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639A - 화물 보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화물 보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639A
KR20230048639A KR1020220108372A KR20220108372A KR20230048639A KR 20230048639 A KR20230048639 A KR 20230048639A KR 1020220108372 A KR1020220108372 A KR 1020220108372A KR 20220108372 A KR20220108372 A KR 20220108372A KR 20230048639 A KR20230048639 A KR 2023004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inge
groove
protrusion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오렉 스콧
릴번 제이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60R13/013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e.g. for accessing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화물 보관 조립체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제1패널, 제2패널, 중첩부 및 힌지를 포함한다. 힌지는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2패널을 제1패널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패널은 제1패널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패널에 근접한 홈을 갖는다. 제2패널은 제2패널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패널에 근접한 돌출부를 갖는다. 제2패널의 돌출부는 제1패널의 홈과 크기가 대응된다. 중첩부는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수평 구성에 있을 때 홈과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화물 보관 조립체{CARGO STORAGE ASSEMBLY}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화물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다양한 유형의 화물을 운송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식료품, 크고 긴 상자, 젖거나 더러운 품목, 여행 가방, 및 여러 개의 작은 품목을 운송할 수 있다. 차량은 일반적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트렁크를 포함한다. 그러나 트렁크는 이러한 품목을 운반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물체는 주행 중 굴러다니거나 트렁크를 열 때 떨어질 수 있어 손상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트렁크의 창은 일부 품목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여 잠재적인 도난 위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현재 트렁크는 트렁크 내 품목의 안전을 보장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화물에 맞게 재구성할 수 없다.
본 개시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위한 방법, 시스템, 장치 및 제조 물품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제1패널, 제2패널, 중첩부, 및 힌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1패널은 제1패널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패널에 근접한 홈을 갖는다. 제2패널은 제2패널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패널에 근접한 돌출부를 갖는다. 제2패널의 돌출부는 제1패널의 홈과 크기가 대응한다. 중첩부는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수평 구성에 있을 때 홈과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다. 힌지는 제1패널의 홈에 결합되고, 제2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힌지는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시키도록 제2패널을 제1패널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시스템은 수직 배향으로 제2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언더플로어 구획 내의 노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은 제2패널이 제1패널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힌지를 회전시키고 제2패널을 노치에 삽입하여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를 회전시켜 힌지는 제1패널의 홈을 제2패널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시스템은 언더플로어 구획 내의 측면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측면 브라켓은 제2패널을 수직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패널은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하도록 측면 브라켓을 지나 제1패널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안내된다. 일부 변형에서, 시스템은 제1패널과 언더플로어 구획 사이에 고정벽을 더 포함하고, 고정벽은 제2패널을 노치 내로 삽입할 때 제2패널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시스템은 화물 적재 바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패널의 홈과 제2패널의 돌출부의 중첩부는 언더플로어 구획이 노출되도록 화물 적재 바닥에 대해 각도로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회동시키는 동안 유지된다. 일부 변형에서, 시스템은 수평 구성에서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화물 적재 바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수평 구성에서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화물 적재 바닥은 언더플로어 구획을 둘러싼다. 홈은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에 근접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에서 상기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 시트와 차량 후방 도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는 피아노 힌지 유형, U-채널 힌지 유형, 리빙 힌지 유형 및 인터레이스드 힌지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이다.
다른 양상에서, 차량의 보관 구성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결합된 힌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는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패널을 제1패널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제2패널을 언더플로어 구획의 노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노치는 수직 배향으로 제2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홈은 제1패널의 상면을 따라 그리고 제2패널에 근접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2패널은 제2패널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패널에 근접한 돌출부를 가지며, 돌출부는 크기가 제1패널의 홈에 대응하고 제1패널의 홈과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힌지를 회전시키면 제1패널의 홈이 제2패널의 돌출부로부터 분리된다. 방법은 제1패널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언더플로어 구획에 위치된 측면 브라켓 너머로 제2패널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브라켓은 제2패널을 수직 배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패널을 노치에 삽입하면 제2패널의 돌출부가 제1패널과 언더플로어 구획 사이에 고정벽을 생성하도록 야기한다. 방법은 화물 적재 바닥에 대해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각도로 회동시키는 동안, 제1패널의 홈과 제2패널의 돌출부의 중첩부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 구성의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의 화물 적재 바닥을 형성하고,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수평 구성에서 언더플로어 구획을 둘러싼다. 일부 변형에서, 홈은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에 근접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의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 시트와 차량 후방 도어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변형에서, 힌지는 피아노 힌지 유형, U-채널 힌지 유형, 리빙 힌지 유형 및 인터레이스드 힌지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차량의 보관 구성을 수정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포함하고, 제1패널은 제1패널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패널에 근접한 홈을 갖고, 제2패널은 제2패널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패널에 근접한 돌출부를 갖는다. 제2패널의 돌출부는 제1패널의 홈에 크기가 대응한다. 시스템은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수평 구성에 있을 때 홈과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첩부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제1패널의 홈에 결합되고 제2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며, 힌지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2패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시스템은 상승된 구성에서 제2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제2패널은 제1패널에 대해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제2패널은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된 구성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중첩부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브라켓을 지나는 각도로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회전시키는 동안 유지된다. 추가로, 시스템은 제2패널을 상승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브라켓을 수용하고 전개하도록 구성된 사이드 트림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브라켓은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제2패널은 제1패널의 홈을 제2패널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하향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평 구성의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의 화물 적재 바닥을 형성한다. 또한, 홈은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에 근접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에서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 시트와 차량 후방 도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는 피아노 힌지 유형, U-채널 힌지 유형, 리빙 힌지 유형 및 인터레이스드 힌지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차량의 보관 구성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제1패널에 대해 제2패널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패널은 제1패널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2패널에 근접한 홈을 갖고, 제2패널은 제2패널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된 제1패널에 근접한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방법은 제1패널의 홈에 결합되고 제2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된 힌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힌지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2패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패널의 돌출부는 제1패널의 홈과 크기가 대응하고, 돌출부는 제1패널의 홈과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덮여진 화물 영역은 제2패널을 상승된 구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하고, 덮여진 화물 영역은 제2패널이 상승된 구성에서 브라켓으로 지지되도록 힌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덮여진 화물 영역은 제1패널과 제2패널을 브라켓을 지나는 각도로 회동시키는 동안 제1패널의 홈과 제2패널의 돌출부의 중첩부를 유지함으로써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브라켓은 제2패널을 상승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전개 가능하고, 덮여진 화물 영역은 사이드 트림 패널에 위치한 브라켓을 전개함으로써 생성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덮여진 화물 영역은 제2패널의 바닥면이 브라켓에 안착되도록 제2패널을 아래로 회전시킴으로써 생성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제2패널을 아래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패널의 홈을 제2패널의 돌출부로부터 분리시킨다. 또한, 수평 구성의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의 화물 적재 바닥을 형성한다. 또한, 홈은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에 근접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의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 시트와 차량 후방 도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는 피아노 힌지 유형, U-채널 힌지 유형, 리빙 힌지 유형 및 인터레이스드 힌지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이다.
여기에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변형의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주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현재 개시된 주제의 특정 특징이 예시 목적으로 설명되지만, 그러한 특징이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을 따르는 청구 범위는 보호 대상의 범위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내구성이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다양한 화물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유연한 화물 활용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벽은 트렁크의 다른 부분 주위에서 화물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울타리 또는 장벽을 만들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고정벽 및 노출된 언더플로어 구획이 있는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메인 화물 바닥이 있는 구성에서 식료품을 운반하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예시하는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고정벽 및 노출된 언더플로어 구획이 있는 식료품을 운반하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수평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5b는 상승된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5c는 회전된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5d는 수직 구성의 제2패널을 갖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화물 보관 조립체용 힌지의 다른 예로서 피아노 힌지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6b는 화물 보관 조립체용 힌지의 다른 예로서 U-채널 힌지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6c는 화물 보관 조립체용 힌지의 다른 예로서 리빙 힌지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6d는 화물 보관 조립체용 힌지의 다른 예로서 인터레이스드 힌지(interlaced hinge)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7a는 상이한 힌지 유형을 갖는 다수의 패널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7b는 상이한 힌지 유형을 갖는 다수의 패널의 다른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언더플로어 구획으로 내려가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언더플로어 구획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올라간 구성의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a는 수평 구성의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b는 올라간 구성의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c는 브라켓이 전개된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d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된 구성의 제2패널을 갖는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차량" 또는 "차량의"라는 용어 또는 기타 유사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을 포함하는 승용차,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차, 다양한 보트 및 배를 포함하는 선박, 항공기 등을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수소 동력 차량 및 기타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 이외의 자원에서 얻어지는 연료)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은 2개 이상의 동력원, 예를 들어 가솔린 동력 차량 및 전기 동력 차량 모두를 갖는 차량이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시적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유닛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예시적인 절차는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제어기/제어 유닛이라는 용어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메모리는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을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더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되고 열거된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이라는 용어는 관련 기술에서 통상적인 공차 범위 내, 예를 들어 평균의 2 표준 편차 내로 이해된다. "약"은 언급된 값의 10%, 9%, 8%, 7%, 6%, 5%, 4%, 3%, 2%, 1%, 0.5%, 0.1%, 0.05% 또는 0.01% 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문맥으로부터 달리 명백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모든 수치 값들은 용어 "약"에 의해 수정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화물 보관 조립체는 그 보관 구조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다양한 유형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보관 조립체는 크고 긴 상자를 적재하도록 구성되거나 여러 개의 작은 품목을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차량 후방의 트럭에 위치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트렁크 주위에 물체가 굴러다니는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화물 보관 조립체는 구조를 다른 구성으로 조정하여 트렁크 내의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보관 조립체는 더 작은 품목을 보관할 수 있는 언더플로어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의 언더플로어 구획은 트렁크 도어가 열릴 때 트렁크에서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렁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물건을 분리한 채 유지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은 메인 화물 바닥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플로어 구획은 화물 보관 조립체의 더 후방 부분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은 메인 차량 바닥 아래에 물건을 숨기는데 사용할 수 있다.
고정벽은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시키도록 화물 보관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량의 메인 바닥과 언더플로어 구획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고정벽은 물건이 언더플로어 구획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언더플로어 구획에 있는 더 큰 품목을 추가로 지지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벽은 또한 차량의 메인 바닥과 언더플로어 구획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화물 덮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화물 보관 조립체를 트렁크 내의 더 높은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 상승된 위치는 외부에서 차량 내부를 보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보관 조립체는 사람이 트렁크 내의 물품을 보는 것을 차단하여 잠재적인 도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창 근처에서 상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시스템 및 장치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위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는 차량의 보관 구성을 수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또한 트렁크 내로의 시야를 차단하기 위한 화물 덮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도를 도시한다. 분해도는 차량 또는 트렁크의 후방 부분을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의 구성 요소는 힌지(130)와 함께 결합되는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제2패널(120)을 수직 위치에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을 수직 위치에 구성하는 것은 화물 적재를 분리하고 트렁크에서 물건이 굴러다니는 것을 방지하도록 트렁크의 영역을 서로 다른 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포함한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전방 벽, 후방 벽, 측벽(150), 및 측벽에 있는 브라켓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벽, 후방 벽 및 측벽(150)은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윤곽을 형성한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바닥은 노치(14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145)는 제2패널(120)을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바닥에 고정하여 패널이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바닥을 가로질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두 개의 패널이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의 메인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힌지(130)로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보다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패널(110)은 제2패널(120)보다 차량의 전방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제2패널(120)은 트렁크의 후방 부분과 일치하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전방 벽과 후방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벽은 후방 벽보다 차량의 전방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전방 벽의 상면은 제1패널(110)을 지지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벽은 전방 벽보다 차량의 후방에 더 가까울 수 있다. 후방 벽은 만곡될 수 있고 차량의 범퍼에 평행할 수 있다. 후방 벽의 상면은 제2패널(120)을 지지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벽의 노치 또는 후방 벽의 노치는 벽에 함몰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2개의 측벽(150)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측벽(150)은 수직 위치에서 보조 패널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수직 패널이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바닥을 가로질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패널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브라켓은 수직 패널이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바닥을 가로질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패널을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은 힌지(130)에 의해 상이한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힌지(130)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화물 보관 조립체와 달리,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피하기 위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보관 구성은 제1패널(110)에 대하여 제2패널(120)을 회전하여 생성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부분 중첩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에는 힌지(130)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이 노출되도록 제2패널(120)을 제1패널에 대하여 수직 배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130)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도록 제1패널(110)을 제2패널(120)에 대하여 수직 배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중첩되는 부분은 트렁크의 모든 부분이 활용될 가능성을 높여 트렁크의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패널의 중첩 부분은 차량 후방에 화물을 실을 수 없는 데드 스페이스를 방지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메인 화물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수평 구성일 때 평평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덮을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힌지(130)를 통해 패널을 회동시킴으로써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도록 접힐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을 결합할 수 있다. 힌지(130) 메인 화물 바닥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힌지(130)는 중첩 부분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있을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20)의 가장자리가 제2패널(120)의 돌출부의 베이스와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제1패널(110)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제2패널(120)에 근접할 수 있다. 홈은 제1패널(11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패널(110)은 중첩 부분을 구성하는 홈을 갖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제1패널(110)의 깊이의 대략 절반만큼 연장될 수 있다. 홈은 제1패널(1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120)에 근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홈은 절개부일 수 있다.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은 제1패널(110)의 절개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패널(120)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제1패널(110)에 근접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제2패널(120)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은 바닥면의 중첩 부분을 구성하는 돌출부를 갖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제2패널(120)의 높이 또는 깊이의 대략 절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절개부일 수 있다. 제1패널(110)의 중첩 부분은 제2패널(120)의 절개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의 돌출부는 제1패널(110)의 홈과 그 크기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2패널(120)의 돌출부는 제1패널(110)의 홈과 그 형상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 및 홈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패널은 힌지(130)를 중심으로 패널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을 이용하여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에 대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제2패널(120)은 핸들의 위치를 조작하여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중첩부는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중첩부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수평 구성일 때 형성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접힐 때 중첩부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130)는 힌지(130)를 회전시켜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힌지(130)는 제2패널(120)의 바닥면에서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고정벽(310)과 노출된 언더플로어 구획(140)이 있는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의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트렁크 문이 열렸을 때 물품이 트렁크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물품이 트렁크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화물 보관 조립체의 가장 후방 부분에 있을 수 있고 메인 차량 바닥 아래에 물품을 숨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제2패널(120) 또는 후방 패널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제1패널(110) 또는 전방 패널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패널(110)을 접으면 제1패널(110) 아래의 언더플로어 구획(140)이 노출될 수 있고, 제2패널(120)을 접으면 제2패널(120) 아래의 언더플로어 구획(140)이 노출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노치(14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145)는 수직 배향으로 제2패널(12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노치(145)는 언더플로어 구획(140) 근처에 또는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노치(145)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함몰부일 수 있다. 노치(145)의 폭은 대략 제1패널(110) 또는 제2패널(120)의 깊이일 수 있다. 노치(145)의 깊이는 제1패널(110) 또는 제2패널(120)을 수직 배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힌지(130)를 회전시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힌지(130)를 이용하여 제2패널(120)을 수평 구성에서 수직 구성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에 대략 수직이 되도록 힌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힌지(130)를 통해 제1패널(110)로부터 제2패널(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패널(120)이 수직 배향에 있으면, 사용자는 제2패널(120)을 노치(145)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브라켓은 수직 배향으로 제2패널(12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은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은 제2패널(120)이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가로질러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브라켓은 제2패널(120)이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부터 고정하기 위해 두 개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패널(120)은 브라켓을 넘어 제1패널(110)에 대한 수직 배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1패널(110)에 대해 제2패널(120)을 접는 것은 고정벽(310)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벽(310)은 제2패널(120)이 수직 배향일 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벽(310)은 제2패널(120)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벽(310)의 베이스는 힌지(1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벽(130)의 상단은 제2패널(120)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벽(310)은 차량의 메인 화물 바닥과 언더플로어 구획(140) 사이를 분리하여 물체가 언더플로어 구획(140)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메인 화물 바닥이 있는 구성으로 식료품을 운반하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예시하는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화물 적재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화물 적재 바닥은 수평 구성일 수 있고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둘러쌀 수 있다.
이 구성에서, 화물 보관 조립체는 메인 화물 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주행 중 일부 물품이 굴러다니거나 트렁크 문을 열었을 때 트렁크에서 떨어질 수 있으므로 작은 물품을 운반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b는 고정벽(310)과 노출된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갖는 식료품을 운반하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의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트렁크 문이 열릴 때 트렁크에서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트렁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물품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화물 보관 조립체의 가장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은 메인 차량 바닥 아래에 아이템을 숨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고정벽(310)은 차량의 메인 바닥과 언더플로어 구획(140)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이 고정벽(310)은 물체가 언더플로어 구획(140)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벽(310)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언더플로어 구획(140)에 위치한 큰 물건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벽(310)은 차량의 메인 바닥과 언더플로어 구획(140)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도 5a는 수평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측면도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중첩 부분을 보여줄 수 있다. 측면도는 제2패널(120)의 돌출부와 제1패널(110)의 홈을 또한 보여줄 수 있다. 제2패널(120)의 돌출부는 제1패널(110)의 홈과 중첩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수평 구성에서 언더플로어 구획(140)이 노출되는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수평 구성에서,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부분 중첩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하도록 제2패널(120)을 제1패널(110)에 대하여 수직 배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130)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도록 제1패널(110)을 제2패널(120)에 대하여 수직 배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은 트렁크의 모든 부분이 활용될 가능성을 높여 트렁크의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패널의 중첩 부분은 차량 후방에 화물을 실을 수 없는 데드 스페이스를 방지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메인 화물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수평 구성일 때 평평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덮을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힌지(130)를 통해 패널 중 하나를 회동시킴으로써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도록 접힐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을 결합할 수 있다. 힌지(130)는 메인 화물 바닥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130)는 중첩 부분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있을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2패널(120)의 돌출부의 베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b는 상승된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수평 구성에서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를 전환하여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을 들어 올려 제1패널(110)에 대해 제2패널(12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의 돌출부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은 제2패널(120)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유지될 수 있다.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는 수평 위치에서 화물 적재 바닥에 대해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2패널(120)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의 전방 가장자리에 대해 각도로 상승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c는 회전된 구성의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수평 구성에서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를 전환하여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에 결합된 힌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홈에 결합되고, 제2패널(120)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2패널(120)을 제1패널(110)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회전시켜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130)를 회전시키면 제1패널의 홈이 제2패널(120)의 돌출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2패널(120)을 언더플로어 구획(140)에 위치한 브라켓을 넘어 제1패널(110)에 대한 수직 배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널을 힌지(130)에 대해 대략 수직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브라켓은 제2패널(120)이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바닥을 가로질러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d는 수직 구성의 제2패널(120)을 갖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수평 구성에서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는 수직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를 전환하여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2패널(120)은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노치(145)에 삽입될 수 있다. 노치(145)는 제2패널(120)을 수직 배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벽(310)은 제2패널(120)을 노치(145)에 삽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벽(310)은 제1패널(110)과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분할할 수 있다.
도 6a는 화물 보관 조립체에 사용되는 힌지의 예로서 피아노 힌지(610)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피아노 힌지(610)는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홈 및 돌출부를 중심으로 연장되어 두 패널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피아노 힌지(61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의 상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구성된 상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층은 중첩 부분에서 두 패널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부 층은 고정벽(310)의 높이를 연장할 수 있다. 피아노 힌지(610)는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 주위에서 조작될 때 상이한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b는 화물 보관 조립체용 힌지의 다른 예로서 U-채널 힌지(620)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U-채널 힌지(620)는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 아래에서 연장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홈과 돌출부의 밑면을 보강하여 두 패널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U-채널은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을 중심으로 조작됨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c는 화물 보관 조립체용 힌지의 다른 예로서 리빙 힌지(630)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리빙 힌지(630)는 제1패널(110)의 홈의 상면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의 바닥면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홈과 돌출부를 중심으로 연장되어 두 패널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리빙 힌지(630)는 홈의 상면과 돌출부의 하면 사이에 삽입되어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리빙 힌지(630)는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 주위에서 조작됨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d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위한 힌지의 다른 예로서 인터레이스드 힌지(interlaced hinge)(640)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인터레이스드 힌지(640)는 제1패널(110)의 홈의 바닥면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의 바닥면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홈 및 돌출부를 중심으로 연장되어 두 패널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인터레이스드 힌지(640)는 홈의 바닥면과 돌출부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어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인터레이스드 힌지(640)는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 주위에서 조작됨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는 상이한 힌지 유형을 갖는 다수의 패널의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패널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 및 제3패널(1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채널 힌지(6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패널(120)과 제3패널(12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인터레이스드 힌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채널 힌지(6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패널(120)과 제3패널(12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리빙 힌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상이한 힌지 유형을 갖는 다수의 패널의 다른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패널이 상이한 힌지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 및 제3패널(1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채널 힌지(620)를 포함하고, 제2패널(120)과 제3패널(12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채널 힌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인터레이스드 힌지(6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패널(120)과 제3패널(12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피아노 힌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언더플로어 구획(140)으로 내려가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큰 품목을 저장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화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차량 트렁크의 공간을 최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언더플로어 구획(140) 내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은 수평 구성으로 언더플로어 구획(140) 내로 아래로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함께 슬라이딩되거나 부분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언더플로어 구획(140) 내에 패널이 안착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언더플로어 구획 내에 있는 동안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중첩 부분을 유지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차량 트렁크의 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언더플로어 구획(140)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화물 보관 조립체는 제거될 수 있다. 제1패널(110), 제2패널(120) 및 힌지(130)는 차량 트렁크에서 제거되어 언더플로어 구획(140)의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에서 물품에 빠르게 접속하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된 구성에 놓여 있을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제2패널(120)은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 위로 올라간 위치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중첩 부분은 제2패널(120)의 바닥면이 제1패널(110) 위로 접히거나 미끄러질수록 증가될 수 있다.
도 10은 올라간 구성의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도의 예를 도시한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힌지(130)에 의해 서로 다른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힌지(130)는 화물 덮개 구성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화물 덮개 조립체와 달리,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은 메인 화물 바닥에서 화물 덮개로 전환될 수 있다. 화물 덮개 구조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트렁크 내의 더 높은 위치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 올라간 위치는 차량 내부로의 시야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보관 조립체는 사람이 트렁크에 있는 물품을 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창 근처로 올라갈 수 있다.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는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부분 중첩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에는 힌지(130)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덮개가 있는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2패널(1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중첩 부분은 트렁크의 모든 부분을 덮을 가능성을 높여 트렁크 내의 덮여진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중첩 부분은 제2패널(120)을 창에 가깝게 연장하여 트렁크 내부로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메인 화물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수평 구성에 있을 때 평평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의 제2패널(120)은 힌지(130)를 통해 승강 및 회전되어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을 결합할 수 있다. 힌지(130)는 메인 화물 바닥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130)는 중첩 부분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있을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2패널(120)의 돌출부의 베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패널(110)은 홈을 가질 수 있다. 홈은 제1패널(11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패널(120)에 근접할 수 있다. 제1패널(110)은 상면에 중첩 부분을 위한 홈이 있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제1패널(110)의 깊이의 대략 절반만큼 연장될 수 있다. 홈은 제1패널(1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120)에 근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홈은 절개부일 수 있다.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은 제1패널(110)의 절개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패널(120)은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제2패널(120)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패널(110)에 근접할 수 있다. 제2패널(120)은 바닥면의 중첩 부분을 위한 돌출부를 갖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제2패널(120)의 높이 또는 깊이의 대략 절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절개부일 수 있다. 제2패널(120)의 중첩부는 제2패널(120)에서 절개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의 돌출부는 제1패널(110)의 홈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 패널은 힌지(130)를 중심으로 패널을 회전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패널(120)은 핸들을 이용하여 제1패널(110)에 대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제2패널(120)은 핸들의 위치를 조작하여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중첩부는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중첩부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수평 구성에 있을 때 형성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접힐 때 중첩부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130)는 힌지(130)를 회전시켜 제2패널(120)의 돌출부에서 제1패널(110)의 홈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고, 힌지(130)는 제2패널(120)의 바닥면에서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는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110) 및 제2패널(120)은 하부 트렁크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보다 높게 올라갈 수 있고, 제1패널(110)보다 후방 윈도우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은 올라간 구성에서 제2패널(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에 대해 올라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브라켓을 지나는 각도로 회동되어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는 반면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은 유지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은 올라간 구성에서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힌지(130)를 회전시켜 형성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2패널(120)이 제1패널(110) 위로 올라간 경우 제2패널(120)을 수평 구성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힌지(130)는 트렁크 측면에 위치한 전개 가능한 브라켓(160)에 안착하도록 제2패널(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패널(120)은 제2패널(120)의 바닥면이 브라켓에 안착되도록 하강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패널(120)이 전개 가능한 브라켓(160)과 대략 평행하도록 힌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패널(120)을 회전시키면 제1패널(110)의 홈을 제2패널(120)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2패널(120)이 승강되어 회전되면, 사용자는 제2패널(120)을 지지하기 위해 브라켓을 전개할 수 있다. 브라켓은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트림 패널은 제2패널(120)을 올라간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브라켓을 수용하고 전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a는 수평 구성의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측면도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 사이의 중첩 부분을 도시한다. 측면도는 제2패널(120)의 돌출부와 제1패널(110)의 홈을 도시한다. 제2패널(120)의 돌출부는 제1패널(110)의 홈과 중첩될 수 있다. 화물 적재 바닥은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수평 구성에서 언더플로어 구획(140)이 노출되는 구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수평 구성에서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중첩될 수 있다. 중첩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에 대해 올라갈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에는 힌지(130)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제2패널(1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여진 화물 구역은 차량의 창문을 통해 메인 화물 바닥에 있는 내용물을 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메인 화물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이 수평 구성일 때 평평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덮여진 화물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화물 바닥은 제2패널(120)을 승강시키고 제2패널(120)을 회전시켜 전개 가능한 브라켓(160)에 안착시킴으로써 덮혀진 화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을 결합할 수 있다. 힌지(130)는 메인 화물 바닥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중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130)는 중첩 부분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있을 수 있다. 제1패널(110)과 제2패널(120)은 제1패널(110)의 가장자리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130)는 제2패널(120)의 돌출부의 베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b는 올라간 구성의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덮여진 화물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수평 구성에서 전환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를 전환하여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을 들어 올려 제1패널(110)에 대해 제2패널(12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의 중첩은 제2패널(120)이 들어 올려질 때 유지될 수 있다. 제1패널(110)의 홈과 제2패널(120)의 돌출부는 수평 위치에서 화물 적재 바닥에 대해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2패널(120)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의 전방 가장자리에 대해 각도로 상승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메인 화물 바닥은 제1패널(110)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패널(120)을 전개 가능한 브라켓(160)을 지나는 각도로 들어올릴 수 있다.
도 11c는 브라켓이 전개된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수평 구성에서 전환될 수 있다.
이 화물 보관 조립체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올라간 구성에서 제2패널(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전개 가능한 브라켓(160)을 갖는 사이드 트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화물 보관 조립체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이드 트림 패널에 있는 브라켓을 전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이드 트림 패널에서 브라켓을 잡아당길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사이드 트림 패널에서 브라켓을 슬라이드하거나, 비틀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d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된 구성의 제2패널(120)을 갖는 덮개가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수평 구성에서 전환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를 전환하여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패널(120)의 바닥면이 브라켓에 안착되도록 제2패널(120)을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다. 힌지(130)는 제1패널(110)의 홈에 결합될 수 있고, 제2패널(120)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언더플로어 구획(140)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2패널(120)을 제1패널(110)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130)를 회전시키면 제1패널(110)의 홈을 제2패널(120)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기술적 이점은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내구성이 있는 화물 보관 조립체를 야기할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다양한 화물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유연한 화물 활용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벽은 트렁크의 다른 부분 주위에서 화물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울타리 또는 장벽을 만들 수 있다. 화물 보관 조립체는 물품이 차량 후방으로 굴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언더플로어 보관통을 포함할 수 있다. 언더플로어 구획은 바닥의 메인 수납 바닥 아래에 물건을 숨길 수 있다. 추가로, 화물 보관 조립체는 그 구조를 화물 덮개로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물 덮개 구성은 사람이 트렁크 내의 화물을 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화물 덮개 구성으로 인해 더 큰 품목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많은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고,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본 개시의 이러한 모든 특징 및 이점을 포함하는 것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의도된다. 또한,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개시를 예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성 및 작동으로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모든 적합한 수정 및 균등물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20)

  1. 차량의 보관 구성을 수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패널은 상기 제1패널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2패널에 근접한 홈을 가지고,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1패널에 근접한 돌출부를 가지며, 제2패널의 돌출부는 제1패널의 홈에 크기가 대응하고,
    상기 시스템은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수평 구성에 있을 때 홈과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첩부; 그리고
    제1패널의 홈에 결합되고 제2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힌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언더플로어 구획을 노출시키도록 제2패널을 제1패널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 배향으로 제2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언더플로어 구획 내의 노치를 더 포함하고,
    언더플로어 구획은
    제2패널이 제1패널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힌지를 회전시키고,
    제2패널을 노치에 삽입함으로써 노출되도록 구성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회전시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홈을 상기 제2패널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언더플로어 구획 내의 측면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 브라켓은 제2패널을 수직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패널은 언더플로어 구획이 노출되도록 측면 브라켓을 지나 제1패널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안내되는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제1패널과 언더플로어 구획 사이의 고정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벽은 제2패널을 노치에 삽입할 때 제2패널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화물 적재 바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의 홈과 상기 제2패널의 돌출부의 중첩부는 언더플로어 구획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화물 적재 바닥에 대해 각도로 회동시키는 동안 유지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수평 구성에서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화물 적재 바닥을 더 포함하고,
    수평 구성에서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화물 적재 바닥은 언더플로어 구획을 둘러싸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홈은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에 근접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에서 상기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은 차량 시트와 차량 후방 도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는 피아노 힌지 유형, U-채널 힌지 유형, 리빙 힌지 유형, 그리고 인터레이스드 힌지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인 시스템.
  11. 차량의 보관 구성을 수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패널은 상기 제1패널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2패널에 근접한 홈을 가지고,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1패널에 근접한 돌출부를 가지며, 제2패널의 돌출부는 제1패널의 홈에 크기가 대응하고,
    상기 시스템은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수평 구성에 있을 때 홈과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첩부; 그리고
    상기 제1패널의 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힌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패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승된 구성에서 제2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제2패널은 제1패널에 대해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제2패널은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된 구성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중첩부는 상기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을 지나는 각도로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회전시키는 동안 유지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제2패널을 상승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브라켓을 수용 및 전개하도록 구성된 사이드 트림 패널을 더 포함하고,
    브라켓은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이 상기 브라켓 상에 안착되어 덮여진 화물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향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패널은 제1패널의 홈을 제2패널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하도록 하향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수평 구성의 제1패널 및 제2패널은 차량의 화물 적재 바닥을 형성하는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홈은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하부 가장자리는 제2패널에 근접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2패널의 바닥면에서 상기 돌출부의 베이스에 결합되는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은 차량 시트와 차량 후방 도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는 피아노 힌지 유형, U-채널 힌지 유형, 리빙 힌지 유형, 그리고 인터레이스드 힌지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인 시스템.
KR1020220108372A 2021-09-23 2022-08-29 화물 보관 조립체 KR20230048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83,283 US11851027B2 (en) 2021-09-23 2021-09-23 Cargo storage assembly
US17/483,283 2021-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639A true KR20230048639A (ko) 2023-04-11

Family

ID=8557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372A KR20230048639A (ko) 2021-09-23 2022-08-29 화물 보관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1027B2 (ko)
KR (1) KR20230048639A (ko)
CN (1) CN1158482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67048A (ja) * 2021-04-22 2022-11-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荷室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387A (ja) 2001-11-28 2003-06-10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車両用荷室構造
US6811196B2 (en) 2003-01-13 2004-11-02 Collins & Aikman Products Co. Vehicle cargo management apparatus having movable cargo support arm
JP2008247167A (ja) 2007-03-30 2008-10-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荷室構造
DE102007042371A1 (de) * 2007-09-06 2009-03-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Höhenverstellvorrichtung für den Ladeboden eines Kraftfahrzeugs
ES1067524Y (es) 2008-03-14 2008-08-16 Seat Sa Bandeja posterior para automoviles.
ATE539917T1 (de) * 2008-11-11 2012-01-15 Fiat Group Automobiles Spa Höhenverstellbare ladungsablage für einen kofferraum eines kraftfahrzeugs
EP2522550B1 (en) * 2011-05-11 2014-01-22 Fiat Group Automobiles S.p.A. Trunk of a motor vehicle
EP2578453B1 (en) 2011-10-06 2018-01-03 Volvo Car Corporation Stow away luggage load floor with grocery bag holding properties
US9278647B2 (en) * 2014-05-30 2016-03-0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9096178B1 (en) * 2014-05-30 2015-08-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9073488B1 (en) * 2014-05-30 2015-07-0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JP2016011003A (ja) * 2014-06-27 2016-01-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トノボード
DE102014011565A1 (de) * 2014-08-02 2016-02-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multifunktionalem Kofferraumboden
DE102015013198A1 (de) 2015-10-12 2017-04-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Heckraumanordnung für ein Fahrzeug, Fahrzeug mit der Heckraumanordnung und Verfahren zur Bildung einer Notausstiegsöffnung aus einem Kofferraum einer Heckraumanordnung
DE102017215224A1 (de) 2017-08-31 2019-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deboden für den Gepäckraum eines Kraftfahrzeuges
JP7025708B2 (ja) * 2017-12-14 2022-02-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デッキボードの支持構造
US11420565B2 (en) * 2020-12-18 2022-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go divider assembly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48274A (zh) 2023-03-28
US20230089761A1 (en) 2023-03-23
US11851027B2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9592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US7059646B1 (en) Cargo management system having vehicle load floor with cargo cage
US6254162B1 (en) Stowable cargo restraining walled enclosure assembly and method
US6481773B1 (en) Removable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6540279B1 (en) Underseat storage arrangement
US20080169668A1 (en) Vehicle trunk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structure
RU2500552C1 (ru) Система сидений с багажной полкой
US5598962A (en) Security trunk for sport utility vehicles
JP5672629B2 (ja) ドアトリム
US20040105744A1 (en) Moveable load floor convenience center in automotive applications
US20140252811A1 (en) Center console auditorium tray
US20070085363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EP2078636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vehicle luggage systems
US20070187969A1 (en) Cargo Storage Compartment and Access Thereto
US20180016817A1 (en) Securement system for a storage area of a vehicle
CN107618444B (zh) 车辆的货物管理系统
KR20230048639A (ko) 화물 보관 조립체
KR950023550A (ko) 차량용 화물 분류기
CN116654119A (zh) 包括可转换工作站的车辆
CN210707177U (zh) 一种用于汽车副驾驶仪表板的置物装置及汽车
JP2006290353A (ja) 自動車後部の荷室構造
US10800336B2 (en) Free floating cover panel for storage area,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9849798B (zh) 用于车辆的覆盖架设备
JP5053300B2 (ja) 自動車の荷室底部構造
JP2020093632A (ja)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