지 8.9㎟/s) 16.0
·고형 오일(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4.0
·카보머(카보폴 981) 0.2
·30wt/v% NaOH 수용액 0.28
·정제수 79.43
상기 조성은, 하기 1. 내지 4.의 제작순에 따른다.
1. 카보머를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카보머 수용액을 KOH 혹은 트리에탄올아민 혹은 아르기닌 혹은 NaOH 수용액에서 지정된 pH로 조정한다.
2.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32% 수용액과 정제수를 첨가해서 수상으로 한다. 이것을 70℃까지 가온한다.
3. 미네랄 오일과 고형 오일을 유상으로 하여, 70℃까지 가온한다.
4. 수상과 유상을 혼합하고, 호모믹서 3000rpm으로 80℃까지 교반 승온한다.
5. 호모믹서 6000rpm으로 5분간 유화를 실시한다.
6. 호모믹서 3000rpm으로 25℃까지 교반, 냉각시킨다.
7. 탈기를 행한다.
상기 조성을, 55℃ 보존해서 2개월간, 2.5개월, 3.0개월 정치하고, 눈으로 보아 유화성을 확인하였다.
5: 액심의 전부에 걸쳐 유화하고 있다.
4: 액심의 90% 이상이 유화하고 있다.
3: 액심의 80% 이상이 유화하고 있다.
2: 액심의 70% 이상이 유화하고 있다.
1: 유화하고 있는 액심이 70%에 미치지 않는 액심
<분산성 안정성 확인 시험>
실시예, 비교예 각각의 고형분 0.0075% 수용액에, 1% 농도로 되도록 산화티타늄을 첨가하여, 지정된 pH가 되도록 KOH 혹은 트리에탄올아민 혹은 아르기닌 혹은 NaOH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그 후, 초음파 처리를 30초간 실시하고, 호모게나이즈(10000rpm, 2분) 후, 50℃에서 정치했을 때의 상청액 흡광도(파장 300㎚)를 측정하고, 수중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어느 흡광도 초깃값도 1.8 부근이며, 200시간 후, 224시간 후 248시간 후의 흡광도 측정으로 하기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
5: 흡광도가 1.7 이상이다
4: 흡광도가 1.5 이상이고 1.7 미만
3: 흡광도가 1.3 이상이고 1.5 미만
2: 흡광도가 1.0 이상이고 1.3 미만
1: 흡광도가 1.0 미만
<사용감 평가>
유화 안정성 확인 시험 1에서 조제한 디메티콘의 처방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관능 평가를 행하고, 평균값을 평가점으로 하였다.
(평가 항목: 한창 융화되고 있는 중의 윤기성)
상당히 윤기성이 있음 5
윤기성이 있음 4
약간 윤기성이 있음 3
거의 윤기성이 없음 2
윤기성이 없음 1
(평가 항목: 융화되게 한 후의 끈적거림의 정도)
끈적거림이 없음 5
거의 끈적거리지 않음 4
약간 끈적거림 3
끈적거림 2
매우 끈적거림 1
(평가 항목: 도포 시의 농후감)
상당히 농후감이 있음 5
농후감이 있음 4
약간 농후감이 있음 3
거의 농후감이 없음 2
농후감이 없음 1
(평가 항목: 한창 융화되고 있는 중의 펴짐의 양호성)
상당히 펴짐이 양호함 5
펴짐이 양호함 4
약간 펴짐이 양호함 3
그다지 펴짐이 양호하지 않음 2
펴짐이 양호하지 않음 1
(평가 항목: 융화되게 한 후의 매끄러움)
상당히 매끄러움이 있음 5
매끄러움이 있음 4
약간 매끄러움이 있음 3
그다지 매끄러움이 없음 2
매끄러움이 없음 1
상술한 유화 안정성 확인 시험 1, 유화 안정성 확인 시험 2, 분산성 안정성 확인 시험 및 사용감 평가의 4개의 시험·평가를, 각각 실시예, 비교예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표 중의 「성분 B 비율(%)」은 성분 A에 대한 것, 「성분 C 질량(%)」은 성분 A와 성분 C의 합계에 대한 것, 「성분 D 질량(%)」은 성분 A와 성분 D의 합계에 대한 것, 「성분 E 질량(%)」은 성분 A에 대한 것이다.
[표 1-1]
Figure pct00011
[표 1-2]
Figure pct00012
[표 2-1]
Figure pct00013
[표 2-2]
Figure pct00014
[표 3-1]
Figure pct00015
[표 3-2]
Figure pct00016
[표 3-3]
Figure pct00017
[표 4-1]
Figure pct00018
[표 4-2]
Figure pct00019
[표 5-1]
Figure pct00020
[표 5-2]
Figure pct00021
[표 5-3]
Figure pct00022
실시예의 조성물은, 적어도, 성분 A 및 B, 성분 A, C 및 D, 또는 성분 A 및 E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화 안정성, 분산 안정성 및 사용감 평가가, 모두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는, 발명에 해당되지 않는 조성물이기 때문에, 유화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 중 어느 것이나 실시예의 것과 비교해서 떨어져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향장품 원료 조성물에 의하면, 초기의 유화 성능이나 분산 성능은 물론, 유화 안정성 및 분산성이 장기간 양호한 등, 우수한 향장품 처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1.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 하기 성분 C, 하기 성분 D 및 하기 성분 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단, 상기 성분 C만, 또는 상기 성분 D만은 제외함)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성분 A: 하기 일반식 (A)로 표시되는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23

    (식 (A)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1,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이며,
    n1 및 n2는, 0 및 2이거나, 또는 2 및 0이며,
    n3 및 n4는, 0 및 2이거나, 또는 2 및 0임)
    ·성분 B: 하기 일반식 (B)로 표시되는 N-아실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24

    (식 (B) 중,
    R3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4는,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임)
    ·성분 C: 하기 일반식 (C)로 표시되는 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25

    (식 (C) 중,
    R4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5 및 M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임)
    ·성분 D: 하기 일반식 (D)로 표시되는 지방산 또는 그의 염
    Figure pct00026

    (식 (D) 중,
    R5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이며,
    M7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혹은 무기 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콜린, 알루미늄, 또는 아연임)
    ·성분 E: 하기 일반식 (E)로 표시되는 지방산아미드
    Figure pct00027

    (식 (E) 중,
    R6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B를 함유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E를 함유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B와, 상기 성분 E를 함유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A) 내지 (E)에 있어서의 R1 내지 R6이,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 1 내지 29의 탄화수소기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A) 내지 (D)에 있어서의 M1 내지 M7이, 각각 독립적으로, Na, K, 트리에탄올아민, Mg, Ca, Al, Zn, 아르기닌, 또는 H인, 조성물.
  7.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상기 성분 A에 대한 비율이 0.004% 이상인, 조성물.
  8.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의 양이,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C의 합계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8질량% 이상이며,
    상기 성분 D의 양이,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D의 합계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6질량% 이상인, 조성물.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E의 양이, 상기 성분 A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5질량% 이상인, 조성물.
  10.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 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 중에서, 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과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고, 상기 반응액을 산으로 pH 1 내지 6으로 하고, 25 내지 80℃의 온도에 있어서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하는 공정;
    2) 상기 유기층을 산성하에서 농축 건조시키고,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의 일부를 N-아실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으로 변환하는 공정;
    3)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의 염과 산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N-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을 얻는 공정; 및
    4) 상기 N-아실글루타민산 무수물과 리신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켜서, 아실기 함유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얻는 공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2)에 있어서, 상기 유기상을, 건조 감량이 10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농축 건조시키는, 제조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2)에 있어서의 농축 건조를 감압하에서, 50℃ 이상에서 실시하는,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장품 원료 조성물인,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향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료.
  16. 제15항에 있어서,
    pH 4 이상인, 화장료.
KR1020237014158A 2020-11-02 2021-10-28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KR20230072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3653 2020-11-02
JPJP-P-2020-183653 2020-11-02
JP2021005540 2021-01-18
JPJP-P-2021-005540 2021-01-18
JPJP-P-2021-042818 2021-03-16
JP2021042818 2021-03-16
PCT/JP2021/039903 WO2022092232A1 (ja) 2020-11-02 2021-10-28 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04A true KR20230072504A (ko) 2023-05-24

Family

ID=8138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158A KR20230072504A (ko) 2020-11-02 2021-10-28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4481A1 (ko)
EP (1) EP4239037A1 (ko)
JP (1) JPWO2022092232A1 (ko)
KR (1) KR20230072504A (ko)
TW (1) TWI809547B (ko)
WO (1) WO202209223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686A (ja) 2004-12-09 2006-06-22 Asahi Kasei Chemicals Corp 防腐効果の高い化粧料
JP4070768B2 (ja) 2002-08-27 2008-04-0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新規アシル基含有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964A (ja) * 2008-10-30 2010-05-13 Aderans Co Ltd パーマネント及びヘアカラー用後処理剤
JP2011039229A (ja) * 2009-08-10 2011-02-24 Fuji Xerox Co Ltd 静電荷像現像用結着樹脂、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FR2953716B1 (fr) * 2009-12-16 2015-03-27 Oreal Kit de formulation d'un produit cosmetique
WO2016098748A1 (ja) *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6881006B2 (ja) * 2016-09-09 2021-06-02 文稔 大城 化粧料
JP2019099536A (ja) * 2017-12-07 2019-06-24 正子 登坂 外用組成物、皮膚外用剤、および、毛髪育養キット
JP7162544B2 (ja) * 2019-01-29 2022-10-28 株式会社 資生堂 白濁化粧料
JP2020125374A (ja) * 2019-02-01 2020-08-20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乳化組成物および複合体
JP7292920B2 (ja) * 2019-03-29 2023-06-19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768B2 (ja) 2002-08-27 2008-04-0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新規アシル基含有組成物
JP2006160686A (ja) 2004-12-09 2006-06-22 Asahi Kasei Chemicals Corp 防腐効果の高い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9037A1 (en) 2023-09-06
WO2022092232A1 (ja) 2022-05-05
JPWO2022092232A1 (ko) 2022-05-05
US20230414481A1 (en) 2023-12-28
TWI809547B (zh) 2023-07-21
TW202228640A (zh)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916B1 (ko) 화장료의 제조방법, 화장료용 겔의 조제방법 및 화장료 원료에 배합되는 고분자 증점제의 사용량을 경감하는 방법
JP4815164B2 (ja) 保湿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5113371B2 (ja) シロキクラゲ由来水溶性多糖類の加水分解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酸化剤並びに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食品
JP6857359B2 (ja) 新規糖誘導体ゲル化剤
JP4815166B2 (ja) 油性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5334720B2 (ja) 油性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4573383B2 (ja) 化粧用油剤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JP2019038754A (ja) 皮膚外用剤
JP5726481B2 (ja) ヒドロキシニコチン酸又はその誘導体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3524501B2 (ja) 化粧料
JP2005306867A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2011074002A (ja) カプセル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6225373A (ja) エマルジョン
JPS6333312A (ja) 化粧料
JP2604782B2 (ja) 化粧料
JP2003192561A (ja) 皮膚化粧料
JP2000007545A (ja) 化粧料
KR20230072504A (ko)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JP3472260B2 (ja) 洗浄料
JP2014162738A (ja) 化粧料及び発汗促進剤
JP7195989B2 (ja) エリスリタ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0344697A (ja) 長鎖分岐アルコ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JP2005145929A (ja)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03238447A (ja) 外用剤
CN116507696A (zh) 组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化妆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