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663A -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663A
KR20230035663A KR1020237004924A KR20237004924A KR20230035663A KR 20230035663 A KR20230035663 A KR 20230035663A KR 1020237004924 A KR1020237004924 A KR 1020237004924A KR 20237004924 A KR20237004924 A KR 20237004924A KR 20230035663 A KR20230035663 A KR 2023003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ofu
tofu dough
dough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이치로 타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3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9/00Cutting apparatus combined with punching or perforating apparatus or with dis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비용을 억제하면서, 위생적으로, 정밀도 있게 모서리부(角部)를 절단할 수 있는, 두부 생지(生地)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는, 시트 형상 두부 생지의 반송(搬送)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橫切刃)을 가지는 제1 절단부, 및,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縱切刃)과, 세로절단날의 적어도 일단부(一端部)에 설치되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을 일체화한 복합 절단날을 가지는 제2 절단부를 구비하는 절단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
[0001] 본 발명은, 수제 튀긴 두부, 얇은 유부, 튀긴 두부, 설튀긴 두부 등의 유부를 제조하기 위한 두부 생지(生地)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 유부초밥용의 유부로서, 외관이나 식감의 장점을 고려하여, 모서리부(角部)를 둥글게, 혹은 비스듬히 커팅하여 형성한 것이 다양하게 고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3 참조).
[0003]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유부의 제조 방법에서는, 연속 반송(搬送)되는 시트 형상 유부 생지를 종횡의 복수 행렬로 절단하는 동시에, 모서리에 상당하는 부분을 타발날(打拔刃)에 의해 대략 사각으로 타발하고, 타발된 기둥 형상(柱狀)의 가장자리(耳)를 흡인하여 제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0004]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프라이어의 튀김틀의 내측에, 유부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하거나, 또는 생지의 모서리를 미리 비스듬히 커팅하고, 튀겨서 생지가 팽화될 때 모서리를 둥글게 하도록 성형하는 성형판을 부착하고, 이 튀김틀 내에 생지를 넣고, 유조(油槽) 내에서 가열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유부의 모서리를 둥글게 성형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생지의 모서리를 둥글게 또는 약 45°로 커팅한 유부가 개시되어 있다.
[0005] 또한, 유부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불량 생지를 재생하는 유부 생지의 재생 제조 방법이 특허문헌 4~6에 기재되어 있고, 불량 생지를 수집한 후의 재생 처리 공정의 개량에 의해, 최종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재생 가능한 불량 생지 처리량을 큰 폭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0006] 1. 일본 특허공보 제6412441호 2. 일본 특허공개공보 H11-169302호 3.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17507호 4. 일본 특허공보 제4789736호 5. 일본 특허공보 제5604364호 6. 일본 특허공보 제5750678호
[0007] 그런데, 특허문헌 1에는, 가로절단날부(橫切刃部)가, 타발날부 사이를 연결하여, 가로절단과 모서리부의 타발이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가로절단날부에 대해 다수의 타발날부를 가지는 부품이 필요해지지만, 해당 부품은 용접 가공을 필요로 하는 특수 부품이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가 나오기 어려워, 비용 상승이 된다. 또한, 유부 생지는, 대두나 기름의 품질에 따라, 날마다 변동되기 쉬워, 절단 치수의 미세 조정이 필요해지는 경우나, 제품 아이템에 따라 미묘하게 치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해당 부품은, 일체 부품이기 때문에, 미세 조정이 불가능하고, 복수의 예비 날(刃)을 준비해 둘 필요가 있어, 비용이 들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가로절단날부와 타발날부를 연결한 경우에는, 가로로 절단한 유부 생지를, 타발부에 정확히 위치를 맞춘 후, 다른 기구(機構)를 이용하여 1장(枚) 단위의 생지로 절단하고, 간격을 벌려 분배할 필요가 있었다. 가로절단날부와 타발날부를 독립시킨 경우는, 반송 벨트의 미소(微小)한 사행(蛇行)으로 인해 타발부가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도 있어, 생지의 모서리 절단(角切) 치수가 미묘하게 벗어날 우려도 있었다.
[0008] 한편, 모서리부를 보다 정확히 편차가 적게 절단하여, 모서리 가장자리(角耳)를 위생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고, 치수 조정에도 대응하기 쉽고, 유부 생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높은 처리 능력으로 절단하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0009] 또한, 특허문헌 1은, 타발날부로 타발한 모서리부의 생지 가장자리를 감압 흡인에 의해 흡취하는 방법으로 제거하고, 회수 컨베이어 상에 타발한 두부 생지를 에어에 의해 흡입하여 들어올리고 불어서 배출하는 개시가 있지만, 에어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어, 고온 다습하며 부유균이 많은 공기를 흡입하고, 에어 배관 내를 오염시켜서, 2차 오염원이 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두부 생지의 배출을 위해 불어내는 에어의 소비량도 많아진다. 타발날부의 통 안이나 흡착부 등에 두부박(豆腐粕)이 차기 쉬워, 육안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가동하면, 비위생적이 되기 쉽고, 그 모서리 가장자리의 재생 이용도 행하기 어려웠다. 또한 타발한 두부 생지를 배출하는 동작의 시간이 필요하고, 절단 사이클 시간이 걸려, 라인 능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모서리 가장자리의 재이용 수단이나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생지를 프라이어 틀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분배 수단이나 투입 수단의 구체적 기재도 시사도 없다. 또한 타발한 두부 생지를 배출하는 동작은 반송 라인의 상방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모서리 가장자리의 낙하나 찌꺼기(粕)의 낙하로 인해 제품에 부착되고 그대로 튀겨져서 로스(loss)가 될 우려도 있다.
[0010]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연속 라인의 능력을 높여, 이니셜 코스트(initial cost) 및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억제하면서, 정밀도 있게 모서리부를 절단할 수 있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모서리부를 위생적으로 회수하기 쉽고, 재생 이용하기 쉬운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0011]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橫切刃)을 가지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縱切刃)과,
상기 세로절단날의 적어도 일단부(一端部)에 설치되며, 상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
을 일체화한 복합 절단날을 가지는 제2 절단부를 구비하는 절단부
를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2)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과, 상기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과, 상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을 일체화한 복합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부
를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3) 상기 복합 절단날을 받는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과,
해당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컨베이어 또는 다른 갈아타기 판과,
상기 컨베이어 또는 상기 갈아타기 판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또는 상기 다른 갈아타기 판 사이의 틈새 부분을 적어도 덮도록, 상기 틈새 부분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耳片)을 받아 회수하는 회수 기구
를 더 가지는, (1) 또는 (2)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4)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복합 절단날보다 하류측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또는 다른 갈아타기 판 중 적어도 한쪽의 상방에는, 상기 가장자리편을 상기 회수 기구를 향해 하방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에어 분사 수단을 구비하는, (3)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5)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복합 절단날보다 하류측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상기 가장자리편을 상기 회수 기구를 향해 하방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3) 또는 (4)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6)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의 복합 절단날을 적어도 받는 동시에,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도마부와,
상기 도마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가장자리편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
를 더 가지는, (1) 또는 (2)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7)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모서리부 절단날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모서리부 절단날이 상기 두부 생지의 모서리부를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편을 상기 회수 기구로 배출하는 타발핀을 가지는, (6)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8)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의 복합 절단날을 적어도 받는 동시에,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도마부와,
상기 도마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가장자리편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
를 더 가지는, (2)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9)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과, 상기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과, 상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부와,
상기 모서리부 절단날을 적어도 받는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과,
해당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컨베이어 또는 다른 갈아타기 판과,
상기 컨베이어 또는 상기 갈아타기 판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또는 상기 다른 갈아타기 판 사이의 틈새 부분을 적어도 덮도록, 상기 틈새 부분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
를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절단된,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제조하는 유부의 제조 방법.
[0012]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절단부는, 세로절단날의 적어도 일단부에 설치되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을 가지므로, 반송 컨베이어 사행이나 속도 불균형 등으로 인한 치수의 편차를 억제하여 모서리부를 정확히 절단할 수 있어, 치수가 안정된 유부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합 절단날을 개별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동시키게 하면, 1장 단위로 절단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를 가로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을 벌려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1장 단위로 절단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를 컨베이어 갈아타기에 의한 증속 속도 분배식이나 엇갈림(千鳥) 분배식에 의해서도 간격을 대략 등간격으로 벌려 분배할 수도 있다.
[0013]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절단날과, 세로절단날과, 모서리부 절단날을 일체화한 복합 절단날을 구비하므로, 제작 비용을 억제하면서, 치수의 편차를 억제하여 모서리부를 절단할 수 있어, 치수가 안정된 유부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4]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과, 다른 컨베이어 또는 다른 갈아타기 판 사이의 틈새 부분의 하방에,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를 가지므로, 모서리부를 위생적으로 회수하기 쉽고, 예컨대, 재생 이용할 수 있어, 유부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타발날부로 두부 생지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흡취하는 경우에 비해, 에어 소비량도 적고, 타발날의 통 안이 막히는 트러블도 적으며, 나아가, 고온 다습한 공장 내의 실내 공기를 반추하거나, 부유균과 함께 대량으로 흡입하는 일도 없어, 생지 가장자리(모서리 가장자리)를 위생적으로 회수하기 쉽고, 재생 이용하기 쉽다.
[0015] 도 1은, 본 발명의 유부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상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c)는, 제2 절단부의 절단날이 절단 및 분배하는 과정을 구동 기구와 함께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2a 및 도 2b의 제2 절단부의 절단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상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2 절단부의 절단날에 의해, 절단 후에 유부용의 두부 생지끼리 분리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제2 절단부의 절단날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상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2 절단부의 절단날의 변형예에 따라, 절단 후에 유부용의 두부 생지끼리 분배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제2 절단부의 절단날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8의 (b)는, 제2 절단부의 절단날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9는, 제2 절단날의 각 절단날에 의해 절단된 두부 생지 및 이들을 튀겨서 팽화시킨 유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1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2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3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13의 (a)는,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기 전의 상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측면도이다.
도 14의 (a)는,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제1 절단부의 절단 후, 제2 절단부가 절단 및 타발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측면도이다.
도 15의 (a)는,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제2 절단부가 절단 및 타발한 후, 제1 절단부가 두부 생지를 반송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상면도이다.
도 17의 (a)는, 도 16의 절단부의 복합 절단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1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절단부의 복합 절단날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2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도 21의 (a)~(d)는, 복합 절단날의 각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상면도이다.
[001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부의 제조 방법은, 우선, 대두를 침지조(浸漬槽)(1)에서 물에 담가 팽윤시키고, 그 후, 두유 제조 장치(2)에서, 침지된 대두에 물을 첨가(加水)하면서 슬러리상(狀)으로 갈아 으깨고, 나아가, 찜통(蒸缶)에서 90~110℃로 끓이고, 찬 덧물을 첨가하여 70~80℃로 낮춘다. 그 후, 프레스기로 비지를 분리하는 한편, 두유는 두유 탱크(3)로 보내진다. 그리고, 응고제 탱크(4)로부터 보내진 응고제를, 두유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응고기(5)에서, 응고·숙성시켜 두유 응고물을 얻는다. 그 후, 유리(遊離)된 「웃물」의 일부를 물제거기(水取機)에 의해 제거하여 얻은 진한 두유 응고물이, 성형기(6)로 보내지고, 두유 응고물은, 시트 형상의 두유 생지로 성형되어,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절단 장치)(10)로 보내진다.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10)에서는,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로 절단된다. 그 후, 예컨대, 유부초밥용 유부나 얇은 유부와 같은 유부용의 두부 생지는, 프라이어(7)로 보내져, 저온부(90~120℃)에서 늘리고(생지의 한 변이 1.5~2.0배로 팽화), 고온부(150~180℃)에서 말리고(수분을 날려, 피(皮)를 형성), 유조 내에서 튀겨짐으로써, 유부 제품을 얻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10)의 구성을 개량한 것이기 때문에,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0017] (제1 실시형태)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10)는,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를 반송하는 상류 컨베이어(11)와,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를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하는 절단부(20)와, 절단 후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반송하는 하류 컨베이어(다른 컨베이어)(12)와,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로부터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재이용하는 회수 재생 기구(40)를 주로 구비한다.
[0018] 절단부(20)는, 상류 컨베이어(11)의 반송 방향(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21)을 가지는 제1 절단부(22), 및,
상류 컨베이어(11)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23)과, 해당 세로절단날(23)의 양단부(兩端部)에 설치되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24)을 일체화한 복수의 복합 절단날(25)을 가지는 제2 절단부(26)를 구비한다. 제1 절단부(22)는, 제2 절단부(26)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류 컨베이어(11)의 반송 방향을 X방향, 상류 컨베이어(11)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Y방향,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을 Z방향이라고도 칭한다.
[0019] 따라서, 제1 절단부(22)의 가로절단날(21)은, 도 2b에 나타낸, 구동 기구로서의 Z방향 구동부(82) 및 X방향 구동부(83)에 의해 상하 내지 전후로 구동 가능하게 되어, 시트 형상 두부 생지(Ta)를 절단하여 가느다란 띠 형상(細帶狀) 두부 생지(Tb)를 얻고 전방으로 밀어낸다. 또한, 제2 절단부(26)의 복합 절단날(2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동 기구(30)에 의해 상하로 구동 가능한 동시에, Y방향으로도 구동 가능하여,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를 절단하고 Y방향으로 간격을 벌려 분배하여,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얻는다.
[0020]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기구(30)는, 상류 컨베이어(11)의 Y방향 양측에 설치된 X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대(基臺)(31)에, 상류 컨베이어(11)를 넘도록 가설된 프레임(32)과, 해당 프레임(32)에 대해, 복수의 복합 절단날(25)을 Z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가압 실린더(33)와, 복수의 복합 절단날(25)을 각각 Y방향으로 구동시켜, 유부용의 두부 생지(Tf)의 Y방향의 간격을 벌리는 분배용 구동 기구(34)를 가진다.
또한, 가압 실린더나 분배용 구동 기구(34)를 포함하는 구동 기구(30)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H02-167047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된 구성이다.
[0021] 또한, 제1 절단부(22)에 의한 시트 형상 두부 생지(Ta)의 절단, 및 제2 절단부에 의한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의 절단은, 상류 컨베이어(11)가 일시적으로 두부 생지(Ta, Tb)의 반송을 정지한 상태에서 행해지거나, 또는 상류 컨베이어(11)가 연속적으로 두부 생지(Ta)를 반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행해지고, 절단된 Tb를 제1 절단부(22)에 의해 X방향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로 밀어내도록 하여 두부 생지(Ta)와 두부 생지(Tb)의 간격을 벌리도록 행해져도 된다.
[0022] 제2 절단부(26)의 복합 절단날(25)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절단날(23)의 일단부의 선단에, 모서리부 절단날(24)로서 양측으로 벌어진 Y형 날이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어 복합 절단날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 기구(30)가 복합 절단날(25)을 하강시킴으로써, 두부 생지(Tb)의 세로 절단과 동시에, 두부 생지의 모서리부를 비스듬히 직선형(直線狀)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구동 기구(30)가, 복합 절단날(25)을 각각 Y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유부용의 두부 생지(Tf)가 Y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벌려, 상류 컨베이어(11) 상에 배치된다. 또한, 모서리부 절단날(24)의 양 선단 사이라면, 생지 치수가 X방향으로 변경되어도 대응할 수 있고, X방향이나 Y방향으로 수 mm의 차이가 있더라도 제품으로서는 허용 범위이다.
[0023]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동 기구(30)는, X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도 2b와 같이 두부 생지를 절단 및 분배하여, 다른 생지 이송 기구(90)에 의해 전방으로 보내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생지 이송 기구(90)는, 밀어내기(押出) 이송판(91)을 이송 가능한 위치로 진퇴(進退)시키는 Z방향 구동부(92) 및 밀어내기 이송판(91)을 X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방향 구동부(93)를 구비하여, 밀어내기 이송판(91)을 상하 내지 전후로 구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구동 기구(30)는, 도 2a의 영역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부 생지의 절단 및 분배와 병행하여 X방향으로 보내도록 해도 된다.
[0024]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동 기구(30)는, 복수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의 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상시 바꾸지 않고 분배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분배하는 타이밍마다, 복수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1개씩 건너뛰어 스토퍼 부재(미도시)를 오르내리게 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전후 위치를 이격시키도록 분배하여,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엇갈린 형상(千鳥狀)으로 하류 컨베이어(12) 상에 배치해도 된다(도 20 참조). (엇갈림식 분배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2-140158호의 도 17이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9-068809호의 도 25~27 참조)
[0025] 이에 의해, 상면 뷰(上面視)로 대략 직사각형 내지는 대략 정사각형인 한 모 단위(한 변 30~200mm, 두께 2~50mm)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가 얻어진다. 또한,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는, 모서리부의 변 길이가 5~30mm, 각도 θ(도 4, 도 6 참조)가 30~60°, 바람직하게는 4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전후로 절단되어, 상면 뷰의 전체 형상이, 대략 팔각형의 대략 직사각형상이 된다.
또한, 모서리부 절단날(24)은, 도 6의 (b) 및 도 7의 (a), (b) 및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절단날(23)의 일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용접되는 앵글날(단면이 L형인 날)이어도 된다.
또한, 모서리부 절단날(24)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절단날(23)의 일단부의 선단에 있어서, 양측으로 벌어진 만곡된 Y형 날이어도 되고,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절단날(23)의 일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용접되는, 만곡된 앵글날이어도 된다. 여기서의 각도 θ는, 세로절단날(23)의 방향과, 모서리부 절단날(24)의 접선(L) 사이에서 주어진다. 이에 의해, 두부 생지의 모서리부는, 비스듬히 곡선형으로 절단되어,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는, 전체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도 9의 (c), (d) 참조).
[0026]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절단부(26)는,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로부터 짝수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절단하고 있으므로, Y방향 중앙 부분에서는, 세로절단날(23)의 양단(兩端)에 앵글날이 부착된 것으로서 2장의 복합 절단날(25)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중앙 부근의 2개의 두부 생지(Tf)를 2장의 복합 절단날(25)에 의해, Y방향으로 분배하고 있다.
또한,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로부터 홀수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중앙의 두부 생지(Tf)는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Y방향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복합 절단날로서, 도 4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0027] 어느 모서리부 절단날(24)을 사용한 경우라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튀기면, 수분이 너무 날아가 경질화되는 모서리부가 없어, 간을 하여 유부초밥으로 하였을 때 식감도 양호하며, 모양새도 둥그스름한 소담스러운 것이 된다.
또한,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프라이어로 튀기는 경우, 프라이어 틀은 없어도 되지만, 특허문헌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사각 틀이나 모서리부가 둥그스름한 프라이어 틀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모서리부 절단날(24)은, 타발용 핀(펀칭핀, 단면이 대략 삼각형)이어도 된다.
[0028]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20)는, 세로절단날에 롤 커터를 설치하지 않고, 세로절단날과 모서리부 절단날을 조합함으로써, 소형의 복합 절단날(25)이 되어, 용접은 최소한이며, 가공하기 쉽고 변형도 적어, 염가로 완성되는 데다가, 부착되는 두부박 등을 육안으로 보기 쉽고, 세정성도 비교적 좋아, 위생적이다. 가로절단날에 각파이프(square pipe) 날을 다수 조합하는 종래의 경우의 가공 부품은 특수 부품이 되어, 용접 가공으로 치수 정밀도가 나오기 어려워서, 고가가 되는 데다가, 통 형상의 타발날 내부를 육안으로 보거나 세정하는 것이 어렵고, 흡인·분사에 의해 에어를 넣고 내보내는 구조로, 위생적이지 않다. 또한, 유부는 대두나 기름의 품질에 따라, 날마다 변동되기 쉬워, 절단 치수를 미세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는데, 본 실시형태의 복합 절단날의 경우, 염가이면, 치수가 상이한 복합 절단날을 예비로 가질 수도 있어, 적절히 교환함으로써 대응하기 쉽고, 또한 각 날의 고정에는 조정 나사를 구비한 조정 수단이 있으면 조정하기 쉽다. 또한 X방향의 치수 변경은 모서리부 절단날(24)의 양 선단 사이에 수용되는 범위라면 절단날을 갈아 끼우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가로절단날과의 복합날은 기본적으로 대형인 일체 구조의 부재로서 미세 조정 수단의 부착은 곤란하여, 가로절단 복합날 자체를 교환할 수 밖에 없고, 예비의 가로절단 복합날을 복수 예비품으로서 재고로 둘 필요가 있어, 보관 장소도 비용도 든다.
[0029] 도 2a 및 도 2b로 되돌아와서, 하류 컨베이어(12)는, 상류 컨베이어(11)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프라이어(7)를 향해, 절단 후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반송하며, 미도시된 투입기에 의해 프라이어 틀의 각 구획으로 1장씩 투입한다.
[0030] 회수 재생 기구(40)는,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로부터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 재생한다. 회수 재생 기구(40)는, 상류 컨베이어(11)와 하류 컨베이어(12) 사이의 틈새 부분(S)(생지는 떨어지지 않지만, 모서리 가장자리편은 쉽게 낙하하는 틈새)을 적어도 하방에서 덮도록, 틈새 부분(S)의 하방에 설치되는 호퍼(45) 및 회수 컨베이어(41)와, 하류 컨베이어(12)의 측방으로부터 낙하한 가장자리편(Td)을 호퍼(45) 및 회수 컨베이어(41)로 보내는 경사대(42)와, 회수 컨베이어(41)에 의해 회수된 가장자리편(Tc, Td)을 재단하는 재단 장치(43)와, 재단된 두부 생지에 물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생기는 생지 재생액을, 소정의 공정(예컨대 응고 장치의 응고 교반부)으로 공급·재이용하는 교반 공급 장치(44)를 구비한다. 또한, 호퍼(45)는, 상류 컨베이어(11)의 Y방향의 폭보다 넓고, 호퍼(45)의 하부는 개구로 되어 있어, 호퍼(45)로 회수된 가장자리편(Tc, Td)은, 회수 컨베이어(41) 상으로 낙하한다. 또한, 호퍼(45)나 경사대(42)는 여러 곳(各所)으로부터 낙하하는 가장자리편을 받도록 적절히 복수 배치된다.
[0031] 또한, 상류 컨베이어(11)의 복합 절단날(25)보다 하류측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短冊形) 생지 가장자리편(Tc)을 호퍼(45)를 향해 하방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가이드 부재(스크레이퍼)(50)가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50)는, 상류 컨베이어(11)의 반송 벨트의 상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상류 컨베이어(11)의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류 컨베이어(1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0032] 또한, 상류 컨베이어(11)의 복합 절단날(25)보다 하류측과, 하류 컨베이어(12)의 상방에는, 모서리부의 삼각형 생지 가장자리편(Td)을 호퍼(45)나 경사대(42)를 향해 하방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복수의 에어 분사 수단(에어 플러시)(60)이 적절히 설치된다.
[0033] 이에 의해, 가늘고 긴 직사각형 생지 가장자리편(Tc)은, 가이드 부재(50)에 의해 호퍼(45)로 낙하하고, 삼각형 생지 가장자리편(Td)은, 에어 분사 수단(60)에 의해, 상류 컨베이어(11)의 측방으로부터 낙하하는 동시에, 상류 컨베이어(11)와 하류 컨베이어(12)의 틈새 부분(S)으로부터 낙하한다. 또한, 틈새 부분(S)으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틈새 부분(S)을 넘어 하류 컨베이어(12)로 반송된 삼각형 생지 가장자리편(Td)은, 에어 분사 수단(60)에 의해, 하류 컨베이어(12)의 측방으로부터 경사대(42)로 낙하한다. 특히, 에어 분사 수단(60)은, 유부용의 두부 생지(Tf)에 부착된 상태의 가장자리편(Td)도 두부 생지(Tf)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분사 수단(60)은, 미도시된 카메라 센서로 검지된 가장자리편(Td)을 겨누어, 에어를 분사하여, 경사대(42)로 낙하시키도록 해도 된다.
[0034] 경사대(42)는, 하류 컨베이어(12)의 Y방향 단부의 측방을 덮는 동시에, 프라이어(7)측이 호퍼(45)측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낙하한 삼각형 생지 가장자리편(Td)을 호퍼(45)의 하방에 설치된 회수 컨베이어(41)로 보낸다. 회수 컨베이어(41)는, 낙하한 가장자리편(Tc, Td)을 재단 장치(43)를 향해 Y방향으로 반송한다.
[0035] 그리고, 재단 장치(43)에서는, 가장자리편(Tc, Td)을 입자화 처리한다. 가장자리편(Tc, Td)은, 공기를 넣지 않도록 하는 목적에서 보았을 때, 갈아 으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동 유발기 등과 같이 갈아 으깨지 않고, 미세 재단(微裁斷)해도 된다. 또한, 재단 장치(43)는, 액중(液中)에서 잘게 마쇄하는 액중 마쇄로 행하도록 하면 좋다. 액중 마쇄 장치로서는, 대두 등의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마쇄부에 공급하여 마쇄하는 장치가 이미 개발되어 있고, 그와 같은 장치나 펌프 밀 등을 사용하여,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재단 장치(43)는, 콜로이드 밀, 고압 호모지나이저, 진공식 주서 믹서, 진공·감압식 푸드 커터, 민서기(mincing machine)(1축식 반죽압출기(練出機)), 2축 압출기(extruder)(2축식 반죽압출기) 등도 이용 가능하다.
[0036] 교반 공급 장치(44)에서는, 교반 탱크에 의해 물을 첨가하면서, 혹은, 물을 첨가하지 않고, 균일해지도록 교반한다. 물(정제수나 연수 등) 외에, 재생액을 이용한 가수(加水)에 대해서는 프레스에 의한 성형 공정에서 탈수되어 배출된 순물(湯)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순물」 속에 응고제 성분이 남아 있어 다음번 새로운 유부 생지를 만들 때는 응고제량(量)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순물보다 물(100℃ 이하의 온수여도 되고, 60℃ 내지 80℃의 온수가 바람직하며, 저온 살균 조건인 60℃ 30분 이상, 내지는 80℃ 10분 이상의 처리인 것이 바람직함. 혹은 비교적 따뜻한 물(약 40~50℃ 정도))의 사용도 제품적으로는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가수량(加水量)은 두유 고형분(固形分)에 맞춰, 생지 가장자리양(量)의 약 3~10배의 수량(水量)이 바람직하다. 생지 고형분이 25%wt(생지 수분 75%wt), 두유 고형분이 3~5%wt이면, 약 5~8배의 가수(加水)가 적합하다. 그리고, 재생 처리되어 생긴 재생액(두유 상태(狀)의 용액)은, 펌프에 의해 이송(液送)된다. 그리고, 재생액은 대두에 부착되어 있는 내열성의 아포를 형성하는 균이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유부 생지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의 보존성이 하나의 문제가 되고 있었다. 따라서, 유부 생지의 재생액을 가열함으로써 포자 이외의 영양 세포의 잡균을 살균하여, 재생액을 사용한 경우의 최종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하방으로 떨어진 가장자리편(Tc, Td)은 위생적으로 회수되어, 생지 재료로서 재생되고, 두유 탱크(3) 또는 응고기(5)(두유 계량과 동시에 생지 가장자리 재생액도 계량하여, 적절히 에어를 분산 혼합하고, 응고제로 응고함)로 보내진다.
[0037] 또한, 상류, 하류 컨베이어(11, 12) 사이의 틈새 부분(S)의 간격은, 가장자리편(Tc)이 그 틈새 부분(S)으로부터 떨어지기 쉽고, 두부 생지(Tf)는 떨어뜨리지 않고 갈아탈 수 있도록 조정한다. 또한, 상류, 하류 컨베이어(11, 12) 간은 수평으로 갈아타도록 해도 되지만, 하류 컨베이어(12)의 높이를 상류 컨베이어(11)보다 약간 높게 하는 것도, 생지는 갈아타고, 가장자리편(Tc)만을 하방으로 떨어뜨리는 데 효과적이다.
[0038] 하류 컨베이어(12)의 반송 속도는, 제1 컨베이어(11)의 반송 속도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두부 생지가 갈아탈 때는, 속도차 분배 방법에 따라, 두부 생지의 X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벌어지는 동시에, 대략 삼각형의 모서리 가장자리도 이격되어, 제거하기 쉬워진다.
[0039] 또한, 양단의 가장자리를 제거한 상태에서, 하류 컨베이어(12)의 Y방향의 벨트 폭을 Y방향으로 두부 생지가 분배 배치되는 최대폭 이하로 하면, 가이드 부재(50)나 에어 분사 수단(60)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대략 삼각형 생지 가장자리편(Td)이 컨베이어(11, 12)의 측방으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진다.
[0040]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10)에 의하면, 세로절단날(23)과 모서리부 절단날(24)이 일체화된 복수의 복합 절단날(25)에 의해, 치수의 편차를 억제하여 모서리부를 절단할 수 있고, 다소의 치수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어, 치수가 안정된 유부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합 절단날(25)을 사용하여, 절단한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Y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고, 복수의 복합 절단날(25)을 X방향으로 복수 세트(組) 구비함으로써 처리 능력을 배가(倍增)시켜, 러닝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가장자리편을 이동시키는 공정이 없어, 종래보다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0041]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10)에 의하면, 상류 컨베이어(11)와, 하류 컨베이어(12) 사이의 틈새 부분(S)의 하방에,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로부터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Tf)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 재생하는 회수 재생 기구(40)를 가지므로, 가장자리편이 실수로 생지(Tf)에 동반되어 프라이어에 들어가 불량품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쉬우며, 가장자리편을 위생적으로 회수하기 쉽고, 재생 이용할 수 있어, 로스나 품질 문제를 저감하여, 유부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42]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절단 분배 공급기(10A)에서는, 상류 컨베이어(11) 상에서, 시트 형상 두부 생지(Ta)를 제1 절단부(22)의 가로절단날(21)에 의해 절단하여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를 얻는다. 그리고, 가로절단날(21)에 의해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를 상류 컨베이어(11)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분배 컨베이어(13)에 이재(移載; 옮겨 싣기)한다. 그리고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는, 분배 컨베이어(13)에 의해 Y방향으로 번갈아 반송되고, 나아가, 분배 컨베이어(13)의 Y방향 양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중간 컨베이어(14)로 번갈아 반송된다. 그 후, 중간 컨베이어(14) 상에서, 제2 절단부(26)의 복합 절단날(25)에 의해,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는,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되고, Y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분배 정렬된다.
[0043] 이 때문에, 제1 변형예에서는, 가로절단날(21)은, X방향 구동부(83)에 의해 X방향으로 구동되어,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를 상류 컨베이어(11)로부터 분배 컨베이어(13)로 이동시킨다. 또한, 절단 분배 공급기(10A)는,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를 분배 컨베이어(13)로부터 각 중간 컨베이어(14)로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가이드(70)가 설치되어 있다.
[0044] 또한, 이 경우,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 재생하는 회수 재생 기구(40)에 있어서, 각 호퍼(45)는, 각 중간 컨베이어(14)와 각 하류 컨베이어(12) 사이의 틈새 부분(S)을 적어도 덮도록, 틈새 부분(S)의 하방에 설치된다.
[0045] 따라서, 제1 변형예에 의하면, 비교적 시간을 요하는 복합 절단날(25)에 의한 절단·분배 동작을 2군데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절단 분배 공급기(10A)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0046]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절단 분배 공급기(10B)에서는, 상류 컨베이어(11)의 X방향 하류측에, 1장의 갈아타기 판(15)과 1기(基)의 갈아타기 컨베이어(16)를 나란히 배치하는 동시에, 갈아타기 컨베이어(16)의 Y방향 양측에, 2기(基)의 갈아타기 컨베이어(17, 17)를 배치한다.
[0047] 따라서, 갈아타기 판(15) 상에는, 제1 절단부(22)의 가로절단날(21)과 제2 절단부(26)의 복합 절단날(25)이 배치된다. 그리고, 시트 형상 두부 생지(Ta)를 제1 절단부(22)의 가로절단날(21)에 의해 절단하여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를 얻은 후, 갈아타기 판(15) 상의 복합 절단날(25)의 하방까지 반송한다. 그리고,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는, 갈아타기 판(15) 상에서, 복합 절단날(25)에 의해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된다. 복합 절단날(25)은, 갈아타기 판(15)과 갈아타기 컨베이어(16)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한 상태로부터, Y방향으로 분배하기 전에, 갈아타기 컨베이어(16) 상으로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반송한다. 또한, 갈아타기 컨베이어(16)로부터 갈아타기 컨베이어(17)로 증속(增速)하도록 함으로써,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Y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분배한다. 나아가,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는, 갈아타기 컨베이어(17)로부터 하류 컨베이어(12)로, X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가이드 부재(70)에 의해 밀려나도록 이재된다.
[0048] 또한, 이 경우,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재이용하는 회수 재생 기구(40)에 있어서, 회수 컨베이어(41)는, 갈아타기 판(15)과 갈아타기 컨베이어(다른 갈아타기 판)(16) 사이의 틈새 부분(S)(틈새)를 적어도 덮도록, 틈새 부분(S)의 하방에 설치된다. 또한, 회수 재생 기구(40)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호퍼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0049] 따라서, 제2 변형예에 의하면,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2군데로부터 2대의 프라이어(7)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생산 능력을 향상시키고, 레이아웃 상에서, Y방향의 폭은 커지지만, X방향의 기계의 길이(機長)를 짧게 할 수 있어, 절단 분배 공정의 처리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0050]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절단 분배 공급기(10C)에서는, 하류 컨베이어(12) 상의 에어 분사 수단(60) 대신에, 밀어떨어뜨림용 막대(棒)(61)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류 컨베이어(12) 상에서 카메라 검사기 등으로 검지된 가장자리편(Td)을 겨누어 밀어떨어뜨림용 막대(61)에 의해, 경사대(42)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상의 가장자리편(Td)을 낙하시키는 수법으로서는, 상술한 가이드 부재(50), 에어 분사 수단(60), 밀어떨어뜨림용 막대(61)에 한하지 않고, 스프링 판 등을 사용해도 된다.
[0051] 도 13~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절단 분배 공급기(10D)에서는, 상류 컨베이어(11)의 하류측에 도마부(갈아타기 판)(80)가 X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또한, 도마부(80)에 X방향으로 인접하는 Y방향 제1 컨베이어(18)와, Y방향 제1 컨베이어(18)에 Y방향으로 인접하는 Y방향 제2 컨베이어(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Y방향 제2 컨베이어(19)의 하류측에는, 하류 컨베이어(12)가 X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지만, 도 13~도 15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0052] 도마부(80)는, 절단부(20)의 가로절단날(21) 및 복합 절단날(25)을 받는 동시에,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Tc, Td)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81)을 구비한다. 또한, 도마부(80)의 하방에는,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재이용하는 회수 재생 기구(40)가 배치되어 있다.
[0053] 제1 절단부(22)에는, 가로절단날(21)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Z방향 구동부(82)와, 상하 구동부를 X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방향 구동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절단부(26)는, 모서리부 절단날(24)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모서리부 절단날(24)이 두부 생지의 모서리부를 절단하는 동시에, 가장자리편(Tc, Td)을 관통 구멍(81)을 통해 회수 재생 기구(40)로 배출하는 타발핀(27)을 가진다.
[0054]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는, 제1 절단부(22)에 의해 절단된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 생지(Tb)가 X방향 구동부(83)에 의해, 도마부(80) 상으로 반송된다. 그 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절단부(26)에 의해,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하는 동시에, 가장자리편(Tc, Td)의 형상에 대응한 타발핀(27)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구동시켜, 관통 구멍(81) 내를 통과하여,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 재생 기구(40)로 배출한다. 그 때, 가장자리편을 완전히 떨어뜨리기 위해 에어를 분사하거나, 타발 막대에 의해 밀어 떨어뜨림으로써, 낙하를 보조해도 된다.
또한, 회수 재생 기구(40)로 배출된 가장자리편(Tc, Td)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위생적으로 회수되어, 생지 재료로서 재생된다.
[0055] 그 후,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절단부(26)를 상방으로 퇴피시키고, 복수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제1 절단부(22)의 X방향 구동부(83)에 의해, Y방향 제1 컨베이어(18)까지 반송한다. 그 후, Y방향 제1 컨베이어(18)와 Y방향 제2 컨베이어(19)의 반송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복수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Tf)가 Y방향으로 간격을 벌리도록 하여, 분배하면서, Y방향 제2 컨베이어(19) 상으로 반송된다.
[0056]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합 절단날(25)은, 그 세로절단날(23)의 적어도 일단부에 모서리부 절단날(24)이 설치되어도 되며, 생지의 대각(對角)의 모서리부를 절단하는 형태가 된다(도 9의 (b), (d)).
[0057]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생지 절단 분배 공급기(10E)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상당한 부호를 달고, 설명을 생략한다.
[0058] 제2 실시형태의 절단 분배 공급기(10E)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부(20a)는,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21)과, 해당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23)과,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24)을 일체화한 복합 절단날(28)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절단날(21)은, 세로절단날(23)의 상류단에 접합된 모서리부 절단날(24)인 Y형 날의 선단끼리를 Y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로절단날(23)의 하류단에 접합된 모서리부 절단날(24)인 Y형 날끼리는, 분리되어 있다.
[0059]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복합 절단날(28)은, Z방향(상하 구동) 그리고 X방향(전후 구동)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한 후, 갈아타기 컨베이어(16)까지 반송한다. 상류 컨베이어(11)의 하류측으로부터 갈아타기 컨베이어(16)로의 이재는 미도시된 밀어내기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0060] 또한,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는, 갈아타기 컨베이어(16)로부터, 미도시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Y방향 양측의 2장의 갈아타기 컨베이어(17)로 번갈아 반송되는 동시에, Y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분배된다. 그 후, 가이드 부재(70)에 의해, 갈아타기 컨베이어(17)로부터 하류 컨베이어(12)로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는 반송되어, 프라이어(7)로 보내진다.
[0061] 또한, 상류 컨베이어(11)와 갈아타기 컨베이어(16) 사이의 틈새 부분(S)이나 갈아타기 컨베이어(16)와 갈아타기 컨베이어(17) 사이의 틈새 부분(S)을 하측에서 덮도록, 각 틈새 부분(S)의 하방에 설치된 회수 재생 기구(40)에 의해, 가장자리편(Tc, Td)을 회수한다. 이 경우, 회수 재생 기구(40)는, 틈새 부분(S)의 하방에 호퍼(45)가 설치되고, 호퍼(45)로 회수된 가장자리편(Tc, Td)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재단 장치(43), 교반 공급 장치(44)로 보내진다. 또한, 가장자리편(Tc, Td)은, 에어 분사 수단도 적절히 병용하여 회수 재생 기구(40)로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0062] 도 18은, 제2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절단 분배 공급기(10F)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절단날(28)은, 세로절단날(23)의 상류단에, 모서리부 절단날(24)로서, 구멍이 있는 각파이프 날이 접합되고, 구멍이 있는 각파이프 날끼리를 가로절단날(21)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경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를 복합 절단날(28)에 의해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한 후, 각파이프 날의 구멍 안의 가장자리편(Td)은, 흡인하는 일 없이, 각파이프 날이 상방으로 퇴피할 때 각파이프 날 상단(上端)으로부터 에어 분사 수단에 의해 각파이프 날 안으로 가장자리편(Td)이 동반되지 않도록 하여, 갈아타기 컨베이어(16)에 이재되고, 갈아타기 컨베이어(17)로 갈아탈 때, 하방으로 낙하하는 동시에, 가이드 부재(51)에 가장자리편(Td)이 접촉하여, 두부 생지(Tf)로부터 이탈되고, 바람직하게는 에어 분사 수단에 의해 보조하여 하방으로 낙하시켜, 회수 컨베이어(41) 상에 실리고, 회수 재생 기구(40)에 의해 회수 재생된다. 에어 분사 수단에 공급하는 공기는 미리 무균 압축 에어 필터나 제습기 등을 통한 청정한 공기나 기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감압 수단이나 진공 수단은, 미세한 생지 부스러기나 제조실의 고온 다습한 공기까지도 흡입하기 때문에, 에어 배관 안이나 흡착 부재 주변이 비위생적이 되므로 이용하지 않는다. 에어 배출과 에어 배관을 공용하면, 오염된 공기를 반추하는 상태에 빠지고, 잡균이 많이 증가한 공기를 생지나 생지 가장자리에 분사하게 되어, 2차 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0063] 도 20은, 제2 실시형태의 두부 생지의 절단 분배 공급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절단 분배 공급기(10G)에서는, 제1 변형예와 동일한 복합 절단날(28)을 사용하여,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Ta)를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한다.
[0064] 또한, 각파이프 날에 들어간 가장자리편은, 청정한 에어로 불어내어, 상류 컨베이어(11)나 갈아타기 컨베이어(16) 상에 남기고, 에어 분사 수단 등에 의해 하방의 회수 재생 기구(40)로 낙하시킨다. 청정한 에어 분사 대신에, 100℃ 전후의 수증기를 분사하는 형태여도 된다. 어느 쪽이든, 각파이프 날의 내측은 생산 중에도 위생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갈아타기 컨베이어(16)로부터 하류 컨베이어(12)로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반송할 때는, 미도시된 분배 기구를 이용하여,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를 엇갈린 형상으로 하류 컨베이어(12) 상에 배치한다. (엇갈림식 분배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2-140158호의 도 17이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9-068809호의 도 25~27 참조)
[0065]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복합 절단날(28)은, 상기 외에, 도 21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적용되어도 된다. 도 21의 (a), (c)에서는, 복합 절단날(28)은, 각파이프 날 대신에,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삼각기둥 형상의 통 형상 날을 가지는 형태이다.
[0066]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수치, 형태, 수, 배치 장소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이고, 한정되지 않는다.
[0067] 예컨대, 본 발명의 회수 재생 기구(40)는, 도 22에 나타낸 절단 분배 공급기(10H)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절단날(21)의 양단에 모서리부 절단날(24)이 접합된 복합 절단날(29)에 의해 X방향으로 긴 두부 생지를 유부용의 두부 생지(Tf)로 절단하는 방식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0068]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절단 장치에서는,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을 받아 회수 재생하는 회수 재생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절단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편을 받아 회수하는 회수 기구를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0069] 또한, 본 출원은, 2020년 8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20-136999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본 출원 내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0070] 10: 절단 분배 공급기(절단 장치)
11: 상류 컨베이어(컨베이어)
12: 하류 컨베이어(다른 컨베이어)
20: 절단부
21: 가로절단날
22: 제1 절단부
23: 세로절단날
24: 모서리부 절단날
25, 28: 복합 절단날
40: 회수 재생 기구(회수 기구)
41: 회수 컨베이어
45: 호퍼
50: 가이드 부재
60: 에어 분사 수단

Claims (10)

  1.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生地)로부터 모서리부(角部)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의 반송(搬送)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橫切刃)을 가지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縱切刃)과, 상기 세로절단날의 적어도 일단부(一端部)에 설치되며, 상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을 일체화한 복합 절단날을 가지는 제2 절단부를 구비하는 절단부
    를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2.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과, 상기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과, 상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을 일체화한 복합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부
    를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절단날을 받는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과,
    해당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컨베이어 또는 다른 갈아타기 판과,
    상기 컨베이어 또는 상기 갈아타기 판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또는 상기 다른 갈아타기 판 사이의 틈새 부분을 적어도 덮도록, 상기 틈새 부분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耳片)을 받아 회수하는 회수 기구(機構)
    를 더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복합 절단날보다 하류측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또는 다른 갈아타기 판 중 적어도 한쪽의 상방에는, 상기 가장자리편을 상기 회수 기구를 향해 하방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에어 분사 수단을 구비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복합 절단날보다 하류측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상기 가장자리편을 상기 회수 기구를 향해 하방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의 복합 절단날을 적어도 받는 동시에,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도마부와,
    상기 도마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가장자리편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
    를 더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모서리부 절단날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모서리부 절단날이 상기 두부 생지의 모서리부를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편을 상기 회수 기구로 배출하는 타발핀을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의 복합 절단날을 적어도 받는 동시에,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대략 직사각형상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도마부와,
    상기 도마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가장자리편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
    를 더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9.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가로절단날과, 상기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두부 생지를 절단하는 세로절단날과, 상기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모서리부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부와,
    상기 모서리부 절단날을 적어도 받는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과,
    해당 컨베이어 또는 갈아타기 판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컨베이어 또는 다른 갈아타기 판과,
    상기 컨베이어 또는 상기 갈아타기 판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또는 상기 다른 갈아타기 판 사이의 틈새 부분을 적어도 덮도록, 상기 틈새 부분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상기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절단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장자리편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
    를 가지는,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의 두부 생지로부터 절단된,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부용의 두부 생지를 제조하는 유부의 제조 방법.

KR1020237004924A 2020-08-14 2021-08-11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 KR20230035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6999 2020-08-14
JPJP-P-2020-136999 2020-08-14
PCT/JP2021/029690 WO2022034908A1 (ja) 2020-08-14 2021-08-11 豆腐生地の切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油揚げ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663A true KR20230035663A (ko) 2023-03-14

Family

ID=8024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924A KR20230035663A (ko) 2020-08-14 2021-08-11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01333A1 (ko)
JP (1) JPWO2022034908A1 (ko)
KR (1) KR20230035663A (ko)
CN (1) CN116033833A (ko)
WO (1) WO202203490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64B2 (ko) 1976-01-19 1981-01-29
JPS5750678B2 (ko) 1978-01-26 1982-10-28
JPH11169302A (ja) 1997-12-16 1999-06-29 Matsuda Shokuhin Kogyo Kk フライヤーの揚げ枠及び前記揚げ枠を用いた油揚げの製造方法
JP3017507B2 (ja) 1989-12-21 2000-03-13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不織布
JP4789736B2 (ja) 2006-07-27 2011-10-12 株式会社高井製作所 油揚げ生地再生方法及び油揚げ生地の連続製造装置
JP6412441B2 (ja) 2014-03-05 2018-10-24 株式会社みすずコーポレーション 油揚の製造方法および油揚用豆腐生地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507U (ja) * 1995-04-28 1995-10-31 松田食品工業株式会社 稲荷寿司用油揚げ
JP3012238B1 (ja) * 1999-04-21 2000-02-21 オーケー食品工業株式会社 油揚げ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型枠
JP5449850B2 (ja) * 2009-04-30 2014-03-1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類連続製造装置の切断刃の移動機構
JP6433026B2 (ja) * 2015-12-03 2018-12-05 ミナミ産業株式会社 油揚げ生地の製造方法および油揚げ生地の連続製造装置
CN206455728U (zh) * 2017-01-19 2017-09-01 河南华炬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豆腐切块机
CN107696123A (zh) * 2017-09-26 2018-02-16 龙里县兴溢诚豆制品有限公司 一种豆腐模切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64B2 (ko) 1976-01-19 1981-01-29
JPS5750678B2 (ko) 1978-01-26 1982-10-28
JP3017507B2 (ja) 1989-12-21 2000-03-13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不織布
JPH11169302A (ja) 1997-12-16 1999-06-29 Matsuda Shokuhin Kogyo Kk フライヤーの揚げ枠及び前記揚げ枠を用いた油揚げの製造方法
JP4789736B2 (ja) 2006-07-27 2011-10-12 株式会社高井製作所 油揚げ生地再生方法及び油揚げ生地の連続製造装置
JP6412441B2 (ja) 2014-03-05 2018-10-24 株式会社みすずコーポレーション 油揚の製造方法および油揚用豆腐生地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1333A1 (en) 2023-09-28
CN116033833A (zh) 2023-04-28
WO2022034908A1 (ja) 2022-02-17
JPWO2022034908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643B2 (ja) 豆腐生地の切断装置
CN112655732B (zh) 一种家用批量生产手抓饼面皮设备
KR20230035663A (ko) 두부 생지의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부의 제조 방법
CN205201589U (zh) 一种生姜切片设备
US20170190520A1 (en) Apparatus for staggering or separating slices
CN116649397A (zh) 调理肉制品低温全自动切割工艺及其装置
CN216031037U (zh) 一种利用废弃秋葵梗茎再生制作养生茶的装置
CN112157001A (zh) 一种土豆片筛选用激光选片机
CN211721697U (zh) 一种食品加工骨肉分离装置
CN112388724A (zh) 一种哈密瓜切片去籽一体机
KR20200074293A (ko) 강정 제조장치
CN214643874U (zh) 一种果脯加工切片装置
DE102012012262B4 (de) Absaugeinrichtung und Absaugsystem für eine Schneidvorrichtung für Backgut
CN215660522U (zh) 一种用于粘稠类的农产品原料的切条机
KR20200074292A (ko) 강정 제조장치
JP5425336B1 (ja) 砂のう切開洗浄装置
CN220840565U (zh) 一种奶茶杯盖成型后裁切装置
CN214819013U (zh) 一种用于兔肉加工的自动化切块装置
CN217144179U (zh) 一种豆腐干切花生产线
CN220308228U (zh) 一种豆制品油炸装置
CN217648490U (zh) 一种中药饮片切片机的输送装置
CN220348474U (zh) 一种农产品加工用切片装置
CN211137333U (zh) 一种食品切丁机
CN217284065U (zh) 萝卜收获机的萝卜茎叶切割高度调节机构
CN218915796U (zh) 一种烘干切片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