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999A -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999A
KR20230059999A KR1020210144165A KR20210144165A KR20230059999A KR 20230059999 A KR20230059999 A KR 20230059999A KR 1020210144165 A KR1020210144165 A KR 1020210144165A KR 20210144165 A KR20210144165 A KR 20210144165A KR 20230059999 A KR20230059999 A KR 2023005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ok
bar
hook bod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윤
이종린
Original Assignee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아시모리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아시모리코리아(주) filed Critical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999A/ko
Publication of KR2023005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스크린을 펼쳐서 고정시키면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스크린이 떨리면서 래틀음이 발생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 글라스(100)의 안쪽 면에 설치되는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200)의 체결홀(210)에 끼워지는 삽입구(310)가 상면에 구비되고, 삽입구(310) 하단의 플랜지부(311)에 의해 도어 프레임(200)에 고정되는 훅크몸체(300); 스크린 지지바(410)의 걸이공(411)에 끼워져서 스크린(400)을 걸어주도록 훅크몸체(300)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되고, 선단에 바걸림턱(321)이 상향 절곡된 바걸이부(320); 훅크몸체(3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바걸이부(320)에 끼워져 걸린 스크린 지지바(410)를 바걸림턱(321)과 함께 구속하는 압박돌부(3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린(400)을 펼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크린 지지바(410)의 걸림공(411)속으로 바걸이부(320)가 끼워지게하면 스크린 지지바(410)가 압박돌부(330)에 밀착되어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스크린 지지바(410)의 떨림현상이 일어나지를 않아 이로인한 래틀소음이 억제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Hook for roller blind screen in car door}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롤러 블라인드(이하 블라인드라 칭함) 의 스크린을 펼쳐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스크린의 떨림 현상이 없도록 하여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외부의 상황을 시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승차실의 사면에 윈도우 글라스, 리어 글라스, 쿼터 글라스, 도어 글라스, 사이드 슬라이딩 글라스 등 각각 바디의 창틀에 취부되어 실내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차량의 글라스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시야를 전후 좌우로 충분히 확보해 주기 위해 투명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의 글라스는 운전자에게 안전한 시야를 확보해 주면서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특히, 하절기와 같이 일조량이 많을 경우에는 글라스를 통해서 직사광선이 다량으로 차 실내로 투광되므로 눈부심으로 인하여 오히려 운전에 방해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 차량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탑승객으로 하여금 불편을 겪게 하기도 한다.
또한, 차 실내의 상황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경우에도 사생활을 침해받을 수 있어 불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불편한 경우를 대비하여, 윈드쉴드 글라스에는 선바이저(Sun Visor)가 루프에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의 눈으로 오는 햇빛을 차단하여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 글라스에는 도어 글라스에 블라인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도어 글라스를 가리고 싶을때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도어 글라스를 가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도어 글라스를 가릴 경우에는 도어에 설치되고, 리어 글라스를 가릴 경우에는 시트후방의 패키지 트레이에 설치하는 것이며, 그 동작 방식에 따라 전동식과 수동식으로 구분하는데 근래 고급차량의 경우에는 전동식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만을 조작하면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블라인드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수동식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크린을 당겨서 스크린의 선단을 고정시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이후에는 스크린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상기 블라인드의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273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서는 블라인드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 및 도어트림에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블라인드의 인출작용이 블라인드에 설치된 손잡이부를 당겨주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펼쳐지며 블라인드가 도어트림의 블라인드 내에 자동적으로 감겨질 수 있도록 하고 도어 글라스를 개방 시에도 블라인드를 통한 햇빛의 차단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의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블라인드를 펼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이 전해지면 블라인드의 떨림 현상이 발생되어 그만큼 탑승자의 승차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개 20-1998-027317호(1998. 08. 05 공개)(자동차의 도어 롤러 블라인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서 블라인드 스크린의 떨림과 이로 인한 래틀음과 소음 등을 사전에 방지 함으로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의 훅크공에 끼워지는 삽입구가 상면에 구비되고, 삽입구 하단의 플랜지부에 의해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후크몸체; 스크린 지지바의 걸이공에 끼워져서 스크린을 걸어주도록 훅크몸체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되고 선단에 바걸림턱이 상향 절곡된 바걸이부; 훅크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바걸이부에 끼워져 걸린 스크린 지지바를 바걸림턱과 함께 구속하는 압박돌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린을 펼친 후 스크린 지지바를 후크의 바걸이부에 걸어서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켜도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스크린 지지바의 떨림이 없어 이로인한 래틀음을 억제할 수 있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후크에 스크린을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라 훅크몸체의 삽입구를 도어 프레임의 체결홀에 체결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후크몸체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후크몸체와 도어 프레임을 고정스크류로 고정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후크몸체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후크에 스크린을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4 은 본 발명에 따라 훅크몸체의 삽입구를 도어 프레임의 체결홀에 체결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후크몸체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후크몸체와 도어 프레임을 고정스크류로 고정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후크몸체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 글라스(100)의 안쪽 면에 설치되는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200)의 체결홀(210)에 끼워지는 삽입구(310)가 상면에 구비되고, 삽입구(310) 하단의 플랜지부(311)에 의해 도어 프레임(200)에 고정되는 훅크몸체(300); 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크린 지지바(410)의 걸이공(411)에 끼워져서 스크린(400)을 걸어주도록 훅크몸체(300)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되고, 선단에 바걸림턱(321)이 상향 절곡된 바걸이부(320); 훅크몸체(3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바걸이부(320)에 끼워져 걸린 스크린 지지바(410)를 바걸림턱(321)과 함께 구속하는 압박돌부(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1)은 훅크몸체에 형성된 고정홀이고, (360)은 훅크몸체를 도어 프레임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핀이고, (370)은 훅크몸체에 형성된 고정홀을 막아주는 커버이며, (500)은 글라스를 고정시키는 글라스런이며, (600)은 훅크몸체와 도어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스크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 블라인드의 스크린(400)을 펼쳐 훅크에 의해 스크린(400)이 고정되게하여 도어 글라스(100)를 가려주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스크린(400)이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서도 떨리지 않도록 하여 래틀음을 억제할 수 있음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훅크는 훅크몸체(300)의 상면에 도어 프레임(200)의 체결홀(210)에 끼워지는 삽입구(310)가 구비되고 훅크몸체(300)의 삽입구(310) 하단으로는 플랜지부(311)가 구비된 것으로 훅크몸체(300)를 도어 프레임(200)에 고정시킬 때에는 도어 프레임(200)의 체결홀(210)속으로 훅크몸체(300)의 삽입구(310)를 끼워주는데 이때 훅크몸체(300)에는 가이드핀(360)이 구비되어 있어 가이드핀(360)을 글라스런(500)을 통해 도어 프레임(200)의 가이드공(도면 중 미도시)에 끼우면 삽입구(310)는 체결홀(210)과 일치되는 것이다.
이후 훅크몸체(300)를 밀어 플랜지부(311)가 도어 프레임(200)에 밀착되게 한 후 고정스크류(600)를 훅크몸체(300)의 고정홀(301)을 통해 도어 프레임(200)의 체결홀(210)에 체결하면 훅크몸체(300)는 도어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이처럼 고정스크류(600)를 이용하여 훅크몸체(300)를 도어 프레임(200)에 고정시킨 이후에는 훅크몸체(300)의 저면에 커버(370)를 끼워 고정홀(301)의 저면을 막아준다.
다시말해 가이드핀(360)에 의해 고정위치가 확보되고 임시로 고정된 훅크몸체(300)는 상부에 형성된 고정홀(301)에 의해 도어 프레임(200)에 형성된 체결홀(210)에 별도 체결수단인 고정스크류(6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훅크몸체(300)의 플랜지부(311)는 도어 프레임(200)에 결합 시 접지면이 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고정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 후 응집된 고정력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장착됨으로 반복되는 스크린 지지바(410)의 고정부 내구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후크몸체(300)를 밀어 플랜지부(311)가 도어 프레임(200) 외부의 글라스런(500)에 넓은 밀착면을 제공하고 후크몸체(300)에 기 구성된 체결방안에 의하여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도어 프레임(200)에 고정된 상기 훅크몸체(300)의 전면부 하단에는 선단에 바걸림턱(321)이 상향으로 절곡된 바걸이부(3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글라스(100)를 가려주기 위해 블라인드의 스크린(400)을 펼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스크린 지지바(410)를 당겨 스크린(400)을 훅크몸체(300)에 위치될 때까지 상향으로 펼쳐준 후 스크린 지지바(410)에 형성된 걸이공(411)에 바걸이부(320)가 끼워지게 하면 스크린 지지바(410)는 바걸이부(320)의 선단 바걸림턱(321)에 의해 걸려 인위적으로 스크린 지지바(410)의 걸이공(411)에서 바걸이부(320)를 이탈시키기 전에는 스크린 지지바(410)는 바걸이부(32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스크린(40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 글라스(100)를 가려준다.
여기서 본 발명은 훅크몸체(300)의 전면부에 압박돌부(3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린 지지바(410)의 걸이공(411)에 훅크몸체(300)의 바걸이부(320)가 끼워지게 하면 스크린 지지바(410)의 전면 부위가 압박돌부(330)에 밀착되면서 즉, 스크린 지지바(410)의 전면은 압박돌부(330)에 압박되고 스크린 지지바(410)의 후면은 바걸림턱(3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스크린 지지바(410)는 유동되지 않는다.
이처럼 스크린 지지바(410)의 전면은 압박돌부(330)가 압박하고 후면은 바걸림턱(321)이 압박하게 되면 스크린 지지바(410)가 유동될 우려가 없어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떨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래틀 소음 발생이 없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훅크몸체(300)의 전면부에 셀프스프링부(350)을 구비하는데 상기 셀프스프링부(350)는 "U"자형의 절결부(340)에 의해 탄발력을 갖기 때문에 즉, 스크린 지지바(410)를 구속하는 압박돌부(330)의 반발력으로 스크린 지지바(410)의 떨림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도어 글라스 200 : 도어 프레임
210 : 체결홀 300 : 훅크몸체 301 : 고정홀 310 : 삽입구
311 : 플랜지부 320 : 바걸이부
321 : 바걸림턱 330 : 압박돌부
340 : 절결부 350 : 셀프스프링부
360 : 가이드핀 370 : 커버
400 : 스크린 410 : 스크린 지지바
411 : 걸이공 500 : 글라스런
600 : 고정스크류

Claims (2)

  1. 내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 글라스(100)의 안쪽 면에 설치되는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200)의 체결홀(210)에 끼워지는 삽입구(310)가 상면에 구비되고, 삽입구(310) 하단의 플랜지부(311)에 의해 도어 프레임(200)에 고정되는 훅크몸체(300);
    스크린 지지바(410)의 걸이공(411)에 끼워져서 스크린(400)을 걸어주도록 훅크몸체(300)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되고, 선단에 바걸림턱(321)이 상향 절곡된 바걸이부(320);
    훅크몸체(3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바걸이부(320)에 끼워져 걸린 스크린 지지바(410)를 바걸림턱(321)과 함께 구속하는 압박돌부(330);
    로 구성되어 스크린(400) 사용 시 스크린 지지바(410)의 떨림으로 인한 래틀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2. 제 1 항에 있어서
    훅크몸체(300)의 전면부에는 'U'자형의 절결부(340)에 의해 탄발력을 갖는 셀프스프링부(350)를 구비하고,
    스크린 지지바(410)를 구속하는 압박돌부(330)를 셀프스프링부(350)의 하단에 구비하여
    압박돌부(330)의 반발력으로 스크린 지지바(410)의 떨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KR1020210144165A 2021-10-27 2021-10-27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KR20230059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165A KR20230059999A (ko) 2021-10-27 2021-10-27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165A KR20230059999A (ko) 2021-10-27 2021-10-27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999A true KR20230059999A (ko) 2023-05-04

Family

ID=8637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165A KR20230059999A (ko) 2021-10-27 2021-10-27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9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17U (ko) 1996-11-15 1998-08-05 손명원 자동차의 도어 롤러 블라인드(roller bli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17U (ko) 1996-11-15 1998-08-05 손명원 자동차의 도어 롤러 블라인드(roller bli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445B2 (en) Door glass over-closing
JP3636048B2 (ja) フックの取付構造
KR20230059999A (ko)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크린용 훅크
JP4300849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063329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JP3916373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KR101263429B1 (ko) 싱크로 벨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JP2811558B2 (ja) 自動車キヤビン用カーテン装置
KR101315797B1 (ko) 차량용 도어커튼 하우징 조립 구조
JP3953790B2 (ja) コネクタ固定用カバー
KR102026554B1 (ko) 다단 인출식 가림판을 갖는 차량용 썬바이저
JPS637558Y2 (ko)
KR100448339B1 (ko) 자동차의 풀 핸들 장착구조
JP2011189879A (ja)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補用部品の取り付け構造
KR980007210U (ko) 도어트림에 내장된 선바이져 설치구조
JPH0678039U (ja) 可動屋根パネル駆動装置の取付構造
KR20230172869A (ko) 선글라스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용 룸미러
KR0139099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져 리테이너
KR20140049871A (ko) 자동차의 도어커튼 장치
KR100534340B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KR100401731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구조
KR19990053905A (ko) 자동차의 피봇형 소프트-탑 장치
KR950005582Y1 (ko) 자동차의 도어내측 손잡이 고정브라켓
KR920004596Y1 (ko) 자동차용 차양지지장치
KR980007195U (ko) 자동차용 보조 도어글래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