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207A -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 Google Patents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207A
KR20230031207A KR1020227043258A KR20227043258A KR20230031207A KR 20230031207 A KR20230031207 A KR 20230031207A KR 1020227043258 A KR1020227043258 A KR 1020227043258A KR 20227043258 A KR20227043258 A KR 20227043258A KR 20230031207 A KR20230031207 A KR 20230031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weakness
symptoms
improving
age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오모리
마사시 우치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85Morphinan derivatives, e.g. morphine, code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6Anabol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합물로 대표되는 모르피난 골격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7

Description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본 발명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근력이 저하하면, 이동 능력, 밸런스 능력, 체력 등의 저하를 초래하고, 건강 수명의 단축이나 요개호(要介護) 상태로 이행하는 리스크를 수반한다. 예를 들면, 허리나 대퇴의 근력이 저하하면 일어섬이나 계단의 승강이, 어깨 부근의 근력이 저하하면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는 것이, 손의 근력이 떨어지면 젓가락을 쥐는 등의 세세한 동작이 곤란하게 되어, 일상 동작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무릎보다 아래의 근력이 저하하면 발이 늘어지기 때문에, 발끝이 약간 돌기에 걸리기 쉬워져, 전도, 그것에 수반되는 골절 등에 의해 요개호 상태로 이행하는 리스크를 수반한다.
근력 저하 증상은, 예를 들면 근육 자체에 병의 원인이 있는 근원성 근위축증이나 근육을 움직이는 작용을 담당하는 신경계에 원인이 있는 신경원성 근위축증에 있어서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근력 저하 증상은 근육이나 신경계에 직접적인 원인이 없더라도, 예를 들면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이나 증후군에 있어서도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이나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처치를 위해, 예를 들면 원인이 되는 질환이나 증후군의 치료약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원인이 되는 질환이나 증후군의 치료에 의하지 않는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에 관한 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인 비스테로이드성 삼환식 화합물(특허문헌 1) 등이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작용을 갖는다는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시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현재,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이나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법이나 예방법으로서는, 운동 요법과 영양 섭취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한편, 모르피난 골격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은, 오피오이드κ 수용체 작동성을 갖는 것 및 진통제 및 이뇨제로서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진양제(특허문헌 3), 악액질 치료제(특허문헌 4), 저알부민 혈증 개선제(특허문헌 5)로서의 용도도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02/066475호 국제 공개 제93/015081호 국제 공개 제98/023290호 국제 공개 제12/105475호 국제 공개 제16/152965호
Lynch 외,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07년, 제113권, p.461-487 Cruz-Jentofft 외, Age and Ageing, 2014년, 제43권, p.748-759
그러나, 안드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는 단기적인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작용이 임상 시험 결과로서 보고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이 기대되는 운동 요법에 있어서는, 부적절한 트레이닝에 의한 운동기 장애 등의 리스크가 수반되고, 심장병, 호흡기 질환이나 정형외과적 질환 등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 있어서는, 운동 요법 그 자체를 실시, 계속할 수 없다. 또한, 영양 섭취 요법에 있어서는, 현시점에서 장기적인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작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즉, 기존의 요법은 실시할 수 있는 환자가 한정적이며, 또한 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근력 저하 증상에의 개선 효과에 만족할 수 있는 요법이 없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따라서,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이나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새로운 개선제 또는 예방제의 개발이 갈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이나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모르피난 골격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이,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우수한 개선 효과나 예방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식 중, 점선과 실선의 이중선은, 이중결합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4∼7의 시클로알킬알킬을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5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을 나타내고, 또한 B는 -CH=CH-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R1은 시클로프로필메틸, 시클로부틸메틸, 시클로펜틸메틸 또는 시클로헥실메틸이며, 또한 R2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R1은 시클로프로필메틸이며, R2는 메틸이며, 또한 B는 트랜스형의 -CH=CH-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이하의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이 경우에는,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우수한 개선 효과 또는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의 대사이상으로서는, 동화저항성이나 이화항진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양태로서,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동화저항성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이화항진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를 제공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관한 상기의 바람직한 양태는, 상기 양태에도 적용된다.
또한, 다른 일양태로서, 본 발명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관한 상기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양태에도 적용된다.
또한, 다른 일양태로서, 본 발명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을 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사용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관한 상기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양태에도 적용된다.
또한, 다른 일양태로서, 본 발명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관한 상기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양태에도 적용된다.
또한, 다른 일양태로서, 본 발명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예를 들면,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사용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관한 상기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양태에도 적용된다.
또한, 다른 일양태로서, 본 발명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을 개선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게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관한 상기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양태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인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0-112486호 및 제2021-097684호의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기재되는 내용을 포함한다.
도 1은 근력 저하 증상을 보이는 악성 종양 모델에 있어서의 화합물 1의 종상 체적에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근력 저하 증상을 보이는 악성 종양 모델에 있어서의 화합물 1의 근력 저하 증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근력 저하 증상을 보이는 노화 촉진 모델에 있어서의 화합물 1의 근력 저하 증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는,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Figure pct00003
[식 중, 점선과 실선의 이중선은 이중결합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4∼7의 시클로알킬알킬을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5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을 나타내고, 또한 B는 -CH=CH-을 나타낸다.]
상기의 일반식(I)에 있어서, R1은 시클로프로필메틸, 시클로부틸메틸, 시클로펜틸메틸 또는 시클로헥실메틸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클로프로필메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2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는 트랜스형의 -CH=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점선과 실선의 이중선이 단결합이며, R1이 시클로프로필메틸이며, R2이 메틸이며, B가 트랜스형의 -CH=CH-이며, 또한 (-)체인 화합물, 즉 이하의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이어도 좋고, 상기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일실시형태로서는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 염산염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다음의 용어는, 특별히 거절이 없는 한 하기의 정의 와 같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산과의 염 또는 유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또는 인산염을 들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살산염, 말론산염, 시트르산염, 푸말산염, 유산염, 말산염, 숙신산염, 주석산염, 아세트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말레산염, 글루콘산염, 벤조산염, 아스코르브산염, 글루타르산염, 만델산염, 프탈산염, 메탄술폰산염, 에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캄퍼술폰산염, 아스파르트산염, 글루탐산염 또는 신남산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인산염, 주석산염, 메탄술폰산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무수물이어도 좋고, 용매화물 또는 결정 다형을 형성해도 좋다. 여기에서 용매화물로서는, 수화물 또는 비수화물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예를 들면 공지의 합성 방법(국제 공개 제93/015081호)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으로서는, 이하에 드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뇌졸중, 만성 심부전, 만성 폐색성 폐질환, 만성 신장병, 2형 당뇨병, 패혈증, 변형성 관절증, 골다공증, 사코페니아(원발성 사코페니아, 이차성 사코페니아), 악성 종양, 악액질, 폐용 증후군, 운동기 증후군, 노년 증후군,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또한,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예방제란, 근력 저하의 발병, 중증화를 미연에 방지하는 목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경미한 근력 저하 증상을 보인 악성 종양, 2형 당뇨병, 뇌졸중 등을 발병한 환자나 보행 속도의 저하를 보인 운동기 증후군 등의 환자에 대하여 근력 저하 증상의 진행을 미연에 방지하는 목적으로,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품을 투여한 경우, 해당 의약품은 상기 근력 저하 증상의 예방제에 포함된다. 근력의 저하는 이동 능력, 밸런스 능력, 체력의 저하를 초래하고, 보행, 의복의 착탈, 화장실 등, 최저한의 일상생활 동작마저도 자립하여 행할 수 없게 되어, 건강수명의 단축이나 요개호 상태로 이행하는 리스크를 수반한다. 상기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에 의한 약리 작용에 의해, 이들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사이상이란, 근단백질의 합성과 분해의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를 의미한다. 대사이상으로서는, 근단백질의 합성이 감소하는 동화저항성, 근단백질의 분해가 항진하는 이화항진을 들 수 있다. 대사이상 중, 동화저항성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으로서는, 이하에 드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뇌졸중, 만성 폐색성 폐질환, 만성 신장병, 사코페니아, 악성 종양, 악액질,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 만성 심부전, 폐용 증후군, 운동기 증후군, 노년 증후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대사이상 중, 이화항진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으로서는, 이하에 드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뇌졸중, 만성 폐색성 폐질환, 만성 신장병, 사코페니아, 악성 종양, 악액질,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 2형 당뇨병, 패혈증, 변형성 관절증, 골다공증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의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는, 동화저항성 및 이화항진의 양대사이상이 생길 수 있다.
동화저항성 (anabolic resistance)이란, 근단백질의 합성이 감소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동화저항성은, 근단백질 합성능의 저하나 저영양에 수반하는 근단백질의 기질인 아미노산량의 부족 등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은, 일상행동량의 증가에 의한 최대 산소 섭취량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Chronic Respiratory Disease, 2014, 제11권, p.247-255), 저산소 상태가 야기하는 근단백질 합성 경로 불활성화 시그널(The Journal of physiology, 2006, Vol.574, p85-93)의 억제에 의한 동화저항성의 개선이 기대된다. 또한,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은 기초대사량의 증가에 의한 식사량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일본 영양·식량학, 1993년, 제46권, 451-458, The American Journal 97권, p.7-14), 식사로부터의 아미노산 섭취량의 증가에 의한 동화저항성의 개선이 기대된다.
또한, 이화항진(hypercatabolism)이란, 근단백질의 분해가 항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화항진은 질환, 침습으로부터의 회복을 목적으로 한 생체 반응인 전신의 염증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은 일상행동량의 증가에 의한 운동부하나 기초대사량의 증가에 의한 식사량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 면역능의 향상에 의한 전신성의 염증반응의 억제(Science Advances, 2019년, 제5권, eaau 7802)에 의한 이화항진의 개선이 기대된다.
상술과 같이,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은 일상행동량 및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대사이상을 개선하고, 근력 저하 증상의 새로운 개선 작용을 야기하는 것이 기대된다. 따라서,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이하에 드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일상행동량 및 기초대사량이 저하하는 뇌졸중, 사코페니아, 악성 종양, 악액질,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 폐용 증후군, 운동기 증후군, 노년 증후군 등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골격근의 근력 저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골격근이란, 체간근인 두부, 경부, 흉부, 복부, 배부의 근육 및 체지근인 상지, 하지의 근육을 의미한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이,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또는 예방에 유효한 것은, 예를 들면 질환 또는 증후군의 모델 동물을 사용하여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지표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에 의해 발견된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효과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에 유효한 것은, 상술과 같이 근력 저하 증상과 대사이상의 관계로부터 설명할 수 있다. 상기, 근력 저하 증상을 보이는 질환 또는 증후군의 모델 동물로서는, 예를 들면 노화 촉진 모델(Lipids, 2013년, 제48권, p.1135-1143), 악성 종양 모델(Oncology Reports, 2011년, 제 25권, p.189-193), 2형 당뇨병 모델(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19, 126권, p.170-182), 뇌허혈 모델(Disease Models & Mechanisms, 2017, 제10권, p.787-796), 정상동물의 근육의 사용을 제한한 꼬리의 현수 모델(Bioscience, 1979년, 제29권, p.168-172)을 들 수 있다. 또한 환자에 있어서는, 악력이나 신체 기능(규정 시간에 있어서의 보행 거리) 등을 지표로,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또는 예방에 유효한 것을 평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환자에 있어서, 질환 감염 후의 전지의 근력(악력) 저하와 하지나 호흡기의 근력 저하는 매우 높은 상관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이학 요법 과학, 2011년, 제26권, p.255-258,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7년, 제41권). 또한 질환 모델 동물에 있어서도, 전지의 근력(악력) 저하와 운동 능력이나 후지의 근력이 저하하는 시기는 일치한다(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2018년, 제9권, p.975-986, Neurotoxicology and Teratolog, 2003년, 제25권, p.543-553). 따라서, 악력은 전신의 근력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모델 동물 등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그립 테스트 장치에서 측정하는 전지의 악력을 지표로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전신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대로, 인간 폐포 기저 상피선 암세포인 A549세포를 누드 마우스에 이식한 악성 종양 모델에 있어서, 종상 체적의 증대를 억제하지 않는다.
악성 종양 환자에게 많이 보여지는 합병증인 암 악액질은, 근력 저하 증상을 수반하는 질환의 하나이다. 암 악액질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약제인 아나모렐린은, 암 악액질 환자에 있어서 서지방 체중을 증가시켜, 암 악액질의 증상 개선에 성공하고 있지만,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작용은 나타내지 않고 있다(The Lanset Oncology, 2016년, 제17권, p.519-531). 마찬가지로, 암 악액질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약제인 에노보삼도 또한 암 악액질 환자에 있어서, 서지방 체중을 증가시키지만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신체 기능의 개선)을 지표로 한 시험에 있어서, 그 효과가 확인되고 있지 않다(The Lanset Oncology, 2013, 제14권, p.335-345). 이들의 결과는, 암 악액질에 있어서의 체중 감소(진단 기준)에 대한 치료제이어도, 암 악액질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에는 안 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포유 동물(예를 들면, 인간, 마우스, 래트, 토끼,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또는 원숭이 등)에 대한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로서 임상에서 사용할 때에는,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부형제, 캡슐 피막, 안정화제, 보존제, 완충제, 용해보조제, 유화제, 희석제, 등장화제, 붕괴제, 활택제, 코팅제, 가소제 또는 착색제 등의 첨가제 등을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적당하게 혼합하여,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의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D-만니톨, 에리스리톨, 유당, 마크로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캡슐 피막으로서는 젤라틴이나 숙신화 젤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황산나트륨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카르멜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푸말산스테아릴나트륨,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코팅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진한 글리세린이나 마크로골4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이나 삼이산화철, 황색 삼이산화철,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는, 상기의 담체를 적당하게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로서 경구 투여하는 경우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구강내 붕괴제, 산제 또는 과립제 등을 들 수 있고, 비경구적인 투여로서는 정맥내 급속 주입, 정맥내 지속 주입,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피내 주사, 흡입제, 좌제, 연고제, 크림제 또는 패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공지의 지속형 제제로서도 상관없다.
상기의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중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한번 복용당 통상 0.1㎍ 내지 100㎎을 함유하도록 조제될 수 있다. 또한, 투여량은 환자의 증상, 연령, 성별, 체중 또는 투여 방법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성인 1일당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양으로서, 0.1㎍로 내지 20㎎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100㎍이 더욱 바람직하고, 각각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의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는, 그 개선 효과 또는 예방 효과의 보완 또는 증강 혹은 투여량 저감을 위해,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의 치료, 예방, 증상의 감소 또는 억제에 대하여 사용되는 또 다른 1종류 또는 그 이상의 약제와 조합시켜 투여할 수 있다. 조합시키는 약제는 저분자 화합물이어도 좋고, 또한 고분자의 단백, 폴리펩티드, 항체 또는 백신 등이어도 좋다. 이 때, 조합시키는 약제와 동시 또는 시간차를 두고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조합시키는 방법은 각각의 약제를 병용하면 좋고, 합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합시키는 약제의 투여량은 각각 임상상 사용되는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로 조합시키는 약제와의 배합비는, 투여 대상, 투여 대상의 연령, 체중, 증상, 투여시간, 제형 또는 투여 방법 등에 의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악성 종양 모델에 있어서의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염산염의 효과:
인간 폐포 기저 상피선암 세포인 A549세포를 누드 마우스에 이식한 악성 종양 모델 동물을 사용하여, 국제 공개 제93/015081호에 따라 제조한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염산염(이하, 화합물 1)을 투여했을 때의 근력 저하에 대한 개선 작용을 평가했다. 또한, 상기 모델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의 하나인 악성 종양에 의해 근력 저하 증상을 보임으로써,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 및 예방 효과를 평가가능하다고 생각한다.
A549세포의 계대는, 10% FBS 함유 RPMI1640 배지를 사용하여 행했다. 약효 평가에는, 7주령의 자성 BALB/Cslc/nu/nu 마우스(니혼 SLC 카부시키가이샤)를 구입하고, 1주간의 순화 후에 사용했다. 악성 종양 모델 동물의 제작은 이하와 같이 행했다. 즉, A549 세포를 마우스의 우측 복부에 1마리당 2.5×107개(FBS 불함 RPMI1640 배지에 현탁)씩 피하 투여하여 이식했다. 세포 이식으로부터 41일째에 있어서, 각 군 종상 체적의 평균이 균등해지도록 군 분할을 행했다. 종상 체적은 디지털 노니우스에 의해 종상 종상 직경을 계측하고, 이하의 계산식에 의해 구했다.
종상 체적(㎣)=「장경(㎜)」×「단경(㎜)」×「단경(㎜)」×1/2
또한, 본 모델이 근력 저하 모델인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악성 종양 모델 동물의 대조를 설정했다. 악성 종양 모델 동물의 대조로서, A549 세포 및 FBS 불함 RPMI1640 배지를 이식한 동물을 사용했다.
세포 이식 43일째부터 70일째까지, 악성 종양 모델 동물에 화합물 1을 28일간, 매일 경구 투여했다. 화합물 1의 투여 용량은 0.125㎎/㎏(9예) 또는 0.25㎎/㎏(9예)로 했다. 화합물 1의 대조로서, 증류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했다(9예). 또한, 악성 종양 모델 동물의 근력이 저하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로 한 동물에는 증류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했다(10예). 그립 테스트 장치(무로마치 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를 사용하여, 화합물 1 투여 개시 후 28일째(투여 최종일)의 전지의 악력을 측정함으로써 근력을 평가했다. 악성 종양 모델 동물에 화합물 1을 0.125㎎/㎏ 투여한 군을 화합물 10.125㎎/㎏ 투여군으로 하고, 악성 종양 모델 동물에 화합물 1을 0.25㎎/㎏ 투여한 군을 화합물 10.25㎎/㎏ 투여군으로 했다. 악성 종양 모델 동물에 증류수를 투여한 군을 증류수 투여군으로 하고, A549 세포 및 FBS 불함 RPMI1640 배지를 이식하여 증류수를 투여한 군을 모델 대조군으로 했다.
화합물 1의 종상 체적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종축은 화합물 1 투여 개시 후 28일째의 종상 체적(평균값±표준오차)을 나타낸다. 횡축의 「모델 대조」는 모델 대조군을 나타내고, 「증류수」는 증류수 투여군을 나타내고, 「화합물 10.125㎎/㎏」은 화합물 10.125㎎/㎏ 투여군을 나타내고, 「화합물 10.25㎎/㎏」은 화합물 10.25㎎/㎏ 투여군을 나타낸다. *표는 모델 대조군과 증류수 투여군의 비교(t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 p<0.05).
화합물 1의 악력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종축은 화합물 1 투여 개시 후 28일째의 악력(평균값±표준오차)을 나타낸다. 횡축의 「모델 대조」는 모델 대조군을 나타내고, 「증류수」는 증류수 투여군을 나타내고, 「화합물 10.125㎎/㎏」은 화합물 10.125㎎/㎏ 투여군을 나타내고, 「화합물 10.25㎎/㎏」은 화합물 10.25㎎/㎏ 투여군을 나타낸다. *표는 모델 대조군과 증류수 투여군의 비교(t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 p<0.05). #표는 증류수 투여군과 각 농도의 화합물 1 투여군의 비교(Dunnet 다중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 P <0.05).
도 1의 결과로부터, 증류수 투여군에서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종상 체적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이 종상 체적의 증가에 대하여, 화합물 1 투여군는 어느 용량에 있어서도, 억제 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도 2의 결과로부터, 증류수 투여군에서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악력(근력)의 저하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A549 세포를 누드 마우스에 이식하는 악성 종양 모델은 악력(근력) 저하 증상을 보이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 악력(근력)의 현저한 저하에 대하여, 어느 용량의 화합물 1 투여군에 있어서도,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악력(근력)의 증가 작용을 나타내고, 모델 대조군과 동등한 악력(근력)을 나타낼 때까지 개선했다.
(실시예 2) 노화 촉진 모델에 있어서의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염산염의 효과:
노화 촉진 모델인 SAMP8 마우스를 사용하여, 국제 공개 제93/015081호에 따라 제조한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염산염(이하, 화합물 1)을 투여했을 때의 근력 저하에 대한 개선 작용을 평가했다. 또한, 상기 모델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의 하나인 노년 증후군에 의해 근력 저하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 및 예방 효과를 평가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약효 평가에는 7주령의 웅성 SAMP8/TaSlc 마우스(니혼 SLC 카부시키가이샤)를 구입하고, 그 후 9개월간 사육을 행하여 시험에 사용했다. 피검 물질 투여 3일전으로부터 1일 전의 합계 3일간, 그립 테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전지의 악력을 측정하고, 3일간의 평균값을 산출 후, 각 군의 근력의 평균이 균등해지도록 군 분류를 행했다. 또한, 본 모델이 근력 저하 모델인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노화 촉진 모델 동물의 대조를 설정했다. 노화 촉진 모델 동물의 대조로서, 7주령의 웅성 SAMPR1/TaSlc 마우스(니혼 SLC 카부시키가이샤)를 구입하고, SAMP8 마우스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을 행하여 시험에 사용했다.
SAMP8 마우스에 화합물 1을 28일간, 매일 경구 투여했다. 화합물 1의 투여 용량은 0.125㎎/㎏(10예) 또는 0.25㎎/㎏(13예)로 했다. 화합물 1의 대조로서, 증류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했다(11예). 또한, 악성 종양 모델 동물의 근력이 저하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로 한 동물에는, 증류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했다(13예). 그립 테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화합물 1 투여 개시 후 28일째(투여 최종일)의 전지의 악력을 측정함으로써 근력을 평가했다. SAMP8 마우스에 화합물 1을 0.125㎎/㎏ 투여한 군을 화합물 10.125㎎/㎏ 투여군으로 하고, SAMP8 마우스에 화합물 1을 0.25㎎ /㎏ 투여한 군을 화합물 10.25㎎/㎏ 투여군으로 했다. SAMP8 마우스에 증류수를 투여한 군을 증류수 투여군으로 하고, SAMR1 마우스에 증류수를 투여한 군을 모델 대조군으로 했다.
화합물 1의 악력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종축은 화합물 1 투여 개시 후 28일째의 악력(평균값±표준오차)을 나타낸다. 횡축의 「모델 대조」는 모델 대조군을 나타내고, 「증류수」는 증류수 투여군을 나타내고, 「화합물 10.125㎎/㎏」은 화합물 10.125㎎/㎏ 투여군을 나타내고, 「화합물 10.25㎎/㎏」은 화합물 10.25㎎/㎏ 투여군을 나타낸다. *표는 모델 대조군과 증류수 투여군의 비교(t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 p<0.05). #표는 증류수 투여군과 각 농도의 화합물 1 투여군의 비교(Williams의 다중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 P<0.05).
도 3의 결과로부터, 증류수 투여군에서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악력(근력)의 저하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노화 촉진 모델인 SAMP8 마우스는 악력(근력) 저하 증상을 보이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이 악력(근력)의 현저한 저하에 대하여, 어느 용량의 화합물 1 투여군에 있어서도,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악력(근력)의 증가 작용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하여 현저한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또한,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작용은 대사이상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 등을 갖기 때문에, 의약 분야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을 그대로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6)

  1.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Figure pct00005

    [식 중, 점선과 실선의 이중선은 이중결합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4∼7의 시클로알킬알킬을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5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을 나타내고, 또한 B는 -CH=CH-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시클로프로필메틸, 시클로부틸메틸, 시클로펜틸메틸 또는 시클로헥실메틸이며, 또한 R2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인 개선제 또는 예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시클로프로필메틸이며, R2는 메틸이며, 또한 B는 트랜스형의 -CH=CH-인 개선제 또는 예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이하의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17-(시클로프로필메틸)-3,14β-디히드록시-4,5α-에폭시-6β-[N-메틸-트랜스-3-(3-푸릴)아크릴아미드]모르피난인 개선제 또는 예방제.
    Figure pct00006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이상은 동화저항성인 개선제 또는 예방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이상은 이화항진인 개선제 또는 예방제.
KR1020227043258A 2020-06-30 2021-06-30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KR20230031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12486 2020-06-30
JPJP-P-2020-112486 2020-06-30
JPJP-P-2021-097684 2021-06-11
JP2021097684 2021-06-11
PCT/JP2021/024759 WO2022004788A1 (ja) 2020-06-30 2021-06-30 代謝異常を伴う疾患又は症候群における筋力低下症状の改善剤又は予防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207A true KR20230031207A (ko) 2023-03-07

Family

ID=7931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258A KR20230031207A (ko) 2020-06-30 2021-06-30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255955A1 (ko)
EP (1) EP4173624A1 (ko)
JP (1) JPWO2022004788A1 (ko)
KR (1) KR20230031207A (ko)
CN (1) CN115768430A (ko)
AU (1) AU2021298446A1 (ko)
CA (1) CA3187797A1 (ko)
TW (1) TW202216145A (ko)
WO (1) WO202200478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081A1 (fr) 1992-01-23 1993-08-05 Toray Industries, Inc. Derive de morphinane et utilisation en medicine
WO1998023290A1 (fr) 1996-11-25 1998-06-04 Toray Industries, Inc. Agent antiprurigineux
WO2002066475A2 (en) 2001-02-23 2002-08-29 Liga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Tricyclic androgen receptor modulator compounds
WO2012105475A1 (ja) 2011-01-31 2012-08-09 東レ株式会社 悪液質の治療又は予防剤
WO2016152965A1 (ja) 2015-03-24 2016-09-29 東レ株式会社 低アルブミン血症の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6977B (zh) * 2007-04-24 2012-09-05 东丽株式会社 运动障碍的治疗或预防剂
EP2196206B8 (en) * 2007-10-05 2019-11-13 Toray Industries, Inc. Remedy for relieving skin troubles comprising morphinan derivative or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acid addition salt thereof as the active ingredient
WO2015050160A1 (ja) * 2013-10-03 2015-04-0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副甲状腺ホルモンまたはその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筋の老化防止用医薬組成物
KR102459500B1 (ko) * 2014-04-28 2022-10-2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KR101666659B1 (ko) * 2014-06-12 2016-10-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틸 피리디늄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근력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I674071B (zh) 2014-12-15 2019-10-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系統及用於在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內導引氣流的方法
CN108348528A (zh) * 2015-09-17 2018-07-31 科达生物治疗公司 治疗神经障碍的组合物和方法
JP7231923B2 (ja) 2019-01-15 2023-03-0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複合体の検出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担体及び検出キ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081A1 (fr) 1992-01-23 1993-08-05 Toray Industries, Inc. Derive de morphinane et utilisation en medicine
WO1998023290A1 (fr) 1996-11-25 1998-06-04 Toray Industries, Inc. Agent antiprurigineux
WO2002066475A2 (en) 2001-02-23 2002-08-29 Liga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Tricyclic androgen receptor modulator compounds
WO2012105475A1 (ja) 2011-01-31 2012-08-09 東レ株式会社 悪液質の治療又は予防剤
WO2016152965A1 (ja) 2015-03-24 2016-09-29 東レ株式会社 低アルブミン血症の改善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ruz-Jentofft 외, Age and Ageing, 2014년, 제43권, p.748-759
Lynch 외,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07년, 제113권, p.461-48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6145A (zh) 2022-05-01
AU2021298446A1 (en) 2023-02-09
WO2022004788A1 (ja) 2022-01-06
US20230255955A1 (en) 2023-08-17
CN115768430A (zh) 2023-03-07
JPWO2022004788A1 (ko) 2022-01-06
CA3187797A1 (en) 2022-01-06
EP4173624A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0430B1 (ru) Сочетание антагониста nmda-рецептора и селективного ингибитора обратного захвата серотонина для лечения депрессии и других психических расстройств
EP2754440B1 (en) Medicinal agent for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or preventing progression of phas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JPWO2013118773A1 (ja) 特発性炎症性筋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WO2006095836A1 (ja) 多発性硬化症に伴う痒みに対する止痒剤
CA3170031A1 (en) Nicotinamide mononucleot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arrhythmia
KR20230031207A (ko)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증후군에 있어서의 근력 저하 증상의 개선제 또는 예방제
WO2022225045A1 (ja) グレリン抵抗性を伴う悪液質の治療剤又は予防剤
JPWO2020130146A1 (ja) 筋質向上剤
JP5908072B2 (ja) 腹圧性尿失禁予防剤及び/又は治療剤
CN102448453B (zh) 多不饱和脂肪酸在治疗神经损伤中的用途
KR20050054921A (ko) 저알부민 상태의 개선제
JP2010529125A (ja) 胃食道逆流疾患の治療に有用な組成物
JP6935930B2 (ja) 生薬成分を含む肺高血圧症の予防又は治療剤
WO2016152965A1 (ja) 低アルブミン血症の改善剤
EP0005074A1 (en) A material and composition for reducing blood pressure
EP433158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tricyclo derivative compound
US11413273B2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pulmonary hypertension comprising unsaturated 5-membered heterocycle-containing compound
KR20240051189A (ko) 대사 증후군의 위험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TWI662967B (zh) 食後期之胃運動亢進劑
KR20240051234A (ko) 심장질환용제 및 심장질환의 개선 방법
JP5699030B2 (ja) エタネルセプトを含む線維筋痛症の治療剤
WO2000028984A1 (fr) Remedes agissant contre un trouble fonctionnel du tractus digestif
WO201211094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de4 enzyme inhibitor revamilast and a disease modifying agent, preferably methotrexate
JP2016102068A (ja) 鯨筋肉抽出物からなる中長期記憶障害予防改善剤
KR20070032071A (ko) 중추 신경 질환 발증 후의 기능 장해의 회복 촉진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