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300A - 전동 밸브 - Google Patents

전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300A
KR20230051300A KR1020237010966A KR20237010966A KR20230051300A KR 20230051300 A KR20230051300 A KR 20230051300A KR 1020237010966 A KR1020237010966 A KR 1020237010966A KR 20237010966 A KR20237010966 A KR 20237010966A KR 20230051300 A KR20230051300 A KR 20230051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late
valve body
housing
valve
hol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야 요시다
유스케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1/03995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113642A1/ja
Publication of KR2023005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the actuating means being rotable, rising, and having internal threads which co-operate with threads on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과제]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전동 밸브 및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동 밸브(1)는, 본체부(11)를 갖는 밸브 본체(10)와, 원통형상의 스테이터(60)와, 밸브 본체(10)에 접합되고, 스테이터(60)의 내측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캔(28)과, 스테이터(60)를 수용하는 하우징(70)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1)는, 유지홈(21)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70)이, 유지홈(21)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착판(82)을 가지고 있다. 유지홈(21)이, 하우징(70)측의 단부에 개구(21k)를 가지고 있다. 부착판(82)이, 부착판(82)의 개구(21k)를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본체부(11)와 계합한다.

Description

전동 밸브 및 그 조립 방법
본 발명은, 전동 밸브 및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 밸브의 한 예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전동 밸브는, 밸브실이 마련된 밸브 본체를 가지고 있다. 밸브실에는, 밸브체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 본체에는, 원통형상의 캔이 접합되어 있다. 전동 밸브는, 마그넷 로터와 스테이터를 가지고 있다. 마그넷 로터와 스테이터는, 스테핑 모터를 구성한다. 마그넷 로터는, 캔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는, 캔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는,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은, 밸브 본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2018-173102호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전동 밸브의 조립에서는,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이 전동 밸브는, 제조 비용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전동 밸브 및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전동 밸브는, 밸브 본체와,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와, 상기 밸브 본체에 접합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캔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동 밸브로서,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일방이 제1 부재이고, 타방이 제2 부재이고, 상기 제1 부재가, 노치를 가지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노치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 멈춤부를 가지고, 상기 노치가, 상기 제2 부재측의 단부(端部)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회전 멈춤부가, 상기 회전 멈춤부의 상기 개구를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계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밸브의 조립에서, 스테이터의 내측에 캔을 삽입할 때, 회전 멈춤부가 노치의 개구를 통과하여 노치의 내측에 삽입된다. 노치의 내측에 회전 멈춤부가 배치됨에 의해, 하우징이 밸브 본체에 대해 캔의 축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제2 부재의 회전 멈춤부가 제1 부재와 계합함에 의해, 하우징이 밸브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제1 부재이고, 상기 노치인 유지홈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부재이고, 상기 회전 멈춤부인 부착판을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캔의 축에 따라 상기 밸브 본체를 향하여 늘어나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착판이 유지홈 내에서 밸브 본체와 계합하고, 하우징이 밸브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유지홈의 내면에 접해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동 밸브의 조립에서, 스테이터의 내측에 캔을 삽입할 때, 부착판이 유지홈의 개구를 통과하여 유지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유지홈 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록부가 유지홈의 내면에 접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볼록부가 오목부와 계합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볼록부와 계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볼록부에 접해 있을 때(단,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를 제외한다.),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동 밸브의 조립에서, 스테이터의 내측에 캔을 삽입할 때, 부착판이 유지홈의 개구를 통과하여 유지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유지홈 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착판이 볼록부에 접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여, 볼록부가 오목부와 계합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폴부(爪部)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폴부가 계합하는 폴받이부(爪受部)를 가지고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부가 상기 유지홈의 내면에 접해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폴부가 상기 폴받이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동 밸브의 조립에서, 스테이터의 내측에 캔을 삽입할 때, 부착판이 유지홈의 개구를 통과하여 유지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유지홈 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폴부가 유지홈의 내면에 접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여, 폴부가 폴받이부와 계합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폴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폴부가 계합하는 폴받이부를 가지고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폴부에 접해 있을 때(단, 상기 폴부가 상기 폴받이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를 제외한다.),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폴부가 상기 폴받이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동 밸브의 조립에서, 스테이터의 내측에 캔을 삽입할 때, 부착판이 유지홈의 개구를 통과하여 유지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유지홈 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착판이 폴부에 접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여, 폴부가 폴받이부와 계합하면 부착판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폭이, 상기 유지홈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우징이 밸브 본체에 대해 캔의 축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유지홈에 압입되어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밸브 본체에 파들어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늘(返し)을 가지고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된 금속제의 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브래킷이, 원환판 형상의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의 내주연(內周緣)에 연설(連設)된 상기 부착판을 가지고 있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브래킷 본체의 외주연에 부착판이 연설된 구성에 비하여, 브래킷의 재료가 되는 금속판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한 양태에 관한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은, 밸브 본체와,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와, 상기 밸브 본체에 접합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동축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캔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일방이 제1 부재이고, 타방이 제2 부재이고, 상기 제1 부재가, 노치를 가지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노치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 멈춤부를 가지고, 상기 노치가, 상기 제2 부재측의 단부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캔이 접합된 상기 밸브 본체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캔의 축에 따라 접근하여,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상기 캔을 삽입함과 함께 상기 회전 멈춤부를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노치에 삽입하고, 상기 회전 멈춤부의 상기 개구를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회전 멈춤부를 상기 제1 부재에 계합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전동 밸브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접합되는 원통형상의 캔과, 상기 캔이 내측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이, 상기 캔의 축에 따라 늘어나는 부착판을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부착판이 상기 축에 따라 삽입되는 유지홈을 가지고, 상기 부착판과 상기 유지홈이, 상기 유지홈 내에서 상기 부착판이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 밸브는, 밸브 본체에 접합된 원통형상의 캔이, 당해 캔의 축에 따라 스테이터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캔의 축에 따라 늘어나는 부착판을 가지고 있다. 밸브 본체가, 부착판이 축에 따라 삽입되는 유지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부착판과 유지홈이, 유지홈 내에서 부착판이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했기 때문에, 부착판과 유지홈이, 하우징이 밸브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부착판의 일방이,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부착판의 타방이, 상기 오목부에 계합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부착판이 상기 유지홈 내에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여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서로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캔을 스테이터에 삽입하는 공정에서, 부착판이, 유지홈에 삽입되어 유지홈 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여,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계합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부착판의 일방이, 폴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부착판의 타방이, 상기 폴부가 계합하는 폴받이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부착판이 상기 유지홈 내에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여 상기 폴부와 상기 폴받이부가 서로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캔을 스테이터에 삽입하는 공정에서, 부착판이, 유지홈에 삽입되어 유지홈 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여, 폴부와 폴받이부가 서로 계합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부착판의 폭이, 상기 유지홈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우징이, 밸브 본체에 대해 캔의 축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부착판이, 상기 유지홈에 압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부착판이, 상기 밸브 본체에 파들어가도록 형성된 1 또는 복수의 미늘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전동 밸브는, 상기 하우징이,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된 금속제의 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브래킷이,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원환판 형상의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의 내주연에 연설된 상기 부착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브래킷 본체의 외주연에 부착판이 연설된 구성에 비하여, 브래킷의 재료가 되는 금속판을 절약할 수 있다.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은,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접합되는 원통형상의 캔과, 상기 캔이 내측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이다. 상기 하우징이, 상기 캔의 축에 따라 늘어나는 부착판을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부착판이 상기 축에 따라 삽입되는 유지홈을 갖는다.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은, 상기 캔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축에 따라 접근하여,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상기 캔을 삽입함과 함께 상기 유지홈에 상기 부착판을 삽입하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유지홈 내에서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부착판을 상기 유지홈에 유지시킨다.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은, 밸브 본체에 접합된 캔과 스테이터를 수용한 하우징을 당해 캔의 축에 따라 접근하여, 스테이터의 내측에 캔을 삽입함과 함께 유지홈에 부착판을 삽입한다. 그리고, 부착판이 유지홈 내에서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을 유지홈에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밸브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동 밸브의 하우징이 가지는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전동 밸브의 밸브 본체 및 하우징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1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2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3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4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5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전동 밸브의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전동 밸브에 관해,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동 밸브의 축선에 따른 단면도(종단면도)이기도 한다. 도 3은, 도 1의 전동 밸브의 하우징이 가지는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브래킷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브래킷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동 밸브의 밸브 본체 및 하우징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하우징의 부착판 및 그 근방을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ⅣB-Ⅳ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C는, 부착판이 탄성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밸브(1)는, 밸브 본체(10)와, 캔(28)과, 구동 기구(30)와, 밸브체(40)와, 스테이터 유닛(50)을 가지고 있다.
밸브 본체(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이다. 밸브 본체(10)는, 본체부(11)와, 원통부(12)와, 차양부(13)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는,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12)는, 본체부(11)의 상면(11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원통부(12)는, 본체부(11)에 나사 구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본체부(11)에는, 밸브실(14)과, 유로(15, 16)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15)는, 밸브실(14)에 접속되어 있다. 유로(16)는, 포트(17)를 통하여 밸브실(14)에 접속되어 있다. 차양부(13)는, 원환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차양부(13)의 내주연은, 원통부(12)의 상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밸브 본체(10)는 제1 부재이다.
본체부(11)의 배면에는, 유지홈(21)이 마련되어 있다. 유지홈(21)은, 상면(11a)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홈(21)은, 상하 방향(축선(L)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유지홈(21)의 저면(21a)에는, 배면측부터 정면측(도 2의 우측부터 좌측)으로 늘어나는 원형구멍인 오목부(21b)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홈(21)은, 밸브 본체(10)가 가지는 노치이다. 유지홈(21)의 상단부에는 벽면이 없고, 유지홈(21)의 상단부는, 유지홈(21)의 연재 방향으로 열려 있다. 즉, 유지홈(21)은, 상단부에 개구(21k)를 가지고 있다.
캔(28)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다. 캔(28)은, 상단부가 막혀진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캔(28)의 하단부는, 차양부(13)의 외주연에 접합되어 있다. 도 2의 축선(L)은, 캔(28)의 중심축을 통과한다.
구동 기구(30)는, 밸브체(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마그넷 로터(31)와, 밸브축 홀더(32)와, 가이드 부시(33)와, 밸브축(34)을 가지고 있다.
마그넷 로터(31)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마그넷 로터(31)는, 캔(28)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 로터(31)의 외경은, 캔(28)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마그넷 로터(3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N극 및 복수의 S극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N극 및 복수의 S극은,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이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마그넷 로터(31)는, N극을 12개, S극을 12개 가지고 있다.
밸브축 홀더(32)는, 상단부가 막혀진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밸브축 홀더(32)의 상단부에는 지지 링(35)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 링(35)을 통하여, 마그넷 로터(31)와 밸브축 홀더(32)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밸브축 홀더(3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32c)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부시(33)는, 제1 원통부(33a)와, 제2 원통부(33b)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제2 원통부(33b)의 외경은, 제1 원통부(33a)의 외경보다 작다. 제2 원통부(33b)는, 제1 원통부(33a)의 상단부에 동축으로 연설되어 있다. 제2 원통부(33b)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3c)가 마련되어 있다. 수나사(33c)는, 밸브축 홀더(32)의 암나사(32c)와 나사결합(螺合)된다. 제1 원통부(33a)는, 밸브 본체(10)의 원통부(12)에 마련된 감합구멍(12a)에 압입되어 있다. 가이드 부시(33)는, 밸브 본체(10)와 결합되어 있다.
밸브축(34)은, 원주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밸브축(34)의 상단부(34a)는, 밸브축 홀더(32)를 관통하고 있다. 밸브축(34)의 상단부(34a)에는, 빠짐방지용의 푸시 너트(36)가 부착되어 있다. 밸브축(34)은, 가이드 부시(33) 및 원통부(12)에 삽입되어 있다. 밸브축(34)의 하단부는, 밸브실(14)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축(34)은, 상방을 향하는 원환 형상의 평면인 단부(段部)(34b)를 가지고 있다. 밸브축 홀더(32)와 단부(34b)와의 사이에는, 폐쇄밸브 스프링(37)이 배치되어 있다. 폐쇄밸브 스프링(37)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폐쇄밸브 스프링(37)은, 밸브축(34)을 하방을 향하여 누르고 있다.
밸브체(40)는, 밸브축(34)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밸브체(40)는, 밸브실(14)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40)는, 구동 기구(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밸브체(40)의 이동에 의해 포트(17)가 개폐된다.
스테이터 유닛(50)은, 스테이터(60)와, 하우징(70)을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60)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60)는, 캔(28)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60)는, 마그넷 로터(31)와 함께 스테핑 모터를 구성하고 있다. 스테이터(60)는, 상단 스테이터(61)와, 하단 스테이터(62)와, 합성 수지제의 몰드(63)를 가지고 있다.
상단 스테이터(61)는, 하단 스테이터(62)의 위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단 스테이터(61)와 하단 스테이터(62)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클로폴형의 극치를 가지고 있다. 몰드(63)는, 상단 스테이터(61) 및 하단 스테이터(62) 내에 충전되어 있다. 몰드(63)는, 스테이터(60)의 내주면을 구성하고 있다. 몰드(63)는, 단자 지지부(64)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단 스테이터(61)가 24개의 극치를 가지고, 하단 스테이터(62)가 24개의 극치를 가지고, 스테이터(60)는 합계 48개의 극치를 가지고 있다. 하단 스테이터(62)는, 상단 스테이터(61)의 극치와 하단 스테이터(62)의 극치가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는 위치로부터 상단 스테이터(61)에 대해 극치 사이의 각도의 반각(半角)((360/24)/2=7.5도)만큼 축선(L) 둘레로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60)에 96펄스를 입력하면, 마그넷 로터(31)가 1회전한다. 마그넷 로터(31)의 1펄스당의 회전각(스텝각)은, 3.75도이다.
단자 지지부(64)는, 상단 스테이터(61) 및 하단 스테이터(62)로부터 횡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단자 지지부(64)는, 복수의 단자(65)를 지지하고 있다. 복수의 단자(65)는, 단자 지지부(64)의 선단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복수의 단자(65)는, 상단 스테이터(61) 및 하단 스테이터(62)가 가지는 코일에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70)은, 하우징 본체(71)와, 브래킷(80)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하우징(70)은 제2 부재이다.
하우징 본체(71)는, 합성 수지제이다. 하우징 본체(71)는, 스테이터(60)를 수용하고 있다. 하우징 본체(71)는, 주벽부(72)와, 상벽부(73)와, 돔부(74)와, 통형상부(75)와, 커넥터부(76)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주벽부(72)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벽부(73)는, 주벽부(72)의 상단부에 연설되어 있다. 돔부(74)는, 상벽부(73)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스테이터(60) 및 돔부(74)에 캔(28)이 삽입된다. 통형상부(75)는, 주벽부(72)보다 소경의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75)는, 주벽부(7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통형상부(75)는, 밸브 본체(10)의 원통부(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형상부(75)와 원통부(12) 사이에는, 원환 형상의 봉지 부재(90)가 배치되어 있다. 봉지 부재(90)는, 고무재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부(76)는, 타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부(76)는, 주벽부(72)로부터 횡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커넥터부(76)의 내측에는, 단자 지지부(64) 및 복수의 단자(65)가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80)은, 금속제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80)은, 브래킷 본체(81)와, 부착판(82)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브래킷 본체(81)는, 원환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브래킷 본체(81)는, 하우징 본체(71)의 주벽부(72)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부착판(82)은, 사각형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82)은, 브래킷 본체(81)의 내주연에 연설되고,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부착판(82)은, 밸브 본체(10)를 향하여 늘어나 있다. 브래킷(8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브래킷 본체(81) 및 부착판(82)의 형상으로 금속판을 타발(打拔)하고, 브래킷 본체(81)의 중심축(축선(L))에 따르도록 부착판(82)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브래킷(80)은, 스테이터(60)에 용접되어 있어도 좋다.
부착판(82)의 폭(도 4A의 좌우 방향의 크기)은, 본체부(11)의 유지홈(21)의 폭과 동일하다. 부착판(82)의 폭은 유지홈(21)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부착판(82)의 폭과 유지홈(21)의 폭과의 차에 의해 생기는 밸브 본체(10)와 하우징(70)과의 축선(L) 둘레의 어긋남각(角)이, 상기 스테핑 모터의 스텝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판(82)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부착판(82)은, 본체부(11)의 상면(11a)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유지홈(21)에 삽입된다. 부착판(82)은, 유지홈(21)의 상단부의 개구(21k)를 통과하여, 유지홈(21)에 삽입된다. 하우징(70)은 밸브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유지홈(21)의 상단부는, 유지홈(21)의 하우징(70)측(제2 부재측)의 단부(端部)이다. 부착판(82)은, 유지홈(21) 내에 유지된다. 부착판(82)은, 하우징(70)이 가지는 회전 멈춤부(回り止め部)이다.
부착판(82)은, 볼록부(82a)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82a)는, 배면측부터 정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볼록부(82a)는, 본체부(11)의 오목부(21b)에 꼭 끼여 있다. 볼록부(82a)가 오목부(21b)에 꼭 낌으로써, 오목부(21b)와 볼록부(82a)가 서로 걸려(즉, 계합하여), 부착판(82)이 유지홈(21) 내에서 개구(21k)측(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밸브(1)에서, 밸브 본체(10)의 원통부(12), 포트(17), 캔(28), 마그넷 로터(31), 밸브축 홀더(32), 가이드 부시(33), 밸브축(34), 밸브체(40), 스테이터(60), 하우징(70)(돔부(74), 통형상부(75), 브래킷 본체(81))는, 각각의 중심축이 축선(L)에 일치한다.
다음에, 전동 밸브(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전동 밸브(1)에서, 마그넷 로터(31)가 일방향에 회전하도록, 상단 스테이터(61) 및 하단 스테이터(62)에 통전한다. 마그넷 로터(31)와 함께 밸브축 홀더(32)가 회전한다. 밸브축 홀더(32)의 암나사(32c)와 가이드 부시(33)의 수나사(33c)와의 나사 이송 작용에 의해, 밸브축 홀더(32)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밸브축 홀더(32)와 함께 밸브축(34)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체(40)가 포트(17)를 닫는다(밸브폐쇄 상태).
전동 밸브(1)에서, 마그넷 로터(31)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단 스테이터(61) 및 하단 스테이터(62)에 통전한다. 마그넷 로터(31)와 함께 밸브축 홀더(32)가 회전한다. 밸브축 홀더(32)의 암나사(32c)와 가이드 부시(33)의 수나사(33c)와의 나사 이송 작용에 의해, 밸브축 홀더(32)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밸브축 홀더(32)와 함께 밸브축(34)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체(40)가 포트(17)를 연다(밸브개방 상태).
다음에, 밸브 본체(10)에 하우징(70)을 고정하는 조립 방법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밸브 본체(10)에 접합된 캔(28)과 스테이터(60)를 수용한 하우징(70)을 축선(L)에 따라 접근하여, 스테이터(60) 및 돔부(74)의 내측에 캔(28)을 삽입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70)의 부착판(82)을 밸브 본체(10)의 유지홈(21)에 상면(11a)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하방은, 부착판(82)을 유지홈(21)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이다. 부착판(82)은, 개구(21k)를 통과하여, 유지홈(21)에 삽입된다. 그리고, 부착판(82)의 유지홈(21)에의 삽입을 진행하면,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82)의 볼록부(82a)가 유지홈(21)의 저면(21a)에 타고올라 부착판(82)이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더욱 삽입을 진행하면 부착판(82)이 복원하여,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82a)가 유지홈(21)의 오목부(21b)에 꼭 낀다. 이에 의해, 오목부(21b)와 볼록부(82a)가 서로 걸려, 유지홈(21) 내에서 부착판(82)이 상방으로(개구(21k)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2)이 유지홈(21) 내에 유지된다. 또한, 유지홈(21)의 폭과 부착판(82)의 폭이 동일하여서,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전동 밸브(1)는, 밸브 본체(10)와, 원통형상의 스테이터(60)와, 밸브 본체(10)에 접합되고, 스테이터(60)의 내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캔(28)과, 스테이터(60)를 수용하는 하우징(70)을 가지고 있다. 밸브 본체(10)가, 유지홈(21)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70)이, 유지홈(21)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착판(82)을 가지고 있다. 유지홈(21)은, 상단부에 개구(21k)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부착판(82)이, 부착판(82)의 개구(21k)를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밸브 본체(10)에 계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했기 때문에, 전동 밸브(1)의 조립에서, 스테이터(60)의 내측에 캔(28)을 삽입할 때, 부착판(82)이 유지홈(21)의 개구(21k)를 통과하여 유지홈(21)의 내측에 삽입된다. 유지홈(21)의 내측에 부착판(82)이 배치됨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하우징(70)의 부착판(82)이 밸브 본체(10)와 계합함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10)가, 오목부(21b)를 가지고 있다. 부착판(82)이, 오목부(21b)에 걸리는 볼록부(82a)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밸브(1)의 조립에서, 부착판(82)이 유지홈(21) 내에서 삽입 방향(하방)으로 이동하면, 부착판(82)이 탄성 변형하여 오목부(21b)와 볼록부(82a)가 서로 걸린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82a)가 유지홈(21)의 저면(21a)에 접해 있을 때, 부착판(82)이 탄성 변형하고, 볼록부(82a)가 오목부(21b)와 계합하고 있을 때, 부착판(82)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동 밸브(1)의 조립에서, 스테이터(60)에 캔(28)을 삽입할 때, 부착판(82)이, 유지홈(21)의 개구를 통과하여 유지홈(21)의 내측에 삽입되어 유지홈(21) 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록부(82a)가 유지홈(21)의 저면(21a)에 접하면 부착판(82)이 탄성 변형하고, 볼록부(82a)가 오목부(21b)와 계합하면 부착판(82)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부착판(82)의 폭이, 유지홈(21)의 폭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70)이,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본체(71)와, 하우징 본체(71)에 고정된 금속제의 브래킷(80)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80)이,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원환판 형상의 브래킷 본체(81)와, 브래킷 본체(81)의 내주연에 연설된 부착판(82)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브래킷(80)의 재료가 되는 금속판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전동 밸브(1)에서는, 밸브 본체(10)가 오목부(21b)를 가지고, 하우징(70)의 부착판(82)이 볼록부(82a)를 갖는다. 전동 밸브(1)는, 밸브 본체(10)가 볼록부를 가지고, 하우징(70)의 부착판(82)이 볼록부와 계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 부착판(82)이 볼록부에 접해 있을 때(단, 볼록부가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를 제외한다), 부착판(82)이 탄성 변형하고, 볼록부가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부착판(82)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전동 밸브(1)에서는, 밸브 본체(10)가 노치인 유지홈(21)을 가지고, 하우징(70)이 회전 멈춤부인 부착판(82)을 가지고 있다. 전동 밸브(1)는, 하우징(70)이 노치를 가지고, 밸브 본체(10)가 노치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 멈춤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전동 밸브(1)가, 밸브 본체(10)가 배면에 상하 방향에 따르는 볼록조(凸條)(회전 멈춤부)를 가지고, 하우징(70)의 부착판(82)이 상하 방향에 따르는 슬릿(노치)을 가지고, 볼록조가 슬릿의 내측에 배치되고, 볼록조의 슬릿의 개구를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2)이 밸브 본체(10)에 계합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 하우징(70)이 제1 부재이고, 밸브 본체(10)가 제2 부재이다. 밸브 본체(10)의 볼록조는, 부착판(82)의 슬릿에 압입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된다. 또는, 부착판(82)의 슬릿의 연부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밸브 본체(10)의 볼록조에 볼록부가 계합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부착판(82)의 슬릿의 연부에 오목부가 마련되고, 밸브 본체(10)의 볼록조에 폴부가 계합하는 폴받이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전동 밸브(1)의 밸브 본체(10) 및 하우징(70)의 고정 구조의 변형례의 구성에 관해, 도 5∼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도 9에서, 상술한 전동 밸브(1)와 동일(실질 동일을 포함한다)의 구성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1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하우징의 부착판 및 그 근방을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VB-V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C는, 부착판이 탄성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고정 구조는, 밸브 본체(10)에 마련된 유지홈(21)과, 하우징(70)에 마련된 부착판(83)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83)은, 사각형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83)의 폭은, 유지홈(21)의 폭과 동일하다. 부착판(83)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부착판(83)에는, 사각형 형상의 개구(83a)가 마련되어 있다. 부착판(83)은, 개구(83a)의 하연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폴부(83b)를 가지고 있다. 폴부(83b)는, 배면측부터 정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폴부(83b)는, 본체부(11)의 오목부(21b)(폴받이부)에 진입하고 있다. 폴부(83b)는, 오목부(21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폴부(83b)가 오목부(21b)에 진입함으로써, 부착판(83)이 유지홈(21) 내에서 개구(21k)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부착판(83)은, 하우징(70)이 가지는 회전 멈춤부이다.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때, 부착판(83)을 유지홈(21)에 본체부(11)의 상면(11a)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부착판(83)은, 개구(21k)를 통과하고, 유지홈(21)에 삽입된다. 부착판(83)의 유지홈(21)에의 삽입을 진행하면,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83)의 폴부(83b)가 유지홈(21)의 저면(21a)에 타고 올라 부착판(83)이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더욱 삽입을 진행하면 부착판(83)이 복원하여,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부(83b)가 유지홈(21)의 오목부(21b)에 진입한다. 즉, 폴부(83b)가 유지홈(21)의 저면(21a)에 접해 있을 때, 부착판(83)이 탄성 변형하고, 폴부(83b)가 오목부(21b)와 계합하고 있을 때, 부착판(83)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이에 의해, 오목부(21b)와 폴부(83b)가 서로 걸리고(즉, 계합하고), 유지홈(21) 내에서 부착판(83)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3)이 유지홈(21) 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고정된다.
도 6은,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2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하우징의 부착판 및 그 근방을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ⅥB-Ⅵ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C는, 부착판이 탄성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고정 구조는, 밸브 본체(10)에 마련된 유지홈(22)과, 하우징(70)에 마련된 부착판(84)을 가지고 있다.
유지홈(22)은, 본체부(11)의 상면(11a)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홈(22)은, 상하 방향에 따라 늘어나 있다. 유지홈(22)의 상단부에는 벽면이 없고, 유지홈(22)의 상단부는, 유지홈(22)의 연재 방향으로 열려 있다. 즉, 유지홈(22)은, 상단부에 개구(22k)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는, 유지홈(22)의 저면(22a)으로부터 배면측(도 6B의 우측)으로 돌출한 폴부(22b)를 가지고 있다. 폴부(22b)는, 경사면(22c)과, 유지면(22d)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22c)은, 상방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정면측부터 배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면(22d)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홈(22)은, 밸브 본체(10)가 가지는 노치이다.
부착판(84)은, 사각형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84)의 폭은, 유지홈(22)의 폭과 동일하다. 부착판(84)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부착판(84)에는, 사각형상의 개구(84a)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84a)의 내측에는, 폴부(22b)가 진입하고 있다. 폴부(22b)는, 개구(84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착판(84)의 개구(84a)의 하연(84b)이 (폴받이부)가 폴부(22b)의 유지면(22d)에 접함으로써, 부착판(84)이 유지홈(22) 내에서 개구(22k)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부착판(84)은, 하우징(70)이 가지는 회전 멈춤부이다.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때, 부착판(84)을 유지홈(22)에 상면(11a)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부착판(84)은, 개구(22k)를 통과하여, 유지홈(22)에 삽입된다. 부착판(84)의 유지홈(22)에의 삽입을 진행하면,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84)의 하단이 폴부(22b)의 경사면(22c)에 타고 올라 부착판(84)이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더욱 삽입을 진행하면 부착판(84)이 복원하여,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부(22b)가 부착판(84)의 개구(84a)에 진입한다. 즉, 부착판(84)이 폴부(22b)에 접해 있을 때(단, 폴부(22b)가 부착판(84)의 개구(84a)의 하연(84b)과 계합하고 있을 때를 제외한다), 부착판(84)이 탄성 변형하고, 폴부(22b)가 부착판(84)의 개구(84a)의 하연(84b)과 계합하고 있을 때, 부착판(84)이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한다. 이에 의해, 폴부(22b)의 유지면(22d)과 부착판(84)의 하연(84b)이 서로 걸리고(즉, 계합하고), 유지홈(22) 내에서 부착판(84)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4)이 유지홈(22) 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고정된다.
도 7은,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3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하우징의 부착판 및 그 근방을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ⅦB-Ⅶ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C는, 부착판이 탄성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고정 구조는, 밸브 본체(10)에 마련된 유지홈(23)과, 하우징(70)에 마련된 부착판(85)을 가지고 있다.
유지홈(23)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상면(11a)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제1 부분(23a)과, 제1 부분(23a)의 하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2개의 제2 부분(23b)(폴받이부)을 가지고 있다. 제1 부분(23a)은, 상하 방향에 따라 늘어나 있다. 제1 부분(23a)의 상단부에는 벽면이 없고, 제1 부분(23a)의 상단부는, 제1 부분(23a)의 연재 방향으로 열려 있다. 즉, 제1 부분(23a)은, 상단부에 개구(23k)를 가지고 있다. 제2 부분(23b)은, 본체부(11)에 마련된 단부(11b)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유지홈(23)은, 밸브 본체(10)가 가지는 노치이다.
부착판(85)은, 개략 사각형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85)의 폭은, 유지홈(23)의 제1 부분(23a)의 폭과 동일하다. 부착판(85)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부착판(85)은, 4개의 완부(腕部)(85a)와, 2개의 폴부(85b)를 가지고 있다. 4개의 완부(85a)는, 상방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4개의 완부(85a)는, 서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에 나열하여 있다. 4개의 완부(85a) 중의 중앙의 2개의 완부(85a)의 하단부에는, 폴부(85b)가 연설되어 있다. 2개의 폴부(85b)는, 완부(85a)와의 연설 개소로부터 서로 떨어지도록 횡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폴부(85b)는, 유지홈(23)의 제2 부분(23b)에 진입하고 있다. 2개의 폴부(85b)는, 2개의 제2 부분(23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폴부(85b)가 제2 부분(23b)에 진입함으로써, 부착판(85)이 유지홈(23) 내에서 개구(23k)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부착판(85)은, 하우징(70)이 가지는 회전 멈춤부이다.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때, 부착판(85)을 유지홈(23)의 제1 부분(23a)에 상면(11a)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부착판(85)은, 개구(23k)를 통과하고, 제1 부분(23a)에 삽입된다. 부착판(85)의 제1 부분(23a)에의 삽입을 진행하면,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85)의 2개의 폴부(85b)가 단부(11b)에 타고 올라 부착판(85)이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더욱 삽입을 진행하면 부착판(85)이 복원하여,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부(85b)가 유지홈(23)의 제2 부분(23b)에 진입한다. 이에 의해, 폴부(85b)와 제2 부분(23b)이 서로 걸리고(즉, 계합하고), 유지홈(23) 내에서 부착판(85)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5)이 유지홈(23) 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고정된다.
도 8은,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4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하우징의 부착판 및 그 근방을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ⅧB-Ⅷ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C는, 하우징의 부착판 및 그 근방을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이고, 부착판이 탄성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고정 구조는, 밸브 본체(10)에 마련된 유지홈(23)과, 하우징(70)에 마련된 부착판(86)을 가지고 있다. 유지홈(23)은, 도 7에 도시하는 제3 변형례의 것과 동일하다.
부착판(86)은, 개략 사각형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86)의 폭은, 유지홈(23)의 제1 부분(23a)의 폭과 동일하다. 부착판(86)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부착판(86)은, 2개의 완부(86a)와, 2개의 폴부(86b)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완부(86a)는, 상방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2개의 완부(86a)는, 서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나열하여 있다. 2개의 완부(86a)의 하단부에서의 폭방향 내측 가까이의 개소에는, 폴부(86b)가 연설되어 있다. 2개의 폴부(86b)는, 완부(86a)와의 연설 개소로부터 서로 떨어지도록 횡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폴부(86b)는, 유지홈(23)의 제2 부분(23b)에 진입하고 있다. 2개의 폴부(86b)는, 2개의 제2 부분(23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폴부(86b)가 제2 부분(23b)에 진입함으로써, 부착판(86)이 유지홈(23) 내에서 개구(23k)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부착판(86)은, 하우징(70)이 가지는 회전 멈춤부이다.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때, 부착판(86)을 유지홈(23)의 제1 부분(23a)에 상면(11a)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부착판(86)은, 개구(23k)를 통과하고, 제1 부분(23a)에 삽입된다. 부착판(86)의 제1 부분(23a)에의 삽입을 진행하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86)의 2개의 폴부(86b)가 단부(11b)에 부딪혀서 완부(86a) 및 폴부(86b)가 폭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더욱 삽입을 진행하면 완부(86a) 및 폴부(86b)가 복원하여,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부(86b)가 유지홈(23)의 제2 부분(23b)에 진입한다. 이에 의해, 폴부(86b)와 제2 부분(23b)이 서로 걸리고(즉, 계합하고), 유지홈(23) 내에서 부착판(86)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6)이 유지홈(23) 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이 밸브 본체에 고정된다.
도 9는, 도 4의 고정 구조의 제5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하우징의 부착판 및 그 근방을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ⅨB-Ⅸ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C는, 하우징의 부착판의 확대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고정 구조는, 밸브 본체(10)에 마련된 유지홈(24)과, 하우징(70)에 마련된 부착판(87)을 가지고 있다.
유지홈(24)은,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상면(11a)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홈(24)은, 상하 방향에 따라 늘어나 있다. 유지홈(24)의 상단부에는 벽면이 없고, 유지홈(24)의 상단부는, 유지홈(24)의 연재 방향으로 열려 있다. 즉, 유지홈(24)은, 상단부에 개구(24k)를 가지고 있다. 유지홈(24)은, 밸브 본체(10)가 가지는 노치이다.
부착판(87)은, 사각형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87)의 폭은, 유지홈(24)의 폭보다도 약간 크다. 부착판(87)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부착판(87)은, 2개의 완부(87a)와, 복수의 미늘(返し)(87b)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완부(87a)는, 상방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2개의 완부(87a)는, 서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나열하여 있다. 2개의 완부(87a)의 폭방향 외측의 연부에는, 복수의 미늘(87b)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미늘(87b)은, 선단이 하방을 향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판(87)은, 유지홈(24)에 압입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미늘(87b)은, 유지홈(24)의 내면(즉 본체부(11))에 파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부착판(87)이 유지홈(24) 내에서 개구(24k)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부착판(87)은, 하우징(70)이 가지는 회전 멈춤부이다.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때, 부착판(87)을 유지홈(24)에 상면(11a)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부착판(87)은, 개구(24k)를 통과하고, 유지홈(24)에 삽입된다. 부착판(87)의 유지홈(24)에의 삽입을 진행하면, 부착판(87)이 유지홈(24)에 압입됨과 함께, 복수의 미늘(87b)이, 유지홈(24)의 내면에 파들어간다. 이에 의해, 유지홈(24) 내에서 부착판(87)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7)이 유지홈(24) 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70)이 밸브 본체(10)에 고정된다.
부착판(87)이, 유지홈(24)에 압입되어 있음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판(87)이, 본체부(11)에 파들어가도록 형성된 복수의 미늘(87b)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판(87)은, 복수의 미늘(87b)이 일방의 완부(87a)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부착판(87)은, 미늘(87b)이 1개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부착판(87)은, 미늘(87b)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5∼도 9에 도시하는 고정 구조를 갖는 전동 밸브에서도, 상술한 전동 밸브(1)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술한 각 고정 구조에서, 하우징(70)을 밸브 본체(10)에 고정할 때에 부착판을 사람손에 의해 탄성 변형시켜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전동 밸브(1)의 변형례의 구성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전동 밸브(1A)는, 본체부(11)에 대신하여 본체부(11A) 및 유로 블록(11B)을 구비한 밸브 본체(10A)를 갖는 점 이외는, 상술한 전동 밸브(1)와 동일(실질 동일을 포함한다)한 구성을 갖는다. 도 10에서, 상술한 전동 밸브(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밸브 본체(10A)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이다. 밸브 본체(10A)는, 본체부(11A)와, 유로 블록(11B)과, 원통부(12)와, 차양부(13)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A)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1A)는, 유로 블록(11B)의 상면(11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1A)는, 유로 블록(11B)에 나사 구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유로 블록(11B)에는, 유로(18) 및 유로(19)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18)에는, 본체부(11A)의 유로(15)가 접속되어 있다. 유로(19)에는, 본체부(11A)의 유로(16)가 접속되어 있다.
유로 블록(11B)의 배면에는, 유지홈(21A)이 마련되어 있다. 유지홈(21A)은, 상면(11c)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홈(21A)의 저면(21a)에는, 배면측부터 정면측(도 10의 우측부터 좌측)으로 늘어나는 원형구멍인 오목부(21b)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홈(21A)에는, 하우징(70)의 부착판(82)이 상면(11c)측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된다. 부착판(82)은, 개구(21k)를 통과하고, 유지홈(21A)에 삽입된다. 유지홈(21A) 내에서 오목부(21b)와 볼록부(82a)가 서로 걸리고(즉, 계합하고), 유지홈(21A) 내에서 부착판(82)이 개구(21k)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부착판(82)이 유지홈(21A) 내에 유지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전동 밸브(1A)에서도, 상술한 전동 밸브(1)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통」이나 「직방체」 등의 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각 용어는, 실질적으로 그 용어의 형상을 갖는 부재에도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부재」는, 원통형상의 부재와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에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례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실시례에 대해,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행한 것이나, 실시례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1A: 전동 밸브
10, 10A: 밸브 본체
11, 11A: 본체부
11B: 유로 블록
11a: 상면
11b: 단부(段部)
11c: 상면
12: 원통부
12a: 감합구멍
13: 차양부
14: 밸브실
15, 16: 유로
17: 포트
18, 19: 유로
21, 21A: 유지홈
21a: 저면
21b: 오목부
21k: 개구
22: 유지홈
22a: 저면
22b: 폴부
22c: 경사면
22d: 유지면
22k: 개구
23: 유지홈
23a: 제1 부분
23b: 제2 부분
23k: 개구
24: 유지홈
24k: 개구
28: 캔
30: 구동 기구
31: 마그넷 로터
32: 밸브축 홀더
32c: 암나사
33: 가이드 부시
33a: 제1 원통부
33b: 제2 원통부
33c: 수나사
34: 밸브축
34a: 상단부
34b: 단부
35: 지지 링
36: 푸시 너트
37: 밸프폐쇄 스프링
40: 밸브체
50: 스테이터 유닛
60: 스테이터
61: 상단 스테이터
62: 하단 스테이터
63: 몰드
64: 단자 지지부
65: 단자
70: 하우징
71: 하우징 본체
72: 주벽부
73: 상벽부
74: 돔부
75: 통형상부
76: 커넥터부
80: 브래킷
81: 브래킷 본체
82: 부착판
82a: 볼록부
83: 부착판
83a: 개구
83b: 폴부
84: 부착판
84a: 개구
84b: 하연
85: 부착판
85a: 완부
85b: 폴부
86: 부착판
86a: 완부
86b: 폴부
87: 부착판
87a: 완부
87b: 미늘
90: 봉지 부재

Claims (15)

  1. 밸브 본체와,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와, 상기 밸브 본체에 접합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캔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동 밸브로서,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일방이 제1 부재이고, 타방이 제2 부재이고,
    상기 제1 부재가 노치를 가지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노치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 멈춤부를 가지고,
    상기 노치가 상기 제2 부재측의 단부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회전 멈춤부가 상기 회전 멈춤부의 상기 개구를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제1 부재이고, 상기 노치인 유지홈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부재이고, 상기 회전 멈춤부인 부착판을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캔의 축에 따라 상기 밸브 본체를 향하여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유지홈의 내면에 접해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볼록부와 계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볼록부에 접해 있을 때(단,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를 제외한다.),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폴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폴부가 계합하는 폴받이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가 상기 유지홈의 내면에 접해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폴부가 상기 폴받이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가 폴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판이 상기 폴부가 계합하는 폴받이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폴부에 접해 있을 때(단, 상기 폴부가 상기 폴받이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를 제외한다.), 상기 부착판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폴부가 상기 폴받이부와 계합하고 있을 때, 상기 부착판이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폭이 상기 유지홈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유지홈에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이 상기 밸브 본체에 파들어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늘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14.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된 금속제의 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브래킷이 원환판 형상의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의 내주연에 연설된 상기 부착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15. 밸브 본체와,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와, 상기 밸브 본체에 접합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동축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캔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밸브 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일방이 제1 부재이고, 타방이 제2 부재이고,
    상기 제1 부재가 노치를 가지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노치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 멈춤부를 가지고,
    상기 노치가 상기 제2 부재측의 단부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캔이 접합된 상기 밸브 본체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캔의 축에 따라 접근하여,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상기 캔을 삽입함과 함께 상기 회전 멈춤부를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노치에 삽입하고,
    상기 회전 멈춤부의 상기 개구를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회전 멈춤부를 상기 제1 부재에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의 조립 방법.
KR1020237010966A 2020-11-24 2021-10-29 전동 밸브 KR20230051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4513 2020-11-24
JPJP-P-2020-194513 2020-11-24
PCT/JP2021/039953 WO2022113642A1 (ja) 2020-11-24 2021-10-29 電動弁およびその組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300A true KR20230051300A (ko) 2023-04-17

Family

ID=8125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966A KR20230051300A (ko) 2020-11-24 2021-10-29 전동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53813A1 (ko)
JP (3) JP7048144B1 (ko)
KR (1) KR20230051300A (ko)
CN (1) CN1163486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3102A (ja)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31031Y1 (ko) * 1964-04-02 1968-12-17
JP2003113954A (ja) * 2001-07-31 2003-04-18 Fuji Koki Corp 電動切換弁
JP2003130244A (ja) * 2001-10-24 2003-05-08 Fuji Koki Corp 電動弁
JP4331031B2 (ja) 2004-03-26 2009-09-16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売上金入金機
JP2008014345A (ja) * 2006-07-03 2008-01-24 Fuji Koki Corp 電動弁
JP6214241B2 (ja) * 2013-06-28 2017-10-1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CN107421175B (zh) * 2013-07-23 2019-11-01 株式会社鹭宫制作所 具备电磁线圈的流体控制阀以及流体控制阀的电磁线圈单元
CN110005832A (zh) * 2018-01-04 2019-07-1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3102A (ja)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13642A1 (ko) 2022-06-02
EP4253813A1 (en) 2023-10-04
JP2022083453A (ja) 2022-06-03
JP7266921B2 (ja) 2023-05-01
JP2023084134A (ja) 2023-06-16
JP7048144B1 (ja) 2022-04-05
CN116348696A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317B1 (ko) 전동밸브
KR101165314B1 (ko) 전동밸브
KR100947917B1 (ko) 브러시 홀더
KR100947918B1 (ko) 직류 모터
US20090294713A1 (en) Flow rate control valve
JP6265943B2 (ja) 流体制御弁
CN110383402B (zh) 电气零部件组装体和车辆用制动液压控制装置
KR100482900B1 (ko) 밸브개폐 구동장치
KR20230051300A (ko) 전동 밸브
US11355993B2 (en) Housing including snap-fit connection between housing components
US20100051844A1 (en) Electromagnetic valve
WO2022113642A1 (ja) 電動弁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20220080187A (ko) 전동 밸브
CN112469936B (zh) 电动阀的组装方法及电动阀
KR20230074715A (ko) 스테이터 유닛 및 전동 밸브
CN210739453U (zh) 一种新型电磁隔膜阀
CN110094519B (zh) 电动阀
KR102605745B1 (ko) 전동 밸브
CN110094520B (zh) 电动阀
WO2024024221A1 (ja) 電動弁および電動弁装置、ならびに、電動弁装置の組立方法
CN214743491U (zh) 一种商用阀的阀芯定位结构
JP2001004057A (ja) 電動弁
KR20240089646A (ko) 전동밸브, 전동밸브 장치 및 전동밸브 장치의 조립 방법
JP6999502B2 (ja) 流量制御弁
JP2000346226A (ja) 電動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