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165A -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165A
KR20230032165A KR1020210114675A KR20210114675A KR20230032165A KR 20230032165 A KR20230032165 A KR 20230032165A KR 1020210114675 A KR1020210114675 A KR 1020210114675A KR 20210114675 A KR20210114675 A KR 20210114675A KR 20230032165 A KR20230032165 A KR 20230032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arget area
ink
inkjet head
sc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나윤
이준우
변성근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165A/ko
Publication of KR2023003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61Detection methods using reference marks, e.g. on sheet, sheet holder or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잉크젯 프린트 설비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이 제공된다. 잉크젯 프린트 설비는 기판에 잉크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 상기 기판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상의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잉크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INKJET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KJET PRINTING DEVICE AND INKJET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LCD 패널, PDP 패널, LE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거나, 반도체 장비를 제조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인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이미지에 따라 기판에 잉크를 토출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다품종 소량생산처럼 많은 양산모델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임의의 영역에 발생하는 불량 영역을 부분적으로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되는 기판마다 인쇄 이미지를 생성해야 하거나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변경한 후 인쇄를 진행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판을 실시간으로 스캔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기판을 실시간으로 스캔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일 면(aspect)은, 기판에 잉크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 상기 기판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상의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잉크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부는, 레이저 센서 또는 광학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기판의 표면 형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할 잉크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헤드는, 복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타겟 영역에 동시에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방법의 일 면은,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 기판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상의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모듈을 제공하고, 상기 잉크젯 헤드 모듈이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스캔부에서 상기 기판 상의 제1 타겟 영역을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잉크젯 헤드는 상기 제1 타겟 영역에 잉크를 토출하고, 상기 잉크젯 헤드 모듈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캔부에서 상기 제1 타겟 영역과는 다른 상기 기판 상의 제2 타겟 영역을 스캔하여 제2 스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잉크젯 헤드는 상기 제2 타겟 영역에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잉크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캔부는, 레이저 센서 또는 광학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기판의 표면 형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할 잉크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헤드는, 복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타겟 영역에 동시에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토출 불량이 발생한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불량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1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불량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10)는 기판(100), 잉크젯 헤드 모듈(200), 제1 갠트리(300), 제2 갠트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잉크젯 헤드 모듈(200)로부터 잉크가 토출되는 다수의 특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검사용 기판일 수 있고, 검사용 기판은 검사용 필름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투명 기판(예를 들어, 유리 기판)일 수도 있다.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제1 갠트리(300)에 설치되어, 제1 갠트리(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제1 갠트리(300)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갠트리(300)는 제2 갠트리(400)에 설치되어, 제2 갠트리(4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갠트리(300)는 제2 갠트리(400)의 연장 방향인 제3 방향(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기판(100)과 평행한 가상의 면에서 제1 방향 및 제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모듈(200)이 제1 갠트리(300)에 설치되는 방법과 제1 갠트리(300)가 제2 갠트리(400)에 설치되는 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제1 갠트리에 포함된 홀더(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잉크젯 헤드(210), 스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210)는 다수의 노즐을 통해 기판(100)상에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21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다수의 잉크젯 헤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210)는 다수의 노즐 외에 잉크를 저장할 수 있는 레저버(미도시), 잉크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장치(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잉크는 예를 들어, QD(Quantum Dot) 잉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잉크젯 헤드 모듈(200)의 폭이 기판(100)의 폭 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캔부(220)는 기판(10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캔부(220)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스캔부(220)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부(220)는 상술한 레이저 센서나 광학 센서 이외에도, 후술할 기판(100) 상의 타겟 영역의 좌표 데이터나, 기판(100) 상부 표면 형상에 관한 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부(220)는 진동 센서, 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스캔부(220)가 기판(10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스캔부(220)는 잉크젯 헤드 모듈(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캔부(220)는 잉크젯 헤드 모듈(200)의 일 면에 설치되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의 이동에 따라 기판(100)을 스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도 1과는 다른 방향(z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타겟 영역이라 함은, 다수의 특정 영역 중, 기판(100)에 잉크가 토출되어야 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캔부(220)는 스캔 센서(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센서(2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센서, 광학 센서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캔 센서(225)가 레이저 센서인 경우, 스캔 센서(225)는 반도체 레이저(미도시)로부터 생성되는 레이저 광을 기판(100)에 조사하여 기판(100) 표면 형상, 토출된 잉크의 높이 등을 측정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스캔 센서(225)는 기판(100) 상에 레이저를 조사한 후, 반사되는 레이저를 기초로 기판(10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스캔부(220)는 기판(100) 상부에 대해 잉크 토출 영역뿐 아니라 파티클(particle) 등과 같은 오염 물질 또한 스캔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캔 데이터는 기판(100) 상에서 잉크가 토출될 타겟 영역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캔 데이터는 기판(100) 상에서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잉크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스캔부(220)에서 획득한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젯 헤드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스캔 데이터를 제공받아 기판(100) 상의 타겟 영역에 잉크가 정확히 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타겟 영역에 잉크가 정확히 토출되었다면, 제어부(230)는 잉크젯 헤드 모듈(200)을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타겟 영역에 잉크가 정확히 토출되지 않았다면, 제어부(230)는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양의 잉크를 타겟 영역에 토출하도록 잉크젯 헤드(2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10)는 기판(100) 상부에 대하여 잉크젯 헤드 모듈(200)을 이동시키면서 기판(100)을 스캔하여 실시간으로 타겟 영역에 대한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고, 위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판(100) 상부에 잉크를 토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10)는 기판(100)을 실시간으로 스캔하여 타겟 영역인지 판단하고, 타겟 영역이라면 토출할 잉크의 양을 결정하여 적절한 양의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도 3은 토출 불량이 발생한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기판(100)은 다수의 특정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특정 영역은 잉크가 토출되어야 할 다수의 타겟 영역(R1, R2, R3)을 포함한다. 다수의 타겟 영역(R1, R2, R3) 중 제2 타겟 영역(R2)와 제3 타겟 영역(R3)은, 이미 잉크가 토출되었지만 타겟 영역에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은 "토출 불량"을 나타낸다. 즉, 제1 타겟 영역(R1)은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된 타겟 영역이다. 제2 타겟 영역(R2)은 잉크가 원래 토출되어야 하는 양보다 적게 토출된 타겟 영역이다. 제3 타겟 영역(R3)은 잉크가 토출되지 않은 타겟 영역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10)의 일반적인 인쇄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잉크젯 헤드 모듈(200)이 위치한 지점에서, 스캔부(220)는 스캔 센서(225)를 통해 기판(100)의 특정 영역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
스캔부(220)는 획득한 스캔 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S120).
제어부(230)는 전달받은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스캔된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제어부(230)가 스캔된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잉크젯 헤드(210)가 특정 영역에 토출하여야 하는 양의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잉크젯 헤드(210)는 노즐(215)을 통해 특정 영역에 잉크를 토출한다(S140). 잉크젯 헤드(210)가 잉크를 토출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S150).
제어부(230)가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잉크젯 헤드 모듈(200)을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S150).
잉크젯 헤드 모듈(200)이 이동한 위치가 기판(100) 상의 인쇄 종료 지점인 경우, 인쇄를 종료한다. 잉크젯 헤드 모듈(200)이 이동한 위치가 기판(100) 상의 인쇄 종료 지점이 아닌 경우, S110 단계로 돌아가 반복한다(S160).
상술한 과정(S110 ~ S160)을 반복하여, 잉크젯 프린트 설비(10)는 기판(100) 상의 타겟 영역을 실시간으로 스캔하고,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양의 잉크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다.
도 5 내지 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불량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타겟 영역(R1, R2, R3)을 스캔하여, 불량이 발생한 타겟 영역(R2, R3)에 추가로 잉크를 토출하는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도 3의 기판(100)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타겟 영역(R1)에 토출된 잉크는 정상 토출된 케이스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10)는 미리 다수의 프린팅을 반복 실시하여, 정상 토출된 잉크의 높이, 넓이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 높이', '기준 넓이'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기준 높이와 타겟 영역에 토출된 잉크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 이를 "정상 토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2 타겟 영역(R2)에 토출된 잉크는 토출량이 불량한 케이스에 해당한다. 즉, 정상 토출된 케이스의 제1 타겟 영역(R1)의 토출된 잉크와 비교할 때, 기판(100)과 평행한 제1 방향(x 방향)의 가상의 라인(L)으로부터 제1 타겟 영역(R1)에 토출된 잉크 까지의 거리(D1)보다 제2 타겟 영역(R2)에 토출된 잉크 까지의 거리(D2)가 더 크다(D1 > D2). 즉, 잉크의 높이가 기준 높이보다 낮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이를 "토출량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타겟 영역(R3)은 잉크가 전혀 토출되지 않은 케이스에 해당한다. 즉, 기판(100)과 평행한 제1 방향(x 방향)의 가상의 라인(L)으로부터 기판(100)까지의 거리와 제3 타겟 영역까지의 거리(D3)가 동일하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미토출"로 판단할 수 있다. "토출량 불량" 및 "미토출"은 "토출 불량"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인쇄가 이루어진 후, 기판(100)의 타겟 영역에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는 토출 불량이 발생한 경우, 토출 불량이 발생한 타겟 영역에 대해서만 잉크를 추가로 토출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토출 불량이 발생한 타겟 영역에 잉크를 토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이 이동하여, 스캔 센서(225)가 제3 타겟 영역(R3)의 상부에 위치한다. 스캔부(220)는 스캔 센서(225)를 이용하여 기판(100)을 스캔하여, 제3 타겟 영역(R3)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
스캔부(220)는 획득한 스캔 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S120).
제어부(230)는 전달받은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제3 타겟 영역(R3)이 타겟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제3 타겟 영역(R3)은 잉크가 토출되어야 하는 타겟 영역이므로, 제어부(230)는 잉크젯 헤드(210)가 제3 타겟 영역(R3)에 토출하여야 하는 양의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잉크젯 헤드(210)는 노즐(215)을 통해 제3 타겟 영역(R3)에 잉크를 토출한다(S140, 도 7). 잉크젯 헤드(210)가 잉크를 토출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S150).
도 8을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이 이동하여 스캔 센서(225)가 제2 타겟 영역(R2)의 상부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스캔부(220)는 스캔 센서(225)를 이용하여 기판(100)을 스캔하여, 제2 타겟 영역(R2)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 스캔부(220)는 획득한 스캔 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S120). 제어부(230)는 전달받은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제2 타겟 영역(R2)이 타겟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제2 타겟 영역(R2)은 잉크가 토출되어야 하는 타겟 영역이므로, 제어부(230)는 잉크젯 헤드(210)가 제2 타겟 영역(R2)에 토출하여야 하는 양의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2 타겟 영역(R2)은 토출량 불량이 발생한 영역이므로, 제어부(230)는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타겟 영역(R2)에 토출되어야 하는 잉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크젯 헤드(210)는 노즐(215)을 통해 제3 타겟 영역(R3)에 잉크를 토출한다(S140, 도 9).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210)는 제2 타겟 영역(R2)에 제3 타겟 영역(R3)에 토출되는 잉크의 양(도 7 참고)보다 적은 양을 토출한다. 잉크젯 헤드(210)가 잉크를 토출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S150).
도 10을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200)이 이동하여 스캔 센서(225)가 제1 타겟 영역(R1)의 상부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스캔부(220)는 스캔 센서(225)를 이용하여 기판(100)을 스캔하여, 제1 타겟 영역(R1)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 스캔부(220)는 획득한 스캔 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S120). 제어부(230)는 전달받은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제1 타겟 영역(R1)이 타겟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제1 타겟 영역(R1)은 잉크가 원래 토출되어야 하는 양이 정확히 토출된 정상 토출 영역이므로, 제어부(230)는 제1 타겟 영역(R1)이 타겟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S140).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제1 타겟 영역(R1)에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다(도 11). 제어부(230)는 잉크젯 헤드 모듈(200)을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잉크젯 헤드 모듈(200)은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S150).
도 12는 불량이 발생한 타겟 영역(R2, R3)에 잉크를 추가로 토출하여, 모든 타겟 영역에 적절한 양의 잉크가 토출된 모습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10)는 토출 불량이 발생한 타겟 영역을 실시간으로 스캔하여, 잉크 토출이 필요한 특정한 타겟 영역에 대해 부분적으로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이미지를 미리 생성할 필요가 없이, 실시간으로 인쇄 영역을 스캔하여 인쇄를 진행하기 때문에 전체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18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프린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잉크젯 프린트 설비(10)와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3 및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설비(20)는 기판(100), 잉크젯 헤드 모듈(500), 제1 갠트리(300), 제2 갠트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모듈(500)은 잉크젯 헤드(510), 스캔부(520),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510)는 복수의 노즐(51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515)은 기판(100)의 특정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노즐(515)은 각각 기판(100)의 특정 영역들에 대해서 동시에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스캔부(520)는 스캔 센서(52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센서(525)는 잉크젯 헤드 모듈(500)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기판(100) 상의 복수의 특정 영역(도 15의 R1, R2, R3)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잉크젯 헤드 모듈(500)이 위치한 지점에서, 스캔부(520)는 스캔 센서(525)를 통해 기판(100)의 특정 영역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210).
스캔부(520)는 획득한 스캔 데이터를 제어부(530)에 전달한다(S220).
제어부(530)는 전달받은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스캔된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제어부(230)가 스캔된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각각의 타겟 영역 상에 위치한 노즐(515)을 선택한다(S240).
제어부(530)는 잉크젯 헤드(510)가 특정 영역에 토출하여야 하는 양의 잉크를 토출하도록 제어한다. 잉크젯 헤드(510)는 선택된 노즐을 통해 잉크를 동시에 토출한다(S250, 도 16 참조).
잉크젯 헤드(510)가 잉크를 토출하면, 잉크젯 헤드 모듈(500)은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S260).
제어부(530)가 스캔된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530)는 잉크젯 헤드 모듈(500)을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잉크젯 헤드 모듈(500)은 기판(100)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S260).
잉크젯 헤드 모듈(500)이 이동한 위치가 기판(100) 상의 인쇄 종료 지점인 경우, 인쇄를 종료한다. 잉크젯 헤드 모듈(500)이 이동한 위치가 기판(100) 상의 인쇄 종료 지점이 아닌 경우, S210 단계로 돌아가 반복한다(S270).
상술한 과정(S210 ~ S270)을 반복하여, 잉크젯 프린트 설비(20)는 기판(100) 상의 타겟 영역을 실시간으로 스캔하고, 복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동시에,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양의 잉크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다.
하나의 노즐로 많은 타겟 영역에 개별적으로 토출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설비(20)의 경우, 다수의 타겟 영역에 다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기판
200 : 잉크젯 헤드 모듈
210 : 잉크젯 헤드
215 : 노즐
220 : 스캔부
225 : 스캔 센서
230 : 제어부
300 : 제1 갠트리
400 : 제2 갠트리
R1 : 제1 타겟 영역

Claims (10)

  1. 기판에 잉크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
    상기 기판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상의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잉크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레이저 센서 또는 광학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기판의 표면 형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할 잉크의 양을 결정하는 잉크젯 프린트 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는,
    복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타겟 영역에 동시에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트 설비.
  6.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
    기판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상의 특정 영역이 타겟 영역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모듈을 제공하고,
    상기 잉크젯 헤드 모듈이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스캔부에서 상기 기판 상의 제1 타겟 영역을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잉크젯 헤드는 상기 제1 타겟 영역에 잉크를 토출하고,
    상기 잉크젯 헤드 모듈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캔부에서 상기 제1 타겟 영역과는 다른 상기 기판 상의 제2 타겟 영역을 스캔하여 제2 스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잉크젯 헤드는 상기 제2 타겟 영역에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되어야 하는 잉크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레이저 센서 또는 광학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타겟 영역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기판의 표면 형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영역에 토출할 잉크의 양을 결정하는 잉크젯 프린트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는,
    복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타겟 영역에 동시에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트 방법.

KR1020210114675A 2021-08-30 2021-08-30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KR20230032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675A KR20230032165A (ko) 2021-08-30 2021-08-30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675A KR20230032165A (ko) 2021-08-30 2021-08-30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65A true KR20230032165A (ko) 2023-03-07

Family

ID=8551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675A KR20230032165A (ko) 2021-08-30 2021-08-30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1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2809A1 (en) Droplet jet inspecting device, droplet jetting applic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body
US20090309905A1 (en) Droplet Discharging and Drawing Apparatus
JP2007136330A (ja) インク吐出装置及びインク吐出方法
KR100553495B1 (ko) 워크 처리 장치의 처리 정밀도 검사 장치, 액체 방울 토출장치의 묘화 정밀도 검사 장치, 액체 방울 토출 장치 및워크,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전자 기기
JP2008111695A (ja) 外観検査方法
JP2008168207A (ja) 吐出不良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230032165A (ko) 잉크젯 프린트 설비, 잉크젯 프린트 설비의 제조방법,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CN117325563A (zh) 喷墨装置、控制方法以及基板
TW202144194A (zh) 油墨塗佈裝置、其控制裝置及噴墨頭檢查方法
JP6179280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吐出検知部材
JP4704168B2 (ja) 欠陥画素修復装置、欠陥画素修復システム及び欠陥画素修復方法
JP2007301447A (ja) 液滴塗布装置、液滴塗布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641818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314931A (ja) 液滴吐出装置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20230098987A (ko) 노즐 검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06272293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液滴吐出装置
JP2001063066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220075009A (ko) 검사 장치
CN117984661A (zh) 基板处理装置及方法
KR20230083131A (ko) 기판 검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01267380A (ja) 半導体ウエハのマーキング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半導体検査装置
JP2010142768A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能液滴吐出ヘッドの吐出検査装置
KR20230050017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23159927A (ja) 液滴吐出装置およびマルチノズルヘッドの調整方法
JP2009236669A (ja) 検査装置、突状体の検査方法及び液滴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